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10): 1065-1073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10.106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Hong-Sun Yo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E-mail: yhsuny@c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rmente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obtained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SC), Lacticaseibacillus casei, Levilactobacillus brevi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Each fermented product was analyzed for quality and use as a new antioxida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fermented products was the highest in SC fermented products (106.30±0.58 GAE mg/g), and flavonoid conten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 fermented products (49.23±0.78 CE mg/g) (P<0.05). Evaluat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that SC ferment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P<0.05). Moreover, the FRAP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1.37±0.01 M/g: P<0.05) in SC fermenta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ocular fermentation was found to be better than the non-fermented group at a concentration of 5 mg/disc (P<0.05) in all strains except Pseudomonas aeruginosa. In particular, the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t 10 mg/disc concentration for all strain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fermente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products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natural ingredients for functional foods in the future.
Keywords: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antioxidant, antibacterial, fermenta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발효(fermentation)는 유산균, 효모, 곰팡이 등 유용 미생물을 천연식품에 주입하여 식품 내 기능 성분을 생성 또는 증진시키거나 원료의 활용을 다양화하는 방법으로, 발효가 진행될수록 미생물이 분비하는 amylase, hydrolases, lipase 등의 각종 효소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생화학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Bae 등, 2019). 이에 따라 식품 내 성분 조성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항산화 및 면역 기능 활성화 등 체내 생리조절기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식품의 맛과 풍미 등 관능적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Bae 등, 2019; Kang 등, 2021).
눈개승마(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성분이 풍부한 눈개승마를 여러 유용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각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눈개승마 발효에 사용된 균주는
본 실험에 사용한 눈개승마는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서 2022년 5월에 재배한 생채를 구입하여 수세 후 물기를 제거한 것을 50°C의 열풍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였고 열풍건조 된 시료를 -24°C에서 냉동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제조는 1.5 L의 증류수에 30 g의 glucose(Junsei Chemical Co., Ltd.)와 7.5 g의 peptone (Difco Laboratories)을 넣고 교반한 뒤 121°C에서 15분 동안 가압 고온 멸균하여 실온에서 서서히 식힌 다음 건조된 눈개승마 50 g과 미리 활성화한 5종의 발효 균주를 각각 10 mL 주입하였다.
동결건조 분말의 수율은 제조한 발효 및 무발효 눈개승마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구한 후 추출물 조제에 사용한 원료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각 시료는 30% 메탄올(Samchun Pure Chemical Co., Ltd.)에 녹여 원하는 농도로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주 성장에 따른 발효액의 pH 변화는 24시간 배양 후 멸균된 발효액을 여과(Whatman No. 2)한 다음 pH meter (pH-200L, iSTEK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혼탁도 측정은 24시간 배양 후 멸균 및 여과된 발효액 1 mL를 취해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서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였다. 생균수 측정은 24시간 배양한 눈개승마 발효액을 멸균수에 희석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BS, LB, LC, LP는 plate count agar(Difco Laboratories), SC는 potato dextrose agar(Difco Laboratories)에 분주한 다음 각각 37°C, 30°C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눈개승마 무발효군 및 발효군(BS, SC, LB, LC, LP)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Folin-Denis(1912) 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40 μL에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Sigma-Aldrich Co.)와 증류수를 1:2(v/v)의 비율로 섞은 혼합액 40 μ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10% Na2CO3(w/v, Duksan Chemical Co.) 용액 600 μL를 섞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괏값은 표준물질인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gallic acid equivalents(GAE)로 나타내었다.
눈개승마 무발효군 및 발효군(BS, SC, LB, LC, LP)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Zhishen 등(1999)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25 μL에 증류수 500 μL와 5% NaNO2(w/v, Thermo Fisher Scientific Co., Ltd.) 37.5 μL를 넣어 섞은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10% AlCl3・6H2O(w/v, Junsei Chemical Co.) 75 μL를 넣고 6분간 방치한 다음 1 M NaOH(Daejung Chemical & Metals Co., Ltd.) 25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11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표준물질로 catechin hydrate(Sigma- 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catechin equivalents(CE)으로 나타내었다.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lois(1958)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0 μL에 0.2 mM DPPH(Sigma-Aldrich Co.) solution 100 μL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의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시료 희석용매인 30% 메탄올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후 50%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인 IC50(inhibitory concentration)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의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래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Fellegrini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ABTS solution은 140 mM K2S2O8(Samchun Pure Chemical Co.) 88 μL에 증류수 5 mL를 가한 후 ABTS diammonium salt tablet(Sigma- Aldrich Co.) 2알을 넣어 실온의 암실에서 12~16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를 95% 에탄올(Samchun Pure Chemical Co.)과 1:88(v/v)의 비율로 섞어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이 0.7±0.02가 되도록 조절하여 solution으로 사용하였다. 시료 50 μL에 ABTS solution 1 mL를 가한 후 2분 30초간 실온의 암실에서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희석용매인 30% 메탄올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후 50%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인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의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Samchun Pure Chemical Co.)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는 Benzie와 Strain(1996)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FRAP solution은 300 mM acetate buffer(pH 3.6)와 40 mM HCl(Samchun Pure Chemical Co.)에 용해한 10 mM 2,4,6-tris(2- pyridyl)-s-triazine(TPTZ, Sigma-Aldrich Co.), 20 mM FeCl3・6H2O(Samchun Pure Chemical Co.)를 각각 10:1:1 (v/v/v)의 비율로 섞은 후 37°C의 incubator(650D,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제조한 후 시약으로 사용하였다. 시료 30 μL에 증류수 90 μL와 FRAP solution 900 μL를 넣고 37°C incubator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value는 FeSO4・7H2O(Samchun Pure Chemical Co.)를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대입하여 환산하였으며, 시료 1 g에 들어있는 FeSO4・7H2O의 M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각 유해 균주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Bauer 등, 1966)를 통해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gram positive bacteria인
Table 1 . List of strains used for antimicrobial experiments
Strains | Media1) | Temp. (°C) | |
---|---|---|---|
Gram positive bacteria | NA/NB | 30 | |
NA/NB | 30 | ||
NA/NB | 30 | ||
Gram negative bacteria | NA/NB | 30 | |
NA/NB | 30 | ||
NA/NB | 37 | ||
NA/NB | 37 |
1)NA: nutrient agar, NB: nutrient broth.
조건으로 생육 배양하였다. 분양받은 균주를 nutrient broth에 접종하고 30°C에서 24시간씩 3회 계대 배양하고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이 0.4~0.6(1×105 CFU/mL) 범위 안에 들게 한 후 항균 활성 측정을 위한 균주로 사용하였다. 활성화된 각 균주를 nutrient agar에 100 μL씩 분주한 뒤 멸균된 spreader로 도말하여 항균 시험용 평판배지를 준비하였다. 시험용액의 농도 disc당 5, 10 mg이 되도록 paper disc(8 mm)에 천천히 흡수시킨 후 건조 과정을 거쳐 용매를 휘발시킨 뒤 평판배지 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24시간 동안 30°C와 37°C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disc 주변에 생성된 생육 저해환(clear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실시한 후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얻은 결과는 SPSS 26.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측정값 간의 유의성 검증은 95% 유의수준(
5종의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눈개승마 발효물의 수율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발효물 중에서는 BS 발효군이 18.07%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LC 발효군(17.33%), SC 발효군(16.69%), LB 발효군(16.31%), LP 발효군(16.12%) 순으로 높은 수율이 나타나 무발효군에 비해 발효군의 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Bae 등(2019)의 명월초를 여러 유용 균주로 발효한 연구에서 발효군의 수율이 무발효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BS를 이용한 명월초 발효물의 수율이 가장 높았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발효물들의 수율이 무발효군에 비해 증가한 이유는 눈개승마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미생물별 가수분해 효소가 활성화되면서 lactic acid, 페놀성 화합물 등의 대사산물 생성량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Kim 등, 2009).
Table 2 . The yield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Yield |
---|---|
Control | 3.35 |
BS | 18.07 |
SC | 16.69 |
LC | 17.33 |
LB | 16.31 |
LP | 16.12 |
1)Control: non-fermented
다양한 유용 미생물을 통해 발효시킨 눈개승마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발효시킨 눈개승마 발효액의 배양 특성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무발효 대조군 pH는 5.40±0.01로 나타났으며 발효군의 pH는 3.55~4.96 범위에서 나타나 눈개승마를 발효했을 때 pH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3 . pH value,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in the broth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pH | Turbidity4) | Viable cell count (log CFU/mL) |
---|---|---|---|
Control | 5.40±0.01a2)3) | 0.12±0.00f | - |
BS | 4.96±0.00b | 0.50±0.00c | 5.18±0.17d |
SC | 4.10±0.01c | 0.39±0.00e | 7.22±0.03c |
LC | 3.55±0.01f | 0.42±0.00d | 8.27±0.02b |
LB | 3.64±0.02d | 0.58±0.00b | 8.69±0.05a |
LP | 3.62±0.00e | 0.90±0.00a | 8.62±0.07a |
1)Control: non-fermented
2)Mean±SD (n=3).
3)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4)Turbidity measurement based on OD600 in the broth of
발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유된 미생물의 양이 증가하는 정도는 발효물의 흡광도를 600 nm에서 측정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Alpen과 Mandel, 1960). 눈개승마 발효물의 혼탁도 측정 결과 0.12~0.90으로 나타났고 무발효군(0.12±0.00)에서 가장 낮았으며 LP(0.90±0.00)에서 가장 높은 혼탁도를 보였다(
미생물의 생장에 있어서 눈개승마 발효액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발효 후 각 발효물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5.18~8.69 log CFU/mL로 나타났고, LB 발효군(8.69±0.05 log CFU/mL)과 LP 발효군(8.62±0.07 log CFU/mL)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BS 발효군(5.18±0.17 log CFU/mL)이 가장 낮게 나타나 다른 균주들에 비해 유산균으로 발효했을 때 비교적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군 및 무발효군 중 SC 발효군(106.30±0.58 GAE mg/g)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Table 4 .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Total polyphenol contents (GAE mg/g2)) | Total flavonoid contents (CE mg/g3)) |
---|---|---|
Control | 90.57±0.58b4)5) | 37.56±0.57b |
BS | 82.04±0.29c | 36.18±0.38c |
SC | 106.30±0.58a | 49.23±0.78a |
LC | 61.12±1.26e | 26.77±0.75e |
LB | 61.46±0.29e | 31.41±0.22d |
LP | 66.48±0.77d | 35.93±0.43c |
1)Control: non-fermented
2)GAE: gallic acid equivalents mg/g.
3)CE: catechin equivalents mg/g.
4)Mean±SD (n=3).
5)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눈개승마 발효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50%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 농도인 IC50값으로 Table 5에 나타내었다. SC 발효군의 IC50값은 0.22±0.03 mg/mL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고 다음으로 BS 발효군(0.26±0.00 mg/mL), 무발효군(0.29±0.01 mg/mL), LC 발효군(0.41±0.01 mg/mL), LP 발효군(0.44±0.01 mg/ mL), LB 발효군(0.53±0.02 mg/mL) 순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모든 발효군 및 무발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Table 5 .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alue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mg/mL)2)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mg/mL) | FRAP value (M/g) |
---|---|---|---|
Ascorbic acid | 0.02±0.00g3)4) | 0.12±0.00g | - |
Control | 0.29±0.01d | 3.13±0.02e | 1.14±0.01b |
BS | 0.26±0.00e | 3.22±0.03d | 1.16±0.01b |
SC | 0.22±0.03f | 2.83±0.05f | 1.37±0.01a |
LC | 0.41±0.01c | 4.76±0.06a | 0.93±0.02e |
LB | 0.53±0.02a | 4.23±0.07b | 1.00±0.01d |
LP | 0.44±0.01b | 4.08±0.03c | 1.03±0.01c |
1)Control: non-fermented
2)Inhibitory activity was expressed as the mean of 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riplicate determines, obtained by interpolation of concentration inhibition curve.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눈개승마 발효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IC50값으로 Table 5에 나타내었다. SC 발효군의 IC50값은 2.83± 0.05 mg/mL로 무발효군(3.13±0.02 mg/mL)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고, BS 발효군(3.22±0.03 mg/mL), LP 발효군(4.08±0.03 mg/mL), LB 발효군(4.23±0.07 mg/ mL), LC 발효군(4.76±0.06 mg/mL) 순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모든 발효군 및 무발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철 환원 능력을 나타내는 FRAP 활성의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발효 눈개승마의 FRAP value는 SC 발효군(1.37±0.01 M/g)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눈개승마 발효물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무발효군은 5 mg/disc의 농도 중
Table 6 .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fermented
Microorganism | Size of clear zone (mm) | ||
---|---|---|---|
Sample1) | Fraction conc. (mg/disc) | ||
5.0 | 10.0 | ||
Control | -2) | - | |
BS | - | - | |
SC | - | - | |
LC | 1.00±0.00a3)4) | 2.00±0.00a | |
LB | 1.00±0.00a | 2.00±0.00a | |
LP | 0.50±0.00b | 1.75±0.29b | |
Control | - | 2.00±0.00c | |
BS | - | - | |
SC | - | 1.38±0.25d | |
LC | 2.00±0.00a | 3.00±0.00b | |
LB | 1.50±0.00b | 3.00±0.00b | |
LP | 1.00±0.00c | 3.63±0.25a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0.85±0.24a | 1.88±0.25a | |
LB | 0.48±0.05b | 1.38±0.48b | |
LP | 0.50±0.00b | 1.00±0.00c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0.50±0.00c | |
LC | 1.13±0.25a | 2.90±0.12a | |
LB | 0.88±0.25ab | 2.25±0.29b | |
LP | 0.70±0.24b | 3.00±0.00a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0.95±0.10NS5) | |
LB | - | 0.78±0.21 | |
LP | - | 0.78±0.21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0.95±0.10d | |
LC | 1.20±0.14a | 2.88±0.25b | |
LB | 0.95±0.10b | 2.30±0.24c | |
LP | 0.78±0.21c | 3.63±0.25a | |
Control | 8.75±0.50a | 19.50±1.73a | |
BS | 3.50±0.58d | 7.25±1.26d | |
SC | 6.13±0.63b | 12.00±1.41b | |
LC | 6.88±0.85b | 13.50±1.00b | |
LB | 4.38±0.48cd | 9.00±0.82cd | |
LP | 5.13±0.63c | 9.75±0.50c |
1)Control: non-fermented
2)Not detected.
3)Mean±SD (n=4).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5)NS: not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한 눈개승마를 여러 유용 미생물을 통해 발효시킨 후 각 발효물의 품질과 항산화, 항균 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 등의 산업원료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pH는 3.55~4.96으로 무발효군(5.40±0.01)에 비해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미생물 생장에 의한 혼탁도 측정 결과 LP 발효군(0.90±0.00)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10): 1065-1073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10.106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이예빈?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Hong-Sun Yo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E-mail: yhsuny@c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rmente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obtained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SC), Lacticaseibacillus casei, Levilactobacillus brevi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Each fermented product was analyzed for quality and use as a new antioxida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fermented products was the highest in SC fermented products (106.30±0.58 GAE mg/g), and flavonoid conten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 fermented products (49.23±0.78 CE mg/g) (P<0.05). Evaluat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that SC ferment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P<0.05). Moreover, the FRAP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1.37±0.01 M/g: P<0.05) in SC fermenta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ocular fermentation was found to be better than the non-fermented group at a concentration of 5 mg/disc (P<0.05) in all strains except Pseudomonas aeruginosa. In particular, the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t 10 mg/disc concentration for all strain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fermente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products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natural ingredients for functional foods in the future.
Keywords: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antioxidant, antibacterial, fermenta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발효(fermentation)는 유산균, 효모, 곰팡이 등 유용 미생물을 천연식품에 주입하여 식품 내 기능 성분을 생성 또는 증진시키거나 원료의 활용을 다양화하는 방법으로, 발효가 진행될수록 미생물이 분비하는 amylase, hydrolases, lipase 등의 각종 효소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생화학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Bae 등, 2019). 이에 따라 식품 내 성분 조성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항산화 및 면역 기능 활성화 등 체내 생리조절기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식품의 맛과 풍미 등 관능적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Bae 등, 2019; Kang 등, 2021).
눈개승마(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성분이 풍부한 눈개승마를 여러 유용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각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눈개승마 발효에 사용된 균주는
본 실험에 사용한 눈개승마는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서 2022년 5월에 재배한 생채를 구입하여 수세 후 물기를 제거한 것을 50°C의 열풍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였고 열풍건조 된 시료를 -24°C에서 냉동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제조는 1.5 L의 증류수에 30 g의 glucose(Junsei Chemical Co., Ltd.)와 7.5 g의 peptone (Difco Laboratories)을 넣고 교반한 뒤 121°C에서 15분 동안 가압 고온 멸균하여 실온에서 서서히 식힌 다음 건조된 눈개승마 50 g과 미리 활성화한 5종의 발효 균주를 각각 10 mL 주입하였다.
동결건조 분말의 수율은 제조한 발효 및 무발효 눈개승마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구한 후 추출물 조제에 사용한 원료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각 시료는 30% 메탄올(Samchun Pure Chemical Co., Ltd.)에 녹여 원하는 농도로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주 성장에 따른 발효액의 pH 변화는 24시간 배양 후 멸균된 발효액을 여과(Whatman No. 2)한 다음 pH meter (pH-200L, iSTEK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혼탁도 측정은 24시간 배양 후 멸균 및 여과된 발효액 1 mL를 취해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서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였다. 생균수 측정은 24시간 배양한 눈개승마 발효액을 멸균수에 희석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BS, LB, LC, LP는 plate count agar(Difco Laboratories), SC는 potato dextrose agar(Difco Laboratories)에 분주한 다음 각각 37°C, 30°C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눈개승마 무발효군 및 발효군(BS, SC, LB, LC, LP)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Folin-Denis(1912) 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40 μL에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Sigma-Aldrich Co.)와 증류수를 1:2(v/v)의 비율로 섞은 혼합액 40 μ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10% Na2CO3(w/v, Duksan Chemical Co.) 용액 600 μL를 섞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괏값은 표준물질인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gallic acid equivalents(GAE)로 나타내었다.
눈개승마 무발효군 및 발효군(BS, SC, LB, LC, LP)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Zhishen 등(1999)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25 μL에 증류수 500 μL와 5% NaNO2(w/v, Thermo Fisher Scientific Co., Ltd.) 37.5 μL를 넣어 섞은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10% AlCl3・6H2O(w/v, Junsei Chemical Co.) 75 μL를 넣고 6분간 방치한 다음 1 M NaOH(Daejung Chemical & Metals Co., Ltd.) 25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11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표준물질로 catechin hydrate(Sigma- Aldrich Co.)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 1 g에 대한 mg catechin equivalents(CE)으로 나타내었다.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lois(1958)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0 μL에 0.2 mM DPPH(Sigma-Aldrich Co.) solution 100 μL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의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시료 희석용매인 30% 메탄올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후 50%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인 IC50(inhibitory concentration)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의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Samchun Pure Chemical Co.)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래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Fellegrini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ABTS solution은 140 mM K2S2O8(Samchun Pure Chemical Co.) 88 μL에 증류수 5 mL를 가한 후 ABTS diammonium salt tablet(Sigma- Aldrich Co.) 2알을 넣어 실온의 암실에서 12~16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를 95% 에탄올(Samchun Pure Chemical Co.)과 1:88(v/v)의 비율로 섞어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이 0.7±0.02가 되도록 조절하여 solution으로 사용하였다. 시료 50 μL에 ABTS solution 1 mL를 가한 후 2분 30초간 실온의 암실에서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희석용매인 30% 메탄올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후 50%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인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의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Samchun Pure Chemical Co.)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는 Benzie와 Strain(1996)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FRAP solution은 300 mM acetate buffer(pH 3.6)와 40 mM HCl(Samchun Pure Chemical Co.)에 용해한 10 mM 2,4,6-tris(2- pyridyl)-s-triazine(TPTZ, Sigma-Aldrich Co.), 20 mM FeCl3・6H2O(Samchun Pure Chemical Co.)를 각각 10:1:1 (v/v/v)의 비율로 섞은 후 37°C의 incubator(650D, Thermo Fisher Scientific Inc.)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제조한 후 시약으로 사용하였다. 시료 30 μL에 증류수 90 μL와 FRAP solution 900 μL를 넣고 37°C incubator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value는 FeSO4・7H2O(Samchun Pure Chemical Co.)를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대입하여 환산하였으며, 시료 1 g에 들어있는 FeSO4・7H2O의 M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각 유해 균주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Bauer 등, 1966)를 통해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gram positive bacteria인
Table 1 . List of strains used for antimicrobial experiments.
Strains | Media1) | Temp. (°C) | |
---|---|---|---|
Gram positive bacteria | NA/NB | 30 | |
NA/NB | 30 | ||
NA/NB | 30 | ||
Gram negative bacteria | NA/NB | 30 | |
NA/NB | 30 | ||
NA/NB | 37 | ||
NA/NB | 37 |
1)NA: nutrient agar, NB: nutrient broth..
조건으로 생육 배양하였다. 분양받은 균주를 nutrient broth에 접종하고 30°C에서 24시간씩 3회 계대 배양하고 분광광도계(xMarkTM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이 0.4~0.6(1×105 CFU/mL) 범위 안에 들게 한 후 항균 활성 측정을 위한 균주로 사용하였다. 활성화된 각 균주를 nutrient agar에 100 μL씩 분주한 뒤 멸균된 spreader로 도말하여 항균 시험용 평판배지를 준비하였다. 시험용액의 농도 disc당 5, 10 mg이 되도록 paper disc(8 mm)에 천천히 흡수시킨 후 건조 과정을 거쳐 용매를 휘발시킨 뒤 평판배지 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24시간 동안 30°C와 37°C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disc 주변에 생성된 생육 저해환(clear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실시한 후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얻은 결과는 SPSS 26.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측정값 간의 유의성 검증은 95% 유의수준(
5종의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눈개승마 발효물의 수율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발효물 중에서는 BS 발효군이 18.07%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LC 발효군(17.33%), SC 발효군(16.69%), LB 발효군(16.31%), LP 발효군(16.12%) 순으로 높은 수율이 나타나 무발효군에 비해 발효군의 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Bae 등(2019)의 명월초를 여러 유용 균주로 발효한 연구에서 발효군의 수율이 무발효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BS를 이용한 명월초 발효물의 수율이 가장 높았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발효물들의 수율이 무발효군에 비해 증가한 이유는 눈개승마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미생물별 가수분해 효소가 활성화되면서 lactic acid, 페놀성 화합물 등의 대사산물 생성량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Kim 등, 2009).
Table 2 . The yield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Yield |
---|---|
Control | 3.35 |
BS | 18.07 |
SC | 16.69 |
LC | 17.33 |
LB | 16.31 |
LP | 16.12 |
1)Control: non-fermented
다양한 유용 미생물을 통해 발효시킨 눈개승마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발효시킨 눈개승마 발효액의 배양 특성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무발효 대조군 pH는 5.40±0.01로 나타났으며 발효군의 pH는 3.55~4.96 범위에서 나타나 눈개승마를 발효했을 때 pH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3 . pH value,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in the broth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pH | Turbidity4) | Viable cell count (log CFU/mL) |
---|---|---|---|
Control | 5.40±0.01a2)3) | 0.12±0.00f | - |
BS | 4.96±0.00b | 0.50±0.00c | 5.18±0.17d |
SC | 4.10±0.01c | 0.39±0.00e | 7.22±0.03c |
LC | 3.55±0.01f | 0.42±0.00d | 8.27±0.02b |
LB | 3.64±0.02d | 0.58±0.00b | 8.69±0.05a |
LP | 3.62±0.00e | 0.90±0.00a | 8.62±0.07a |
1)Control: non-fermented
2)Mean±SD (n=3)..
3)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4)Turbidity measurement based on OD600 in the broth of
발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유된 미생물의 양이 증가하는 정도는 발효물의 흡광도를 600 nm에서 측정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Alpen과 Mandel, 1960). 눈개승마 발효물의 혼탁도 측정 결과 0.12~0.90으로 나타났고 무발효군(0.12±0.00)에서 가장 낮았으며 LP(0.90±0.00)에서 가장 높은 혼탁도를 보였다(
미생물의 생장에 있어서 눈개승마 발효액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발효 후 각 발효물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5.18~8.69 log CFU/mL로 나타났고, LB 발효군(8.69±0.05 log CFU/mL)과 LP 발효군(8.62±0.07 log CFU/mL)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BS 발효군(5.18±0.17 log CFU/mL)이 가장 낮게 나타나 다른 균주들에 비해 유산균으로 발효했을 때 비교적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군 및 무발효군 중 SC 발효군(106.30±0.58 GAE mg/g)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Table 4 .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Total polyphenol contents (GAE mg/g2)) | Total flavonoid contents (CE mg/g3)) |
---|---|---|
Control | 90.57±0.58b4)5) | 37.56±0.57b |
BS | 82.04±0.29c | 36.18±0.38c |
SC | 106.30±0.58a | 49.23±0.78a |
LC | 61.12±1.26e | 26.77±0.75e |
LB | 61.46±0.29e | 31.41±0.22d |
LP | 66.48±0.77d | 35.93±0.43c |
1)Control: non-fermented
2)GAE: gallic acid equivalents mg/g..
3)CE: catechin equivalents mg/g..
4)Mean±SD (n=3)..
5)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눈개승마 발효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50%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 농도인 IC50값으로 Table 5에 나타내었다. SC 발효군의 IC50값은 0.22±0.03 mg/mL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고 다음으로 BS 발효군(0.26±0.00 mg/mL), 무발효군(0.29±0.01 mg/mL), LC 발효군(0.41±0.01 mg/mL), LP 발효군(0.44±0.01 mg/ mL), LB 발효군(0.53±0.02 mg/mL) 순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모든 발효군 및 무발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Table 5 .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alue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mg/mL)2)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mg/mL) | FRAP value (M/g) |
---|---|---|---|
Ascorbic acid | 0.02±0.00g3)4) | 0.12±0.00g | - |
Control | 0.29±0.01d | 3.13±0.02e | 1.14±0.01b |
BS | 0.26±0.00e | 3.22±0.03d | 1.16±0.01b |
SC | 0.22±0.03f | 2.83±0.05f | 1.37±0.01a |
LC | 0.41±0.01c | 4.76±0.06a | 0.93±0.02e |
LB | 0.53±0.02a | 4.23±0.07b | 1.00±0.01d |
LP | 0.44±0.01b | 4.08±0.03c | 1.03±0.01c |
1)Control: non-fermented
2)Inhibitory activity was expressed as the mean of 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riplicate determines, obtained by interpolation of concentration inhibition curve..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눈개승마 발효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IC50값으로 Table 5에 나타내었다. SC 발효군의 IC50값은 2.83± 0.05 mg/mL로 무발효군(3.13±0.02 mg/mL)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고, BS 발효군(3.22±0.03 mg/mL), LP 발효군(4.08±0.03 mg/mL), LB 발효군(4.23±0.07 mg/ mL), LC 발효군(4.76±0.06 mg/mL) 순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모든 발효군 및 무발효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철 환원 능력을 나타내는 FRAP 활성의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발효 눈개승마의 FRAP value는 SC 발효군(1.37±0.01 M/g)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눈개승마 발효물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무발효군은 5 mg/disc의 농도 중
Table 6 .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fermented
Microorganism | Size of clear zone (mm) | ||
---|---|---|---|
Sample1) | Fraction conc. (mg/disc) | ||
5.0 | 10.0 | ||
Control | -2) | - | |
BS | - | - | |
SC | - | - | |
LC | 1.00±0.00a3)4) | 2.00±0.00a | |
LB | 1.00±0.00a | 2.00±0.00a | |
LP | 0.50±0.00b | 1.75±0.29b | |
Control | - | 2.00±0.00c | |
BS | - | - | |
SC | - | 1.38±0.25d | |
LC | 2.00±0.00a | 3.00±0.00b | |
LB | 1.50±0.00b | 3.00±0.00b | |
LP | 1.00±0.00c | 3.63±0.25a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0.85±0.24a | 1.88±0.25a | |
LB | 0.48±0.05b | 1.38±0.48b | |
LP | 0.50±0.00b | 1.00±0.00c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0.50±0.00c | |
LC | 1.13±0.25a | 2.90±0.12a | |
LB | 0.88±0.25ab | 2.25±0.29b | |
LP | 0.70±0.24b | 3.00±0.00a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0.95±0.10NS5) | |
LB | - | 0.78±0.21 | |
LP | - | 0.78±0.21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0.95±0.10d | |
LC | 1.20±0.14a | 2.88±0.25b | |
LB | 0.95±0.10b | 2.30±0.24c | |
LP | 0.78±0.21c | 3.63±0.25a | |
Control | 8.75±0.50a | 19.50±1.73a | |
BS | 3.50±0.58d | 7.25±1.26d | |
SC | 6.13±0.63b | 12.00±1.41b | |
LC | 6.88±0.85b | 13.50±1.00b | |
LB | 4.38±0.48cd | 9.00±0.82cd | |
LP | 5.13±0.63c | 9.75±0.50c |
1)Control: non-fermented
2)Not detected..
3)Mean±SD (n=4)..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5)NS: not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한 눈개승마를 여러 유용 미생물을 통해 발효시킨 후 각 발효물의 품질과 항산화, 항균 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 등의 산업원료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눈개승마 발효물의 pH는 3.55~4.96으로 무발효군(5.40±0.01)에 비해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미생물 생장에 의한 혼탁도 측정 결과 LP 발효군(0.90±0.00)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Table 1 . List of strains used for antimicrobial experiments.
Strains | Media1) | Temp. (°C) | |
---|---|---|---|
Gram positive bacteria | NA/NB | 30 | |
NA/NB | 30 | ||
NA/NB | 30 | ||
Gram negative bacteria | NA/NB | 30 | |
NA/NB | 30 | ||
NA/NB | 37 | ||
NA/NB | 37 |
1)NA: nutrient agar, NB: nutrient broth..
Table 2 . The yield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Yield |
---|---|
Control | 3.35 |
BS | 18.07 |
SC | 16.69 |
LC | 17.33 |
LB | 16.31 |
LP | 16.12 |
1)Control: non-fermented
Table 3 . pH value,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in the broth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pH | Turbidity4) | Viable cell count (log CFU/mL) |
---|---|---|---|
Control | 5.40±0.01a2)3) | 0.12±0.00f | - |
BS | 4.96±0.00b | 0.50±0.00c | 5.18±0.17d |
SC | 4.10±0.01c | 0.39±0.00e | 7.22±0.03c |
LC | 3.55±0.01f | 0.42±0.00d | 8.27±0.02b |
LB | 3.64±0.02d | 0.58±0.00b | 8.69±0.05a |
LP | 3.62±0.00e | 0.90±0.00a | 8.62±0.07a |
1)Control: non-fermented
2)Mean±SD (n=3)..
3)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4)Turbidity measurement based on OD600 in the broth of
Table 4 .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Total polyphenol contents (GAE mg/g2)) | Total flavonoid contents (CE mg/g3)) |
---|---|---|
Control | 90.57±0.58b4)5) | 37.56±0.57b |
BS | 82.04±0.29c | 36.18±0.38c |
SC | 106.30±0.58a | 49.23±0.78a |
LC | 61.12±1.26e | 26.77±0.75e |
LB | 61.46±0.29e | 31.41±0.22d |
LP | 66.48±0.77d | 35.93±0.43c |
1)Control: non-fermented
2)GAE: gallic acid equivalents mg/g..
3)CE: catechin equivalents mg/g..
4)Mean±SD (n=3)..
5)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Table 5 .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alue of fermented
Microorganism1)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mg/mL)2)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mg/mL) | FRAP value (M/g) |
---|---|---|---|
Ascorbic acid | 0.02±0.00g3)4) | 0.12±0.00g | - |
Control | 0.29±0.01d | 3.13±0.02e | 1.14±0.01b |
BS | 0.26±0.00e | 3.22±0.03d | 1.16±0.01b |
SC | 0.22±0.03f | 2.83±0.05f | 1.37±0.01a |
LC | 0.41±0.01c | 4.76±0.06a | 0.93±0.02e |
LB | 0.53±0.02a | 4.23±0.07b | 1.00±0.01d |
LP | 0.44±0.01b | 4.08±0.03c | 1.03±0.01c |
1)Control: non-fermented
2)Inhibitory activity was expressed as the mean of 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riplicate determines, obtained by interpolation of concentration inhibition curve..
3)Mean±SD (n=3)..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Table 6 .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fermented
Microorganism | Size of clear zone (mm) | ||
---|---|---|---|
Sample1) | Fraction conc. (mg/disc) | ||
5.0 | 10.0 | ||
Control | -2) | - | |
BS | - | - | |
SC | - | - | |
LC | 1.00±0.00a3)4) | 2.00±0.00a | |
LB | 1.00±0.00a | 2.00±0.00a | |
LP | 0.50±0.00b | 1.75±0.29b | |
Control | - | 2.00±0.00c | |
BS | - | - | |
SC | - | 1.38±0.25d | |
LC | 2.00±0.00a | 3.00±0.00b | |
LB | 1.50±0.00b | 3.00±0.00b | |
LP | 1.00±0.00c | 3.63±0.25a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0.85±0.24a | 1.88±0.25a | |
LB | 0.48±0.05b | 1.38±0.48b | |
LP | 0.50±0.00b | 1.00±0.00c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0.50±0.00c | |
LC | 1.13±0.25a | 2.90±0.12a | |
LB | 0.88±0.25ab | 2.25±0.29b | |
LP | 0.70±0.24b | 3.00±0.00a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 | |
LC | - | 0.95±0.10NS5) | |
LB | - | 0.78±0.21 | |
LP | - | 0.78±0.21 | |
Control | - | - | |
BS | - | - | |
SC | - | 0.95±0.10d | |
LC | 1.20±0.14a | 2.88±0.25b | |
LB | 0.95±0.10b | 2.30±0.24c | |
LP | 0.78±0.21c | 3.63±0.25a | |
Control | 8.75±0.50a | 19.50±1.73a | |
BS | 3.50±0.58d | 7.25±1.26d | |
SC | 6.13±0.63b | 12.00±1.41b | |
LC | 6.88±0.85b | 13.50±1.00b | |
LB | 4.38±0.48cd | 9.00±0.82cd | |
LP | 5.13±0.63c | 9.75±0.50c |
1)Control: non-fermented
2)Not detected..
3)Mean±SD (n=4)..
4)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
5)NS: not significa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