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7): 708-717
Published online July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7.70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Zhang Jiaqi , Seung-Hui Choi , Daeun Hong , Tai-sun Shin , and Jung-Mi Y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ung-Mi Y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77 Yongbong-ro, Buk-gu, Gwangju 61186, Korea, E-mail: sosung75@j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Novel preventive approaches are needed to combat colorectal cancer because of the unsatisfactory treatment options available. One such strategy is through chemoprevention using non-toxic dietary substances and botanical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the anti-proliferation and properties of human colorectal cancer HCT116 treated with sargahydroquinoic acid (SHQA) under hyperglycemic conditions in vitro. Human HCT116 cells were cultured under euglycemic (5.5 mM/L glucose) and hyperglycemic (25 mM/L glucose) condition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SHQA (1.25∼10 μM) for 72 h.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on-cytotoxic concentration of SHQA. The apoptosis-related proteins and mRNA levels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es. The treatment of cells with SHQA (1.25∼10 μM, 72 h) resulted in the following: (ⅰ) a decrease in cell viability, (ⅱ) induction of apoptosis, (ⅲ) cleavage of PARP, (ⅳ) activation of caspases-3, (ⅴ) increase in Bax with a concomitant decrease in Bcl-2 protein, (ⅵ) inhibition of NF-κB/p65 phosphorylation at Ser (536)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NF-κB, (ⅶ) decr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ⅷ) increase of SIRT1, and (ⅸ) inhibition of ERK phosphorylation. SHQA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related genes and induced apoptosi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under hyperglycemic conditions. Therefore, SHQA could potentially inhibit colorectal cancer growth under diabetes condition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SHQA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for diabetic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Keywords: high glucose, colon cancer, apoptosis, inflammation, sarghydroquinoic acid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은 소화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 중 하나이다. 전 세계 대장암 발병률 및 사망률은 각각 10%와 9.4%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Sung 등, 2021),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장암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Hong 등, 2021). 최근 들어 비정상적인 포도당 대사가 대장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많은 연구가 있다(Huang 등, 2011).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대장암 발병 위험은 30%에 달하며, 대장암 발병률에 대한 역학 자료의 대부분은 제2형 당뇨병의 사망률이 대장암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Giouleme 등, 2011). 하지만 당뇨병 환자의 고혈당증이 대장암 촉진에 관여하는 자세한 기전은 여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최근 잠재적으로 유용한 암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Labianca 등, 2010). 식이인자를 이용한 암 예방은 암의 다단계 발암 중 촉진 단계에서의 개입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oern 등, 2015). 최근 몇 년간 암 연구에서의 암 억제 전략 중 하나는 세포자연사(apoptosis) 유도를 통한 진행억제이다(Ahmed 등, 2019).
염증은 암의 다단계 발암 중 촉진 및 진행 단계의 주요 요소로 알려져 있다. Interleukin(IL)-6, tumor necrosis factor(TNF)-α는 잘 알려진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에는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MAPKs)의 인산화와 nuclear factor-κB(NF-κB)의 전사가 중요하게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Braicu 등, 2019). 또한 coxygenase-2(COX-2) 과발현 억제는 종양 세포의 세포자연사 잠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다(Newman 등, 2003). COX-2는 암세포 적응의 주요 단계를 조절함으로써 혈관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Camandola 등, 1996), NF-κB 활성화는 암화과정에서 중요한 표적이 된다(Kwon 등, 2013). Sirtuin 1(SIRT1)은 여러 신호 경로에 관여하는 히스톤 및 비히스톤 기질을 탈아세틸화함으로써 종양 형성을 촉진 또는 억제한다(Lin과 Fang, 2013). 대표적으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퀘르세틴(quercetin), 펜에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phenethyl isothiocyanate), 베툴린산(betulinic acid), 아피제닌(apigenin)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식이인자는 여러 암세포의 세포자연사 활성화에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Cagnol과 Chambard, 2010).
Sargassaceae과에 속하는 갈조류(Phaeophyceae)의 속인
Human HCT116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고, SHQA는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신태선 교수로부터 양도받았다. SHQA는 해양 갈조류
HCT116 대장암 세포를 10% fatal bovine serum과 1% penicillin streptomycin(Welgene)을 첨가한 RPMI 1640 배지(Welgene)에서 37°C,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는 passage 5~10 사이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HCT116 세포는 정상혈당(5.5 mM/L 포도당) 또는 고혈당(25 mM/L 포도당) 조건에서 배양되었고, 이 환경에서 SHQA(1.25~10 μM)를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에서 생성된 사이토카인 측정을 위해 배지를 수집하여 -80°C에 pellet 상태로 저장하였다.
HCT116 세포에 대한 SHQA의 세포 독성 효과는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CT116 세포는 96-well plate에서 well당 1×105 cells로 37°C,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SHQA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7°C 및 5% CO2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0.5 mg/mL)를 첨가하여 37°C, 5% CO2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ormazan 형성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모든 well의 배지를 제거하고 각 well에 dimethyl sulfoxide(DMSO)를 첨가하여 formazan을 완전히 용해하였다. 그 후 ELISA reader(Biochrom)를 이용하여 흡광도 570 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적어도 세 번 반복되었다. 살아있는 세포의 백분율을 계산하고 각 well에 대해 평균화하였다.
Whole cell lysates는 세포 pellet을 RIPA buffer(Biosesang) 및 protease 및 phosphate inhibitor cocktail(Thermo Fisher Scientific)로 용해하여 추출하였다. Cytoplasmic cell lysates는 10% NP-40이 포함된 lysis buffer[10 mM 4-(2-hydroxyethyl)piperazine-1-ethanesulfonic acid(HEPES), 10 mM KCl, 0.1 mM 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0.1 mM egta ethylene glycol tetraacetic acid(EGTA), 1 mM dithiothreitol, 0.5 mM phenylmethylsulfonylfluoride(PMSF)]로 용해하여 추출하였고 nuclear cell lysates 10% NP-40이 포함된 lysis buffer(20 mM HEPES, 0.4 mM NaCl, 1 mM EDTA, 1 mM EGTA, 1 mM dithiothreitol, 1 mM PMSF)로 재용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은 16,343×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는 4′,6-diamidino-2-phenylindole, dihydrochloride(DAPI) 염색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HCT 116 세포는 37°C,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SHQA(1.25, 2.5, 5, 10 μM)를 처리하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4% paraformaldehyde(PFA)를 처리하여 30분 동안 고정한 뒤 4% PFA를 제거하고 0.1% Triton X-100으로 세척하였다. DAPI(3.5 μg/mL)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그 후 mounting solution을 처리한 후 형광현미경(Leica Microsystems)을 이용하여 핵을 관찰하였다.
총 RNA는 Trizol reagent(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배양된 세포로부터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Omniscript RT kit(QIAGEN)을 사용하여 cDNA로 전사하였다. SYBR green-based quantitative PCR은 CFX96 Touch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과 함께 iQ SYBR Green Supermix(Bio-Rad)를 사용하여 96-well plate에서 수행하였다. 특정 프라이머로 NF-κB, SIRT1, IL-6, TNF-α 및 β-actin을 로딩 컨트롤로 사용하였다. 상대 발현은 2-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β-actin 값에 대한 정상화로 계산하였다.
각 실험은 적어도 세 번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나타내었다. 각 실험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기 위해 SPSS(version 19.0, SPSS Inc.)를 이용하여 Student’s
SHQA가 고농도 글루코오스(25 mM/L glucose)로 처리한 HCT116 세포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여러 가지 농도의 SHQA(1.25~10 μM)를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는 SHQA의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생존력이 억제되었다(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 여러 가지 농도의 SHQA(1.25~10 μM)를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DAPI로 염색하였다.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SHQA에 처리되었을 때 HCT116 세포의 염색질 응축 및 세포자멸 핵 형태와 같은 세포자연사의 전형적인 형태학적 변화가 일어났다(Fig. 1A). 세포자연사는 SHQA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절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89 kDa의 cleaved PARP(cPARP)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Fig. 1C와 같이 cPARP의 발현은 SHQA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Bcl-2 family는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거나 막으로 이동하여 세포자연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de Moraes 등, 2007).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는 미토콘드리아의 막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cytochrome c 방출이 증가하여 세포자연사를 유도한다(Zhang 등, 2017). 반면,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는 pro-apoptotic 단백질과 heterodimer를 형성하여 pro-apoptitic 단백질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자연사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alakou 등, 2007). 따라서 Bcl-2와 Bax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2와 같이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Bcl-2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Bax의 발현 수준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 연구와 유사하게 Guon 등(2015) 연구에서는
SHQA가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NF-κB 및 COX-2 단백질의 과발현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3과 같이 TNF-α, IL-6 mRNA 및 COX-2 단백질 발현 수준은 SHQ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 처리로 감소하였다. 면역과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NF-κB는 세포의 증식, 세포자연사 및 염증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이러한 NF-κB의 과도한 활성화는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유발과 연관되어 있다(Kim 등, 2021).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암세포의 악성종양으로의 진행 과정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발현이 보고되고 있다(Morris 등, 2022). 예를 들어 난소암 세포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등 종양 형성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을 지속적으로 분비하고(Browning 등, 2018) 유방암 세포에서 암세포의 증식과 침입을 자극하는 IL-1, IL-6, IL-11 및 TGF-β 등의 분비가 증가하였다(Esquivel-Velázquez 등, 2015). 따라서 염증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Kartini 등(2017)의 연구에서
SIRT1은 핵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NAD-의존성 탈아세틸화 효소의 활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여러 단백질을 탈아세틸화하여 세포 성장, 노화, 죽음, 대사, DNA 손상 복구 등 세포 기능을 조절한다(Luo 등, 2000). SIRT1은 염증을 유발하는 NF-κB 신호 전달 경로 활성화를 차단한다(Kauppinen 등, 2013).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 처리에 의한 SIRT1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핵 내 SIRT1 발현 수준은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감소하였다.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 SHQA를 처리하면 SIRT1의 핵 내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Fig. 5). 우리의 연구와 유사하게 Zhao 등(2016) 연구에서는 야관문 추출물을 HT-29 인간 대장암 세포에 처리한 결과 항염증 및 항암과 관련된 단백질인 SIRT1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SHQA는 항염증과 항암 관련 기전에 관여하는 SIRT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세포 증식 억제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MAPKs의 3가지 주요 그룹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c-Jun N-terminal kinase/stress-activated kinase(JNK)과 p38 kinase(p38)로 포유동물 세포 내 발견된다(Lee 등, 2015). 각각의 그룹은 다양한 세포 외부의 자극과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 내부의 경로가 변화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단백질들을 가지고 있다(Choi, 2020). 그중 ERK는 세포 생존과 증식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신호전달 분자이다(Fang과 Richardson, 2005). 현재 많은 연구에서 MAPK의 다양한 역할이 연구되고 있고(Timofeev 등, 2024), 그중 ERK의 활성화는 질병에 발병, 진행 및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에 관여한다는 증거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Guo 등, 2020).
현재의 연구에서는 HCT116 세포에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하였을 때 ERK의 활성 형태인 p-ERK 발현수준이 증가하였으나, 식이인자 SHQA 처리로 p-ERK의 발현이 억제되었다(Fig. 6). 또한 세포의 스트레스 반응 및 사멸에 관여하는 JNK는 SHQA(5 μM 이상) 처리로 활성화됨을 확인하였다. Park과 Park(2021)의 연구에서는 전통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본 연구에서는 인간 HCT116 세포를 SHQA(1.25, 2.5, 5, 10 μM)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정상혈당(5.5 mM/L glucose) 및 고혈당(25 mM/L glucose)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자연사의 형태학적인 특징을 관찰하기 위해 DAPI staining 한 결과,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의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자멸 핵과 같은 핵 형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세포자연사 관련 인자인 pro-caspase-3, Bcl-2, Bax의 단백질 발현과 암의 발암 과정 중 촉진 및 진행 단계에서의 주요 요소로 알려지는 염증 매개 인자인 COX-2, NF-κB, SIRT1, p-ERK, p-JNK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 처리가 용량 의존적으로 pro-caspase-3를 활성화하고 PARP의 절단을 유도하며 세포자연사를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2 수준이 하향 조절되고 세포자연사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Bax 수준이 상향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SHQA 처리로 NF-κB 및 COX-2 단백질의 과발현이 억제되었다. 또한 SHQA 처리로 TNF-α, IL-6 mRNA 단백질 발현 수준은 감소하였으며, 이의 상위기전으로 SHQA 처리가 p-ERK 발현을 저해하고 JNK의 활성화를 증가시켜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대장암 HCT116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키고 세포자연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SHQA 처리에 따라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세포자연사를 통한 암세포 증식억제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SHQA가 인간 암세포에 대한 화학적 예방 및 가능한 치료제로서 개발에 대한 강력한 잠재력을 가질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7): 708-717
Published online July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7.70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장가제․최승희․홍다은․신태선․윤정미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Zhang Jiaqi , Seung-Hui Choi , Daeun Hong , Tai-sun Shin , and Jung-Mi Y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ung-Mi Y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77 Yongbong-ro, Buk-gu, Gwangju 61186, Korea, E-mail: sosung75@j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Novel preventive approaches are needed to combat colorectal cancer because of the unsatisfactory treatment options available. One such strategy is through chemoprevention using non-toxic dietary substances and botanical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the anti-proliferation and properties of human colorectal cancer HCT116 treated with sargahydroquinoic acid (SHQA) under hyperglycemic conditions in vitro. Human HCT116 cells were cultured under euglycemic (5.5 mM/L glucose) and hyperglycemic (25 mM/L glucose) condition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SHQA (1.25∼10 μM) for 72 h.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on-cytotoxic concentration of SHQA. The apoptosis-related proteins and mRNA levels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es. The treatment of cells with SHQA (1.25∼10 μM, 72 h) resulted in the following: (ⅰ) a decrease in cell viability, (ⅱ) induction of apoptosis, (ⅲ) cleavage of PARP, (ⅳ) activation of caspases-3, (ⅴ) increase in Bax with a concomitant decrease in Bcl-2 protein, (ⅵ) inhibition of NF-κB/p65 phosphorylation at Ser (536)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NF-κB, (ⅶ) decr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ⅷ) increase of SIRT1, and (ⅸ) inhibition of ERK phosphorylation. SHQA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related genes and induced apoptosi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under hyperglycemic conditions. Therefore, SHQA could potentially inhibit colorectal cancer growth under diabetes condition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SHQA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for diabetic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Keywords: high glucose, colon cancer, apoptosis, inflammation, sarghydroquinoic acid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은 소화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 중 하나이다. 전 세계 대장암 발병률 및 사망률은 각각 10%와 9.4%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Sung 등, 2021),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장암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Hong 등, 2021). 최근 들어 비정상적인 포도당 대사가 대장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많은 연구가 있다(Huang 등, 2011).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대장암 발병 위험은 30%에 달하며, 대장암 발병률에 대한 역학 자료의 대부분은 제2형 당뇨병의 사망률이 대장암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Giouleme 등, 2011). 하지만 당뇨병 환자의 고혈당증이 대장암 촉진에 관여하는 자세한 기전은 여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최근 잠재적으로 유용한 암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Labianca 등, 2010). 식이인자를 이용한 암 예방은 암의 다단계 발암 중 촉진 단계에서의 개입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oern 등, 2015). 최근 몇 년간 암 연구에서의 암 억제 전략 중 하나는 세포자연사(apoptosis) 유도를 통한 진행억제이다(Ahmed 등, 2019).
염증은 암의 다단계 발암 중 촉진 및 진행 단계의 주요 요소로 알려져 있다. Interleukin(IL)-6, tumor necrosis factor(TNF)-α는 잘 알려진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에는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MAPKs)의 인산화와 nuclear factor-κB(NF-κB)의 전사가 중요하게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Braicu 등, 2019). 또한 coxygenase-2(COX-2) 과발현 억제는 종양 세포의 세포자연사 잠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다(Newman 등, 2003). COX-2는 암세포 적응의 주요 단계를 조절함으로써 혈관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Camandola 등, 1996), NF-κB 활성화는 암화과정에서 중요한 표적이 된다(Kwon 등, 2013). Sirtuin 1(SIRT1)은 여러 신호 경로에 관여하는 히스톤 및 비히스톤 기질을 탈아세틸화함으로써 종양 형성을 촉진 또는 억제한다(Lin과 Fang, 2013). 대표적으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퀘르세틴(quercetin), 펜에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phenethyl isothiocyanate), 베툴린산(betulinic acid), 아피제닌(apigenin)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식이인자는 여러 암세포의 세포자연사 활성화에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Cagnol과 Chambard, 2010).
Sargassaceae과에 속하는 갈조류(Phaeophyceae)의 속인
Human HCT116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고, SHQA는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신태선 교수로부터 양도받았다. SHQA는 해양 갈조류
HCT116 대장암 세포를 10% fatal bovine serum과 1% penicillin streptomycin(Welgene)을 첨가한 RPMI 1640 배지(Welgene)에서 37°C,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는 passage 5~10 사이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HCT116 세포는 정상혈당(5.5 mM/L 포도당) 또는 고혈당(25 mM/L 포도당) 조건에서 배양되었고, 이 환경에서 SHQA(1.25~10 μM)를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에서 생성된 사이토카인 측정을 위해 배지를 수집하여 -80°C에 pellet 상태로 저장하였다.
HCT116 세포에 대한 SHQA의 세포 독성 효과는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CT116 세포는 96-well plate에서 well당 1×105 cells로 37°C,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SHQA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7°C 및 5% CO2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0.5 mg/mL)를 첨가하여 37°C, 5% CO2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ormazan 형성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모든 well의 배지를 제거하고 각 well에 dimethyl sulfoxide(DMSO)를 첨가하여 formazan을 완전히 용해하였다. 그 후 ELISA reader(Biochrom)를 이용하여 흡광도 570 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적어도 세 번 반복되었다. 살아있는 세포의 백분율을 계산하고 각 well에 대해 평균화하였다.
Whole cell lysates는 세포 pellet을 RIPA buffer(Biosesang) 및 protease 및 phosphate inhibitor cocktail(Thermo Fisher Scientific)로 용해하여 추출하였다. Cytoplasmic cell lysates는 10% NP-40이 포함된 lysis buffer[10 mM 4-(2-hydroxyethyl)piperazine-1-ethanesulfonic acid(HEPES), 10 mM KCl, 0.1 mM 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0.1 mM egta ethylene glycol tetraacetic acid(EGTA), 1 mM dithiothreitol, 0.5 mM phenylmethylsulfonylfluoride(PMSF)]로 용해하여 추출하였고 nuclear cell lysates 10% NP-40이 포함된 lysis buffer(20 mM HEPES, 0.4 mM NaCl, 1 mM EDTA, 1 mM EGTA, 1 mM dithiothreitol, 1 mM PMSF)로 재용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은 16,343×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는 4′,6-diamidino-2-phenylindole, dihydrochloride(DAPI) 염색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HCT 116 세포는 37°C,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SHQA(1.25, 2.5, 5, 10 μM)를 처리하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4% paraformaldehyde(PFA)를 처리하여 30분 동안 고정한 뒤 4% PFA를 제거하고 0.1% Triton X-100으로 세척하였다. DAPI(3.5 μg/mL)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그 후 mounting solution을 처리한 후 형광현미경(Leica Microsystems)을 이용하여 핵을 관찰하였다.
총 RNA는 Trizol reagent(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배양된 세포로부터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Omniscript RT kit(QIAGEN)을 사용하여 cDNA로 전사하였다. SYBR green-based quantitative PCR은 CFX96 Touch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과 함께 iQ SYBR Green Supermix(Bio-Rad)를 사용하여 96-well plate에서 수행하였다. 특정 프라이머로 NF-κB, SIRT1, IL-6, TNF-α 및 β-actin을 로딩 컨트롤로 사용하였다. 상대 발현은 2-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β-actin 값에 대한 정상화로 계산하였다.
각 실험은 적어도 세 번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나타내었다. 각 실험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기 위해 SPSS(version 19.0, SPSS Inc.)를 이용하여 Student’s
SHQA가 고농도 글루코오스(25 mM/L glucose)로 처리한 HCT116 세포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여러 가지 농도의 SHQA(1.25~10 μM)를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는 SHQA의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생존력이 억제되었다(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 여러 가지 농도의 SHQA(1.25~10 μM)를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DAPI로 염색하였다.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SHQA에 처리되었을 때 HCT116 세포의 염색질 응축 및 세포자멸 핵 형태와 같은 세포자연사의 전형적인 형태학적 변화가 일어났다(Fig. 1A). 세포자연사는 SHQA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절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89 kDa의 cleaved PARP(cPARP)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Fig. 1C와 같이 cPARP의 발현은 SHQA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Bcl-2 family는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거나 막으로 이동하여 세포자연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de Moraes 등, 2007).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는 미토콘드리아의 막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cytochrome c 방출이 증가하여 세포자연사를 유도한다(Zhang 등, 2017). 반면,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는 pro-apoptotic 단백질과 heterodimer를 형성하여 pro-apoptitic 단백질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자연사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alakou 등, 2007). 따라서 Bcl-2와 Bax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2와 같이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Bcl-2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Bax의 발현 수준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 연구와 유사하게 Guon 등(2015) 연구에서는
SHQA가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NF-κB 및 COX-2 단백질의 과발현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3과 같이 TNF-α, IL-6 mRNA 및 COX-2 단백질 발현 수준은 SHQ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 처리로 감소하였다. 면역과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NF-κB는 세포의 증식, 세포자연사 및 염증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이러한 NF-κB의 과도한 활성화는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유발과 연관되어 있다(Kim 등, 2021).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암세포의 악성종양으로의 진행 과정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발현이 보고되고 있다(Morris 등, 2022). 예를 들어 난소암 세포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등 종양 형성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을 지속적으로 분비하고(Browning 등, 2018) 유방암 세포에서 암세포의 증식과 침입을 자극하는 IL-1, IL-6, IL-11 및 TGF-β 등의 분비가 증가하였다(Esquivel-Velázquez 등, 2015). 따라서 염증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Kartini 등(2017)의 연구에서
SIRT1은 핵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NAD-의존성 탈아세틸화 효소의 활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여러 단백질을 탈아세틸화하여 세포 성장, 노화, 죽음, 대사, DNA 손상 복구 등 세포 기능을 조절한다(Luo 등, 2000). SIRT1은 염증을 유발하는 NF-κB 신호 전달 경로 활성화를 차단한다(Kauppinen 등, 2013).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 처리에 의한 SIRT1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핵 내 SIRT1 발현 수준은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감소하였다.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 SHQA를 처리하면 SIRT1의 핵 내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Fig. 5). 우리의 연구와 유사하게 Zhao 등(2016) 연구에서는 야관문 추출물을 HT-29 인간 대장암 세포에 처리한 결과 항염증 및 항암과 관련된 단백질인 SIRT1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SHQA는 항염증과 항암 관련 기전에 관여하는 SIRT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세포 증식 억제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MAPKs의 3가지 주요 그룹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c-Jun N-terminal kinase/stress-activated kinase(JNK)과 p38 kinase(p38)로 포유동물 세포 내 발견된다(Lee 등, 2015). 각각의 그룹은 다양한 세포 외부의 자극과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 내부의 경로가 변화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단백질들을 가지고 있다(Choi, 2020). 그중 ERK는 세포 생존과 증식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신호전달 분자이다(Fang과 Richardson, 2005). 현재 많은 연구에서 MAPK의 다양한 역할이 연구되고 있고(Timofeev 등, 2024), 그중 ERK의 활성화는 질병에 발병, 진행 및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에 관여한다는 증거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Guo 등, 2020).
현재의 연구에서는 HCT116 세포에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하였을 때 ERK의 활성 형태인 p-ERK 발현수준이 증가하였으나, 식이인자 SHQA 처리로 p-ERK의 발현이 억제되었다(Fig. 6). 또한 세포의 스트레스 반응 및 사멸에 관여하는 JNK는 SHQA(5 μM 이상) 처리로 활성화됨을 확인하였다. Park과 Park(2021)의 연구에서는 전통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본 연구에서는 인간 HCT116 세포를 SHQA(1.25, 2.5, 5, 10 μM)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정상혈당(5.5 mM/L glucose) 및 고혈당(25 mM/L glucose)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자연사의 형태학적인 특징을 관찰하기 위해 DAPI staining 한 결과,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의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자멸 핵과 같은 핵 형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세포자연사 관련 인자인 pro-caspase-3, Bcl-2, Bax의 단백질 발현과 암의 발암 과정 중 촉진 및 진행 단계에서의 주요 요소로 알려지는 염증 매개 인자인 COX-2, NF-κB, SIRT1, p-ERK, p-JNK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SHQA 처리가 용량 의존적으로 pro-caspase-3를 활성화하고 PARP의 절단을 유도하며 세포자연사를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2 수준이 하향 조절되고 세포자연사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Bax 수준이 상향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SHQA 처리로 NF-κB 및 COX-2 단백질의 과발현이 억제되었다. 또한 SHQA 처리로 TNF-α, IL-6 mRNA 단백질 발현 수준은 감소하였으며, 이의 상위기전으로 SHQA 처리가 p-ERK 발현을 저해하고 JNK의 활성화를 증가시켜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대장암 HCT116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키고 세포자연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SHQA 처리에 따라 고농도 글루코오스로 처리한 HCT116 세포에서 세포자연사를 통한 암세포 증식억제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SHQA가 인간 암세포에 대한 화학적 예방 및 가능한 치료제로서 개발에 대한 강력한 잠재력을 가질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