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8): 832-842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8.83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Hong-Sun Yo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E-mail: yhsuny@c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xamined the fermented lemon balm obtained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Lacticaseibacillus casei, Levilactobacillus brevi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valu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Melissa officinalis Lamiaceae (M. officinalis L.) fermented products were the highest in S. cerevisiae fermented products (P<0.05).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 officinalis L. fermented by L. brevis and L. plantarum was better than the non-fermented group at all concentration (P<0.05) in all strain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ll M. officinalis L. fermented products was better than the non-fermented group.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fermented lemon balm products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natural ingredients for functional foods in the future.
Keywords: Melissa officinalis L., cultural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ntibacterial,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레몬밤(
발효란 식품에 효모, 유산균, 곰팡이 등 미생물을 접종하여 유기화합물의 분해를 유도하고 알코올, 이산화탄소 등의 분해 산물이 생성되면서 식품 내 기능 성분이 증진되는 과정을 일컫는다. 식품의 발효 과정을 통해 맛과 풍미, 식감 등 관능적 기호도를 증진할 수 있고 발효 분해 산물 중 하나인 유기산 생성에 따라 각종 유해균의 성장이 억제됨으로써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amylase, lipase 등 가수분해 효소 생성에 따른 소화불량 개선 효과와 다양한 체내 생리 조절 기능 물질의 증가 등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발효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미생물은 식용이 가능한 유익균이지만 원재료에 있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경우 유해균 또는 유해한 대사산물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Park,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부한 기능 성분을 함유한 레몬밤에 다양한 유용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켰을 때 미생물의 특성에 따른 효소 활성에 의해 레몬밤 내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에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며, 각 발효물에 대한 배양 특성, 생리활성 및 효소 저해능을 발효하지 않은 레몬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발효 추출 방법을 최적화하고 향후 새로운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레몬밤 발효에 사용된 균주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레몬밤(국내산)은 건조된 원물 형태인 것을 온라인 쇼핑몰 허브마켓 주식회사에서 2023년 8월에 구입하여 분말화한 뒤 -24°C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레몬밤 발효물의 제조 과정은 250 mL의 증류수에 5 g의 glucose(Sigma-Aldrich Co.)와 1.25 g의 peptone(Life Technologies Corp.)을 넣고 교반한 뒤 121°C에서 15분 동안 가압 고온 멸균하여 실온에서 서서히 식힌 다음 레몬밤 분말 12.5 g과 미리 활성화한 5종의 발효 균주를 각각 2.5 mL 주입하였다.
레몬밤 발효물의 동결건조 수율은 제조한 발효 및 무발효 레몬밤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구한 후 추출물 조제 시 사용된 원료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균주 성장에 따른 발효액의 pH 변화는 24시간 배양 후 멸균된 발효액을 여과한 다음 pH meter(K2000-pH, iSTEK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혼탁도 측정은 24시간 배양 후 멸균 및 여과된 발효액을 취해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였다. 생균수 측정은 24시간 배양한 레몬밤 발효액을 멸균수에 희석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BS, LB, LC, LP는 plate count agar(Difco Laboratories), SC는 potato dextrose agar(Difco Laboratories)에 분주한 다음 각각 37°C, 30°C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총당 함량 측정은 phenol-sulfuric acid 방법(Cho 등, 2015)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5% phenol(Junsei Chemical Co., Ltd.)과 sulfuric acid(H2SO4, Junsei Chemical Co., Ltd.)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20분간 방치한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당 함량 측정은 DNS 방법(Meller, 1959)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DNS 용액을 넣고 혼합한 후 10분간 끓는 물에서 반응시킨 뒤 5분간 냉각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glucose(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표준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00 mg에 대한 mg glucose equivalents(GE)로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Folin-Denis(1912)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Aldrich Co.)와 증류수를 1:2(v/v)의 비율로 섞은 혼합액을 첨가하여 3분간 반응시킨 후 10% Na2CO3(w/v, Duksan Chemical Co., Ltd.) 용액을 섞어 1시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키고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괏값은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Zhishen 등(1999)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증류수와 5% NaNO2(w/v, 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넣어 섞은 후 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10% AlCl3・6H2O(w/v, Junsei Chemical Co., Ltd.)를 넣고 6분간 방치한 다음 1 M NaOH(Daejung Chemical & Metals Co., Ltd.)를 가하여 11분간 반응시킨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괏값은 catechin hydrate(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catechin equivalents(CE)로 나타내었다.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lois(1958)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0.2 mM DPPH(Sigma-Aldrich Co.) solution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시료 희석용매인 증류수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결괏값은 대조군에 대한 시료 첨가군의 감소한 흡광도를 백분율(%)로 구한 후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의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Fellegrini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ABTS solution은 140 mM K2S2O8(Samchun Pure Chemical Co., Ltd.)에 증류수를 가한 후 ABTS diammonium salt tablet(Sigma-Aldrich Co.) 2알을 넣어 암실에서 12~16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를 95% 에탄올(Samchun Pure Chemical Co., Ltd.)과 혼합하여 734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에 ABTS solution 1 mL를 가한 후 2분 30초간 암실에서 반응시킨 다음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희석용매인 증류수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결괏값은 대조군에 대한 시료 첨가군의 감소한 흡광도를 백분율(%)로 구한 후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측정 방법은 Benzie와 Strain(1996)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FRAP solution은 300 mM acetate buffer(pH 3.6)와 40 mM HCl(Samchun Pure Chemical Co., Ltd.)에 용해한 10 mM 2,4,6-tris(2-pyridyl)-s-triazine(Sigma-Aldrich Co.), 20 mM FeCl3・6H2O(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각각 10:1:1(v/v/v)의 비율로 섞은 후 37°C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제조한 후 FRAP solution으로 사용하였다. 시료에 증류수와 FRAP solution을 넣고 37°C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값은 FeSO4・7H2O(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대입하여 환산하였으며, 시료 1 g에 들어있는 FeSO4・7H2O의 mM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각 유해 균주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Bauer 등, 1966)를 통해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Gram positive bacteria인
아질산염 소거 활성 측정 방법은 Gray와 Dugan(1975)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1 mM NaNO2(Samchun Pure Chemical Co., Ltd.)와 0.2 M citrate buffer(pH 3.0)를 가하고 37°C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혼합물에 2% acet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 Griess reagent(30% acetic acid를 이용하여 제조한 1% sulfanilic acid, 1% 1-naphthylamine을 사용 직전 1:1 비율로 섞어 제조)를 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은 ascorb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사용하여 비교했으며 결괏값은 시료 첨가군과 시료 무첨가군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Flurkey(1991)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시료, 10 mM L-DOPA(dihydroxy-phenylalanine; Sigma-Aldrich Co.)를 넣고 혼합한 뒤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에 용해시킨 효소액(mushroom tyrosinase, 100 unit/mL; Sigma-Aldrich Co.)을 첨가하여 37°C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Koj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시료 첨가군과 시료 무첨가군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 활성은 Kraunsoe 등(1996)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0.2 M Tris-HCl buffer(pH 8.0), 시료,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6.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수율 결과를 제외한 모든 데이터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
5종의 유용 미생물로 발효시킨 레몬밤의 동결건조 수율은 Table 1에 나타냈다. 레몬밤 발효물의 수율은 BS 발효군이 5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LP(46.46%), LC(45.86%), LB(43.74%), SC(25.27%), control(13.19%) 순으로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무발효 대조군인 control보다 레몬밤 발효군의 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im 등(2012)은 포도 가공 부산물을 다양한 유용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했을 때 BS 발효군에서 수율이 10.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했으며, 본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발효를 통해 수율이 증가한 결과는 유사했으나 레몬밤 발효물의 수율은 53.53~25.27%의 범위를 보여 상당히 높은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균으로부터 유도되는 amylase, lipase 등의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형성된 대사산물의 양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레몬밤 발효물의 수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Table 1 . The yield of fermented
Samples1) | Yield (%) |
---|---|
Control | 13.19 |
BS | 53.53 |
SC | 25.27 |
LC | 45.86 |
LB | 43.74 |
LP | 46.46 |
1)Control: non-fermented
레몬밤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미생물별 24시간 발효시킨 레몬밤 발효액의 배양 특성 결과를 Table 2에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control의 pH는 5.76±0.01로 나타났고 발효군의 pH는 3.63~5.44 범위를 보여 레몬밤 발효 시 무발효 대조군에 비해 pH가 유의적으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Table 2 . pH value,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in the broth of fermented
Samples1) | pH | Turbidity4) | Viable cell count (log CFU/mL) |
---|---|---|---|
Control | 5.76±0.01a2)3) | 0.29±0.00f | - |
BS | 5.44±0.01b | 0.84±0.02b | 6.57±0.02d |
SC | 5.32±0.01c | 0.56±0.00e | 7.85±0.05b |
LC | 5.18±0.00d | 0.61±0.00d | 7.55±0.04c |
LB | 3.59±0.01f | 0.76±0.00c | 7.99±0.08a |
LP | 3.63±0.00e | 1.05±0.01a | 7.77±0.07b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Mean±SD (n=3).
3)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4)Turbidity measurement based on OD600 in the broth of
미생물별 24시간 발효시킨 레몬밤 발효액의 혼탁도 분석 결과 control의 혼탁도는 0.29±0.00으로 나타났고 발효군의 혼탁도는 0.56~1.05의 범위를 보여 레몬밤 발효 시 혼탁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각 발효물의 생균수는 6.57~7.99 log CFU/mL로 나타났고 이 중 LB 발효군이 가장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Lee와 Hong(2015)은 블루베리를 유산균 발효했을 때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개체수인 105 CFU/mL 이상을 나타내어 발효 과정에 의해 유용 미생물이 생성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보고했으며, 본 연구에서도 모든 발효군에서 6 log CFU/mL 이상의 생균수를 보여 충분한 균주의 생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Tak 등(2014)은 흑마늘을 여러 probiotics를 이용하여 발효했을 때 모든 발효군의 생균수가 24시간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몬밤을 24시간 발효시켰을 때 모든 발효군에서 균주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발효가 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
미생물별 레몬밤 발효물의 총당 및 환원당 측정 결과는 Table 3에 나타냈다. Control의 총당 함량은 24.19±0.25 GE mg/100 mg으로 나타났고 발효군은 19.59~85.40 GE mg/100 mg 범위를 보였으며 모든 발효 및 무발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Table 3 .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of fermented
Samples1) | Total sugar (GE mg/100 mg2)) | Reducing sugar (GE mg/100 mg) |
---|---|---|
Control | 24.19±0.25e3)4) | 11.12±0.10e |
BS | 85.40±0.80a | 53.95±0.33a |
SC | 19.59±0.12f | 10.62±0.10f |
LC | 83.40±0.37b | 49.48±0.17b |
LB | 68.78±0.26d | 34.39±0.00c |
LP | 74.26±0.09c | 33.50±0.42d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Glucose equivalent mg/100 mg.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레몬밤 발효물의 균주별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SC 발효군이 176.98±1.01 GAE mg/g으로 모든 발효 및 무발효군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Table 4 .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fermented
Samples1) | Total phenol contents (GAE mg/g2)) | Flavonoid contents (CE mg/g3)) |
---|---|---|
Control | 126.14±1.01b4)5) | 55.49±1.36b |
BS | 111.17±1.37c | 53.92±4.78b |
SC | 176.98±1.01a | 115.14±2.68a |
LC | 81.90±0.76d | 29.80±1.20c |
LB | 68.25±0.76f | 24.55±0.82d |
LP | 75.74±0.66e | 31.76±1.26c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Gallic acid equivalent mg/g.
3)Catechin equivalent mg/g.
4)Mean±SD (n=3).
5)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레몬밤 발효물의 균주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는 Table 4에 나타냈다. 레몬밤 SC 발효군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control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과 동일한 경향을 보여 발효에 의해 레몬밤 내 유효성분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Adom과 Liu(2002)의 보고에 따르면 과일 및 채소의 phytochemical은 대부분 glycoside로 free 형태 또는 soluble conjugate 형태로 존재하지만, 곡류 등 일부 식품에 함유된 페놀 화합물의 경우 상당량이 세포벽 성분과 결합한 insoluble 형태로 존재하여 소화 및 흡수가 비교적 어렵다고 보고했으며, Zhao 등(2021)은 발효 과정 중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효소가 conjugate 형태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free 형태로 전환함으로써 항산화능과 같은 생리활성이 증가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발효 미생물, pH, 발효 시간, 효소 등 다양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레몬밤 SC 발효군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 이유는 SC 균주가 발효 과정 중 생성하는 여러 효소에 의해 free 및 soluble conjugate 형태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 Dulf 등(2016)은
레몬밤 발효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냈다. 실험에 사용된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IC50값은 0.017±0.000 mg/mL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의 IC50값은 0.063±0.001 mg/mL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Table 5 .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alue of fermented
Samples1)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mg/mL)2)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mg/mL) | FRAP value (mM/g) |
---|---|---|---|
Ascorbic acid | 0.017±0.000f3)4) | 0.12±0.00f | - |
Control | 0.102±0.002c | 0.55±0.01d | 1,309.24±11.19b |
BS | 0.095±0.001d | 0.53±0.02d | 1,249.01±7.46c |
SC | 0.063±0.001e | 0.41±0.01e | 2,359.99±35.07a |
LC | 0.185±0.009b | 1.02±0.01c | 859.97±9.77d |
LB | 0.226±0.002a | 1.54±0.01a | 706.96±10.17e |
LP | 0.221±0.003a | 1.35±0.04b | 833.92±13.88d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Inhibitory activity was expressed as the mean of 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riplicate determines, obtained by interpolation of concentration inhibition curve.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레몬밤 발효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냈다. 실험에 사용된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IC50값은 0.12±0.00 mg/mL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의 IC50값은 0.41±0.01 mg/mL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레몬밤 발효물의 균주별 FRAP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냈으며, SC 발효군의 FRAP 값은 2,359.99±35.07 mM/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균주별 레몬밤 발효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Control은 10 mg/disc 농도에서
Table 6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Microorganism | Size of clear zone (mm) | ||
---|---|---|---|
Sample1) | Fraction conc. (mg/disc) | ||
5.0 | 10.0 | ||
Control | -2)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1.88±0.29*3) | 5.03±0.16* | |
LP | 2.34±0.28* | 6.22±0.20*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3.03±0.22* | 8.80±0.21* | |
LP | 2.58±0.11* | 7.57±0.15*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1.57±0.17* | 3.97±0.10* | |
LP | 1.68±0.12* | 3.84±0.08*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2.66±0.07* | 5.75±0.18* | |
LP | 2.42±0.06* | 4.12±0.09* | |
Control | - | 1.05±0.17* | |
BS | 1.37±0.07* | 2.17±0.06* | |
SC | - | - | |
LC | - | - | |
LB | 2.60±0.18* | 6.65±0.16* | |
LP | 1.38±0.10* | 2.24±0.13*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2.15±0.06* | 4.92±0.10* | |
LP | 2.24±0.07* | 5.41±0.10*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4.20±0.07* | 6.03±0.07* | |
LP | 4.93±0.36* | 6.94±0.12*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Not detected.
3)Mean±SD (n=4).
*Diffe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
본 연구에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에 나타냈으며, 발효 및 무발효군과 ascorbic acid의 농도는 10 mg/mL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은 98.26±0.22%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이 95.32±0.18%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Table 7 . Nitrite scavenging ability,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fermented
Samples1) | Nitrite scavenging ability (%) |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 |
---|---|---|---|
Positive control2) | 98.26±0.22a3)4) | 99.82±0.15a | 81.14±1.23a |
Control | 28.66±0.18g | 46.50±2.60c | 57.58±0.34c |
BS | 87.89±0.47c | 43.93±1.95c | 54.47±0.34d |
SC | 95.32±0.18b | 67.50±1.33b | 60.85±0.20b |
LC | 75.52±0.81e | 35.64±2.02d | 34.80±0.25f |
LB | 73.44±0.81f | 2.98±0.24f | 37.56±0.17e |
LP | 76.39±0.18d | 11.50±1.55e | 34.32±0.44f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Nitrite scavenging ability: ascorbic aci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kojic aci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scorbic acid.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본 연구에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에 나타냈으며, 발효 및 무발효군과 kojic acid의 농도는 1 mg/mL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Positive control인 kojic acid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은 99.82±0.15%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이 67.50±1.33%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의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에 나타냈으며, 발효 및 무발효군과 ascorbic acid의 농도는 1 mg/mL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elastase 저해 활성은 81.14±1.23%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이 60.85±0.20%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이 입증된 레몬밤에 5종의 유용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뒤 각 발효물의 배양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기존의 레몬밤 추출물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발효 추출 방법을 최적화하고 향후 새로운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레몬밤 발효군의 수율은 25.27~53.53% 범위를 보여 control(15.61%)보다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pH는 control보다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8): 832-842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8.83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이예빈․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Hong-Sun Yo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E-mail: yhsuny@c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xamined the fermented lemon balm obtained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Lacticaseibacillus casei, Levilactobacillus brevi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valu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Melissa officinalis Lamiaceae (M. officinalis L.) fermented products were the highest in S. cerevisiae fermented products (P<0.05).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 officinalis L. fermented by L. brevis and L. plantarum was better than the non-fermented group at all concentration (P<0.05) in all strain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ll M. officinalis L. fermented products was better than the non-fermented group.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fermented lemon balm products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natural ingredients for functional foods in the future.
Keywords: Melissa officinalis L., cultural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ntibacterial,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레몬밤(
발효란 식품에 효모, 유산균, 곰팡이 등 미생물을 접종하여 유기화합물의 분해를 유도하고 알코올, 이산화탄소 등의 분해 산물이 생성되면서 식품 내 기능 성분이 증진되는 과정을 일컫는다. 식품의 발효 과정을 통해 맛과 풍미, 식감 등 관능적 기호도를 증진할 수 있고 발효 분해 산물 중 하나인 유기산 생성에 따라 각종 유해균의 성장이 억제됨으로써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amylase, lipase 등 가수분해 효소 생성에 따른 소화불량 개선 효과와 다양한 체내 생리 조절 기능 물질의 증가 등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발효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미생물은 식용이 가능한 유익균이지만 원재료에 있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경우 유해균 또는 유해한 대사산물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Park,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부한 기능 성분을 함유한 레몬밤에 다양한 유용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켰을 때 미생물의 특성에 따른 효소 활성에 의해 레몬밤 내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에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며, 각 발효물에 대한 배양 특성, 생리활성 및 효소 저해능을 발효하지 않은 레몬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발효 추출 방법을 최적화하고 향후 새로운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레몬밤 발효에 사용된 균주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레몬밤(국내산)은 건조된 원물 형태인 것을 온라인 쇼핑몰 허브마켓 주식회사에서 2023년 8월에 구입하여 분말화한 뒤 -24°C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레몬밤 발효물의 제조 과정은 250 mL의 증류수에 5 g의 glucose(Sigma-Aldrich Co.)와 1.25 g의 peptone(Life Technologies Corp.)을 넣고 교반한 뒤 121°C에서 15분 동안 가압 고온 멸균하여 실온에서 서서히 식힌 다음 레몬밤 분말 12.5 g과 미리 활성화한 5종의 발효 균주를 각각 2.5 mL 주입하였다.
레몬밤 발효물의 동결건조 수율은 제조한 발효 및 무발효 레몬밤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구한 후 추출물 조제 시 사용된 원료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균주 성장에 따른 발효액의 pH 변화는 24시간 배양 후 멸균된 발효액을 여과한 다음 pH meter(K2000-pH, iSTEK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혼탁도 측정은 24시간 배양 후 멸균 및 여과된 발효액을 취해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였다. 생균수 측정은 24시간 배양한 레몬밤 발효액을 멸균수에 희석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BS, LB, LC, LP는 plate count agar(Difco Laboratories), SC는 potato dextrose agar(Difco Laboratories)에 분주한 다음 각각 37°C, 30°C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총당 함량 측정은 phenol-sulfuric acid 방법(Cho 등, 2015)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5% phenol(Junsei Chemical Co., Ltd.)과 sulfuric acid(H2SO4, Junsei Chemical Co., Ltd.)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20분간 방치한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당 함량 측정은 DNS 방법(Meller, 1959)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DNS 용액을 넣고 혼합한 후 10분간 끓는 물에서 반응시킨 뒤 5분간 냉각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glucose(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표준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00 mg에 대한 mg glucose equivalents(GE)로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Folin-Denis(1912)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Aldrich Co.)와 증류수를 1:2(v/v)의 비율로 섞은 혼합액을 첨가하여 3분간 반응시킨 후 10% Na2CO3(w/v, Duksan Chemical Co., Ltd.) 용액을 섞어 1시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키고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괏값은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Zhishen 등(1999)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증류수와 5% NaNO2(w/v, 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넣어 섞은 후 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10% AlCl3・6H2O(w/v, Junsei Chemical Co., Ltd.)를 넣고 6분간 방치한 다음 1 M NaOH(Daejung Chemical & Metals Co., Ltd.)를 가하여 11분간 반응시킨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괏값은 catechin hydrate(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catechin equivalents(CE)로 나타내었다.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lois(1958)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0.2 mM DPPH(Sigma-Aldrich Co.) solution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시료 희석용매인 증류수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결괏값은 대조군에 대한 시료 첨가군의 감소한 흡광도를 백분율(%)로 구한 후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의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Fellegrini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ABTS solution은 140 mM K2S2O8(Samchun Pure Chemical Co., Ltd.)에 증류수를 가한 후 ABTS diammonium salt tablet(Sigma-Aldrich Co.) 2알을 넣어 암실에서 12~16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를 95% 에탄올(Samchun Pure Chemical Co., Ltd.)과 혼합하여 734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에 ABTS solution 1 mL를 가한 후 2분 30초간 암실에서 반응시킨 다음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희석용매인 증류수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결괏값은 대조군에 대한 시료 첨가군의 감소한 흡광도를 백분율(%)로 구한 후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측정 방법은 Benzie와 Strain(1996)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FRAP solution은 300 mM acetate buffer(pH 3.6)와 40 mM HCl(Samchun Pure Chemical Co., Ltd.)에 용해한 10 mM 2,4,6-tris(2-pyridyl)-s-triazine(Sigma-Aldrich Co.), 20 mM FeCl3・6H2O(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각각 10:1:1(v/v/v)의 비율로 섞은 후 37°C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제조한 후 FRAP solution으로 사용하였다. 시료에 증류수와 FRAP solution을 넣고 37°C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값은 FeSO4・7H2O(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대입하여 환산하였으며, 시료 1 g에 들어있는 FeSO4・7H2O의 mM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각 유해 균주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Bauer 등, 1966)를 통해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Gram positive bacteria인
아질산염 소거 활성 측정 방법은 Gray와 Dugan(1975)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1 mM NaNO2(Samchun Pure Chemical Co., Ltd.)와 0.2 M citrate buffer(pH 3.0)를 가하고 37°C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혼합물에 2% acet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 Griess reagent(30% acetic acid를 이용하여 제조한 1% sulfanilic acid, 1% 1-naphthylamine을 사용 직전 1:1 비율로 섞어 제조)를 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은 ascorb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사용하여 비교했으며 결괏값은 시료 첨가군과 시료 무첨가군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Flurkey(1991)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시료, 10 mM L-DOPA(dihydroxy-phenylalanine; Sigma-Aldrich Co.)를 넣고 혼합한 뒤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에 용해시킨 효소액(mushroom tyrosinase, 100 unit/mL; Sigma-Aldrich Co.)을 첨가하여 37°C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Koj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Ltd.)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시료 첨가군과 시료 무첨가군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 활성은 Kraunsoe 등(1996)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0.2 M Tris-HCl buffer(pH 8.0), 시료,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6.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수율 결과를 제외한 모든 데이터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
5종의 유용 미생물로 발효시킨 레몬밤의 동결건조 수율은 Table 1에 나타냈다. 레몬밤 발효물의 수율은 BS 발효군이 5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LP(46.46%), LC(45.86%), LB(43.74%), SC(25.27%), control(13.19%) 순으로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무발효 대조군인 control보다 레몬밤 발효군의 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im 등(2012)은 포도 가공 부산물을 다양한 유용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했을 때 BS 발효군에서 수율이 10.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했으며, 본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발효를 통해 수율이 증가한 결과는 유사했으나 레몬밤 발효물의 수율은 53.53~25.27%의 범위를 보여 상당히 높은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균으로부터 유도되는 amylase, lipase 등의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형성된 대사산물의 양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레몬밤 발효물의 수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Table 1 . The yield of fermented
Samples1) | Yield (%) |
---|---|
Control | 13.19 |
BS | 53.53 |
SC | 25.27 |
LC | 45.86 |
LB | 43.74 |
LP | 46.46 |
1)Control: non-fermented
레몬밤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미생물별 24시간 발효시킨 레몬밤 발효액의 배양 특성 결과를 Table 2에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control의 pH는 5.76±0.01로 나타났고 발효군의 pH는 3.63~5.44 범위를 보여 레몬밤 발효 시 무발효 대조군에 비해 pH가 유의적으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Table 2 . pH value,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in the broth of fermented
Samples1) | pH | Turbidity4) | Viable cell count (log CFU/mL) |
---|---|---|---|
Control | 5.76±0.01a2)3) | 0.29±0.00f | - |
BS | 5.44±0.01b | 0.84±0.02b | 6.57±0.02d |
SC | 5.32±0.01c | 0.56±0.00e | 7.85±0.05b |
LC | 5.18±0.00d | 0.61±0.00d | 7.55±0.04c |
LB | 3.59±0.01f | 0.76±0.00c | 7.99±0.08a |
LP | 3.63±0.00e | 1.05±0.01a | 7.77±0.07b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Mean±SD (n=3)..
3)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4)Turbidity measurement based on OD600 in the broth of
미생물별 24시간 발효시킨 레몬밤 발효액의 혼탁도 분석 결과 control의 혼탁도는 0.29±0.00으로 나타났고 발효군의 혼탁도는 0.56~1.05의 범위를 보여 레몬밤 발효 시 혼탁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각 발효물의 생균수는 6.57~7.99 log CFU/mL로 나타났고 이 중 LB 발효군이 가장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Lee와 Hong(2015)은 블루베리를 유산균 발효했을 때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개체수인 105 CFU/mL 이상을 나타내어 발효 과정에 의해 유용 미생물이 생성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보고했으며, 본 연구에서도 모든 발효군에서 6 log CFU/mL 이상의 생균수를 보여 충분한 균주의 생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Tak 등(2014)은 흑마늘을 여러 probiotics를 이용하여 발효했을 때 모든 발효군의 생균수가 24시간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몬밤을 24시간 발효시켰을 때 모든 발효군에서 균주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발효가 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
미생물별 레몬밤 발효물의 총당 및 환원당 측정 결과는 Table 3에 나타냈다. Control의 총당 함량은 24.19±0.25 GE mg/100 mg으로 나타났고 발효군은 19.59~85.40 GE mg/100 mg 범위를 보였으며 모든 발효 및 무발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Table 3 .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of fermented
Samples1) | Total sugar (GE mg/100 mg2)) | Reducing sugar (GE mg/100 mg) |
---|---|---|
Control | 24.19±0.25e3)4) | 11.12±0.10e |
BS | 85.40±0.80a | 53.95±0.33a |
SC | 19.59±0.12f | 10.62±0.10f |
LC | 83.40±0.37b | 49.48±0.17b |
LB | 68.78±0.26d | 34.39±0.00c |
LP | 74.26±0.09c | 33.50±0.42d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Glucose equivalent mg/100 mg..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레몬밤 발효물의 균주별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SC 발효군이 176.98±1.01 GAE mg/g으로 모든 발효 및 무발효군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Table 4 .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fermented
Samples1) | Total phenol contents (GAE mg/g2)) | Flavonoid contents (CE mg/g3)) |
---|---|---|
Control | 126.14±1.01b4)5) | 55.49±1.36b |
BS | 111.17±1.37c | 53.92±4.78b |
SC | 176.98±1.01a | 115.14±2.68a |
LC | 81.90±0.76d | 29.80±1.20c |
LB | 68.25±0.76f | 24.55±0.82d |
LP | 75.74±0.66e | 31.76±1.26c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Gallic acid equivalent mg/g..
3)Catechin equivalent mg/g..
4)Mean±SD (n=3)..
5)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레몬밤 발효물의 균주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는 Table 4에 나타냈다. 레몬밤 SC 발효군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control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과 동일한 경향을 보여 발효에 의해 레몬밤 내 유효성분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Adom과 Liu(2002)의 보고에 따르면 과일 및 채소의 phytochemical은 대부분 glycoside로 free 형태 또는 soluble conjugate 형태로 존재하지만, 곡류 등 일부 식품에 함유된 페놀 화합물의 경우 상당량이 세포벽 성분과 결합한 insoluble 형태로 존재하여 소화 및 흡수가 비교적 어렵다고 보고했으며, Zhao 등(2021)은 발효 과정 중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효소가 conjugate 형태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free 형태로 전환함으로써 항산화능과 같은 생리활성이 증가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발효 미생물, pH, 발효 시간, 효소 등 다양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레몬밤 SC 발효군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 이유는 SC 균주가 발효 과정 중 생성하는 여러 효소에 의해 free 및 soluble conjugate 형태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 Dulf 등(2016)은
레몬밤 발효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냈다. 실험에 사용된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IC50값은 0.017±0.000 mg/mL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의 IC50값은 0.063±0.001 mg/mL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Table 5 .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alue of fermented
Samples1)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mg/mL)2)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mg/mL) | FRAP value (mM/g) |
---|---|---|---|
Ascorbic acid | 0.017±0.000f3)4) | 0.12±0.00f | - |
Control | 0.102±0.002c | 0.55±0.01d | 1,309.24±11.19b |
BS | 0.095±0.001d | 0.53±0.02d | 1,249.01±7.46c |
SC | 0.063±0.001e | 0.41±0.01e | 2,359.99±35.07a |
LC | 0.185±0.009b | 1.02±0.01c | 859.97±9.77d |
LB | 0.226±0.002a | 1.54±0.01a | 706.96±10.17e |
LP | 0.221±0.003a | 1.35±0.04b | 833.92±13.88d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Inhibitory activity was expressed as the mean of 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riplicate determines, obtained by interpolation of concentration inhibition curve..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레몬밤 발효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냈다. 실험에 사용된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IC50값은 0.12±0.00 mg/mL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의 IC50값은 0.41±0.01 mg/mL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레몬밤 발효물의 균주별 FRAP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냈으며, SC 발효군의 FRAP 값은 2,359.99±35.07 mM/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균주별 레몬밤 발효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Control은 10 mg/disc 농도에서
Table 6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Microorganism | Size of clear zone (mm) | ||
---|---|---|---|
Sample1) | Fraction conc. (mg/disc) | ||
5.0 | 10.0 | ||
Control | -2)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1.88±0.29*3) | 5.03±0.16* | |
LP | 2.34±0.28* | 6.22±0.20*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3.03±0.22* | 8.80±0.21* | |
LP | 2.58±0.11* | 7.57±0.15*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1.57±0.17* | 3.97±0.10* | |
LP | 1.68±0.12* | 3.84±0.08*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2.66±0.07* | 5.75±0.18* | |
LP | 2.42±0.06* | 4.12±0.09* | |
Control | - | 1.05±0.17* | |
BS | 1.37±0.07* | 2.17±0.06* | |
SC | - | - | |
LC | - | - | |
LB | 2.60±0.18* | 6.65±0.16* | |
LP | 1.38±0.10* | 2.24±0.13*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2.15±0.06* | 4.92±0.10* | |
LP | 2.24±0.07* | 5.41±0.10*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4.20±0.07* | 6.03±0.07* | |
LP | 4.93±0.36* | 6.94±0.12*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Not detected..
3)Mean±SD (n=4)..
*Diffe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
본 연구에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에 나타냈으며, 발효 및 무발효군과 ascorbic acid의 농도는 10 mg/mL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은 98.26±0.22%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이 95.32±0.18%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Table 7 . Nitrite scavenging ability,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fermented
Samples1) | Nitrite scavenging ability (%) |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 |
---|---|---|---|
Positive control2) | 98.26±0.22a3)4) | 99.82±0.15a | 81.14±1.23a |
Control | 28.66±0.18g | 46.50±2.60c | 57.58±0.34c |
BS | 87.89±0.47c | 43.93±1.95c | 54.47±0.34d |
SC | 95.32±0.18b | 67.50±1.33b | 60.85±0.20b |
LC | 75.52±0.81e | 35.64±2.02d | 34.80±0.25f |
LB | 73.44±0.81f | 2.98±0.24f | 37.56±0.17e |
LP | 76.39±0.18d | 11.50±1.55e | 34.32±0.44f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Nitrite scavenging ability: ascorbic aci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kojic aci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scorbic acid..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본 연구에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에 나타냈으며, 발효 및 무발효군과 kojic acid의 농도는 1 mg/mL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Positive control인 kojic acid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은 99.82±0.15%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이 67.50±1.33%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의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에 나타냈으며, 발효 및 무발효군과 ascorbic acid의 농도는 1 mg/mL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의 elastase 저해 활성은 81.14±1.23%로 나타났으며 SC 발효군이 60.85±0.20%로 레몬밤 발효 및 무발효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이 입증된 레몬밤에 5종의 유용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뒤 각 발효물의 배양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기존의 레몬밤 추출물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발효 추출 방법을 최적화하고 향후 새로운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레몬밤 발효군의 수율은 25.27~53.53% 범위를 보여 control(15.61%)보다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pH는 control보다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Table 1 . The yield of fermented
Samples1) | Yield (%) |
---|---|
Control | 13.19 |
BS | 53.53 |
SC | 25.27 |
LC | 45.86 |
LB | 43.74 |
LP | 46.46 |
1)Control: non-fermented
Table 2 . pH value,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in the broth of fermented
Samples1) | pH | Turbidity4) | Viable cell count (log CFU/mL) |
---|---|---|---|
Control | 5.76±0.01a2)3) | 0.29±0.00f | - |
BS | 5.44±0.01b | 0.84±0.02b | 6.57±0.02d |
SC | 5.32±0.01c | 0.56±0.00e | 7.85±0.05b |
LC | 5.18±0.00d | 0.61±0.00d | 7.55±0.04c |
LB | 3.59±0.01f | 0.76±0.00c | 7.99±0.08a |
LP | 3.63±0.00e | 1.05±0.01a | 7.77±0.07b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Mean±SD (n=3)..
3)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4)Turbidity measurement based on OD600 in the broth of
Table 3 .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of fermented
Samples1) | Total sugar (GE mg/100 mg2)) | Reducing sugar (GE mg/100 mg) |
---|---|---|
Control | 24.19±0.25e3)4) | 11.12±0.10e |
BS | 85.40±0.80a | 53.95±0.33a |
SC | 19.59±0.12f | 10.62±0.10f |
LC | 83.40±0.37b | 49.48±0.17b |
LB | 68.78±0.26d | 34.39±0.00c |
LP | 74.26±0.09c | 33.50±0.42d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Glucose equivalent mg/100 mg..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Table 4 .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fermented
Samples1) | Total phenol contents (GAE mg/g2)) | Flavonoid contents (CE mg/g3)) |
---|---|---|
Control | 126.14±1.01b4)5) | 55.49±1.36b |
BS | 111.17±1.37c | 53.92±4.78b |
SC | 176.98±1.01a | 115.14±2.68a |
LC | 81.90±0.76d | 29.80±1.20c |
LB | 68.25±0.76f | 24.55±0.82d |
LP | 75.74±0.66e | 31.76±1.26c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Gallic acid equivalent mg/g..
3)Catechin equivalent mg/g..
4)Mean±SD (n=3)..
5)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Table 5 .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alue of fermented
Samples1)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mg/mL)2)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mg/mL) | FRAP value (mM/g) |
---|---|---|---|
Ascorbic acid | 0.017±0.000f3)4) | 0.12±0.00f | - |
Control | 0.102±0.002c | 0.55±0.01d | 1,309.24±11.19b |
BS | 0.095±0.001d | 0.53±0.02d | 1,249.01±7.46c |
SC | 0.063±0.001e | 0.41±0.01e | 2,359.99±35.07a |
LC | 0.185±0.009b | 1.02±0.01c | 859.97±9.77d |
LB | 0.226±0.002a | 1.54±0.01a | 706.96±10.17e |
LP | 0.221±0.003a | 1.35±0.04b | 833.92±13.88d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Inhibitory activity was expressed as the mean of 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riplicate determines, obtained by interpolation of concentration inhibition curve..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Table 6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Microorganism | Size of clear zone (mm) | ||
---|---|---|---|
Sample1) | Fraction conc. (mg/disc) | ||
5.0 | 10.0 | ||
Control | -2)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1.88±0.29*3) | 5.03±0.16* | |
LP | 2.34±0.28* | 6.22±0.20*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3.03±0.22* | 8.80±0.21* | |
LP | 2.58±0.11* | 7.57±0.15*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1.57±0.17* | 3.97±0.10* | |
LP | 1.68±0.12* | 3.84±0.08*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2.66±0.07* | 5.75±0.18* | |
LP | 2.42±0.06* | 4.12±0.09* | |
Control | - | 1.05±0.17* | |
BS | 1.37±0.07* | 2.17±0.06* | |
SC | - | - | |
LC | - | - | |
LB | 2.60±0.18* | 6.65±0.16* | |
LP | 1.38±0.10* | 2.24±0.13*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2.15±0.06* | 4.92±0.10* | |
LP | 2.24±0.07* | 5.41±0.10*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 | |
LB | 4.20±0.07* | 6.03±0.07* | |
LP | 4.93±0.36* | 6.94±0.12*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Not detected..
3)Mean±SD (n=4)..
*Diffe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
Table 7 . Nitrite scavenging ability,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fermented
Samples1) | Nitrite scavenging ability (%) |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 |
---|---|---|---|
Positive control2) | 98.26±0.22a3)4) | 99.82±0.15a | 81.14±1.23a |
Control | 28.66±0.18g | 46.50±2.60c | 57.58±0.34c |
BS | 87.89±0.47c | 43.93±1.95c | 54.47±0.34d |
SC | 95.32±0.18b | 67.50±1.33b | 60.85±0.20b |
LC | 75.52±0.81e | 35.64±2.02d | 34.80±0.25f |
LB | 73.44±0.81f | 2.98±0.24f | 37.56±0.17e |
LP | 76.39±0.18d | 11.50±1.55e | 34.32±0.44f |
1)Samples are the same as in Table 1..
2)Nitrite scavenging ability: ascorbic aci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kojic aci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scorbic acid..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