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7): 655-663
Published online July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7.65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u Ri Ham1 , Mi Ja Lee2 , Hae-In Lee3, Hyun-Jin Lee2, Hyun Young Kim2, Woo Duck Seo2, Young-Jin Son4, and Mi-Kyung Lee3
1Mokpo Marine Food-Industry Research Center
2Crop Found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3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and 4Department of Pharmac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i-Kyung Lee,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55 Jungangro, Suncheon, Jeonnam 57922, Korea, E-mail: leemk@scnu.ac.kr
Author information: Hae-In Lee (Professor), Young-Jin Son (Professor), Mi-Kyung Lee (Professo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Heuksoojeongchal was developed as a new black barley variety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We had previously discovered that Heuksoojeongchal bran prethanol extract (HSB) exhibits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anti-diabetic effects of HSB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using high-fat diet (HFD) and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mice. HSB (20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diabetic mice for 6 weeks. HSB significantly reduced fasting blood gluco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sulin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revealed that the insulin expression in the β-cells of the islets of Langerhans in the HSB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HSB increased hepatic glycogen content and glucokinase mRNA expression and decreased gluconeogenic genes (G6Pase and PEPCK). HSB significantly lowered serum and hepatic lipid contents as well as hepatic lipid droplets in diabetic mice, which are attributable to the down-regulated lipogenic gene (PPARγ) and up-regulated lipid oxidation genes (PGC1α, ACSL1, and CPT1α) in the liver. Furthermore, HSB significantly down-regulated hepatic inflammatory genes (NFκB, TNFα, and IL-6) expression in diabetic mice. Thus, HSB improved HFD/STZ-induced diabetes by partly modulating the glucose, lipid, and inflammation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Keywords: Heuksoojeongchal bran, diabetes, blood glucose, hepatosteatosis, inflammation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은 신체의 대사장애와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세계적인 공중 보건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Ramachandran 등, 2013). 현재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당뇨병 환자 수는 4억 6천 300만 명이며 2045년 당뇨병 환자는 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9). 우리나라도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간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0에 따르면 30세 이상 성인 당뇨병 환자는 494만 명으로 성인 7명 중 1명은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며,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약 27.6%로 10명 중 3명이 당뇨병이다(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20).
당뇨병 환자의 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비만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적으로 한다(Zheng 등, 2018; Choi, 2009). 비만으로 인한 체내 유리지방산 증가는 인슐린 신호전달경로를 손상시켜 인슐린 수용체의 민감성을 낮추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은 포도당 흡수 및 대사장애를 유발하여 혈당 상승,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유도한다(Martyn 등, 2008; Kim 등, 2020; Shulman, 2000). 따라서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 탐색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보리(
Ramakrishna 등(2017)은 흑색 보리품종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다른 보리품종에 비해 34% 높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진의 선행연구에서도 여러 품종 맥강 중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이 농도 의존적(2.5, 5, 10 mg/mL)으로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10 mg/mL 농도에서는 90% 이상으로 활성이 높았다(unpublished). 따라서 본 연구는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의 항당뇨 소재 가능성을 밝히기 위하여 고지방식이와 스트렙토조토신(STZ)으로 제2형 당뇨병을 유도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혈당조절 및 관련기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HSB) 제조
흑수정찰맥강 분말 100 g에 헥산 1 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교반 과정을 3번 진행하여 탈지하고 여과(Whatman No.3, Whatman, Maidstone, UK)한 후, prethanol 1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회전진공증발장치(Eyela Co., Ltd., Shanghai, China)를 이용해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HSB의 수율은 3.16%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30±1.83mg gallic acid equivalent/g과 2.94 mg catechin equivalent/g이었다.
실험동물 사육
본 동물실험은 순천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에서 승인되었으며 제시된 사육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SCNUIACUC-2020-05). 4주령 된 C57BL/6N 수컷 마우스(OrientBio, Seongnam, Korea)를 1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Research Diets사의 고지방식이(D12451, 전체열량의 45% 지방, New Brunswick, NJ, USA)를 4주간 급여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 후 50 mg/kg의 STZ(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5일간 연속 복강 주사하였다. 7일 후 혈당이 300 mg/dL인 마우스만을 사용하여 난괴법으로 당뇨 대조군(Con)과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HSB)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배치하여 6주간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 한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HSB(200mg/kg)는 증류수에 녹여 존데를 이용해 매일 일정한 시간에 경구투여 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량의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동물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2±2°C), 항습(50±5%), 12시간 간격(08:00~20: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고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
6주 사육 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다음 에테르(Daejung, Siheung, Korea)로 흡입 마취시켜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900×
혈당, 내당능 검사 및 혈청의 인슐린과 아디포넥틴 함량 분석
주별 혈당은 매주 6시간 절식 후 꼬리 채혈하여 혈당측정기(GlucoDr supersensor, Allmedicus, Anyang, Korea)로 측정하였다. 내당능 검사는 6주째 절식(6시간) 후 체중 kg당 포도당 용액을 1 g씩 경구투여한 다음 0, 30, 60, 120분에 혈당을 측정하였다.
혈청의 인슐린 농도와 아디포넥틴은 각각 마우스 인슐린(Miobs, Tokyo, Japan)과 아디포넥틴(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ELISA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과 간조직의 지질 함량 측정
혈청 중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측정용 kit(Asan Pharmaceutical Co., Ltd., Seoul,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유리지방산 함량은 측정용 kit(Shinyang Diagnostics, Seoul, Korea)으로 측정하였다. 간조직의 지질 함량은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클로로포름 : 메탄올(2:1, v/v) 혼합액으로 지질을 추출한 후 혈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췌장과 간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췌장조직과 간조직은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24시간 고정한 다음 수세하고 60% 에탄올에서부터 상승농도로 탈수하고 파라핀에 포매하여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hematoxylin-eosin(H&E) 염색한 다음 광학현미경에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또한 췌장에서 인슐린의 발현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직 절편을 제작하여 avidin-biotin complex(ABC) 방법으로 β-세포에 대하여 인슐린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였다.
간조직의 글리코겐 함량 측정
글리코겐 함량은 수정된 Seifter 등(195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간조직 1 g에 30% KOH 용액을 첨가하여 균질화한 용액을 100°C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에탄올로 침전시키고 증류수에 녹였다. 여기에 anthrone 시약을 가하여 100°C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포도당 표준액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간조직 중의 RNA 분리 및 real-time PCR 분석
Total RNA는 TRIzol 시약(Invitrogen, Carlsbad, CA, USA)으로 추출하여 정제하였으며, 추출된 RNA는 Nano Drop 2000(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정량하였다. 이후 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Toyobo Co., Ltd., Osaka, Japan)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mRNA 발현은 SYBR green PCR kit(Qiagen, Hilden, Germany)과 CFX96 TouchTM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Bio-Rad Laboratories, Inc.,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real-time 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유전자들과 primer sequence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Threshold cycle(Ct) 값은 형광커브와 역치선이 만나는 cycle 값으로 CFX3.1(Bio-Rad Laboratories)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유전자 발현은 동일한 시료의 Gapdh 발현을 측정하여 보정하였으며, 2-ΔΔCt 방법(Livak와 Schmittgen, 2001)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Table 1 . Primer sequences for real-time PCR
Gene | Full name | Forward/Reverse (5′-3′) |
---|---|---|
Glucose metabolism related gene | ||
Gk | Glucokinase | GTCTTCACGCTCCACTGTCC/GGTGTAAAACGCAGCTCAGTAAC |
G6pase | Glucose-6-phosphatase | ACTGTGGGCATCAATCTCCT/TGTTGCTGTAGTAGTCGGTG |
Pepck |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 ACTGTTGGCTGGCTCTCACT/GGATGGGCACTGTGTCTCTC |
Lipid metabolism related gene | ||
Pparγ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 CTGGCCTCCCTGATGAATAAAG/GGTGGGACTTTCCTGCTAATAC |
Srebf |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 AACCTCATCCGCCACCTG/TGGTAGACAACAGCCGCATC |
Fasn | Fatty acid synthase | TTGGAGCTAAGGCATGGTGG/GCAGTTGTCCTCTGGATGCT |
Pgc1α | Pparγ coactivator 1α | CCCACAACTCCTCCTCATAAAG/CCCAAGGGTAGCTCAGTTTATC |
Acsl1 | Long-chain fatty acid CoA ligase 1 | CGCACCCTTCCAACCAACAC/TCGTCGTAGTAGTACACCAAGAGC |
Cpt1α |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α | ATCTGGATGGCTATGGTCAAGGTC/GTGCTGTCATGCGTTGGAAGTC |
Inflammatory metabolism related gene | ||
Nfκb | Nuclear factor-κB | GAAGTGAGAGAGTGAGCGAGAGAG/CGGGTGGCGAAACCTCCTC |
Tnfα | Tumor necrosis factor α | AAAGACACCATGAGCACAGAAAGC/GCCACAAGCAGGAATGAGAAGAG |
Il6 | Interleukin 6 | AGTCCTTCCTACCCCAATTTCC/TGGTCTTGGTCCTTAGCCAC |
Housekeeping gene | ||
Gapdh |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 AAGGTCATCCCAGAGCTGAA/CTGCTTCACCACCTTCTTGA |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SPSS(version 26.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최소값과 최대값의 25~75 백분위 수를 표시하는 box plot 방식으로 제시하였으며,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위와 아래 수염(whisker)으로 나타내었다. 두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HSB 급여가 공복 혈당, 혈청 인슐린 함량 및 췌장 면역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이 되지 않고 고혈당이 계속되면 당뇨병성 신증, 망막병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공복 혈당은 당뇨병 환자 치료의 중요한 지표이다(Mullarkey 등, 1990; Shin과 Ryu, 2008). 본 연구결과 HSB 급여 4주째부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혈당 감소를 보여 실험 종료 시 14%의 혈당 개선을 보였다(Fig. 1A). Park과 Yoon(2018)은 보리 함량이 99.8%인 보리 숙면을 고지방 식이와 STZ로 유발한 제2형 당뇨 동물 모델에게 급여했을 때 당뇨 대조군에 비해 공복 혈당이 26.9%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Deng 등(2020a)도 통보리를
HSB 급여가 당뇨병 마우스의 간조직내 당대사 변화에 미치는 영향
HSB의 혈당 저하 효과가 간조직의 당대사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간조직의 당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과 글리코겐 함량을 측정하였다.
정상인은 인슐린이 증가하면 당신생이 중지되고 당분해 과정이 진행되어 정상혈당을 유지하나,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인슐린 민감성이 저하되어 당신생 대사가 계속되고 이로 인해 고혈당 증상을 보인다(Schenk 등, 2008). 간조직의 당분해에 관여하는 Gk(glucokinase)유전자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당신생 유전자인 G6pase(glucose 6-phosphatase)와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발현은 유의적으로 낮았다(Fig. 2A). Gk는 포도당 이용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로 해당과정을 촉진하거나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의 저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Tahrani 등, 2011). 본 연구에서도 간조직의 글리코겐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HSB군에서 1.3배 증가하였다(Fig. 2B). 당뇨병의 경우 Gk가 감소하여 당대사 이용률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Gk의 활성을 높여 당을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글리코겐으로 저장하여 혈당을 감소시키는 당뇨병의 치료전략으로 사용되기도 한다(Kim 등, 2000). 이와 같이 HSB는 당뇨병 마우스 간조직의 Gk 유전자 발현을 높여 당의 분해 활성을 높이고 글리코겐으로 저장을 높임으로써 혈당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당대사 관련 유전자 중 G6pase와 Pepck는 간조직에서 당신생 과정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이다(Barthel과 Schmoll, 2003). G6pase는 당신생 과정과 글리코겐 분해의 마지막 반응을 촉매하는 기능을 가지며, Pepck는 oxaloacetate가 phosphoenolpyruvate로 전환되는 반응을 촉진시켜 당신생을 유도한다(Jung, 2019). 본 연구에서도 HSB는 대조군에 비해 G6pase와 Pepck 유전자 발현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Deng 등(2020a, 2020b)은 IR-HepG2 모델과
아디포넥틴은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 중 하나로 당신생 관련 물질들을 낮추어 혈당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Byeon, 2010; Yamauchi 등, 2002). 또한 선행 임상연구들에서 아디포넥틴 수치가 높은 사람들에서 당뇨병 발병률이 낮다고 보고한 바 있어 아디포넥틴은 당뇨병 조절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Spranger 등, 2003; Snehalatha 등,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혈청 아디포넥틴 함량을 측정한 결과, HSB는 대조군에 비해 아디포넥틴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Fig. 2C). 이는 zucker diabetic fatty 쥐에 보리 가루를 첨가하였을 때 혈중 아디포넥틴이 높아졌다는 Brockman 등(2013)의 보고와 일치한다. 또한 Mohamed와 Padmanadhan(2019)은 비만 쥐에서 아디포넥틴을 높이는 보리의 주성분은 β-glucan이라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HSB는 당의 글리코겐으로의 저장과 분해대사를 활성화하는 반면, 당신생 과정을 억제하여 혈당 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HSB는 약 11.3 mg gallic acid equivalent/g의 총 페놀성 화합물과 2.94 mg catechin equivalent/g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함유하고 있어 향후 당대사를 조절하는 보리의 주요 유효성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HSB 급여가 당뇨병 마우스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간으로 유리지방산의 유입이 증가하며, 유리지방산은 중성지질로 에스테르화되어 지질축적이 이루어진다(Seo 등, 2018). 따라서 당뇨병에서 지질대사 조절의 정상화는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Nam 등, 2014). 본 연구에서 혈중 유리지방산과 중성지질은 HSB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두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Fig. 3A). 나아가 HSB는 간조직 내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추었다(Fig. 3C)
혈청과 간조직의 지질 함량 변화는 간에서의 지질합성, 분해, 산화 등 다양한 대사 과정에 의해 조절된다(Jeon 등, 2017). 지질합성(lipogenesis)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는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초기단계에 발현이 증가하여 중성지방을 축적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간조직에서 Pparγ 유전자 발현은 지방간을 유발하는 요인이다(Gervois 등, 2000; Inoue 등, 2005).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은 간에서 Pparγ 유전자 발현을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나 지질 합성 관련 유전자인 Fasn(fatty acid synthase)과 Srebf(sterol-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의 유전자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Fig. 4A). 반면, HSB는 지방산 β-산화 관련 유전자인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 1α), Acsl1(acyl-CoA synthetase long chain family member 1), Cpt1α(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α)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적으로 높였다(Fig. 4B). Acsl1은 Cpt1α와 상호작용하여 β-산화를 위해 지방산 아실-CoA 생성물을 미토콘드리아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인자이며, Pgc1α 역시 지방산 산화를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Lee 등, 2011; Zhang 등, 2018). 이와 같이 HSB는 지질합성 전사인자인 Pparγ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지방산 산화 관련 유전자(Pgc1α, Acsl1, Cpt1α)들의 발현을 높여 간조직 내 지질 함량을 낮추고, 이는 지방구 분포와 크기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Fig. 3B).
HSB 급여가 당뇨병 마우스의 간조직내 염증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적 만성 염증질환으로 당뇨환자의 인슐린 저항성과 고인슐린 혈증은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Shimobayashi 등, 2018). Yun 등(2011)은 제2형 당뇨 환자의 단핵구에서 염증성 인자인 interleukin-6(IL-6)와 tumor necrosis factor-α(TNF-α)가 높았으며 염증 관련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κB(NFκB)의 과발현을 보고하였다. 뿐만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는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Akash 등, 2018). 따라서 염증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는 당뇨 합병증을 억제하고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치료 방안이 될 수 있다(Yun과 Surh, 2014). 따라서 HSB가 간조직의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HSB는 염증대사 관련 유전자(Nfκb, Tnfα, Il6) 발현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Fig. 5). Giriwono 등(2011)은 보리 발효추출물이 간손상 쥐에서 Tnfα, Il6 등의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을 제어한다고 보고하였다. Uskokovic 등(2013)은 보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β-glucan 추출물이 STZ로 유도한 당뇨병 쥐에서 NFκB 신호전달을 제어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함에 따라 향후 NFκB/TNF-α 경로를 억제하는 HSB의 유효 성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HSB가 당뇨병에서 높아지는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3524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7): 655-663
Published online July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7.65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함주리1*․이미자2*․이해인3․이현진2․김현영2․서우덕2․손영진4․이미경3
1(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2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3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4순천대학교 약학과
Ju Ri Ham1* , Mi Ja Lee2* , Hae-In Lee3, Hyun-Jin Lee2, Hyun Young Kim2, Woo Duck Seo2, Young-Jin Son4, and Mi-Kyung Lee3
1Mokpo Marine Food-Industry Research Center
2Crop Found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3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and 4Department of Pharmac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Mi-Kyung Lee,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55 Jungangro, Suncheon, Jeonnam 57922, Korea, E-mail: leemk@scnu.ac.kr
Author information: Hae-In Lee (Professor), Young-Jin Son (Professor), Mi-Kyung Lee (Professo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Heuksoojeongchal was developed as a new black barley variety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We had previously discovered that Heuksoojeongchal bran prethanol extract (HSB) exhibits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anti-diabetic effects of HSB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using high-fat diet (HFD) and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mice. HSB (20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diabetic mice for 6 weeks. HSB significantly reduced fasting blood gluco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sulin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revealed that the insulin expression in the β-cells of the islets of Langerhans in the HSB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HSB increased hepatic glycogen content and glucokinase mRNA expression and decreased gluconeogenic genes (G6Pase and PEPCK). HSB significantly lowered serum and hepatic lipid contents as well as hepatic lipid droplets in diabetic mice, which are attributable to the down-regulated lipogenic gene (PPARγ) and up-regulated lipid oxidation genes (PGC1α, ACSL1, and CPT1α) in the liver. Furthermore, HSB significantly down-regulated hepatic inflammatory genes (NFκB, TNFα, and IL-6) expression in diabetic mice. Thus, HSB improved HFD/STZ-induced diabetes by partly modulating the glucose, lipid, and inflammation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Keywords: Heuksoojeongchal bran, diabetes, blood glucose, hepatosteatosis, inflammation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은 신체의 대사장애와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세계적인 공중 보건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Ramachandran 등, 2013). 현재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당뇨병 환자 수는 4억 6천 300만 명이며 2045년 당뇨병 환자는 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9). 우리나라도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간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0에 따르면 30세 이상 성인 당뇨병 환자는 494만 명으로 성인 7명 중 1명은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며,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약 27.6%로 10명 중 3명이 당뇨병이다(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20).
당뇨병 환자의 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비만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적으로 한다(Zheng 등, 2018; Choi, 2009). 비만으로 인한 체내 유리지방산 증가는 인슐린 신호전달경로를 손상시켜 인슐린 수용체의 민감성을 낮추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은 포도당 흡수 및 대사장애를 유발하여 혈당 상승,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유도한다(Martyn 등, 2008; Kim 등, 2020; Shulman, 2000). 따라서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 탐색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보리(
Ramakrishna 등(2017)은 흑색 보리품종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다른 보리품종에 비해 34% 높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진의 선행연구에서도 여러 품종 맥강 중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이 농도 의존적(2.5, 5, 10 mg/mL)으로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10 mg/mL 농도에서는 90% 이상으로 활성이 높았다(unpublished). 따라서 본 연구는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의 항당뇨 소재 가능성을 밝히기 위하여 고지방식이와 스트렙토조토신(STZ)으로 제2형 당뇨병을 유도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혈당조절 및 관련기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HSB) 제조
흑수정찰맥강 분말 100 g에 헥산 1 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교반 과정을 3번 진행하여 탈지하고 여과(Whatman No.3, Whatman, Maidstone, UK)한 후, prethanol 1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회전진공증발장치(Eyela Co., Ltd., Shanghai, China)를 이용해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HSB의 수율은 3.16%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30±1.83mg gallic acid equivalent/g과 2.94 mg catechin equivalent/g이었다.
실험동물 사육
본 동물실험은 순천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에서 승인되었으며 제시된 사육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SCNUIACUC-2020-05). 4주령 된 C57BL/6N 수컷 마우스(OrientBio, Seongnam, Korea)를 1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Research Diets사의 고지방식이(D12451, 전체열량의 45% 지방, New Brunswick, NJ, USA)를 4주간 급여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 후 50 mg/kg의 STZ(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5일간 연속 복강 주사하였다. 7일 후 혈당이 300 mg/dL인 마우스만을 사용하여 난괴법으로 당뇨 대조군(Con)과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HSB)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배치하여 6주간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 한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HSB(200mg/kg)는 증류수에 녹여 존데를 이용해 매일 일정한 시간에 경구투여 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량의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동물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2±2°C), 항습(50±5%), 12시간 간격(08:00~20: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고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
6주 사육 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다음 에테르(Daejung, Siheung, Korea)로 흡입 마취시켜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900×
혈당, 내당능 검사 및 혈청의 인슐린과 아디포넥틴 함량 분석
주별 혈당은 매주 6시간 절식 후 꼬리 채혈하여 혈당측정기(GlucoDr supersensor, Allmedicus, Anyang, Korea)로 측정하였다. 내당능 검사는 6주째 절식(6시간) 후 체중 kg당 포도당 용액을 1 g씩 경구투여한 다음 0, 30, 60, 120분에 혈당을 측정하였다.
혈청의 인슐린 농도와 아디포넥틴은 각각 마우스 인슐린(Miobs, Tokyo, Japan)과 아디포넥틴(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ELISA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과 간조직의 지질 함량 측정
혈청 중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측정용 kit(Asan Pharmaceutical Co., Ltd., Seoul,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유리지방산 함량은 측정용 kit(Shinyang Diagnostics, Seoul, Korea)으로 측정하였다. 간조직의 지질 함량은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클로로포름 : 메탄올(2:1, v/v) 혼합액으로 지질을 추출한 후 혈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췌장과 간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췌장조직과 간조직은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24시간 고정한 다음 수세하고 60% 에탄올에서부터 상승농도로 탈수하고 파라핀에 포매하여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hematoxylin-eosin(H&E) 염색한 다음 광학현미경에서 2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또한 췌장에서 인슐린의 발현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직 절편을 제작하여 avidin-biotin complex(ABC) 방법으로 β-세포에 대하여 인슐린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였다.
간조직의 글리코겐 함량 측정
글리코겐 함량은 수정된 Seifter 등(195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간조직 1 g에 30% KOH 용액을 첨가하여 균질화한 용액을 100°C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에탄올로 침전시키고 증류수에 녹였다. 여기에 anthrone 시약을 가하여 100°C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포도당 표준액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간조직 중의 RNA 분리 및 real-time PCR 분석
Total RNA는 TRIzol 시약(Invitrogen, Carlsbad, CA, USA)으로 추출하여 정제하였으며, 추출된 RNA는 Nano Drop 2000(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정량하였다. 이후 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Toyobo Co., Ltd., Osaka, Japan)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mRNA 발현은 SYBR green PCR kit(Qiagen, Hilden, Germany)과 CFX96 TouchTM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Bio-Rad Laboratories, Inc.,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real-time 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유전자들과 primer sequence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Threshold cycle(Ct) 값은 형광커브와 역치선이 만나는 cycle 값으로 CFX3.1(Bio-Rad Laboratories)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유전자 발현은 동일한 시료의 Gapdh 발현을 측정하여 보정하였으며, 2-ΔΔCt 방법(Livak와 Schmittgen, 2001)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Table 1 . Primer sequences for real-time PCR.
Gene | Full name | Forward/Reverse (5′-3′) |
---|---|---|
Glucose metabolism related gene | ||
Gk | Glucokinase | GTCTTCACGCTCCACTGTCC/GGTGTAAAACGCAGCTCAGTAAC |
G6pase | Glucose-6-phosphatase | ACTGTGGGCATCAATCTCCT/TGTTGCTGTAGTAGTCGGTG |
Pepck |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 ACTGTTGGCTGGCTCTCACT/GGATGGGCACTGTGTCTCTC |
Lipid metabolism related gene | ||
Pparγ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 CTGGCCTCCCTGATGAATAAAG/GGTGGGACTTTCCTGCTAATAC |
Srebf |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 AACCTCATCCGCCACCTG/TGGTAGACAACAGCCGCATC |
Fasn | Fatty acid synthase | TTGGAGCTAAGGCATGGTGG/GCAGTTGTCCTCTGGATGCT |
Pgc1α | Pparγ coactivator 1α | CCCACAACTCCTCCTCATAAAG/CCCAAGGGTAGCTCAGTTTATC |
Acsl1 | Long-chain fatty acid CoA ligase 1 | CGCACCCTTCCAACCAACAC/TCGTCGTAGTAGTACACCAAGAGC |
Cpt1α |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α | ATCTGGATGGCTATGGTCAAGGTC/GTGCTGTCATGCGTTGGAAGTC |
Inflammatory metabolism related gene | ||
Nfκb | Nuclear factor-κB | GAAGTGAGAGAGTGAGCGAGAGAG/CGGGTGGCGAAACCTCCTC |
Tnfα | Tumor necrosis factor α | AAAGACACCATGAGCACAGAAAGC/GCCACAAGCAGGAATGAGAAGAG |
Il6 | Interleukin 6 | AGTCCTTCCTACCCCAATTTCC/TGGTCTTGGTCCTTAGCCAC |
Housekeeping gene | ||
Gapdh |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 AAGGTCATCCCAGAGCTGAA/CTGCTTCACCACCTTCTTGA |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SPSS(version 26.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최소값과 최대값의 25~75 백분위 수를 표시하는 box plot 방식으로 제시하였으며,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위와 아래 수염(whisker)으로 나타내었다. 두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HSB 급여가 공복 혈당, 혈청 인슐린 함량 및 췌장 면역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이 되지 않고 고혈당이 계속되면 당뇨병성 신증, 망막병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공복 혈당은 당뇨병 환자 치료의 중요한 지표이다(Mullarkey 등, 1990; Shin과 Ryu, 2008). 본 연구결과 HSB 급여 4주째부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혈당 감소를 보여 실험 종료 시 14%의 혈당 개선을 보였다(Fig. 1A). Park과 Yoon(2018)은 보리 함량이 99.8%인 보리 숙면을 고지방 식이와 STZ로 유발한 제2형 당뇨 동물 모델에게 급여했을 때 당뇨 대조군에 비해 공복 혈당이 26.9%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Deng 등(2020a)도 통보리를
HSB 급여가 당뇨병 마우스의 간조직내 당대사 변화에 미치는 영향
HSB의 혈당 저하 효과가 간조직의 당대사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간조직의 당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과 글리코겐 함량을 측정하였다.
정상인은 인슐린이 증가하면 당신생이 중지되고 당분해 과정이 진행되어 정상혈당을 유지하나,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인슐린 민감성이 저하되어 당신생 대사가 계속되고 이로 인해 고혈당 증상을 보인다(Schenk 등, 2008). 간조직의 당분해에 관여하는 Gk(glucokinase)유전자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당신생 유전자인 G6pase(glucose 6-phosphatase)와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발현은 유의적으로 낮았다(Fig. 2A). Gk는 포도당 이용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로 해당과정을 촉진하거나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의 저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Tahrani 등, 2011). 본 연구에서도 간조직의 글리코겐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HSB군에서 1.3배 증가하였다(Fig. 2B). 당뇨병의 경우 Gk가 감소하여 당대사 이용률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Gk의 활성을 높여 당을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글리코겐으로 저장하여 혈당을 감소시키는 당뇨병의 치료전략으로 사용되기도 한다(Kim 등, 2000). 이와 같이 HSB는 당뇨병 마우스 간조직의 Gk 유전자 발현을 높여 당의 분해 활성을 높이고 글리코겐으로 저장을 높임으로써 혈당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당대사 관련 유전자 중 G6pase와 Pepck는 간조직에서 당신생 과정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이다(Barthel과 Schmoll, 2003). G6pase는 당신생 과정과 글리코겐 분해의 마지막 반응을 촉매하는 기능을 가지며, Pepck는 oxaloacetate가 phosphoenolpyruvate로 전환되는 반응을 촉진시켜 당신생을 유도한다(Jung, 2019). 본 연구에서도 HSB는 대조군에 비해 G6pase와 Pepck 유전자 발현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Deng 등(2020a, 2020b)은 IR-HepG2 모델과
아디포넥틴은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 중 하나로 당신생 관련 물질들을 낮추어 혈당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Byeon, 2010; Yamauchi 등, 2002). 또한 선행 임상연구들에서 아디포넥틴 수치가 높은 사람들에서 당뇨병 발병률이 낮다고 보고한 바 있어 아디포넥틴은 당뇨병 조절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Spranger 등, 2003; Snehalatha 등,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혈청 아디포넥틴 함량을 측정한 결과, HSB는 대조군에 비해 아디포넥틴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Fig. 2C). 이는 zucker diabetic fatty 쥐에 보리 가루를 첨가하였을 때 혈중 아디포넥틴이 높아졌다는 Brockman 등(2013)의 보고와 일치한다. 또한 Mohamed와 Padmanadhan(2019)은 비만 쥐에서 아디포넥틴을 높이는 보리의 주성분은 β-glucan이라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HSB는 당의 글리코겐으로의 저장과 분해대사를 활성화하는 반면, 당신생 과정을 억제하여 혈당 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HSB는 약 11.3 mg gallic acid equivalent/g의 총 페놀성 화합물과 2.94 mg catechin equivalent/g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함유하고 있어 향후 당대사를 조절하는 보리의 주요 유효성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HSB 급여가 당뇨병 마우스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간으로 유리지방산의 유입이 증가하며, 유리지방산은 중성지질로 에스테르화되어 지질축적이 이루어진다(Seo 등, 2018). 따라서 당뇨병에서 지질대사 조절의 정상화는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Nam 등, 2014). 본 연구에서 혈중 유리지방산과 중성지질은 HSB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두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Fig. 3A). 나아가 HSB는 간조직 내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추었다(Fig. 3C)
혈청과 간조직의 지질 함량 변화는 간에서의 지질합성, 분해, 산화 등 다양한 대사 과정에 의해 조절된다(Jeon 등, 2017). 지질합성(lipogenesis)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는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초기단계에 발현이 증가하여 중성지방을 축적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간조직에서 Pparγ 유전자 발현은 지방간을 유발하는 요인이다(Gervois 등, 2000; Inoue 등, 2005). 흑수정찰맥강 주정추출물은 간에서 Pparγ 유전자 발현을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나 지질 합성 관련 유전자인 Fasn(fatty acid synthase)과 Srebf(sterol-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의 유전자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Fig. 4A). 반면, HSB는 지방산 β-산화 관련 유전자인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 1α), Acsl1(acyl-CoA synthetase long chain family member 1), Cpt1α(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α)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적으로 높였다(Fig. 4B). Acsl1은 Cpt1α와 상호작용하여 β-산화를 위해 지방산 아실-CoA 생성물을 미토콘드리아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인자이며, Pgc1α 역시 지방산 산화를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Lee 등, 2011; Zhang 등, 2018). 이와 같이 HSB는 지질합성 전사인자인 Pparγ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지방산 산화 관련 유전자(Pgc1α, Acsl1, Cpt1α)들의 발현을 높여 간조직 내 지질 함량을 낮추고, 이는 지방구 분포와 크기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Fig. 3B).
HSB 급여가 당뇨병 마우스의 간조직내 염증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표적 만성 염증질환으로 당뇨환자의 인슐린 저항성과 고인슐린 혈증은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Shimobayashi 등, 2018). Yun 등(2011)은 제2형 당뇨 환자의 단핵구에서 염증성 인자인 interleukin-6(IL-6)와 tumor necrosis factor-α(TNF-α)가 높았으며 염증 관련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κB(NFκB)의 과발현을 보고하였다. 뿐만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는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Akash 등, 2018). 따라서 염증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는 당뇨 합병증을 억제하고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치료 방안이 될 수 있다(Yun과 Surh, 2014). 따라서 HSB가 간조직의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HSB는 염증대사 관련 유전자(Nfκb, Tnfα, Il6) 발현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Fig. 5). Giriwono 등(2011)은 보리 발효추출물이 간손상 쥐에서 Tnfα, Il6 등의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을 제어한다고 보고하였다. Uskokovic 등(2013)은 보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β-glucan 추출물이 STZ로 유도한 당뇨병 쥐에서 NFκB 신호전달을 제어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함에 따라 향후 NFκB/TNF-α 경로를 억제하는 HSB의 유효 성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HSB가 당뇨병에서 높아지는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3524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Table 1 . Primer sequences for real-time PCR.
Gene | Full name | Forward/Reverse (5′-3′) |
---|---|---|
Glucose metabolism related gene | ||
Gk | Glucokinase | GTCTTCACGCTCCACTGTCC/GGTGTAAAACGCAGCTCAGTAAC |
G6pase | Glucose-6-phosphatase | ACTGTGGGCATCAATCTCCT/TGTTGCTGTAGTAGTCGGTG |
Pepck |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 ACTGTTGGCTGGCTCTCACT/GGATGGGCACTGTGTCTCTC |
Lipid metabolism related gene | ||
Pparγ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 CTGGCCTCCCTGATGAATAAAG/GGTGGGACTTTCCTGCTAATAC |
Srebf |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 AACCTCATCCGCCACCTG/TGGTAGACAACAGCCGCATC |
Fasn | Fatty acid synthase | TTGGAGCTAAGGCATGGTGG/GCAGTTGTCCTCTGGATGCT |
Pgc1α | Pparγ coactivator 1α | CCCACAACTCCTCCTCATAAAG/CCCAAGGGTAGCTCAGTTTATC |
Acsl1 | Long-chain fatty acid CoA ligase 1 | CGCACCCTTCCAACCAACAC/TCGTCGTAGTAGTACACCAAGAGC |
Cpt1α |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α | ATCTGGATGGCTATGGTCAAGGTC/GTGCTGTCATGCGTTGGAAGTC |
Inflammatory metabolism related gene | ||
Nfκb | Nuclear factor-κB | GAAGTGAGAGAGTGAGCGAGAGAG/CGGGTGGCGAAACCTCCTC |
Tnfα | Tumor necrosis factor α | AAAGACACCATGAGCACAGAAAGC/GCCACAAGCAGGAATGAGAAGAG |
Il6 | Interleukin 6 | AGTCCTTCCTACCCCAATTTCC/TGGTCTTGGTCCTTAGCCAC |
Housekeeping gene | ||
Gapdh |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 AAGGTCATCCCAGAGCTGAA/CTGCTTCACCACCTTCTTGA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