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KF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Online ISSN 2288-5978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12): 1304-131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12.130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Intake in Normal, Caution, and Metabolic Syndrome Groups: Data from the 2019 Eighth KNHANES

Min-Young Chong1 and Inhwa Han2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Inhwa Ha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uman Ec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hak-ro 99,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E-mail: ihan@cnu.ac.kr

Received: August 28, 2023; Revised: September 27, 2023; Accepted: September 28,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ent intakes of normal (0), caution (1~2), and metabolic syndrome (≥3, MS) groups, classified by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diagnosing criteria using data from the eighth (2019) KNHANES. The caution group was the largest group. Male, older age, lower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increase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takes of protein, lipid, and dietary fiber were higher in the M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but intakes of carbohydrates and sugars were higher in the normal group. Intakes of energy, lipid, PUFA, n-6 FA, and sodi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one-symptom subgroups of the caution group, and T (high blood triglyceride) group showed the highest intake amounts for all and the H (low blood HDL-cholesterol) group the lowest. Intakes of protein, cholesterol, and ir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takes of the two-symptoms subgroups, additionally to the one-symptom subgroups.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SFA, PUFA, n-3 FA, n-6 FA, cholesterol, phosphorus, sodium,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3-symptoms subgroups of the MS group, and these intak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4~5 symptoms subgroups except for MUFA and n-3 FA. These results represented that nutrient intakes differ among the groups with different degrees of metabolic syndrome and suggests that dietary patterns should be modified accordingly.

Keywords: metabolic syndrome, nutrient intake, macronutrient, mineral, vitamin

대사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 및 비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Shim 등, 2015; Ushula 등, 2022),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주요 질환의 발생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와 Choi, 2022). 또한 대사증후군 증상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암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guyen 등, 2022). 세계적으로 대사증후군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2001년에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NCEP ATP III)에서 기준을 정하여 보고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그 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은 허리둘레가 남성 90 cm, 여성 85 cm 이상인 복부비만, 130/85 mmHg 이상의 혈압, 100 mg/dL 이상의 공복혈당, 남성 40 mg/dL, 여성 50 mg/dL 이하의 혈중 HDL 콜레스테롤 농도와 150 mg/dL 이상의 혈중 중성지방 등 5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 중 3가지 이상의 요소에서 이상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를 대사증후군이라 한다(KDCA, 2021). NCEP ATP III와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기준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비만에 대한 정의이다. 비만의 기준은 인종과 지역에 따라 달라지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대한비만학회에서 정한 비만 기준(Lee 등, 2006; Lee 등, 2007)을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고 NCEP ATP III의 경우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남성 102 cm, 여성 88 cm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Stern 등, 2004).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병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는 만큼 비만뿐만 아니라 나이, 성별, 교육 수준 등의 일반적 요인과 음주, 흡연, 운동 등 다양한 생활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Chong과 Han, 2022; Jeon과 Cho, 2016; Nguyen 등, 2022; Park 등, 2022). 이에 따라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인지행동 치료, 금연, 절주 등을 포함한 생활습관 교정, 운동이나 직업적 활동을 통한 신체활동 권고를 예방 및 치료 항목으로 포함하였으며, 또한 지방, 콜레스테롤, 탄수화물 등의 각 영양소와 채소, 과일 등의 식품군에 대한 섭취 안내를 포함하였다(Shim 등, 2015).

대사증후군의 치료도 중요하지만 대사증후군의 발생빈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인을 2개 이하로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에 대한 관리도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대상자들을 대사증후군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가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Ryu 등, 2021), 위험 요소를 2개 가진 그룹의 crude mortality가 1.39, 대사증후군은 1.38로 나타나 두 그룹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Nguyen 등, 2022).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인을 2개 이하 가지고 있는 그룹의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건강 행위나 임상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식품과 영양소의 섭취도 대사증후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대사증후군에 대한 탄수화물, 지질 등의 부정적인 영향과 비타민, 식이섬유 등의 긍정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Nguyen, 2023; Nirdnoy 등, 2023; Suliga 등, 2015). 이러한 정보에 따라 대사증후군 환자 일반인이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문제점이 있다면 개선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진단 그룹과 정상 그룹, 그리고 대사증후군 요인을 1~2개 가진 주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영양섭취 상태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영양섭취 상태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제8기 1차 연도인 201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응답자 8,110명 중 본 criteria 연구에 사용된 연구 대상 항목 중에서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한 5,0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항목 중 일반적 특성 항목인 성별, 나이, 가구 소득, 교육 수준은 건강 설문조사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혈압, 혈당, H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혈중 농도는 검진 조사 중 혈액검사에서, 복부비만 계산을 위한 허리둘레는 검진 조사 중 신체 계측 조사 자료에서 수집하였다. 영양섭취량은 영양조사 중 식생활조사의 영양소 섭취현황으로 제시된 영양소에 한정된 자료에서 수집하였다. 이는 식품섭취조사를 통해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개인별 식품 섭취량에 대해 식품별로 국가표준식품성분 DB에 근거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구하여 개인별로 합산한 각 영양소의 하루 섭취량에 해당하는 것이다(심의면제 승인번호: 1041465- 202307-HR-002-21).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른 그룹의 분류

본 연구는 제8기 1차 연도인 201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실시한 건강 설문조사와 검진 조사, 영양조사에 응답한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이 되는 복부비만, 혈압 상승, 혈당 상승, HDL 콜레스테롤 저하와 중성지방 상승, 5가지 구성요소에서(KDCA, 2021) 모두 정상치를 나타내는 정상군(Normal), 1~2개의 증상을 나타내는 주의군(Caution), 3개 이상인 대사증후군(Syndrome)으로 나누었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정상군, 주의군, 대사증후군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영양조사에서 제시한 영양소에 대한 것에 한정하여 다량영양소, 무기질, 비타민 등으로 분류하였다. 다량영양소로는 에너지,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수분의 섭취량을 조사하였으며 탄수화물에서는 당류와 식이섬유, 지질에서는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 단일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n-3 지방산(n-3 FA), n-6 지방산(n-6 FA)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량도 비교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보고된 무기질인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의 섭취량을 비교하였으며, 비타민은 비타민 A, β-카로틴,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비타민 C의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 개수와 원인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5가지 진단 기준인 비만(obesity, O), 혈압 상승(high blood pressure, P), 혈당 상승(high blood glucose, G), 혈중 HDL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low blood HDL-cholesterol, H), 혈중 중성지방 상승(high blood triglyceride, T) 중 진단 요인 개수 1, 2, 3, 4(5가지 포함)개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그룹 내에서 원인의 종류에 따라 영양섭취량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예를 들어 2가지 요인을 가진 그룹의 경우 O+P, O+G, O+H, O+T, P+G, P+H, P+T, G+H, G+T, H+T의 10개의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고 마찬가지 분류로 1가지 요인은 5개의 하위 그룹, 3가지 요인을 가진 그룹의 경우 10개, 4가지 또는 5가지 요인을 가진 그룹 6개로 분류하여 영양섭취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주의 그룹 및 대사증후군 그룹 내에서의 영양섭취량도 비교하였다.

통계 처리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 자료를 바탕으로 층화변수(kstrata), 집락변수(psu), 통합가중치(건강설문, 검진, 영양조사 가중치; wt_tot)를 반영하여 복합표본설계 파일을 생성하였고 목적에 따라 SPSS 프로그램(ver. 28, IBM Corp.)으로 분석하였다. 영양소별 섭취량 비교를 위해 복합표본 기술통계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별 분포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카이제곱(χ2)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일반 선형모형에서 t-검정과 공분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변수에 따라 제시된 빈도(n)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기반한 연구 대상 자료에 대한 빈도이고 비율(%), 평균(M), 표준오차(SE)는 분석대상자에 대해 가중치가 반영된 추정치이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증상을 3개 이상 가진 대사증후군 그룹, 1~2개를 나타내는 주의 그룹, 증상이 없는 정상 그룹과 주의와 대사증후군 그룹을 다시 증상 수에 따라 하위 그룹으로 나눈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포는 Table 1과 같다. 정상군에 속하는 연구 대상자는 1,282명, 주의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는 1,932명, 대사증후군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는 1,846명으로 나타나 주의 그룹의 비율이 남자 40.0%, 여자 37.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남자는 정상 그룹의 비율이 23.7%, 여자는 대사증후군 그룹이 28.4%로 나타나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1). 주의 그룹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는 대사증후군으로 진행을 막기 위해 주의 그룹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대사증후군 증상 수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정상 그룹(증상 수 0)의 비율이 가장 높다가 증상 수가 많아질수록 그 비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중에서 정상 그룹(증상 수 0)과 1가지 증상 그룹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비율이 높고, 2~4가지 증상 그룹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비율이 높아 남자가 여자보다 대사증후군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남자는 36.2%, 여자는 28.4%, 전체 32.3%로 나타났는데 이는 1998년 24.9%, 2007년 31.3%(Lim 등, 2011)에 비해 비록 증가 추세는 감소했으나 여전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연구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았는데(Kang과 Kim, 2012), 2019년 자료를 활용한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 (%)

VariablesNormal1)CautionMSP



02) (n=1,282)1 (n=1,036)2 (n=896)Total (n=1,932)3 (n=834)4 (n=640)5 (n=372)Total (n=1,846)
Sex
Male429 (23.7)3)453 (21.5)421 (18.6)874 (40.0)413 (18.1)305 (13.2)141 (5.0)859 (36.2)<0.0014)
Female853 (34.5)583 (22.1)475 (15.0)1058 (37.0)421 (12.1)335 (9.6)231 (6.8)987 (28.4)
Age (Years)
19-29342 (58.4)144 (25.7)44 (7.4)188 (33.1)33 (5.6)13 (2.2)3 (0.7)49 (8.5)<0.001
30-49639 (37.0)400 (23.8)276 (16.0)676 (39.7)180 (12.0)133 (8.5)41 (2.7)354 (23.2)
50-64212 (14.3)321 (22.1)312 (21.9)633 (44.0)297 (20.2)203 (14.9)113 (6.6)613 (41.7)
65-7458 (7.8)101 (13.6)156 (19.4)257 (32.9)191 (21.8)178 (21.0)130 (16.4)499 (59.3)
≥7531 (5.9)70 (12.8)108 (20.3)178 (33.0)133 (24.1)113 (20.8)85 (16.1)331 (61.1)
Household Income (quartile)
Low134 (18.7)153 (17.7)180 (17.5)333 (35.1)208 (19.0)172 (16.3)123 (10.8)503 (46.2)<0.001
Middle Low274 (23.5)265 (22.2)244 (18.3)509 (40.5)226 (15.7)186 (13.3)103 (7.0)515 (36.0)
Middle High367 (31.5)271 (21.2)232 (17.0)503 (38.1)200 (14.2)152 (11.4)78 (4.8)430 (30.3)
High507 (35.9)347 (23.7)240 (15.1)587 (38.8)200 (13.5)130 (7.9)68 (3.9)398 (25.3)
Education level
≤Elementry school57 (6.1)121 (12.3)183 (19.3)304 (31.6)223 (22.4)210 (21.5)172 (18.4)605 (62.3)<0.001
Middle school50 (10.7)78 (18.9)95 (19.7)173 (38.6)111 (22.0)81 (16.6)58 (12.1)250 (50.7)
high school438 (30.6)384 (24.0)292 (15.9)676 (39.8)279 (15.6)181 (9.8)85 (4.1)545 (29.6)
≥College737 (37.8)453 (23.2)326 (16.2)779 (39.4)221 (11.3)168 (8.9)57 (2.6)446 (22.8)

1)Based on 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0:normal, 1-2:Caution, ≥3:Metabolic syndrome(MS)].

2)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3)n is Unweighted frequency, % is row percentage estimates.

4)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crosstabs.



연령대, 가구 소득, 교육 수준 모두 대사증후군 증상에 따른 그룹 분류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19~29세 사이에서는 정상 그룹이 58.4%, 주의 그룹이 33.1%, 대사증후군 그룹이 8.5%로 나타났고 75세 이상에서는 각각 5.9%, 33.0%, 61.1%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정상 그룹의 비율은 감소하고 대사증후군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의 그룹의 경우 50~ 64세 사이에 가장 높게 나타난 후 감소하였는데, 이는 65세 이후에는 주의 그룹이었던 대상자가 대사증후군 그룹으로 이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의 그룹 내에서 1가지 증상을 가지는 그룹과 2가지 그룹의 비율도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1가지 증상 그룹은 감소하고 2가지 증상 그룹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대사증후군 그룹에서는 3~ 5가지 증상을 가지는 그룹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주의 그룹에서 대상자의 지속적인 편입을 확인할 수 있다.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Lim 등, 2011),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Choi 등, 2022)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타내어 연령의 증가가 대사증후군의 유병율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가구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그룹의 경우 정상 그룹이 18.7 %, 주의 그룹이 35.1%, 대사증후군 그룹이 46.2%였고 가장 높은 그룹은 각각 35.9%, 38.8%, 25.3%로 나타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대사증후군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 그룹의 비율은 가구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가구 소득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다른 그룹에서 주의 그룹 중 1가지 증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2가지 증상 그룹은 감소하였고 대사증후군 그룹은 3~5가지 증상 그룹 모두 가구 소득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프랑스에서 3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자의 경우 가구 소득이 760유로 미만인 그룹의 대사증후군 비율이 그 이상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남자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Dallongeville 등, 2005).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에서도 여자의 경우에만 가구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rak 등, 2022). 2019년도 자료에 기반한 연구에서는 남자만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와 남녀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Chong과 Han, 2022),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록 남자에 대한 경제 수준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으나 전체 대사증후군 발생률에 대한 가구 소득의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 수준의 경우 초등 졸업 이하일 때 정상 그룹 6.1%, 주의 그룹 31.6%, 대사증후군 그룹 62.3%로 나타났으며 대학 졸업 이상인 경우 각각 37.8%, 39.4%, 22.8%로 나타나 교육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대사증후군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구 소득 수준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주의 그룹과 대사증후군 그룹 내에서 증상 수에 따른 변화도 교육 수준이 증가할수록 1가지 증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2~5가지 증상 그룹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중 특정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대상자에 관한 연구에서도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Jung 등, 2002),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기반한 연구에서도 여자의 경우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아(Kang과 Kim, 2012) 교육 수준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 수행된 The Japan Multi-Institutional Collaborative Cohort (J-MICC) 자료에 기반한 대사증후군 연구에서도 중등 이하 학력자의 대사증후군 비율이 고등 입학 이상의 학력자보다 높다고 보고하여(Nguyen 등, 2022),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 교육 수준은 대사증후군 발생률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포함된 증상 수에 따라 분류된 정상, 주의와 대사증후군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인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과 에너지 섭취량 중 에너지 섭취량을 제외하고 모두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1,904.42 ~1,969.18 kcal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중 19세 이상 성인 여자 1,500~2,000 kcal, 남자 1,900~ 2,600 kcal 범위(MOHW와 KNS, 2020) 안에 포함되는 섭취량이다. 단백질 섭취량은 69.27~75.57 g으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보다 높게 나타났고 지질 섭취량과 함께 정상 그룹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대사증후군 그룹이 284.35±3.44 g으로 정상 그룹 270.93±4.00 g, 주의 그룹 280.58±3.77 g보다 높게 나타나 대사증후군 그룹은 단백질, 지질은 적게, 탄수화물은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 연구에서 정상 그룹의 육류 소비량이 대사증후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곡류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수치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Chong과 Han, 2022), 이러한 식품군의 섭취 경향이 정상 그룹에서 대사증후군 그룹보다 단백질과 지질 섭취가 높고 탄수화물 섭취가 낮은 경향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호주에서 21년 동안 섭취한 식이를 추적 조사하기 위해 고지방 유제품, 육류, 가공식품 등을 많이 섭취하는 Western 패턴과 채소류, 과일류, 어류, 저지방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Prudent 패턴으로 구분하여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Western 패턴 그룹에서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Ushula 등, 2022). 이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고지방 및 육류 식품의 섭취가 양의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에서 섭취량은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2016~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도 대사증후군 그룹의 에너지와 지질 섭취량이 정상 그룹보다 낮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Nguyen, 2023). 이는 에너지와 지질 섭취량이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정보가 오랜 기간 수행되어온 영양 관련 사업 등을 통해 대중에게 인식되어 식이조절이 이루어지고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Table 2 . Nutrient intake amounts of the groups divided by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Groups1)P

Normal (n=1,282)Caution (n=1,932)MS (n=1,846)
Macro-nutrientsEnergy (kcal)1,969.18±30.792)1,964.34±27.661,904.42±27.200.1723)
Protein (g)75.57±1.4373.70±1.3069.27±1.200.001
Carbohydrate (g)270.93±4.00280.58±3.77284.35±3.440.020
Sugars (g)64.69±1.5762.09±1.4756.70±1.30<0.001
Dietary fiber (g)21.88±0.4024.38±0.4224.93±0.41<0.001
Fat (g)54.82±1.3048.77±1.1041.92±1.04<0.001
Saturated FA (g)18.21±0.4715.77±0.4013.07±0.37<0.001
MUFA (g)17.96±0.4915.87±0.4213.52±0.38<0.001
PUFA (g)13.39±0.3412.29±0.2711.14±0.26<0.001
n-3 FA (g)1.85±0.051.87±0.051.83±0.050.795
n-6 FA (g)11.51±0.3010.40±0.249.31±0.23<0.001
Cholesterol (mg)301.22±8.17275.35±6.78245.83±6.53<0.001

MineralsCalcium (mg)513.72±10.01513.91±8.34501.82±9.210.544
Phosphorus (mg)1,075.86±17.491,075.61±15.441,025.83±15.110.020
Iron (mg)11.53±0.2311.95±0.2312.09±0.230.175
Sodium (mg)3,365.05±56.643,476.14±64.343,495.97±67.510.246
Potassium (mg)2,720.80±42.652,839.99±53.002,796.90±41.190.147

VitaminsVitamin A (μgRAE)385.32±8.76385.79±9.94380.90±16.010.961
β-Carotene (μg)2,520.53±69.322,811.41±85.722,969.67±93.16<0.001
Retinol (μg)174.97±6.58151.24±6.16133.33±12.470.002
Thiamin (mg)1.36±0.031.35±0.021.33±0.020.773
Riboflavin (mg)1.75±0.031.66±0.031.57±0.03<0.001
Niacin (mg)13.41±0.2613.30±0.2712.54±0.220.010
Folic acid (μgDFE)302.30±5.82329.26±5.17333.47±5.22<0.001
Vitamin C (mg)67.23±2.3169.73±2.9665.14±2.070.405

Water (g)993.45±19.661,032.27±20.85977.77±18.400.053

1)Based on 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0: Normal, 1∼2: Caution, ≥3: Metabolic syndrome (MS)].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탄수화물을 구성하는 식이섬유와 당류의 섭취량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당류는 정상 그룹이, 식이섬유는 대사증후군 그룹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01). 당류의 섭취는 음료 섭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Nirdnoy 등, 2023),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식품 섭취량을 비교한 연구에서 대사증후군의 음료 섭취량이 정상 그룹보다 낮게 나타나(Chong과 Han, 2022) 음료 섭취의 감소가 당류 섭취 감소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다. 당류는 대사증후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Ushula 등, 2022), 이에 대한 인식 강화로 대사증후군의 섭취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9년 자료에 따르면 대사증후군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정상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Chong과 Han, 2022), 채소류 섭취의 증가가 식이섬유의 섭취량 증가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지질은 총지질 섭취량과 함께 다양한 지방산 종류에 따른 영양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n-3 FA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정상 그룹, 주의 그룹, 대사증후군 그룹으로 갈수록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남아프리카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대사증후군의 SFA와 MUFA의 섭취량이 대사증후군 그룹이 높게 나타났고 PUFA의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여(Sekgala 등, 2022) SFA와 MUFA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PUFA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어 지역에 따라 대사증후군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질병에 대한 지질의 관련성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고 그 결과 섭취하는 지질의 총량보다는 지질의 형태, 종류가 중요한 인자라는 것이 알려졌다(Shim 등, 2015). 포화지방산은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촉진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며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는 반대 효과를 가지므로(Hammad 등, 2016; Suliga 등, 2015)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포화지방산의 섭취가 낮은 것은 긍정적이다. 다만 전체적인 지질 섭취량이 낮아 대사증후군 그룹의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도 낮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섭취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권장하는 대표적인 n-6 FA인 리놀레산의 19~49세 성인의 충분 섭취량이 8.5~13 g이고(MOHW와 KNS, 2020) 대사증후군 그룹의 n-6 FA 섭취량이 9.31±0.23 g이므로 이는 적정한 섭취 수준으로 생각된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무기질인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의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인에서만 정상 그룹과 주의 그룹의 섭취량이 대사증후군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016~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조사된 무기질인 칼슘, 나트륨, 칼륨, 인 4가지 모두 정상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는데(Nguyen, 2023) 이는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의 3가지 그룹으로 나눈 본 연구와 그룹 분류의 차이에 의해 더 유의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칼슘의 경우 평균필요량이 19~49세 사이의 남자 650 mg, 여자 550 mg인데(MOHW와 KNS, 2020) 501.82~513.91 mg으로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칼륨은 남녀 모두 3,500 mg이 충분섭취량인데 모든 그룹에서 700 mg 정도 낮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의 경우 권장섭취량이 남자 10 mg, 여자 14 mg인데 섭취량이 11.53~ 12.09 mg으로 적정수준으로 나타났다. 나트륨과 인의 경우 각각 충분섭취량 1,500 mg, 권장섭취량 700 mg인데 모든 그룹이 나트륨은 2배, 인은 1.5배 정도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K 비율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이 증가하는데(Baek과 Kim, 2023), 비록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본 연구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트륨의 섭취량은 높고 칼륨의 섭취량이 낮은 경향은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비타민 중 비타민 A, 티아민, 비타민 C는 그룹 간 섭취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β-카로틴과 엽산은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레티놀, 리보플라빈, 니아신은 정상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016~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정상 그룹과 대사증후군 그룹 사이의 섭취량을 조사했을 때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레티놀은 정상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A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Nguyen, 2023). 티아민과 비타민 C는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그룹 분류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된 기준량과 비교 시 비타민 A, 니아신, 비타민 C의 섭취량은 낮고 티아민, 리보플라빈의 섭취량은 높으며 엽산의 섭취량은 적정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A와 C, 엽산과 같은 비타민은 항산화성을 가지는 비타민으로 대사증후군의 초기 위험 지표로 알려진 혈중 플라스미노겐 활성억제제-1의 농도를 감소시키므로(Puchau 등, 2010), 이 비타민의 섭취 증가가 권장된다. 본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준량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으로 비타민 A와 C의 섭취량이 낮게 나타나 향후 섭취량 증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대사증후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당류 및 지방산에 대한 섭취량이 더 적게 나타난 것은 대사증후군 증상을 가진 대상자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 섭취량을 조절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Korea Healthy Eating Index(KHEI) 점수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누고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여자의 경우 점수가 가장 낮은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Choi 등, 2022), 이는 본 연구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사증후군 환자가 더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앞으로 비타민 A와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의 섭취량도 증가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 확대와 같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진단 개수와 원인에 따라 분류된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의 영양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중 1~2개의 증상을 가지는 주의 그룹을 다시 증상 개수에 따라 증상 1개를 가지는 하위 그룹과 2개를 가지는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다시 증상의 종류에 따라 영양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주의 그룹(n=1,932)에서 원인의 종류와 개수에 따라 분류된 모든 하위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 차이에 대한 통계량 F값에 의해 도출한 유의확률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주의 그룹 중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복부비만, 혈압 상승, 혈당 상승, HDL 콜레스테롤 저하와 중성지방 상승 중 1가지의 증상만을 가지는 하위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1 symptom of the caution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Intra-caution group (n=1,932)Subgroups of caution group1)P


PO (n=154)P (n=312)G (n=238)H (n=221)T (n=111)
Macro-nutrientsEnergy (kcal)<0.0013)2081.53±106.732)2034.99±58.642059.26±84.751771.12±72.502340.08±105.80<0.0013)
Protein (g)<0.00179.91±4.9475.21±2.7878.43±3.4571.92±4.2089.46±5.590.151
Carbohydrate (g)0.126290.60±12.71289.27±6.43295.53±12.06258.52±13.10290.68±10.050.195
Sugars (g)0.32366.54±4.0861.45±2.8765.64±3.7164.60±6.7870.58±4.580.434
Dietary fiber (g)0.44026.30±1.5424.52±0.7225.98±1.3221.47±1.6722.80±1.160.117
Fat (g)<0.00155.67±4.1849.45±2.3353.44±3.2547.01±2.7968.31±6.530.029
Saturated FA (g)<0.00117.96±1.5215.85±0.8717.10±1.1615.30±1.0422.84±2.680.074
MUFA (g)<0.00117.99±1.4616.20±0.9317.77±1.2715.52±1.1123.06±2.670.081
PUFA (g)<0.00114.25±1.1512.35±0.5713.22±0.7411.36±0.7115.59±1.150.016
n-3 FA (g)0.2621.97±0.161.92±0.091.92±0.121.72±0.112.05±0.160.429
n-6 FA (g)<0.00112.26±1.0010.42±0.5311.28±0.659.65±0.6313.51±1.020.012
Cholesterol (mg)<0.001308.85±20.24282.17±20.04287.62±18.69283.40±19.85334.27±23.950.486

MineralsCalcium (mg)0.123519.83±28.80517.13±17.96550.65±23.91470.37±22.89545.47±30.580.117
Phosphorus (mg)0.0101139.26±57.481092.14±32.911132.67±41.751044.47±57.361187.95±57.650.471
Iron (mg)0.01312.91±0.9612.25±0.4212.84±0.8410.90±0.4812.47±0.670.077
Sodium (mg)<0.0013824.19±275.583472.59±136.283766.75±184.433002.77±158.064125.66±205.76<0.001
Potassium (mg)0.2792967.42±146.252777.06±72.713041.01±119.782849.57±334.772896.78±144.620.288

VitaminsVitamin A (μgRAE)0.135399.95±30.96374.17±16.51434.08±35.25362.32±26.02439.19±29.120.195
β-Carotene (μg)0.1742938.04±294.782734.51±152.282949.07±174.002328.11±161.312850.55±219.980.053
Retinol (μg)<0.001154.78±15.33145.92±11.05188.08±30.00168.29±22.46201.44±25.650.292
Thiamin (mg)0.0231.39±0.071.34±0.051.46±0.061.24±0.071.47±0.090.083
Riboflavin (mg)<0.0011.77±0.101.65±0.061.84±0.081.63±0.101.98±0.110.070
Niacin (mg)<0.00113.57±0.9513.76±0.7513.93±0.5413.41±0.9215.62±1.000.436
Folic acid (μgDFE)0.044343.49±19.92328.23±9.87337.90±12.87295.81±18.10300.67±14.300.122
Vitamin C (mg)0.51371.13±5.1760.16±3.7575.33±13.0081.12±14.9369.25±8.190.177

Water (g)0.0171154.41±69.521044.62±42.081100.26±46.09975.51±83.291113.22±68.290.39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 전체에 대한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다량영양소의 경우 에너지, 단백질, 지질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탄수화물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수화물 중 당류와 식이섬유 섭취량도 차이가 없어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에는 차이를 보였던 결과(Table 2)와 대조적이다. 지질 중에서는 n-3 FA를 제외하고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은 하위 그룹 간에 유의한 섭취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무기질 중에서는 인, 철분과 나트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0.05). 철분과 나트륨의 경우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타민의 경우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비타민 A, β-카로틴과 비타민 C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β-카로틴의 경우,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 결과(Table 2)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주의 그룹의 전체 하위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티아민의 경우,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 결과(Table 2)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의 그룹 전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영양소에 따라 비교 그룹이 달라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그룹 간 섭취량 비교 중 주의 그룹의 전체 하위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일하게 물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사증후군의 발생과 항이뇨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의 분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물의 섭취가 적은 경우 바소프레신의 분비가 증가하므로(Saleem 등, 2009) 이는 물 섭취 부족이 대사증후군의 발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와 같이 Brunkwall 등(2020)의 연구에서도 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간의 유의한 의미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 간 물 섭취량 차이는 향후 다른 요소들을 배제하는 경우 물 섭취량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진단 요소 중 1가지 증상 그룹 5개 사이에서는 다량영양소 중 에너지와 지질 섭취량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지질의 구성요소 중 PUFA와 n-6 FA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able 1, P<0.05).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T로 2,340.08±105.80 kcal를 보였으며 가장 낮은 그룹은 H로 1,771.12±72.50 kcal를 나타내었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르면 본 조사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19~39세 성인의 에너지 필요추정량이 남자의 경우 2,500 kcal, 여자의 경우 1,900 kcal인데(MOHW와 KNS, 2020), H 그룹의 경우 평균 섭취량이 1,771.12± 72.50 kcal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지질 섭취량도 에너지와 같은 양상으로 T 그룹이 가장 높아 68.31±6.53 g, H 그룹이 가장 낮아 47.01±2.79 g으로 T 그룹 대비 H 그룹의 에너지, 지질 섭취량이 각각 24%, 30% 이상 낮게 나타났다. PUFA, n-6 FA 섭취량도 T 그룹이 가장 높고 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질 섭취량은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Nirdnoy 등, 2023), 이는 본 연구 결과 특히 중성지방이 높은 T 그룹의 지질 섭취량이 높게 나타나 이러한 영향을 뒷받침한다.

무기질과 비타민 중 나트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마찬가지로 T 그룹이 가장 높게, 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나트륨의 섭취량이 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긴 했으나 전체적으로 그 섭취량이 권장량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트륨의 섭취는 수분 보유량 증가, 말초 저항성 증가, 교감신경 민감성 증가 등에 의한 혈압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Nikniaz 등, 2022). 높은 Na/K는 비만, 혈중 중성지방을 높이며(Baek과 Kim, 2023), 고나트륨-지질 식이는 HDL 콜레스테롤을 낮춘다(Shi 등, 2023). 즉 나트륨은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거의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칼슘의 경우 여자의 평균필요량이 550 mg인데(MOHW와 KNS, 2020), G 그룹을 제외하고는 모두 550 mg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H 그룹의 경우 470.37 ±22.89 mg으로 섭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칼슘의 섭취를 증가시키면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이 개선되어 혈압이 낮아지는데(Villa-Etchegoyen 등, 2019), 높은 혈압을 가지는 P 그룹의 칼슘 섭취량이 가장 낮은 것은 아니나 영양섭취기준에 비해 낮은 칼슘의 섭취량이 혈압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유추된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소 중 2가지가 정상 수치를 벗어난 주의 그룹(n=896)은 O+P, O+G, O+H, O+T, P+G, P+H, P+T, G+H, G+T, H+T 10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하위 그룹별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 중 탄수화물을 제외한 에너지, 단백질, 지질 섭취량에서 하위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G+T로 2,052.99±137.27 kcal를 나타내었고 가장 낮은 그룹은 O+H로 1,565.59± 69.60 kcal였다. H를 원인으로 가지는 나머지 그룹 P+H, G+H, H+T 그룹 모두 1,700 kcal 대의 열량을 섭취하여 1,800 kcal 이상의 열량을 섭취하는 다른 그룹과 대조를 이루었다. 단백질과 지질도 O+H 그룹에서 섭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단백질은 O+G 그룹, 지질은 O+T 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복부비만(O)을 가지는 대상자의 경우 식품 섭취량이 적음을 의미한다.

Table 4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2 symptoms of the caution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caution group1)

O+P (n=116)O+G (n=78)O+H (n=60)O+T (n=72)P+G (n=204)P+H (n=45)P+T (n=67)G+H (n=46)G+T (n=62)H+T (n=146)P
Macro-nutrientsEnergy (kcal)1836.05±88.992)1973.14±95.551565.59±69.601918.80±118.941955.46±106.761767.43±135.452030.64±133.471711.00±157.772052.99±137.271794.98±55.640.0073)
Protein (g)65.91±3.5677.11±4.4355.95±4.0170.46±5.0469.16±3.8456.17±5.1475.74±6.5971.05±7.7272.69±6.8965.19±2.590.023
Carbohydrate (g)265.39±11.84284.06±14.85252.36±12.11270.97±14.04289.03±10.28289.31±16.33273.89±13.86256.10±22.54289.03±15.41271.62±7.830.351
Sugars (g)56.20±5.0065.22±5.6156.05±5.1955.86±4.9560.26±5.1264.33±6.4954.02±4.9954.93±5.2959.24±5.0757.80±2.990.842
Dietary fiber (g)23.94±1.4625.52±2.1723.48±1.6721.81±1.4726.15±1.2127.01±1.9725.04±1.5924.11±2.5424.96±1.7324.02±0.860.614
Fat (g)42.84±3.5347.06±5.2133.44±2.4947.52±4.5441.20±3.3835.16±3.9246.61±5.3043.36±5.8243.28±3.5444.24±2.480.041
Saturated FA (g)13.72±1.1915.29±1.6910.81±1.0115.76±1.8113.82±1.6910.87±1.4814.16±1.6114.05±2.0713.23±1.0814.20±0.880.114
MUFA (g)13.49±1.1915.33±2.1410.42±0.9915.75±1.5812.47±1.0111.10±1.4316.02±2.0214.61±2.4113.13±1.1213.89±0.870.065
PUFA (g)11.50±1.2012.06±1.269.08±0.5111.45±1.1010.83±0.839.58±1.0512.18±1.2810.34±1.3112.22±1.2311.98±0.820.045
n-3 FA (g)1.91±0.211.79±0.181.60±0.141.59±0.182.06±0.201.31±0.201.73±0.171.58±0.231.77±0.242.05±0.220.199
n-6 FA (g)9.59±1.0310.26±1.137.46±0.469.84±0.968.76±0.698.26±0.9610.40±1.158.76±1.1510.43±1.069.90±0.660.039
Cholesterol (mg)231.16±18.12300.03±34.90193.08±26.99278.27±35.96239.64±19.47145.79±21.84285.58±34.15305.84±52.71248.88±30.33247.83±20.510.002

MineralsCalcium (mg)455.48±29.29589.95±50.56481.28±37.08458.52±31.21526.63±23.55482.32±55.31502.18±44.00472.25±43.78513.04±36.59537.69±36.680.200
Phosphorus (mg)980.38±50.051151.16±63.63904.73±52.161009.27±65.861065.16±44.56910.02±73.031095.87±69.701049.70±90.031030.20±69.261016.57±37.830.146
Iron (mg)10.61±0.5512.30±1.019.79±0.5711.51±0.8412.18±0.6810.80±1.1313.18±0.9710.82±0.8211.87±0.8311.58±0.470.048
Sodium (mg)3027.63±191.533630.37±257.082861.68±212.373717.95±266.363462.35±181.832974.68±307.393245.05±234.862875.45±230.343756.50±342.533322.40±169.740.072
Potassium (mg)2634.48±148.393024.25±177.642516.48±140.902533.64±145.292897.00±124.552791.63±201.212861.62±189.212793.87±255.592839.18±179.582740.01±94.760.381

VitaminsVitamin A (μgRAE)346.56±31.68375.02±34.38325.90±35.18339.69±32.14374.12±26.85307.66±40.72452.27±67.17366.73±35.36390.57±61.89390.42±23.950.516
β-Carotene (μg)2440.52±207.342595.53±253.252752.85±333.522417.82±227.563183.52±297.202656.58±412.603976.48±748.002586.24±328.173239.47±696.972959.85±238.090.309
Retinol (μg)143.18±22.93158.73±27.7496.38±16.71138.05±21.60107.66±11.8086.27±15.40120.86±16.65151.21±20.92120.61±19.21143.54±15.230.050
Thiamin (mg)1.35±0.071.54±0.131.12±0.061.25±0.071.34±0.081.17±0.111.49±0.111.30±0.151.39±0.121.25±0.060.040
Riboflavin (mg)1.50±0.091.74±0.161.26±0.091.59±0.121.52±0.071.33±0.161.61±0.151.52±0.131.55±0.121.62±0.090.113
Niacin (mg)12.34±0.6812.94±0.779.76±0.6611.82±0.7312.80±0.7010.61±0.7614.05±1.2912.96±1.5513.79±1.5912.39±0.590.028
Folic acid (μgDFE)312.25±19.98342.51±25.37302.58±19.93296.11±20.62364.50±17.34302.11±28.60348.67±26.22348.76±36.27365.86±24.00351.63±16.140.068
Vitamin C (mg)58.71±5.9170.39±9.6968.36±8.1161.66±8.7466.27±5.2769.23±12.8959.33±7.9982.28±15.3280.13±19.3975.15±8.090.682

Water (g)916.27±56.321064.05±77.98834.31±52.44930.54±69.541029.59±64.32863.82±70.41965.88±74.051050.08±104.781033.02±90.881033.83±51.550.08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당류와 식이섬유를 포함한 탄수화물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UFA, n-6 FA,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PUFA와 n-6 FA는 G+T가 가장 높고 O+H가 가장 낮게, 콜레스테롤은 G+H 그룹이 가장 높고 P+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무기질과 비타민 중 철분, 티아민, 니아신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철분과 니아신은 P+T, 티아민은 O+G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가지 영양소 모두 O+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O+H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2가지 원인 중 G나 T를 가지는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철분 섭취의 증가와 함께 고혈압은 감소하고 중성지방과 혈당은 증가했다고 보고되었는데(Esfandiar 등, 2019), 1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철분 섭취가 높은 그룹의 증상으로 T, G뿐만 아니라 P도 나타나 철분 섭취와 대사증후군 요소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1가지 원인을 가지는 하위 그룹에서도 H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는데, 2가지 원인을 가지는 하위 그룹에서도 H를 원인으로 가지는 그룹에서 낮은 섭취량을 보여 영양소 섭취량이 낮은 경우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사증후군의 발생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보고된 식이 콜레스테롤(Wu 등, 2022)은 1가지 증상을 가지는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300 mg 이상 섭취하는 그룹으로는 가장 많이 섭취하는 그룹인 G+H, 2번째로 많이 섭취하는 그룹인 O+G 그룹으로 나타나 혈당 상승과 연관성이 있다고 짐작된다.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을 1가지 증상 하위 그룹과 비교 시 1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인 에너지, 지질, PUFA, n-6 FA, 나트륨 외에 단백질, 콜레스테롤, 철분이 추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 개수와 원인에 따라 분류된 대사증후군 그룹의 하위 그룹의 영양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중 3개 이상의 증상을 가지는 대사증후군 그룹을 다시 원인 개수에 따라 원인 3개를 가지는 그룹과 4개(5개 포함)를 가지는 그룹으로 나누고 다시 원인의 종류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소 중 3가지가 정상 수치를 벗어난 대사증후군 그룹(n=834)은 O+P+G, O+P+H, O+P+T, O+G+H, O+G+T, O+H+T, P+G+H, P+G+T, P+H+ T, G+H+T 10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그룹별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5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 중 당류와 식이섬유를 포함한 탄수화물과 MUFA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O+P+T 그룹에서 2,454.60±284.90 kca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O+P+H 그룹에서 1,488.21±96.77 kca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의 그룹에서와 마찬가지로 H를 원인으로 포함하는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에너지 섭취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과 지질도 O+P+T 그룹에서 가장 높게 O+P+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질로 인식되는 SFA와 콜레스테롤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고 O+P+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긍정적인 지질로 인식되는 PUFA, n-3 FA, n-6 FA는 O+H+T 그룹에서 가장 높고 n-6 FA는 P+G+H 그룹에서, PUFA와 n-3 FA는 P+H+T 그룹에서 낮게 나타났다. 무기질 중에서 인과 나트륨이, 비타민 중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이 그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인과 티아민은 P+G+T 그룹에서, 나트륨, 리보플라빈과 니아신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나트륨, 티아민과 리보플라빈 O+P+H 그룹에서 니아신은 P+G+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영양소의 경우 가장 높은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룹으로 O+P+T 그룹이 가장 많았으며 낮은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룹은 P와 H를 원인으로 가지고 있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중성지방 증가와 HDL 콜레스테롤 저하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는데(Shi 등, 2023), 본 연구에서 2가지 원인을 가지는 하위 그룹 중 O+G 그룹, 3가지 증상 하위 그룹 중 O+P+G 그룹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단백질 섭취가 높은 그룹은 T나 H를 원인으로 갖고 있지 않아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3 symptoms of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metabolic syndrome group1)P

O+P+G (n=182)O+P+H (n=53)O+P+T (n=54)O+G+H (n=38)O+G+T (n=65)O+H+T (n=97)P+G+H (n=53)P+G+T (n=57)P+H+T (n=137)G+H+T (n=98)
Macro-nutrientsEnergy (kcal)2003.77±86.152)1488.21±96.772454.60±284.901908.79±98.012172.91±193.412022.59±118.721656.97±124.332313.17±176.391671.43±66.561922.27±113.03<0.0013)
Protein (g)75.18±4.0954.18±5.0386.55±8.9668.75±4.9971.64±4.6680.70±6.2756.75±4.7683.85±7.1861.07±3.2771.14±4.15<0.001
Carbohydrate (g)285.52±11.57252.67±15.01330.27±26.53290.00±15.22310.00±18.23291.93±15.68267.64±16.88307.92±14.05269.63±10.41285.46±18.870.159
Sugars (g)54.28±3.0744.41±5.3559.34±7.2759.96±6.8653.56±5.5063.92±7.4851.98±5.1452.00±6.4063.42±5.2960.36±5.660.299
Dietary fiber (g)25.59±1.1422.89±2.2026.48±2.5823.27±1.7323.90±2.0225.09±1.7023.57±2.1128.89±2.8026.37±1.7225.02±1.580.827
Fat (g)41.14±2.5428.45±3.5054.64±7.6844.60±4.3945.12±5.0651.20±5.1134.27±5.1751.43±6.3833.76±2.2241.65±3.35<0.001
Saturated FA (g)12.08±0.677.90±0.9317.12±2.5913.87±1.1915.28±2.2815.83±1.9310.90±1.7816.78±2.2310.59±0.8012.99±1.12<0.001
MUFA (g)12.81±0.858.50±1.1518.55±2.9313.90±1.3514.26±1.5616.24±1.6110.66±1.8416.80±2.4010.56±0.7713.01±1.250.065
PUFA (g)12.30±1.019.36±1.6313.06±1.3712.05±1.7611.58±1.2514.19±1.459.04±1.2212.60±1.249.01±0.6611.61±0.990.006
n-3 FA (g)2.03±0.162.12±0.441.98±0.291.58±0.211.77±0.232.50±0.281.90±0.532.00±0.181.51±0.121.80±0.160.031
n-6 FA (g)10.26±0.917.21±1.2711.28±1.2310.46±1.589.79±1.0711.64±1.277.13±0.9610.59±1.137.49±0.589.77±0.880.003
Cholesterol (mg)280.24±26.71165.87±28.29325.18±57.36242.68±34.18277.47±31.87285.23±24.70175.53±22.10299.67±34.64197.73±17.71261.27±21.76<0.001

MineralsCalcium (mg)558.54±34.66443.81±46.06549.68±58.60496.71±45.03500.49±49.69510.72±45.06505.32±64.50578.40±50.25494.29±32.48508.49±32.500.689
Phosphorus (mg)1100.61±46.63853.81±63.181200.18±112.241011.47±62.761048.15±69.411136.97±73.22906.47±73.111223.33±59.80975.11±48.311043.87±55.900.002
Iron (mg)12.96±0.7610.10±0.9314.19±1.6612.70±1.4912.43±0.9912.86±1.019.81±0.9515.75±2.0611.46±0.5612.16±0.900.115
Sodium (mg)3760.04±211.832618.71±222.194596.77±374.043144.85±235.693456.85±285.913769.13±289.073237.82±341.013927.23±265.313033.45±195.883510.21±243.37<0.001
Potassium (mg)2930.38±120.522472.81±243.553090.82±312.602793.00±199.062837.92±254.472953.79±196.942590.71±237.983162.49±159.442810.48±164.062835.07±144.260.454

VitaminsVitamin A (μgRAE)379.85±25.41387.70±108.11375.62±45.70296.64±32.21364.56±40.46463.23±68.22358.20±44.00395.59±40.23349.64±28.61347.99±19.890.407
β-Carotene (μg)3011.79±228.372830.57±551.903167.18±479.672426.41±287.412949.29±423.143209.13±368.872984.60±421.112930.67±376.132890.12±284.132812.60±194.880.821
Retinol (μg)128.53±12.56151.82±82.74111.69±13.8994.34±17.44118.79±16.46195.80±61.85107.09±24.90151.37±37.85108.74±13.62113.60±11.910.760
Thiamin (mg)1.33±0.051.14±0.111.57±0.151.29±0.091.30±0.091.42±0.111.16±0.091.79±0.141.20±0.061.37±0.110.009
Riboflavin (mg)1.65±0.091.22±0.102.05±0.211.58±0.111.75±0.201.64±0.141.29±0.131.71±0.111.42±0.081.65±0.100.001
Niacin (mg)13.76±0.7610.74±0.9015.77±1.7613.05±1.1012.89±1.0213.67±0.9910.16±0.7714.83±0.7711.46±0.6313.80±0.920.002
Folic acid (μgDFE)351.76±15.63314.49±23.18362.46±45.15303.68±23.67352.41±26.78326.19±20.99293.14±29.42403.13±27.20318.34±17.37342.53±20.550.169
Vitamin C (mg)62.32±5.4760.06±10.7162.26±7.7056.27±10.0667.14±8.6766.40±9.5756.51±8.3363.38±7.0171.31±7.1277.96±11.670.946

Water (g)992.69±52.77871.09±92.291204.13±125.41927.34±96.971035.03±126.911033.64±81.38819.65±71.371204.26±95.40920.37±64.911112.65±90.500.08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3가지 증상 그룹은 2가지 증상 그룹에서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보인 에너지, 단백질, 지질, PUFA, n-6 FA, 콜레스테롤, 철분, 나트륨 중 철분을 제외하고 추가로 SFA, n-3 FA,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더 많은 영양소에서 섭취량 차이를 나타냈다. 대사증후군의 증상 수가 증가할수록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영양소의 종류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소 중 4 또는 5가지가 정상 수치를 벗어난 대사증후군 그룹(n=1,012)은 O+P+G+H, O+P+ G+T, O+P+H+T, O+G+H+T, P+G+H+T, O+P+G+ H+T 6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그룹별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 중 진단 요소 3가지를 가지는 대사증후군 그룹과 마찬가지로 당류, 식이섬유를 포함한 탄수화물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n-3 FA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하위 그룹 간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O+ P+G+T 그룹에서 2,347.63±117.43 kcal로 가장 높았으며 O+P+G+H+T 그룹에서 1,694.21±39.61 kca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도 같은 결과를 보였으며, 지질은 O+P+G+T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섭취량이 가장 낮은 그룹은 O+P+G+H였다. SFA, MUFA,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 모두 O+P+G+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FA와 MUFA는 O+P+G+H 그룹에서,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은 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대로 SFA는 대사증후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불포화지방산(MUFA+PUFA)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Sekgala 등, 2022) 지방산으로 SFA의 섭취량은 줄이고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은 늘리는 방향의 개선이 필요한데 2가지의 지방산 섭취량이 함께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포화와 불포화를 구분하여 섭취할 수 있는 식생활 개선이 필요하다.

Table 6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4 or 5 symptoms of the metabolic syndrome (MS)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metabolic syndrome group1)Intra-MS (n=1,846)


O+P+G+H (n=68)O+P+G+T (n=92)O+P+H+T (n=158)O+G+H+T (n=146)P+G+H+T (n=176)O+P+G+H+T (n=372)PP
Macro-nutrientsEnergy (kcal)1746.64±119.602)2347.63±117.431911.04±96.671911.31±108.161748.64±70.041694.21±39.61<0.0013)<0.001
Protein (g)63.10±5.5584.30±4.6567.15±3.9669.54±4.2063.12±3.5762.39±2.090.002<0.001
Carbohydrate (g)276.51±12.72317.64±17.86276.43±9.96295.28±16.00277.28±8.98266.03±5.600.1160.074
Sugars (g)56.59±4.8553.80±4.6462.94±4.3865.88±6.3352.36±3.1150.90±2.180.0770.140
Dietary fiber (g)24.69±1.9325.13±1.7723.86±1.0725.35±1.4424.69±1.0124.25±0.630.9560.971
Fat (g)32.81±2.8757.08±4.7448.92±5.0644.88±3.7335.17±3.0135.31±1.69<0.001<0.001
Saturated FA (g)9.17±0.8718.66±1.7215.77±1.9613.67±1.3011.11±1.0610.80±0.55<0.001<0.001
MUFA (g)10.26±1.0119.55±1.9616.76±2.1014.58±1.3111.15±1.1211.32±0.68<0.001<0.001
PUFA (g)9.86±0.8713.27±0.9011.30±0.8412.16±1.009.35±0.699.74±0.480.009<0.001
n-3 FA (g)1.77±0.231.70±0.121.94±0.141.76±0.131.63±0.171.69±0.130.7760.089
n-6 FA (g)8.04±0.7511.56±0.819.40±0.7410.36±0.927.71±0.628.04±0.390.002<0.001
Cholesterol (mg)241.48±46.27313.03±29.42249.81±27.26241.76±20.72209.35±19.07213.17±15.060.032<0.001

MineralsCalcium (mg)408.75±36.72542.43±29.22486.10±26.16511.38±30.49480.14±30.17471.66±16.510.1070.365
Phosphorus (mg)914.73±63.621156.89±54.601016.26±50.141024.33±56.96964.70±43.59942.46±26.420.022<0.001
Iron (mg)11.03±1.1012.29±0.8211.69±0.5912.95±1.0510.79±0.4911.43±0.470.3620.117
Sodium (mg)3235.36±303.484326.82±270.913487.94±270.543822.94±329.493065.54±175.683211.62±118.220.003<0.001
Potassium (mg)2500.06±156.082958.71±193.242768.45±131.962844.85±153.012733.16±124.872619.19±78.900.3590.233

VitaminsVitamin A (μgRAE)505.82±206.48385.39±36.16358.93±28.46398.03±45.14317.10±21.20403.24±54.890.4100.485
β-Carotene (μg)2640.84±314.963141.55±384.222926.18±245.083169.84±260.242701.06±203.673082.84±257.470.6760.861
Retinol (μg)285.74±204.30123.26±12.24115.08±12.21133.70±33.8792.01±8.99146.53±45.850.2660.703
Thiamin (mg)1.07±0.061.55±0.131.35±0.101.42±0.101.23±0.051.25±0.050.0040.002
Riboflavin (mg)1.32±0.151.95±0.111.66±0.191.61±0.111.40±0.081.41±0.06<0.001<0.001
Niacin (mg)11.99±1.3914.39±0.8412.59±0.7512.64±0.8711.39±0.5410.91±0.410.003<0.001
Folic acid (μgDFE)302.17±24.15358.98±27.97321.84±13.86340.50±21.64315.04±11.95324.92±10.130.6590.320
Vitamin C (mg)55.87±7.8961.19±7.9370.49±9.0267.36±7.1567.46±5.9461.27±3.570.6930.977

Water (g)899.82±95.201047.14±71.70926.31±57.91989.85±60.68996.49±52.70874.05±31.620.1500.113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3가지 증상 그룹과 마찬가지로 무기질 중에서 인과 나트륨이, 비타민 중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이 그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5가지 영양소 모두 O+P+G+T 그룹에서 섭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인, 티아민과 리보플라빈은 O+P+G+H, 나트륨은 P+G+H+T, 니아신은 O+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PUFA, n-3 FA, n-6 FA, 콜레스테롤, 인, 나트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이었는데, 이 중 n-3 FA는 4~5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MUFA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대사증후군 그룹의 하위 그룹은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보다 다양한 영양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사증후군 그룹(n=1,846)의 전체 하위 그룹 간 섭취량 차이에 대하여 통계량 F값에 의해 도출한 유의확률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전체 하위 그룹에서 다량영양소인 에너지, 단백질, 지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주의 그룹에서와 마찬가지로 탄수화물은 차이가 없었다(P<0.001). 탄수화물인 당류, 식이섬유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지질은 n-3 FA를 제외한 모든 조사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1) 주의 그룹과 같은 영양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무기질은 인과 나트륨, 비타민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주의 그룹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P<0.01). 대사증후군 전체 하위 그룹 간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보인 영양소 외에 주의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는 철분, 레티놀, 엽산, 물로 나타나 대사증후군 그룹보다 주의 그룹 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영양소가 다양했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19세 이상 성인 5,060명 중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증상을 3개 이상 가진 대사증후군 그룹이 1,846명, 1~2개를 나타내는 주의 그룹이 1,932명, 증상이 없는 정상 그룹이 1,282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주의 그룹의 비율이 남자 40.0 %, 여자 37.0%로 남녀 모두 가장 높았고 남자는 정상 그룹의 비율이 낮고 여자는 대사증후군 그룹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P<0.001). 주의 그룹은 다시 증상 수에 따라 1가지 증상 하위 그룹,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으로, 대사증후군 그룹은 3가지와 4가지(5가지 포함) 증상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남녀 모두 정상 그룹(증상 수 0)의 비율이 가장 높다가 증상 수가 많아질수록 그 비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상 수 1가지 이하인 경우는 여자의 비율이 높고 2~5가지 증상 그룹은 남자의 비율이 높았다. 연령대, 가구 소득, 교육 수준 모두 대사증후군 증상에 따른 그룹 분류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그룹의 비율이 높았으며 가구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그룹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대사증후군 그룹은 단백질, 지질은 적게, 탄수화물은 많이 섭취하였다(P<0.05). 당류는 정상 그룹이, 식이섬유는 대사증후군 그룹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01).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정상 그룹, 주의 그룹, 대사증후군 그룹으로 갈수록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인, β-카로틴, 엽산, 레티놀, 리보플라빈, 니아신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사증후군의 증상 수에 따라 분류된 하위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1가지 증상 하위 그룹 간에는 에너지, 지질, PUFA, n-6 FA, 나트륨 섭취량에서 차이를 보였는데(P<0.05)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T, 가장 낮은 그룹은 H였다.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PUFA, n-6 FA, 콜레스테롤, 철분, 티아민, 니아신 섭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G+T이고 가장 낮은 그룹은 O+H였다. PUFA와 n-6 FA는 G+T가 가장 높고 O+H가 가장 낮으며, 콜레스테롤은 G+H 그룹이 가장 높고 P+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철분과 니아신은 P+T, 티아민은 O+G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가지 영양소 모두 O+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PUFA, n-3 FA, n-6

FA, 콜레스테롤, 인, 나트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나타냈다(P<0.05).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와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고 O+P+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UFA, n-3 FA, n-6 FA는 O+H+T 그룹에서 가장 높고 n-6 FA는 P+G+H 그룹에서, PUFA와 n-3 FA는 P+H+T 그룹에서 낮게 나타났다. 인과 티아민은 P+G+T 그룹에서, 나트륨, 리보플라빈과 니아신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나트륨, 티아민과 리보플라빈은 O+P+H 그룹에서, 니아신은 P+G+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가지(5가지 포함) 증상을 나타내는 하위 그룹은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인, 나트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O+P+G+T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O+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질, SFA, MUFA,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 모두 O+P+G+T 그룹에서 가장 높았으나 지질, SFA와 MUFA는 O+P+G+H 그룹에서,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은 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의 그룹의 전체 하위 그룹 간에 유의한 섭취량 차이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인, 철분, 나트륨,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물에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 그룹은 이 중 철분, 레티놀, 엽산, 물을 제외한 영양소에서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대사증후군 내에서도 증상 유형과 증상 수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대사증후군 전반에 대한 식생활 개선도 필요하나 증상에 따라 차별화된 식생활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는 향후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높이는 영양소를 확인하고 맞춤형 식생활을 제안하기 위한 odds ratio 분석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2023학년도 광주여자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며(KWU23-045) 이에 감사드립니다.

  1. Baek SY, Kim HK. Association of dietary sodium-to-potassium ratio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ents. 2023. 15:3134. https://doi.org/10.3390/nu15143134.
    Pubmed KoreaMed CrossRef
  2. Brunkwall L, Ericson U, Nilsson PM, et al. High water intake and low urine osmolality are associated with favorable metabolic profile at a population level: low vasopressin secretion as a possible explanation. Euro J Nutr. 2020. 59:3715-3722.
    Pubmed KoreaMed CrossRef
  3. Choi SA, Chung SS, Rho JO. Benefits of adherence to the Korea Healthy Eating Index on the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alysis of the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22. 55:120-140.
    CrossRef
  4. Chong MY, Han I. Distribu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obesity and health behavior based on the eighth KNHANES at 2019. J Koran Soc Food Sci Nutr. 2022. 51:1136-1147.
    CrossRef
  5. Dallongeville J, Cottel D, Ferrières J, et al. Household incom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 sex- specific manner. Diabetes Care. 2005. 28:409-415.
    Pubmed CrossRef
  6. Esfandiar Z, Hosseini-Esfahani F, Mirmiran P, et al. Red meat and dietary iron intakes are associated with som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J Transl Med. 2019. 17:313. https://doi.org/10.1186/s12967-019-2059-0.
    Pubmed KoreaMed CrossRef
  7. Hammad S, Pu S, Jones PJ. Current evidence supporting the link between dietary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Lipids. 2016. 51:507-517.
    Pubmed CrossRef
  8. Jeon YK, Cho WJ.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shape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of middle-aged women by physical activity level.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6. 55:527-539.
  9. Jung CH, Park JS, Lee WY, et al.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Med. 2002. 63:649-659.
  10. Kang HM, Kim DJ.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status with metabolic syndrome in middle- aged Koreans. Korean J Med. 2012. 82:569-575.
    CrossRef
  11. KDCA. 2021 Health information. 2021 [cited 2023 Jul 15]. Available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12. Lee J, Choi K.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adults in metabolic syndrome patients according to taking medical care: Based on the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22. 27:321-340.
    CrossRef
  13. Lee S, Park HS, Kim SM, et al.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9.
  14. Lee SY, Park HS, Kim D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 75:72-80.
    Pubmed CrossRef
  15. Lim S, Shin H, Song JH,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 34:1323-1328.
    Pubmed KoreaMed CrossRef
  16. MOHW, KNS.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ix-xvii.
  17. Nguyen HD. Roles of mixed nutrient intakes on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19-80 years old: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J Diabetes Metab Disord. 2023. 22:401-413.
    Pubmed KoreaMed CrossRef
  18. Nguyen TV, Arisawa K, Katsuura-Kamano S, et al. Associations of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with cancer mortality: The Japan Multi-Institutional Collaborative Cohort (J-MICC) study. PLoS ONE. 2022. 17:e026955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69550.
    Pubmed KoreaMed CrossRef
  19. Nikniaz L, Mahmudiono T, Jasim SA, et al. Nutrient pattern analysis of mineral based, simple sugar based, and fat based diet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 comparative nutrient panel. BMC Endocr Disord. 2022. 22:51. https://doi.org/10.1186/s12902-022-00963-2.
    Pubmed KoreaMed CrossRef
  20. Nirdnoy N, anacharoenpong K Sr, Surawit A, et al. Validation of a Thai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emi- FFQ) for people at risk of metabolic syndrome. J Health Popul Nutr. 2023. 42:13. https://doi.org/10.1186/s41043-023-00353-x.
    Pubmed KoreaMed CrossRef
  21. Park YS, Kang SH, Jang SI, et al.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South Korea. Sci Rep. 2022. 12:13356. https://doi.org/10.1038/s41598-022-17361-2.
    Pubmed KoreaMed CrossRef
  22. Puchau B, Zulet MA, de Echávarri AG, et al. Dietary total antioxidant capac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me metabolic syndrome features in healthy young adults. Nutrition. 2010. 26:534-541.
    Pubmed CrossRef
  23. Ryu JL, Kim SH, Ju JS.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self-care agenc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atients at risk of metabolic syndrom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21. 47(2):17-30.
  24. Saleem U, Khaleghi M, Morgenthaler NG, et al. Plasma carboxy-terminal provasopressin (Copeptin): A novel marker of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2009. 94:2558-2564.
    Pubmed KoreaMed CrossRef
  25. Sekgala MD, Opperman M, Mpahleni B, et al. Association between macronutrient and fatty acid consumption and metabolic syndrome: A South African taxi driver surve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2. 19:15452. https://doi.org/10.3390/ijerph192315452.
    Pubmed KoreaMed CrossRef
  26. Shi J, Fang H, Cheng X, et al. Nutrient patterns and its association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7-17. Nutrients. 2023. 15:117. https://doi.org/10.3390/nu15010117.
    Pubmed KoreaMed CrossRef
  27. Shim JY, Kang HT, Kim SY,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metabolic syndrome. Korean J Fam Pract. 2015. 5:375-420.
  28. Stern MP, Williams K, Gonzalez-Villalpando C, et al. Does the metabolic syndrome improv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at risk of type 2 diabetes and/or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2004. 27:2676-2681.
    Pubmed CrossRef
  29. Suliga E, Kozieł D, Cieśla E, et al.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normal weight: a cross-sectional study. Nutr J. 2015. 14:55. https://doi.org/10.1186/s12937-015-0045-9.
    Pubmed KoreaMed CrossRef
  30. Ushula TW, Mamun A, Darssan D, et al.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among young adult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Clin Nutr. 2022. 41:1523-1531.
    Pubmed CrossRef
  31. Villa-Etchegoyen C, Lombarte M, Matamoros N, et al. Mechanism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calcium intake and high blood pressure. Nutrients. 2019. 11:1112. https://doi.org/10.3390/nu11051112.
    Pubmed KoreaMed CrossRef
  32. Wu F, Zhuang P, Zhan C, et al. Egg and dietary cholesterol consumption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nationwide cohort. J Acad Nutr Diet. 2022. 122:758-770.
    Pubmed CrossRef

Article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12): 1304-131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12.130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제8기 1차 연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 영양 섭취 비교 연구

정민영1․한인화2

1광주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Received: August 28, 2023; Revised: September 27, 2023; Accepted: September 28, 2023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Intake in Normal, Caution, and Metabolic Syndrome Groups: Data from the 2019 Eighth KNHANES

Min-Young Chong1 and Inhwa Han2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Inhwa Ha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uman Ec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hak-ro 99,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E-mail: ihan@cnu.ac.kr

Received: August 28, 2023; Revised: September 27, 2023; Accepted: September 28,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ent intakes of normal (0), caution (1~2), and metabolic syndrome (≥3, MS) groups, classified by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diagnosing criteria using data from the eighth (2019) KNHANES. The caution group was the largest group. Male, older age, lower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increase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takes of protein, lipid, and dietary fiber were higher in the M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but intakes of carbohydrates and sugars were higher in the normal group. Intakes of energy, lipid, PUFA, n-6 FA, and sodi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one-symptom subgroups of the caution group, and T (high blood triglyceride) group showed the highest intake amounts for all and the H (low blood HDL-cholesterol) group the lowest. Intakes of protein, cholesterol, and ir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takes of the two-symptoms subgroups, additionally to the one-symptom subgroups.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SFA, PUFA, n-3 FA, n-6 FA, cholesterol, phosphorus, sodium,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3-symptoms subgroups of the MS group, and these intak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4~5 symptoms subgroups except for MUFA and n-3 FA. These results represented that nutrient intakes differ among the groups with different degrees of metabolic syndrome and suggests that dietary patterns should be modified accordingly.

Keywords: metabolic syndrome, nutrient intake, macronutrient, mineral, vitamin

서 론

대사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 및 비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Shim 등, 2015; Ushula 등, 2022),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주요 질환의 발생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와 Choi, 2022). 또한 대사증후군 증상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암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guyen 등, 2022). 세계적으로 대사증후군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2001년에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NCEP ATP III)에서 기준을 정하여 보고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그 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은 허리둘레가 남성 90 cm, 여성 85 cm 이상인 복부비만, 130/85 mmHg 이상의 혈압, 100 mg/dL 이상의 공복혈당, 남성 40 mg/dL, 여성 50 mg/dL 이하의 혈중 HDL 콜레스테롤 농도와 150 mg/dL 이상의 혈중 중성지방 등 5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 중 3가지 이상의 요소에서 이상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를 대사증후군이라 한다(KDCA, 2021). NCEP ATP III와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 기준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비만에 대한 정의이다. 비만의 기준은 인종과 지역에 따라 달라지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대한비만학회에서 정한 비만 기준(Lee 등, 2006; Lee 등, 2007)을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고 NCEP ATP III의 경우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남성 102 cm, 여성 88 cm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Stern 등, 2004).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병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는 만큼 비만뿐만 아니라 나이, 성별, 교육 수준 등의 일반적 요인과 음주, 흡연, 운동 등 다양한 생활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Chong과 Han, 2022; Jeon과 Cho, 2016; Nguyen 등, 2022; Park 등, 2022). 이에 따라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인지행동 치료, 금연, 절주 등을 포함한 생활습관 교정, 운동이나 직업적 활동을 통한 신체활동 권고를 예방 및 치료 항목으로 포함하였으며, 또한 지방, 콜레스테롤, 탄수화물 등의 각 영양소와 채소, 과일 등의 식품군에 대한 섭취 안내를 포함하였다(Shim 등, 2015).

대사증후군의 치료도 중요하지만 대사증후군의 발생빈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인을 2개 이하로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에 대한 관리도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대상자들을 대사증후군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가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Ryu 등, 2021), 위험 요소를 2개 가진 그룹의 crude mortality가 1.39, 대사증후군은 1.38로 나타나 두 그룹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Nguyen 등, 2022).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인을 2개 이하 가지고 있는 그룹의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건강 행위나 임상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식품과 영양소의 섭취도 대사증후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대사증후군에 대한 탄수화물, 지질 등의 부정적인 영향과 비타민, 식이섬유 등의 긍정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Nguyen, 2023; Nirdnoy 등, 2023; Suliga 등, 2015). 이러한 정보에 따라 대사증후군 환자 일반인이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문제점이 있다면 개선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진단 그룹과 정상 그룹, 그리고 대사증후군 요인을 1~2개 가진 주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영양섭취 상태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영양섭취 상태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제8기 1차 연도인 201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응답자 8,110명 중 본 criteria 연구에 사용된 연구 대상 항목 중에서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한 5,0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항목 중 일반적 특성 항목인 성별, 나이, 가구 소득, 교육 수준은 건강 설문조사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혈압, 혈당, H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혈중 농도는 검진 조사 중 혈액검사에서, 복부비만 계산을 위한 허리둘레는 검진 조사 중 신체 계측 조사 자료에서 수집하였다. 영양섭취량은 영양조사 중 식생활조사의 영양소 섭취현황으로 제시된 영양소에 한정된 자료에서 수집하였다. 이는 식품섭취조사를 통해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개인별 식품 섭취량에 대해 식품별로 국가표준식품성분 DB에 근거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구하여 개인별로 합산한 각 영양소의 하루 섭취량에 해당하는 것이다(심의면제 승인번호: 1041465- 202307-HR-002-21).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른 그룹의 분류

본 연구는 제8기 1차 연도인 201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실시한 건강 설문조사와 검진 조사, 영양조사에 응답한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이 되는 복부비만, 혈압 상승, 혈당 상승, HDL 콜레스테롤 저하와 중성지방 상승, 5가지 구성요소에서(KDCA, 2021) 모두 정상치를 나타내는 정상군(Normal), 1~2개의 증상을 나타내는 주의군(Caution), 3개 이상인 대사증후군(Syndrome)으로 나누었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정상군, 주의군, 대사증후군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영양조사에서 제시한 영양소에 대한 것에 한정하여 다량영양소, 무기질, 비타민 등으로 분류하였다. 다량영양소로는 에너지,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수분의 섭취량을 조사하였으며 탄수화물에서는 당류와 식이섬유, 지질에서는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 단일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n-3 지방산(n-3 FA), n-6 지방산(n-6 FA)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량도 비교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보고된 무기질인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의 섭취량을 비교하였으며, 비타민은 비타민 A, β-카로틴,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비타민 C의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 개수와 원인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5가지 진단 기준인 비만(obesity, O), 혈압 상승(high blood pressure, P), 혈당 상승(high blood glucose, G), 혈중 HDL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low blood HDL-cholesterol, H), 혈중 중성지방 상승(high blood triglyceride, T) 중 진단 요인 개수 1, 2, 3, 4(5가지 포함)개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그룹 내에서 원인의 종류에 따라 영양섭취량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예를 들어 2가지 요인을 가진 그룹의 경우 O+P, O+G, O+H, O+T, P+G, P+H, P+T, G+H, G+T, H+T의 10개의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고 마찬가지 분류로 1가지 요인은 5개의 하위 그룹, 3가지 요인을 가진 그룹의 경우 10개, 4가지 또는 5가지 요인을 가진 그룹 6개로 분류하여 영양섭취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주의 그룹 및 대사증후군 그룹 내에서의 영양섭취량도 비교하였다.

통계 처리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 자료를 바탕으로 층화변수(kstrata), 집락변수(psu), 통합가중치(건강설문, 검진, 영양조사 가중치; wt_tot)를 반영하여 복합표본설계 파일을 생성하였고 목적에 따라 SPSS 프로그램(ver. 28, IBM Corp.)으로 분석하였다. 영양소별 섭취량 비교를 위해 복합표본 기술통계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별 분포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카이제곱(χ2)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일반 선형모형에서 t-검정과 공분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변수에 따라 제시된 빈도(n)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기반한 연구 대상 자료에 대한 빈도이고 비율(%), 평균(M), 표준오차(SE)는 분석대상자에 대해 가중치가 반영된 추정치이다.

결과 및 고찰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증상을 3개 이상 가진 대사증후군 그룹, 1~2개를 나타내는 주의 그룹, 증상이 없는 정상 그룹과 주의와 대사증후군 그룹을 다시 증상 수에 따라 하위 그룹으로 나눈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포는 Table 1과 같다. 정상군에 속하는 연구 대상자는 1,282명, 주의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는 1,932명, 대사증후군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는 1,846명으로 나타나 주의 그룹의 비율이 남자 40.0%, 여자 37.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남자는 정상 그룹의 비율이 23.7%, 여자는 대사증후군 그룹이 28.4%로 나타나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1). 주의 그룹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는 대사증후군으로 진행을 막기 위해 주의 그룹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대사증후군 증상 수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정상 그룹(증상 수 0)의 비율이 가장 높다가 증상 수가 많아질수록 그 비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중에서 정상 그룹(증상 수 0)과 1가지 증상 그룹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비율이 높고, 2~4가지 증상 그룹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비율이 높아 남자가 여자보다 대사증후군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남자는 36.2%, 여자는 28.4%, 전체 32.3%로 나타났는데 이는 1998년 24.9%, 2007년 31.3%(Lim 등, 2011)에 비해 비록 증가 추세는 감소했으나 여전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연구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았는데(Kang과 Kim, 2012), 2019년 자료를 활용한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 (%).

VariablesNormal1)CautionMSP



02) (n=1,282)1 (n=1,036)2 (n=896)Total (n=1,932)3 (n=834)4 (n=640)5 (n=372)Total (n=1,846)
Sex
Male429 (23.7)3)453 (21.5)421 (18.6)874 (40.0)413 (18.1)305 (13.2)141 (5.0)859 (36.2)<0.0014)
Female853 (34.5)583 (22.1)475 (15.0)1058 (37.0)421 (12.1)335 (9.6)231 (6.8)987 (28.4)
Age (Years)
19-29342 (58.4)144 (25.7)44 (7.4)188 (33.1)33 (5.6)13 (2.2)3 (0.7)49 (8.5)<0.001
30-49639 (37.0)400 (23.8)276 (16.0)676 (39.7)180 (12.0)133 (8.5)41 (2.7)354 (23.2)
50-64212 (14.3)321 (22.1)312 (21.9)633 (44.0)297 (20.2)203 (14.9)113 (6.6)613 (41.7)
65-7458 (7.8)101 (13.6)156 (19.4)257 (32.9)191 (21.8)178 (21.0)130 (16.4)499 (59.3)
≥7531 (5.9)70 (12.8)108 (20.3)178 (33.0)133 (24.1)113 (20.8)85 (16.1)331 (61.1)
Household Income (quartile)
Low134 (18.7)153 (17.7)180 (17.5)333 (35.1)208 (19.0)172 (16.3)123 (10.8)503 (46.2)<0.001
Middle Low274 (23.5)265 (22.2)244 (18.3)509 (40.5)226 (15.7)186 (13.3)103 (7.0)515 (36.0)
Middle High367 (31.5)271 (21.2)232 (17.0)503 (38.1)200 (14.2)152 (11.4)78 (4.8)430 (30.3)
High507 (35.9)347 (23.7)240 (15.1)587 (38.8)200 (13.5)130 (7.9)68 (3.9)398 (25.3)
Education level
≤Elementry school57 (6.1)121 (12.3)183 (19.3)304 (31.6)223 (22.4)210 (21.5)172 (18.4)605 (62.3)<0.001
Middle school50 (10.7)78 (18.9)95 (19.7)173 (38.6)111 (22.0)81 (16.6)58 (12.1)250 (50.7)
high school438 (30.6)384 (24.0)292 (15.9)676 (39.8)279 (15.6)181 (9.8)85 (4.1)545 (29.6)
≥College737 (37.8)453 (23.2)326 (16.2)779 (39.4)221 (11.3)168 (8.9)57 (2.6)446 (22.8)

1)Based on 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0:normal, 1-2:Caution, ≥3:Metabolic syndrome(MS)]..

2)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3)n is Unweighted frequency, % is row percentage estimates..

4)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crosstabs..



연령대, 가구 소득, 교육 수준 모두 대사증후군 증상에 따른 그룹 분류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19~29세 사이에서는 정상 그룹이 58.4%, 주의 그룹이 33.1%, 대사증후군 그룹이 8.5%로 나타났고 75세 이상에서는 각각 5.9%, 33.0%, 61.1%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정상 그룹의 비율은 감소하고 대사증후군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의 그룹의 경우 50~ 64세 사이에 가장 높게 나타난 후 감소하였는데, 이는 65세 이후에는 주의 그룹이었던 대상자가 대사증후군 그룹으로 이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의 그룹 내에서 1가지 증상을 가지는 그룹과 2가지 그룹의 비율도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1가지 증상 그룹은 감소하고 2가지 증상 그룹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대사증후군 그룹에서는 3~ 5가지 증상을 가지는 그룹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주의 그룹에서 대상자의 지속적인 편입을 확인할 수 있다.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Lim 등, 2011),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Choi 등, 2022)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타내어 연령의 증가가 대사증후군의 유병율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가구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그룹의 경우 정상 그룹이 18.7 %, 주의 그룹이 35.1%, 대사증후군 그룹이 46.2%였고 가장 높은 그룹은 각각 35.9%, 38.8%, 25.3%로 나타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대사증후군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 그룹의 비율은 가구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가구 소득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다른 그룹에서 주의 그룹 중 1가지 증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2가지 증상 그룹은 감소하였고 대사증후군 그룹은 3~5가지 증상 그룹 모두 가구 소득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프랑스에서 3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자의 경우 가구 소득이 760유로 미만인 그룹의 대사증후군 비율이 그 이상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남자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Dallongeville 등, 2005).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에서도 여자의 경우에만 가구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rak 등, 2022). 2019년도 자료에 기반한 연구에서는 남자만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와 남녀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Chong과 Han, 2022),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록 남자에 대한 경제 수준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으나 전체 대사증후군 발생률에 대한 가구 소득의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 수준의 경우 초등 졸업 이하일 때 정상 그룹 6.1%, 주의 그룹 31.6%, 대사증후군 그룹 62.3%로 나타났으며 대학 졸업 이상인 경우 각각 37.8%, 39.4%, 22.8%로 나타나 교육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대사증후군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구 소득 수준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주의 그룹과 대사증후군 그룹 내에서 증상 수에 따른 변화도 교육 수준이 증가할수록 1가지 증상 그룹의 비율은 증가하고 2~5가지 증상 그룹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중 특정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대상자에 관한 연구에서도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Jung 등, 2002),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기반한 연구에서도 여자의 경우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아(Kang과 Kim, 2012) 교육 수준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 수행된 The Japan Multi-Institutional Collaborative Cohort (J-MICC) 자료에 기반한 대사증후군 연구에서도 중등 이하 학력자의 대사증후군 비율이 고등 입학 이상의 학력자보다 높다고 보고하여(Nguyen 등, 2022),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 교육 수준은 대사증후군 발생률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의 영양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포함된 증상 수에 따라 분류된 정상, 주의와 대사증후군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인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과 에너지 섭취량 중 에너지 섭취량을 제외하고 모두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1,904.42 ~1,969.18 kcal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중 19세 이상 성인 여자 1,500~2,000 kcal, 남자 1,900~ 2,600 kcal 범위(MOHW와 KNS, 2020) 안에 포함되는 섭취량이다. 단백질 섭취량은 69.27~75.57 g으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보다 높게 나타났고 지질 섭취량과 함께 정상 그룹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대사증후군 그룹이 284.35±3.44 g으로 정상 그룹 270.93±4.00 g, 주의 그룹 280.58±3.77 g보다 높게 나타나 대사증후군 그룹은 단백질, 지질은 적게, 탄수화물은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 연구에서 정상 그룹의 육류 소비량이 대사증후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곡류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수치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Chong과 Han, 2022), 이러한 식품군의 섭취 경향이 정상 그룹에서 대사증후군 그룹보다 단백질과 지질 섭취가 높고 탄수화물 섭취가 낮은 경향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호주에서 21년 동안 섭취한 식이를 추적 조사하기 위해 고지방 유제품, 육류, 가공식품 등을 많이 섭취하는 Western 패턴과 채소류, 과일류, 어류, 저지방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Prudent 패턴으로 구분하여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Western 패턴 그룹에서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Ushula 등, 2022). 이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고지방 및 육류 식품의 섭취가 양의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에서 섭취량은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2016~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도 대사증후군 그룹의 에너지와 지질 섭취량이 정상 그룹보다 낮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Nguyen, 2023). 이는 에너지와 지질 섭취량이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정보가 오랜 기간 수행되어온 영양 관련 사업 등을 통해 대중에게 인식되어 식이조절이 이루어지고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Table 2 . Nutrient intake amounts of the groups divided by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Groups1)P

Normal (n=1,282)Caution (n=1,932)MS (n=1,846)
Macro-nutrientsEnergy (kcal)1,969.18±30.792)1,964.34±27.661,904.42±27.200.1723)
Protein (g)75.57±1.4373.70±1.3069.27±1.200.001
Carbohydrate (g)270.93±4.00280.58±3.77284.35±3.440.020
Sugars (g)64.69±1.5762.09±1.4756.70±1.30<0.001
Dietary fiber (g)21.88±0.4024.38±0.4224.93±0.41<0.001
Fat (g)54.82±1.3048.77±1.1041.92±1.04<0.001
Saturated FA (g)18.21±0.4715.77±0.4013.07±0.37<0.001
MUFA (g)17.96±0.4915.87±0.4213.52±0.38<0.001
PUFA (g)13.39±0.3412.29±0.2711.14±0.26<0.001
n-3 FA (g)1.85±0.051.87±0.051.83±0.050.795
n-6 FA (g)11.51±0.3010.40±0.249.31±0.23<0.001
Cholesterol (mg)301.22±8.17275.35±6.78245.83±6.53<0.001

MineralsCalcium (mg)513.72±10.01513.91±8.34501.82±9.210.544
Phosphorus (mg)1,075.86±17.491,075.61±15.441,025.83±15.110.020
Iron (mg)11.53±0.2311.95±0.2312.09±0.230.175
Sodium (mg)3,365.05±56.643,476.14±64.343,495.97±67.510.246
Potassium (mg)2,720.80±42.652,839.99±53.002,796.90±41.190.147

VitaminsVitamin A (μgRAE)385.32±8.76385.79±9.94380.90±16.010.961
β-Carotene (μg)2,520.53±69.322,811.41±85.722,969.67±93.16<0.001
Retinol (μg)174.97±6.58151.24±6.16133.33±12.470.002
Thiamin (mg)1.36±0.031.35±0.021.33±0.020.773
Riboflavin (mg)1.75±0.031.66±0.031.57±0.03<0.001
Niacin (mg)13.41±0.2613.30±0.2712.54±0.220.010
Folic acid (μgDFE)302.30±5.82329.26±5.17333.47±5.22<0.001
Vitamin C (mg)67.23±2.3169.73±2.9665.14±2.070.405

Water (g)993.45±19.661,032.27±20.85977.77±18.400.053

1)Based on 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0: Normal, 1∼2: Caution, ≥3: Metabolic syndrome (MS)]..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탄수화물을 구성하는 식이섬유와 당류의 섭취량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당류는 정상 그룹이, 식이섬유는 대사증후군 그룹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01). 당류의 섭취는 음료 섭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Nirdnoy 등, 2023),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식품 섭취량을 비교한 연구에서 대사증후군의 음료 섭취량이 정상 그룹보다 낮게 나타나(Chong과 Han, 2022) 음료 섭취의 감소가 당류 섭취 감소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다. 당류는 대사증후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Ushula 등, 2022), 이에 대한 인식 강화로 대사증후군의 섭취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9년 자료에 따르면 대사증후군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정상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Chong과 Han, 2022), 채소류 섭취의 증가가 식이섬유의 섭취량 증가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지질은 총지질 섭취량과 함께 다양한 지방산 종류에 따른 영양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n-3 FA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정상 그룹, 주의 그룹, 대사증후군 그룹으로 갈수록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남아프리카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대사증후군의 SFA와 MUFA의 섭취량이 대사증후군 그룹이 높게 나타났고 PUFA의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여(Sekgala 등, 2022) SFA와 MUFA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PUFA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어 지역에 따라 대사증후군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질병에 대한 지질의 관련성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고 그 결과 섭취하는 지질의 총량보다는 지질의 형태, 종류가 중요한 인자라는 것이 알려졌다(Shim 등, 2015). 포화지방산은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촉진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며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는 반대 효과를 가지므로(Hammad 등, 2016; Suliga 등, 2015)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포화지방산의 섭취가 낮은 것은 긍정적이다. 다만 전체적인 지질 섭취량이 낮아 대사증후군 그룹의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도 낮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섭취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권장하는 대표적인 n-6 FA인 리놀레산의 19~49세 성인의 충분 섭취량이 8.5~13 g이고(MOHW와 KNS, 2020) 대사증후군 그룹의 n-6 FA 섭취량이 9.31±0.23 g이므로 이는 적정한 섭취 수준으로 생각된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무기질인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의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인에서만 정상 그룹과 주의 그룹의 섭취량이 대사증후군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016~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조사된 무기질인 칼슘, 나트륨, 칼륨, 인 4가지 모두 정상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는데(Nguyen, 2023) 이는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의 3가지 그룹으로 나눈 본 연구와 그룹 분류의 차이에 의해 더 유의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칼슘의 경우 평균필요량이 19~49세 사이의 남자 650 mg, 여자 550 mg인데(MOHW와 KNS, 2020) 501.82~513.91 mg으로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칼륨은 남녀 모두 3,500 mg이 충분섭취량인데 모든 그룹에서 700 mg 정도 낮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의 경우 권장섭취량이 남자 10 mg, 여자 14 mg인데 섭취량이 11.53~ 12.09 mg으로 적정수준으로 나타났다. 나트륨과 인의 경우 각각 충분섭취량 1,500 mg, 권장섭취량 700 mg인데 모든 그룹이 나트륨은 2배, 인은 1.5배 정도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K 비율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이 증가하는데(Baek과 Kim, 2023), 비록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본 연구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트륨의 섭취량은 높고 칼륨의 섭취량이 낮은 경향은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비타민 중 비타민 A, 티아민, 비타민 C는 그룹 간 섭취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β-카로틴과 엽산은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레티놀, 리보플라빈, 니아신은 정상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016~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정상 그룹과 대사증후군 그룹 사이의 섭취량을 조사했을 때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레티놀은 정상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A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Nguyen, 2023). 티아민과 비타민 C는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그룹 분류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된 기준량과 비교 시 비타민 A, 니아신, 비타민 C의 섭취량은 낮고 티아민, 리보플라빈의 섭취량은 높으며 엽산의 섭취량은 적정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A와 C, 엽산과 같은 비타민은 항산화성을 가지는 비타민으로 대사증후군의 초기 위험 지표로 알려진 혈중 플라스미노겐 활성억제제-1의 농도를 감소시키므로(Puchau 등, 2010), 이 비타민의 섭취 증가가 권장된다. 본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준량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으로 비타민 A와 C의 섭취량이 낮게 나타나 향후 섭취량 증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대사증후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당류 및 지방산에 대한 섭취량이 더 적게 나타난 것은 대사증후군 증상을 가진 대상자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 섭취량을 조절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Korea Healthy Eating Index(KHEI) 점수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누고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여자의 경우 점수가 가장 낮은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Choi 등, 2022), 이는 본 연구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사증후군 환자가 더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앞으로 비타민 A와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의 섭취량도 증가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 확대와 같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진단 개수와 원인에 따라 분류된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의 영양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중 1~2개의 증상을 가지는 주의 그룹을 다시 증상 개수에 따라 증상 1개를 가지는 하위 그룹과 2개를 가지는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다시 증상의 종류에 따라 영양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주의 그룹(n=1,932)에서 원인의 종류와 개수에 따라 분류된 모든 하위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 차이에 대한 통계량 F값에 의해 도출한 유의확률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주의 그룹 중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복부비만, 혈압 상승, 혈당 상승, HDL 콜레스테롤 저하와 중성지방 상승 중 1가지의 증상만을 가지는 하위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1 symptom of the caution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Intra-caution group (n=1,932)Subgroups of caution group1)P


PO (n=154)P (n=312)G (n=238)H (n=221)T (n=111)
Macro-nutrientsEnergy (kcal)<0.0013)2081.53±106.732)2034.99±58.642059.26±84.751771.12±72.502340.08±105.80<0.0013)
Protein (g)<0.00179.91±4.9475.21±2.7878.43±3.4571.92±4.2089.46±5.590.151
Carbohydrate (g)0.126290.60±12.71289.27±6.43295.53±12.06258.52±13.10290.68±10.050.195
Sugars (g)0.32366.54±4.0861.45±2.8765.64±3.7164.60±6.7870.58±4.580.434
Dietary fiber (g)0.44026.30±1.5424.52±0.7225.98±1.3221.47±1.6722.80±1.160.117
Fat (g)<0.00155.67±4.1849.45±2.3353.44±3.2547.01±2.7968.31±6.530.029
Saturated FA (g)<0.00117.96±1.5215.85±0.8717.10±1.1615.30±1.0422.84±2.680.074
MUFA (g)<0.00117.99±1.4616.20±0.9317.77±1.2715.52±1.1123.06±2.670.081
PUFA (g)<0.00114.25±1.1512.35±0.5713.22±0.7411.36±0.7115.59±1.150.016
n-3 FA (g)0.2621.97±0.161.92±0.091.92±0.121.72±0.112.05±0.160.429
n-6 FA (g)<0.00112.26±1.0010.42±0.5311.28±0.659.65±0.6313.51±1.020.012
Cholesterol (mg)<0.001308.85±20.24282.17±20.04287.62±18.69283.40±19.85334.27±23.950.486

MineralsCalcium (mg)0.123519.83±28.80517.13±17.96550.65±23.91470.37±22.89545.47±30.580.117
Phosphorus (mg)0.0101139.26±57.481092.14±32.911132.67±41.751044.47±57.361187.95±57.650.471
Iron (mg)0.01312.91±0.9612.25±0.4212.84±0.8410.90±0.4812.47±0.670.077
Sodium (mg)<0.0013824.19±275.583472.59±136.283766.75±184.433002.77±158.064125.66±205.76<0.001
Potassium (mg)0.2792967.42±146.252777.06±72.713041.01±119.782849.57±334.772896.78±144.620.288

VitaminsVitamin A (μgRAE)0.135399.95±30.96374.17±16.51434.08±35.25362.32±26.02439.19±29.120.195
β-Carotene (μg)0.1742938.04±294.782734.51±152.282949.07±174.002328.11±161.312850.55±219.980.053
Retinol (μg)<0.001154.78±15.33145.92±11.05188.08±30.00168.29±22.46201.44±25.650.292
Thiamin (mg)0.0231.39±0.071.34±0.051.46±0.061.24±0.071.47±0.090.083
Riboflavin (mg)<0.0011.77±0.101.65±0.061.84±0.081.63±0.101.98±0.110.070
Niacin (mg)<0.00113.57±0.9513.76±0.7513.93±0.5413.41±0.9215.62±1.000.436
Folic acid (μgDFE)0.044343.49±19.92328.23±9.87337.90±12.87295.81±18.10300.67±14.300.122
Vitamin C (mg)0.51371.13±5.1760.16±3.7575.33±13.0081.12±14.9369.25±8.190.177

Water (g)0.0171154.41±69.521044.62±42.081100.26±46.09975.51±83.291113.22±68.290.39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 전체에 대한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다량영양소의 경우 에너지, 단백질, 지질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탄수화물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수화물 중 당류와 식이섬유 섭취량도 차이가 없어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에는 차이를 보였던 결과(Table 2)와 대조적이다. 지질 중에서는 n-3 FA를 제외하고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은 하위 그룹 간에 유의한 섭취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무기질 중에서는 인, 철분과 나트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0.05). 철분과 나트륨의 경우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타민의 경우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비타민 A, β-카로틴과 비타민 C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β-카로틴의 경우,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 결과(Table 2)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주의 그룹의 전체 하위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티아민의 경우,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 결과(Table 2)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의 그룹 전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영양소에 따라 비교 그룹이 달라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그룹 간 섭취량 비교 중 주의 그룹의 전체 하위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일하게 물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사증후군의 발생과 항이뇨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의 분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물의 섭취가 적은 경우 바소프레신의 분비가 증가하므로(Saleem 등, 2009) 이는 물 섭취 부족이 대사증후군의 발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와 같이 Brunkwall 등(2020)의 연구에서도 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간의 유의한 의미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 간 물 섭취량 차이는 향후 다른 요소들을 배제하는 경우 물 섭취량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진단 요소 중 1가지 증상 그룹 5개 사이에서는 다량영양소 중 에너지와 지질 섭취량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지질의 구성요소 중 PUFA와 n-6 FA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able 1, P<0.05).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T로 2,340.08±105.80 kcal를 보였으며 가장 낮은 그룹은 H로 1,771.12±72.50 kcal를 나타내었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르면 본 조사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19~39세 성인의 에너지 필요추정량이 남자의 경우 2,500 kcal, 여자의 경우 1,900 kcal인데(MOHW와 KNS, 2020), H 그룹의 경우 평균 섭취량이 1,771.12± 72.50 kcal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지질 섭취량도 에너지와 같은 양상으로 T 그룹이 가장 높아 68.31±6.53 g, H 그룹이 가장 낮아 47.01±2.79 g으로 T 그룹 대비 H 그룹의 에너지, 지질 섭취량이 각각 24%, 30% 이상 낮게 나타났다. PUFA, n-6 FA 섭취량도 T 그룹이 가장 높고 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질 섭취량은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Nirdnoy 등, 2023), 이는 본 연구 결과 특히 중성지방이 높은 T 그룹의 지질 섭취량이 높게 나타나 이러한 영향을 뒷받침한다.

무기질과 비타민 중 나트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마찬가지로 T 그룹이 가장 높게, 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나트륨의 섭취량이 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긴 했으나 전체적으로 그 섭취량이 권장량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트륨의 섭취는 수분 보유량 증가, 말초 저항성 증가, 교감신경 민감성 증가 등에 의한 혈압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Nikniaz 등, 2022). 높은 Na/K는 비만, 혈중 중성지방을 높이며(Baek과 Kim, 2023), 고나트륨-지질 식이는 HDL 콜레스테롤을 낮춘다(Shi 등, 2023). 즉 나트륨은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거의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칼슘의 경우 여자의 평균필요량이 550 mg인데(MOHW와 KNS, 2020), G 그룹을 제외하고는 모두 550 mg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H 그룹의 경우 470.37 ±22.89 mg으로 섭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칼슘의 섭취를 증가시키면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이 개선되어 혈압이 낮아지는데(Villa-Etchegoyen 등, 2019), 높은 혈압을 가지는 P 그룹의 칼슘 섭취량이 가장 낮은 것은 아니나 영양섭취기준에 비해 낮은 칼슘의 섭취량이 혈압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유추된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소 중 2가지가 정상 수치를 벗어난 주의 그룹(n=896)은 O+P, O+G, O+H, O+T, P+G, P+H, P+T, G+H, G+T, H+T 10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하위 그룹별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 중 탄수화물을 제외한 에너지, 단백질, 지질 섭취량에서 하위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G+T로 2,052.99±137.27 kcal를 나타내었고 가장 낮은 그룹은 O+H로 1,565.59± 69.60 kcal였다. H를 원인으로 가지는 나머지 그룹 P+H, G+H, H+T 그룹 모두 1,700 kcal 대의 열량을 섭취하여 1,800 kcal 이상의 열량을 섭취하는 다른 그룹과 대조를 이루었다. 단백질과 지질도 O+H 그룹에서 섭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단백질은 O+G 그룹, 지질은 O+T 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복부비만(O)을 가지는 대상자의 경우 식품 섭취량이 적음을 의미한다.

Table 4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2 symptoms of the caution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caution group1)

O+P (n=116)O+G (n=78)O+H (n=60)O+T (n=72)P+G (n=204)P+H (n=45)P+T (n=67)G+H (n=46)G+T (n=62)H+T (n=146)P
Macro-nutrientsEnergy (kcal)1836.05±88.992)1973.14±95.551565.59±69.601918.80±118.941955.46±106.761767.43±135.452030.64±133.471711.00±157.772052.99±137.271794.98±55.640.0073)
Protein (g)65.91±3.5677.11±4.4355.95±4.0170.46±5.0469.16±3.8456.17±5.1475.74±6.5971.05±7.7272.69±6.8965.19±2.590.023
Carbohydrate (g)265.39±11.84284.06±14.85252.36±12.11270.97±14.04289.03±10.28289.31±16.33273.89±13.86256.10±22.54289.03±15.41271.62±7.830.351
Sugars (g)56.20±5.0065.22±5.6156.05±5.1955.86±4.9560.26±5.1264.33±6.4954.02±4.9954.93±5.2959.24±5.0757.80±2.990.842
Dietary fiber (g)23.94±1.4625.52±2.1723.48±1.6721.81±1.4726.15±1.2127.01±1.9725.04±1.5924.11±2.5424.96±1.7324.02±0.860.614
Fat (g)42.84±3.5347.06±5.2133.44±2.4947.52±4.5441.20±3.3835.16±3.9246.61±5.3043.36±5.8243.28±3.5444.24±2.480.041
Saturated FA (g)13.72±1.1915.29±1.6910.81±1.0115.76±1.8113.82±1.6910.87±1.4814.16±1.6114.05±2.0713.23±1.0814.20±0.880.114
MUFA (g)13.49±1.1915.33±2.1410.42±0.9915.75±1.5812.47±1.0111.10±1.4316.02±2.0214.61±2.4113.13±1.1213.89±0.870.065
PUFA (g)11.50±1.2012.06±1.269.08±0.5111.45±1.1010.83±0.839.58±1.0512.18±1.2810.34±1.3112.22±1.2311.98±0.820.045
n-3 FA (g)1.91±0.211.79±0.181.60±0.141.59±0.182.06±0.201.31±0.201.73±0.171.58±0.231.77±0.242.05±0.220.199
n-6 FA (g)9.59±1.0310.26±1.137.46±0.469.84±0.968.76±0.698.26±0.9610.40±1.158.76±1.1510.43±1.069.90±0.660.039
Cholesterol (mg)231.16±18.12300.03±34.90193.08±26.99278.27±35.96239.64±19.47145.79±21.84285.58±34.15305.84±52.71248.88±30.33247.83±20.510.002

MineralsCalcium (mg)455.48±29.29589.95±50.56481.28±37.08458.52±31.21526.63±23.55482.32±55.31502.18±44.00472.25±43.78513.04±36.59537.69±36.680.200
Phosphorus (mg)980.38±50.051151.16±63.63904.73±52.161009.27±65.861065.16±44.56910.02±73.031095.87±69.701049.70±90.031030.20±69.261016.57±37.830.146
Iron (mg)10.61±0.5512.30±1.019.79±0.5711.51±0.8412.18±0.6810.80±1.1313.18±0.9710.82±0.8211.87±0.8311.58±0.470.048
Sodium (mg)3027.63±191.533630.37±257.082861.68±212.373717.95±266.363462.35±181.832974.68±307.393245.05±234.862875.45±230.343756.50±342.533322.40±169.740.072
Potassium (mg)2634.48±148.393024.25±177.642516.48±140.902533.64±145.292897.00±124.552791.63±201.212861.62±189.212793.87±255.592839.18±179.582740.01±94.760.381

VitaminsVitamin A (μgRAE)346.56±31.68375.02±34.38325.90±35.18339.69±32.14374.12±26.85307.66±40.72452.27±67.17366.73±35.36390.57±61.89390.42±23.950.516
β-Carotene (μg)2440.52±207.342595.53±253.252752.85±333.522417.82±227.563183.52±297.202656.58±412.603976.48±748.002586.24±328.173239.47±696.972959.85±238.090.309
Retinol (μg)143.18±22.93158.73±27.7496.38±16.71138.05±21.60107.66±11.8086.27±15.40120.86±16.65151.21±20.92120.61±19.21143.54±15.230.050
Thiamin (mg)1.35±0.071.54±0.131.12±0.061.25±0.071.34±0.081.17±0.111.49±0.111.30±0.151.39±0.121.25±0.060.040
Riboflavin (mg)1.50±0.091.74±0.161.26±0.091.59±0.121.52±0.071.33±0.161.61±0.151.52±0.131.55±0.121.62±0.090.113
Niacin (mg)12.34±0.6812.94±0.779.76±0.6611.82±0.7312.80±0.7010.61±0.7614.05±1.2912.96±1.5513.79±1.5912.39±0.590.028
Folic acid (μgDFE)312.25±19.98342.51±25.37302.58±19.93296.11±20.62364.50±17.34302.11±28.60348.67±26.22348.76±36.27365.86±24.00351.63±16.140.068
Vitamin C (mg)58.71±5.9170.39±9.6968.36±8.1161.66±8.7466.27±5.2769.23±12.8959.33±7.9982.28±15.3280.13±19.3975.15±8.090.682

Water (g)916.27±56.321064.05±77.98834.31±52.44930.54±69.541029.59±64.32863.82±70.41965.88±74.051050.08±104.781033.02±90.881033.83±51.550.08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당류와 식이섬유를 포함한 탄수화물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UFA, n-6 FA,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PUFA와 n-6 FA는 G+T가 가장 높고 O+H가 가장 낮게, 콜레스테롤은 G+H 그룹이 가장 높고 P+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무기질과 비타민 중 철분, 티아민, 니아신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철분과 니아신은 P+T, 티아민은 O+G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가지 영양소 모두 O+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O+H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2가지 원인 중 G나 T를 가지는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철분 섭취의 증가와 함께 고혈압은 감소하고 중성지방과 혈당은 증가했다고 보고되었는데(Esfandiar 등, 2019), 1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철분 섭취가 높은 그룹의 증상으로 T, G뿐만 아니라 P도 나타나 철분 섭취와 대사증후군 요소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1가지 원인을 가지는 하위 그룹에서도 H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는데, 2가지 원인을 가지는 하위 그룹에서도 H를 원인으로 가지는 그룹에서 낮은 섭취량을 보여 영양소 섭취량이 낮은 경우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사증후군의 발생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보고된 식이 콜레스테롤(Wu 등, 2022)은 1가지 증상을 가지는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300 mg 이상 섭취하는 그룹으로는 가장 많이 섭취하는 그룹인 G+H, 2번째로 많이 섭취하는 그룹인 O+G 그룹으로 나타나 혈당 상승과 연관성이 있다고 짐작된다.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을 1가지 증상 하위 그룹과 비교 시 1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인 에너지, 지질, PUFA, n-6 FA, 나트륨 외에 단백질, 콜레스테롤, 철분이 추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 개수와 원인에 따라 분류된 대사증후군 그룹의 하위 그룹의 영양섭취량 비교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중 3개 이상의 증상을 가지는 대사증후군 그룹을 다시 원인 개수에 따라 원인 3개를 가지는 그룹과 4개(5개 포함)를 가지는 그룹으로 나누고 다시 원인의 종류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소 중 3가지가 정상 수치를 벗어난 대사증후군 그룹(n=834)은 O+P+G, O+P+H, O+P+T, O+G+H, O+G+T, O+H+T, P+G+H, P+G+T, P+H+ T, G+H+T 10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그룹별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5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 중 당류와 식이섬유를 포함한 탄수화물과 MUFA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O+P+T 그룹에서 2,454.60±284.90 kca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O+P+H 그룹에서 1,488.21±96.77 kca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의 그룹에서와 마찬가지로 H를 원인으로 포함하는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에너지 섭취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과 지질도 O+P+T 그룹에서 가장 높게 O+P+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질로 인식되는 SFA와 콜레스테롤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고 O+P+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긍정적인 지질로 인식되는 PUFA, n-3 FA, n-6 FA는 O+H+T 그룹에서 가장 높고 n-6 FA는 P+G+H 그룹에서, PUFA와 n-3 FA는 P+H+T 그룹에서 낮게 나타났다. 무기질 중에서 인과 나트륨이, 비타민 중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이 그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인과 티아민은 P+G+T 그룹에서, 나트륨, 리보플라빈과 니아신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나트륨, 티아민과 리보플라빈 O+P+H 그룹에서 니아신은 P+G+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영양소의 경우 가장 높은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룹으로 O+P+T 그룹이 가장 많았으며 낮은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룹은 P와 H를 원인으로 가지고 있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중성지방 증가와 HDL 콜레스테롤 저하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는데(Shi 등, 2023), 본 연구에서 2가지 원인을 가지는 하위 그룹 중 O+G 그룹, 3가지 증상 하위 그룹 중 O+P+G 그룹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단백질 섭취가 높은 그룹은 T나 H를 원인으로 갖고 있지 않아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3 symptoms of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metabolic syndrome group1)P

O+P+G (n=182)O+P+H (n=53)O+P+T (n=54)O+G+H (n=38)O+G+T (n=65)O+H+T (n=97)P+G+H (n=53)P+G+T (n=57)P+H+T (n=137)G+H+T (n=98)
Macro-nutrientsEnergy (kcal)2003.77±86.152)1488.21±96.772454.60±284.901908.79±98.012172.91±193.412022.59±118.721656.97±124.332313.17±176.391671.43±66.561922.27±113.03<0.0013)
Protein (g)75.18±4.0954.18±5.0386.55±8.9668.75±4.9971.64±4.6680.70±6.2756.75±4.7683.85±7.1861.07±3.2771.14±4.15<0.001
Carbohydrate (g)285.52±11.57252.67±15.01330.27±26.53290.00±15.22310.00±18.23291.93±15.68267.64±16.88307.92±14.05269.63±10.41285.46±18.870.159
Sugars (g)54.28±3.0744.41±5.3559.34±7.2759.96±6.8653.56±5.5063.92±7.4851.98±5.1452.00±6.4063.42±5.2960.36±5.660.299
Dietary fiber (g)25.59±1.1422.89±2.2026.48±2.5823.27±1.7323.90±2.0225.09±1.7023.57±2.1128.89±2.8026.37±1.7225.02±1.580.827
Fat (g)41.14±2.5428.45±3.5054.64±7.6844.60±4.3945.12±5.0651.20±5.1134.27±5.1751.43±6.3833.76±2.2241.65±3.35<0.001
Saturated FA (g)12.08±0.677.90±0.9317.12±2.5913.87±1.1915.28±2.2815.83±1.9310.90±1.7816.78±2.2310.59±0.8012.99±1.12<0.001
MUFA (g)12.81±0.858.50±1.1518.55±2.9313.90±1.3514.26±1.5616.24±1.6110.66±1.8416.80±2.4010.56±0.7713.01±1.250.065
PUFA (g)12.30±1.019.36±1.6313.06±1.3712.05±1.7611.58±1.2514.19±1.459.04±1.2212.60±1.249.01±0.6611.61±0.990.006
n-3 FA (g)2.03±0.162.12±0.441.98±0.291.58±0.211.77±0.232.50±0.281.90±0.532.00±0.181.51±0.121.80±0.160.031
n-6 FA (g)10.26±0.917.21±1.2711.28±1.2310.46±1.589.79±1.0711.64±1.277.13±0.9610.59±1.137.49±0.589.77±0.880.003
Cholesterol (mg)280.24±26.71165.87±28.29325.18±57.36242.68±34.18277.47±31.87285.23±24.70175.53±22.10299.67±34.64197.73±17.71261.27±21.76<0.001

MineralsCalcium (mg)558.54±34.66443.81±46.06549.68±58.60496.71±45.03500.49±49.69510.72±45.06505.32±64.50578.40±50.25494.29±32.48508.49±32.500.689
Phosphorus (mg)1100.61±46.63853.81±63.181200.18±112.241011.47±62.761048.15±69.411136.97±73.22906.47±73.111223.33±59.80975.11±48.311043.87±55.900.002
Iron (mg)12.96±0.7610.10±0.9314.19±1.6612.70±1.4912.43±0.9912.86±1.019.81±0.9515.75±2.0611.46±0.5612.16±0.900.115
Sodium (mg)3760.04±211.832618.71±222.194596.77±374.043144.85±235.693456.85±285.913769.13±289.073237.82±341.013927.23±265.313033.45±195.883510.21±243.37<0.001
Potassium (mg)2930.38±120.522472.81±243.553090.82±312.602793.00±199.062837.92±254.472953.79±196.942590.71±237.983162.49±159.442810.48±164.062835.07±144.260.454

VitaminsVitamin A (μgRAE)379.85±25.41387.70±108.11375.62±45.70296.64±32.21364.56±40.46463.23±68.22358.20±44.00395.59±40.23349.64±28.61347.99±19.890.407
β-Carotene (μg)3011.79±228.372830.57±551.903167.18±479.672426.41±287.412949.29±423.143209.13±368.872984.60±421.112930.67±376.132890.12±284.132812.60±194.880.821
Retinol (μg)128.53±12.56151.82±82.74111.69±13.8994.34±17.44118.79±16.46195.80±61.85107.09±24.90151.37±37.85108.74±13.62113.60±11.910.760
Thiamin (mg)1.33±0.051.14±0.111.57±0.151.29±0.091.30±0.091.42±0.111.16±0.091.79±0.141.20±0.061.37±0.110.009
Riboflavin (mg)1.65±0.091.22±0.102.05±0.211.58±0.111.75±0.201.64±0.141.29±0.131.71±0.111.42±0.081.65±0.100.001
Niacin (mg)13.76±0.7610.74±0.9015.77±1.7613.05±1.1012.89±1.0213.67±0.9910.16±0.7714.83±0.7711.46±0.6313.80±0.920.002
Folic acid (μgDFE)351.76±15.63314.49±23.18362.46±45.15303.68±23.67352.41±26.78326.19±20.99293.14±29.42403.13±27.20318.34±17.37342.53±20.550.169
Vitamin C (mg)62.32±5.4760.06±10.7162.26±7.7056.27±10.0667.14±8.6766.40±9.5756.51±8.3363.38±7.0171.31±7.1277.96±11.670.946

Water (g)992.69±52.77871.09±92.291204.13±125.41927.34±96.971035.03±126.911033.64±81.38819.65±71.371204.26±95.40920.37±64.911112.65±90.500.08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3가지 증상 그룹은 2가지 증상 그룹에서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보인 에너지, 단백질, 지질, PUFA, n-6 FA, 콜레스테롤, 철분, 나트륨 중 철분을 제외하고 추가로 SFA, n-3 FA,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더 많은 영양소에서 섭취량 차이를 나타냈다. 대사증후군의 증상 수가 증가할수록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영양소의 종류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요소 중 4 또는 5가지가 정상 수치를 벗어난 대사증후군 그룹(n=1,012)은 O+P+G+H, O+P+ G+T, O+P+H+T, O+G+H+T, P+G+H+T, O+P+G+ H+T 6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그룹별 영양소 섭취량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다량영양소 중 진단 요소 3가지를 가지는 대사증후군 그룹과 마찬가지로 당류, 식이섬유를 포함한 탄수화물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n-3 FA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하위 그룹 간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O+ P+G+T 그룹에서 2,347.63±117.43 kcal로 가장 높았으며 O+P+G+H+T 그룹에서 1,694.21±39.61 kca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도 같은 결과를 보였으며, 지질은 O+P+G+T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섭취량이 가장 낮은 그룹은 O+P+G+H였다. SFA, MUFA,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 모두 O+P+G+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FA와 MUFA는 O+P+G+H 그룹에서,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은 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대로 SFA는 대사증후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불포화지방산(MUFA+PUFA)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Sekgala 등, 2022) 지방산으로 SFA의 섭취량은 줄이고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은 늘리는 방향의 개선이 필요한데 2가지의 지방산 섭취량이 함께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포화와 불포화를 구분하여 섭취할 수 있는 식생활 개선이 필요하다.

Table 6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4 or 5 symptoms of the metabolic syndrome (MS)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metabolic syndrome group1)Intra-MS (n=1,846)


O+P+G+H (n=68)O+P+G+T (n=92)O+P+H+T (n=158)O+G+H+T (n=146)P+G+H+T (n=176)O+P+G+H+T (n=372)PP
Macro-nutrientsEnergy (kcal)1746.64±119.602)2347.63±117.431911.04±96.671911.31±108.161748.64±70.041694.21±39.61<0.0013)<0.001
Protein (g)63.10±5.5584.30±4.6567.15±3.9669.54±4.2063.12±3.5762.39±2.090.002<0.001
Carbohydrate (g)276.51±12.72317.64±17.86276.43±9.96295.28±16.00277.28±8.98266.03±5.600.1160.074
Sugars (g)56.59±4.8553.80±4.6462.94±4.3865.88±6.3352.36±3.1150.90±2.180.0770.140
Dietary fiber (g)24.69±1.9325.13±1.7723.86±1.0725.35±1.4424.69±1.0124.25±0.630.9560.971
Fat (g)32.81±2.8757.08±4.7448.92±5.0644.88±3.7335.17±3.0135.31±1.69<0.001<0.001
Saturated FA (g)9.17±0.8718.66±1.7215.77±1.9613.67±1.3011.11±1.0610.80±0.55<0.001<0.001
MUFA (g)10.26±1.0119.55±1.9616.76±2.1014.58±1.3111.15±1.1211.32±0.68<0.001<0.001
PUFA (g)9.86±0.8713.27±0.9011.30±0.8412.16±1.009.35±0.699.74±0.480.009<0.001
n-3 FA (g)1.77±0.231.70±0.121.94±0.141.76±0.131.63±0.171.69±0.130.7760.089
n-6 FA (g)8.04±0.7511.56±0.819.40±0.7410.36±0.927.71±0.628.04±0.390.002<0.001
Cholesterol (mg)241.48±46.27313.03±29.42249.81±27.26241.76±20.72209.35±19.07213.17±15.060.032<0.001

MineralsCalcium (mg)408.75±36.72542.43±29.22486.10±26.16511.38±30.49480.14±30.17471.66±16.510.1070.365
Phosphorus (mg)914.73±63.621156.89±54.601016.26±50.141024.33±56.96964.70±43.59942.46±26.420.022<0.001
Iron (mg)11.03±1.1012.29±0.8211.69±0.5912.95±1.0510.79±0.4911.43±0.470.3620.117
Sodium (mg)3235.36±303.484326.82±270.913487.94±270.543822.94±329.493065.54±175.683211.62±118.220.003<0.001
Potassium (mg)2500.06±156.082958.71±193.242768.45±131.962844.85±153.012733.16±124.872619.19±78.900.3590.233

VitaminsVitamin A (μgRAE)505.82±206.48385.39±36.16358.93±28.46398.03±45.14317.10±21.20403.24±54.890.4100.485
β-Carotene (μg)2640.84±314.963141.55±384.222926.18±245.083169.84±260.242701.06±203.673082.84±257.470.6760.861
Retinol (μg)285.74±204.30123.26±12.24115.08±12.21133.70±33.8792.01±8.99146.53±45.850.2660.703
Thiamin (mg)1.07±0.061.55±0.131.35±0.101.42±0.101.23±0.051.25±0.050.0040.002
Riboflavin (mg)1.32±0.151.95±0.111.66±0.191.61±0.111.40±0.081.41±0.06<0.001<0.001
Niacin (mg)11.99±1.3914.39±0.8412.59±0.7512.64±0.8711.39±0.5410.91±0.410.003<0.001
Folic acid (μgDFE)302.17±24.15358.98±27.97321.84±13.86340.50±21.64315.04±11.95324.92±10.130.6590.320
Vitamin C (mg)55.87±7.8961.19±7.9370.49±9.0267.36±7.1567.46±5.9461.27±3.570.6930.977

Water (g)899.82±95.201047.14±71.70926.31±57.91989.85±60.68996.49±52.70874.05±31.620.1500.113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3가지 증상 그룹과 마찬가지로 무기질 중에서 인과 나트륨이, 비타민 중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이 그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5가지 영양소 모두 O+P+G+T 그룹에서 섭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인, 티아민과 리보플라빈은 O+P+G+H, 나트륨은 P+G+H+T, 니아신은 O+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PUFA, n-3 FA, n-6 FA, 콜레스테롤, 인, 나트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이었는데, 이 중 n-3 FA는 4~5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MUFA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대사증후군 그룹의 하위 그룹은 주의 그룹의 하위 그룹보다 다양한 영양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사증후군 그룹(n=1,846)의 전체 하위 그룹 간 섭취량 차이에 대하여 통계량 F값에 의해 도출한 유의확률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전체 하위 그룹에서 다량영양소인 에너지, 단백질, 지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주의 그룹에서와 마찬가지로 탄수화물은 차이가 없었다(P<0.001). 탄수화물인 당류, 식이섬유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지질은 n-3 FA를 제외한 모든 조사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1) 주의 그룹과 같은 영양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무기질은 인과 나트륨, 비타민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주의 그룹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P<0.01). 대사증후군 전체 하위 그룹 간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보인 영양소 외에 주의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양소는 철분, 레티놀, 엽산, 물로 나타나 대사증후군 그룹보다 주의 그룹 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영양소가 다양했다.

요 약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19세 이상 성인 5,060명 중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 따라 증상을 3개 이상 가진 대사증후군 그룹이 1,846명, 1~2개를 나타내는 주의 그룹이 1,932명, 증상이 없는 정상 그룹이 1,282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주의 그룹의 비율이 남자 40.0 %, 여자 37.0%로 남녀 모두 가장 높았고 남자는 정상 그룹의 비율이 낮고 여자는 대사증후군 그룹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P<0.001). 주의 그룹은 다시 증상 수에 따라 1가지 증상 하위 그룹,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으로, 대사증후군 그룹은 3가지와 4가지(5가지 포함) 증상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남녀 모두 정상 그룹(증상 수 0)의 비율이 가장 높다가 증상 수가 많아질수록 그 비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상 수 1가지 이하인 경우는 여자의 비율이 높고 2~5가지 증상 그룹은 남자의 비율이 높았다. 연령대, 가구 소득, 교육 수준 모두 대사증후군 증상에 따른 그룹 분류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그룹의 비율이 높았으며 가구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그룹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정상, 주의, 대사증후군 그룹 간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대사증후군 그룹은 단백질, 지질은 적게, 탄수화물은 많이 섭취하였다(P<0.05). 당류는 정상 그룹이, 식이섬유는 대사증후군 그룹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01).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정상 그룹, 주의 그룹, 대사증후군 그룹으로 갈수록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인, β-카로틴, 엽산, 레티놀, 리보플라빈, 니아신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대사증후군의 증상 수에 따라 분류된 하위 그룹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1가지 증상 하위 그룹 간에는 에너지, 지질, PUFA, n-6 FA, 나트륨 섭취량에서 차이를 보였는데(P<0.05)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T, 가장 낮은 그룹은 H였다. 2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PUFA, n-6 FA, 콜레스테롤, 철분, 티아민, 니아신 섭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에너지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은 G+T이고 가장 낮은 그룹은 O+H였다. PUFA와 n-6 FA는 G+T가 가장 높고 O+H가 가장 낮으며, 콜레스테롤은 G+H 그룹이 가장 높고 P+H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철분과 니아신은 P+T, 티아민은 O+G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가지 영양소 모두 O+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가지 증상 하위 그룹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PUFA, n-3 FA, n-6

FA, 콜레스테롤, 인, 나트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나타냈다(P<0.05).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와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고 O+P+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UFA, n-3 FA, n-6 FA는 O+H+T 그룹에서 가장 높고 n-6 FA는 P+G+H 그룹에서, PUFA와 n-3 FA는 P+H+T 그룹에서 낮게 나타났다. 인과 티아민은 P+G+T 그룹에서, 나트륨, 리보플라빈과 니아신은 O+P+T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나트륨, 티아민과 리보플라빈은 O+P+H 그룹에서, 니아신은 P+G+H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가지(5가지 포함) 증상을 나타내는 하위 그룹은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인, 나트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O+P+G+T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O+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질, SFA, MUFA,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 모두 O+P+G+T 그룹에서 가장 높았으나 지질, SFA와 MUFA는 O+P+G+H 그룹에서, PUFA, n-6 FA와 콜레스테롤은 P+G+H+T 그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의 그룹의 전체 하위 그룹 간에 유의한 섭취량 차이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SFA, MUFA, PUFA, n-6 FA, 콜레스테롤, 인, 철분, 나트륨,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물에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 그룹은 이 중 철분, 레티놀, 엽산, 물을 제외한 영양소에서 유의한 섭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대사증후군 내에서도 증상 유형과 증상 수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대사증후군 전반에 대한 식생활 개선도 필요하나 증상에 따라 차별화된 식생활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는 향후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높이는 영양소를 확인하고 맞춤형 식생활을 제안하기 위한 odds ratio 분석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 결과는 2023학년도 광주여자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며(KWU23-045) 이에 감사드립니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 (%).

VariablesNormal1)CautionMSP



02) (n=1,282)1 (n=1,036)2 (n=896)Total (n=1,932)3 (n=834)4 (n=640)5 (n=372)Total (n=1,846)
Sex
Male429 (23.7)3)453 (21.5)421 (18.6)874 (40.0)413 (18.1)305 (13.2)141 (5.0)859 (36.2)<0.0014)
Female853 (34.5)583 (22.1)475 (15.0)1058 (37.0)421 (12.1)335 (9.6)231 (6.8)987 (28.4)
Age (Years)
19-29342 (58.4)144 (25.7)44 (7.4)188 (33.1)33 (5.6)13 (2.2)3 (0.7)49 (8.5)<0.001
30-49639 (37.0)400 (23.8)276 (16.0)676 (39.7)180 (12.0)133 (8.5)41 (2.7)354 (23.2)
50-64212 (14.3)321 (22.1)312 (21.9)633 (44.0)297 (20.2)203 (14.9)113 (6.6)613 (41.7)
65-7458 (7.8)101 (13.6)156 (19.4)257 (32.9)191 (21.8)178 (21.0)130 (16.4)499 (59.3)
≥7531 (5.9)70 (12.8)108 (20.3)178 (33.0)133 (24.1)113 (20.8)85 (16.1)331 (61.1)
Household Income (quartile)
Low134 (18.7)153 (17.7)180 (17.5)333 (35.1)208 (19.0)172 (16.3)123 (10.8)503 (46.2)<0.001
Middle Low274 (23.5)265 (22.2)244 (18.3)509 (40.5)226 (15.7)186 (13.3)103 (7.0)515 (36.0)
Middle High367 (31.5)271 (21.2)232 (17.0)503 (38.1)200 (14.2)152 (11.4)78 (4.8)430 (30.3)
High507 (35.9)347 (23.7)240 (15.1)587 (38.8)200 (13.5)130 (7.9)68 (3.9)398 (25.3)
Education level
≤Elementry school57 (6.1)121 (12.3)183 (19.3)304 (31.6)223 (22.4)210 (21.5)172 (18.4)605 (62.3)<0.001
Middle school50 (10.7)78 (18.9)95 (19.7)173 (38.6)111 (22.0)81 (16.6)58 (12.1)250 (50.7)
high school438 (30.6)384 (24.0)292 (15.9)676 (39.8)279 (15.6)181 (9.8)85 (4.1)545 (29.6)
≥College737 (37.8)453 (23.2)326 (16.2)779 (39.4)221 (11.3)168 (8.9)57 (2.6)446 (22.8)

1)Based on 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0:normal, 1-2:Caution, ≥3:Metabolic syndrome(MS)]..

2)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3)n is Unweighted frequency, % is row percentage estimates..

4)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crosstabs..


Table 2 . Nutrient intake amounts of the groups divided by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Groups1)P

Normal (n=1,282)Caution (n=1,932)MS (n=1,846)
Macro-nutrientsEnergy (kcal)1,969.18±30.792)1,964.34±27.661,904.42±27.200.1723)
Protein (g)75.57±1.4373.70±1.3069.27±1.200.001
Carbohydrate (g)270.93±4.00280.58±3.77284.35±3.440.020
Sugars (g)64.69±1.5762.09±1.4756.70±1.30<0.001
Dietary fiber (g)21.88±0.4024.38±0.4224.93±0.41<0.001
Fat (g)54.82±1.3048.77±1.1041.92±1.04<0.001
Saturated FA (g)18.21±0.4715.77±0.4013.07±0.37<0.001
MUFA (g)17.96±0.4915.87±0.4213.52±0.38<0.001
PUFA (g)13.39±0.3412.29±0.2711.14±0.26<0.001
n-3 FA (g)1.85±0.051.87±0.051.83±0.050.795
n-6 FA (g)11.51±0.3010.40±0.249.31±0.23<0.001
Cholesterol (mg)301.22±8.17275.35±6.78245.83±6.53<0.001

MineralsCalcium (mg)513.72±10.01513.91±8.34501.82±9.210.544
Phosphorus (mg)1,075.86±17.491,075.61±15.441,025.83±15.110.020
Iron (mg)11.53±0.2311.95±0.2312.09±0.230.175
Sodium (mg)3,365.05±56.643,476.14±64.343,495.97±67.510.246
Potassium (mg)2,720.80±42.652,839.99±53.002,796.90±41.190.147

VitaminsVitamin A (μgRAE)385.32±8.76385.79±9.94380.90±16.010.961
β-Carotene (μg)2,520.53±69.322,811.41±85.722,969.67±93.16<0.001
Retinol (μg)174.97±6.58151.24±6.16133.33±12.470.002
Thiamin (mg)1.36±0.031.35±0.021.33±0.020.773
Riboflavin (mg)1.75±0.031.66±0.031.57±0.03<0.001
Niacin (mg)13.41±0.2613.30±0.2712.54±0.220.010
Folic acid (μgDFE)302.30±5.82329.26±5.17333.47±5.22<0.001
Vitamin C (mg)67.23±2.3169.73±2.9665.14±2.070.405

Water (g)993.45±19.661,032.27±20.85977.77±18.400.053

1)Based on the number of abnormal values in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0: Normal, 1∼2: Caution, ≥3: Metabolic syndrome (MS)]..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Table 3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1 symptom of the caution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Intra-caution group (n=1,932)Subgroups of caution group1)P


PO (n=154)P (n=312)G (n=238)H (n=221)T (n=111)
Macro-nutrientsEnergy (kcal)<0.0013)2081.53±106.732)2034.99±58.642059.26±84.751771.12±72.502340.08±105.80<0.0013)
Protein (g)<0.00179.91±4.9475.21±2.7878.43±3.4571.92±4.2089.46±5.590.151
Carbohydrate (g)0.126290.60±12.71289.27±6.43295.53±12.06258.52±13.10290.68±10.050.195
Sugars (g)0.32366.54±4.0861.45±2.8765.64±3.7164.60±6.7870.58±4.580.434
Dietary fiber (g)0.44026.30±1.5424.52±0.7225.98±1.3221.47±1.6722.80±1.160.117
Fat (g)<0.00155.67±4.1849.45±2.3353.44±3.2547.01±2.7968.31±6.530.029
Saturated FA (g)<0.00117.96±1.5215.85±0.8717.10±1.1615.30±1.0422.84±2.680.074
MUFA (g)<0.00117.99±1.4616.20±0.9317.77±1.2715.52±1.1123.06±2.670.081
PUFA (g)<0.00114.25±1.1512.35±0.5713.22±0.7411.36±0.7115.59±1.150.016
n-3 FA (g)0.2621.97±0.161.92±0.091.92±0.121.72±0.112.05±0.160.429
n-6 FA (g)<0.00112.26±1.0010.42±0.5311.28±0.659.65±0.6313.51±1.020.012
Cholesterol (mg)<0.001308.85±20.24282.17±20.04287.62±18.69283.40±19.85334.27±23.950.486

MineralsCalcium (mg)0.123519.83±28.80517.13±17.96550.65±23.91470.37±22.89545.47±30.580.117
Phosphorus (mg)0.0101139.26±57.481092.14±32.911132.67±41.751044.47±57.361187.95±57.650.471
Iron (mg)0.01312.91±0.9612.25±0.4212.84±0.8410.90±0.4812.47±0.670.077
Sodium (mg)<0.0013824.19±275.583472.59±136.283766.75±184.433002.77±158.064125.66±205.76<0.001
Potassium (mg)0.2792967.42±146.252777.06±72.713041.01±119.782849.57±334.772896.78±144.620.288

VitaminsVitamin A (μgRAE)0.135399.95±30.96374.17±16.51434.08±35.25362.32±26.02439.19±29.120.195
β-Carotene (μg)0.1742938.04±294.782734.51±152.282949.07±174.002328.11±161.312850.55±219.980.053
Retinol (μg)<0.001154.78±15.33145.92±11.05188.08±30.00168.29±22.46201.44±25.650.292
Thiamin (mg)0.0231.39±0.071.34±0.051.46±0.061.24±0.071.47±0.090.083
Riboflavin (mg)<0.0011.77±0.101.65±0.061.84±0.081.63±0.101.98±0.110.070
Niacin (mg)<0.00113.57±0.9513.76±0.7513.93±0.5413.41±0.9215.62±1.000.436
Folic acid (μgDFE)0.044343.49±19.92328.23±9.87337.90±12.87295.81±18.10300.67±14.300.122
Vitamin C (mg)0.51371.13±5.1760.16±3.7575.33±13.0081.12±14.9369.25±8.190.177

Water (g)0.0171154.41±69.521044.62±42.081100.26±46.09975.51±83.291113.22±68.290.39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Table 4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2 symptoms of the caution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caution group1)

O+P (n=116)O+G (n=78)O+H (n=60)O+T (n=72)P+G (n=204)P+H (n=45)P+T (n=67)G+H (n=46)G+T (n=62)H+T (n=146)P
Macro-nutrientsEnergy (kcal)1836.05±88.992)1973.14±95.551565.59±69.601918.80±118.941955.46±106.761767.43±135.452030.64±133.471711.00±157.772052.99±137.271794.98±55.640.0073)
Protein (g)65.91±3.5677.11±4.4355.95±4.0170.46±5.0469.16±3.8456.17±5.1475.74±6.5971.05±7.7272.69±6.8965.19±2.590.023
Carbohydrate (g)265.39±11.84284.06±14.85252.36±12.11270.97±14.04289.03±10.28289.31±16.33273.89±13.86256.10±22.54289.03±15.41271.62±7.830.351
Sugars (g)56.20±5.0065.22±5.6156.05±5.1955.86±4.9560.26±5.1264.33±6.4954.02±4.9954.93±5.2959.24±5.0757.80±2.990.842
Dietary fiber (g)23.94±1.4625.52±2.1723.48±1.6721.81±1.4726.15±1.2127.01±1.9725.04±1.5924.11±2.5424.96±1.7324.02±0.860.614
Fat (g)42.84±3.5347.06±5.2133.44±2.4947.52±4.5441.20±3.3835.16±3.9246.61±5.3043.36±5.8243.28±3.5444.24±2.480.041
Saturated FA (g)13.72±1.1915.29±1.6910.81±1.0115.76±1.8113.82±1.6910.87±1.4814.16±1.6114.05±2.0713.23±1.0814.20±0.880.114
MUFA (g)13.49±1.1915.33±2.1410.42±0.9915.75±1.5812.47±1.0111.10±1.4316.02±2.0214.61±2.4113.13±1.1213.89±0.870.065
PUFA (g)11.50±1.2012.06±1.269.08±0.5111.45±1.1010.83±0.839.58±1.0512.18±1.2810.34±1.3112.22±1.2311.98±0.820.045
n-3 FA (g)1.91±0.211.79±0.181.60±0.141.59±0.182.06±0.201.31±0.201.73±0.171.58±0.231.77±0.242.05±0.220.199
n-6 FA (g)9.59±1.0310.26±1.137.46±0.469.84±0.968.76±0.698.26±0.9610.40±1.158.76±1.1510.43±1.069.90±0.660.039
Cholesterol (mg)231.16±18.12300.03±34.90193.08±26.99278.27±35.96239.64±19.47145.79±21.84285.58±34.15305.84±52.71248.88±30.33247.83±20.510.002

MineralsCalcium (mg)455.48±29.29589.95±50.56481.28±37.08458.52±31.21526.63±23.55482.32±55.31502.18±44.00472.25±43.78513.04±36.59537.69±36.680.200
Phosphorus (mg)980.38±50.051151.16±63.63904.73±52.161009.27±65.861065.16±44.56910.02±73.031095.87±69.701049.70±90.031030.20±69.261016.57±37.830.146
Iron (mg)10.61±0.5512.30±1.019.79±0.5711.51±0.8412.18±0.6810.80±1.1313.18±0.9710.82±0.8211.87±0.8311.58±0.470.048
Sodium (mg)3027.63±191.533630.37±257.082861.68±212.373717.95±266.363462.35±181.832974.68±307.393245.05±234.862875.45±230.343756.50±342.533322.40±169.740.072
Potassium (mg)2634.48±148.393024.25±177.642516.48±140.902533.64±145.292897.00±124.552791.63±201.212861.62±189.212793.87±255.592839.18±179.582740.01±94.760.381

VitaminsVitamin A (μgRAE)346.56±31.68375.02±34.38325.90±35.18339.69±32.14374.12±26.85307.66±40.72452.27±67.17366.73±35.36390.57±61.89390.42±23.950.516
β-Carotene (μg)2440.52±207.342595.53±253.252752.85±333.522417.82±227.563183.52±297.202656.58±412.603976.48±748.002586.24±328.173239.47±696.972959.85±238.090.309
Retinol (μg)143.18±22.93158.73±27.7496.38±16.71138.05±21.60107.66±11.8086.27±15.40120.86±16.65151.21±20.92120.61±19.21143.54±15.230.050
Thiamin (mg)1.35±0.071.54±0.131.12±0.061.25±0.071.34±0.081.17±0.111.49±0.111.30±0.151.39±0.121.25±0.060.040
Riboflavin (mg)1.50±0.091.74±0.161.26±0.091.59±0.121.52±0.071.33±0.161.61±0.151.52±0.131.55±0.121.62±0.090.113
Niacin (mg)12.34±0.6812.94±0.779.76±0.6611.82±0.7312.80±0.7010.61±0.7614.05±1.2912.96±1.5513.79±1.5912.39±0.590.028
Folic acid (μgDFE)312.25±19.98342.51±25.37302.58±19.93296.11±20.62364.50±17.34302.11±28.60348.67±26.22348.76±36.27365.86±24.00351.63±16.140.068
Vitamin C (mg)58.71±5.9170.39±9.6968.36±8.1161.66±8.7466.27±5.2769.23±12.8959.33±7.9982.28±15.3280.13±19.3975.15±8.090.682

Water (g)916.27±56.321064.05±77.98834.31±52.44930.54±69.541029.59±64.32863.82±70.41965.88±74.051050.08±104.781033.02±90.881033.83±51.550.08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Table 5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3 symptoms of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metabolic syndrome group1)P

O+P+G (n=182)O+P+H (n=53)O+P+T (n=54)O+G+H (n=38)O+G+T (n=65)O+H+T (n=97)P+G+H (n=53)P+G+T (n=57)P+H+T (n=137)G+H+T (n=98)
Macro-nutrientsEnergy (kcal)2003.77±86.152)1488.21±96.772454.60±284.901908.79±98.012172.91±193.412022.59±118.721656.97±124.332313.17±176.391671.43±66.561922.27±113.03<0.0013)
Protein (g)75.18±4.0954.18±5.0386.55±8.9668.75±4.9971.64±4.6680.70±6.2756.75±4.7683.85±7.1861.07±3.2771.14±4.15<0.001
Carbohydrate (g)285.52±11.57252.67±15.01330.27±26.53290.00±15.22310.00±18.23291.93±15.68267.64±16.88307.92±14.05269.63±10.41285.46±18.870.159
Sugars (g)54.28±3.0744.41±5.3559.34±7.2759.96±6.8653.56±5.5063.92±7.4851.98±5.1452.00±6.4063.42±5.2960.36±5.660.299
Dietary fiber (g)25.59±1.1422.89±2.2026.48±2.5823.27±1.7323.90±2.0225.09±1.7023.57±2.1128.89±2.8026.37±1.7225.02±1.580.827
Fat (g)41.14±2.5428.45±3.5054.64±7.6844.60±4.3945.12±5.0651.20±5.1134.27±5.1751.43±6.3833.76±2.2241.65±3.35<0.001
Saturated FA (g)12.08±0.677.90±0.9317.12±2.5913.87±1.1915.28±2.2815.83±1.9310.90±1.7816.78±2.2310.59±0.8012.99±1.12<0.001
MUFA (g)12.81±0.858.50±1.1518.55±2.9313.90±1.3514.26±1.5616.24±1.6110.66±1.8416.80±2.4010.56±0.7713.01±1.250.065
PUFA (g)12.30±1.019.36±1.6313.06±1.3712.05±1.7611.58±1.2514.19±1.459.04±1.2212.60±1.249.01±0.6611.61±0.990.006
n-3 FA (g)2.03±0.162.12±0.441.98±0.291.58±0.211.77±0.232.50±0.281.90±0.532.00±0.181.51±0.121.80±0.160.031
n-6 FA (g)10.26±0.917.21±1.2711.28±1.2310.46±1.589.79±1.0711.64±1.277.13±0.9610.59±1.137.49±0.589.77±0.880.003
Cholesterol (mg)280.24±26.71165.87±28.29325.18±57.36242.68±34.18277.47±31.87285.23±24.70175.53±22.10299.67±34.64197.73±17.71261.27±21.76<0.001

MineralsCalcium (mg)558.54±34.66443.81±46.06549.68±58.60496.71±45.03500.49±49.69510.72±45.06505.32±64.50578.40±50.25494.29±32.48508.49±32.500.689
Phosphorus (mg)1100.61±46.63853.81±63.181200.18±112.241011.47±62.761048.15±69.411136.97±73.22906.47±73.111223.33±59.80975.11±48.311043.87±55.900.002
Iron (mg)12.96±0.7610.10±0.9314.19±1.6612.70±1.4912.43±0.9912.86±1.019.81±0.9515.75±2.0611.46±0.5612.16±0.900.115
Sodium (mg)3760.04±211.832618.71±222.194596.77±374.043144.85±235.693456.85±285.913769.13±289.073237.82±341.013927.23±265.313033.45±195.883510.21±243.37<0.001
Potassium (mg)2930.38±120.522472.81±243.553090.82±312.602793.00±199.062837.92±254.472953.79±196.942590.71±237.983162.49±159.442810.48±164.062835.07±144.260.454

VitaminsVitamin A (μgRAE)379.85±25.41387.70±108.11375.62±45.70296.64±32.21364.56±40.46463.23±68.22358.20±44.00395.59±40.23349.64±28.61347.99±19.890.407
β-Carotene (μg)3011.79±228.372830.57±551.903167.18±479.672426.41±287.412949.29±423.143209.13±368.872984.60±421.112930.67±376.132890.12±284.132812.60±194.880.821
Retinol (μg)128.53±12.56151.82±82.74111.69±13.8994.34±17.44118.79±16.46195.80±61.85107.09±24.90151.37±37.85108.74±13.62113.60±11.910.760
Thiamin (mg)1.33±0.051.14±0.111.57±0.151.29±0.091.30±0.091.42±0.111.16±0.091.79±0.141.20±0.061.37±0.110.009
Riboflavin (mg)1.65±0.091.22±0.102.05±0.211.58±0.111.75±0.201.64±0.141.29±0.131.71±0.111.42±0.081.65±0.100.001
Niacin (mg)13.76±0.7610.74±0.9015.77±1.7613.05±1.1012.89±1.0213.67±0.9910.16±0.7714.83±0.7711.46±0.6313.80±0.920.002
Folic acid (μgDFE)351.76±15.63314.49±23.18362.46±45.15303.68±23.67352.41±26.78326.19±20.99293.14±29.42403.13±27.20318.34±17.37342.53±20.550.169
Vitamin C (mg)62.32±5.4760.06±10.7162.26±7.7056.27±10.0667.14±8.6766.40±9.5756.51±8.3363.38±7.0171.31±7.1277.96±11.670.946

Water (g)992.69±52.77871.09±92.291204.13±125.41927.34±96.971035.03±126.911033.64±81.38819.65±71.371204.26±95.40920.37±64.911112.65±90.500.089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Table 6 . Nutrient intake amounts of subgroups having 4 or 5 symptoms of the metabolic syndrome (MS) group divided by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NutrientsSubgroups of metabolic syndrome group1)Intra-MS (n=1,846)


O+P+G+H (n=68)O+P+G+T (n=92)O+P+H+T (n=158)O+G+H+T (n=146)P+G+H+T (n=176)O+P+G+H+T (n=372)PP
Macro-nutrientsEnergy (kcal)1746.64±119.602)2347.63±117.431911.04±96.671911.31±108.161748.64±70.041694.21±39.61<0.0013)<0.001
Protein (g)63.10±5.5584.30±4.6567.15±3.9669.54±4.2063.12±3.5762.39±2.090.002<0.001
Carbohydrate (g)276.51±12.72317.64±17.86276.43±9.96295.28±16.00277.28±8.98266.03±5.600.1160.074
Sugars (g)56.59±4.8553.80±4.6462.94±4.3865.88±6.3352.36±3.1150.90±2.180.0770.140
Dietary fiber (g)24.69±1.9325.13±1.7723.86±1.0725.35±1.4424.69±1.0124.25±0.630.9560.971
Fat (g)32.81±2.8757.08±4.7448.92±5.0644.88±3.7335.17±3.0135.31±1.69<0.001<0.001
Saturated FA (g)9.17±0.8718.66±1.7215.77±1.9613.67±1.3011.11±1.0610.80±0.55<0.001<0.001
MUFA (g)10.26±1.0119.55±1.9616.76±2.1014.58±1.3111.15±1.1211.32±0.68<0.001<0.001
PUFA (g)9.86±0.8713.27±0.9011.30±0.8412.16±1.009.35±0.699.74±0.480.009<0.001
n-3 FA (g)1.77±0.231.70±0.121.94±0.141.76±0.131.63±0.171.69±0.130.7760.089
n-6 FA (g)8.04±0.7511.56±0.819.40±0.7410.36±0.927.71±0.628.04±0.390.002<0.001
Cholesterol (mg)241.48±46.27313.03±29.42249.81±27.26241.76±20.72209.35±19.07213.17±15.060.032<0.001

MineralsCalcium (mg)408.75±36.72542.43±29.22486.10±26.16511.38±30.49480.14±30.17471.66±16.510.1070.365
Phosphorus (mg)914.73±63.621156.89±54.601016.26±50.141024.33±56.96964.70±43.59942.46±26.420.022<0.001
Iron (mg)11.03±1.1012.29±0.8211.69±0.5912.95±1.0510.79±0.4911.43±0.470.3620.117
Sodium (mg)3235.36±303.484326.82±270.913487.94±270.543822.94±329.493065.54±175.683211.62±118.220.003<0.001
Potassium (mg)2500.06±156.082958.71±193.242768.45±131.962844.85±153.012733.16±124.872619.19±78.900.3590.233

VitaminsVitamin A (μgRAE)505.82±206.48385.39±36.16358.93±28.46398.03±45.14317.10±21.20403.24±54.890.4100.485
β-Carotene (μg)2640.84±314.963141.55±384.222926.18±245.083169.84±260.242701.06±203.673082.84±257.470.6760.861
Retinol (μg)285.74±204.30123.26±12.24115.08±12.21133.70±33.8792.01±8.99146.53±45.850.2660.703
Thiamin (mg)1.07±0.061.55±0.131.35±0.101.42±0.101.23±0.051.25±0.050.0040.002
Riboflavin (mg)1.32±0.151.95±0.111.66±0.191.61±0.111.40±0.081.41±0.06<0.001<0.001
Niacin (mg)11.99±1.3914.39±0.8412.59±0.7512.64±0.8711.39±0.5410.91±0.410.003<0.001
Folic acid (μgDFE)302.17±24.15358.98±27.97321.84±13.86340.50±21.64315.04±11.95324.92±10.130.6590.320
Vitamin C (mg)55.87±7.8961.19±7.9370.49±9.0267.36±7.1567.46±5.9461.27±3.570.6930.977

Water (g)899.82±95.201047.14±71.70926.31±57.91989.85±60.68996.49±52.70874.05±31.620.1500.113

1)O: Obese, P: high blood pressure, G: high blood glucose, H: low HDL-cholesterol, T: high triglyceride..

2)M±SE, M is Mean estimates, SE is Standard Error estimates..

3)Calculated by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References

  1. Baek SY, Kim HK. Association of dietary sodium-to-potassium ratio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ents. 2023. 15:3134. https://doi.org/10.3390/nu15143134.
    Pubmed KoreaMed CrossRef
  2. Brunkwall L, Ericson U, Nilsson PM, et al. High water intake and low urine osmolality are associated with favorable metabolic profile at a population level: low vasopressin secretion as a possible explanation. Euro J Nutr. 2020. 59:3715-3722.
    Pubmed KoreaMed CrossRef
  3. Choi SA, Chung SS, Rho JO. Benefits of adherence to the Korea Healthy Eating Index on the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alysis of the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22. 55:120-140.
    CrossRef
  4. Chong MY, Han I. Distribu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obesity and health behavior based on the eighth KNHANES at 2019. J Koran Soc Food Sci Nutr. 2022. 51:1136-1147.
    CrossRef
  5. Dallongeville J, Cottel D, Ferrières J, et al. Household incom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 sex- specific manner. Diabetes Care. 2005. 28:409-415.
    Pubmed CrossRef
  6. Esfandiar Z, Hosseini-Esfahani F, Mirmiran P, et al. Red meat and dietary iron intakes are associated with som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J Transl Med. 2019. 17:313. https://doi.org/10.1186/s12967-019-2059-0.
    Pubmed KoreaMed CrossRef
  7. Hammad S, Pu S, Jones PJ. Current evidence supporting the link between dietary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Lipids. 2016. 51:507-517.
    Pubmed CrossRef
  8. Jeon YK, Cho WJ.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shape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of middle-aged women by physical activity level.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6. 55:527-539.
  9. Jung CH, Park JS, Lee WY, et al.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Med. 2002. 63:649-659.
  10. Kang HM, Kim DJ.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status with metabolic syndrome in middle- aged Koreans. Korean J Med. 2012. 82:569-575.
    CrossRef
  11. KDCA. 2021 Health information. 2021 [cited 2023 Jul 15]. Available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12. Lee J, Choi K.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adults in metabolic syndrome patients according to taking medical care: Based on the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22. 27:321-340.
    CrossRef
  13. Lee S, Park HS, Kim SM, et al.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9.
  14. Lee SY, Park HS, Kim D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 75:72-80.
    Pubmed CrossRef
  15. Lim S, Shin H, Song JH,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 34:1323-1328.
    Pubmed KoreaMed CrossRef
  16. MOHW, KNS.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ix-xvii.
  17. Nguyen HD. Roles of mixed nutrient intakes on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19-80 years old: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J Diabetes Metab Disord. 2023. 22:401-413.
    Pubmed KoreaMed CrossRef
  18. Nguyen TV, Arisawa K, Katsuura-Kamano S, et al. Associations of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with cancer mortality: The Japan Multi-Institutional Collaborative Cohort (J-MICC) study. PLoS ONE. 2022. 17:e026955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69550.
    Pubmed KoreaMed CrossRef
  19. Nikniaz L, Mahmudiono T, Jasim SA, et al. Nutrient pattern analysis of mineral based, simple sugar based, and fat based diet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 comparative nutrient panel. BMC Endocr Disord. 2022. 22:51. https://doi.org/10.1186/s12902-022-00963-2.
    Pubmed KoreaMed CrossRef
  20. Nirdnoy N, anacharoenpong K Sr, Surawit A, et al. Validation of a Thai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emi- FFQ) for people at risk of metabolic syndrome. J Health Popul Nutr. 2023. 42:13. https://doi.org/10.1186/s41043-023-00353-x.
    Pubmed KoreaMed CrossRef
  21. Park YS, Kang SH, Jang SI, et al.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South Korea. Sci Rep. 2022. 12:13356. https://doi.org/10.1038/s41598-022-17361-2.
    Pubmed KoreaMed CrossRef
  22. Puchau B, Zulet MA, de Echávarri AG, et al. Dietary total antioxidant capac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me metabolic syndrome features in healthy young adults. Nutrition. 2010. 26:534-541.
    Pubmed CrossRef
  23. Ryu JL, Kim SH, Ju JS.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self-care agenc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atients at risk of metabolic syndrom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21. 47(2):17-30.
  24. Saleem U, Khaleghi M, Morgenthaler NG, et al. Plasma carboxy-terminal provasopressin (Copeptin): A novel marker of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2009. 94:2558-2564.
    Pubmed KoreaMed CrossRef
  25. Sekgala MD, Opperman M, Mpahleni B, et al. Association between macronutrient and fatty acid consumption and metabolic syndrome: A South African taxi driver surve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2. 19:15452. https://doi.org/10.3390/ijerph192315452.
    Pubmed KoreaMed CrossRef
  26. Shi J, Fang H, Cheng X, et al. Nutrient patterns and its association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7-17. Nutrients. 2023. 15:117. https://doi.org/10.3390/nu15010117.
    Pubmed KoreaMed CrossRef
  27. Shim JY, Kang HT, Kim SY,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metabolic syndrome. Korean J Fam Pract. 2015. 5:375-420.
  28. Stern MP, Williams K, Gonzalez-Villalpando C, et al. Does the metabolic syndrome improv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at risk of type 2 diabetes and/or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2004. 27:2676-2681.
    Pubmed CrossRef
  29. Suliga E, Kozieł D, Cieśla E, et al.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normal weight: a cross-sectional study. Nutr J. 2015. 14:55. https://doi.org/10.1186/s12937-015-0045-9.
    Pubmed KoreaMed CrossRef
  30. Ushula TW, Mamun A, Darssan D, et al.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among young adult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Clin Nutr. 2022. 41:1523-1531.
    Pubmed CrossRef
  31. Villa-Etchegoyen C, Lombarte M, Matamoros N, et al. Mechanism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calcium intake and high blood pressure. Nutrients. 2019. 11:1112. https://doi.org/10.3390/nu11051112.
    Pubmed KoreaMed CrossRef
  32. Wu F, Zhuang P, Zhan C, et al. Egg and dietary cholesterol consumption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nationwide cohort. J Acad Nutr Diet. 2022. 122:758-770.
    Pubmed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