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KF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Online ISSN 2288-5978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1): 1178-1184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17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Analysis of the Vitamin K Content in Vegetables and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Yuna Jeon1 , Keono Kim1 , Samuel Park1 , Youngmin Choi2, Junsoo Lee3 , Hana Lee3, and Jeehye Sung1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
2Food and Nutri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eehye S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 1375, Gyeongdong-ro, Andong-si, Gyeongbuk 36729, Korea, E-mail: jeehye@andong.ac.kr

Received: August 23, 2024; Revised: September 4, 2024; Accepted: September 10,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High-quality food composition data are essential for calculating the nutrient intake of a population based on its consumption statistics. The Korean food composition database lacks reliable analytical data for vitamin K1 (phylloquinone) and vitamin K2 (menaquino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itamin K1 and K2 contents of green vegetables and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that are widely consumed in Korea. The vitamin K content of the samples was determined by solvent extraction and enzyme extraction, followed by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parameters, such as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tation, were verified to ensure reliable data. In the vegetable groups, the vitamin K1 content ranged from 13.00±0.52 μg/100 g (imported lettuce) to 984.14±13.93 μg/100 g (dried radish greens), while vitamin K2 was not detected. The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had both vitamin K1 and K2.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K1 was found in moringa (Moringa oleifera) powder (2,010.98±10.77 μg/100 g), and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K2 was found in spam (5.83±0.08 μg/100 g).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nutrition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vitamin K database.

Keywords: vitamin K, vegetables,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phylloquinone, menaquinone

비타민 K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glutamic acid를 γ-carboxyglutamic acid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보조인자로 작용하여 응고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Beulens 등, 2013; Stafford와 Hebling, 2008). 또한, 골 형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osteocalcin을 활성화시켜 뼈의 무기질화를 촉진하며 골다공증과 같은 뼈 질환을 예방한다. 이와 더불어 prothrombin을 포함한 여러 혈액 응고 단백질을 활성화해 출혈을 방지하며,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Fusaro 등, 2020; Gallieni와 Fusaro, 2014). 신생아는 일반적으로 장내 세균에 의한 비타민 K 합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며, prothrombin 혈증 예방을 위해 출산 전 임산부 또는 신생아에게 비타민 K 섭취가 권장된다(Hand 등, 2022).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K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통해 노화를 지연시키고, 연령 관련 질병 예방과 암 발병 억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Chen 등, 2024). 권장량의 비타민 K 섭취는 폐기종 발생 확률을 39% 감소시키며, 폐기종 진행을 늦추고 비타민 A와 함께 폐 건강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Popa 등, 2021). 또한, 페로프토시스 관련 생체 모델에서 세포 사멸을 예방하는 강력한 항페로프토시스 효과를 보이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항페로프토시스 퀴논으로 알려져 있다(Mishima 등, 2022). 비타민 K는 비타민 K1(phylloquinone)과 비타민 K2(menaquinone) 두 가지 주요 형태로 존재하며, 비타민 K1은 주로 케일, 시금치 같은 녹색 잎채소에서 공급되고, 비타민 K2는 장내 박테리아에 의해 합성되며 유제품, 달걀노른자, 고기와 같은 동물성 식품에 존재한다(Beulens 등, 2013; Greer, 2010; Klapkova 등, 2018).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은 형광 검출기가 장착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되며, 이 과정에서 포스트 컬럼에 아연 분말(zinc powder)을 충진하여 퀴논을 형광 하이드로퀴논으로 환원시켜 유도체화 반응을 통해 분석한다(MFDS, 2024; Kishikawa와 Kuroda, 2014; Klapkova 등, 2018). 이 방법은 형광 신호를 증대시켜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며, 보다 정확한 정량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Sakano 등, 1986). HPLC-UV 방법은 미량의 퀴논을 결정하는 데 충분하지 않으며, 공존하는 UV 흡수 화합물이 퀴논의 검출을 방해할 수 있어 생물학적 및 환경적 샘플에서 퀴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농축 및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Kishikawa과 Kuroda, 2014). 국내에서는 식품공전에 따라 채소류, 견과류, 두류, 외식 및 가공식품 등 다양한 식품군에서 비타민 K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있다(Kim 등, 2015; Kim 등, 2022; Lee 등, 2018). 따라서 본 연구는 미량의 퀴논을 결정하는 데 충분한 감도와 선택성을 갖춘 형광 검출법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녹색 채소류는 비타민 K1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알려져 있다(Mladěnka 등, 2022). 특히, 십자화과 채소, 시금치, 치커리 등을 활용한 나물류는 섬유질과 다양한 식물 화학물질이 풍부하여 건강에 많은 이점을 제공하며, 한국의 전통 식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국내에서 나물류는 높은 채소 소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im 등, 2020). 또한, 국내에는 만두, 스팸, 소스류, 빵류 등과 같이 다양한 가공 농식품이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일상 식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21년 가장 많이 구매된 가공식품은 만두와 피자(94.8%), 즉석식품(90%), 즉석조리육(86.9%) 순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가구가 정기적으로 가공식품을 구매한다고 보고되었다(Neo, 2022). 최근 몇 년간 이러한 가공 농식품의 판매는 1인 가구의 증가와 간편한 식사 준비에 대한 수요 증가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Li, 2021).

국내에서 나물과 같은 채소류와 가공 농식품의 소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K 함량 분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점차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비타민 K에 대해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에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채소류 및 가공 농식품의 비타민 K1과 K2 함량을 분석하고, 분석 방법을 검증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서 사용한 18종의 채소류(물미나리, 치커리, 봄동 등)와 농산가공식품(스팸, 양파 맛 시즈닝, 프로틴 음료 등) 시료는 농촌진흥청으로부터 2023년에 제공받았다. 시료는 냉동 상태로 제공받은 직후 -20°C에 보관하였으며, 분석 전에 실온에서 해동한 후 사용하였다. 표준물질인 phylloquinone은 Wako에서, menaquinone-4는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Magnesium sulfate anhydrous, potassium hydroxide, potassium carbonate, zinc chloride는 Samchun에서 구입하였으며, butylated hydroxytoluene(BHT), lipase from Candida rugosa, sodium acetate, acetic acid, 아연 분말은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dichloromethane, 메탄올, hexane, 에탄올, water는 HPLC 등급의 Honeywell 제품을 사용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위해 인증표준물질(standard reference material, SRM)인 SRM 3235(soy milk,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와 내부 분석품질관리를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제공받은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 및 분유를 사용하였다.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은 용매 추출법에, 분유는 효소 추출법의 분석품질관리차트(quality control chart, QC chart) 작성에 사용되었다.

용매 추출법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KFDA, 2013)에 따라 수행되었다. 50 mL 비커에 지방 함량이 5% 이하인 시료 1 g을 측정하고 dichloromethane과 메탄올을 혼합한 용매(dichloromethane:메탄올=2:1, v/v)를 30 mL 첨가하였다. 만약 시료가 오일류이거나 오일 함량이 높은 경우, 지방 함량이 높더라도 동일한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Homogenizer(Daihan Scientific Co., Ltd.)를 이용하여 2분간 균질화한 후 시료를 filter paper에 통과시켜 50 mL volume 플라스크에 담고 메탄올을 이용하여 50 mL로 정용한 후 혼합하였다. 이때 magnesium sulfate anhydrous를 filter paper에 담아 여액이 이를 통과하여 탈수되도록 하였다. 정용한 추출액 중 2 mL를 test tube에 취하여 질소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hexane 2 mL를 가하여 vortex 하여 재용해하였다. 15 mL conical tube에 혼합용매(메탄올:wate=9:1, v/v) 5 mL와 추출액 2 mL를 옮겨 담고 혼합용매 3 mL로 test tube를 세척한 후 첨가하였다. Vortex 하여 715.5×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 1 mL를 취하여 질소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test tube에 메탄올 1 mL를 가하여 재용해한 후, 0.45 μm PTFE membrane filter(Whatman)로 여과하여 vial에 담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효소 추출법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KFDA, 2013)에 따라 수행되었다. 제작 용기에 지방 함량이 5% 이상인 시료 중 고체시료는 1.0 g, 액체시료는 10 g을 제작 용기에 정밀하게 취한 후, 40°C 이하의 HPLC water 15 mL를 첨가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이때 액체 시료의 경우에는 HPLC water 5 mL를 첨가한다. 1 g의 lipase와 인산완충용액 5 mL를 첨가한 후, 마개를 막고 고르게 균질화될 수 있도록 30~60초간 진탕하였다. 37°C에서 2시간 동안 160 rpm에 맞춰 분해하였으며, 분해 시 20분 간격으로 10~15초간 진탕하였다. 분해 후 수욕상에 담가 냉각하고 1 g potassium carbonate 및 10 mL 알코올 혼합용액(에탄올:메탄올=95:5, v/v)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분해가 완료된 시험관에 30 mL hexane을 홀 피펫으로 첨가하여 마개를 한 후, 10분간 격렬히 진탕하고 냉암소에 보관하여 층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층이 분리된 후 50 mL conical tube에 상층액을 취하여 약 178.9×g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hexane 상층액 5 mL를 홀 피펫을 이용하여 정확히 취한 뒤 test tube에 옮겨 질소로 농축하였다. 이후 메탄올 500 μL를 이용해 재용해한 다음 0.45 μm PTFE membrane filter(Whatman)로 여과하여 vial에 담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기기 및 분석조건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KFDA, 2013)에 따라 형광검출기가 장착된 HPLC(Nanospace SI 2, Osaka Soda Co., Ltd.)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컬럼은 아연 분말을 충진한 포스트 컬럼과 Eclipse XDB-C18(150 mm×4.6 mm, 5 μm, Agilent Technologies)을 연결하여 35°C의 컬럼 온도를 유지하였다. 형광검출기의 파장은 Exλ(excitation wavelength) 243 nm, Emλ(emission wavelength) 430 nm를 이용하였으며 유속은 1.0 mL/min으로, 시료 1회 주입량은 50 μL였다. 이동상은 1 L를 기준으로 혼합용매(메탄올:dichloromethane=9:1, v/v) 1 L에 zinc chloride 1.37 g, sodium acetate 0.41 g, acetic acid 300 μL를 첨가하여 혼합한 뒤, 0.45 μm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데이터 생산 및 분석품질관리

비타민 K 표준품(phylloquinone, menaquinone)은 0.05 g의 BHT를 hexane 100 mL에 용해하여 1 mg/mL 농도로 제조한 표준 원액을 사용하였다. 이 표준 원액을 hexane으로 희석하여 표준용액을 만든 후 -20°C에 보관하며 시험에 사용하였다. 분석 시 표준용액 2 mL를 질소로 농축한 뒤 메탄올 2 mL에 재용해하여 단계별로 희석하고, PTFE membrane filter(Whatman)로 여과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비타민 K1과 K2 표준용액을 메탄올로 희석하여 0.007~0.87 μg/mL 범위의 8가지 농도를 조제한 후, 각 농도의 크로마토그램에서 면적을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직선성(linearity)을 평가하였다. 분석시료는 모두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아래의 계산법을 통해 시료에 함유된 비타민 K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K (μg/100g)= K (μg/mL)× (mL) (g)× ×100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를 측정하였다. LOD와 LOQ는 반응의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 LOD는 3.3×σ/s(σ: 반응의 표준편차, s: 표준검량선의 기울기), LOQ는 10×σ/s(σ: 반응의 표준편차, s: 표준검량선의 기울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 방법의 민감도와 정확성을 평가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품질관리를 위해 내부 분석품질관리(in-house quality control material) 시료인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과 분유를 매회 추출 후 분석하여 분석품질관리차트를 작성하였다. 분석법의 반복성(repeatability)은 시판 중인 조제분유를 사용해 하루에 5회 반복 실험을 진행하였고, 재현성(reproducibility)은 동일한 실험을 5일간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SRM 3235(soy milk)를 분석하여 NIST에서 제공된 참값(reference value)과 본 실험의 측정값(analysis value)을 비교하고, 상대표준편차(coefficient of variation)를 계산하여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분석 데이터 생산 및 분석품질관리

비타민 K 표준용액과 분석 시료를 HPLC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은 Fig. 1과 같다. 비타민 K 표준용액과 모링가 분말에서 검출된 비타민 K1, 그리고 스팸 시료에서 검출된 비타민 K2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retention time에서 peak가 검출되었으며,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단일 peak가 분리되었다. 비타민 K 분석법의 정밀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는 조제분유를 이용해 반복성과 재현성을 평가한 결과,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각각 10.07%와 15.68%로 나타났다(Table 1). 비타민 K 함량 분석법의 검량선과 상관계수를 이용한 직선성 검증 결과 및 LOD, LOQ 값은 Table 1에 제시되어 있다. 검량선 작성 결과, 검량선 식은 y=60,000,000x+9,138.6으로 도출되었고, 상관계수(R2)는 0.9992로 높은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Kim 등(2021)의 연구에서는 phylloquinone의 LOD와 LOQ가 각각 0.76 μg/100 g과 2.3 μg/100 g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OD와 LOQ가 각각 0.095 μg/100 g과 1.258 μg/100 g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분석법이 신뢰할 수 있는 검출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K 분석법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SRM 3235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NIST에서 제공하는 SRM 3235의 참값은 3.70±0.004 μg/100 g이며,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값은 3.68±0.040 μg/100 g으로 99.45%의 우수한 회수율을 보였다.

Table 1 . Precision and detection limits of vitamin K analysis method

Parameter

Precision

Detection limit6)



Repeatability1)

Reproducibility2)

LOD7)

LOQ8)

Mean3)

SD4)

CV (%)5)

941.13

94.74

10.07

966.75

151.58

15.68

0.095

1.258


Linearity

y=60,000,000x+9,138.6 (R2=0.9992)

1)Repeatability was evaluated using five independent analyses of replicate sample performed on a given day.

2)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using five independent analyses of replicate sample performed on a different days.

3)n=5, μg/100 g sample on raw weight basis.

4)Standard deviation.

5)Coefficient of variation.

6)Concentration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7)LOD: limit of detection.

8)LOQ: limit of quantification.



Table 2 . Analysis of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Sample

Content2)

Recovery (%)


Reference value

Analysis value

SRM (3235)1)

3.70±0.004

3.68±0.0403)

99.45

1)Standard reference material (3235, NIST).

2)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3)Data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values (n=3).



Fig. 1. HPLC chromatogram of vitamin K (Exλ=243 nm, Emλ=430 nm). (A) Vitamin K (K1, phylloquinone; K2, menaquinone) standards, (B) vitamin K1 chromatogram in moringa (Moringa oleifera) powder, and (C) vitamin K2 chromatogram in spam.

비타민 K의 분석품질관리는 QC chart를 작성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2에 제시하였다. 내부 분석품질관리 시료로 용매 추출법을 위한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과 효소 추출법을 위한 분유를 사용하여 비타민 K를 10회 반복 분석한 값을 기준으로 관리 상한선(upper control limit, UCL)과 하한선(lower control limit, LCL)을 설정하였다. 용매 추출법을 사용한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의 QC chart 평균값은 393.098 μg/100 g, UCL은 471.718 μg/100 g, LCL은 314.478 μg/100 g이었으며, 효소추출법을 사용한 분유의 QC chart 평균값은 66.008 μg/100 g, UCL은 79.210 μg/100 g, LCL은 52.807 μg/100 g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료 분석 시마다 내부 분석품질관리 시료를 함께 분석하였으며, 비타민 K 분석값이 모두 UCL과 LCL을 초과하지 않아 본 연구에 사용한 비타민 K 분석법은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2. The quality control charts for vitamin K1 (phylloquinone) in the mixture of broccoli and shiitake mushroom (A) and infant formula (B). UPL: upper control line, LCL: lower control line. Charts repeat 10 runs.

국내에서 소비되는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

녹색 잎채소는 비타민 K1 함량이 높아 섭취 시 총 식이 비타민 K1 섭취량의 40~5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국의 식이 섭취량 데이터를 보면 많은 성인, 특히 젊은 성인들이 비타민 K의 권장 섭취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ooth와 Suttie, 1998). 본 연구에서 분석한 채소류는 대부분 나물류로, 나물은 한국 전통 식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높은 채소 소비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im 등, 2020). 국내 나물류에 대한 비타민 K1 함량 연구는 채소류나 과일류에 비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나물류를 포함한 채소류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18종의 채소류를 대상으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해 비타민 K1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분석된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은 13.00~984.14 μg/100 g 범위로 나타났으며, 말린 무시래기가 984.14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비타민 K1 함량을 보였다. 반면, 수입산 양상추는 13.00 μ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국산 양상추는 18.01 μg/100 g으로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갓의 경우 125.43 μg/100 g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Lee 등(2016)의 분석 데이터인 114.18 μg/100 g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Kim 등(2021)의 연구에서는 더덕에서 비타민 K1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더덕의 어린싹인 더덕순에서는 178.12 μg/100 g이 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치커리, 달래, 봄동의 비타민 K1 함량은 각각 105.82, 54.29, 93.01 μg/100 g으로, Lee 등(2015)의 연구에서 보고된 249.0, 94.2, 186.7 μg/100 g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시료의 생육 환경, 품종, 전처리 과정의 차이에 따른 함량 변화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룬 나물 및 채소류 외에도 국내에서 소비되는 다양한 나물 품종에 대한 비타민 K1 함량을 추가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Table 3 . Vitamin K content in vegetables commonly consumed in Korea

Sample

Vitamin K11)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Blume) DC.)

Chicory (Cichorium intybus L.)

Wild rocambole (Allium monanthum Maxim.)

Shepherd’s purse (Capsella bursa-pastoris (L.) L.W. Medicus)

Bomdong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Hanelt)

Bean sprout (Glycine max (L.) Merr.)

Chamjugnamu sprout (Cedrela sinensis A. Juss.)

Gondalbi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Gomchw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Dried goldenrod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Balloon flower sprout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Deodeok sprout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Benth. & Hook.f. ex Trautv.)

Welsh onion (Allium ascalonicum L.)

Napa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Hanelt)

Domestic lettuce (Lactuca sativa L.)

Imported lettuce (L. sativa L.)

Dried radish greens (Raphanus sativus L.)

Mustard greens (Brassica juncea (L.) Czern)

47.36±1.042)

105.82±0.28

54.29±0.45

164.72±1.84

93.01±1.43

22.07±1.64

94.34±7.58

51.25±1.39

27.96±0.66

837.32±5.43

261.64±1.47

178.12±0.98

86.83±1.17

16.79±0.36

18.01±0.14

13.00±0.52

984.14±13.93

125.43±1.14

1)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2)Data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values (n=3).



농산물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

농산물 가공식품은 파우더류, 음료류, 소스류 등을 선별하여 비타민 K를 분석하였다(Table 4). 비타민 K1 함량은 모링가 분말이 2,010.98 μ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양파 분말이 3.96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Lee 등(2016)의 연구에서는 모링가의 비타민 K1 함량이 279.02 μg/100 g으로 보고되어, 본 연구에서 분석한 모링가 분말의 함량이 약 7배 더 높았다. 또한, 미국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의 보고자료(USDA, 2019)에서 제공한 양파 분말의 비타민 K1 함량인 4.1 μg/100 g과 본 연구 결과는 매우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양파 맛 시즈닝은 10.29 μg/100 g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양파 분말과 양파 맛 시즈닝의 제조 과정에서 첨가되는 성분과 가공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소스류의 경우 팟타이 소스에서는 비타민 K1 함량이 5.47 μg/100 g, 스리라차 소스에서는 8.41 μg/100 g이 검출되었다. 마라 소스는 제조사가 다른 두 제품에서 각각 15.70과 11.55 μg/100 g의 비타민 K1이 검출되어 소스류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비타민 K2는 스팸이 5.83 μ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치즈 맛 시즈닝이 1.74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스팸은 주로 고기를 원료로 한 가공식품으로 비타민 K1이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Kim 등(2022)의 연구에서 모든 육류 시료에서 비타민 K1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세 종류의 컵 커피에서 비타민 K2 함량은 3.54~5.28 μg/100 g으로 나타났으며,

Table 4 . Vitamin K contents of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Classification

Sample

Vitamin K11)

Vitamin K22)

Powder

Moringa powder

Mulberry leaf powder

Onion powder

Onion-flavored seasoning

Cheese-flavored seasoning

2,010.98±10.77

1,968.48±14.07

3.96±0.11

10.29±0.15

8.66±0.01

ND3)

ND

ND

ND

1.74±0.01


Drink

Protein drink

Mocha cup coffee

Low-sugar cup coffee latte

Cup coffee latte

26.18±0.36

ND

ND

ND

3.17±0.03

5.28±0.03

4.21±0.02

3.54±0.03


Sauce

Mala sauce 1

Mala sauce 2

Doubanjiang

Sriracha sauce

Pad Thai sauce

Oriental dressing

15.70±0.03

11.55±0.01

10.22±0.18

8.41±0.06

5.47±0.02

4.60±0.04

ND

ND

ND

ND

ND

ND


Bread

Walnut cookies

4.37±0.01

2.74±0.00


Processed meat product

Meat dumplings

Spam

8.23±0.07

ND

ND

5.83±0.08

1)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2)Concentration of vitamin K2 (mena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3)ND: not detected.



시료 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소스류에서는 비타민 K1만 검출된 반면, 유제품이 함유된 식품에서는 비타민 K2가 검출되었다. 이는 식물성 기름이 인간에게 중요한 비타민 K1의 식이 공급원으로 작용하며(Mladěnka 등, 2022), 비타민 K2는 주로 유제품 및 동물성 제품에서 발견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Klapkova 등, 2018).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프로틴 음료, 치즈 맛 시즈닝, 호두과자에서 비타민 K1과 K2가 모두 검출된 것은 이들 제품에 식물성과 동물성 성분이 함께 포함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Kim 등(2022)의 연구에 따르면 채소 만두의 비타민 K1 함량은 12.40 μg/100 g으로 보고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고기만두의 비타민 K1 함량은 8.23 μg/100 g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냈다. 채소 만두에는 비타민 K1이 풍부한 채소가 포함되어 있어 고기만두보다 비타민 K1 함량이 높을 수 있다. 반면, 고기만두는 육류를 포함하고 있어 비타민 K1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특히 고기만두의 주재료인 국내산 돼지고기 앞다릿살의 비타민 K2 함량은 11.27 μg/100 g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Kim 등, 2022), 본 연구에서는 다른 부재료들과의 조합으로 인해 비타민 K2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식품의 성분에 따라 비타민 K1과 K2의 함량이 다양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식품의 영양성분을 고려한 건강한 식단 구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채소류와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K 분석법을 정확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내부 분석품질관리를 통해 비타민 K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은 13.00~984.14 μg/100 g 범위였으며, 그중 말린 무시래기가 984.14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수입산 양상추가 13.00 μ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농산물 가공식품에서는 비타민 K1과 K2의 함량이 다양하게 검출되었다. 비타민 K1의 경우 모링가 분말이 2,010.98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양파 분말이 3.96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비타민 K2는 스팸에서 5.83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으며, 치즈 맛 시즈닝이 1.74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다양한 나물류 및 농산물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을 제시함으로써 국가표준식품성분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성과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연구개발과제번호: RS-2023-00220743)에 의하여 지원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1. Beulens JWJ, Booth SL, van den Heuvel EGHM, et al. The role of menaquinones (vitamin K2) in human health. Br J Nutr. 2013. 110:1357-1368.
    Pubmed CrossRef
  2. Booth SL, Suttie JW. Dietary intake and adequacy of vitamin K. J Nutr. 1998. 128:785-788.
    Pubmed CrossRef
  3. Chen A, Li J, Shen N, et al. Vitamin K: New insights related to senescence and cancer metastasis. Biochim Biophys Acta-. Rev Cancer. 2024. 1879:189057. https://doi.org/10.1016/j.bbcan.2023.189057.
    Pubmed CrossRef
  4. Fusaro M, Gallieni M, Porta C, et al. Vitamin K effects in human health: new insights beyond bone and cardiovascular health. J Nephrol. 2020. 33:239-249.
    Pubmed CrossRef
  5. Gallieni M, Fusaro M. Vitamin K and cardiovascular calcification in CKD: is patient supplementation on the horizon? Kidney Int. 2014. 86:232-234.
    Pubmed CrossRef
  6. Greer FR. Vitamin K the basics-What's new? Early Hum Dev. 2010. 86:43-47.
    Pubmed CrossRef
  7. Hand I, Noble L, Abrams SA, et al. Vitamin K and the newborn infant. Pediatrics. 2022. 149:e2021056036. https://doi.org/10.1542/peds.2021-056036.
    Pubmed CrossRef
  8. Kim D, Lee S, Kang Y, et al. Comparison of vitamin K contents in different mea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2. 54:109-113.
  9. Kim H, Choi Y, Sung J, et al.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phylloquinone content in legumes and nuts. Food Sci Biotechnol. 2015. 24:1603-1607.
    CrossRef
  10. Kim HJ, Lee S, Park JJ, et al. Analysis of vitamin E and K contents in sea algae and vegetable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for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Datab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1. 53:19-28.
  11. Kim SH, Kwon DY, Shin D. Namul, the driving force behind health and high vegetable consumption in Korea. J Ethn Foods. 2020. 7:15. https://doi.org/10.1186/s42779-019-0026-2.
    CrossRef
  12. Kim Y, Kim K, Kim KR, et al. Determination of vitamin K in korean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2. 51:56-63.
    CrossRef
  13. Kishikawa N, Kuroda N. Analytical techniques for the determination of biologically active quinones in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amples. J Pharm Biomed Anal. 2014. 87:261-270.
    Pubmed CrossRef
  14. Klapkova E, Cepova J, Dunovska K, et al. Determination of vitamins K1, MK-4, and MK-7 in human serum of postmenopausal women by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ion. J Clin Lab Anal. 2018. 32:e22381. https://doi.org/10.1002/jcla.22381.
    Pubmed KoreaMed CrossRef
  15. Lee AR, Kim JH, Park JH, et al. A study on contents of vitamin K1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Nutr. 2016. 29:301-306.
    CrossRef
  16. Lee S, Choi Y, Jeong HS, et al.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content of vitamins and true retention in selected vegetables. Food Sci Biotechnol. 2018. 27:333-342.
    CrossRef
  17. Lee S, Sung J, Choi Y, et al. Analysis of vitamin K1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1194-1199.
    CrossRef
  18. Li 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South Korea food market. ChemLinked. 2021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food.chemlinked.com/news/food-news/prospering-in-south-korea-food-market-chemlinked-speaks-at-fi-global-virtual-conference.
  19. MFDS. Food Code: Vitamin K1 testing method. Chapter 2.2.2.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4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various.foodsafetykorea.go.kr/fsd/#/ext/Document/FC?searchNm=%EB%B9%84%ED%83%80%EB%AF%BCk&itemCode=FC0A140004005A148.
  20. Mishima E, Ito J, Wu Z, et al. A non-canonical vitamin K cycle is a potent ferroptosis suppressor. Nature. 2022. 608:778-783.
    Pubmed KoreaMed CrossRef
  21. Mladěnka P, Macáková K, Krčmová LK, et al. Vitamin K - sources, physiological role, kinetics, deficiency, detection, therapeutic use, and toxicity. Nutr Rev. 2022. 80:677-698.
    Pubmed KoreaMed CrossRef
  22. Neo P. Era of processed foods: South Korea government survey reveals rise in consumer purchases. FoodNavigator Asia. 2022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www.foodnavigator-asia.com/Article/2022/03/09/south-korea-government-survey-reveals-rise-in-consumer-processed-food-purchases#.
  23. Popa DS, Bigman G, Rusu ME. The role of vitamin K in humans: Implication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eases. Antioxidants. 2021. 10:566. https://doi.org/10.3390/antiox10040566.
    Pubmed KoreaMed CrossRef
  24. Sakano T, Nagaoka T, Morimoto A, et al. Measurement of K vitamins in human and animal fec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ometric detection. Chem Pharm Bull. 1986. 34:4322-4326.
    Pubmed CrossRef
  25. Stafford DW, Hebling CM. Recent Advances in Thrombosis and Hemostasis. In:. Springer. 2008. p 27-44.
    CrossRef
  26. USDA. Food data centra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9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fdc.nal.usda.gov.

Article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1): 1178-1184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17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국내에서 소비되는 채소류 및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 분석

전유나1․김건오1․박사무엘1․최용민2․이준수3․이하나3․성지혜1

1국립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2국립농업과학원 식생활영양과
3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Received: August 23, 2024; Revised: September 4, 2024; Accepted: September 10, 2024

Analysis of the Vitamin K Content in Vegetables and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Yuna Jeon1 , Keono Kim1 , Samuel Park1 , Youngmin Choi2, Junsoo Lee3 , Hana Lee3, and Jeehye Sung1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
2Food and Nutri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eehye S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 1375, Gyeongdong-ro, Andong-si, Gyeongbuk 36729, Korea, E-mail: jeehye@andong.ac.kr

Received: August 23, 2024; Revised: September 4, 2024; Accepted: September 10,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High-quality food composition data are essential for calculating the nutrient intake of a population based on its consumption statistics. The Korean food composition database lacks reliable analytical data for vitamin K1 (phylloquinone) and vitamin K2 (menaquino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itamin K1 and K2 contents of green vegetables and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that are widely consumed in Korea. The vitamin K content of the samples was determined by solvent extraction and enzyme extraction, followed by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parameters, such as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tation, were verified to ensure reliable data. In the vegetable groups, the vitamin K1 content ranged from 13.00±0.52 μg/100 g (imported lettuce) to 984.14±13.93 μg/100 g (dried radish greens), while vitamin K2 was not detected. The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had both vitamin K1 and K2.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K1 was found in moringa (Moringa oleifera) powder (2,010.98±10.77 μg/100 g), and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K2 was found in spam (5.83±0.08 μg/100 g).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nutrition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vitamin K database.

Keywords: vitamin K, vegetables,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phylloquinone, menaquinone

서 론

비타민 K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glutamic acid를 γ-carboxyglutamic acid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보조인자로 작용하여 응고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Beulens 등, 2013; Stafford와 Hebling, 2008). 또한, 골 형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osteocalcin을 활성화시켜 뼈의 무기질화를 촉진하며 골다공증과 같은 뼈 질환을 예방한다. 이와 더불어 prothrombin을 포함한 여러 혈액 응고 단백질을 활성화해 출혈을 방지하며,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Fusaro 등, 2020; Gallieni와 Fusaro, 2014). 신생아는 일반적으로 장내 세균에 의한 비타민 K 합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며, prothrombin 혈증 예방을 위해 출산 전 임산부 또는 신생아에게 비타민 K 섭취가 권장된다(Hand 등, 2022).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K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통해 노화를 지연시키고, 연령 관련 질병 예방과 암 발병 억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Chen 등, 2024). 권장량의 비타민 K 섭취는 폐기종 발생 확률을 39% 감소시키며, 폐기종 진행을 늦추고 비타민 A와 함께 폐 건강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Popa 등, 2021). 또한, 페로프토시스 관련 생체 모델에서 세포 사멸을 예방하는 강력한 항페로프토시스 효과를 보이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항페로프토시스 퀴논으로 알려져 있다(Mishima 등, 2022). 비타민 K는 비타민 K1(phylloquinone)과 비타민 K2(menaquinone) 두 가지 주요 형태로 존재하며, 비타민 K1은 주로 케일, 시금치 같은 녹색 잎채소에서 공급되고, 비타민 K2는 장내 박테리아에 의해 합성되며 유제품, 달걀노른자, 고기와 같은 동물성 식품에 존재한다(Beulens 등, 2013; Greer, 2010; Klapkova 등, 2018).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은 형광 검출기가 장착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되며, 이 과정에서 포스트 컬럼에 아연 분말(zinc powder)을 충진하여 퀴논을 형광 하이드로퀴논으로 환원시켜 유도체화 반응을 통해 분석한다(MFDS, 2024; Kishikawa와 Kuroda, 2014; Klapkova 등, 2018). 이 방법은 형광 신호를 증대시켜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며, 보다 정확한 정량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Sakano 등, 1986). HPLC-UV 방법은 미량의 퀴논을 결정하는 데 충분하지 않으며, 공존하는 UV 흡수 화합물이 퀴논의 검출을 방해할 수 있어 생물학적 및 환경적 샘플에서 퀴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농축 및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Kishikawa과 Kuroda, 2014). 국내에서는 식품공전에 따라 채소류, 견과류, 두류, 외식 및 가공식품 등 다양한 식품군에서 비타민 K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있다(Kim 등, 2015; Kim 등, 2022; Lee 등, 2018). 따라서 본 연구는 미량의 퀴논을 결정하는 데 충분한 감도와 선택성을 갖춘 형광 검출법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녹색 채소류는 비타민 K1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알려져 있다(Mladěnka 등, 2022). 특히, 십자화과 채소, 시금치, 치커리 등을 활용한 나물류는 섬유질과 다양한 식물 화학물질이 풍부하여 건강에 많은 이점을 제공하며, 한국의 전통 식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국내에서 나물류는 높은 채소 소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im 등, 2020). 또한, 국내에는 만두, 스팸, 소스류, 빵류 등과 같이 다양한 가공 농식품이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일상 식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21년 가장 많이 구매된 가공식품은 만두와 피자(94.8%), 즉석식품(90%), 즉석조리육(86.9%) 순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가구가 정기적으로 가공식품을 구매한다고 보고되었다(Neo, 2022). 최근 몇 년간 이러한 가공 농식품의 판매는 1인 가구의 증가와 간편한 식사 준비에 대한 수요 증가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Li, 2021).

국내에서 나물과 같은 채소류와 가공 농식품의 소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K 함량 분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점차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비타민 K에 대해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에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채소류 및 가공 농식품의 비타민 K1과 K2 함량을 분석하고, 분석 방법을 검증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서 사용한 18종의 채소류(물미나리, 치커리, 봄동 등)와 농산가공식품(스팸, 양파 맛 시즈닝, 프로틴 음료 등) 시료는 농촌진흥청으로부터 2023년에 제공받았다. 시료는 냉동 상태로 제공받은 직후 -20°C에 보관하였으며, 분석 전에 실온에서 해동한 후 사용하였다. 표준물질인 phylloquinone은 Wako에서, menaquinone-4는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Magnesium sulfate anhydrous, potassium hydroxide, potassium carbonate, zinc chloride는 Samchun에서 구입하였으며, butylated hydroxytoluene(BHT), lipase from Candida rugosa, sodium acetate, acetic acid, 아연 분말은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dichloromethane, 메탄올, hexane, 에탄올, water는 HPLC 등급의 Honeywell 제품을 사용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위해 인증표준물질(standard reference material, SRM)인 SRM 3235(soy milk,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와 내부 분석품질관리를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제공받은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 및 분유를 사용하였다.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은 용매 추출법에, 분유는 효소 추출법의 분석품질관리차트(quality control chart, QC chart) 작성에 사용되었다.

용매 추출법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KFDA, 2013)에 따라 수행되었다. 50 mL 비커에 지방 함량이 5% 이하인 시료 1 g을 측정하고 dichloromethane과 메탄올을 혼합한 용매(dichloromethane:메탄올=2:1, v/v)를 30 mL 첨가하였다. 만약 시료가 오일류이거나 오일 함량이 높은 경우, 지방 함량이 높더라도 동일한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Homogenizer(Daihan Scientific Co., Ltd.)를 이용하여 2분간 균질화한 후 시료를 filter paper에 통과시켜 50 mL volume 플라스크에 담고 메탄올을 이용하여 50 mL로 정용한 후 혼합하였다. 이때 magnesium sulfate anhydrous를 filter paper에 담아 여액이 이를 통과하여 탈수되도록 하였다. 정용한 추출액 중 2 mL를 test tube에 취하여 질소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hexane 2 mL를 가하여 vortex 하여 재용해하였다. 15 mL conical tube에 혼합용매(메탄올:wate=9:1, v/v) 5 mL와 추출액 2 mL를 옮겨 담고 혼합용매 3 mL로 test tube를 세척한 후 첨가하였다. Vortex 하여 715.5×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 1 mL를 취하여 질소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test tube에 메탄올 1 mL를 가하여 재용해한 후, 0.45 μm PTFE membrane filter(Whatman)로 여과하여 vial에 담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효소 추출법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KFDA, 2013)에 따라 수행되었다. 제작 용기에 지방 함량이 5% 이상인 시료 중 고체시료는 1.0 g, 액체시료는 10 g을 제작 용기에 정밀하게 취한 후, 40°C 이하의 HPLC water 15 mL를 첨가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이때 액체 시료의 경우에는 HPLC water 5 mL를 첨가한다. 1 g의 lipase와 인산완충용액 5 mL를 첨가한 후, 마개를 막고 고르게 균질화될 수 있도록 30~60초간 진탕하였다. 37°C에서 2시간 동안 160 rpm에 맞춰 분해하였으며, 분해 시 20분 간격으로 10~15초간 진탕하였다. 분해 후 수욕상에 담가 냉각하고 1 g potassium carbonate 및 10 mL 알코올 혼합용액(에탄올:메탄올=95:5, v/v)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분해가 완료된 시험관에 30 mL hexane을 홀 피펫으로 첨가하여 마개를 한 후, 10분간 격렬히 진탕하고 냉암소에 보관하여 층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층이 분리된 후 50 mL conical tube에 상층액을 취하여 약 178.9×g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hexane 상층액 5 mL를 홀 피펫을 이용하여 정확히 취한 뒤 test tube에 옮겨 질소로 농축하였다. 이후 메탄올 500 μL를 이용해 재용해한 다음 0.45 μm PTFE membrane filter(Whatman)로 여과하여 vial에 담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기기 및 분석조건

식품공전의 비타민 K 분석법(KFDA, 2013)에 따라 형광검출기가 장착된 HPLC(Nanospace SI 2, Osaka Soda Co., Ltd.)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컬럼은 아연 분말을 충진한 포스트 컬럼과 Eclipse XDB-C18(150 mm×4.6 mm, 5 μm, Agilent Technologies)을 연결하여 35°C의 컬럼 온도를 유지하였다. 형광검출기의 파장은 Exλ(excitation wavelength) 243 nm, Emλ(emission wavelength) 430 nm를 이용하였으며 유속은 1.0 mL/min으로, 시료 1회 주입량은 50 μL였다. 이동상은 1 L를 기준으로 혼합용매(메탄올:dichloromethane=9:1, v/v) 1 L에 zinc chloride 1.37 g, sodium acetate 0.41 g, acetic acid 300 μL를 첨가하여 혼합한 뒤, 0.45 μm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데이터 생산 및 분석품질관리

비타민 K 표준품(phylloquinone, menaquinone)은 0.05 g의 BHT를 hexane 100 mL에 용해하여 1 mg/mL 농도로 제조한 표준 원액을 사용하였다. 이 표준 원액을 hexane으로 희석하여 표준용액을 만든 후 -20°C에 보관하며 시험에 사용하였다. 분석 시 표준용액 2 mL를 질소로 농축한 뒤 메탄올 2 mL에 재용해하여 단계별로 희석하고, PTFE membrane filter(Whatman)로 여과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비타민 K1과 K2 표준용액을 메탄올로 희석하여 0.007~0.87 μg/mL 범위의 8가지 농도를 조제한 후, 각 농도의 크로마토그램에서 면적을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직선성(linearity)을 평가하였다. 분석시료는 모두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아래의 계산법을 통해 시료에 함유된 비타민 K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K (μg/100g)= K (μg/mL)× (mL) (g)× ×100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를 측정하였다. LOD와 LOQ는 반응의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 LOD는 3.3×σ/s(σ: 반응의 표준편차, s: 표준검량선의 기울기), LOQ는 10×σ/s(σ: 반응의 표준편차, s: 표준검량선의 기울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 방법의 민감도와 정확성을 평가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품질관리를 위해 내부 분석품질관리(in-house quality control material) 시료인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과 분유를 매회 추출 후 분석하여 분석품질관리차트를 작성하였다. 분석법의 반복성(repeatability)은 시판 중인 조제분유를 사용해 하루에 5회 반복 실험을 진행하였고, 재현성(reproducibility)은 동일한 실험을 5일간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SRM 3235(soy milk)를 분석하여 NIST에서 제공된 참값(reference value)과 본 실험의 측정값(analysis value)을 비교하고, 상대표준편차(coefficient of variation)를 계산하여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분석 데이터 생산 및 분석품질관리

비타민 K 표준용액과 분석 시료를 HPLC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은 Fig. 1과 같다. 비타민 K 표준용액과 모링가 분말에서 검출된 비타민 K1, 그리고 스팸 시료에서 검출된 비타민 K2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retention time에서 peak가 검출되었으며,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단일 peak가 분리되었다. 비타민 K 분석법의 정밀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는 조제분유를 이용해 반복성과 재현성을 평가한 결과,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각각 10.07%와 15.68%로 나타났다(Table 1). 비타민 K 함량 분석법의 검량선과 상관계수를 이용한 직선성 검증 결과 및 LOD, LOQ 값은 Table 1에 제시되어 있다. 검량선 작성 결과, 검량선 식은 y=60,000,000x+9,138.6으로 도출되었고, 상관계수(R2)는 0.9992로 높은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Kim 등(2021)의 연구에서는 phylloquinone의 LOD와 LOQ가 각각 0.76 μg/100 g과 2.3 μg/100 g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OD와 LOQ가 각각 0.095 μg/100 g과 1.258 μg/100 g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분석법이 신뢰할 수 있는 검출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K 분석법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SRM 3235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NIST에서 제공하는 SRM 3235의 참값은 3.70±0.004 μg/100 g이며,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값은 3.68±0.040 μg/100 g으로 99.45%의 우수한 회수율을 보였다.

Table 1 . Precision and detection limits of vitamin K analysis method.

Parameter.

Precision.

Detection limit6).



Repeatability1).

Reproducibility2).

LOD7).

LOQ8).

Mean3).

SD4).

CV (%)5).

941.13.

94.74.

10.07.

966.75.

151.58.

15.68.

0.095.

1.258.


Linearity.

y=60,000,000x+9,138.6 (R2=0.9992).

1)Repeatability was evaluated using five independent analyses of replicate sample performed on a given day..

2)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using five independent analyses of replicate sample performed on a different days..

3)n=5, μg/100 g sample on raw weight basis..

4)Standard deviation..

5)Coefficient of variation..

6)Concentration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7)LOD: limit of detection..

8)LOQ: limit of quantification..



Table 2 . Analysis of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Sample.

Content2).

Recovery (%).


Reference value.

Analysis value.

SRM (3235)1).

3.70±0.004.

3.68±0.0403).

99.45.

1)Standard reference material (3235, NIST)..

2)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3)Data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values (n=3)..



Fig 1. HPLC chromatogram of vitamin K (Exλ=243 nm, Emλ=430 nm). (A) Vitamin K (K1, phylloquinone; K2, menaquinone) standards, (B) vitamin K1 chromatogram in moringa (Moringa oleifera) powder, and (C) vitamin K2 chromatogram in spam.

비타민 K의 분석품질관리는 QC chart를 작성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2에 제시하였다. 내부 분석품질관리 시료로 용매 추출법을 위한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과 효소 추출법을 위한 분유를 사용하여 비타민 K를 10회 반복 분석한 값을 기준으로 관리 상한선(upper control limit, UCL)과 하한선(lower control limit, LCL)을 설정하였다. 용매 추출법을 사용한 브로콜리와 표고버섯 혼합분말의 QC chart 평균값은 393.098 μg/100 g, UCL은 471.718 μg/100 g, LCL은 314.478 μg/100 g이었으며, 효소추출법을 사용한 분유의 QC chart 평균값은 66.008 μg/100 g, UCL은 79.210 μg/100 g, LCL은 52.807 μg/100 g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료 분석 시마다 내부 분석품질관리 시료를 함께 분석하였으며, 비타민 K 분석값이 모두 UCL과 LCL을 초과하지 않아 본 연구에 사용한 비타민 K 분석법은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2. The quality control charts for vitamin K1 (phylloquinone) in the mixture of broccoli and shiitake mushroom (A) and infant formula (B). UPL: upper control line, LCL: lower control line. Charts repeat 10 runs.

국내에서 소비되는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

녹색 잎채소는 비타민 K1 함량이 높아 섭취 시 총 식이 비타민 K1 섭취량의 40~5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국의 식이 섭취량 데이터를 보면 많은 성인, 특히 젊은 성인들이 비타민 K의 권장 섭취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ooth와 Suttie, 1998). 본 연구에서 분석한 채소류는 대부분 나물류로, 나물은 한국 전통 식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높은 채소 소비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im 등, 2020). 국내 나물류에 대한 비타민 K1 함량 연구는 채소류나 과일류에 비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나물류를 포함한 채소류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18종의 채소류를 대상으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해 비타민 K1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분석된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은 13.00~984.14 μg/100 g 범위로 나타났으며, 말린 무시래기가 984.14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비타민 K1 함량을 보였다. 반면, 수입산 양상추는 13.00 μ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국산 양상추는 18.01 μg/100 g으로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갓의 경우 125.43 μg/100 g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Lee 등(2016)의 분석 데이터인 114.18 μg/100 g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Kim 등(2021)의 연구에서는 더덕에서 비타민 K1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더덕의 어린싹인 더덕순에서는 178.12 μg/100 g이 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치커리, 달래, 봄동의 비타민 K1 함량은 각각 105.82, 54.29, 93.01 μg/100 g으로, Lee 등(2015)의 연구에서 보고된 249.0, 94.2, 186.7 μg/100 g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시료의 생육 환경, 품종, 전처리 과정의 차이에 따른 함량 변화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룬 나물 및 채소류 외에도 국내에서 소비되는 다양한 나물 품종에 대한 비타민 K1 함량을 추가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Table 3 . Vitamin K content in vegetables commonly consumed in Korea.

Sample.

Vitamin K11).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Blume) DC.).

Chicory (Cichorium intybus L.).

Wild rocambole (Allium monanthum Maxim.).

Shepherd’s purse (Capsella bursa-pastoris (L.) L.W. Medicus).

Bomdong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Hanelt).

Bean sprout (Glycine max (L.) Merr.).

Chamjugnamu sprout (Cedrela sinensis A. Juss.).

Gondalbi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Gomchw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Dried goldenrod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Balloon flower sprout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Deodeok sprout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Benth. & Hook.f. ex Trautv.).

Welsh onion (Allium ascalonicum L.).

Napa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Hanelt).

Domestic lettuce (Lactuca sativa L.).

Imported lettuce (L. sativa L.).

Dried radish greens (Raphanus sativus L.).

Mustard greens (Brassica juncea (L.) Czern).

47.36±1.042).

105.82±0.28.

54.29±0.45.

164.72±1.84.

93.01±1.43.

22.07±1.64.

94.34±7.58.

51.25±1.39.

27.96±0.66.

837.32±5.43.

261.64±1.47.

178.12±0.98.

86.83±1.17.

16.79±0.36.

18.01±0.14.

13.00±0.52.

984.14±13.93.

125.43±1.14.

1)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2)Data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values (n=3)..



농산물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

농산물 가공식품은 파우더류, 음료류, 소스류 등을 선별하여 비타민 K를 분석하였다(Table 4). 비타민 K1 함량은 모링가 분말이 2,010.98 μ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양파 분말이 3.96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Lee 등(2016)의 연구에서는 모링가의 비타민 K1 함량이 279.02 μg/100 g으로 보고되어, 본 연구에서 분석한 모링가 분말의 함량이 약 7배 더 높았다. 또한, 미국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의 보고자료(USDA, 2019)에서 제공한 양파 분말의 비타민 K1 함량인 4.1 μg/100 g과 본 연구 결과는 매우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양파 맛 시즈닝은 10.29 μg/100 g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양파 분말과 양파 맛 시즈닝의 제조 과정에서 첨가되는 성분과 가공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소스류의 경우 팟타이 소스에서는 비타민 K1 함량이 5.47 μg/100 g, 스리라차 소스에서는 8.41 μg/100 g이 검출되었다. 마라 소스는 제조사가 다른 두 제품에서 각각 15.70과 11.55 μg/100 g의 비타민 K1이 검출되어 소스류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비타민 K2는 스팸이 5.83 μ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치즈 맛 시즈닝이 1.74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스팸은 주로 고기를 원료로 한 가공식품으로 비타민 K1이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Kim 등(2022)의 연구에서 모든 육류 시료에서 비타민 K1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세 종류의 컵 커피에서 비타민 K2 함량은 3.54~5.28 μg/100 g으로 나타났으며,

Table 4 . Vitamin K contents of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Classification.

Sample.

Vitamin K11).

Vitamin K22).

Powder.

Moringa powder.

Mulberry leaf powder.

Onion powder.

Onion-flavored seasoning.

Cheese-flavored seasoning.

2,010.98±10.77.

1,968.48±14.07.

3.96±0.11.

10.29±0.15.

8.66±0.01.

ND3).

ND.

ND.

ND.

1.74±0.01.


Drink.

Protein drink.

Mocha cup coffee.

Low-sugar cup coffee latte.

Cup coffee latte.

26.18±0.36.

ND.

ND.

ND.

3.17±0.03.

5.28±0.03.

4.21±0.02.

3.54±0.03.


Sauce.

Mala sauce 1.

Mala sauce 2.

Doubanjiang.

Sriracha sauce.

Pad Thai sauce.

Oriental dressing.

15.70±0.03.

11.55±0.01.

10.22±0.18.

8.41±0.06.

5.47±0.02.

4.60±0.04.

ND.

ND.

ND.

ND.

ND.

ND.


Bread.

Walnut cookies.

4.37±0.01.

2.74±0.00.


Processed meat product.

Meat dumplings.

Spam.

8.23±0.07.

ND.

ND.

5.83±0.08.

1)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2)Concentration of vitamin K2 (mena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3)ND: not detected..



시료 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소스류에서는 비타민 K1만 검출된 반면, 유제품이 함유된 식품에서는 비타민 K2가 검출되었다. 이는 식물성 기름이 인간에게 중요한 비타민 K1의 식이 공급원으로 작용하며(Mladěnka 등, 2022), 비타민 K2는 주로 유제품 및 동물성 제품에서 발견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Klapkova 등, 2018).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프로틴 음료, 치즈 맛 시즈닝, 호두과자에서 비타민 K1과 K2가 모두 검출된 것은 이들 제품에 식물성과 동물성 성분이 함께 포함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Kim 등(2022)의 연구에 따르면 채소 만두의 비타민 K1 함량은 12.40 μg/100 g으로 보고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고기만두의 비타민 K1 함량은 8.23 μg/100 g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냈다. 채소 만두에는 비타민 K1이 풍부한 채소가 포함되어 있어 고기만두보다 비타민 K1 함량이 높을 수 있다. 반면, 고기만두는 육류를 포함하고 있어 비타민 K1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특히 고기만두의 주재료인 국내산 돼지고기 앞다릿살의 비타민 K2 함량은 11.27 μg/100 g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Kim 등, 2022), 본 연구에서는 다른 부재료들과의 조합으로 인해 비타민 K2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식품의 성분에 따라 비타민 K1과 K2의 함량이 다양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식품의 영양성분을 고려한 건강한 식단 구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 약

본 연구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채소류와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K 분석법을 정확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내부 분석품질관리를 통해 비타민 K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은 13.00~984.14 μg/100 g 범위였으며, 그중 말린 무시래기가 984.14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수입산 양상추가 13.00 μ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농산물 가공식품에서는 비타민 K1과 K2의 함량이 다양하게 검출되었다. 비타민 K1의 경우 모링가 분말이 2,010.98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양파 분말이 3.96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비타민 K2는 스팸에서 5.83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으며, 치즈 맛 시즈닝이 1.74 μg/100 g으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다양한 나물류 및 농산물 가공식품의 비타민 K 함량을 제시함으로써 국가표준식품성분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이 성과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연구개발과제번호: RS-2023-00220743)에 의하여 지원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 1.

Fig 1.HPLC chromatogram of vitamin K (Exλ=243 nm, Emλ=430 nm). (A) Vitamin K (K1, phylloquinone; K2, menaquinone) standards, (B) vitamin K1 chromatogram in moringa (Moringa oleifera) powder, and (C) vitamin K2 chromatogram in sp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 1178-1184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178

Fig 2.

Fig 2.The quality control charts for vitamin K1 (phylloquinone) in the mixture of broccoli and shiitake mushroom (A) and infant formula (B). UPL: upper control line, LCL: lower control line. Charts repeat 10 ru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 1178-1184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178

Table 1 . Precision and detection limits of vitamin K analysis method.

Parameter.

Precision.

Detection limit6).



Repeatability1).

Reproducibility2).

LOD7).

LOQ8).

Mean3).

SD4).

CV (%)5).

941.13.

94.74.

10.07.

966.75.

151.58.

15.68.

0.095.

1.258.


Linearity.

y=60,000,000x+9,138.6 (R2=0.9992).

1)Repeatability was evaluated using five independent analyses of replicate sample performed on a given day..

2)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using five independent analyses of replicate sample performed on a different days..

3)n=5, μg/100 g sample on raw weight basis..

4)Standard deviation..

5)Coefficient of variation..

6)Concentration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7)LOD: limit of detection..

8)LOQ: limit of quantification..


Table 2 . Analysis of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Sample.

Content2).

Recovery (%).


Reference value.

Analysis value.

SRM (3235)1).

3.70±0.004.

3.68±0.0403).

99.45.

1)Standard reference material (3235, NIST)..

2)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3)Data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values (n=3)..


Table 3 . Vitamin K content in vegetables commonly consumed in Korea.

Sample.

Vitamin K11).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Blume) DC.).

Chicory (Cichorium intybus L.).

Wild rocambole (Allium monanthum Maxim.).

Shepherd’s purse (Capsella bursa-pastoris (L.) L.W. Medicus).

Bomdong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Hanelt).

Bean sprout (Glycine max (L.) Merr.).

Chamjugnamu sprout (Cedrela sinensis A. Juss.).

Gondalbi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Gomchw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Dried goldenrod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Balloon flower sprout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Deodeok sprout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Benth. & Hook.f. ex Trautv.).

Welsh onion (Allium ascalonicum L.).

Napa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Hanelt).

Domestic lettuce (Lactuca sativa L.).

Imported lettuce (L. sativa L.).

Dried radish greens (Raphanus sativus L.).

Mustard greens (Brassica juncea (L.) Czern).

47.36±1.042).

105.82±0.28.

54.29±0.45.

164.72±1.84.

93.01±1.43.

22.07±1.64.

94.34±7.58.

51.25±1.39.

27.96±0.66.

837.32±5.43.

261.64±1.47.

178.12±0.98.

86.83±1.17.

16.79±0.36.

18.01±0.14.

13.00±0.52.

984.14±13.93.

125.43±1.14.

1)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2)Data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values (n=3)..


Table 4 . Vitamin K contents of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Classification.

Sample.

Vitamin K11).

Vitamin K22).

Powder.

Moringa powder.

Mulberry leaf powder.

Onion powder.

Onion-flavored seasoning.

Cheese-flavored seasoning.

2,010.98±10.77.

1,968.48±14.07.

3.96±0.11.

10.29±0.15.

8.66±0.01.

ND3).

ND.

ND.

ND.

1.74±0.01.


Drink.

Protein drink.

Mocha cup coffee.

Low-sugar cup coffee latte.

Cup coffee latte.

26.18±0.36.

ND.

ND.

ND.

3.17±0.03.

5.28±0.03.

4.21±0.02.

3.54±0.03.


Sauce.

Mala sauce 1.

Mala sauce 2.

Doubanjiang.

Sriracha sauce.

Pad Thai sauce.

Oriental dressing.

15.70±0.03.

11.55±0.01.

10.22±0.18.

8.41±0.06.

5.47±0.02.

4.60±0.04.

ND.

ND.

ND.

ND.

ND.

ND.


Bread.

Walnut cookies.

4.37±0.01.

2.74±0.00.


Processed meat product.

Meat dumplings.

Spam.

8.23±0.07.

ND.

ND.

5.83±0.08.

1)Concentration of vitamin K1 (phyllo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2)Concentration of vitamin K2 (menaquinone) was expressed as μg/100 g sample..

3)ND: not detected..


References

  1. Beulens JWJ, Booth SL, van den Heuvel EGHM, et al. The role of menaquinones (vitamin K2) in human health. Br J Nutr. 2013. 110:1357-1368.
    Pubmed CrossRef
  2. Booth SL, Suttie JW. Dietary intake and adequacy of vitamin K. J Nutr. 1998. 128:785-788.
    Pubmed CrossRef
  3. Chen A, Li J, Shen N, et al. Vitamin K: New insights related to senescence and cancer metastasis. Biochim Biophys Acta-. Rev Cancer. 2024. 1879:189057. https://doi.org/10.1016/j.bbcan.2023.189057.
    Pubmed CrossRef
  4. Fusaro M, Gallieni M, Porta C, et al. Vitamin K effects in human health: new insights beyond bone and cardiovascular health. J Nephrol. 2020. 33:239-249.
    Pubmed CrossRef
  5. Gallieni M, Fusaro M. Vitamin K and cardiovascular calcification in CKD: is patient supplementation on the horizon? Kidney Int. 2014. 86:232-234.
    Pubmed CrossRef
  6. Greer FR. Vitamin K the basics-What's new? Early Hum Dev. 2010. 86:43-47.
    Pubmed CrossRef
  7. Hand I, Noble L, Abrams SA, et al. Vitamin K and the newborn infant. Pediatrics. 2022. 149:e2021056036. https://doi.org/10.1542/peds.2021-056036.
    Pubmed CrossRef
  8. Kim D, Lee S, Kang Y, et al. Comparison of vitamin K contents in different mea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2. 54:109-113.
  9. Kim H, Choi Y, Sung J, et al.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phylloquinone content in legumes and nuts. Food Sci Biotechnol. 2015. 24:1603-1607.
    CrossRef
  10. Kim HJ, Lee S, Park JJ, et al. Analysis of vitamin E and K contents in sea algae and vegetable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for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Datab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1. 53:19-28.
  11. Kim SH, Kwon DY, Shin D. Namul, the driving force behind health and high vegetable consumption in Korea. J Ethn Foods. 2020. 7:15. https://doi.org/10.1186/s42779-019-0026-2.
    CrossRef
  12. Kim Y, Kim K, Kim KR, et al. Determination of vitamin K in korean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2. 51:56-63.
    CrossRef
  13. Kishikawa N, Kuroda N. Analytical techniques for the determination of biologically active quinones in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amples. J Pharm Biomed Anal. 2014. 87:261-270.
    Pubmed CrossRef
  14. Klapkova E, Cepova J, Dunovska K, et al. Determination of vitamins K1, MK-4, and MK-7 in human serum of postmenopausal women by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ion. J Clin Lab Anal. 2018. 32:e22381. https://doi.org/10.1002/jcla.22381.
    Pubmed KoreaMed CrossRef
  15. Lee AR, Kim JH, Park JH, et al. A study on contents of vitamin K1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Nutr. 2016. 29:301-306.
    CrossRef
  16. Lee S, Choi Y, Jeong HS, et al.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content of vitamins and true retention in selected vegetables. Food Sci Biotechnol. 2018. 27:333-342.
    CrossRef
  17. Lee S, Sung J, Choi Y, et al. Analysis of vitamin K1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1194-1199.
    CrossRef
  18. Li 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South Korea food market. ChemLinked. 2021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food.chemlinked.com/news/food-news/prospering-in-south-korea-food-market-chemlinked-speaks-at-fi-global-virtual-conference.
  19. MFDS. Food Code: Vitamin K1 testing method. Chapter 2.2.2.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4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various.foodsafetykorea.go.kr/fsd/#/ext/Document/FC?searchNm=%EB%B9%84%ED%83%80%EB%AF%BCk&itemCode=FC0A140004005A148.
  20. Mishima E, Ito J, Wu Z, et al. A non-canonical vitamin K cycle is a potent ferroptosis suppressor. Nature. 2022. 608:778-783.
    Pubmed KoreaMed CrossRef
  21. Mladěnka P, Macáková K, Krčmová LK, et al. Vitamin K - sources, physiological role, kinetics, deficiency, detection, therapeutic use, and toxicity. Nutr Rev. 2022. 80:677-698.
    Pubmed KoreaMed CrossRef
  22. Neo P. Era of processed foods: South Korea government survey reveals rise in consumer purchases. FoodNavigator Asia. 2022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www.foodnavigator-asia.com/Article/2022/03/09/south-korea-government-survey-reveals-rise-in-consumer-processed-food-purchases#.
  23. Popa DS, Bigman G, Rusu ME. The role of vitamin K in humans: Implication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eases. Antioxidants. 2021. 10:566. https://doi.org/10.3390/antiox10040566.
    Pubmed KoreaMed CrossRef
  24. Sakano T, Nagaoka T, Morimoto A, et al. Measurement of K vitamins in human and animal fec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ometric detection. Chem Pharm Bull. 1986. 34:4322-4326.
    Pubmed CrossRef
  25. Stafford DW, Hebling CM. Recent Advances in Thrombosis and Hemostasis. In:. Springer. 2008. p 27-44.
    CrossRef
  26. USDA. Food data centra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9 [cited 2024 Aug 21]. Available from: https://fdc.nal.usda.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