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3): 195-204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3.19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e Hui Lee1 , Min Ju Kim1 , Mi-Rae Shin1 , Bold Sharav2, Hae-Jin Park3 , and Seong-Soo Roh1
1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and
3DHU Bio Convergence Testing Center, Daegu Haany University
2Traditional Medical Research Institute, Mongolia
Correspondence to:Seong-Soo Roh,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136 Sincheondong-ro, Suseong-gu, Daegu 42158, Korea, E-mail: ddede@dhu.ac.kr
Author information: Se Hui Lee (Graduate student), Min Ju Kim (Graduate student), Mi-Rae Shin (Professor), Bold Sharav (Professor), Hae-Jin Park (Professor), Seong-Soo Roh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Pinaceae) is known to be rich in phenolic compounds which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of the compounds has not been clear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Pinaceae) water extract (PS) in a common ICR mice model with gastric ulcers (GU) induced by 150 mM HCl/60% ethanol. Th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n=8): Normal (normal group), Control (GU control group), SC (GU+sucralfate 10 mg/kg), PS100 (GU+PS 100 mg/kg), and PS200 (GU+PS 200 mg/kg) groups. Ninety minutes after drug administration, th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150 mM HCl/60% ethanol. The PS treatmen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in the tissue and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NOX2 and p22phox. Moreover, it effectively upregulated the antioxidant enzymes, such as heme oxygenase-1 and superoxide dismutase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Nrf2/KEAP1 signaling pathway. Besides, the PS-treatment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 beta, via NF-κB p65 inactivation through the AMPK/Sirt1 pathway. The results of our study thus demonstrated that PS has a significant effect in preventing gastric ulcers that occur due to decreased oxidative stress defense and inflammation.
Keywords: Pinus sylvestris, gastric ulcer, antioxidant, oxidative stress, anti-inflammation
위궤양(gastric ulcer)은 상부위장관 장애의 흔한 유형으로 위의 점막과 근육층이 염증으로 인해 손상된 상태를 말한다. 위벽은 4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통 첫 번째 층만 손상되어 위장 점막의 결손이 발생한 상태를 위염이라 일컫고, 두 번째 층 이상으로 손상되어 점막의 결손이 점막하층 이하까지 발생한 상태를 위궤양이라고 한다(Banks, 1986). 이러한 위궤양은 위 점막 내 프로스타글란딘, 점액 생성 및 항산화제 등과 같은 보호인자(defense factor)와 염산, 펩신 분비와 같은 공격인자(offense factor) 사이의 불균형이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Laine 등, 2008), 이 외에도 NSAID 남용,
구주소나무(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로부터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를 보였던 구주소나무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HCl/ethanol에 노출되어 급성 위궤양이 유발된 동물에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을 적용하여 항산화 효과, 염증 완화 효과 및 그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위 점막 보호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천연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료 추출
본 실험에 사용된 몽골 구주소나무(
시약
본 실험에 사용된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dibasic, sucrose octasulfate aluminum complex(Sucralfate), hydrochloric acid(HCl), ethyl alcohol은 Sigma-Aldrich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Nitrocellulose membranes는 Amersham GE Healthcare(Little Chalfont, UK)에서 구입하였고,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oxidase 2(NOX2), p22phox,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Nrf2),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KEAP1), heme oxygenase-1(HO-1), superoxide dismutase(SOD), sirtuin 1(Sirt1),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alpha(IκBα), phosphorylation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alpha(p-IκBα), phosphoryl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p65(NF-κBp6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cyclooxygenase-2(COX-2),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 interleukin-1 beta(IL-1β), histone, β-actin은 Santa Cruz Biotechnology(Dallas, TX,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phospho-AMP-activated protein kinase(p-AMPK)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Beverly, M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했으며, 2차 항체는 GeneTex, Inc.(Irvine, C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Protease inhibitor mixture,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는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Osaka, Japan)에서 구입하여 사용했으며,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와 dihydrorhodamine 123는 Molecular Probes(Eugene, OR, USA)에서,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는 GE Healthcare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을 위한 BCA protein assay kit은 Thermo Scientific(Waltham,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 Ciocalteu’s의 방법을 이용하여 함량(mg gallic acid equivalents(GAE)/g)을 측정하였다(Rama 등, 2013). 10%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500 μL, 시료 100 μL 및 7.5% sodium carbonate 400 μL를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765 nm, Tecan, Zürich, Switzerland)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gall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구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는 aluminum chloride를 사용한 비색법을 사용하여 함량(mg quercetin equivalents(QE)/g)을 구하였다(Rama 등, 2013). 560 μL 증류수, 1 M potassium acetate solution 20 μL, 100 μL 시료, 10% aluminium chloride solution 20 μL 및 methanol 300 μL를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주었다. 그다음 Microplate reader(415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인 quercetin을 이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구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산출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분석
시료의 항산화능 분석을 위해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법을 활용하였다(Blois, 1958). 농도별로 희석한 몽골 구주소나무 열수 추출물 100 μL와 60 μM DPPH 용액 100 μL를 각각 plate에 분주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의 암실에 30분간 반응시켰으며 Microplate reader(54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Ascorbic acid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으며, 아래의 식에 흡광도를 대입하여 산출된 라디칼 소거 활성이 50% 저해된 농도의 값을 IC50으로 표기하였다.
시료의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 분석을 위해 ABTS 라디칼 소거법을 활용하였다(Re 등, 1999). 2.4 mM potassium persulfate와 7 mM ABTS를 혼합하여 약 16시간 동안 실온의 암실에서 ABTS+을 형성시켜 주었다. 이를 흡광도 415 nm에서 측정하여 0.70±0.02의 값이 되도록 에탄올을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시료 5 μL와 희석한 ABTS 용액 95 μL를 혼합한 후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415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Ascorbic acid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으며, 아래의 식에 흡광도를 대입하여 산출된 라디칼 소거 활성이 50% 저해된 농도의 값을 IC50으로 표기하였다.
실험동물
6주령의 웅성 ICR(DBL, Chungbuk, Korea)을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동물 사육실 조건은 conventional system으로 온도 22±2°C, 습도 50±5%, 명암주기(light: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고, 사료(조단백질 18% 이상, 조지방 5.0% 이상,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 8.0% 이하, 칼슘 1.0% 이상, 인 0.85% 이상, 칼륨 0.55% 이상, 나트륨 0.25% 이상, 마그네슘 0.15% 이상; NIH-41, Zeigler Bros, Inc., Gardners, PA, USA)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동물실험의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 검토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승인번호: DHU2021-092)을 받았다.
급성 위궤양 동물 모델
실험군은 정상군(Normal), 대조군(Control), Sucralfate 10 mg/kg 투여군(SC),
육안적인 위 점막 손상도 측정
적출한 위 조직의 손상도는 I-Solution lite(Innerview Co., Daejeon, Kore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 점막의 손상된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위 전체 면적과 비교한 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Oh 등, 2020).
조직 내 malondialdehyde 측정
Malondialdehyde(MDA)는 Mihara와 Uchiyama(1978)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1,1,3,3-tetramethoxypropane은 본 실험에서 표준물질로 사용되었다.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과 1% phosphoric acid를 혼합한 후 0.67% thiobarbituric acid를 첨가하여 95°C에서 45분간 가열시켰다. 그다음 butanol을 혼합시킨 후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였으며 Microplate reader(540 nm)로 상층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조직 Western blotting
위 조직의 세포질을 얻기 위해 100 mM Tris-HCl(pH 7.4), 5 mM Tris–HCl(pH 7.5), 2 mM MgCl2, 15 mM CaCl2, 1.5 M sucrose, 0.1 M DTT,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을 첨가한 buffer A를 넣고 tissue grinder(Bio Spec Products, Bartlesville, OK, USA)로 분쇄한 후 아이스 위에서 30분간 정치시켰다. 그 후 10% NP-40 용액을 첨가하여 12,000 rpm으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질을 포함하고 있는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핵을 얻기 위해 10% NP-40가 더해진 buffer A에 두 번 헹구고 100 μL의 buffer C(50 mM HEPES, 0.1 mM EDTA, 50 mM KCl, 0.3 mM NaCl, 1 mM DTT, 0.1 mM PMSF, 10% glycerol)를 첨가해 재부유시킨 뒤 10분마다 vortex를 3번 하였다. 4°C에서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핵을 포함하고 있는 상층액을 얻어 -80°C에서 각각 냉동 보관하였다. 위 조직 세포질에서 NOX2, p22phox, KEAP1, HO-1, SOD, AMPK, p-AMPK, Sirt1, IκBα, p-IκBα, iNOS, COX-2, TNF-α, IL-1β 및 β-actin과 핵에서 NF-κBp65, Nrf2와 histone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12 μg의 단백질을 8~14%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후, acrylamide gel을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준비된 membrane에 각각의 1차 antibody(1:1,000)를 처리하여 4°C에서 overnight 시킨 다음 PBS-T로 6분마다 5회 세척하고, 각각 처리된 1차 antibody에 사용되는 2차 antibody(1:3,000)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30분 반응시킨 후 PBS-T로 6분마다 5회 세척하였다. 그 후 ECL 용액에 노출시켜 Sensi-Q2000 Chemidoc(Lugen Sci Co., Ltd, Seoul, Korea)을 이용해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band를 ATTO Densitograph Software(ATTO Corp., Tokyo, Japa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band를 정량하였다. 각각의 단백질 수준을 정상군의 단백질 수준으로 나눈 후 상대적 비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PS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5.86±2.35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17±0.12 mg QE/g으로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다. 기존 연구에서 구주소나무의 폴리페놀 함량은 70 mg GAE/g 정도로 나타났음을 보고했으며(Dróżdż와 Pyrzynska, 2021), 이는 몽골 구주소나무 폴리페놀 함량의 약 30% 감소한 함량으로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냈지만,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주소나무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29 mg QE/g으로 나타났으며(Dziedzinski 등, 2020), 이는 몽골 구주소나무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대비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Table 1).
Table 1 .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Sample | Total polyphenol (mg GAE/g) | Total flavonoid (mg QE/g) |
---|---|---|
PS | 105.86±2.35 | 10.17±0.12 |
All values are mean±SEM of three replications.
PS:
GAE, gallic acid equivalents; QE, quercetin equivalents.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PS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로 사용한 L-ascorbic acid의 IC50값은 0.89±0.02 μg/mL로 나타났으며, PS의 IC50값은 20.54±1.88 μg/mL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로 사용한 L-ascorbic acid의 IC50값은 2.93±0.10 μg/mL로 나타났으며, PS의 IC50값은 29.49±0.77 μg/mL로 나타났다(Fig. 1).
육안적인 위 점막 손상도 변화
위 점막 손상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위 점막의 손상이 나타나지 않은 정상군의 위 점막(0.80±0.13%)에 비해 150 mM HCl/60% ethanol로 유발한 대조군의 위 점막(35.18±2.86%)은 출혈 및 점막의 결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 내 malondialdehyde 측정
ROS는 호중구에 의해 생성되어 세포 지질과의 반응 및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한다. 따라서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로 지질 과산화의 주요 대사산물인 MDA 분석이 주로 사용된다(Phaniendra 등, 2015). 이에 본 연구에서 조직 내 MDA(nmol/mg)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72%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Western blotting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 분석: 산화적 스트레스는 ROS의 과생성, 세포막의 지질 과산화 및 항산화 체계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위점막의 상피층, 위 점액 장벽 및 땀샘을 파괴하게 되고, 결국 점막 및 점막하 세포를 손상시켜 혈관 내피 및 백혈구 침윤을 야기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인자인 NADPH oxidase-2(NOX2)를 억제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시켜 위장 보호 효능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며(Badr 등, 2019), NOX의 서브유닛인 p22phox 또한 NOX와 마찬가지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ROS 생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Lambeth, 2004).
본 실험 결과, NOX2의 발현이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약 39%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항산화 관련 단백질 분석: Nrf2/KEAP1 신호전달체계는 ROS로 인한 세포 내 스트레스와 독성을 완화하는 조절시스템이다. Nrf2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전사인자로 세포질에서 KEAP1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존재하다가 외부 자극에 의해 KEAP가 비활성화되면서 Nrf2가 분리되어 핵 안으로 유도됨으로써 ROS로 인한 세포 독성을 보호할 수 있으며, HO-1과 SOD 같은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 또한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 등, 2012).
본 실험 결과 Nrf2의 단백질 발현이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35%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PS 투여가 150 mM HCl/60% ethanol로 인한 급성 위궤양 동물 모델에서 Nrf2/KEAP1의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하여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킴으로써 급성 위궤양의 진행을 완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AMPK/Sirt1 단백질 분석: AMPK는 주요 에너지 센서 효소이자 대사 항상성을 조절하며, 세포 내의 에너지를 소모할 경우 AMP에 의해 활성화되어 ATP의 사용을 억제하는 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Hardie 등, 2012). Sirt1은 세포 대사 센서로 작용하며 포도당 항상성, 지질대사, 세포 노화 및 세포 자멸사 등 다양한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데, 이전 연구들로부터 AMPK/Sirt1의 신호전달로 인해 NF-κBp65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하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Velagapudi 등, 2017; Goldfine과 Shoelson,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 AMPK/Sirt1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p-AMPK는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22%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염증 관련 단백질 분석: NF-κB는 핵 내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질에서 IκBα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로 존재하다가 산화적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인산화되어 NF-κB가 핵 내로 이동하여 전염증성 단백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염증 관련 인자들의 전사 조절 역할을 하면서 염증 반응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Ngabire 등, 2018).
이에 본 실험에서 NF-κBp65, iNOS 및 COX-2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NF-κBp65의 발현이 39% 유의하게 증가했으나(
이는 PS가 AMPK/Sirt1의 활성화를 통해 NF-κBp65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발현과 TNF-α와 IL-1β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해 급성 위궤양을 개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는 150 mM HCl/60% ethanol로 유발한 급성 위궤양 동물 모델에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1시간 30분 후 150 mM HCl/60% ethanol을 0.55 mL 투여하여 유발하였고, 1시간 30분 후 동물을 희생시켜 위 조직을 적출하였다.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의 투여는 위 조직 내 MDA 함량과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인 NOX2와 p22phox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Nrf2/KEAP1의 신호전달을 통해 HO-1과 SOD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AMPK/Sirt1의 활성화로 NF-κB, iNOS 및 COX-2를 포함한 전염증 관련 단백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1β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조절을 통해 항산화 관련 단백질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AMPK/Sirt1의 활성화를 통해 염증 관련 단백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조절함으로써 급성 위궤양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개발협력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272012021)”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3): 195-204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3.19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이세희1․김민주1․신미래1․Bold Sharav2․박해진3․노성수1
1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2Traditional Medical Research Institute
3대구한의대학교 DHU 바이오융복합시험센터
Se Hui Lee1 , Min Ju Kim1 , Mi-Rae Shin1 , Bold Sharav2, Hae-Jin Park3 , and Seong-Soo Roh1
1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and
3DHU Bio Convergence Testing Center, Daegu Haany University
2Traditional Medical Research Institute, Mongolia
Correspondence to:Seong-Soo Roh,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136 Sincheondong-ro, Suseong-gu, Daegu 42158, Korea, E-mail: ddede@dhu.ac.kr
Author information: Se Hui Lee (Graduate student), Min Ju Kim (Graduate student), Mi-Rae Shin (Professor), Bold Sharav (Professor), Hae-Jin Park (Professor), Seong-Soo Roh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Pinaceae) is known to be rich in phenolic compounds which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of the compounds has not been clear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Pinaceae) water extract (PS) in a common ICR mice model with gastric ulcers (GU) induced by 150 mM HCl/60% ethanol. Th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n=8): Normal (normal group), Control (GU control group), SC (GU+sucralfate 10 mg/kg), PS100 (GU+PS 100 mg/kg), and PS200 (GU+PS 200 mg/kg) groups. Ninety minutes after drug administration, th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150 mM HCl/60% ethanol. The PS treatmen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in the tissue and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NOX2 and p22phox. Moreover, it effectively upregulated the antioxidant enzymes, such as heme oxygenase-1 and superoxide dismutase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Nrf2/KEAP1 signaling pathway. Besides, the PS-treatment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 beta, via NF-κB p65 inactivation through the AMPK/Sirt1 pathway. The results of our study thus demonstrated that PS has a significant effect in preventing gastric ulcers that occur due to decreased oxidative stress defense and inflammation.
Keywords: Pinus sylvestris, gastric ulcer, antioxidant, oxidative stress, anti-inflammation
위궤양(gastric ulcer)은 상부위장관 장애의 흔한 유형으로 위의 점막과 근육층이 염증으로 인해 손상된 상태를 말한다. 위벽은 4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통 첫 번째 층만 손상되어 위장 점막의 결손이 발생한 상태를 위염이라 일컫고, 두 번째 층 이상으로 손상되어 점막의 결손이 점막하층 이하까지 발생한 상태를 위궤양이라고 한다(Banks, 1986). 이러한 위궤양은 위 점막 내 프로스타글란딘, 점액 생성 및 항산화제 등과 같은 보호인자(defense factor)와 염산, 펩신 분비와 같은 공격인자(offense factor) 사이의 불균형이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Laine 등, 2008), 이 외에도 NSAID 남용,
구주소나무(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로부터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를 보였던 구주소나무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HCl/ethanol에 노출되어 급성 위궤양이 유발된 동물에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을 적용하여 항산화 효과, 염증 완화 효과 및 그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위 점막 보호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천연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료 추출
본 실험에 사용된 몽골 구주소나무(
시약
본 실험에 사용된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dibasic, sucrose octasulfate aluminum complex(Sucralfate), hydrochloric acid(HCl), ethyl alcohol은 Sigma-Aldrich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Nitrocellulose membranes는 Amersham GE Healthcare(Little Chalfont, UK)에서 구입하였고,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oxidase 2(NOX2), p22phox,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Nrf2),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KEAP1), heme oxygenase-1(HO-1), superoxide dismutase(SOD), sirtuin 1(Sirt1),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alpha(IκBα), phosphorylation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alpha(p-IκBα), phosphoryl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p65(NF-κBp6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cyclooxygenase-2(COX-2),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 interleukin-1 beta(IL-1β), histone, β-actin은 Santa Cruz Biotechnology(Dallas, TX,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phospho-AMP-activated protein kinase(p-AMPK)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Beverly, M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했으며, 2차 항체는 GeneTex, Inc.(Irvine, C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Protease inhibitor mixture,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는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Osaka, Japan)에서 구입하여 사용했으며,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와 dihydrorhodamine 123는 Molecular Probes(Eugene, OR, USA)에서,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는 GE Healthcare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을 위한 BCA protein assay kit은 Thermo Scientific(Waltham,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 Ciocalteu’s의 방법을 이용하여 함량(mg gallic acid equivalents(GAE)/g)을 측정하였다(Rama 등, 2013). 10%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500 μL, 시료 100 μL 및 7.5% sodium carbonate 400 μL를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765 nm, Tecan, Zürich, Switzerland)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gall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구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는 aluminum chloride를 사용한 비색법을 사용하여 함량(mg quercetin equivalents(QE)/g)을 구하였다(Rama 등, 2013). 560 μL 증류수, 1 M potassium acetate solution 20 μL, 100 μL 시료, 10% aluminium chloride solution 20 μL 및 methanol 300 μL를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주었다. 그다음 Microplate reader(415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인 quercetin을 이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구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산출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분석
시료의 항산화능 분석을 위해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법을 활용하였다(Blois, 1958). 농도별로 희석한 몽골 구주소나무 열수 추출물 100 μL와 60 μM DPPH 용액 100 μL를 각각 plate에 분주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의 암실에 30분간 반응시켰으며 Microplate reader(54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Ascorbic acid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으며, 아래의 식에 흡광도를 대입하여 산출된 라디칼 소거 활성이 50% 저해된 농도의 값을 IC50으로 표기하였다.
시료의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 분석을 위해 ABTS 라디칼 소거법을 활용하였다(Re 등, 1999). 2.4 mM potassium persulfate와 7 mM ABTS를 혼합하여 약 16시간 동안 실온의 암실에서 ABTS+을 형성시켜 주었다. 이를 흡광도 415 nm에서 측정하여 0.70±0.02의 값이 되도록 에탄올을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시료 5 μL와 희석한 ABTS 용액 95 μL를 혼합한 후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415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Ascorbic acid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으며, 아래의 식에 흡광도를 대입하여 산출된 라디칼 소거 활성이 50% 저해된 농도의 값을 IC50으로 표기하였다.
실험동물
6주령의 웅성 ICR(DBL, Chungbuk, Korea)을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동물 사육실 조건은 conventional system으로 온도 22±2°C, 습도 50±5%, 명암주기(light: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고, 사료(조단백질 18% 이상, 조지방 5.0% 이상,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 8.0% 이하, 칼슘 1.0% 이상, 인 0.85% 이상, 칼륨 0.55% 이상, 나트륨 0.25% 이상, 마그네슘 0.15% 이상; NIH-41, Zeigler Bros, Inc., Gardners, PA, USA)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동물실험의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 검토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승인번호: DHU2021-092)을 받았다.
급성 위궤양 동물 모델
실험군은 정상군(Normal), 대조군(Control), Sucralfate 10 mg/kg 투여군(SC),
육안적인 위 점막 손상도 측정
적출한 위 조직의 손상도는 I-Solution lite(Innerview Co., Daejeon, Kore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 점막의 손상된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위 전체 면적과 비교한 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Oh 등, 2020).
조직 내 malondialdehyde 측정
Malondialdehyde(MDA)는 Mihara와 Uchiyama(1978)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1,1,3,3-tetramethoxypropane은 본 실험에서 표준물질로 사용되었다.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과 1% phosphoric acid를 혼합한 후 0.67% thiobarbituric acid를 첨가하여 95°C에서 45분간 가열시켰다. 그다음 butanol을 혼합시킨 후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였으며 Microplate reader(540 nm)로 상층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조직 Western blotting
위 조직의 세포질을 얻기 위해 100 mM Tris-HCl(pH 7.4), 5 mM Tris–HCl(pH 7.5), 2 mM MgCl2, 15 mM CaCl2, 1.5 M sucrose, 0.1 M DTT,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을 첨가한 buffer A를 넣고 tissue grinder(Bio Spec Products, Bartlesville, OK, USA)로 분쇄한 후 아이스 위에서 30분간 정치시켰다. 그 후 10% NP-40 용액을 첨가하여 12,000 rpm으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질을 포함하고 있는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핵을 얻기 위해 10% NP-40가 더해진 buffer A에 두 번 헹구고 100 μL의 buffer C(50 mM HEPES, 0.1 mM EDTA, 50 mM KCl, 0.3 mM NaCl, 1 mM DTT, 0.1 mM PMSF, 10% glycerol)를 첨가해 재부유시킨 뒤 10분마다 vortex를 3번 하였다. 4°C에서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핵을 포함하고 있는 상층액을 얻어 -80°C에서 각각 냉동 보관하였다. 위 조직 세포질에서 NOX2, p22phox, KEAP1, HO-1, SOD, AMPK, p-AMPK, Sirt1, IκBα, p-IκBα, iNOS, COX-2, TNF-α, IL-1β 및 β-actin과 핵에서 NF-κBp65, Nrf2와 histone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12 μg의 단백질을 8~14%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후, acrylamide gel을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준비된 membrane에 각각의 1차 antibody(1:1,000)를 처리하여 4°C에서 overnight 시킨 다음 PBS-T로 6분마다 5회 세척하고, 각각 처리된 1차 antibody에 사용되는 2차 antibody(1:3,000)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30분 반응시킨 후 PBS-T로 6분마다 5회 세척하였다. 그 후 ECL 용액에 노출시켜 Sensi-Q2000 Chemidoc(Lugen Sci Co., Ltd, Seoul, Korea)을 이용해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band를 ATTO Densitograph Software(ATTO Corp., Tokyo, Japa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band를 정량하였다. 각각의 단백질 수준을 정상군의 단백질 수준으로 나눈 후 상대적 비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PS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5.86±2.35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17±0.12 mg QE/g으로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냈다. 기존 연구에서 구주소나무의 폴리페놀 함량은 70 mg GAE/g 정도로 나타났음을 보고했으며(Dróżdż와 Pyrzynska, 2021), 이는 몽골 구주소나무 폴리페놀 함량의 약 30% 감소한 함량으로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냈지만,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주소나무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29 mg QE/g으로 나타났으며(Dziedzinski 등, 2020), 이는 몽골 구주소나무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대비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Table 1).
Table 1 .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Sample | Total polyphenol (mg GAE/g) | Total flavonoid (mg QE/g) |
---|---|---|
PS | 105.86±2.35 | 10.17±0.12 |
All values are mean±SEM of three replications..
PS:
GAE, gallic acid equivalents; QE, quercetin equivalents..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PS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로 사용한 L-ascorbic acid의 IC50값은 0.89±0.02 μg/mL로 나타났으며, PS의 IC50값은 20.54±1.88 μg/mL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로 사용한 L-ascorbic acid의 IC50값은 2.93±0.10 μg/mL로 나타났으며, PS의 IC50값은 29.49±0.77 μg/mL로 나타났다(Fig. 1).
육안적인 위 점막 손상도 변화
위 점막 손상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위 점막의 손상이 나타나지 않은 정상군의 위 점막(0.80±0.13%)에 비해 150 mM HCl/60% ethanol로 유발한 대조군의 위 점막(35.18±2.86%)은 출혈 및 점막의 결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 내 malondialdehyde 측정
ROS는 호중구에 의해 생성되어 세포 지질과의 반응 및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한다. 따라서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로 지질 과산화의 주요 대사산물인 MDA 분석이 주로 사용된다(Phaniendra 등, 2015). 이에 본 연구에서 조직 내 MDA(nmol/mg)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72%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Western blotting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 분석: 산화적 스트레스는 ROS의 과생성, 세포막의 지질 과산화 및 항산화 체계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위점막의 상피층, 위 점액 장벽 및 땀샘을 파괴하게 되고, 결국 점막 및 점막하 세포를 손상시켜 혈관 내피 및 백혈구 침윤을 야기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인자인 NADPH oxidase-2(NOX2)를 억제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시켜 위장 보호 효능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며(Badr 등, 2019), NOX의 서브유닛인 p22phox 또한 NOX와 마찬가지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ROS 생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Lambeth, 2004).
본 실험 결과, NOX2의 발현이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약 39%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항산화 관련 단백질 분석: Nrf2/KEAP1 신호전달체계는 ROS로 인한 세포 내 스트레스와 독성을 완화하는 조절시스템이다. Nrf2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전사인자로 세포질에서 KEAP1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존재하다가 외부 자극에 의해 KEAP가 비활성화되면서 Nrf2가 분리되어 핵 안으로 유도됨으로써 ROS로 인한 세포 독성을 보호할 수 있으며, HO-1과 SOD 같은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 또한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 등, 2012).
본 실험 결과 Nrf2의 단백질 발현이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35%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PS 투여가 150 mM HCl/60% ethanol로 인한 급성 위궤양 동물 모델에서 Nrf2/KEAP1의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하여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킴으로써 급성 위궤양의 진행을 완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AMPK/Sirt1 단백질 분석: AMPK는 주요 에너지 센서 효소이자 대사 항상성을 조절하며, 세포 내의 에너지를 소모할 경우 AMP에 의해 활성화되어 ATP의 사용을 억제하는 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Hardie 등, 2012). Sirt1은 세포 대사 센서로 작용하며 포도당 항상성, 지질대사, 세포 노화 및 세포 자멸사 등 다양한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데, 이전 연구들로부터 AMPK/Sirt1의 신호전달로 인해 NF-κBp65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하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Velagapudi 등, 2017; Goldfine과 Shoelson,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 AMPK/Sirt1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p-AMPK는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22%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염증 관련 단백질 분석: NF-κB는 핵 내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질에서 IκBα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로 존재하다가 산화적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인산화되어 NF-κB가 핵 내로 이동하여 전염증성 단백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염증 관련 인자들의 전사 조절 역할을 하면서 염증 반응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Ngabire 등, 2018).
이에 본 실험에서 NF-κBp65, iNOS 및 COX-2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정상군 대비 대조군에서 NF-κBp65의 발현이 39% 유의하게 증가했으나(
이는 PS가 AMPK/Sirt1의 활성화를 통해 NF-κBp65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발현과 TNF-α와 IL-1β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해 급성 위궤양을 개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는 150 mM HCl/60% ethanol로 유발한 급성 위궤양 동물 모델에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1시간 30분 후 150 mM HCl/60% ethanol을 0.55 mL 투여하여 유발하였고, 1시간 30분 후 동물을 희생시켜 위 조직을 적출하였다.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의 투여는 위 조직 내 MDA 함량과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인 NOX2와 p22phox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Nrf2/KEAP1의 신호전달을 통해 HO-1과 SOD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AMPK/Sirt1의 활성화로 NF-κB, iNOS 및 COX-2를 포함한 전염증 관련 단백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1β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몽골 구주소나무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조절을 통해 항산화 관련 단백질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AMPK/Sirt1의 활성화를 통해 염증 관련 단백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조절함으로써 급성 위궤양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개발협력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272012021)”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Table 1 .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Sample | Total polyphenol (mg GAE/g) | Total flavonoid (mg QE/g) |
---|---|---|
PS | 105.86±2.35 | 10.17±0.12 |
All values are mean±SEM of three replications..
PS:
GAE, gallic acid equivalents; QE, quercetin equivalen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