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4): 363-369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4.363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insoo Jeon , Younghyeon Jang , and Myoung-Gun Choung
Department of Herbal Medicine Resour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young-Gun Choung, Department of Herbal Medicine Resour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gye-eup, Samcheok, Gangwon 25949, Korea, E-mail: cmg7004@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for each cut of pork. This study applied HPLC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in 22 cuts of pork distributed in Korea. Pantothenic acid was obtained in the range 0.520∼1.436 mg/100 g, and the mean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0.981±0.307 mg/100 g. The pyridoxine content ranged between 0.018∼0.042 mg/100 g, with mean content at 0.034±0.006 mg/100 g. Statistically, the highest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1.125±0.254 mg/100 g) and pyridoxine (0.039±0.005 mg/100 g) were obtained in ‘Doganisal’. We believe our results will provide a suitable database to help improve people’s health.
Keywords: pork, pantothenic acid, pyridoxine, HPLC
판토텐산(비타민 B5)은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생체 내 coenzyme A(CoA) 합성에 꼭 필요한 전구체이며, 세포 성장, 대사 및 신경 전달 물질의 합성 등 다양한 생화학 반응에 관여하고 있다(Hayflick, 2014; Leonardi와 Jackowski, 2007). 그 외에도 판토텐산의 알코올 유도체인 덱스판테놀은 아토피, 점막건조증 및 피부염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처의 치유에 도움이 되고 이상 지질혈증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완화한다는 임상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Sanvictores와 Chauhan, 2022). 판토텐산은 성인 기준 하루 약 5 mg 정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결핍 시 관절 이상, 디스토니아, 경련, 근육 경직 등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Sanvictores와 Chauhan, 2022).
피리독신(비타민 B6)은 생체 내 존재하는 100가지 이상의 효소에 필요한 조효소의 전구체로 신경전달물질 합성, 아미노산,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질 대사에 필요한 조효소 역할을 수행한다(Abosamak과 Gupta, 2022; Rabinowitz와 Snell, 1947; Snell, 1953). 또한, 피리독신이 pyruvate kinase M2를 매개로 하는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를 활성화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글루타티온 합성을 유도함으로써 신경 세포를 보호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으며(Wei 등, 2020), Yang 등(2020)은 THP-1 유도 백혈병 마우스 모델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을 지연시키고, 원발성 AML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여 AML을 억제할 수 있는 잠재적인 치료제라고 보고한 바 있다. 피리독신은 성인 기준 하루에 약 1.75 mg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결핍 시 지루성 피부염, 빈혈, 충치, 설염, 간질성 경련, 말초신경 이상, 우울증 및 면역기능 저하 등이 보고되어 있다(Abosamak과 Gupta, 2022).
한편, 전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육류 중 하나인 돼지고기는 고품질 동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미국, 유럽, 일본 및 중국 등 많은 국가에서 인기가 많은 식재료이다(Wu와 Bazer, 2019). 한국에서도 돼지고기의 인기가 매우 높은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약 70만 톤 이상 생산되었던 돼지고기는(2006년 및 2011년 제외) 2013년 80만 톤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100만 톤 이상이 생산되어 돼지고기의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KOSIS, 2022). 국내에서 돼지고기의 소비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각 부위에 함유된 티아민(비타민 B1; Hong 등, 2021), 리보플라빈(비타민 B2; Hong 등, 2021), 나이아신(비타민 B3; Hong 등, 2021), 비오틴(비타민 B7; Hong 등, 2021), 코발라민(비타민 B12; Mun 등, 2017), 필로키논(비타민 K1; Kim 등, 2022) 및 메나퀴논(비타민 K2; Kim 등, 2022) 등 일부 미량 영양성분의 함량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판토텐산과 피리독신 함량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각 부위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돼지고기는 국립축산과학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것으로 1등급 돈육 3두 및 2등급 돈육 2두를 농림부 고시(2007-82호) ‘식육의 부위별 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 방법’에 따라 22개 부위로 분리하였다. 각 돼지고기 부위 중 갈빗살, 꾸리살, 도가니살, 뒷사태살, 목심살, 보섭살, 볼기살, 삼겹살, 설깃살, 안심살, 알등심살, 앞다릿살, 앞사태살 및 홍두깨살은 1등급 돈육 3두에서 채취된 시료를 도체별로 구분하여 균질화한 후 분석에 이용했으며, 비교적 양이 적었던 부채살, 주걱살, 오돌삼겹, 갈매기살, 등갈비, 등심덧살, 항정살 및 토시살은 총 5두(1등급 3두 및 2등급 2두)에서 부위별 채취된 시료를 혼합하고 균질화한 것을 이용하였다.
추출 및 HPLC 이동상으로 사용된 용매 중 acetonitrile과 초순수 증류수는 J.T. Baker Co.에서 구입했으며,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및 sodium acetate는 Sigma- Aldrich Co.에서 구입하였고 acetic acid는 대정화금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표준시약인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은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추출 및 전처리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을 추출하기 위해 Kim 등(2014)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체 1~5 g을 칭량한 후 초순수 증류수 20 mL를 가하고 10분간 40°C 조건에서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3% acetic acid 2 mL를 첨가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10분간 추가 추출했으며, 초순수 증류수를 이용하여 40 mL로 정용하였다. 본 추출액을 21,124×g로 10분간 원심분리했으며, 0.45 μm 실린지 필터(polyvinylidene difluoride filter media, PVDF, Whatman Inc.)를 이용하여 여과한 여액을 분석용 샘플로 사용하였다.
피리독신의 경우 검체를 1~5 g 칭량하고 50 mM sodium acetate(pH 4.5) 25 mL를 가하여 40°C 조건으로 30분간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초순수 증류수를 이용하여 40 mL로 정용했으며, 21,124×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0.45 μm 실린지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분석용 샘플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을 위해 Kim 등(2017)의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판토텐산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YMC-Pack ODS AM(250 mm×4.6 mm, 5 μm, YMC Co.)이었으며, 컬럼 온도는 30°C로 설정하였다. Injection volume은 20 μL였으며, 이동상은 50 mM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pH 3.5)과 acetonitrile을 95:5 비율로 혼합한 것을 1 mL/min의 유속으로 분석하였다. 검출기는 diode array detector를 이용했으며, 측정 파장은 200 nm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피리독신의 경우 YMC-Pack Pro C18 RS(250 mm×4.6 mm, 5 μm, YMC Co.)를 분석용 컬럼으로 사용했으며, 컬럼 온도는 30°C로 유지하였고 injection volume은 20 μL로 설정하였다. 이동상은 20 mM sodium acetate(pH 3.6)를 acetonitrile과 97:3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이용했으며, 분당 유속은 1.0 mL로 하였다. 검출기는 fluorescence detector를 사용했으며, 여기파장 및 측정파장은 각각 290 및 396 nm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 평가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표준용액을 각각 1,000 μg/mL 농도로 조제한 후 이를 여러 농도로 희석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이후 표준 검량선에 각 주입된 시료의 peak area를 대입하여 농도를 계산한 후 다음 식에 대입하여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계산하였다(Jang 등, 2022).
S: 시험용액에 함유된 비타민 B의 농도(μg/mL)
a: 시험용액의 전체 용량(mL)
b: 시험용액의 희석배수
분석법 검증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을 검증하기 위해 각 분석법의 분석 감도, 분리 양상 및 직선성을 검토했으며, 표준인증물질을 부위별 돼지고기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분석하여 분석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Jang 등, 2022). 분석 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limit of detection(LOD) 및 limit of quantification(LOQ)을 계산했는데, signal:noise 비(s/n비)가 3이 될 때의 농도를 LOD로 설정했으며, LOQ는 s/n비가 10이 될 때의 농도로 계산하였다. 분리 양상을 평가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램을 검토했으며, 각 표준용액을 여러 농도로 희석(판토텐산: 0.5~20 μg/mL, 피리독신: 0.01~10 μg/mL)한 후 분석하여 얻은 표준 검량선의 결정계수를 측정하여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정확성의 경우, 검체와 유사한 육류 matrix인 SRM-1546a(Standard Reference Material-1546a; meat homogenate)를 3 반복으로 추출 및 분석 후 표준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통계처리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의 함량 평가는 검체별 3 반복으로 수행되었으며, 처리 간 평균, 표준편차, 변이계수 및 상관 분석은 Microsoft Office Excel(Microsoft)을 통해 계산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는 SAS 9.4(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Institute Inc.) 프로그램으로 수행되었다.
분석법 검증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의 분석 감도와 직선성을 평가한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판토텐산의 LOD는 0.037 μg/mL였으며, LOQ는 0.124 μg/mL였다. 피리독신의 경우 LOD 및 LOQ는 각각 0.009 μg/mL 및 0.031 μg/mL였다. 판토텐산과 피리독신의 표준용액 및 돼지고기 시료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Fig. 1), 확인하여 분리 양상을 평가하였는데, 모두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표준 검량선의 R2는 모두 0.999 이상이었다. 표준인증물질을 분석하여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판토텐산의 회수율은 97.36%, 피리독신은 99.63%로 모두 표준함량 범위 내에 위치하였고, 변이계수는 0.5% 이하로 우수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Table 2). 따라서 본 연구에 이용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은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치 않았다.
Table 1 . Comparison of the sensitivity and linearity of the HPLC method
Vitamin | Sensitivity | Linearity | ||
---|---|---|---|---|
LOD1) | LOQ2) | Calibration curve | R2 | |
(μg/mL) | ||||
Pantothenic acid | 0.037 | 0.124 | y=1,557.79x-9.54 | 0.999** |
Pyridoxine | 0.009 | 0.031 | y=5,138.71x+0.01 | 0.999** |
1)Limit of detection.
2)Limit of quantitation.
Table 2 . Recovery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in standard reference material
Matrix | Constituent | Reference value1) | Analysis value | Recovery (%) | RSD2) (%) |
---|---|---|---|---|---|
(mg/kg) | |||||
SRM-1546a | Pantothenic acid | 4.580±0.590 | 4.459±0.021 | 97.358 | 0.469 |
(Meat homogenate) | Pyridoxine | 0.044±0.012 | 0.044±0.000 | 99.626 | 0.188 |
1)Refers to the reference standard value sugges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 Technology.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판토텐산 함량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판토텐산 함량은 부위별로 0.520~1.436 mg/100 g 수준이었고, 전체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981±0.307 mg/100 g이었다. 판토텐산 함량이 가장 높은 부위는 꾸리살로 1.436±0.193 mg/100 g이었으며, 갈매기살(1.423±0.003 mg/100 g), 목심살(1.354±0.266 mg/100 g), 부채살(1.325±0.011 mg/100 g), 토시살(1.278±0.012 mg/100 g), 등심덧살(1.182±0.004 mg/100 g) 및 도가니살(1.125±0.054 mg/100 g)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으나, 이들 부위의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판토텐산 함량이 가장 낮은 부위는 삼겹살(0.520±0.126 mg/100 g)이었으며, 볼깃살(0.659±0.154 mg/100 g), 설깃살(0.685±0.146 mg/100 g), 알등심살(0.711±0.305 mg/100 g), 항정살(0.721±0.004 mg/100 g), 홍두깨살(0.772±0.348 mg/100 g), 오돌삼겹(0.791±0.006 mg/100 g), 안심살(0.797±0.237 mg/100 g) 및 앞사태살(0.819±0.269 mg/100 g) 등의 순으로 함량이 증가하였고, 이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돼지 3두를 각각 균질화하여 분석한 14종의 돼지고기 부위 중 도체별 함량 변이가 가장 큰 부위는 홍두깨살이었고 변이계수가 45.07% 수준이었다. 이외에도 변이계수가 30% 이상인 부위는 알등심살(42.86%), 앞사태살(32.80%) 및 뒷사태살(30.44%)이 있었다. 도체별 부위의 판토텐산 함량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Fig. 2), 상관계수(r)는 0.533~0.797 수준으로 95% 유의수준에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돼지 도체별로 판토텐산의 함량 차이는 있었으나, 특정 도체에서 함량이 높았던 부위는 다른 개체에서도 상대적으로 판토텐산 함량이 높은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Agricultural Research Service(2019b)에 따르면 등갈비 부위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은 0.625 mg/100 g이었고, 안심은 0.837 mg/100 g이었다고 보고했으며(USDA-ARS, 2019a),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검토된 등갈비(0.951±0.006 mg/100 g)보다 다소 낮은 함량이었고 안심살(0.797±0.237 mg/100 g)의 경우 도체별 함량 변이 내에 포함되는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공정 후 판토텐산 함량이 감소하지 않았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고려했을 때(RDA, 2021), Fukuwatari와 Shibata(2012)의 조사에 따르면 구운 돼지고기 등심의 판토텐산 함량은 1.19 mg/100 g으로 보고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 확인된 등심덧살(1.182±0.004 mg/100 g)과 유사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돼지고기와 함께 우수한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 중 하나인 소고기(한우 1+등급)의 부위별 판토텐산 함량 범위는 0.544~3.595 mg/100 g으로 부위에 따라 돼지고기보다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고(Cho 등, 2021), van Heerden 등(2002)의 보고에 따르면 닭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이 0.80~0.87 mg/100 g으로 본 연구의 돼지고기 부위별 함량 범위에 포함되는 수준이었다.
Table 3 . Pantothenic acid contents in 22 pork cuts distributed in Korea
Name of cut in Korea | US equivalent name | Pantothenic acid (mg/100 g) |
---|---|---|
Belly | 0.951±0.006defgh1) | |
1.423±0.003a | ||
0.791±0.006fghi | ||
0.520±0.126i | ||
1.278±0.012abcd | ||
Boston butt | 1.354±0.266ab | |
Fore leg | 1.018±0.268cdefg | |
0.819±0.269efghi | ||
1.325±0.011abc | ||
0.721±0.004fghi | ||
1.016±0.004cdefg | ||
1.436±0.193a | ||
Hind leg | 0.659±0.154hi | |
0.997±0.032defg | ||
1.125±0.254abcde | ||
1.037±0.316bcdef | ||
0.772±0.348fghi | ||
0.685±0.146ghi | ||
Loin | 0.711±0.305fghi | |
1.182±0.004abcd | ||
Rib | 0.959±0.257defgh | |
Tenderloin | 0.797±0.237efghi |
1)The same letters (a-i) do not differ significantly, based 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피리독신 함량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피리독신 함량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돼지고기의 각 부위에 함유된 피리독신 함량은 0.018~0.042 mg/100 g이었으며, 평균 함량은 0.034±0.006 mg/100 g이었다. 각 부위 중 피리독신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볼깃살로 0.042±0.005 mg/100 g이었으며, 안심살(0.039±0.008 mg/100 g) 및 도가니살(0.039±0.005 mg/100 g)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리독신 함량이 가장 낮은 부위는 토시살(0.018±0.001 mg/100 g)이었으며, 삼겹살(0.023±0.001 mg/100 g) 및 알등심살(0.030±0.006 mg/100 g) 등의 순으로 함량이 낮았다. 도가니살의 경우, 판토텐산(1.125±0.254 mg/100 g) 및 피리독신(0.039±0.005 mg/100 g) 모두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은 부위지만, 삼겹살은 판토텐산(0.520±0.126 mg/100 g) 및 피리독신(0.023±0.001 mg/100 g) 모두 비교적 함량이 낮은 부위임을 확인하였다. 돼지 3두를 각각 균질화하여 분석한 14종의 돼지고기 부위 중 도체별 함량 변이가 가장 큰 부위는 안심살로 변이계수가 21.49%였고 알등심살(20.26%), 도가니살(12.31%), 볼깃살(10.98%), 뒷사태살(8.35%), 설깃살(6.95%)의 순이었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부위는 변이계수가 5% 이하로 판토텐산과 비교할 때 도체 간 함량 변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도체별 부위의 피리독신 함량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Fig. 3), 상관계수는 0.547~0.792 수준으로 95% 유의수준에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판토텐산과 동일한 결과로, 도체별 피리독신의 함량 차이는 있었으나 특정 함량이 높았던 부위는 다른 개체에서도 상대적으로 피리독신 함량이 높은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Kall(2003)의 보고에 따르면, 돼지고기에 함유된 피리독신 함량은 0.007~0.054 mg/100 g으로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부위별로 구분되지 않아 직접적인 비교는 불가능하였다. 한편, 한우 1+등급에 함유된 부위별 피리독신 함량 범위는 0.024~0.044 mg/100 g 수준으로 돼지고기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Cho 등, 2021), 다른 연구에서도 송아지는 2.5~24.7 μg/100 g, 양고기는 7.4~24.7 μg/100 g, 닭고기는 7.4~29.6 μg/100 g으로 본 연구에서 검토된 돼지고기와 비슷한 함량 범위를 나타내었다(Yaman, 2019).
Table 4 . Pyridoxine contents in 22 pork cuts distributed in Korea
Name of cut in Korea | US equivalent name | Pyridoxine (mg/100 g) |
---|---|---|
Belly | 0.034±0.001bcdef1) | |
0.037±0.001bcd | ||
0.032±0.000def | ||
0.023±0.001g | ||
0.018±0.001h | ||
Boston butt | 0.036±0.001bcd | |
Fore leg | 0.035±0.001bcdef | |
0.032±0.002def | ||
0.031±0.000ef | ||
0.034±0.000bcdef | ||
0.034±0.002cdef | ||
0.034±0.001cdef | ||
Hind leg | 0.042±0.005a | |
0.035±0.001bcde | ||
0.039±0.005abc | ||
0.036±0.003bcde | ||
0.035±0.001bcdef | ||
0.037±0.003bcd | ||
Loin | 0.030±0.006f | |
0.033±0.001cdef | ||
Rib | 0.034±0.001bcdef | |
Tenderloin | 0.039±0.008ab |
1)The same letters (a-h) do not differ significantly, based 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부위별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향후 국민건강 및 식생활 증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돼지고기의 부위별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국내 유통 돼지고기의 부위별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은 0.520~1.436 mg/100 g 범위였으며, 총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981±0.307 mg/100 g이었다. 피리독신의 함량 범위는 0.018~0.042 mg/100 g이었으며, 총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034±0.006 mg/100 g이었다. 부위별 돼지고기 중 도가니살은 판토텐산(1.125±0.254 mg/100 g) 및 피리독신(0.039±0.005 mg/100 g) 함량이 모두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부위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부위별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향후 국민건강 및 식생활 증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4): 363-369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4.363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전진수․장영현․정명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Jinsoo Jeon , Younghyeon Jang , and Myoung-Gun Choung
Department of Herbal Medicine Resour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young-Gun Choung, Department of Herbal Medicine Resour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gye-eup, Samcheok, Gangwon 25949, Korea, E-mail: cmg7004@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for each cut of pork. This study applied HPLC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in 22 cuts of pork distributed in Korea. Pantothenic acid was obtained in the range 0.520∼1.436 mg/100 g, and the mean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0.981±0.307 mg/100 g. The pyridoxine content ranged between 0.018∼0.042 mg/100 g, with mean content at 0.034±0.006 mg/100 g. Statistically, the highest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1.125±0.254 mg/100 g) and pyridoxine (0.039±0.005 mg/100 g) were obtained in ‘Doganisal’. We believe our results will provide a suitable database to help improve people’s health.
Keywords: pork, pantothenic acid, pyridoxine, HPLC
판토텐산(비타민 B5)은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생체 내 coenzyme A(CoA) 합성에 꼭 필요한 전구체이며, 세포 성장, 대사 및 신경 전달 물질의 합성 등 다양한 생화학 반응에 관여하고 있다(Hayflick, 2014; Leonardi와 Jackowski, 2007). 그 외에도 판토텐산의 알코올 유도체인 덱스판테놀은 아토피, 점막건조증 및 피부염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처의 치유에 도움이 되고 이상 지질혈증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완화한다는 임상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Sanvictores와 Chauhan, 2022). 판토텐산은 성인 기준 하루 약 5 mg 정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결핍 시 관절 이상, 디스토니아, 경련, 근육 경직 등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Sanvictores와 Chauhan, 2022).
피리독신(비타민 B6)은 생체 내 존재하는 100가지 이상의 효소에 필요한 조효소의 전구체로 신경전달물질 합성, 아미노산,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질 대사에 필요한 조효소 역할을 수행한다(Abosamak과 Gupta, 2022; Rabinowitz와 Snell, 1947; Snell, 1953). 또한, 피리독신이 pyruvate kinase M2를 매개로 하는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를 활성화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글루타티온 합성을 유도함으로써 신경 세포를 보호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으며(Wei 등, 2020), Yang 등(2020)은 THP-1 유도 백혈병 마우스 모델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을 지연시키고, 원발성 AML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여 AML을 억제할 수 있는 잠재적인 치료제라고 보고한 바 있다. 피리독신은 성인 기준 하루에 약 1.75 mg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결핍 시 지루성 피부염, 빈혈, 충치, 설염, 간질성 경련, 말초신경 이상, 우울증 및 면역기능 저하 등이 보고되어 있다(Abosamak과 Gupta, 2022).
한편, 전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육류 중 하나인 돼지고기는 고품질 동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미국, 유럽, 일본 및 중국 등 많은 국가에서 인기가 많은 식재료이다(Wu와 Bazer, 2019). 한국에서도 돼지고기의 인기가 매우 높은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약 70만 톤 이상 생산되었던 돼지고기는(2006년 및 2011년 제외) 2013년 80만 톤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100만 톤 이상이 생산되어 돼지고기의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KOSIS, 2022). 국내에서 돼지고기의 소비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각 부위에 함유된 티아민(비타민 B1; Hong 등, 2021), 리보플라빈(비타민 B2; Hong 등, 2021), 나이아신(비타민 B3; Hong 등, 2021), 비오틴(비타민 B7; Hong 등, 2021), 코발라민(비타민 B12; Mun 등, 2017), 필로키논(비타민 K1; Kim 등, 2022) 및 메나퀴논(비타민 K2; Kim 등, 2022) 등 일부 미량 영양성분의 함량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판토텐산과 피리독신 함량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각 부위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돼지고기는 국립축산과학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것으로 1등급 돈육 3두 및 2등급 돈육 2두를 농림부 고시(2007-82호) ‘식육의 부위별 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 방법’에 따라 22개 부위로 분리하였다. 각 돼지고기 부위 중 갈빗살, 꾸리살, 도가니살, 뒷사태살, 목심살, 보섭살, 볼기살, 삼겹살, 설깃살, 안심살, 알등심살, 앞다릿살, 앞사태살 및 홍두깨살은 1등급 돈육 3두에서 채취된 시료를 도체별로 구분하여 균질화한 후 분석에 이용했으며, 비교적 양이 적었던 부채살, 주걱살, 오돌삼겹, 갈매기살, 등갈비, 등심덧살, 항정살 및 토시살은 총 5두(1등급 3두 및 2등급 2두)에서 부위별 채취된 시료를 혼합하고 균질화한 것을 이용하였다.
추출 및 HPLC 이동상으로 사용된 용매 중 acetonitrile과 초순수 증류수는 J.T. Baker Co.에서 구입했으며,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및 sodium acetate는 Sigma- Aldrich Co.에서 구입하였고 acetic acid는 대정화금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표준시약인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은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추출 및 전처리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을 추출하기 위해 Kim 등(2014)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체 1~5 g을 칭량한 후 초순수 증류수 20 mL를 가하고 10분간 40°C 조건에서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3% acetic acid 2 mL를 첨가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10분간 추가 추출했으며, 초순수 증류수를 이용하여 40 mL로 정용하였다. 본 추출액을 21,124×g로 10분간 원심분리했으며, 0.45 μm 실린지 필터(polyvinylidene difluoride filter media, PVDF, Whatman Inc.)를 이용하여 여과한 여액을 분석용 샘플로 사용하였다.
피리독신의 경우 검체를 1~5 g 칭량하고 50 mM sodium acetate(pH 4.5) 25 mL를 가하여 40°C 조건으로 30분간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초순수 증류수를 이용하여 40 mL로 정용했으며, 21,124×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0.45 μm 실린지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분석용 샘플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을 위해 Kim 등(2017)의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판토텐산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YMC-Pack ODS AM(250 mm×4.6 mm, 5 μm, YMC Co.)이었으며, 컬럼 온도는 30°C로 설정하였다. Injection volume은 20 μL였으며, 이동상은 50 mM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pH 3.5)과 acetonitrile을 95:5 비율로 혼합한 것을 1 mL/min의 유속으로 분석하였다. 검출기는 diode array detector를 이용했으며, 측정 파장은 200 nm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피리독신의 경우 YMC-Pack Pro C18 RS(250 mm×4.6 mm, 5 μm, YMC Co.)를 분석용 컬럼으로 사용했으며, 컬럼 온도는 30°C로 유지하였고 injection volume은 20 μL로 설정하였다. 이동상은 20 mM sodium acetate(pH 3.6)를 acetonitrile과 97:3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이용했으며, 분당 유속은 1.0 mL로 하였다. 검출기는 fluorescence detector를 사용했으며, 여기파장 및 측정파장은 각각 290 및 396 nm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 평가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표준용액을 각각 1,000 μg/mL 농도로 조제한 후 이를 여러 농도로 희석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이후 표준 검량선에 각 주입된 시료의 peak area를 대입하여 농도를 계산한 후 다음 식에 대입하여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계산하였다(Jang 등, 2022).
S: 시험용액에 함유된 비타민 B의 농도(μg/mL)
a: 시험용액의 전체 용량(mL)
b: 시험용액의 희석배수
분석법 검증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을 검증하기 위해 각 분석법의 분석 감도, 분리 양상 및 직선성을 검토했으며, 표준인증물질을 부위별 돼지고기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분석하여 분석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Jang 등, 2022). 분석 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limit of detection(LOD) 및 limit of quantification(LOQ)을 계산했는데, signal:noise 비(s/n비)가 3이 될 때의 농도를 LOD로 설정했으며, LOQ는 s/n비가 10이 될 때의 농도로 계산하였다. 분리 양상을 평가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램을 검토했으며, 각 표준용액을 여러 농도로 희석(판토텐산: 0.5~20 μg/mL, 피리독신: 0.01~10 μg/mL)한 후 분석하여 얻은 표준 검량선의 결정계수를 측정하여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정확성의 경우, 검체와 유사한 육류 matrix인 SRM-1546a(Standard Reference Material-1546a; meat homogenate)를 3 반복으로 추출 및 분석 후 표준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통계처리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의 함량 평가는 검체별 3 반복으로 수행되었으며, 처리 간 평균, 표준편차, 변이계수 및 상관 분석은 Microsoft Office Excel(Microsoft)을 통해 계산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는 SAS 9.4(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Institute Inc.) 프로그램으로 수행되었다.
분석법 검증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의 분석 감도와 직선성을 평가한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판토텐산의 LOD는 0.037 μg/mL였으며, LOQ는 0.124 μg/mL였다. 피리독신의 경우 LOD 및 LOQ는 각각 0.009 μg/mL 및 0.031 μg/mL였다. 판토텐산과 피리독신의 표준용액 및 돼지고기 시료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Fig. 1), 확인하여 분리 양상을 평가하였는데, 모두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표준 검량선의 R2는 모두 0.999 이상이었다. 표준인증물질을 분석하여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판토텐산의 회수율은 97.36%, 피리독신은 99.63%로 모두 표준함량 범위 내에 위치하였고, 변이계수는 0.5% 이하로 우수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Table 2). 따라서 본 연구에 이용된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분석법은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치 않았다.
Table 1 . Comparison of the sensitivity and linearity of the HPLC method.
Vitamin | Sensitivity | Linearity | ||
---|---|---|---|---|
LOD1) | LOQ2) | Calibration curve | R2 | |
(μg/mL) | ||||
Pantothenic acid | 0.037 | 0.124 | y=1,557.79x-9.54 | 0.999** |
Pyridoxine | 0.009 | 0.031 | y=5,138.71x+0.01 | 0.999** |
1)Limit of detection..
2)Limit of quantitation..
Table 2 . Recovery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in standard reference material.
Matrix | Constituent | Reference value1) | Analysis value | Recovery (%) | RSD2) (%) |
---|---|---|---|---|---|
(mg/kg) | |||||
SRM-1546a | Pantothenic acid | 4.580±0.590 | 4.459±0.021 | 97.358 | 0.469 |
(Meat homogenate) | Pyridoxine | 0.044±0.012 | 0.044±0.000 | 99.626 | 0.188 |
1)Refers to the reference standard value sugges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 Technology..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판토텐산 함량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판토텐산 함량은 부위별로 0.520~1.436 mg/100 g 수준이었고, 전체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981±0.307 mg/100 g이었다. 판토텐산 함량이 가장 높은 부위는 꾸리살로 1.436±0.193 mg/100 g이었으며, 갈매기살(1.423±0.003 mg/100 g), 목심살(1.354±0.266 mg/100 g), 부채살(1.325±0.011 mg/100 g), 토시살(1.278±0.012 mg/100 g), 등심덧살(1.182±0.004 mg/100 g) 및 도가니살(1.125±0.054 mg/100 g)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으나, 이들 부위의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판토텐산 함량이 가장 낮은 부위는 삼겹살(0.520±0.126 mg/100 g)이었으며, 볼깃살(0.659±0.154 mg/100 g), 설깃살(0.685±0.146 mg/100 g), 알등심살(0.711±0.305 mg/100 g), 항정살(0.721±0.004 mg/100 g), 홍두깨살(0.772±0.348 mg/100 g), 오돌삼겹(0.791±0.006 mg/100 g), 안심살(0.797±0.237 mg/100 g) 및 앞사태살(0.819±0.269 mg/100 g) 등의 순으로 함량이 증가하였고, 이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돼지 3두를 각각 균질화하여 분석한 14종의 돼지고기 부위 중 도체별 함량 변이가 가장 큰 부위는 홍두깨살이었고 변이계수가 45.07% 수준이었다. 이외에도 변이계수가 30% 이상인 부위는 알등심살(42.86%), 앞사태살(32.80%) 및 뒷사태살(30.44%)이 있었다. 도체별 부위의 판토텐산 함량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Fig. 2), 상관계수(r)는 0.533~0.797 수준으로 95% 유의수준에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돼지 도체별로 판토텐산의 함량 차이는 있었으나, 특정 도체에서 함량이 높았던 부위는 다른 개체에서도 상대적으로 판토텐산 함량이 높은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Agricultural Research Service(2019b)에 따르면 등갈비 부위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은 0.625 mg/100 g이었고, 안심은 0.837 mg/100 g이었다고 보고했으며(USDA-ARS, 2019a),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검토된 등갈비(0.951±0.006 mg/100 g)보다 다소 낮은 함량이었고 안심살(0.797±0.237 mg/100 g)의 경우 도체별 함량 변이 내에 포함되는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공정 후 판토텐산 함량이 감소하지 않았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고려했을 때(RDA, 2021), Fukuwatari와 Shibata(2012)의 조사에 따르면 구운 돼지고기 등심의 판토텐산 함량은 1.19 mg/100 g으로 보고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 확인된 등심덧살(1.182±0.004 mg/100 g)과 유사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돼지고기와 함께 우수한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 중 하나인 소고기(한우 1+등급)의 부위별 판토텐산 함량 범위는 0.544~3.595 mg/100 g으로 부위에 따라 돼지고기보다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고(Cho 등, 2021), van Heerden 등(2002)의 보고에 따르면 닭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이 0.80~0.87 mg/100 g으로 본 연구의 돼지고기 부위별 함량 범위에 포함되는 수준이었다.
Table 3 . Pantothenic acid contents in 22 pork cuts distributed in Korea.
Name of cut in Korea | US equivalent name | Pantothenic acid (mg/100 g) |
---|---|---|
Belly | 0.951±0.006defgh1) | |
1.423±0.003a | ||
0.791±0.006fghi | ||
0.520±0.126i | ||
1.278±0.012abcd | ||
Boston butt | 1.354±0.266ab | |
Fore leg | 1.018±0.268cdefg | |
0.819±0.269efghi | ||
1.325±0.011abc | ||
0.721±0.004fghi | ||
1.016±0.004cdefg | ||
1.436±0.193a | ||
Hind leg | 0.659±0.154hi | |
0.997±0.032defg | ||
1.125±0.254abcde | ||
1.037±0.316bcdef | ||
0.772±0.348fghi | ||
0.685±0.146ghi | ||
Loin | 0.711±0.305fghi | |
1.182±0.004abcd | ||
Rib | 0.959±0.257defgh | |
Tenderloin | 0.797±0.237efghi |
1)The same letters (a-i) do not differ significantly, based 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피리독신 함량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피리독신 함량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돼지고기의 각 부위에 함유된 피리독신 함량은 0.018~0.042 mg/100 g이었으며, 평균 함량은 0.034±0.006 mg/100 g이었다. 각 부위 중 피리독신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볼깃살로 0.042±0.005 mg/100 g이었으며, 안심살(0.039±0.008 mg/100 g) 및 도가니살(0.039±0.005 mg/100 g)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리독신 함량이 가장 낮은 부위는 토시살(0.018±0.001 mg/100 g)이었으며, 삼겹살(0.023±0.001 mg/100 g) 및 알등심살(0.030±0.006 mg/100 g) 등의 순으로 함량이 낮았다. 도가니살의 경우, 판토텐산(1.125±0.254 mg/100 g) 및 피리독신(0.039±0.005 mg/100 g) 모두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은 부위지만, 삼겹살은 판토텐산(0.520±0.126 mg/100 g) 및 피리독신(0.023±0.001 mg/100 g) 모두 비교적 함량이 낮은 부위임을 확인하였다. 돼지 3두를 각각 균질화하여 분석한 14종의 돼지고기 부위 중 도체별 함량 변이가 가장 큰 부위는 안심살로 변이계수가 21.49%였고 알등심살(20.26%), 도가니살(12.31%), 볼깃살(10.98%), 뒷사태살(8.35%), 설깃살(6.95%)의 순이었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부위는 변이계수가 5% 이하로 판토텐산과 비교할 때 도체 간 함량 변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도체별 부위의 피리독신 함량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Fig. 3), 상관계수는 0.547~0.792 수준으로 95% 유의수준에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판토텐산과 동일한 결과로, 도체별 피리독신의 함량 차이는 있었으나 특정 함량이 높았던 부위는 다른 개체에서도 상대적으로 피리독신 함량이 높은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Kall(2003)의 보고에 따르면, 돼지고기에 함유된 피리독신 함량은 0.007~0.054 mg/100 g으로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부위별로 구분되지 않아 직접적인 비교는 불가능하였다. 한편, 한우 1+등급에 함유된 부위별 피리독신 함량 범위는 0.024~0.044 mg/100 g 수준으로 돼지고기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Cho 등, 2021), 다른 연구에서도 송아지는 2.5~24.7 μg/100 g, 양고기는 7.4~24.7 μg/100 g, 닭고기는 7.4~29.6 μg/100 g으로 본 연구에서 검토된 돼지고기와 비슷한 함량 범위를 나타내었다(Yaman, 2019).
Table 4 . Pyridoxine contents in 22 pork cuts distributed in Korea.
Name of cut in Korea | US equivalent name | Pyridoxine (mg/100 g) |
---|---|---|
Belly | 0.034±0.001bcdef1) | |
0.037±0.001bcd | ||
0.032±0.000def | ||
0.023±0.001g | ||
0.018±0.001h | ||
Boston butt | 0.036±0.001bcd | |
Fore leg | 0.035±0.001bcdef | |
0.032±0.002def | ||
0.031±0.000ef | ||
0.034±0.000bcdef | ||
0.034±0.002cdef | ||
0.034±0.001cdef | ||
Hind leg | 0.042±0.005a | |
0.035±0.001bcde | ||
0.039±0.005abc | ||
0.036±0.003bcde | ||
0.035±0.001bcdef | ||
0.037±0.003bcd | ||
Loin | 0.030±0.006f | |
0.033±0.001cdef | ||
Rib | 0.034±0.001bcdef | |
Tenderloin | 0.039±0.008ab |
1)The same letters (a-h) do not differ significantly, based 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부위별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향후 국민건강 및 식생활 증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돼지고기의 부위별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국내 유통 돼지고기의 부위별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은 0.520~1.436 mg/100 g 범위였으며, 총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981±0.307 mg/100 g이었다. 피리독신의 함량 범위는 0.018~0.042 mg/100 g이었으며, 총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034±0.006 mg/100 g이었다. 부위별 돼지고기 중 도가니살은 판토텐산(1.125±0.254 mg/100 g) 및 피리독신(0.039±0.005 mg/100 g) 함량이 모두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부위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부위별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향후 국민건강 및 식생활 증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able 2 . Recovery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in standard reference material.
Matrix | Constituent | Reference value1) | Analysis value | Recovery (%) | RSD2) (%) |
---|---|---|---|---|---|
(mg/kg) | |||||
SRM-1546a | Pantothenic acid | 4.580±0.590 | 4.459±0.021 | 97.358 | 0.469 |
(Meat homogenate) | Pyridoxine | 0.044±0.012 | 0.044±0.000 | 99.626 | 0.188 |
1)Refers to the reference standard value sugges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 Technology..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Table 3 . Pantothenic acid contents in 22 pork cuts distributed in Korea.
Name of cut in Korea | US equivalent name | Pantothenic acid (mg/100 g) |
---|---|---|
Belly | 0.951±0.006defgh1) | |
1.423±0.003a | ||
0.791±0.006fghi | ||
0.520±0.126i | ||
1.278±0.012abcd | ||
Boston butt | 1.354±0.266ab | |
Fore leg | 1.018±0.268cdefg | |
0.819±0.269efghi | ||
1.325±0.011abc | ||
0.721±0.004fghi | ||
1.016±0.004cdefg | ||
1.436±0.193a | ||
Hind leg | 0.659±0.154hi | |
0.997±0.032defg | ||
1.125±0.254abcde | ||
1.037±0.316bcdef | ||
0.772±0.348fghi | ||
0.685±0.146ghi | ||
Loin | 0.711±0.305fghi | |
1.182±0.004abcd | ||
Rib | 0.959±0.257defgh | |
Tenderloin | 0.797±0.237efghi |
1)The same letters (a-i) do not differ significantly, based 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able 4 . Pyridoxine contents in 22 pork cuts distributed in Korea.
Name of cut in Korea | US equivalent name | Pyridoxine (mg/100 g) |
---|---|---|
Belly | 0.034±0.001bcdef1) | |
0.037±0.001bcd | ||
0.032±0.000def | ||
0.023±0.001g | ||
0.018±0.001h | ||
Boston butt | 0.036±0.001bcd | |
Fore leg | 0.035±0.001bcdef | |
0.032±0.002def | ||
0.031±0.000ef | ||
0.034±0.000bcdef | ||
0.034±0.002cdef | ||
0.034±0.001cdef | ||
Hind leg | 0.042±0.005a | |
0.035±0.001bcde | ||
0.039±0.005abc | ||
0.036±0.003bcde | ||
0.035±0.001bcdef | ||
0.037±0.003bcd | ||
Loin | 0.030±0.006f | |
0.033±0.001cdef | ||
Rib | 0.034±0.001bcdef | |
Tenderloin | 0.039±0.008ab |
1)The same letters (a-h) do not differ significantly, based 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