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1): 1129-1135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1.112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i-Hyo Jang1 , Min-Ah Kim1, Ha Gyoon Na1, SangGuan You2, Ji-Eun Kim1, and Mi-Ja Kim1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Marin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i-Ja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ealth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ngye-eup, Samcheok, Gangwon 25949, Korea, E-mail: mijakim@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heonggukjang mucoid is typically composed of levan and polygamma glutamate (γ-PG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van and γ-PGA isolated from Cheonggukjang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t 200 μg/mL PL 64 [γ-PGA : levan (6:4)] significantly inhibited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adipocytes by 23.7% compared to untreated adipocytes (P<0.05). PL64 treatment reduced the expressions of fat accumulation-related gene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adipocyte protein 2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1, and cluster of differentiation 36. In addition, PL64 reduced the protein levels of PPARγ, C/EBPα, SREBP-1C, AP2, FAS, and SCD1. These results show PL64 suppresses fat accumulation in vitro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s of adipogenesis-related genes and protein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Cheonggukjang mucoid could be used as a potent anti-obesity functional substance that down-regulates fat accumulation-related genes and proteins.
Keywords: adipogenesis, antiobesity, Cheonggukjang, mucoid
청국장(
청국장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는 항산화 물질, 식이섬유, 이소플라본류, 콩 올리고당, 사포닌 등이 포함되며, 청국장 섭취에 따른 건강상 효능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소개되었다. 예를 들면, 청국장은 혈압상승 억제 효과(Yang 등, 2003), 면역증강(Kwon 등, 2004), 항돌연변이(Hong 등, 1996), 항암 효과(Zheng 등, 2011), 항산화 효과(Hong 등, 1996), 혈전용해능(Kim 등, 2009; Kim과 Lee, 1995) 등의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된장 발효와 달리 청국장 발효에서는 끈끈한 점성을 가진 실처럼 보이는 물질이 생성된다. 1766년 유중림이 저술한 증보산림경제에는 세척한 콩을 증자한 후 볏짚과 함께 따뜻한 방에 사흘간 두면 실이 만들어진다고 청국장 만드는 법을 기술하여 수백 년 전부터 청국장이 한국인의 주요 음식 소재임을 보여준다(Chung, 2018). 선행연구에 따르면 청국장 점질물은 과당 중합체인 레반(levan)과 γ-poly gamma glutamate(γ-PGA)의 혼합체로, 이들의 구성비율은 약 6:4(w/w)로 구성되어 있다(Jang 등, 2007; Lee와 Hahm, 2005; Son과 Lee, 2011).
청국장 점질물은 청국장 중량의 2~6%를 차지하는 주요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섭취 시 건강상 효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Lee 등, 1991; Yang과 Kim, 2013). Lee 등(1991)은 청국장 점질물의 질소화합물과 무기질 함량, 점도, pH에 따른 용해도, fibrinolytic activity 효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Yang과 Kim(2013)은 청국장 점질물을 활용한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점질물의 기능성 평가 연구를 위하여 자체 제조한 청국장에서 청국장 점질물을 회수한 후 레반과 γ-PGA를 각각 분리하였다. 또한, 청국장에서 분리한 레반과 γ-PGA를 청국장에 존재하는 점질물의 비율로 혼합한 후 3T3-L1 전지방 세포주에 처리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청국장 점질물의 항비만 효능을
실험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종균은
청국장 발효 및 청국장 점질물 제조
원료인 콩에 3배의 물을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121°C에서 40분 동안 증자하였다.
레반과 γ-PGA 추출
상층액 160 mL에 0.5 M sodium acetate buffer(pH 7.0) 40 mL를 혼합한 후 flavourzyme(Novozyme Nordisk, Bagsvaerd, Denmark)을 0.2 mL 첨가하여 50°C에서 24시간 효소 반응하여 γ-PGA 분해를 유도하였다. 반응 후 10,000×
청국장 점질물의 분자량 측정
동결건조된 상태의 3종 시료인 CVS, 레반, γ-PGA 시료를 각각 2차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여과막(0.45 μm, Millipore Corporation, Billerica, MA, USA)을 통과시켜 여액을 회수한 다음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HPSEC) 장치에 장착된 컬럼에 주입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BSA를 사용하였다. HPSEC 장치는 UV, 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 refractive index detection system(HPSEC-UV-MALLS-RI) 검출장치가 구비되었다. 이외에도 HPSEC-UV-MALLS-RI system은 pump(model 321, Gilson, Middleton, WI, USA), injector valve with 100 μL sample loop, SEC columns(TSK G5000PW, G2500 PWX1, TosoBiosep, Mongomeryville, PA, USA)로 구성되었다. 이동상으로는 0.15 M NaNO3와 0.02% NaN3를 포함하는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유량은 0.4 mL/min이었다.
3T3-L1 전지방 세포주 배양 및 분화유도
Kim 등(2021)의 방법에 따라 실험에 사용한 마우스 배아에서 유래한 3T3-L1 전지방 세포주는 융합된(confluent) 상태가 되면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5 μg/mL 인슐린, 1 μM dexamethasone, 0.5 mM IBMX가 함유된 분화배지를 처리하여 시료들의 분화를 유도한 후,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기 위해 다시 10% FBS-DMEM에 인슐린이 5 μg/mL 포함된 배지로 2일에 한 번씩 3번 처리하였다.
MTT 방법을 이용한 시료의 세포독성 검사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가 3T3-L1 지방세포에 독성 영향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Sogo 등(2021)의 방법으로 3T3-L1 전지방 세포주를 24시간 동안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배양한 후, 시료들을 각각의 농도별(12.5~1,000 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연속적으로 각각의 well에 5 mg/mL MTT 용액을 well volume의 10%를 주입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각의 well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00 μL를 가하여 10분 동안 균질화한 후 ELISA microplate reader(EON, BioTec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Oil Red O 염색
Kim 등(2021)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화시킨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정량하고자 배지를 제거하고 phosphate-buffered saline(PBS)(SPL life sciences, Pocheon, Korea)으로 세척한 세포에 10% 포르말린(formalin)으로 20분 동안 세포를 고정하였다. 반응시킨 plate의 고정액을 제거하고 PBS(pH 7.0~7.2)로 plate를 세척한 후 Oil Red O 염색 시약을 처리하여 30분 동안 중성지방구를 염색하여 지방분화 정도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후 100%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염색된 Oil Red O 시약을 제거하고, 96-well plate에 100 μL씩 옮겨 ELISA plate reader로 파장을 510 nm로 맞춰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방축적 관련 real time PCR 유전자 분석
지방세포의 전체 RNA는 추출을 위하여 지방세포에 트리졸(TRIzol)(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처리를 실시하였다. Yeon 등(2021)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화 및 샘플처리가 완료된 세포(1×107)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하고 1 mL의 트리졸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Chloroform 200 μL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15분간 방치하여 14,000×
Table 1 . Oligonucleotide sequence of mouse primer
Forward primer | Reverse primer | |
---|---|---|
5′-CCATTCTGGCCCACCAAC-3′ | 5′-AATGCGAGTGGTCTTCCATCA-3′ | |
5′-GCGGGCAAAGCCAAGAA-3′ | 5′-GCGTTCCCGCCGTACC-3′ | |
5′-TGACGGAGACAGGGAGTTCT-3′ | 5′-GAGAAACTGCAAGCAGGAGC-3′ | |
5′-AGCTGGTGGTGGAATGTGTTATGA-3′ | 5′-ATTTCCATCCAGGCCTCTTCCT-3′ | |
5′-TGGGTGTGGAAGTTCGTCAG-3′ | 5′-GTCGTGTCAGTAGCCGAGTC-3′ | |
5′-ATGGGCTGCTTCTGTGACTC-3′ | 5′-GTTCATCCCTGGGGACCTTG-3′ | |
5′-GATTAATGGCACAGACGCAGC-3′ | 5′-CAGATCCGAACACAGCGTAGA-3′ | |
5′-CTAGGCACCAGGGTGTGATG-3′ | 5′-GTCCCAGTTGGTAACAATGCC-3′ |
Western blot 단백질 분석
Seo 등(2018)의 방법을 변형하여 준비된 세포를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한 후 1× RIPA buffer(Thermo Fisher Scientific Inc.) 200 μL를 첨가하여 얼음 위에서 cell lysis 한 후 4°C, 14,000×
TBST로 세척하고 ECL solution(SuperSignal™ West Femto Maximum Sensitivity Substrat,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기질로 반응시킨 후 암실에서 X-ray film(CP-BU, Agfa-Gevaert, Mortsel, Belgium)에 감광시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SPSS(version 26.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청국장 점질물 시료 제조
점질물의 정량을 위하여 청국장에서 점질물을 회수하는 공정을 분석하였다. 청국장 점질물은 70% 에탄올에서 침전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점질물 중에서 레반은 γ-PGA보다 산가수분해에 더 빨리 분해되었고, flavourzyme 처리에 의해 γ-PGA는 점질물에서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특성을 보였다. 선행연구에서 점질물의 레반은 inulinase 또는 invertase 처리 시 분해되었다(Kang 등, 2006). 이러한 분석조건을 γ-PGA 회수 실험에 적용하였다. 청국장에서 회수한 점질물, 점질물에 효소처리로 γ-PGA를 제거한 시료, 점질물을 산가수분해 하여 레반을 제거한 시료 등 3종 시료들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Table 2). 청국장 점질물의 분자량은 8.0×104으로 나타났고 γ-PGA는 4.7×104이었으며 레반의 분자량은 3.0×103이었다. γ-PGA와 레반을 구성하는 글루탐산과 과당의 분자량이 각각 147과 180임을 고려할 때, γ-PGA와 레반의 중합도는 약 319와 169에 해당한다. 이러한 분자량은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유사하였다(Jang 등, 2007).
Table 2 . Molecular weight of γ-PGA/levan, γ-PGA, and levan obtained from the
Samples | Molecular weight (Da) |
---|---|
γ-PGA/levan | 8.04×104±3.37 |
γ-PGA | 3.04×104±6.53 |
Levan | 4.69×104±9.46 |
청국장 점질물의 3T3-L1 전지방 세포주에 세포 독성
Fig.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계산하였을 때, CVS 시료군의 경우 12.5, 25, 50, 100, 1,000 μg/mL 농도에서 각각 100.1, 103.3, 105.3, 107.4, 109.5% 생존율을 보였다. PL64군의 경우 동일한 농도에서 94.9, 103.2, 101.1, 97.9, 96.8%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 사용되는 시료들은 12.5~1,000 μg/mL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CVS와 PL64군의 경우에는 1,000 μg/mL 고농도 처리에서 3T3-L1 세포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 청국장 점질물의 낮은 세포 독성으로 높은 안전성을 갖는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청국장 점질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청국장 유래 점질물 처리에 따른 3T3-L1 전지방 세포주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능을 살펴본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Fig. 2A는 현미경으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한 것으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지방세포군의 경우 분화되면서 세포 모양이 원형으로 변화되며 그 속에 중성지방구가 생성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고, 중성지방구는 Oil Red O 염색법에 의해 붉게 염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CVS와 PL64를 처리한 군은 지방세포군에 비해 현저하게 염색도가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PL64 처리가 더 효과적으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염색을 낮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염색된 지방세포 내 Oil Red O 염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Fig.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지방세포 분화군에 비해 12.5, 25, 50, 100, 200 μg/mL CVS 처리군은 각각 78.0, 89.8, 91.5, 93.5, 95.7%로 지방축적이 나타났고, PL64 처리군은 각각 85.6, 83.2, 86.2, 83.2, 76.3%로 지방축적을 나타내었다. 특히 200 μg/mL 농도 PL64 처리군은 지방세포군에 비해 23.7%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2017)의 연구에서 고지방식이 섭취 비만 동물모델에서 청국장 섭취에 의해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감소와 고지방식이로 인한 지방간 소견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청국장이 면역 시스템과 지방생성 전사 인자들의 발현에 관여함으로써 adipogenesis를 조절함과 동시에 염증 억 제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청국장에서 유래된 사포닌을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에 처리한 결과 중성지방 축적이 25% 감소하였는데, 이는 에너지 평형과 지방대사과정에 중요한 AMP-activated protein kinase 유전자 활성화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Kim 등, 2014). 또한 다양한
청국장 점질물의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청국장 점질물인 CVS군과 PL64군을 각각 25, 50, 100, 200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지방세포 분화 시 처리하여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유전자 발현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방축적 관련 단백질 중 AP2는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최종 단계에 작용하여 지방축적을 유도하고(Gregoire 등, 1998), CD36는 긴사슬지방산이 지방세포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긴사슬지방산 운반체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brahimi 등, 1996). SREBP-1C는 지방합성과 관련되는 효소인 FAS, ACC의 과발현을 통해 지방축적을 촉진하는 전사인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Shimano 등, 1999).
13주간 고지방식이와 10% 청국장을 섭취한 실험동물의 다양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를 관찰하였는데, 부고환지방조직에서 지방축적과 관련 있는 PPARγ와 SREBP-1C 유전자 발현이 청국장 섭취군에서 37% 감소함을 보고하였다(Kim, 2017).
청국장의 점질물은 일반적으로 레반과 γ-PGA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된 레반과 γ-PGA가 3T3-L1 전지방 세포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청국장 점질물 유래 γ-PGA와 레반을 점질물 구성 비율인 6:4로 혼합한 점질물(PL64)을 200 μg/mL 농도로 처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23.7% 유의적으로 지방축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PL64의 처리는
본 연구는 2017년도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을 받아 수행한 연구 결과입니다(No. NRF-2017R1D1A3B0303431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1): 1129-1135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1.112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장기효1․김민아1․나하균1․유상권2․김지은1․김미자1
1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Ki-Hyo Jang1 , Min-Ah Kim1, Ha Gyoon Na1, SangGuan You2, Ji-Eun Kim1, and Mi-Ja Kim1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Marin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i-Ja Kim,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ealth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ngye-eup, Samcheok, Gangwon 25949, Korea, E-mail: mijakim@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heonggukjang mucoid is typically composed of levan and polygamma glutamate (γ-PG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van and γ-PGA isolated from Cheonggukjang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t 200 μg/mL PL 64 [γ-PGA : levan (6:4)] significantly inhibited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adipocytes by 23.7% compared to untreated adipocytes (P<0.05). PL64 treatment reduced the expressions of fat accumulation-related gene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adipocyte protein 2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1, and cluster of differentiation 36. In addition, PL64 reduced the protein levels of PPARγ, C/EBPα, SREBP-1C, AP2, FAS, and SCD1. These results show PL64 suppresses fat accumulation in vitro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s of adipogenesis-related genes and protein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Cheonggukjang mucoid could be used as a potent anti-obesity functional substance that down-regulates fat accumulation-related genes and proteins.
Keywords: adipogenesis, antiobesity, Cheonggukjang, mucoid
청국장(
청국장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는 항산화 물질, 식이섬유, 이소플라본류, 콩 올리고당, 사포닌 등이 포함되며, 청국장 섭취에 따른 건강상 효능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소개되었다. 예를 들면, 청국장은 혈압상승 억제 효과(Yang 등, 2003), 면역증강(Kwon 등, 2004), 항돌연변이(Hong 등, 1996), 항암 효과(Zheng 등, 2011), 항산화 효과(Hong 등, 1996), 혈전용해능(Kim 등, 2009; Kim과 Lee, 1995) 등의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된장 발효와 달리 청국장 발효에서는 끈끈한 점성을 가진 실처럼 보이는 물질이 생성된다. 1766년 유중림이 저술한 증보산림경제에는 세척한 콩을 증자한 후 볏짚과 함께 따뜻한 방에 사흘간 두면 실이 만들어진다고 청국장 만드는 법을 기술하여 수백 년 전부터 청국장이 한국인의 주요 음식 소재임을 보여준다(Chung, 2018). 선행연구에 따르면 청국장 점질물은 과당 중합체인 레반(levan)과 γ-poly gamma glutamate(γ-PGA)의 혼합체로, 이들의 구성비율은 약 6:4(w/w)로 구성되어 있다(Jang 등, 2007; Lee와 Hahm, 2005; Son과 Lee, 2011).
청국장 점질물은 청국장 중량의 2~6%를 차지하는 주요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섭취 시 건강상 효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Lee 등, 1991; Yang과 Kim, 2013). Lee 등(1991)은 청국장 점질물의 질소화합물과 무기질 함량, 점도, pH에 따른 용해도, fibrinolytic activity 효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Yang과 Kim(2013)은 청국장 점질물을 활용한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점질물의 기능성 평가 연구를 위하여 자체 제조한 청국장에서 청국장 점질물을 회수한 후 레반과 γ-PGA를 각각 분리하였다. 또한, 청국장에서 분리한 레반과 γ-PGA를 청국장에 존재하는 점질물의 비율로 혼합한 후 3T3-L1 전지방 세포주에 처리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청국장 점질물의 항비만 효능을
실험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종균은
청국장 발효 및 청국장 점질물 제조
원료인 콩에 3배의 물을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121°C에서 40분 동안 증자하였다.
레반과 γ-PGA 추출
상층액 160 mL에 0.5 M sodium acetate buffer(pH 7.0) 40 mL를 혼합한 후 flavourzyme(Novozyme Nordisk, Bagsvaerd, Denmark)을 0.2 mL 첨가하여 50°C에서 24시간 효소 반응하여 γ-PGA 분해를 유도하였다. 반응 후 10,000×
청국장 점질물의 분자량 측정
동결건조된 상태의 3종 시료인 CVS, 레반, γ-PGA 시료를 각각 2차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여과막(0.45 μm, Millipore Corporation, Billerica, MA, USA)을 통과시켜 여액을 회수한 다음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HPSEC) 장치에 장착된 컬럼에 주입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BSA를 사용하였다. HPSEC 장치는 UV, 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 refractive index detection system(HPSEC-UV-MALLS-RI) 검출장치가 구비되었다. 이외에도 HPSEC-UV-MALLS-RI system은 pump(model 321, Gilson, Middleton, WI, USA), injector valve with 100 μL sample loop, SEC columns(TSK G5000PW, G2500 PWX1, TosoBiosep, Mongomeryville, PA, USA)로 구성되었다. 이동상으로는 0.15 M NaNO3와 0.02% NaN3를 포함하는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유량은 0.4 mL/min이었다.
3T3-L1 전지방 세포주 배양 및 분화유도
Kim 등(2021)의 방법에 따라 실험에 사용한 마우스 배아에서 유래한 3T3-L1 전지방 세포주는 융합된(confluent) 상태가 되면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5 μg/mL 인슐린, 1 μM dexamethasone, 0.5 mM IBMX가 함유된 분화배지를 처리하여 시료들의 분화를 유도한 후,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기 위해 다시 10% FBS-DMEM에 인슐린이 5 μg/mL 포함된 배지로 2일에 한 번씩 3번 처리하였다.
MTT 방법을 이용한 시료의 세포독성 검사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가 3T3-L1 지방세포에 독성 영향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Sogo 등(2021)의 방법으로 3T3-L1 전지방 세포주를 24시간 동안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배양한 후, 시료들을 각각의 농도별(12.5~1,000 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연속적으로 각각의 well에 5 mg/mL MTT 용액을 well volume의 10%를 주입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각의 well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00 μL를 가하여 10분 동안 균질화한 후 ELISA microplate reader(EON, BioTec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Oil Red O 염색
Kim 등(2021)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화시킨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정량하고자 배지를 제거하고 phosphate-buffered saline(PBS)(SPL life sciences, Pocheon, Korea)으로 세척한 세포에 10% 포르말린(formalin)으로 20분 동안 세포를 고정하였다. 반응시킨 plate의 고정액을 제거하고 PBS(pH 7.0~7.2)로 plate를 세척한 후 Oil Red O 염색 시약을 처리하여 30분 동안 중성지방구를 염색하여 지방분화 정도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후 100%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염색된 Oil Red O 시약을 제거하고, 96-well plate에 100 μL씩 옮겨 ELISA plate reader로 파장을 510 nm로 맞춰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방축적 관련 real time PCR 유전자 분석
지방세포의 전체 RNA는 추출을 위하여 지방세포에 트리졸(TRIzol)(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처리를 실시하였다. Yeon 등(2021)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화 및 샘플처리가 완료된 세포(1×107)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하고 1 mL의 트리졸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Chloroform 200 μL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15분간 방치하여 14,000×
Table 1 . Oligonucleotide sequence of mouse primer.
Forward primer | Reverse primer | |
---|---|---|
5′-CCATTCTGGCCCACCAAC-3′ | 5′-AATGCGAGTGGTCTTCCATCA-3′ | |
5′-GCGGGCAAAGCCAAGAA-3′ | 5′-GCGTTCCCGCCGTACC-3′ | |
5′-TGACGGAGACAGGGAGTTCT-3′ | 5′-GAGAAACTGCAAGCAGGAGC-3′ | |
5′-AGCTGGTGGTGGAATGTGTTATGA-3′ | 5′-ATTTCCATCCAGGCCTCTTCCT-3′ | |
5′-TGGGTGTGGAAGTTCGTCAG-3′ | 5′-GTCGTGTCAGTAGCCGAGTC-3′ | |
5′-ATGGGCTGCTTCTGTGACTC-3′ | 5′-GTTCATCCCTGGGGACCTTG-3′ | |
5′-GATTAATGGCACAGACGCAGC-3′ | 5′-CAGATCCGAACACAGCGTAGA-3′ | |
5′-CTAGGCACCAGGGTGTGATG-3′ | 5′-GTCCCAGTTGGTAACAATGCC-3′ |
Western blot 단백질 분석
Seo 등(2018)의 방법을 변형하여 준비된 세포를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한 후 1× RIPA buffer(Thermo Fisher Scientific Inc.) 200 μL를 첨가하여 얼음 위에서 cell lysis 한 후 4°C, 14,000×
TBST로 세척하고 ECL solution(SuperSignal™ West Femto Maximum Sensitivity Substrat,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기질로 반응시킨 후 암실에서 X-ray film(CP-BU, Agfa-Gevaert, Mortsel, Belgium)에 감광시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SPSS(version 26.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청국장 점질물 시료 제조
점질물의 정량을 위하여 청국장에서 점질물을 회수하는 공정을 분석하였다. 청국장 점질물은 70% 에탄올에서 침전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점질물 중에서 레반은 γ-PGA보다 산가수분해에 더 빨리 분해되었고, flavourzyme 처리에 의해 γ-PGA는 점질물에서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특성을 보였다. 선행연구에서 점질물의 레반은 inulinase 또는 invertase 처리 시 분해되었다(Kang 등, 2006). 이러한 분석조건을 γ-PGA 회수 실험에 적용하였다. 청국장에서 회수한 점질물, 점질물에 효소처리로 γ-PGA를 제거한 시료, 점질물을 산가수분해 하여 레반을 제거한 시료 등 3종 시료들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Table 2). 청국장 점질물의 분자량은 8.0×104으로 나타났고 γ-PGA는 4.7×104이었으며 레반의 분자량은 3.0×103이었다. γ-PGA와 레반을 구성하는 글루탐산과 과당의 분자량이 각각 147과 180임을 고려할 때, γ-PGA와 레반의 중합도는 약 319와 169에 해당한다. 이러한 분자량은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유사하였다(Jang 등, 2007).
Table 2 . Molecular weight of γ-PGA/levan, γ-PGA, and levan obtained from the
Samples | Molecular weight (Da) |
---|---|
γ-PGA/levan | 8.04×104±3.37 |
γ-PGA | 3.04×104±6.53 |
Levan | 4.69×104±9.46 |
청국장 점질물의 3T3-L1 전지방 세포주에 세포 독성
Fig.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계산하였을 때, CVS 시료군의 경우 12.5, 25, 50, 100, 1,000 μg/mL 농도에서 각각 100.1, 103.3, 105.3, 107.4, 109.5% 생존율을 보였다. PL64군의 경우 동일한 농도에서 94.9, 103.2, 101.1, 97.9, 96.8%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 사용되는 시료들은 12.5~1,000 μg/mL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CVS와 PL64군의 경우에는 1,000 μg/mL 고농도 처리에서 3T3-L1 세포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 청국장 점질물의 낮은 세포 독성으로 높은 안전성을 갖는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청국장 점질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청국장 유래 점질물 처리에 따른 3T3-L1 전지방 세포주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능을 살펴본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Fig. 2A는 현미경으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한 것으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지방세포군의 경우 분화되면서 세포 모양이 원형으로 변화되며 그 속에 중성지방구가 생성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고, 중성지방구는 Oil Red O 염색법에 의해 붉게 염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CVS와 PL64를 처리한 군은 지방세포군에 비해 현저하게 염색도가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PL64 처리가 더 효과적으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염색을 낮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염색된 지방세포 내 Oil Red O 염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Fig.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지방세포 분화군에 비해 12.5, 25, 50, 100, 200 μg/mL CVS 처리군은 각각 78.0, 89.8, 91.5, 93.5, 95.7%로 지방축적이 나타났고, PL64 처리군은 각각 85.6, 83.2, 86.2, 83.2, 76.3%로 지방축적을 나타내었다. 특히 200 μg/mL 농도 PL64 처리군은 지방세포군에 비해 23.7%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2017)의 연구에서 고지방식이 섭취 비만 동물모델에서 청국장 섭취에 의해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감소와 고지방식이로 인한 지방간 소견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청국장이 면역 시스템과 지방생성 전사 인자들의 발현에 관여함으로써 adipogenesis를 조절함과 동시에 염증 억 제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청국장에서 유래된 사포닌을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에 처리한 결과 중성지방 축적이 25% 감소하였는데, 이는 에너지 평형과 지방대사과정에 중요한 AMP-activated protein kinase 유전자 활성화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Kim 등, 2014). 또한 다양한
청국장 점질물의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청국장 점질물인 CVS군과 PL64군을 각각 25, 50, 100, 200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지방세포 분화 시 처리하여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유전자 발현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방축적 관련 단백질 중 AP2는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최종 단계에 작용하여 지방축적을 유도하고(Gregoire 등, 1998), CD36는 긴사슬지방산이 지방세포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긴사슬지방산 운반체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brahimi 등, 1996). SREBP-1C는 지방합성과 관련되는 효소인 FAS, ACC의 과발현을 통해 지방축적을 촉진하는 전사인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Shimano 등, 1999).
13주간 고지방식이와 10% 청국장을 섭취한 실험동물의 다양한 비만 관련 바이오마커를 관찰하였는데, 부고환지방조직에서 지방축적과 관련 있는 PPARγ와 SREBP-1C 유전자 발현이 청국장 섭취군에서 37% 감소함을 보고하였다(Kim, 2017).
청국장의 점질물은 일반적으로 레반과 γ-PGA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된 레반과 γ-PGA가 3T3-L1 전지방 세포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청국장 점질물 유래 γ-PGA와 레반을 점질물 구성 비율인 6:4로 혼합한 점질물(PL64)을 200 μg/mL 농도로 처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23.7% 유의적으로 지방축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PL64의 처리는
본 연구는 2017년도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을 받아 수행한 연구 결과입니다(No. NRF-2017R1D1A3B03034313).
Table 1 . Oligonucleotide sequence of mouse primer.
Forward primer | Reverse primer | |
---|---|---|
5′-CCATTCTGGCCCACCAAC-3′ | 5′-AATGCGAGTGGTCTTCCATCA-3′ | |
5′-GCGGGCAAAGCCAAGAA-3′ | 5′-GCGTTCCCGCCGTACC-3′ | |
5′-TGACGGAGACAGGGAGTTCT-3′ | 5′-GAGAAACTGCAAGCAGGAGC-3′ | |
5′-AGCTGGTGGTGGAATGTGTTATGA-3′ | 5′-ATTTCCATCCAGGCCTCTTCCT-3′ | |
5′-TGGGTGTGGAAGTTCGTCAG-3′ | 5′-GTCGTGTCAGTAGCCGAGTC-3′ | |
5′-ATGGGCTGCTTCTGTGACTC-3′ | 5′-GTTCATCCCTGGGGACCTTG-3′ | |
5′-GATTAATGGCACAGACGCAGC-3′ | 5′-CAGATCCGAACACAGCGTAGA-3′ | |
5′-CTAGGCACCAGGGTGTGATG-3′ | 5′-GTCCCAGTTGGTAACAATGCC-3′ |
Table 2 . Molecular weight of γ-PGA/levan, γ-PGA, and levan obtained from the
Samples | Molecular weight (Da) |
---|---|
γ-PGA/levan | 8.04×104±3.37 |
γ-PGA | 3.04×104±6.53 |
Levan | 4.69×104±9.46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