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KF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Online ISSN 2288-5978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2): 1312-132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2.131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Effect of Adding Pumpkin-Sweet Potato Powder on Cookie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Acrylamide Reduction

Eun-Sun Hwang and Tae Young Park

School of Wellness Industry Convergence, Major in Food and Nutrition,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Eun-Sun Hwang, School of Wellness Industry Convergence, Major in Food and Nutrition,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327, Chungang-ro, Anseong, Gyeonggi 17579, Korea, E-mail: ehwang@hknu.ac.kr

Received: August 10, 2022; Revised: August 30, 2022; Accepted: September 1,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rylamide formation of cookies in which wheat flour was replaced with 0%, 2%, 4%, and 8% pumpkin-sweet potato powder. Moisture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of the cookie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with the addition of 2%∼8% pumpkin-sweet potato powder. Spreadability, leavening rate, loss rate, and pH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to cookies. The lightness of cookies was reduced, but their redness and yellownes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rose proportionally to the amount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Notab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lso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higher amounts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itionally, we establish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the rise in the quality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y but reduced the acrylamide content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addition. From the aforementioned results, we conclude that adding pumpkin-sweet potato powder to cookies increase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reduces the amount of acrylamide generated during cooking.

Keywords: pumpkin-sweet potato, cookies,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crylamide

고구마(Ipomoea batatas L.)는 메꽃과 미국나팔꽃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쌍떡잎식물로 덩이뿌리를 식용하며, 환경 적응성이 강해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고 다른 작물들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높은 경제적인 작물이다(Woo 등, 2013). 고구마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95%를 재배하며(Lee 등, 2017), 우리나라에는 1760년대에 도입되어 쌀, 보리 등과 함께 주요 식량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Mok 등, 2009). 고구마는 품종과 재배환경에 따라 모양, 크기, 무게, 색 등이 다양하며 육질의 색에 따라 흰색인 일반고구마와 자색 및 주황색을 나타내는 유색고구마로 분류한다(Song 등, 2005; Kim 등, 2010; Krochmal-Marczak 등, 2018). 육질이 주황색을 띠는 호박고구마는 일반고구마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적고, 불용성 식이섬유소인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뿐 아니라, 비타민 C, 칼슘, 베타카로틴, 레티놀 함량이 높다(Kim 등, 2010; Woo 등, 2013; Ra 등, 2018).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은 항암 작용, 항산화 작용, 심혈관계의 질병 및 백내장 예방, 스트레스 예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등, 2007; Ayeleso 등, 2016; Alam, 2021; Laurie 등, 2018).

고구마는 수분함량이 약 68~70%로 매우 높고 표피가 얇아 수확 과정에서 쉽게 상처가 발생하며, 저장기간 동안 상처 난 부위가 부패하기 쉽고 저장온도 및 방법에 따라 쉽게 부패하는 특성이 있다(Song 등, 2005). 고구마는 고온성 작물이므로 품질 유지를 위해 15°C 이상에서 저장해야 하며, 낮은 온도에 보관할 경우 호흡열이나 탄산가스 발생량이 많아 생산 후 단기간 내 소비하거나 가공용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Lee 등, 1999; Shin과 Lee, 2011). 최근 건강식품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고구마가 웰빙 기능성식품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고구마를 제과, 제빵, 음료 등에 활용하여 다양한 가공식품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증숙한 일반고구마, 자색고구마 및 호박고구마를 고추장(Park과 Kim, 2016), 된장(Cha 등, 2017)에 첨가하거나 자색고구마 분말 및 농축액을 젤리(ParkPark, 2012), 쿠키(Liu 등, 2013), 생면(Lee와 Yoo, 2012), 쌀 구움과자(Yoon 등, 2017) 등에 첨가하여 제품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관능검사를 통해 제조조건을 최적화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쿠키는 밀가루, 유지, 설탕, 계란 등을 주원료로 제조한 건과자류로 맛과 식감이 좋아 널리 애용되는 간식류 중 하나이다(Lee 등, 2002). 쿠키는 고온에서 굽는 과정을 거치면서 재료 내의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으로 인한 미생물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도 저장성이 우수하다(Kim과 Kong, 2006; Lee 등, 2015). 최근에는 전통적인 쿠키 재료에 건강 기능성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단호박 분말(Park, 2012), 대추 분말(Kim 등, 2014), 생강 분말(Lee 등, 2015), 비타민나무 잎 분말(Park과 Joo, 2021) 등의 부재료를 첨가한 쿠키들이 소개되었으나, 호박고구마 분말을 쿠키 제조에 활용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쿠키는 고온에서 굽는 동안 쿠키 반죽에 함유된 글루코스를 포함한 환원당과 아미노산에 의한 비효적 갈변반응의 일종인 마이야르 반응과 캐러멜 반응이 일어난다(Hodge, 1953; Starowicz와 Zieliński, 2019). 이들 화학반응을 거치면서 쿠키는 특유의 갈색, 고소한 풍미 및 바삭한 식감이 만들어지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발암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는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되기도 한다(IARC, 199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쿠키의 주재료인 밀가루 대신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호박고구마 분말을 2~8%까지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물질의 함량,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쿠키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쿠키 제조에 호박고구마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실험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한 박력분 밀가루(Samyang Co., Ltd., Seoul, Korea), 버터(Seoul Milk, Seoul, Korea), 베이킹파우더(Geonwon Food, Gimpo, Korea), 달걀(CJ Freshway, Yongin, Korea), 백설탕(CJ Cheiljedang Co., Ltd., Incheon, Korea)은 시판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호박고구마는 해남지역의 농장에서 재배된 것을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입하였다.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gallic acid,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아크릴아마이드 및 탄소 13 동위원소(13C3)로 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 내부표준물질은 Sigma-Aldrich Chemical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ABTS)는 Flunk(Hekdelberg,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 표준품은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분석에 적합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아크릴아마이드 내부표준물질은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0.1% formic acid를 첨가하여 200 ng/mL가 되도록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 시약들은 Sigma-Aldrich Chemical Co.와 Junsei Chemical Co., Ltd.(Tokyo, Japan)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 분석을 위한 용매는 HPLC grade(J&T Baker, Phillipsburg, NJ, USA)를 사용하였고, 아크릴아마이드 정제 컬럼인 Oasis HLB SPE 카트리지는 Waters Corporation(Milford, MA, USA)에서, Bond Elut-Accucat SPE 카트리지는 Agilent Technologies(Memphis, TN, USA)에서 구입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 및 쿠키 제조

고구마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3 mm 두께로 슬라이스 하여 -80°C에서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FDU-1200, EYELA, Tokyo, Japan)에 넣어 건조시켰다. 동결건조된 호박고구마는 커피 분쇄기(PGR 002M, Supreme Electric Co., Ltd., Guangzhou, China)에 넣어 고속에서 1분간 3회에 걸쳐 곱게 마쇄한 후 850 μm(표준체 No. 20)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분말화시켜 -20°C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쿠키는 선행연구(Yeom과 Hwang, 2020)를 참고하여 여러 차례 예비실험을 통해 Table 1과 같은 배합비로 제조하였다. 밀가루 대신 첨가하는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8% 이상이 되면 쿠키 반죽이 단단해지고 조직감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여 호박고구마 분말은 최대 8%까지 첨가하였다. 호박고구마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를 대조군으로 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에 사용한 밀가루 함량의 2, 4 및 8%를 호박고구마 분말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설탕과 실온에 꺼내둔 버터를 믹싱기(MUM54420, BOSCH, Munich, Germany)에 넣고 1단으로 1분, 3단으로 30초, 5단으로 30초 순서로 혼합하여 크림화하였다. 크림화된 반죽에 달걀을 첨가하여 3단으로 2분간 혼합한 후,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를 섞어 체에 2번 쳐서 첨가하고 주걱으로 잘 혼합하여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에 따른 네 가지 쿠키 반죽을 완성하였다. 쿠키 반죽은 마르지 않도록 랩에 싸서 냉장고에서 1시간 동안 휴지시킨 후 밀대로 균일하게 펴서 지름 40 mm, 두께 7 mm의 알루미늄 쿠키 틀로 찍어낸 뒤, 윗불 160°C, 아랫불 140°C로 예열한 오븐에서 15분간 구운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식혀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Table 1 . Formula for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Ingredients (g)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weet potato powder0248
Wheat flour100989692
Butter35353535
Sugar25252525
Egg25252525
Baking powder0.50.50.50.5
Salt0.50.50.50.5


쿠키의 퍼짐성, 팽창률 및 손실률 측정

쿠키의 퍼짐성 지수(spread factor)는 AACC법(2000)에 따라 쿠키의 직경과 평균 두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쿠키의 직경은 쿠키 6개를 나란히 수평으로 정렬하여 총길이를 측정하고, 다시 90° 회전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총길이로 측정하였다. 쿠키의 두께는 쿠키 6개를 수직으로 쌓은 후 높이를 측정하고, 쌓은 순서를 바꾸어 또다시 측정하였다.

팽창률은 쿠키를 오븐에 굽기 전과 후의 대조군과 실험군 쿠키의 무게 차이를 측정하고 아래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손실률은 쿠키를 굽기 전과 구운 후 무게를 각각 측정한 후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 6 mm 6 mm

%= g g×100

%= g g×100

일반성분 함량 측정

쿠키를 분쇄기(PGR 002M, Supreme Electric Co., Ltd.)에 넣고 균일한 크기의 분말로 균질화하여 일반성분을 측정하였다(AOAC International, 1995). 수분은 드라이오븐(EYELA)에서 105°C 상압건조법으로 정량하였고, 조회분은 시료를 회화로(Jeil, Seoul, Korea)에 넣고 600°C에서 회화시켜 측정하였다. 조단백질은 semimicro-Kjeldhl법으로 단백질 분석기(Kjeltec 2400 AUT, Foss Tecator, Eden Prairie, MN,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조지방은 diethyl ether로 추출하여 Soxhlet 추출기(Soxtec System HT 1043, Foss Tecator)로 측정하였다.

당도, pH 및 경도 측정

쿠키를 분쇄기(PGR 002M, Supreme Electric Co., Ltd.)에 넣고 균일한 크기로 분쇄한 후에 분쇄한 시료 5 g에 95% 에탄올 10 mL를 첨가하여 vortex mixer로 혼합하였다. 혼합액은 40°C에서 1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하여 30분간 16,700 rpm에서 원심분리(Mega 17R, Hanil Co., Daejeon, Korea)하여 얻은 상등액을 가지고 당도와 pH를 측정하였다. 당도는 당도계(PR-201α, Atago Co., Tokyo, Japan)를 이용하였고, pH는 pH meter(420 Benchtop, Orion Research, Beverly, MA, USA)로 측정하였다.

쿠키의 경도(hardness)는 쿠키를 제조한 당일 상온에서 texture analyzer(CT3 10K, Brookfield, Middleboro, MA, USA)로 텍스처 프로파일 분석(texture profile analysis)을 하였다. 경도는 TA25/1000 probe를 이용하였고, target type은 % deformation, target value는 60%, pre-test speed 2.0 mm/s, test speed 10.0 mm/s, load cell 100 g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색도 측정

쿠키의 색도는 색차계(Chroma Meter CR-300,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명도(lightness, L*값), 적색도(redness, a*값), 황색도(yellowness, b*값)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표준 백색판의 L*, a*, b*값은 각각 97.10, +0.24, +1.75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분말화한 쿠키 시료 5 g에 95% 에탄올 20 mL를 넣고 vortex mixer로 15초 동안 균질하게 혼합한 후 원심분리(9,000 rpm, 10 min)하여 얻은 상등액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시료액 0.5 mL에 2 N Folin 시약 0.5 mL를 혼합한 후 3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2% sodium carbonate 1.5 mL를 첨가한 뒤 2시간 동안 암소에서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Infinite M200 Pro, Tecan Group Ltd.,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시료 중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GAE)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Cheung 등, 2003), ABTS 라디칼 소거 활성(Re 등, 1999) 및 환원력(Oyaizu, 1986)으로 측정하였다. 분말화한 쿠키 시료 5 g에 95% 에탄올 20 mL를 넣어 vortex mixer로 균질하게 혼합한 후 원심분리(9,000 rpm, 10 min)하여 얻은 상등액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쿠키 추출액 100 μL와 0.2 mM DPPH 용액 100 μL를 혼합하여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래 식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DPPH %=1 ×100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실험 시작 24시간 전에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키기 위해 7.0 mM ABTS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빛을 차단한 곳에서 반응시켰다. 실험 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0.17±0.03이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흡광도를 맞춘 ABTS 용액 100 μL와 쿠키 추출액 100 μL를 혼합하여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래 식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ABTS %=1 ×100

환원력은 쿠키 추출액 0.5 mL에 20 mM 인산 완충액(pH 6.6) 0.5 mL와 1%의 potassium ferricyanide 0.5 mL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50°C로 맞춰진 항온수조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10% trichloroacetic acid 용액 1 mL를 넣어 혼합한 후에 9,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 상등액 1 mL에 증류수 및 ferric chloride를 각각 1 mL씩 가하여 혼합한 후 분광광도계로 72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환원력으로 나타냈다.

아크릴아마이드 추출 및 기기 분석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FDA 분석법(US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3)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균일하게 분쇄한 쿠키 시료 1 g을 50 mL 폴리프로필렌 원심분리용 튜브에 넣고 1 mL의 아크릴아마이드 내부 표준용액과 9 mL의 증류수를 넣어 잘 혼합한 후 진탕기(BF-60SIR-1, BioFree, Seoul, Korea)에 넣고 300 rpm으로 25분 동안 추출한 뒤 원심분리기(Mega 17R, Hanil)로 9,000 rpm에서 30분 동안 1차 원심분리를 하였다. 이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물층 중에서 5 mL를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7,000 rpm으로 10분간 2차 원심분리하여 A 용액을 얻었다. 메탄올 3.5 mL와 증류수 3.5 mL로 미리 활성화해 둔 Oasis HLB SPE 카트리지에 A 용액 1.5 mL를 넣어 통과시킨 후 증류수 0.5 mL를 첨가하여 나온 용액은 흘려버리고, 증류수 1.5 mL로 용출시킨 용액을 새로운 튜브에 모았다(B 용액). 메탄올 2.5 mL와 증류수 2.5 mL로 미리 활성화해 Bond Elut-Accucat SPE 카트리지에 B 용액 1.5 mL를 넣은 후 처음 0.5 mL를 흘려버리고, 이후 얻어진 용액 1 mL를 새로운 튜브에 모아 아크릴아마이드 분석에 사용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는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LC/MS)-2020(Shimadzu, Kyoto, Japan)과 Nexera XR(Shimadzu, Kyoto, Japan)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이동상은 0.1% acetic acid와 0.5% formic acid가 포함된 수용액으로 하였고, 질량분석은 positive ESI(electrospray ionization)를 이용한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방식으로 아크릴아마이드는 m/z 72→55, 탄소 13 동위원소(13C3)로 치환된 내부표준물질은 75→58을 선택하여 확인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측정은 3회 반복하여 평균(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R-Studio(Version 3.5.1, RStudio, Inc., Boston, MA, USA)를 이용하였고, ANOVA를 이용하여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을 확인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쿠키의 퍼짐성, 팽창률 및 손실률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 쿠키의 퍼짐성 지수, 팽창률 및 손실률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쿠키의 퍼짐성, 팽창률 및 손실률은 대조군에 비해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고구마 쿠키의 퍼짐성은 대조군이 4.50으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8% 첨가함에 따라 4.45에서 4.39까지 감소하였다. 쿠키의 퍼짐성은 쿠키 반죽을 성형하여 오븐에서 굽는 동안 고온에 의해 반죽이 옆으로 퍼지면서 직경이 증가하고 두께가 얇아지는 것으로(Mudgil 등, 2017), 반죽 시간, 반죽의 점성, 굽는 온도, 밀가루의 수분 흡수율, 부재료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Choi 등, 2014; Mudgil 등, 2017). 일반적으로 쿠키 반죽의 수분함량이 높으면 반죽의 점도가 낮아져서 쿠키를 굽는 동안 쿠키의 직경이 바깥쪽으로 넓어져 퍼짐성이 증가한다(Choi 등, 2007). 선행연구에서도 쿠키에 자색콜라비 분말(Cha 등, 2014), 아사이베리 분말(Choi 등, 2014), 녹차 분말(Hwang과 Park, 2021) 등과 같이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한 부재료를 쿠키 반죽에 첨가함에 따라 쿠키의 퍼짐성이 감소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이는 이들 부재료에 함유된 식이섬유가 수분을 많이 흡수하여 쿠키의 퍼짐성을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호박고구마 분말은 동결건조의 과정을 거쳐 수분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밀가루에 비해 수분이 낮아졌으며, 이에 따라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쿠키 반죽의 부드러움이 감소하였고, 반죽의 건조도가 매우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Table 2 . Spread factor, leavening rate, and loss rate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pread factor4.50±0.13a4.45±0.15a4.42±0.14b4.39±0.13b
Leavening rate (%)100.00±0.00a98.92±3.61a95.65±7.53b89.59±6.55c
Loss rate (%)15.22±2.28a14.94±2.62a14.45±0.98b13.62±2.12c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c)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팽창률은 쿠키를 고온에서 굽는 동안 반죽이 팽창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쿠키 반죽의 수분함량, 유지의 종류와 양, 부재료 등에 따라 달라지며, 잘 팽창된 쿠키는 바삭하고 고유의 풍미를 지니게 된다(Mudgil 등, 2017).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쿠키의 팽창률을 100%로 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쿠키의 팽창률을 측정한 결과, 호박고구마 분말을 2~8% 첨가함에 따라 쿠키의 팽창률은 98.92%에서 89.59%로 감소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높은 쿠키의 팽창률 감소는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섬유소가 반죽의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에 필요한 수분이 대조군에 비해 부족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사료된다.

손실률은 대조군에서 15.22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2% 처리군에서는 14.94%로 대조군과 유사했으나, 호박고구마 분말 4% 및 8% 첨가군에서는 손실률이 각각 14.45%에서 13.62%로 감소하였다. 이는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 반죽 내의 수분을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섬유소가 흡수하여 손실률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녹차 분말(Hwang과 Park, 2021), 대추 분말(Kim 등, 2014) 및 감과피 분말(Lim과 Cha, 2014) 첨가 쿠키에서도 밀가루에 비해 섬유소가 풍부한 부재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쿠키의 팽창률과 손실률이 감소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일반성분 함량

실험에 사용된 밀가루, 호박고구마 분말 및 제조한 호박고구마 분말 함유 쿠키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의 수분은 0.88%로 밀가루의 수분함량인 11.30%에 비해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의 회분은 3.23%로 밀가루의 회분 함량인 0.27%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호박고구마 분말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각각 0.35% 및 0.62%로 밀가루보다 낮았다.

Table 3 . Proximate analysis of wheat flour, pumpkin sweet potato powder, and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unit: %)

MeasurementWheat flourPumpkin sweet potato powderCookies with 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Moisture11.30±0.03a0.88±0.25e3.03±0.10b2.78±0.06bc2.45±0.40cd2.22±0.07d
Ash0.27±0.04b3.23±0.13a0.45±0.30b0.48±0.21b0.50±0.12b0.59±0.12b
Crude protein1.32±0.08a0.35±0.05b0.64±0.18b0.54±0.01b0.54±0.11b0.40±0.28b
Crude fat0.96±0.00b0.62±0.03b23.15±0.29a23.34±2.76a23.14±2.35a23.93±1.32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e)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의 수분은 3.03%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쿠키의 수분은 2.78%에서 2.22%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에 함유된 회분은 대조군에서 0.45%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0.48~0.59%로 증가하였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밀가루보다 호박고구마 분말의 회분 함량이 높아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쿠키에 함유된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0.40~0.64% 및 23.15~23.93%로 대조군과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쿠키의 당도, pH 및 경도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당도와 pH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호박고구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당도가 20.40°Brix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2~8%로 증가함에 따라 당도는 21.77~21.93°Brix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호박고구마에는 fructose, glucose, sucrose가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sucrose 함량이 일반고구마나 자색고구마에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 등, 2018). 따라서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쿠키 내에 이들 유리당 함량도 높아져 당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 Sugar content, pH, and hardnes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ugar contents (°Brix)20.40±0.00b21.83±0.06a21.77±0.06a21.93±0.06a
pH6.75±0.06a6.52±0.04b6.54±0.00b6.37±0.01c
Hardness (g)10,301.50±85.56b10,696.50±647.00b11,178.00±296.98a11,744.50±306.18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c)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쿠키의 pH를 측정한 결과,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대조군의 pH는 6.75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2~8%까지 증가함에 따라 pH는 6.52~6.37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고구마에는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가 함유되어 있으며(Ra 등, 2018), 이들 유기산으로 인해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도는 10,301.50으로 호박고구마 분말 2%를 첨가한 쿠키의 경도인 10,696.50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호박고구마 분말을 4% 및 8%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는 각각 11,178.00 및 11,744.50 g로 대조군과 호박고구마 분말 2% 첨가군보다 증가하였으나, 4%와 8%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쿠키의 경도는 반죽의 비중, air cell 형태, 첨가하는 부재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특히 부재료의 수분 및 섬유소 함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Lim과 Cha, 2014; Choi 등, 2014). 즉, 밀가루보다 수분함량이 적은 건조 분말을 첨가하면 경도가 증가하고(Cha 등, 2014), 밀가루보다 수분함량이 높은 다진 마늘과 같은 부재료를 첨가하면 경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oi 등, 2007). 호박고구마에는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함유되어 있고(Ra 등, 2018), 본 연구에서는 밀가루(11.30% 수분)보다 낮은 수분함량을 지닌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호박고구마 분말(0.88% 수분)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밀가루에 비해 호박고구마가 높은 섬유소 함량과 낮은 수분으로 인해 호박고구마 분말을 4% 및 8% 첨가한 쿠키의 경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색도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여 만든 쿠키의 색도는 Table 5와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대조군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가 70.41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2~8%로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67.99에서 61.13으로 감소하였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에서 3.44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a*값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반죽에서 33.56이었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 및 4% 첨가한 쿠키에서는 34.48과 35.76으로 증가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8% 첨가한 쿠키의 황색도는 37.74로 가장 높았다. 호박고구마는 노란색~주황색의 천연 색소물질인 베타카로틴을 포함한 카로티노이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Krochmal-Marczak 등, 2020; Ra 등, 2018), 쿠키 반죽에 첨가한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색소물질의 영향으로 적색도와 황색도가 함께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 . Changes in Hunter’s color value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L*70.41±0.65c67.99±2.31b66.40±0.79a61.13±0.30a
a*3.44±0.63d5.30±0.20c7.04±0.21b8.37±0.35a
b*33.56±1.65c34.48±0.12bc35.76±0.57b37.74±0.69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d)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총 폴리페놀 함량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ig. 1과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쿠키 시료 1 g당 gallic acid를 기준으로 277.23 μg이었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도 증가하였다. 즉, 호박고구마 분말을 2%, 4% 및 8% 첨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은 280.24 μg, 350.38 μg, 457.49 μg으로 대조군 대비 1.01~1.65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Value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on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GAE: gallic acid equivalent.

호박고구마에는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epicatechin, ferulic acid, vanillic acid 등의 페놀화합물과 quercetin, quercitrin, mor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물질의 함량은 신선한 상태에 비해 찌거나 굽는 등의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15; Seo 등, 2018). 따라서 호박고구마를 분말의 형태로 제조하여 쿠키에 첨가하는 것은 고구마에 함유된 폴리페놀 물질을 활용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항산화 활성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33.853%로 나타났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 4% 및 8% 첨가한 쿠키에서 각각 46.21%, 50.95% 및 65.34%까지 증가했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경우, 대조군은 32.892%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 비율에 따라 각각 46.25~62.11%로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환원력은 0.2676으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2~8%로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은 0.3435~0.3844로 높아졌다.

Table 6 .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3.85±1.71d46.21±0.33c50.94±1.16b65.34±0.15a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2.89±2.08d46.25±0.92c50.01±1.17b62.11±0.67a
Reducing power0.2676±0.00d0.3435±0.02c0.3592±0.00b0.3844±0.00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d)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고구마에는 베타카로틴, 레티놀, 비타민 C, 폴리페놀 물질들이 풍부하며, 이들은 강력한 항산화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등, 2015; Ra 등, 2018).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함량도 증가하고 이를 통해 항산화 활성도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에서도 고구마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Park과 Park, 2012)나 막걸리(Cheon 등, 2013)에서도 부재료로 첨가한 고구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 ABTS와 같은 유리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분석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아크릴아마이드 분석 결과는 Fig. 2와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42.53 μg/kg이었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8% 첨가함에 따라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호박고구마 분말 2% 첨가군에서는 40.94 μg/kg, 4% 첨가군에서는 38.35 μg/kg, 8% 첨가군에서는 35.19 μg/kg으로 대조군에 비해 각각 3.74%, 9.83% 및 17.26%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Fig. 2. Acrylamide concentration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Value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d) on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0.05.

쿠키의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크릴아마이드는 피할 수 없기에(Lund와 Ray, 2017; Starowicz와 Zieliński, 2019) 다양한 방법으로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저감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쿠키에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녹차 분말(Hwang과 Park, 2021), 양파껍질(Yeom과 Hwang, 2020) 등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실용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은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가루 중량 대비 호박고구마 분말을 2%, 4% 및 8%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쿠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 쿠키의 최적 배합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쿠키의 수분은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회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도 대조군과 호박고구마 분말 2~8% 첨가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쿠키에 첨가한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퍼짐성, 팽창률, 손실률은 감소하였고 pH는 감소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쿠키의 명도(L*값)는 감소하였고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도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쿠키에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면 항산화 활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지원사업(과제번호 2021R1F1A106060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1.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000. p 10-50.
  2. Alam MK. A comprehensive review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Revisiting the associated health benefits. Trends Food Sci Technol. 2021. 115:512-529.
    CrossRef
  3. AOAC International.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TX, USA. 1995. p 1-26.
  4. Ayeleso TB, Ramachela K, Mukwevho E. A review of therapeutic potentials of sweet potato: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influence of the cultivar. Trop J Pharm Res. 2016. 15:2751-2761.
    CrossRef
  5. Cha SJ, Park SR, Kim DH.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potato. Korean J Food Preserv. 2017. 24:221-229.
    CrossRef
  6. Cha SS, Jung HO, Son HK, et 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purple kohlrab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824-830.
    CrossRef
  7. Cheon JE, Baik MY, Choi SW, et al.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Korean J Food Nutr. 2013. 26:29-34.
    CrossRef
  8. Cheung LM, Cheung PCK, Ooi VEC.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2003. 81:249-255.
    CrossRef
  9. Choi DJ, Shin JH, Lee SJ, et a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forms of shredded garlics. Korean J Food Nutr. 2007. 20:282-288.
  10. Choi YS, Kim SK, Mo EK.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661-667.
    CrossRef
  11. Hodge JE. Dehydrated foods, chemistry of browning reactions in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1953. 1:928-943.
    CrossRef
  12. Hwang ES, Park TY.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acrylamide content of cookies made with powdered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1082-1090.
    CrossRef
  13. IARC. Acrylamide. In: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Some Industrial Chemicals.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France. 1994. Vol 60, p 389-433.
  14. Kim DC, Kim C, In MJ.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App Biol Chem. 2015. 58:21-24.
    CrossRef
  15. Kim HY, Kong HJ.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using citron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06. 22:712-719.
  16. Kim KE, Kim SS, Lee Y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476-1480.
    CrossRef
  17. Kim MJ, Choi JE, Lee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jujub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146-150.
    CrossRef
  18. Krochmal-Marczak B, Sawicka B, Krzysztofik B, et al.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quality and storage stalibity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grown in central Europe. Agronomy. 2020. 10:1665. https://doi.org/10.3390/agronomy10111665
    CrossRef
  19. Krochmal-Marczak B, Sawicka B, Tobiasz-Salach R. Impact of cultivations technology on the yield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tubers. Emir J Food Agric. 2018. 30:978-983.
  20. Laurie SM, Faber M, Claasen N. Incorporating orange-fleshed sweet potato into the food system as a strategy for improved nutrition: The context of South Africa. Food Res Int. 2018. 104:77-85.
    Pubmed CrossRef
  21. Lee CS, Lim HS, Cha 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ginger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15. 31:703-717.
    CrossRef
  22. Lee HH, Kang SG, Rhim JW.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9. 31:1090-1095.
  23. Lee HM, Park HJ, Kim JN, et al.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carotenoid contents and Bacillus cereus contamination of dried sweet potato in circulating dried agricultural products. J Food Hyg Saf. 2017. 32:477-484.
    CrossRef
  24. Lee JA, Park GS, Ahn SH. Comparativ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arleys and oatmeals.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02. 18:238-246.
  25. Lee JS, Ahn YS, Chung MN, et al. Biological activity of varieties,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oxidants components in sweetpotato. Korean J Breed Sci. 2007. 39:296-301.
  26. Lee JS, Yoo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2. 22:489-496.
  27. Lim HS, Cha 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persimmon peel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14. 30:620-630.
    CrossRef
  28. Liu YN, Jeong DH, Jung J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13. 29:275-281.
    CrossRef
  29. Lund MN, Ray CA. Control of Maillard reactions in foods: Strategies and chemical mechanisms. J Agric Food Chem. 2017. 65:4537-4552.
    Pubmed CrossRef
  30. Mok IG, Zhao D, Kwak SS. Genetic resources of sweetpotato for industrial use. J Plant Biotechnol. 2009. 36:202-206.
    CrossRef
  31. Mudgil D, Barak S, Khatkar BS. Cookie texture, spread ratio and sensory acceptability of cookies as a fun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baking time and different water levels. LWT. 2017. 80:537-542.
    CrossRef
  32. Oyaizu M.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Diet. 1986. 44:307-315.
    CrossRef
  33. Park EJ, Park GS.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Food Cult. 2012. 27:730-736.
    CrossRef
  34. Park ID. Effects of sweet pumpkin powder on quality character istics of cookies. Korean J Food Cult. 2012. 27:89-94.
    CrossRef
  35. Park MG, Joo SY.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ye cookies supplemented with sea buckthorn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464-475.
    CrossRef
  36. Park SA, Kim DH. Effect of addition of sweet potato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Preserv. 2016. 23:538-546.
    CrossRef
  37. Ra HN, Kim JS, Kim GC, et al.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sweet potato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Soc Food Cult. 2018. 33:597-607.
  3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et al.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1999. 26:1231-1237.
    Pubmed CrossRef
  39. Seo BY, Kim JS, Park E.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according to variety and moist heat cook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8. 47:243-252.
    CrossRef
  40. Shin MY, Lee WY. Physical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a steamed sweet potato slab after mild hot air drying. Korean J Food Cook Sci. 2011. 27:73-81.
    CrossRef
  41. Song J, Chung MN, Kim JT,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Korean J Crop Sci. 2005. 50(S):141-146.
  42. Starowicz M, Zieliński H. How Maillard reaction influences sensorial properties (color, flavor and texture) of food products?. Food Rev Int. 2019. 35:707-725.
    CrossRef
  43.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acrylamide in foods. 2003 [cited 2021 Jan 10]. Available from: https://www.fda.gov/food/chemicals/detection-and-quantitation-acrylamide-foods
  44. Woo KS, Ko JY, Kim HY, et al.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of sweet potatoes cultivated using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3. 45:305-311.
    CrossRef
  45. Yeom MS, Hwang ES.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rylamide formation in cookies added with onion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20. 27:299-310.
    CrossRef
  46. Yoon H, Jeong O, No J, et al. Development of sweet potato shaped rice madeira cakes using sweet potato paste with different cultivars. Korean J Food Cook Sci. 2017. 33:78-86.
    CrossRef

Article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2): 1312-132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2.131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가 쿠키의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및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황은선․박태영

국립한경대학교 웰니스산업융합학부 식품영양학전공

Received: August 10, 2022; Revised: August 30, 2022; Accepted: September 1, 2022

Effect of Adding Pumpkin-Sweet Potato Powder on Cookie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Acrylamide Reduction

Eun-Sun Hwang and Tae Young Park

School of Wellness Industry Convergence, Major in Food and Nutrition,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Eun-Sun Hwang, School of Wellness Industry Convergence, Major in Food and Nutrition,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327, Chungang-ro, Anseong, Gyeonggi 17579, Korea, E-mail: ehwang@hknu.ac.kr

Received: August 10, 2022; Revised: August 30, 2022; Accepted: September 1,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rylamide formation of cookies in which wheat flour was replaced with 0%, 2%, 4%, and 8% pumpkin-sweet potato powder. Moisture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of the cookie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with the addition of 2%∼8% pumpkin-sweet potato powder. Spreadability, leavening rate, loss rate, and pH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to cookies. The lightness of cookies was reduced, but their redness and yellownes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rose proportionally to the amount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Notab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lso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higher amounts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itionally, we establish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the rise in the quality of pumpkin-sweet potato powder adde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y but reduced the acrylamide content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addition. From the aforementioned results, we conclude that adding pumpkin-sweet potato powder to cookies increase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reduces the amount of acrylamide generated during cooking.

Keywords: pumpkin-sweet potato, cookies,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crylamide

서 론

고구마(Ipomoea batatas L.)는 메꽃과 미국나팔꽃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쌍떡잎식물로 덩이뿌리를 식용하며, 환경 적응성이 강해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고 다른 작물들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높은 경제적인 작물이다(Woo 등, 2013). 고구마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95%를 재배하며(Lee 등, 2017), 우리나라에는 1760년대에 도입되어 쌀, 보리 등과 함께 주요 식량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Mok 등, 2009). 고구마는 품종과 재배환경에 따라 모양, 크기, 무게, 색 등이 다양하며 육질의 색에 따라 흰색인 일반고구마와 자색 및 주황색을 나타내는 유색고구마로 분류한다(Song 등, 2005; Kim 등, 2010; Krochmal-Marczak 등, 2018). 육질이 주황색을 띠는 호박고구마는 일반고구마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적고, 불용성 식이섬유소인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뿐 아니라, 비타민 C, 칼슘, 베타카로틴, 레티놀 함량이 높다(Kim 등, 2010; Woo 등, 2013; Ra 등, 2018).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은 항암 작용, 항산화 작용, 심혈관계의 질병 및 백내장 예방, 스트레스 예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등, 2007; Ayeleso 등, 2016; Alam, 2021; Laurie 등, 2018).

고구마는 수분함량이 약 68~70%로 매우 높고 표피가 얇아 수확 과정에서 쉽게 상처가 발생하며, 저장기간 동안 상처 난 부위가 부패하기 쉽고 저장온도 및 방법에 따라 쉽게 부패하는 특성이 있다(Song 등, 2005). 고구마는 고온성 작물이므로 품질 유지를 위해 15°C 이상에서 저장해야 하며, 낮은 온도에 보관할 경우 호흡열이나 탄산가스 발생량이 많아 생산 후 단기간 내 소비하거나 가공용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Lee 등, 1999; Shin과 Lee, 2011). 최근 건강식품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고구마가 웰빙 기능성식품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고구마를 제과, 제빵, 음료 등에 활용하여 다양한 가공식품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증숙한 일반고구마, 자색고구마 및 호박고구마를 고추장(Park과 Kim, 2016), 된장(Cha 등, 2017)에 첨가하거나 자색고구마 분말 및 농축액을 젤리(ParkPark, 2012), 쿠키(Liu 등, 2013), 생면(Lee와 Yoo, 2012), 쌀 구움과자(Yoon 등, 2017) 등에 첨가하여 제품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관능검사를 통해 제조조건을 최적화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쿠키는 밀가루, 유지, 설탕, 계란 등을 주원료로 제조한 건과자류로 맛과 식감이 좋아 널리 애용되는 간식류 중 하나이다(Lee 등, 2002). 쿠키는 고온에서 굽는 과정을 거치면서 재료 내의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으로 인한 미생물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도 저장성이 우수하다(Kim과 Kong, 2006; Lee 등, 2015). 최근에는 전통적인 쿠키 재료에 건강 기능성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단호박 분말(Park, 2012), 대추 분말(Kim 등, 2014), 생강 분말(Lee 등, 2015), 비타민나무 잎 분말(Park과 Joo, 2021) 등의 부재료를 첨가한 쿠키들이 소개되었으나, 호박고구마 분말을 쿠키 제조에 활용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쿠키는 고온에서 굽는 동안 쿠키 반죽에 함유된 글루코스를 포함한 환원당과 아미노산에 의한 비효적 갈변반응의 일종인 마이야르 반응과 캐러멜 반응이 일어난다(Hodge, 1953; Starowicz와 Zieliński, 2019). 이들 화학반응을 거치면서 쿠키는 특유의 갈색, 고소한 풍미 및 바삭한 식감이 만들어지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발암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는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되기도 한다(IARC, 199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쿠키의 주재료인 밀가루 대신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호박고구마 분말을 2~8%까지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물질의 함량,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쿠키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쿠키 제조에 호박고구마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한 박력분 밀가루(Samyang Co., Ltd., Seoul, Korea), 버터(Seoul Milk, Seoul, Korea), 베이킹파우더(Geonwon Food, Gimpo, Korea), 달걀(CJ Freshway, Yongin, Korea), 백설탕(CJ Cheiljedang Co., Ltd., Incheon, Korea)은 시판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호박고구마는 해남지역의 농장에서 재배된 것을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입하였다.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gallic acid,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아크릴아마이드 및 탄소 13 동위원소(13C3)로 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 내부표준물질은 Sigma-Aldrich Chemical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ABTS)는 Flunk(Hekdelberg,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 표준품은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분석에 적합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아크릴아마이드 내부표준물질은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0.1% formic acid를 첨가하여 200 ng/mL가 되도록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 시약들은 Sigma-Aldrich Chemical Co.와 Junsei Chemical Co., Ltd.(Tokyo, Japan)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 분석을 위한 용매는 HPLC grade(J&T Baker, Phillipsburg, NJ, USA)를 사용하였고, 아크릴아마이드 정제 컬럼인 Oasis HLB SPE 카트리지는 Waters Corporation(Milford, MA, USA)에서, Bond Elut-Accucat SPE 카트리지는 Agilent Technologies(Memphis, TN, USA)에서 구입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 및 쿠키 제조

고구마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3 mm 두께로 슬라이스 하여 -80°C에서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FDU-1200, EYELA, Tokyo, Japan)에 넣어 건조시켰다. 동결건조된 호박고구마는 커피 분쇄기(PGR 002M, Supreme Electric Co., Ltd., Guangzhou, China)에 넣어 고속에서 1분간 3회에 걸쳐 곱게 마쇄한 후 850 μm(표준체 No. 20)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분말화시켜 -20°C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쿠키는 선행연구(Yeom과 Hwang, 2020)를 참고하여 여러 차례 예비실험을 통해 Table 1과 같은 배합비로 제조하였다. 밀가루 대신 첨가하는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8% 이상이 되면 쿠키 반죽이 단단해지고 조직감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여 호박고구마 분말은 최대 8%까지 첨가하였다. 호박고구마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를 대조군으로 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에 사용한 밀가루 함량의 2, 4 및 8%를 호박고구마 분말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설탕과 실온에 꺼내둔 버터를 믹싱기(MUM54420, BOSCH, Munich, Germany)에 넣고 1단으로 1분, 3단으로 30초, 5단으로 30초 순서로 혼합하여 크림화하였다. 크림화된 반죽에 달걀을 첨가하여 3단으로 2분간 혼합한 후,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를 섞어 체에 2번 쳐서 첨가하고 주걱으로 잘 혼합하여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에 따른 네 가지 쿠키 반죽을 완성하였다. 쿠키 반죽은 마르지 않도록 랩에 싸서 냉장고에서 1시간 동안 휴지시킨 후 밀대로 균일하게 펴서 지름 40 mm, 두께 7 mm의 알루미늄 쿠키 틀로 찍어낸 뒤, 윗불 160°C, 아랫불 140°C로 예열한 오븐에서 15분간 구운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식혀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Table 1 . Formula for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Ingredients (g)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weet potato powder0248
Wheat flour100989692
Butter35353535
Sugar25252525
Egg25252525
Baking powder0.50.50.50.5
Salt0.50.50.50.5


쿠키의 퍼짐성, 팽창률 및 손실률 측정

쿠키의 퍼짐성 지수(spread factor)는 AACC법(2000)에 따라 쿠키의 직경과 평균 두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쿠키의 직경은 쿠키 6개를 나란히 수평으로 정렬하여 총길이를 측정하고, 다시 90° 회전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총길이로 측정하였다. 쿠키의 두께는 쿠키 6개를 수직으로 쌓은 후 높이를 측정하고, 쌓은 순서를 바꾸어 또다시 측정하였다.

팽창률은 쿠키를 오븐에 굽기 전과 후의 대조군과 실험군 쿠키의 무게 차이를 측정하고 아래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손실률은 쿠키를 굽기 전과 구운 후 무게를 각각 측정한 후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 6 mm 6 mm

%= g g×100

%= g g×100

일반성분 함량 측정

쿠키를 분쇄기(PGR 002M, Supreme Electric Co., Ltd.)에 넣고 균일한 크기의 분말로 균질화하여 일반성분을 측정하였다(AOAC International, 1995). 수분은 드라이오븐(EYELA)에서 105°C 상압건조법으로 정량하였고, 조회분은 시료를 회화로(Jeil, Seoul, Korea)에 넣고 600°C에서 회화시켜 측정하였다. 조단백질은 semimicro-Kjeldhl법으로 단백질 분석기(Kjeltec 2400 AUT, Foss Tecator, Eden Prairie, MN,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조지방은 diethyl ether로 추출하여 Soxhlet 추출기(Soxtec System HT 1043, Foss Tecator)로 측정하였다.

당도, pH 및 경도 측정

쿠키를 분쇄기(PGR 002M, Supreme Electric Co., Ltd.)에 넣고 균일한 크기로 분쇄한 후에 분쇄한 시료 5 g에 95% 에탄올 10 mL를 첨가하여 vortex mixer로 혼합하였다. 혼합액은 40°C에서 1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하여 30분간 16,700 rpm에서 원심분리(Mega 17R, Hanil Co., Daejeon, Korea)하여 얻은 상등액을 가지고 당도와 pH를 측정하였다. 당도는 당도계(PR-201α, Atago Co., Tokyo, Japan)를 이용하였고, pH는 pH meter(420 Benchtop, Orion Research, Beverly, MA, USA)로 측정하였다.

쿠키의 경도(hardness)는 쿠키를 제조한 당일 상온에서 texture analyzer(CT3 10K, Brookfield, Middleboro, MA, USA)로 텍스처 프로파일 분석(texture profile analysis)을 하였다. 경도는 TA25/1000 probe를 이용하였고, target type은 % deformation, target value는 60%, pre-test speed 2.0 mm/s, test speed 10.0 mm/s, load cell 100 g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색도 측정

쿠키의 색도는 색차계(Chroma Meter CR-300,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명도(lightness, L*값), 적색도(redness, a*값), 황색도(yellowness, b*값)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표준 백색판의 L*, a*, b*값은 각각 97.10, +0.24, +1.75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분말화한 쿠키 시료 5 g에 95% 에탄올 20 mL를 넣고 vortex mixer로 15초 동안 균질하게 혼합한 후 원심분리(9,000 rpm, 10 min)하여 얻은 상등액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시료액 0.5 mL에 2 N Folin 시약 0.5 mL를 혼합한 후 3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2% sodium carbonate 1.5 mL를 첨가한 뒤 2시간 동안 암소에서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Infinite M200 Pro, Tecan Group Ltd.,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시료 중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GAE)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Cheung 등, 2003), ABTS 라디칼 소거 활성(Re 등, 1999) 및 환원력(Oyaizu, 1986)으로 측정하였다. 분말화한 쿠키 시료 5 g에 95% 에탄올 20 mL를 넣어 vortex mixer로 균질하게 혼합한 후 원심분리(9,000 rpm, 10 min)하여 얻은 상등액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쿠키 추출액 100 μL와 0.2 mM DPPH 용액 100 μL를 혼합하여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래 식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DPPH %=1 ×100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실험 시작 24시간 전에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키기 위해 7.0 mM ABTS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빛을 차단한 곳에서 반응시켰다. 실험 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0.17±0.03이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흡광도를 맞춘 ABTS 용액 100 μL와 쿠키 추출액 100 μL를 혼합하여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래 식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ABTS %=1 ×100

환원력은 쿠키 추출액 0.5 mL에 20 mM 인산 완충액(pH 6.6) 0.5 mL와 1%의 potassium ferricyanide 0.5 mL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50°C로 맞춰진 항온수조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10% trichloroacetic acid 용액 1 mL를 넣어 혼합한 후에 9,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 상등액 1 mL에 증류수 및 ferric chloride를 각각 1 mL씩 가하여 혼합한 후 분광광도계로 72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환원력으로 나타냈다.

아크릴아마이드 추출 및 기기 분석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FDA 분석법(US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3)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균일하게 분쇄한 쿠키 시료 1 g을 50 mL 폴리프로필렌 원심분리용 튜브에 넣고 1 mL의 아크릴아마이드 내부 표준용액과 9 mL의 증류수를 넣어 잘 혼합한 후 진탕기(BF-60SIR-1, BioFree, Seoul, Korea)에 넣고 300 rpm으로 25분 동안 추출한 뒤 원심분리기(Mega 17R, Hanil)로 9,000 rpm에서 30분 동안 1차 원심분리를 하였다. 이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물층 중에서 5 mL를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7,000 rpm으로 10분간 2차 원심분리하여 A 용액을 얻었다. 메탄올 3.5 mL와 증류수 3.5 mL로 미리 활성화해 둔 Oasis HLB SPE 카트리지에 A 용액 1.5 mL를 넣어 통과시킨 후 증류수 0.5 mL를 첨가하여 나온 용액은 흘려버리고, 증류수 1.5 mL로 용출시킨 용액을 새로운 튜브에 모았다(B 용액). 메탄올 2.5 mL와 증류수 2.5 mL로 미리 활성화해 Bond Elut-Accucat SPE 카트리지에 B 용액 1.5 mL를 넣은 후 처음 0.5 mL를 흘려버리고, 이후 얻어진 용액 1 mL를 새로운 튜브에 모아 아크릴아마이드 분석에 사용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는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LC/MS)-2020(Shimadzu, Kyoto, Japan)과 Nexera XR(Shimadzu, Kyoto, Japan)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이동상은 0.1% acetic acid와 0.5% formic acid가 포함된 수용액으로 하였고, 질량분석은 positive ESI(electrospray ionization)를 이용한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방식으로 아크릴아마이드는 m/z 72→55, 탄소 13 동위원소(13C3)로 치환된 내부표준물질은 75→58을 선택하여 확인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측정은 3회 반복하여 평균(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R-Studio(Version 3.5.1, RStudio, Inc., Boston, MA, USA)를 이용하였고, ANOVA를 이용하여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을 확인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쿠키의 퍼짐성, 팽창률 및 손실률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 쿠키의 퍼짐성 지수, 팽창률 및 손실률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쿠키의 퍼짐성, 팽창률 및 손실률은 대조군에 비해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고구마 쿠키의 퍼짐성은 대조군이 4.50으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8% 첨가함에 따라 4.45에서 4.39까지 감소하였다. 쿠키의 퍼짐성은 쿠키 반죽을 성형하여 오븐에서 굽는 동안 고온에 의해 반죽이 옆으로 퍼지면서 직경이 증가하고 두께가 얇아지는 것으로(Mudgil 등, 2017), 반죽 시간, 반죽의 점성, 굽는 온도, 밀가루의 수분 흡수율, 부재료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Choi 등, 2014; Mudgil 등, 2017). 일반적으로 쿠키 반죽의 수분함량이 높으면 반죽의 점도가 낮아져서 쿠키를 굽는 동안 쿠키의 직경이 바깥쪽으로 넓어져 퍼짐성이 증가한다(Choi 등, 2007). 선행연구에서도 쿠키에 자색콜라비 분말(Cha 등, 2014), 아사이베리 분말(Choi 등, 2014), 녹차 분말(Hwang과 Park, 2021) 등과 같이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한 부재료를 쿠키 반죽에 첨가함에 따라 쿠키의 퍼짐성이 감소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이는 이들 부재료에 함유된 식이섬유가 수분을 많이 흡수하여 쿠키의 퍼짐성을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호박고구마 분말은 동결건조의 과정을 거쳐 수분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밀가루에 비해 수분이 낮아졌으며, 이에 따라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쿠키 반죽의 부드러움이 감소하였고, 반죽의 건조도가 매우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Table 2 . Spread factor, leavening rate, and loss rate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pread factor4.50±0.13a4.45±0.15a4.42±0.14b4.39±0.13b
Leavening rate (%)100.00±0.00a98.92±3.61a95.65±7.53b89.59±6.55c
Loss rate (%)15.22±2.28a14.94±2.62a14.45±0.98b13.62±2.12c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c)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팽창률은 쿠키를 고온에서 굽는 동안 반죽이 팽창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쿠키 반죽의 수분함량, 유지의 종류와 양, 부재료 등에 따라 달라지며, 잘 팽창된 쿠키는 바삭하고 고유의 풍미를 지니게 된다(Mudgil 등, 2017).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쿠키의 팽창률을 100%로 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쿠키의 팽창률을 측정한 결과, 호박고구마 분말을 2~8% 첨가함에 따라 쿠키의 팽창률은 98.92%에서 89.59%로 감소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높은 쿠키의 팽창률 감소는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섬유소가 반죽의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에 필요한 수분이 대조군에 비해 부족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사료된다.

손실률은 대조군에서 15.22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2% 처리군에서는 14.94%로 대조군과 유사했으나, 호박고구마 분말 4% 및 8% 첨가군에서는 손실률이 각각 14.45%에서 13.62%로 감소하였다. 이는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 반죽 내의 수분을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섬유소가 흡수하여 손실률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녹차 분말(Hwang과 Park, 2021), 대추 분말(Kim 등, 2014) 및 감과피 분말(Lim과 Cha, 2014) 첨가 쿠키에서도 밀가루에 비해 섬유소가 풍부한 부재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쿠키의 팽창률과 손실률이 감소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일반성분 함량

실험에 사용된 밀가루, 호박고구마 분말 및 제조한 호박고구마 분말 함유 쿠키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의 수분은 0.88%로 밀가루의 수분함량인 11.30%에 비해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의 회분은 3.23%로 밀가루의 회분 함량인 0.27%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호박고구마 분말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각각 0.35% 및 0.62%로 밀가루보다 낮았다.

Table 3 . Proximate analysis of wheat flour, pumpkin sweet potato powder, and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unit: %).

MeasurementWheat flourPumpkin sweet potato powderCookies with 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Moisture11.30±0.03a0.88±0.25e3.03±0.10b2.78±0.06bc2.45±0.40cd2.22±0.07d
Ash0.27±0.04b3.23±0.13a0.45±0.30b0.48±0.21b0.50±0.12b0.59±0.12b
Crude protein1.32±0.08a0.35±0.05b0.64±0.18b0.54±0.01b0.54±0.11b0.40±0.28b
Crude fat0.96±0.00b0.62±0.03b23.15±0.29a23.34±2.76a23.14±2.35a23.93±1.32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e)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의 수분은 3.03%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쿠키의 수분은 2.78%에서 2.22%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에 함유된 회분은 대조군에서 0.45%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0.48~0.59%로 증가하였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밀가루보다 호박고구마 분말의 회분 함량이 높아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쿠키에 함유된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0.40~0.64% 및 23.15~23.93%로 대조군과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쿠키의 당도, pH 및 경도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당도와 pH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호박고구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당도가 20.40°Brix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2~8%로 증가함에 따라 당도는 21.77~21.93°Brix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호박고구마에는 fructose, glucose, sucrose가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sucrose 함량이 일반고구마나 자색고구마에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 등, 2018). 따라서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쿠키 내에 이들 유리당 함량도 높아져 당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 Sugar content, pH, and hardnes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ugar contents (°Brix)20.40±0.00b21.83±0.06a21.77±0.06a21.93±0.06a
pH6.75±0.06a6.52±0.04b6.54±0.00b6.37±0.01c
Hardness (g)10,301.50±85.56b10,696.50±647.00b11,178.00±296.98a11,744.50±306.18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c)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쿠키의 pH를 측정한 결과,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대조군의 pH는 6.75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2~8%까지 증가함에 따라 pH는 6.52~6.37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고구마에는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가 함유되어 있으며(Ra 등, 2018), 이들 유기산으로 인해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도는 10,301.50으로 호박고구마 분말 2%를 첨가한 쿠키의 경도인 10,696.50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호박고구마 분말을 4% 및 8%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는 각각 11,178.00 및 11,744.50 g로 대조군과 호박고구마 분말 2% 첨가군보다 증가하였으나, 4%와 8%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쿠키의 경도는 반죽의 비중, air cell 형태, 첨가하는 부재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특히 부재료의 수분 및 섬유소 함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Lim과 Cha, 2014; Choi 등, 2014). 즉, 밀가루보다 수분함량이 적은 건조 분말을 첨가하면 경도가 증가하고(Cha 등, 2014), 밀가루보다 수분함량이 높은 다진 마늘과 같은 부재료를 첨가하면 경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oi 등, 2007). 호박고구마에는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함유되어 있고(Ra 등, 2018), 본 연구에서는 밀가루(11.30% 수분)보다 낮은 수분함량을 지닌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호박고구마 분말(0.88% 수분)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밀가루에 비해 호박고구마가 높은 섬유소 함량과 낮은 수분으로 인해 호박고구마 분말을 4% 및 8% 첨가한 쿠키의 경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색도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여 만든 쿠키의 색도는 Table 5와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대조군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가 70.41로 가장 높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2~8%로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67.99에서 61.13으로 감소하였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에서 3.44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a*값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반죽에서 33.56이었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 및 4% 첨가한 쿠키에서는 34.48과 35.76으로 증가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8% 첨가한 쿠키의 황색도는 37.74로 가장 높았다. 호박고구마는 노란색~주황색의 천연 색소물질인 베타카로틴을 포함한 카로티노이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Krochmal-Marczak 등, 2020; Ra 등, 2018), 쿠키 반죽에 첨가한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색소물질의 영향으로 적색도와 황색도가 함께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 . Changes in Hunter’s color value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L*70.41±0.65c67.99±2.31b66.40±0.79a61.13±0.30a
a*3.44±0.63d5.30±0.20c7.04±0.21b8.37±0.35a
b*33.56±1.65c34.48±0.12bc35.76±0.57b37.74±0.69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d)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총 폴리페놀 함량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쿠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ig. 1과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쿠키 시료 1 g당 gallic acid를 기준으로 277.23 μg이었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도 증가하였다. 즉, 호박고구마 분말을 2%, 4% 및 8% 첨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은 280.24 μg, 350.38 μg, 457.49 μg으로 대조군 대비 1.01~1.65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Value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on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GAE: gallic acid equivalent.

호박고구마에는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epicatechin, ferulic acid, vanillic acid 등의 페놀화합물과 quercetin, quercitrin, mor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물질의 함량은 신선한 상태에 비해 찌거나 굽는 등의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15; Seo 등, 2018). 따라서 호박고구마를 분말의 형태로 제조하여 쿠키에 첨가하는 것은 고구마에 함유된 폴리페놀 물질을 활용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항산화 활성 측정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33.853%로 나타났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 4% 및 8% 첨가한 쿠키에서 각각 46.21%, 50.95% 및 65.34%까지 증가했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경우, 대조군은 32.892%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 비율에 따라 각각 46.25~62.11%로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환원력은 0.2676으로 가장 낮았고,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이 2~8%로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은 0.3435~0.3844로 높아졌다.

Table 6 .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3.85±1.71d46.21±0.33c50.94±1.16b65.34±0.15a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2.89±2.08d46.25±0.92c50.01±1.17b62.11±0.67a
Reducing power0.2676±0.00d0.3435±0.02c0.3592±0.00b0.3844±0.00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d)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고구마에는 베타카로틴, 레티놀, 비타민 C, 폴리페놀 물질들이 풍부하며, 이들은 강력한 항산화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등, 2015; Ra 등, 2018).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박고구마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함량도 증가하고 이를 통해 항산화 활성도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에서도 고구마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Park과 Park, 2012)나 막걸리(Cheon 등, 2013)에서도 부재료로 첨가한 고구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 ABTS와 같은 유리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분석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아크릴아마이드 분석 결과는 Fig. 2와 같다.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42.53 μg/kg이었고, 호박고구마 분말을 2~8% 첨가함에 따라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호박고구마 분말 2% 첨가군에서는 40.94 μg/kg, 4% 첨가군에서는 38.35 μg/kg, 8% 첨가군에서는 35.19 μg/kg으로 대조군에 비해 각각 3.74%, 9.83% 및 17.26%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Fig 2. Acrylamide concentration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Value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d) on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0.05.

쿠키의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크릴아마이드는 피할 수 없기에(Lund와 Ray, 2017; Starowicz와 Zieliński, 2019) 다양한 방법으로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저감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쿠키에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녹차 분말(Hwang과 Park, 2021), 양파껍질(Yeom과 Hwang, 2020) 등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실용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은 바 있다.

요 약

본 연구에서는 밀가루 중량 대비 호박고구마 분말을 2%, 4% 및 8%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쿠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 쿠키의 최적 배합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쿠키의 수분은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회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도 대조군과 호박고구마 분말 2~8% 첨가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쿠키에 첨가한 호박고구마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퍼짐성, 팽창률, 손실률은 감소하였고 pH는 감소하였다.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쿠키의 명도(L*값)는 감소하였고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도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호박고구마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쿠키에 호박고구마 분말을 첨가하면 항산화 활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지원사업(과제번호 2021R1F1A106060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Fig 1.

Fig 1.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Value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on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GAE: gallic acid equival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 1312-1320https://doi.org/10.3746/jkfn.2022.51.12.1312

Fig 2.

Fig 2.Acrylamide concentration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Value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d) on the ba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0.0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 1312-1320https://doi.org/10.3746/jkfn.2022.51.12.1312

Table 1 . Formula for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Ingredients (g)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weet potato powder0248
Wheat flour100989692
Butter35353535
Sugar25252525
Egg25252525
Baking powder0.50.50.50.5
Salt0.50.50.50.5

Table 2 . Spread factor, leavening rate, and loss rate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pread factor4.50±0.13a4.45±0.15a4.42±0.14b4.39±0.13b
Leavening rate (%)100.00±0.00a98.92±3.61a95.65±7.53b89.59±6.55c
Loss rate (%)15.22±2.28a14.94±2.62a14.45±0.98b13.62±2.12c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c)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Table 3 . Proximate analysis of wheat flour, pumpkin sweet potato powder, and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unit: %).

MeasurementWheat flourPumpkin sweet potato powderCookies with 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Moisture11.30±0.03a0.88±0.25e3.03±0.10b2.78±0.06bc2.45±0.40cd2.22±0.07d
Ash0.27±0.04b3.23±0.13a0.45±0.30b0.48±0.21b0.50±0.12b0.59±0.12b
Crude protein1.32±0.08a0.35±0.05b0.64±0.18b0.54±0.01b0.54±0.11b0.40±0.28b
Crude fat0.96±0.00b0.62±0.03b23.15±0.29a23.34±2.76a23.14±2.35a23.93±1.32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e)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Table 4 . Sugar content, pH, and hardnes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Sugar contents (°Brix)20.40±0.00b21.83±0.06a21.77±0.06a21.93±0.06a
pH6.75±0.06a6.52±0.04b6.54±0.00b6.37±0.01c
Hardness (g)10,301.50±85.56b10,696.50±647.00b11,178.00±296.98a11,744.50±306.18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c)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Table 5 . Changes in Hunter’s color value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L*70.41±0.65c67.99±2.31b66.40±0.79a61.13±0.30a
a*3.44±0.63d5.30±0.20c7.04±0.21b8.37±0.35a
b*33.56±1.65c34.48±0.12bc35.76±0.57b37.74±0.69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d)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Table 6 .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umpkin sweet potato powder.

MeasurementPumpkin sweet potato powder (%)
0248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3.85±1.71d46.21±0.33c50.94±1.16b65.34±0.15a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2.89±2.08d46.25±0.92c50.01±1.17b62.11±0.67a
Reducing power0.2676±0.00d0.3435±0.02c0.3592±0.00b0.3844±0.00a

Data were the mean±SD of triplicate experiment..

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 (a-d) with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References

  1.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000. p 10-50.
  2. Alam MK. A comprehensive review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Revisiting the associated health benefits. Trends Food Sci Technol. 2021. 115:512-529.
    CrossRef
  3. AOAC International.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TX, USA. 1995. p 1-26.
  4. Ayeleso TB, Ramachela K, Mukwevho E. A review of therapeutic potentials of sweet potato: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influence of the cultivar. Trop J Pharm Res. 2016. 15:2751-2761.
    CrossRef
  5. Cha SJ, Park SR, Kim DH.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potato. Korean J Food Preserv. 2017. 24:221-229.
    CrossRef
  6. Cha SS, Jung HO, Son HK, et 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purple kohlrab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824-830.
    CrossRef
  7. Cheon JE, Baik MY, Choi SW, et al.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Korean J Food Nutr. 2013. 26:29-34.
    CrossRef
  8. Cheung LM, Cheung PCK, Ooi VEC.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2003. 81:249-255.
    CrossRef
  9. Choi DJ, Shin JH, Lee SJ, et a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forms of shredded garlics. Korean J Food Nutr. 2007. 20:282-288.
  10. Choi YS, Kim SK, Mo EK.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661-667.
    CrossRef
  11. Hodge JE. Dehydrated foods, chemistry of browning reactions in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1953. 1:928-943.
    CrossRef
  12. Hwang ES, Park TY.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acrylamide content of cookies made with powdered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1082-1090.
    CrossRef
  13. IARC. Acrylamide. In: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Some Industrial Chemicals.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France. 1994. Vol 60, p 389-433.
  14. Kim DC, Kim C, In MJ.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App Biol Chem. 2015. 58:21-24.
    CrossRef
  15. Kim HY, Kong HJ.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using citron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06. 22:712-719.
  16. Kim KE, Kim SS, Lee Y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476-1480.
    CrossRef
  17. Kim MJ, Choi JE, Lee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jujub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146-150.
    CrossRef
  18. Krochmal-Marczak B, Sawicka B, Krzysztofik B, et al.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quality and storage stalibity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grown in central Europe. Agronomy. 2020. 10:1665. https://doi.org/10.3390/agronomy10111665
    CrossRef
  19. Krochmal-Marczak B, Sawicka B, Tobiasz-Salach R. Impact of cultivations technology on the yield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tubers. Emir J Food Agric. 2018. 30:978-983.
  20. Laurie SM, Faber M, Claasen N. Incorporating orange-fleshed sweet potato into the food system as a strategy for improved nutrition: The context of South Africa. Food Res Int. 2018. 104:77-85.
    Pubmed CrossRef
  21. Lee CS, Lim HS, Cha 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ginger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15. 31:703-717.
    CrossRef
  22. Lee HH, Kang SG, Rhim JW.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9. 31:1090-1095.
  23. Lee HM, Park HJ, Kim JN, et al.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carotenoid contents and Bacillus cereus contamination of dried sweet potato in circulating dried agricultural products. J Food Hyg Saf. 2017. 32:477-484.
    CrossRef
  24. Lee JA, Park GS, Ahn SH. Comparativ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arleys and oatmeals.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02. 18:238-246.
  25. Lee JS, Ahn YS, Chung MN, et al. Biological activity of varieties,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oxidants components in sweetpotato. Korean J Breed Sci. 2007. 39:296-301.
  26. Lee JS, Yoo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2. 22:489-496.
  27. Lim HS, Cha 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persimmon peel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14. 30:620-630.
    CrossRef
  28. Liu YN, Jeong DH, Jung J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13. 29:275-281.
    CrossRef
  29. Lund MN, Ray CA. Control of Maillard reactions in foods: Strategies and chemical mechanisms. J Agric Food Chem. 2017. 65:4537-4552.
    Pubmed CrossRef
  30. Mok IG, Zhao D, Kwak SS. Genetic resources of sweetpotato for industrial use. J Plant Biotechnol. 2009. 36:202-206.
    CrossRef
  31. Mudgil D, Barak S, Khatkar BS. Cookie texture, spread ratio and sensory acceptability of cookies as a fun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baking time and different water levels. LWT. 2017. 80:537-542.
    CrossRef
  32. Oyaizu M.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Diet. 1986. 44:307-315.
    CrossRef
  33. Park EJ, Park GS.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Food Cult. 2012. 27:730-736.
    CrossRef
  34. Park ID. Effects of sweet pumpkin powder on quality character istics of cookies. Korean J Food Cult. 2012. 27:89-94.
    CrossRef
  35. Park MG, Joo SY.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ye cookies supplemented with sea buckthorn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464-475.
    CrossRef
  36. Park SA, Kim DH. Effect of addition of sweet potato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Preserv. 2016. 23:538-546.
    CrossRef
  37. Ra HN, Kim JS, Kim GC, et al.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sweet potato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Soc Food Cult. 2018. 33:597-607.
  3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et al.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1999. 26:1231-1237.
    Pubmed CrossRef
  39. Seo BY, Kim JS, Park E.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according to variety and moist heat cook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8. 47:243-252.
    CrossRef
  40. Shin MY, Lee WY. Physical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a steamed sweet potato slab after mild hot air drying. Korean J Food Cook Sci. 2011. 27:73-81.
    CrossRef
  41. Song J, Chung MN, Kim JT,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Korean J Crop Sci. 2005. 50(S):141-146.
  42. Starowicz M, Zieliński H. How Maillard reaction influences sensorial properties (color, flavor and texture) of food products?. Food Rev Int. 2019. 35:707-725.
    CrossRef
  43.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acrylamide in foods. 2003 [cited 2021 Jan 10]. Available from: https://www.fda.gov/food/chemicals/detection-and-quantitation-acrylamide-foods
  44. Woo KS, Ko JY, Kim HY, et al.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of sweet potatoes cultivated using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3. 45:305-311.
    CrossRef
  45. Yeom MS, Hwang ES.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rylamide formation in cookies added with onion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20. 27:299-310.
    CrossRef
  46. Yoon H, Jeong O, No J, et al. Development of sweet potato shaped rice madeira cakes using sweet potato paste with different cultivars. Korean J Food Cook Sci. 2017. 33:78-86.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