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2): 1281-128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2.128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i-Yun Bae , Ji-Eun Kim, Ye-Eun Kim, and Mi-Ja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i-Ja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gye-eup, Samcheok-si, Gangwon 25949, Korea, E-mail: mijakim@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enugreek seed is one of the curry ingredients.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ablis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fenugreek seed fractions. First, we prepared 80% ethanol extract of fenugreek seed and then obtained solvent fractions using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fraction was measured by the DPPH radical assay, ABTS cat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FRAP valu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ORAC value. In additi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fractions was evaluated using the conjugated dienoic acid, p-anisidine value (p-AV),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of corn oil heated at 180℃. The butanol fraction of fenugreek seed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7.6%), ABTS cat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43.6%), FRAP value (148.52±6.62 μ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 TPC (32.15 μ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and ORAC value (2.88-fold) of all other fractions. The corn oil containing butanol fraction had 1.80- and 1.37-fold lower p-AV and TBA values, respectively (P<0.05),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amphene (39.71%), nerolidol (16.35%), and geraniol (14.00%) were detected as major volatile components in the butanol fraction of fenugreek se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utanol fraction of fenugreek seed ha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could be used as promising bioactiv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Keywords: antioxidant, butanol fraction, fenugreek seed, oxidative stability, volatile compound
향신료는 식물의 열매, 종자, 꽃, 뿌리 등을 이용해 음식의 맛이나 향을 돋구는 데 이용하거나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항산화 작용, 항염증 등의 효능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Tapsell 등, 2006). 또한 향신료에는 갈산과 바닐산-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 제작
훼누그릭 종자는 인도산을 이용하였다. 훼누그릭 종자는 분쇄기(SHMF-3500SS, Hanil Electric, Wonju, Korea)를 사용하여 곱게 분쇄한 뒤, 80% 에탄올(1:15, w/v)을 이용하여 교반기(RS-1, Jeio Tech., Daejeon, Korea)로 6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였다. 이후에는 여과지(Whatman No.2, Whatman, Buckinghamshire, England)를 이용해 여과하고, 40°C water bath에서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BŰCHI, Zollikofen, Switzerland)를 사용해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BJD85-F8, IlShin Biobase, Seoul, Korea)를 사용해 동결건조한 뒤에 곱게 분쇄하였다. 이를 가지고 핵세인(Daejung, Siheung, Korea), 에틸아세테이트(Daejung), 부탄올(Daejung), 증류수의 순서대로 분획을 진행하였고, 각 분획물을 감압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은 Park 등(2022)의 방법을 참고하여 이용하였다. 메탄올(Daejung)을 용매로 0.1 mM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DPPH 용액 0.75 mL를 각 농도로 희석한 추출 시료 용액 0.25 mL에 넣어 3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그 뒤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에서 DPPH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의 경우 ascorbic acid(Sigma Aldrich Co.)를 이용하여 시료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은 Yuan 등(2005)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7 mM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Sigma Aldrich Co.)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Sigma Aldrich Co.)를 증류수를 용매로 제조하여 1:1(v/v)로 혼합한 후에 12시간 이상 방치하여 라디칼을 형성하였다. 그 후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이용하여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이 0.700±0.05가 되도록 에탄올(Daejung)을 이용해 희석하였다. 이 용액을 0.95 mL와 증류수로 희석한 각 농도의 시료 0.05 mL를 넣고 암실에서 6분 동안 반응시켰다. 표준물질의 경우 ascorbic acid(Sigma Aldrich Co.)를 이용하여 시료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FRAP 환원력
FRAP 환원력은 Benzie와 Strain(1996)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Acetic acid(Daejung)를 이용하여 pH 3.6에 맞추어 300 mM sodium acetate(Sigma Aldrich Co.)를 제조하였다. 40 mM HCl(Daejung)을 이용하여 10 mM 2,4,6-tripyridyl-S-triazine(Sigma Aldrich Co.)을 용해시켰다. 20 mM FeCl3(Sigma Aldrich Co.)는 증류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고, 앞서 용해시킨 용액들은 각각 10:1:1(v/v/v) 비율로 섞어 37°C에서 15분 동안 평형시켜서 FRAP reagent를 제조하였다. FRAP reagent 0.9 mL와 증류수를 이용해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용액 0.03 mL를 넣은 후 30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이용하여 59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Sigma Aldrich Co.)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농도별로 증류수에 녹여 표준곡선을 작성해 계산하였다.
총 페놀 함량 측정
총 페놀 함량 측정은 Stoilova 등(2007)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Folin-Ciocalteu(Sigma Aldrich Co.)와 증류수를 1:1(v/v)로 섞어서 각 시료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증류수에 각각의 농도로 희석한 시료 0.05 mL를 넣어 혼합하고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포화한 sodium carbonate(Sigma Aldrich Co.)를 0.1 mL 넣어 섞은 후에 30분 동안 정치하였다. 이후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사용하여 59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tannic acid(Sigma Aldrich Co.)를 증류수를 이용해 농도별로 희석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계산하였다.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법
100 nM fluorescein sodium salt(Sigma Aldrich Co.)를 75 mM 인산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후 37°C 항온수조에서 평형시켜 이용하였다. 동일한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300 mM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AAPH)(FUJIFILM Wako Chemicals, Richmond, VA, USA)를 제조하였다. 같은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로 희석한 시료 50 μL와 fluorescein sodium salt 150 μL, AAPH는 50 μL를 넣어 온도를 37°C로 유지하고 fluorescenece micro plate reader(GeminiXPS, Moleculardevice,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excitation 493 nm, emission 515 nm 파장에서 40분간 매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Trolox(Sigma Aldrich Co.)를 시료와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각각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다양한 용매 분획물 첨가 유지 제조
각각의 분획물을 dimethyl sulfoxide(Daejung)에 혼합하여 옥수수기름(Ottogi, Anyang, Korea)에 0.1%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dimethyl sulfoxide를 동일한 양으로 첨가한 옥수수기름을 이용하였다. 그 후에 시료들을 dry oven(GISICO, Seoul, Korea)에서 0, 30, 60, 90분 동안 180°C에서 산화시켰고, 잔열로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20°C에 보관하고 사용하였다.
Conjugated dienoic acid(CDA)가
CDA가는 AOCS(2017)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산화된 각각의 시료를 isooctane(Daejung) 15 mL에 4,000 ppm 농도로 분산시킨 후 흡광도 값이 적정범위로 들어오도록 isooctane을 이용해 희석하였다. 그 후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로 233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Thiobarbituric acid(TBA)가
TBA가는 Serdaroğlu와 Felekoğlu(2005)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산화된 시료 1.5 g을 benzene(Daejung) 5 mL에 녹였다. TBA(Sigma Aldrich Co.)는 100 mL의 증류수에 0.67 g을 용해시킨 후 같은 부피의 glacial acetic acid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료에 제조한 TBA 시약을 5 mL 넣어 살살 흔들고 4분간 정치하여 상충액을 제거하였다. 이것을 100°C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가열시킨 후, 흐르는 물에서 냉각시킨 뒤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이용해 53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휘발성 물질 분리
휘발성 물질 분리 방법은 Kiralan(2012)의 방법을 참고하여 고체상 미량 추출(SPME)법을 이용하였다. 불꽃 이온화 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가 설치된 GC(Hewlett-Packard 6890, Agilent Technology, Palo Alto, CA, USA)를 이용해 휘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SPME fiber는 65 μm polydimethylsiloxane/divinylbenzene(Supelco, Bellefonte, PA, USA)을 사용하였고, 고정상으로는 HP-5(30 m×0.32 m ID, 0.25 mm film, Agilent Technology) 칼럼을 이용하였다. 기기의 온도 조건은 초기에 50°C에서 2분간 방치한 뒤 120°C로 상승시켰으며, 주입기와 검출기의 온도는 각각 220°C, 300°C로 고정하였다.
휘발성 물질 분석
GC-mass spectrometry(5971A, Agilent Technology)를 사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동정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헬륨가스를 이용하여 0.8 mL/min 속도로 흘려주었다. 추출 조건은 GC-FID와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하였고, MS 분석 조건은 70 ev, 220 ionsource 온도를 이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라이브러리(mass spectrum library)와 머무름시간(retention time)을 사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SPSS(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mean±SD로 나타내었다. One-way ANOVA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통해 P˂0.05 수준에서 사후 검증하였다.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DPPH 라디칼 및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DPPH 라디칼 및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결과는 Fig. 1과 같다.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 모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80% 에탄올, 증류수, 헥세인 순서로 각각 47.6, 25.7, 23.3, 9.3, 2.6%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결과로는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 모두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으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80% 에탄올, 증류수, 헥세인 순으로 각각 43.6, 23.7, 20.6, 17.0, 11.3%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FRAP 환원력과 총 페놀 함량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FRAP 환원력과 총 페놀 함량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FRAP 환원력 결과로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을 비교했을 때,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148.52 μ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가장 높은 FRAP 환원력을 보였으며,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증류수 분획물에 비해 약 2.72, 1.10, 1.04, 7.56배 높게 관찰되었다. 총 페놀 함량 결과도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32.15 μ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Table 1 . FRAP values and TPC of fenugreek seed fractions
Fenugreek seed fractions | FRAP1) (µ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 | TPC2) (µ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
---|---|---|
80% Ethanol | 54.54±6.58b | 17.62±0.79c |
135.47±57.02a | 10.51±0.31e | |
Ethyl acetate | 142.59±2.18a | 23.29±0.58b |
148.52±6.62a | 32.15±1.22a | |
Water | 19.65±0.41b | 12.25±0.26d |
1)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2)TPC: total phenolic contents.
Samples were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using 80% ethanol extrac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using different letters (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ORAC가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ORAC가의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5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은 약 2.10, 1.61, 2.36, 2.88, 1.74배의 항산화력을 보였다(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CDA가,
유지 산화 과정 중 초기에 발생하는 공액 이중결합을 측정하는 CDA가와 이차 산화물 함량을 측정하는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 휘발 성분 분석 비교
GC-MS를 이용하여 훼누그릭 부탄올 분획물의 휘발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은 캄펜(camphene), 네롤리돌(nerolidol), 게라니을(geraniol) 등 성분이 분석되었다. 그중에서도 캄펜의 함량이 39.71%, 네롤리돌이 16.35%, 게라니올이 14.00 %, 리모넨이 8.60%, 게라닐 아세테이트가 6.53%로 많이 검출되었다. Tiwari와 Kakkar(2009)는 게라니올과 캄펜이 t-BHP 유발 산화 스트레스를 받은 쥐의 폐포 대식세포의 지질 과산화를 유의적으로 감속시키고, NO 산화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NO 방출과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Sabir 등(2022)의 연구에서는 네롤리돌은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 모델에서 간의 지질 축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고칼로리 식이에 의해 유발된 질병을 중단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 마커, 섬유증 및 사이토카인은 감소시켰고, 항산화 효소는 유의하게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Hazrati 등(2019)의 연구에서는 앙굴라타(Ferulago angulata)의 줄기, 잎, 꽃, 익은 종자, 안 익은 종자를 수소 증류 방법으로 에센셜오일을 추출하여 GC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분석했을 때, 리모넨 함량이 익은 종자, 안 익은 종자 각각 33.07%, 31.13%로 잎 다음으로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Abbassi 등(2018)의 연구에서는 고수풀의 종자를 효소처리 전과 효소처리 후 에센셜오일을 각각 제조하여 성분을 분석했는데 제조한 에센셜오일에서 리나롤, 캠퍼, 게라닐 아세테이트가 주요 화합물이었으며, 이러한 화합물이 효소 처리 후에 양이 증가하였고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휘발 성분에 의해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과 유지 산화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 . Volatile analysis of fenugreek seed 80% ethanol and butanol fraction by GC-MS
RT (min)1) | Volatile compounds | Peak area (×105) (%)2) | Biological activities | Reference |
---|---|---|---|---|
13.56 | Limonene | 96.28±4.96(8.60) |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Vieira et al., 2018 |
13.69 | 2-Ethyl hexanol | 50.63±3.29(4.52) | - | - |
18.03 | Linalool | 63.06±1.44(5.63) | Anti-inflammatory activity, anxioly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Aprotosoaie et al., 2014 |
28.01 | Geraniol | 156.75±6.44(14.00) |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Chen and Viljoen, 2010 |
34.07 | Camphene | 444.69±16.36(39.71) | Antibacteri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Hachlafi et al., 2021 |
36.23 | Geranyl acetate | 73.08±2.36(6.53) | Antifung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 Goncalves et al., 2012 |
38.66 | β-Farnesene | 23.14±0.83(2.07) | - | - |
39.2 | (Z,E)-α-Farnesene | 15.34±1.79(1.37) | - | - |
39.36 | α-Farnesene | 13.79±2.55(1.23) | - | - |
39.95 | Nerolidol | 183.10±8.05(16.35) |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Chan et al., 2016 |
Total volatiles | 1,119.89±48.08(100) |
1)RT: retention time.
2)The number in parenthesis was the percentage of each volatile divided by the total volatiles.
Samples were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using 80% ethanol extract.
본 연구는 훼누그릭 종자를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순서로 분획하여 용매에 따른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고, 각 시료를 첨가한 유지를 180°C로 산화시켰을 때의 유지 산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 결과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에서도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43.6%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FRAP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148.52 μ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의 경우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32.15 μ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ORAC의 결과로는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2.88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지의 초기 산화물을 측정한 CDA가의 결과는 90분 산화 조건에서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부탄올 분획물이 초기 산화물 생성을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차 산화물을 측정한
본 연구는 2021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NRF-2021R1F1A1060533)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2): 1281-128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2.128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배지윤․김지은․김예은․김미자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Ji-Yun Bae , Ji-Eun Kim, Ye-Eun Kim, and Mi-Ja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i-Ja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gye-eup, Samcheok-si, Gangwon 25949, Korea, E-mail: mijakim@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Fenugreek seed is one of the curry ingredients.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ablis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fenugreek seed fractions. First, we prepared 80% ethanol extract of fenugreek seed and then obtained solvent fractions using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fraction was measured by the DPPH radical assay, ABTS cat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FRAP valu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ORAC value. In additi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fractions was evaluated using the conjugated dienoic acid, p-anisidine value (p-AV),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of corn oil heated at 180℃. The butanol fraction of fenugreek seed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7.6%), ABTS cat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43.6%), FRAP value (148.52±6.62 μ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 TPC (32.15 μ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and ORAC value (2.88-fold) of all other fractions. The corn oil containing butanol fraction had 1.80- and 1.37-fold lower p-AV and TBA values, respectively (P<0.05),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amphene (39.71%), nerolidol (16.35%), and geraniol (14.00%) were detected as major volatile components in the butanol fraction of fenugreek se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utanol fraction of fenugreek seed ha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could be used as promising bioactiv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Keywords: antioxidant, butanol fraction, fenugreek seed, oxidative stability, volatile compound
향신료는 식물의 열매, 종자, 꽃, 뿌리 등을 이용해 음식의 맛이나 향을 돋구는 데 이용하거나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항산화 작용, 항염증 등의 효능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Tapsell 등, 2006). 또한 향신료에는 갈산과 바닐산-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 제작
훼누그릭 종자는 인도산을 이용하였다. 훼누그릭 종자는 분쇄기(SHMF-3500SS, Hanil Electric, Wonju, Korea)를 사용하여 곱게 분쇄한 뒤, 80% 에탄올(1:15, w/v)을 이용하여 교반기(RS-1, Jeio Tech., Daejeon, Korea)로 6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였다. 이후에는 여과지(Whatman No.2, Whatman, Buckinghamshire, England)를 이용해 여과하고, 40°C water bath에서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BŰCHI, Zollikofen, Switzerland)를 사용해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BJD85-F8, IlShin Biobase, Seoul, Korea)를 사용해 동결건조한 뒤에 곱게 분쇄하였다. 이를 가지고 핵세인(Daejung, Siheung, Korea), 에틸아세테이트(Daejung), 부탄올(Daejung), 증류수의 순서대로 분획을 진행하였고, 각 분획물을 감압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은 Park 등(2022)의 방법을 참고하여 이용하였다. 메탄올(Daejung)을 용매로 0.1 mM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DPPH 용액 0.75 mL를 각 농도로 희석한 추출 시료 용액 0.25 mL에 넣어 3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그 뒤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에서 DPPH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의 경우 ascorbic acid(Sigma Aldrich Co.)를 이용하여 시료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은 Yuan 등(2005)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7 mM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Sigma Aldrich Co.)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Sigma Aldrich Co.)를 증류수를 용매로 제조하여 1:1(v/v)로 혼합한 후에 12시간 이상 방치하여 라디칼을 형성하였다. 그 후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이용하여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이 0.700±0.05가 되도록 에탄올(Daejung)을 이용해 희석하였다. 이 용액을 0.95 mL와 증류수로 희석한 각 농도의 시료 0.05 mL를 넣고 암실에서 6분 동안 반응시켰다. 표준물질의 경우 ascorbic acid(Sigma Aldrich Co.)를 이용하여 시료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FRAP 환원력
FRAP 환원력은 Benzie와 Strain(1996)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Acetic acid(Daejung)를 이용하여 pH 3.6에 맞추어 300 mM sodium acetate(Sigma Aldrich Co.)를 제조하였다. 40 mM HCl(Daejung)을 이용하여 10 mM 2,4,6-tripyridyl-S-triazine(Sigma Aldrich Co.)을 용해시켰다. 20 mM FeCl3(Sigma Aldrich Co.)는 증류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고, 앞서 용해시킨 용액들은 각각 10:1:1(v/v/v) 비율로 섞어 37°C에서 15분 동안 평형시켜서 FRAP reagent를 제조하였다. FRAP reagent 0.9 mL와 증류수를 이용해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용액 0.03 mL를 넣은 후 30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이용하여 59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Sigma Aldrich Co.)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농도별로 증류수에 녹여 표준곡선을 작성해 계산하였다.
총 페놀 함량 측정
총 페놀 함량 측정은 Stoilova 등(2007)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Folin-Ciocalteu(Sigma Aldrich Co.)와 증류수를 1:1(v/v)로 섞어서 각 시료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증류수에 각각의 농도로 희석한 시료 0.05 mL를 넣어 혼합하고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포화한 sodium carbonate(Sigma Aldrich Co.)를 0.1 mL 넣어 섞은 후에 30분 동안 정치하였다. 이후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사용하여 59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tannic acid(Sigma Aldrich Co.)를 증류수를 이용해 농도별로 희석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계산하였다.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법
100 nM fluorescein sodium salt(Sigma Aldrich Co.)를 75 mM 인산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후 37°C 항온수조에서 평형시켜 이용하였다. 동일한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300 mM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AAPH)(FUJIFILM Wako Chemicals, Richmond, VA, USA)를 제조하였다. 같은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로 희석한 시료 50 μL와 fluorescein sodium salt 150 μL, AAPH는 50 μL를 넣어 온도를 37°C로 유지하고 fluorescenece micro plate reader(GeminiXPS, Moleculardevice,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excitation 493 nm, emission 515 nm 파장에서 40분간 매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Trolox(Sigma Aldrich Co.)를 시료와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각각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다양한 용매 분획물 첨가 유지 제조
각각의 분획물을 dimethyl sulfoxide(Daejung)에 혼합하여 옥수수기름(Ottogi, Anyang, Korea)에 0.1%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dimethyl sulfoxide를 동일한 양으로 첨가한 옥수수기름을 이용하였다. 그 후에 시료들을 dry oven(GISICO, Seoul, Korea)에서 0, 30, 60, 90분 동안 180°C에서 산화시켰고, 잔열로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20°C에 보관하고 사용하였다.
Conjugated dienoic acid(CDA)가
CDA가는 AOCS(2017)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산화된 각각의 시료를 isooctane(Daejung) 15 mL에 4,000 ppm 농도로 분산시킨 후 흡광도 값이 적정범위로 들어오도록 isooctane을 이용해 희석하였다. 그 후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로 233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Thiobarbituric acid(TBA)가
TBA가는 Serdaroğlu와 Felekoğlu(2005)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산화된 시료 1.5 g을 benzene(Daejung) 5 mL에 녹였다. TBA(Sigma Aldrich Co.)는 100 mL의 증류수에 0.67 g을 용해시킨 후 같은 부피의 glacial acetic acid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료에 제조한 TBA 시약을 5 mL 넣어 살살 흔들고 4분간 정치하여 상충액을 제거하였다. 이것을 100°C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가열시킨 후, 흐르는 물에서 냉각시킨 뒤에 UV-VIS spectrophotometer(Mega-U600, Scinco)를 이용해 53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휘발성 물질 분리
휘발성 물질 분리 방법은 Kiralan(2012)의 방법을 참고하여 고체상 미량 추출(SPME)법을 이용하였다. 불꽃 이온화 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가 설치된 GC(Hewlett-Packard 6890, Agilent Technology, Palo Alto, CA, USA)를 이용해 휘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SPME fiber는 65 μm polydimethylsiloxane/divinylbenzene(Supelco, Bellefonte, PA, USA)을 사용하였고, 고정상으로는 HP-5(30 m×0.32 m ID, 0.25 mm film, Agilent Technology) 칼럼을 이용하였다. 기기의 온도 조건은 초기에 50°C에서 2분간 방치한 뒤 120°C로 상승시켰으며, 주입기와 검출기의 온도는 각각 220°C, 300°C로 고정하였다.
휘발성 물질 분석
GC-mass spectrometry(5971A, Agilent Technology)를 사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동정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헬륨가스를 이용하여 0.8 mL/min 속도로 흘려주었다. 추출 조건은 GC-FID와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하였고, MS 분석 조건은 70 ev, 220 ionsource 온도를 이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라이브러리(mass spectrum library)와 머무름시간(retention time)을 사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SPSS(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mean±SD로 나타내었다. One-way ANOVA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통해 P˂0.05 수준에서 사후 검증하였다.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DPPH 라디칼 및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DPPH 라디칼 및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결과는 Fig. 1과 같다.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 모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80% 에탄올, 증류수, 헥세인 순서로 각각 47.6, 25.7, 23.3, 9.3, 2.6%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결과로는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 모두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으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80% 에탄올, 증류수, 헥세인 순으로 각각 43.6, 23.7, 20.6, 17.0, 11.3%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FRAP 환원력과 총 페놀 함량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FRAP 환원력과 총 페놀 함량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FRAP 환원력 결과로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을 비교했을 때,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148.52 μ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가장 높은 FRAP 환원력을 보였으며,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증류수 분획물에 비해 약 2.72, 1.10, 1.04, 7.56배 높게 관찰되었다. 총 페놀 함량 결과도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32.15 μ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Table 1 . FRAP values and TPC of fenugreek seed fractions.
Fenugreek seed fractions | FRAP1) (µ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 | TPC2) (µ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
---|---|---|
80% Ethanol | 54.54±6.58b | 17.62±0.79c |
135.47±57.02a | 10.51±0.31e | |
Ethyl acetate | 142.59±2.18a | 23.29±0.58b |
148.52±6.62a | 32.15±1.22a | |
Water | 19.65±0.41b | 12.25±0.26d |
1)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2)TPC: total phenolic contents..
Samples were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using 80% ethanol extrac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using different letters (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ORAC가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ORAC가의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5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분획물은 약 2.10, 1.61, 2.36, 2.88, 1.74배의 항산화력을 보였다(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의 CDA가,
유지 산화 과정 중 초기에 발생하는 공액 이중결합을 측정하는 CDA가와 이차 산화물 함량을 측정하는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 휘발 성분 분석 비교
GC-MS를 이용하여 훼누그릭 부탄올 분획물의 휘발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은 캄펜(camphene), 네롤리돌(nerolidol), 게라니을(geraniol) 등 성분이 분석되었다. 그중에서도 캄펜의 함량이 39.71%, 네롤리돌이 16.35%, 게라니올이 14.00 %, 리모넨이 8.60%, 게라닐 아세테이트가 6.53%로 많이 검출되었다. Tiwari와 Kakkar(2009)는 게라니올과 캄펜이 t-BHP 유발 산화 스트레스를 받은 쥐의 폐포 대식세포의 지질 과산화를 유의적으로 감속시키고, NO 산화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NO 방출과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Sabir 등(2022)의 연구에서는 네롤리돌은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 모델에서 간의 지질 축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고칼로리 식이에 의해 유발된 질병을 중단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 마커, 섬유증 및 사이토카인은 감소시켰고, 항산화 효소는 유의하게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Hazrati 등(2019)의 연구에서는 앙굴라타(Ferulago angulata)의 줄기, 잎, 꽃, 익은 종자, 안 익은 종자를 수소 증류 방법으로 에센셜오일을 추출하여 GC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분석했을 때, 리모넨 함량이 익은 종자, 안 익은 종자 각각 33.07%, 31.13%로 잎 다음으로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Abbassi 등(2018)의 연구에서는 고수풀의 종자를 효소처리 전과 효소처리 후 에센셜오일을 각각 제조하여 성분을 분석했는데 제조한 에센셜오일에서 리나롤, 캠퍼, 게라닐 아세테이트가 주요 화합물이었으며, 이러한 화합물이 효소 처리 후에 양이 증가하였고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휘발 성분에 의해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과 유지 산화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 . Volatile analysis of fenugreek seed 80% ethanol and butanol fraction by GC-MS.
RT (min)1) | Volatile compounds | Peak area (×105) (%)2) | Biological activities | Reference |
---|---|---|---|---|
13.56 | Limonene | 96.28±4.96(8.60) |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Vieira et al., 2018 |
13.69 | 2-Ethyl hexanol | 50.63±3.29(4.52) | - | - |
18.03 | Linalool | 63.06±1.44(5.63) | Anti-inflammatory activity, anxioly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Aprotosoaie et al., 2014 |
28.01 | Geraniol | 156.75±6.44(14.00) |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Chen and Viljoen, 2010 |
34.07 | Camphene | 444.69±16.36(39.71) | Antibacteri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Hachlafi et al., 2021 |
36.23 | Geranyl acetate | 73.08±2.36(6.53) | Antifung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 Goncalves et al., 2012 |
38.66 | β-Farnesene | 23.14±0.83(2.07) | - | - |
39.2 | (Z,E)-α-Farnesene | 15.34±1.79(1.37) | - | - |
39.36 | α-Farnesene | 13.79±2.55(1.23) | - | - |
39.95 | Nerolidol | 183.10±8.05(16.35) |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Chan et al., 2016 |
Total volatiles | 1,119.89±48.08(100) |
1)RT: retention time..
2)The number in parenthesis was the percentage of each volatile divided by the total volatiles..
Samples were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using 80% ethanol extract..
본 연구는 훼누그릭 종자를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 순서로 분획하여 용매에 따른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고, 각 시료를 첨가한 유지를 180°C로 산화시켰을 때의 유지 산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 결과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에서도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43.6%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FRAP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148.52 μ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의 경우 훼누그릭 종자 부탄올 분획물이 32.15 μ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ORAC의 결과로는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2.88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지의 초기 산화물을 측정한 CDA가의 결과는 90분 산화 조건에서 훼누그릭 종자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훼누그릭 종자 80% 에탄올, 헥세인, 부탄올 분획물이 초기 산화물 생성을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차 산화물을 측정한
본 연구는 2021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NRF-2021R1F1A1060533)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
Table 1 . FRAP values and TPC of fenugreek seed fractions.
Fenugreek seed fractions | FRAP1) (µ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 | TPC2) (µ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
---|---|---|
80% Ethanol | 54.54±6.58b | 17.62±0.79c |
135.47±57.02a | 10.51±0.31e | |
Ethyl acetate | 142.59±2.18a | 23.29±0.58b |
148.52±6.62a | 32.15±1.22a | |
Water | 19.65±0.41b | 12.25±0.26d |
1)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2)TPC: total phenolic contents..
Samples were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using 80% ethanol extrac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using different letters (
Table 2 . Volatile analysis of fenugreek seed 80% ethanol and butanol fraction by GC-MS.
RT (min)1) | Volatile compounds | Peak area (×105) (%)2) | Biological activities | Reference |
---|---|---|---|---|
13.56 | Limonene | 96.28±4.96(8.60) |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Vieira et al., 2018 |
13.69 | 2-Ethyl hexanol | 50.63±3.29(4.52) | - | - |
18.03 | Linalool | 63.06±1.44(5.63) | Anti-inflammatory activity, anxiolytic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Aprotosoaie et al., 2014 |
28.01 | Geraniol | 156.75±6.44(14.00) |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Chen and Viljoen, 2010 |
34.07 | Camphene | 444.69±16.36(39.71) | Antibacteri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Hachlafi et al., 2021 |
36.23 | Geranyl acetate | 73.08±2.36(6.53) | Antifung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 Goncalves et al., 2012 |
38.66 | β-Farnesene | 23.14±0.83(2.07) | - | - |
39.2 | (Z,E)-α-Farnesene | 15.34±1.79(1.37) | - | - |
39.36 | α-Farnesene | 13.79±2.55(1.23) | - | - |
39.95 | Nerolidol | 183.10±8.05(16.35) |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tc. | Chan et al., 2016 |
Total volatiles | 1,119.89±48.08(100) |
1)RT: retention time..
2)The number in parenthesis was the percentage of each volatile divided by the total volatiles..
Samples were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using 80% ethanol extrac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