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1): 1171-1177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1.117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in Gwan Kwon , Yeon Woo Jung, Yun-Hyeok Choi, Ji Eun Lee, Wonsik Jeong, Jung A Lee, Chun Whan Choi, Eun-Kyung Ahn, Yongmun Choi, and Seong Su Hong
Bio-Center, Gyeonggido Business & Science Accelerator (GBSA)
Correspondence to:Seong Su Hong, Bio-Center, Gyeonggido Business & Science Accelerator, 147, Gwanggyo-ro, Yeongtong-gu, Suwon, Gyeonggi 16229, Korea, E-mail: bestgene@gbsa.or.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an analytical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PLC for the standard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Smilax sieboldii extract. We evaluated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for detecting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using HPLC.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the chromatogram obtained using the HPLC analytical method. Also, the results of UV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btained was 0.999, which confirmed that this was a suitable analysis with high linearity. The LOD was 0.98, 0.49 μg/mL, and LOQ was 2.98, 1.48 μg/mL, which was confirmed as a suitable limit level for the analysis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in the S. sieboldii extract. The recovery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98.77±0.73∼99.24±1.47% and 98.45±1.18∼ 99.45±1.66%,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accuracy. The intra-day repeatability and the intra-laboratory precision of the daily repetition were confirmed to be 0.67∼0.87%, 1.18∼1.33% and 0.93∼1.22%, 1.33∼2.27%, respectively, for trans-scirpusin A, for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ported HPLC method is simple, reliable, and reproducible for the detec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in S. sieboldii extract.
Keywords: Smilax sieboldii, resveratrol, trans-scirpusin A, HPLC,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고령화 및 건강지향의 열풍으로 천연물은 식의약품, 한방화장품, 향료 및 색소 등 다양한 용도의 산업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재가 값싼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어 국내 천연물 자원을 활용한 소재 개발 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Park과 Park, 2009).
청가시덩굴(
청가시덩굴에서 분리된 성분으로는 spirostanol glycosides(Woo 등, 1992), steroidal saponins(Kubo 등, 1992)이 있고, 같은 속의 청미래덩굴에서는 flavanoid glycosides(Li 등, 2007), polysaccarides(Zhang 등, 2019), stilbenes, flavonoids(Shao 등, 2007b)가 보고되었으며, 이들 화합물 중 청가시덩굴에 함유된 steroideal saponins은 항염, 항균, 항바이러스 등이 보고된 바 있다(Sparg 등, 2004; Shao 등, 2007a). 특히 함유된 성분 중 resveratrol(Lagouge 등, 2006; Kim 등, 2011; Cho 등, 2012; Brasnyó 등, 2011; Bhatt 등, 2012)과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활용한 이상지질혈증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해 활성 성분인 resveratrol과
재료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한 청가시덩굴 추출물은 2021년 6월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서 채집한 전초를 채취하여 분쇄한 후 70% 에탄올을 이용해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하여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준물질은 resveratrol(Sigma-Aldrich Co., Ltd., St. Louis, MO, USA)과
시료 조제
Resveratrol 표준물질 25 mg과
HPLC 분석
Resveratrol과
Table 1 . HPLC condition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sveratrol and
Items | Conditions | |||
---|---|---|---|---|
Instrument | HPLC 1100 & 1200 series | |||
(Agilent Technolgies) | ||||
Mobile phase | A: Water (0.05% trifluoroacetic acid) | |||
B: Acetonitrile | ||||
Gradient | Time (min) | % A | % B | |
0 | 78 | 22 | ||
25 | 78 | 22 | ||
40 | 72 | 28 | ||
50 | 71 | 29 | ||
51 | 0 | 100 | ||
60 | 0 | 100 | ||
Post time: 10 min | ||||
Column | Kromasil 100-5-C18 (4.6×250 mm, 5 μm) | |||
Column temperature | 25°C | |||
Flow rate | 1.0 mL/min | |||
Injection volume | 10 μL | |||
Detector | 320 nm |
분석법 검증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method validation)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제출자료 작성 가이드(NIFDS, 2021)’를 근거로 하여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정밀도(precision), 정확도(accuracy)를 조사하고 직선성 검증으로 구한 기울기(slope)와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통해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 및 정량한계(limit of quantitation, LOQ)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 중 지표성분인 resveratrol과
특이성:특이성은 불순물, 분해물, 배합성분 등이 혼재된 상태에서 분석대상물질을 선택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물질과의 간섭 없이 표준용액과 시험용액을 HPLC로 분리하여 peak의 선택적 분리 여부 및 peak 간 간섭 정도 등을 확인하였으며, PDA에 의한 UV spectrum을 비교 분석하였다.
직선성:직선성은 분석대상물질의 농도에 대해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농도별로 조제된 표준용액에 대해 HPLC로 3회 반복 측정한 후 검출성분의 peak 면적과 각 조제 농도 간의 검량선을 작성하여 기울기, y-절편(y-intercept) 및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R2)를 통해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정밀도: 정밀도는 균질한 검체를 여러 번 채취하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분산 정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정 농도로 조제한 시험용액에 대해 HPLC로 5회 반복 측정하여 재현성(repeatability)을 확인하였다. 실험실 내 정밀성(intermediate precision)은 일내(intra-day) 및 일간(inter-day) 정밀성으로 3일간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에 대한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로 정밀도를 판단하였다.
정확도: 정확도는 이미 알고 있는 분석값에 근접한 정도를 의미하며, 직선성에 의해 구해진 기지 농도를 산출한 다음 50, 100, 150% 농도에 해당하는 표준용액을 시험용액에 첨가하여 HPLC로 농도별 5회 반복 측정한 후 각 검액에 첨가된 실측값과 이론값에 대한 회수율(recovery %)을 구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검출한계는 시료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 성분(analyte)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 또는 최저농도를 뜻하고 정량한계는 정밀도와 정확도를 담보하는 분석대상 성분의 정량 가능한 최소량 또는 최저농도를 의미한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직선성을 통해 산출된 검량선의 기울기와 y-절편의 표준편차에 근거하는 방법으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σ: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S: 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분석조건의 확립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확인을 위한 지표성분인 resveratrol과
특이성 확인
본 연구에서 기확립된 HPLC 조건으로 표준용액과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시험용액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peak 분리 여부를 확인한 결과, 다른 성분과 명확하게 분리되어 다른 물질과의 간섭 없이 단일 peak로 검출되었고 표준용액의 피크 유지시간(retention time, RT)과 시험용액의 피크 RT가 resveratrol 24.1분대,
직선성 확인
시험방법이 일정 농도 범위에 있는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양(또는 농도)에 대하여 직선적인 측정값에 대한 확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esveratrol과
정밀도 확인
반복성: 반복성은 균질한 검체부터 다수의 시료를 취해 동일 실험자, 장치와 실험조건 등의 시험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시험을 할 때 각 시험 결과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 2.2, 4.4 및 6.6 mg/mL로 3개 농도를 조제하여 동일 HPLC 조건으로 5회 반복 분석하고 RSD는 함량을 고려하여 3%를 기준으로 하였다(AOAC, 2002). RSD는 resveratrol 0.99~1.22%,
Table 2 . Repeatability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Sample concentration (mg/mL) | Resveratrol | |||
---|---|---|---|---|
Mean±SD | RSD2) (%) | Mean±SD | RSD (%) | |
2.2 | 6.91±0.071) | 0.99 | 2.74±0.04 | 1.32 |
4.4 | 6.90±0.08 | 1.2 | 2.71±0.03 | 1.12 |
6.6 | 6.92±0.09 | 1.22 | 2.72±0.03 | 1.13 |
1)Values are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실험실 내 정밀성: 동일 실험실 내에서 각각 서로 다른 실험일, 시험자, 기구 또는 장비 등을 이용하여 분석 실험하여 얻은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일을 변동요인으로 실험실 내 정밀성을 확인하였다. 반복성 확인과 동일한 조건의 시험용액에 대해 일내 및 일간 정밀성으로 구분하여 3일간 반복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 일내 정밀성은 resveratrol 0.67~0.87%,
Table 3 . Intermediate precision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Concentration (mg/mL) | Resveratrol | ||||
---|---|---|---|---|---|
Mean±SD | RSD2) (%) | Mean±SD | RSD (%) | ||
Intra-day | 2.2 | 6.87±0.061) | 0.87 | 2.64±0.04 | 1.33 |
4.4 | 7.01±0.05 | 0.67 | 2.67±0.03 | 1.18 | |
6.6 | 7.00±0.05 | 0.73 | 2.66±0.03 | 1.22 | |
Inter-day | 2.2 | 6.89±0.06 | 0.93 | 2.69±0.06 | 2.27 |
4.4 | 6.96±0.09 | 1.22 | 2.69±0.04 | 1.33 | |
6.6 | 6.96±0.08 | 1.09 | 2.69±0.04 | 1.57 |
1)Values are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회수율을 이용한 정확도 확인
정확도는 측정값이 이미 알고 있는 분석값에 근접한 정도를 뜻하는 것으로 시료에 표준용액을 넣은 후 분석에 의해 회수되는 회수율을 측정한 것이다.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기준농도의 50, 100, 150%에 해당하는 표준용액을 첨가하여 회수율 시험용액을 조제하고 HPLC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5회 반복 분석하고 회수율은 기준농도를 고려하여 90~108%를 기준으로 하였다(AOAC, 2002). 회수율 시험용액에 대한 표준값을 산출하고 동일 전처리 및 HPLC로 분석한 결괏값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계산하였다(Table 4). 각 시험용액에 대한 3개 농도의 resveratrol 회수율은 98.77~99.24%,
Table 4 . Recovery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Analyte | Level | Concentration of the standard sample (μg/mL) | Recovery (%) | |
---|---|---|---|---|
Added | Recovered | Mean±SD | ||
Resveratrol | Low (50%) | 15.12 | 14.93±0.111) | 98.77±0.73 |
Medium (100%) | 30.24 | 29.90±0.25 | 98.89±0.83 | |
High (150%) | 45.36 | 45.02±0.67 | 99.24±1.47 | |
Low (50%) | 5.93 | 5.84±0.07 | 98.45±1.18 | |
Medium (100%) | 11.87 | 11.74±0.11 | 98.93±0.96 | |
High (150%) | 17.8 | 17.70±0.30 | 99.45±1.66 |
1)Values are recovered &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확인
검출한계는 균질화된 검체 중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최소한의 검출 가능한 양을 뜻하며, 정량한계는 적절한 정밀 성과 정확성을 가진 검체 중 정량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분석대상물질의 최소량을 나타낸다. 직선성 확인 표준용액 3그룹을 HPLC로 분석하고, 그 결과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검량선의 기울기와 y-절편을 산출하고 반응의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는 방법(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of y-intercepts and the slope)으로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계산하였다(Table 5). 직선상의 검출한계는 resveratrol 0.98 μg/mL,
Table 5 .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Analyte | Concentration range (μg/mL) | S1) | σ2) | LOD (μg/mL) | LOQ (μg/mL) |
---|---|---|---|---|---|
Resveratrol | 10.08∼100.80 | 71.58398 | 21.36479 | 0.98 | 2.98 |
3.96∼39.56 | 29.88381 | 4.4208 | 0.49 | 1.48 |
1)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2)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한 원료 표준화의 일환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지표성분을 resveratrol과
본 논문은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 산림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2021371C10-2223-BD02)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입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1): 1171-1177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1.117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권진관․정연우․최윤혁․이지은․정원식․이정아․최춘환․안은경․최용문․홍성수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Jin Gwan Kwon , Yeon Woo Jung, Yun-Hyeok Choi, Ji Eun Lee, Wonsik Jeong, Jung A Lee, Chun Whan Choi, Eun-Kyung Ahn, Yongmun Choi, and Seong Su Hong
Bio-Center, Gyeonggido Business & Science Accelerator (GBSA)
Correspondence to:Seong Su Hong, Bio-Center, Gyeonggido Business & Science Accelerator, 147, Gwanggyo-ro, Yeongtong-gu, Suwon, Gyeonggi 16229, Korea, E-mail: bestgene@gbsa.or.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an analytical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PLC for the standard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Smilax sieboldii extract. We evaluated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for detecting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using HPLC.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the chromatogram obtained using the HPLC analytical method. Also, the results of UV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btained was 0.999, which confirmed that this was a suitable analysis with high linearity. The LOD was 0.98, 0.49 μg/mL, and LOQ was 2.98, 1.48 μg/mL, which was confirmed as a suitable limit level for the analysis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in the S. sieboldii extract. The recovery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98.77±0.73∼99.24±1.47% and 98.45±1.18∼ 99.45±1.66%,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accuracy. The intra-day repeatability and the intra-laboratory precision of the daily repetition were confirmed to be 0.67∼0.87%, 1.18∼1.33% and 0.93∼1.22%, 1.33∼2.27%, respectively, for trans-scirpusin A, for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ported HPLC method is simple, reliable, and reproducible for the detec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in S. sieboldii extract.
Keywords: Smilax sieboldii, resveratrol, trans-scirpusin A, HPLC,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고령화 및 건강지향의 열풍으로 천연물은 식의약품, 한방화장품, 향료 및 색소 등 다양한 용도의 산업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재가 값싼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어 국내 천연물 자원을 활용한 소재 개발 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Park과 Park, 2009).
청가시덩굴(
청가시덩굴에서 분리된 성분으로는 spirostanol glycosides(Woo 등, 1992), steroidal saponins(Kubo 등, 1992)이 있고, 같은 속의 청미래덩굴에서는 flavanoid glycosides(Li 등, 2007), polysaccarides(Zhang 등, 2019), stilbenes, flavonoids(Shao 등, 2007b)가 보고되었으며, 이들 화합물 중 청가시덩굴에 함유된 steroideal saponins은 항염, 항균, 항바이러스 등이 보고된 바 있다(Sparg 등, 2004; Shao 등, 2007a). 특히 함유된 성분 중 resveratrol(Lagouge 등, 2006; Kim 등, 2011; Cho 등, 2012; Brasnyó 등, 2011; Bhatt 등, 2012)과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활용한 이상지질혈증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해 활성 성분인 resveratrol과
재료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한 청가시덩굴 추출물은 2021년 6월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서 채집한 전초를 채취하여 분쇄한 후 70% 에탄올을 이용해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하여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준물질은 resveratrol(Sigma-Aldrich Co., Ltd., St. Louis, MO, USA)과
시료 조제
Resveratrol 표준물질 25 mg과
HPLC 분석
Resveratrol과
Table 1 . HPLC condition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sveratrol and
Items | Conditions | |||
---|---|---|---|---|
Instrument | HPLC 1100 & 1200 series | |||
(Agilent Technolgies) | ||||
Mobile phase | A: Water (0.05% trifluoroacetic acid) | |||
B: Acetonitrile | ||||
Gradient | Time (min) | % A | % B | |
0 | 78 | 22 | ||
25 | 78 | 22 | ||
40 | 72 | 28 | ||
50 | 71 | 29 | ||
51 | 0 | 100 | ||
60 | 0 | 100 | ||
Post time: 10 min | ||||
Column | Kromasil 100-5-C18 (4.6×250 mm, 5 μm) | |||
Column temperature | 25°C | |||
Flow rate | 1.0 mL/min | |||
Injection volume | 10 μL | |||
Detector | 320 nm |
분석법 검증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method validation)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제출자료 작성 가이드(NIFDS, 2021)’를 근거로 하여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정밀도(precision), 정확도(accuracy)를 조사하고 직선성 검증으로 구한 기울기(slope)와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통해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 및 정량한계(limit of quantitation, LOQ)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 중 지표성분인 resveratrol과
특이성:특이성은 불순물, 분해물, 배합성분 등이 혼재된 상태에서 분석대상물질을 선택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물질과의 간섭 없이 표준용액과 시험용액을 HPLC로 분리하여 peak의 선택적 분리 여부 및 peak 간 간섭 정도 등을 확인하였으며, PDA에 의한 UV spectrum을 비교 분석하였다.
직선성:직선성은 분석대상물질의 농도에 대해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농도별로 조제된 표준용액에 대해 HPLC로 3회 반복 측정한 후 검출성분의 peak 면적과 각 조제 농도 간의 검량선을 작성하여 기울기, y-절편(y-intercept) 및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R2)를 통해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정밀도: 정밀도는 균질한 검체를 여러 번 채취하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분산 정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정 농도로 조제한 시험용액에 대해 HPLC로 5회 반복 측정하여 재현성(repeatability)을 확인하였다. 실험실 내 정밀성(intermediate precision)은 일내(intra-day) 및 일간(inter-day) 정밀성으로 3일간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에 대한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로 정밀도를 판단하였다.
정확도: 정확도는 이미 알고 있는 분석값에 근접한 정도를 의미하며, 직선성에 의해 구해진 기지 농도를 산출한 다음 50, 100, 150% 농도에 해당하는 표준용액을 시험용액에 첨가하여 HPLC로 농도별 5회 반복 측정한 후 각 검액에 첨가된 실측값과 이론값에 대한 회수율(recovery %)을 구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검출한계는 시료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 성분(analyte)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 또는 최저농도를 뜻하고 정량한계는 정밀도와 정확도를 담보하는 분석대상 성분의 정량 가능한 최소량 또는 최저농도를 의미한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직선성을 통해 산출된 검량선의 기울기와 y-절편의 표준편차에 근거하는 방법으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σ: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S: 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분석조건의 확립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확인을 위한 지표성분인 resveratrol과
특이성 확인
본 연구에서 기확립된 HPLC 조건으로 표준용액과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시험용액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peak 분리 여부를 확인한 결과, 다른 성분과 명확하게 분리되어 다른 물질과의 간섭 없이 단일 peak로 검출되었고 표준용액의 피크 유지시간(retention time, RT)과 시험용액의 피크 RT가 resveratrol 24.1분대,
직선성 확인
시험방법이 일정 농도 범위에 있는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양(또는 농도)에 대하여 직선적인 측정값에 대한 확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esveratrol과
정밀도 확인
반복성: 반복성은 균질한 검체부터 다수의 시료를 취해 동일 실험자, 장치와 실험조건 등의 시험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시험을 할 때 각 시험 결과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 2.2, 4.4 및 6.6 mg/mL로 3개 농도를 조제하여 동일 HPLC 조건으로 5회 반복 분석하고 RSD는 함량을 고려하여 3%를 기준으로 하였다(AOAC, 2002). RSD는 resveratrol 0.99~1.22%,
Table 2 . Repeatability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Sample concentration (mg/mL) | Resveratrol | |||
---|---|---|---|---|
Mean±SD | RSD2) (%) | Mean±SD | RSD (%) | |
2.2 | 6.91±0.071) | 0.99 | 2.74±0.04 | 1.32 |
4.4 | 6.90±0.08 | 1.2 | 2.71±0.03 | 1.12 |
6.6 | 6.92±0.09 | 1.22 | 2.72±0.03 | 1.13 |
1)Values are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실험실 내 정밀성: 동일 실험실 내에서 각각 서로 다른 실험일, 시험자, 기구 또는 장비 등을 이용하여 분석 실험하여 얻은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일을 변동요인으로 실험실 내 정밀성을 확인하였다. 반복성 확인과 동일한 조건의 시험용액에 대해 일내 및 일간 정밀성으로 구분하여 3일간 반복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 일내 정밀성은 resveratrol 0.67~0.87%,
Table 3 . Intermediate precision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Concentration (mg/mL) | Resveratrol | ||||
---|---|---|---|---|---|
Mean±SD | RSD2) (%) | Mean±SD | RSD (%) | ||
Intra-day | 2.2 | 6.87±0.061) | 0.87 | 2.64±0.04 | 1.33 |
4.4 | 7.01±0.05 | 0.67 | 2.67±0.03 | 1.18 | |
6.6 | 7.00±0.05 | 0.73 | 2.66±0.03 | 1.22 | |
Inter-day | 2.2 | 6.89±0.06 | 0.93 | 2.69±0.06 | 2.27 |
4.4 | 6.96±0.09 | 1.22 | 2.69±0.04 | 1.33 | |
6.6 | 6.96±0.08 | 1.09 | 2.69±0.04 | 1.57 |
1)Values are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회수율을 이용한 정확도 확인
정확도는 측정값이 이미 알고 있는 분석값에 근접한 정도를 뜻하는 것으로 시료에 표준용액을 넣은 후 분석에 의해 회수되는 회수율을 측정한 것이다.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기준농도의 50, 100, 150%에 해당하는 표준용액을 첨가하여 회수율 시험용액을 조제하고 HPLC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5회 반복 분석하고 회수율은 기준농도를 고려하여 90~108%를 기준으로 하였다(AOAC, 2002). 회수율 시험용액에 대한 표준값을 산출하고 동일 전처리 및 HPLC로 분석한 결괏값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계산하였다(Table 4). 각 시험용액에 대한 3개 농도의 resveratrol 회수율은 98.77~99.24%,
Table 4 . Recovery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Analyte | Level | Concentration of the standard sample (μg/mL) | Recovery (%) | |
---|---|---|---|---|
Added | Recovered | Mean±SD | ||
Resveratrol | Low (50%) | 15.12 | 14.93±0.111) | 98.77±0.73 |
Medium (100%) | 30.24 | 29.90±0.25 | 98.89±0.83 | |
High (150%) | 45.36 | 45.02±0.67 | 99.24±1.47 | |
Low (50%) | 5.93 | 5.84±0.07 | 98.45±1.18 | |
Medium (100%) | 11.87 | 11.74±0.11 | 98.93±0.96 | |
High (150%) | 17.8 | 17.70±0.30 | 99.45±1.66 |
1)Values are recovered &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확인
검출한계는 균질화된 검체 중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최소한의 검출 가능한 양을 뜻하며, 정량한계는 적절한 정밀 성과 정확성을 가진 검체 중 정량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분석대상물질의 최소량을 나타낸다. 직선성 확인 표준용액 3그룹을 HPLC로 분석하고, 그 결과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검량선의 기울기와 y-절편을 산출하고 반응의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는 방법(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of y-intercepts and the slope)으로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계산하였다(Table 5). 직선상의 검출한계는 resveratrol 0.98 μg/mL,
Table 5 .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Analyte | Concentration range (μg/mL) | S1) | σ2) | LOD (μg/mL) | LOQ (μg/mL) |
---|---|---|---|---|---|
Resveratrol | 10.08∼100.80 | 71.58398 | 21.36479 | 0.98 | 2.98 |
3.96∼39.56 | 29.88381 | 4.4208 | 0.49 | 1.48 |
1)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2)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한 원료 표준화의 일환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지표성분을 resveratrol과
본 논문은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 산림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2021371C10-2223-BD02)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입니다.
Table 1 . HPLC condition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sveratrol and
Items | Conditions | |||
---|---|---|---|---|
Instrument | HPLC 1100 & 1200 series | |||
(Agilent Technolgies) | ||||
Mobile phase | A: Water (0.05% trifluoroacetic acid) | |||
B: Acetonitrile | ||||
Gradient | Time (min) | % A | % B | |
0 | 78 | 22 | ||
25 | 78 | 22 | ||
40 | 72 | 28 | ||
50 | 71 | 29 | ||
51 | 0 | 100 | ||
60 | 0 | 100 | ||
Post time: 10 min | ||||
Column | Kromasil 100-5-C18 (4.6×250 mm, 5 μm) | |||
Column temperature | 25°C | |||
Flow rate | 1.0 mL/min | |||
Injection volume | 10 μL | |||
Detector | 320 nm |
Table 2 . Repeatability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Sample concentration (mg/mL) | Resveratrol | |||
---|---|---|---|---|
Mean±SD | RSD2) (%) | Mean±SD | RSD (%) | |
2.2 | 6.91±0.071) | 0.99 | 2.74±0.04 | 1.32 |
4.4 | 6.90±0.08 | 1.2 | 2.71±0.03 | 1.12 |
6.6 | 6.92±0.09 | 1.22 | 2.72±0.03 | 1.13 |
1)Values are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Table 3 . Intermediate precision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Concentration (mg/mL) | Resveratrol | ||||
---|---|---|---|---|---|
Mean±SD | RSD2) (%) | Mean±SD | RSD (%) | ||
Intra-day | 2.2 | 6.87±0.061) | 0.87 | 2.64±0.04 | 1.33 |
4.4 | 7.01±0.05 | 0.67 | 2.67±0.03 | 1.18 | |
6.6 | 7.00±0.05 | 0.73 | 2.66±0.03 | 1.22 | |
Inter-day | 2.2 | 6.89±0.06 | 0.93 | 2.69±0.06 | 2.27 |
4.4 | 6.96±0.09 | 1.22 | 2.69±0.04 | 1.33 | |
6.6 | 6.96±0.08 | 1.09 | 2.69±0.04 | 1.57 |
1)Values are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2)Relative standard deviation..
Table 4 . Recovery of analytical method for resveratrol and
Analyte | Level | Concentration of the standard sample (μg/mL) | Recovery (%) | |
---|---|---|---|---|
Added | Recovered | Mean±SD | ||
Resveratrol | Low (50%) | 15.12 | 14.93±0.111) | 98.77±0.73 |
Medium (100%) | 30.24 | 29.90±0.25 | 98.89±0.83 | |
High (150%) | 45.36 | 45.02±0.67 | 99.24±1.47 | |
Low (50%) | 5.93 | 5.84±0.07 | 98.45±1.18 | |
Medium (100%) | 11.87 | 11.74±0.11 | 98.93±0.96 | |
High (150%) | 17.8 | 17.70±0.30 | 99.45±1.66 |
1)Values are recovered & mean±SD (standard deviation) in quintuplicate (n=5)..
Table 5 .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Analyte | Concentration range (μg/mL) | S1) | σ2) | LOD (μg/mL) | LOQ (μg/mL) |
---|---|---|---|---|---|
Resveratrol | 10.08∼100.80 | 71.58398 | 21.36479 | 0.98 | 2.98 |
3.96∼39.56 | 29.88381 | 4.4208 | 0.49 | 1.48 |
1)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2)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