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5): 522-530
Published online May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5.52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owon Jang1 , Hyun-Il Jun1, HyeonHwa Oh1, Do-Youn Jeong2, and Geun-Seoup Song1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MIFI)
Correspondence to:Geun-Seoup S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si, Jeonbuk 54896, Korea, E-mail: songgs@jbnu.ac.kr
Author information: Sowon Jang (Graduate student), Hyun-Il Jun (Researcher), HyeonHwa Oh (Researcher), Geun-Seoup Song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ed vinegar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ronia vinegar (AV). Of the five acetic acid bacteria provided by the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Acetobacter pasteurianus SRCM 101479 showed highest total acidity, and was selected for the production of AVs. Sugar content, pH, total acidity, acetic acid content,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in AVs were determined to be 17.90∼18.45°Brix, 2.56∼4.02, 0.11∼5.24%, 27.76∼4,188.37 mg%, and 44.38∼59.19 mg%, respectively. Addition of seed vinegar resulted in increased sugar content, total acidity, and acetic acid content of AVs, whereas the pH and TPC were decrease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all AVs produce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alues for 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assa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cup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 whereas the 30% seed vinegar group showed highest orlistat equivalent antiobesity capacity and clear zone diameter values for antimicrobial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Vs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as functional foods for enhancing health.
Keywords: aronia vinegar, total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lipase inhibition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최근 식생활과 생활방식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과 같은 다양한 성인병들의 발병률이 증가하면서 성인병 유발 지연에 도움이 되는 자연 유래 기능성 식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Park 등, 2017). 장미과에 속하는 베리류인 아로니아(
식초는 유기산, 유리당,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일 뿐만 아니라 원료에 따라 음식에 다양한 향미를 제공하기에 오랫동안 사람들이 사용한 조미용 식품 중 하나이다(Kim 등, 2020). 식품공전에 의하면 조미식품 중에서 식초는 빙초산 또는 초산을 먹는 물로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식초와 곡류, 과실류, 주류 등의 주원료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발효식초로 분류되는데, 이들의 총산 함량이 4% 이상(단, 감식초는 2.6% 이상)을 함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MFDS, 2014). 과실식초는 과실 자체적으로 함유한 다양한 유기산과 페놀성 화합물은 물론 초산발효 과정 중에 생성되는 초산이 지방 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을 저해하는 항비만 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Lee 등, 2013; Budak 등, 2014; Lee와 Park, 2017). 과거에는 생산 기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한 희석식초가 많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식초의 고급화 전략으로 인해 참외, 천도복숭아, 꾸지뽕, 보리수 등의 기능성이 알려진 천연 식품소재인 과실을 활용하여 식초를 제조하는 추세이다(Jung 등, 2019; Jung 등, 2018; Lee 등, 2019; Cho 등, 2018). 발효식초는 일반적으로 품질 균일성과 식품 안전성을 위하여 발효 특성이 검증된 종초(seed vinegar)를 첨가하여 발효하여 제조하는데, 아직 아로니아 식초의 경우에는 종초가 첨가된 식초의 품질 특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Lee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식초 제조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아로니아 식초 제조에 적합한 종초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아로니아 식초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료, 균주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균주는 초산균(
균주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 조성 성분인 yeast extract, agar는 BD사(Becton, Dickinson & Co., Franklin Lakes, NJ, USA), glucose는 Sigma-Aldrich Co.(St. Louis, MO, USA), 에탄올은 삼전(Pyeongtaek, Korea)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enebenzothiozoline-6-sulfonic acid(ABTS),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AAPH), fluorescein, neocuproine, cupric chloride, 3-morpholinopropane-1-sulfonic acid(MOPS), porcine pancreatic lipase, ascorbic acid, Trolox, gallic acid, Folin-Ciocalteu reagent,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dihydrate(EDTA) 등은 Sigma-Aldrich Co., nutrient broth (NB), nutrient agar(NA) 등은 BD사에서 구입하였다.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의 표준물질로 사용한 orlistat는 Sigma-Aldrich Co.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의 시약들은 analytical 및 HPLC grade를 사용하였다.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 선정
16°Brix 아로니아 착즙액에 주정을 첨가하여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을 제조하였다. 초산균(
아로니아 식초 제조
선정된 초산균(
아로니아 식초는 종초를 각각 0~30 mL씩 첨가하여 총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조절한 후에 진탕배양(30°C, 120 rpm, 20일) 하여 아로니아 식초 완제품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원심분리(10,000×
이화학적 특성 측정
pH는 pH meter(SevenMulti, Mettler Toledo GmBH, Giessen, Germany)를 사용해 측정하였으며, 수용성 고형분은 당도계(PAL-1, Atago Co., Ltd., Tokyo, Japan)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총산도는 시료 1 mL에 0.1 N NaOH를 첨가하여 pH 8.3에 도달할 때까지 소모된 양을 acetic acid 함량으로 산출하였다. 생균수는 시료 1 mL를 멸균 펩톤수에 십진희석법으로 희석하고 GY agar(1% yeast extract, 5% glucose, 3% ethanol, 2.5% agar)에 도말한 후 배양(30°C, 72시간)하여 나타난 colony 수를 log CFU/mL로 나타내었다. 유기산 및 에탄올 함량은 Kim과 Song(2002)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아로니아 식초를 5배 희석하여 0.22 μm membrane filter(Futecs Co., Ltd., Daejeon, Korea)로 여과하여 HPLC system(Shimadzu Co., Kyoto, Japan)으로 측정하였다. 분리된 유기산 및 에탄올의 각 peak는 동일조건에서 분석한 표준물질의 peak 면적 비율과 retention time을 비교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HPLC system의 분석조건은 Aminex HPX-87H Ion Exclusion column(300×7.8 mm, 9 μm, Bio-Rad Labs., Richmond, CA, USA), 이동상은 0.008 N H2SO4, 유속은 0.6 mL/min, column oven 온도는 35°C, 유기산의 검출기는 UV-VIS detecter(SPD-10A, Shimadzu Co.), 에탄올의 검출기는 RID detecter(RID-10A, Shimadzu Co.) 그리고 검출 파장은 210 nm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측정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total phenolic content, TPC)은 ISO 14502-1(2005)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시료 20 μL와 10%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100 μL를 첨가하여 3분간 반응시킨 후 7.5% Na2CO3 80 μ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액을 암소에서 반응(23°C, 1시간)시킨 후 microplate reader(BioTek synergy HTX,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당 mg%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DPPH radical assay는 Magalhaes 등(2006)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시료 50 μL와 150 μM DPPH 라디칼 용액 200 μL를 첨가한 다음 암실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으로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assay는 Grandois 등(2017)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시료 10 μL와 50 μM ABTS 라디칼 용액 200 μL를 첨가한 다음 암실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EAC)으로 나타내었다.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는 Huang 등(2002)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시 사용한 표준액 제조와 농도별 희석액은 75 mM phosphate buffer(pH 7.0)를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0.08 μM fluorescein 용액 150 μL와 시료 25 μL를 혼합한 후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153 mM AAPH 용액 25 μL를 첨가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실험에 설정한 microplate reader 조건은 excitation 파장 485 nm와 emission 파장 538 nm에서 2분 간격으로 60분 동안 측정하였다. ORAC 값은 Net AUC로 나타내었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EAC)으로 나타내었다.
Cup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CUPRAC)는 Ribeiro 등(2011)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10 mM cupric chloride 용액과 7.5 mM neocuproine 및 1 M ammonium acetate buffer(pH 7.0)를 각각 50 μL씩 첨가하고 37°C에서 15분간 예열하였다. 반응액에 시료 100 μL를 첨가하고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EAC)으로 나타내었다.
항비만 활성 측정
Lipase inhibition activity는 Dechakhamphu와 Wongchum(2015)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Pancreatic lipase(100 unit/mL)는 1 mM EDTA가 포함된 0.01 M MOPS buffer(pH 6.8)에 1 mg/mL 농도로 용해하여 효소액으로 사용하였고 기질용액은
항균 활성 측정
항균 활성은 Sohn 등(200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계대배양 된 각 식중독 유발 세균 1 백금이를 NB 1 mL에 접종하여 진탕배양(37°C, 200 rpm, 10시간) 한 후 멸균된 면봉을 사용하여 NA에 도말하였다. 각 균이 도말된 NA의 표면에 6 mm paper disc(ADVANTEC, Tokyo, Japan)를 올려놓고 그 위에 시료를 20 μL 점적하여 정치배양(37°C, 18시간) 한 후 paper disc 주위로 형성된 clear zone(mm)을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각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얻은 결과를 SPSS package program(Ver. 12.0K,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시료 간의 유의성은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 선정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에 MIFI에서 분양받은
아로니아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선정된 초산균주(
Table 1 . Comparison of soluble solid, pH, total acidity, and viable count in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Soluble solid (°Brix) | Control | 17.80±0.00aAB1)2) | 17.75±0.07aA | 17.90±0.00aB |
10% seed vinegar | 17.80±0.00aA | 17.85±0.07aA | 18.45±0.21bB | |
20% seed vinegar | 17.80±0.00aA | 17.75±0.07aA | 18.45±0.07bB | |
30% seed vinegar | 17.80±0.00aA | 17.75±0.07aA | 18.45±0.07bB | |
pH | Control | 4.03±0.01dA | 4.00±0.00cA | 4.02±0.01cA |
10% seed vinegar | 3.54±0.00cC | 2.67±0.01bA | 2.64±0.05bA | |
20% seed vinegar | 3.33±0.00bD | 2.60±0.01aB | 2.56±0.01abA | |
30% seed vinegar | 3.21±0.00aC | 2.59±0.03aA | 2.57±0.00aA | |
Total acidity (%) | Control | 0.14±0.02aA | 0.15±0.00aA | 0.11±0.02aA |
10% seed vinegar | 0.44±0.02bA | 4.40±0.11bC | 4.44±0.17bC | |
20% seed vinegar | 0.74±0.02cA | 5.17±0.17cC | 5.21±0.15cC | |
30% seed vinegar | 1.11±0.04dA | 5.15±0.06cC | 5.24±0.06cC | |
Viable count (log CFU/mL) | Control | ND4) | ND | ND |
10% seed vinegar | 5.05±0.09aB | 4.85±0.21aB | ND | |
20% seed vinegar | 5.41±0.05bB | 5.19±0.30aB | ND | |
30% seed vinegar | 5.63±0.09cB | 5.45±0.63aB | ND |
1)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3)ND means not detected.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유기산 및 에탄올 함량에 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아로니아 식초의 유기산은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 3종이 검출되었다. 특히 acetic acid는 총 유기산(612.77~5,736.03 mg%)의 4.29~91.2%를 차지하여 주요 유기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종초 첨가량에 따라 1.11~1.66배 증가하였다. 이는 풋귤 식초, 보리수 열매 식초, 천도복숭아 식초 등의 acetic acid가 초산발효에 따라 증가하였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Park 등, 2020; Cho 등, 2017; Jung 등, 2018). 초산균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에탄올은 초기에 3,972.12~5,033.32 mg%로 종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control과 10% 종초 첨가구를 제외한 20%와 30% 종초 첨가구는 발효 10일에서 에탄올이 모두 소비되었다. 초산발효는 에탄올이 호기적 상태에서 초산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기질인 에탄올이 모두 소비되면 초산발효가 중지된다(Kang 등, 2011). Acet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등의 유기산들은 TCA 회로를 통해 조직 내에서 에너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생체의 균형 유지에 도움(Bang 등, 2020)이 되며, 특히 acetic acid는 식초의 관능성 및 품질의 중요한 지표 성분 중 하나이다(Moon 등, 1997; Jeong과 Lee, 2000).
Table 2 . Comparison of organic acid and ethanol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Fermentation time (day) | Control | 10% seed vinegar | 20% seed vinegar | 30% seed vinegar | |
---|---|---|---|---|---|---|
Organic acid (mg%) | Malic acid | 0 | 238.14±4.19aA1)2) | 238.32±2.01aA | 236.23±5.68aA | 250.31±4.66aB |
10 | 244.59±0.92aA | 274.87±3.61bB | 261.90±1.71bB | 248.68±10.26aA | ||
20 | 232.56±10.00aA | 250.14±7.40aA | 253.59±12.54bA | 260.73±9.64aA | ||
Succinic acid | 0 | 421.40±8.94cB | 406.31±6.33cA | 410.86±5.99bAB | 414.67±4.74caB | |
10 | 339.62±4.73aB | 379.81±2.85bC | 312.32±1.76aA | 314.08±2.48bA | ||
20 | 385.50±6.03bD | 232.24±0.98aA | 319.50±2.82aC | 242.60±0.70aB | ||
Acetic acid | 0 | 45.68±8.97bA | 386.88±2.41aB | 724.14±5.04aC | 1,049.22±5.21aD | |
10 | 28.56±0.22aA | 4,355.77±3.05cB | 5,157.03±3.88cC | 5,028.57±9.49bD | ||
20 | 27.76±8.12aA | 4,188.37±1.18bB | 4,837.22±4.94bC | 5,232.70±26.35cD | ||
Total | 0 | 705.22±3.61cA | 1,031.51±10.52aB | 1,371.23±10.52aC | 1,714.20±13.67aD | |
10 | 612.77±3.68aA | 5,010.45±5.40cB | 5,731.26±3.17cD | 5,591.32±16.41bC | ||
20 | 645.82±14.04bA | 4,670.75±7.88bB | 5,410.30±17.13bC | 5,736.03±28.77cD | ||
Ethanol (mg%) | 0 | 5,033.32±64.60cD | 4,688.97±77.93cC | 4,226.79±54.27bB | 3,972.12±58.93cA | |
10 | 4,816.86±28.22bD | 1,117.76±0.99bC | ND3) | ND | ||
20 | 4,184.27±4.71aD | 576.98±1.95aC | ND | ND |
1)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ower-case letters (a-c) and upper-case letters (A-D)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3)ND means not detected.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TPC와 항산화 활성에 관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아로니아 식초의 TPC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63.86 mg%에서 58.53 mg%로 1.09배 감소하였는데, 이는 아로니아 착즙액이 함유한 TPC가 종초의 TPC보다 높기 때문이다(data not shown). 한편 30% 종초 첨가구의 TPC는 초기보다 말기에 1.32배 감소하였는데, 이는 초산발효 과정에서 페놀 분해 및 변형으로 폴리페놀 함량이 감소하거나 TPC의 일부가 산화되어 감소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Andlauer 등, 2000; Oh와 Lim, 2017; Oh 등, 2020). 따라서 종초 첨가량과 발효시간은 아로니아 식초의 TPC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 Comparis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Total phenolic content (mg%) | Control | 63.86±0.47cC2)3) | 61.50±0.20cB | 59.19±0.53dA | |
10% seed vinegar | 60.37±0.33bC | 52.30±0.40bB | 49.99±0.33cA | ||
20% seed vinegar | 59.75±0.13bC | 51.59±0.20abB | 47.11±0.40bA | ||
30% seed vinegar | 58.53±0.40aC | 51.03±0.47aB | 44.38±0.40aA | ||
Antioxidant activity (TEAC1)) | DPPH radical assay | Control | 48.29±0.06dC | 45.00±0.11dB | 41.14±0.17dA |
10% seed vinegar | 44.31±0.06cC | 36.38±0.11cB | 33.58±0.17cA | ||
20% seed vinegar | 42.60±0.06bC | 36.10±0.06bB | 32.24±0.11bA | ||
30% seed vinegar | 41.87±0.06aC | 33.53±0.06aB | 30.33±0.06aA | ||
ABTS radical assay | Control | 86.13±0.39cC | 83.95±0.64bB | 79.67±0.51dA | |
10% seed vinegar | 84.04±0.77bC | 73.22±0.39aB | 65.13±0.51cA | ||
20% seed vinegar | 83.22±0.13aC | 73.04±0.39aB | 58.67±0.64bA | ||
30% seed vinegar | 82.85±0.13aC | 73.22±0.39aB | 57.85±0.26aA | ||
ORAC | Control | 254.82±2.90bB | 251.78±5.51cAB | 243.87±1.07dA | |
10% seed vinegar | 252.34±5.68bC | 225.98±0.17bB | 220.58±1.62cA | ||
20% seed vinegar | 248.75±6.41bC | 210.97±3.02aB | 183.28±3.22aA | ||
30% seed vinegar | 235.14±3.41aB | 205.48±8.07aA | 193.02±4.96bA | ||
CUPRAC | Control | 115.22±0.68bA | 118.10±2.04bB | 119.30±0.68dAB | |
10% seed vinegar | 115.22±0.00bC | 92.86±2.04aB | 88.77±0.68cA | ||
20% seed vinegar | 109.57±1.57aC | 90.94±0.34aB | 81.92±0.17bA | ||
30% seed vinegar | 109.21±0.68aC | 90.46±2.38aB | 74.11±0.68aA |
1)TEAC is an abbreviation for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unit is mg of Trolox in 100 mL.
2)Values are mean±SD (n=3).
3)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assay, ORAC, CUPRAC)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41.87~48.29 TEAC, 82.85~86.13 TEAC, 235.14~254.82 TEAC 및 109.21~115.22 TEAC로 감소하였으며, 말기에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TPC의 phenolic hydroxyl group이 산화되어 라디칼 소거 능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Labuza와 Dugan, 1971).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낮을수록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능력이 감소한다는 보고와도 유사하였다(Hong 등, 2012).
항비만 활성 및 항균 활성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항비만 활성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의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항비만 활성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6.80~160.30 OEAC, 말기에는 6.71~820.73 OEAC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보다 종초에 함유된 acetic acid 함량이 높아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비만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항비만 활성의 급격한 증가는 초산발효에 의한 acetic acid 함량의 급격한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근 주스를 당근 식초로 발효한 후에 lipase 저해 활성이 증가한다는 경향과 유사하였는데, 당근 주스 제조 과정 중에 생성된 acetic acid 등과 같은 유기산이 lipase 저해 활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Kim 등, 2018).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통풍 등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기에 심각한 건강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비만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orlistat는 pancreatic lipase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소장에서 식이 중성지방의 소화를 억제하는 약물로 구조적으로 중성지방과 유사하므로 pancreatic lipase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중성지방의 가수분해를 방해하는 물질이다(Jeon 등, 2014). 그러나 양성대조구인 orlistat는 위장장애, 과민증, 지용성비타민 흡수 억제 등의 부작용이 보고됨에 따라 부작용이 적은 비만 치료제가 필요한 시점에서 아로니아 식초는 비만을 지연하거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Kim과 Kim, 2015).
Table 4 . Comparison of antiobe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Lipase inhibition activity (OEAC1)) | Control | 6.80±0.09aA2)3) | 6.86±0.06aA | 6.71±0.16aA | |
10% seed vinegar | 57.36±0.80bA | 585.80±2.07bB | 687.36±6.95bC | ||
20% seed vinegar | 107.69±1.61cA | 720.12±0.61cB | 796.62±3.41cC | ||
30% seed vinegar | 160.30±1.59dA | 731.93±4.15dB | 820.73±1.71dC | ||
Clear zone (mm) | KACC 13064 | Control | ND4) | ND | ND |
10% seed vinegar | 9.02±0.43aA | 18.64±0.49aB | 20.67±0.20cC | ||
20% seed vinegar | 11.09±0.01bA | 18.39±0.18aB | 18.16±0.16aB | ||
30% seed vinegar | 12.76±0.33cA | 18.80±0.26aB | 18.90±0.42bB | ||
KACC 10115 | Control | ND | ND | ND | |
10% seed vinegar | ND | 14.58±0.08aA | 15.32±0.46bA | ||
20% seed vinegar | ND | 14.82±0.71aA | 14.32±0.50aA | ||
30% seed vinegar | 8.03±0.10A | 18.14±0.35bB | 18.53±0.20cB | ||
KACC 1927 | Control | ND | ND | ND | |
10% seed vinegar | ND | 28.67±0.07aB | 26.37±0.54aA | ||
20% seed vinegar | ND | 29.08±0.13aB | 25.70±0.76aA | ||
30% seed vinegar | 13.39±0.45A | 28.63±1.24aB | 31.20±0.94bB |
1)OEAC is an abbreviation for orlistat equivalent anti-obesity capacity and it’s unit is μg of orlistat in 100 mL.
2)Values are mean±SD (n=3).
3)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4)ND means not detected.
아로니아 식초의 clear zone diameter 값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아로니아 식초의 TPC 및 acetic acid와 기능성의 상관성 비교
30% 종초 첨가구로 제조한 아로니아 식초의 acetic acid와 TPC를 아로니아 식초의 기능성(항산화 활성, 항비만 활성 및 항균 활성)의 상관성을
Table 5 . Correlation matrix of primary components analysis using 10 variabl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tiobe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at aronia vinegar with 30% seed vinegar
Component | Correlation matrix1) | ||||||||||
---|---|---|---|---|---|---|---|---|---|---|---|
X1 | X2 | X3 | X4 | X5 | X6 | X7 | X8 | X9 | X10 | ||
X1 | Acetic acid | 1.000 | |||||||||
X2 | TPC | −0.900* | 1.000 | ||||||||
X3 | DPPH radical assay | −0.911* | 0.998** | 1.000 | |||||||
X4 | ABTS radical assay | −0.817* | 0.985** | 0.982** | 1.000 | ||||||
X5 | ORAC | −0.944** | 0.959** | 0.959** | 0.915* | 1.000 | |||||
X6 | CUPRAC | −0.901* | 0.997** | 0.997** | 0.984** | 0.966** | 1.000 | ||||
X7 | Lipase inhibition activity | 0.999** | −0.913* | −0.922** | −0.833* | −0.948** | −0.912* | 1.000 | |||
X8 | 0.996** | −0.883* | −0.896* | −0.800 | −0.943** | −0.891* | 0.994** | 1.000 | |||
X9 | 0.999** | −0.895* | −0.907* | −0.812* | −0.937** | −0.896* | 0.999** | 0.996** | 1.000 | ||
X10 | 0.992** | −0.932** | −0.942** | −0.862* | −0.940** | −0.929** | 0.995** | 0.982** | 0.992** | 1.000 |
1)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
본 연구는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에 초산균주를 활용하여 종초를 제조한 후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산균 5종에 대한 생육 특성을 확인한 결과,
본 논문은 농림축산식품부 지역전략 식품산업 육성사업(과제명: 임산물 기반 동부권 발효식초개발, MIFI 2020-1)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5): 522-530
Published online May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5.52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장소원1․전현일1․오현화1․정도연2․송근섭1
1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2(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Sowon Jang1 , Hyun-Il Jun1, HyeonHwa Oh1, Do-Youn Jeong2, and Geun-Seoup Song1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MIFI)
Correspondence to:Geun-Seoup S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si, Jeonbuk 54896, Korea, E-mail: songgs@jbnu.ac.kr
Author information: Sowon Jang (Graduate student), Hyun-Il Jun (Researcher), HyeonHwa Oh (Researcher), Geun-Seoup Song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ed vinegar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ronia vinegar (AV). Of the five acetic acid bacteria provided by the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Acetobacter pasteurianus SRCM 101479 showed highest total acidity, and was selected for the production of AVs. Sugar content, pH, total acidity, acetic acid content,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in AVs were determined to be 17.90∼18.45°Brix, 2.56∼4.02, 0.11∼5.24%, 27.76∼4,188.37 mg%, and 44.38∼59.19 mg%, respectively. Addition of seed vinegar resulted in increased sugar content, total acidity, and acetic acid content of AVs, whereas the pH and TPC were decrease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all AVs produce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alues for 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assa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cup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 whereas the 30% seed vinegar group showed highest orlistat equivalent antiobesity capacity and clear zone diameter values for antimicrobial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Vs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as functional foods for enhancing health.
Keywords: aronia vinegar, total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lipase inhibition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최근 식생활과 생활방식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과 같은 다양한 성인병들의 발병률이 증가하면서 성인병 유발 지연에 도움이 되는 자연 유래 기능성 식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Park 등, 2017). 장미과에 속하는 베리류인 아로니아(
식초는 유기산, 유리당,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발효식품일 뿐만 아니라 원료에 따라 음식에 다양한 향미를 제공하기에 오랫동안 사람들이 사용한 조미용 식품 중 하나이다(Kim 등, 2020). 식품공전에 의하면 조미식품 중에서 식초는 빙초산 또는 초산을 먹는 물로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식초와 곡류, 과실류, 주류 등의 주원료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발효식초로 분류되는데, 이들의 총산 함량이 4% 이상(단, 감식초는 2.6% 이상)을 함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MFDS, 2014). 과실식초는 과실 자체적으로 함유한 다양한 유기산과 페놀성 화합물은 물론 초산발효 과정 중에 생성되는 초산이 지방 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을 저해하는 항비만 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Lee 등, 2013; Budak 등, 2014; Lee와 Park, 2017). 과거에는 생산 기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한 희석식초가 많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식초의 고급화 전략으로 인해 참외, 천도복숭아, 꾸지뽕, 보리수 등의 기능성이 알려진 천연 식품소재인 과실을 활용하여 식초를 제조하는 추세이다(Jung 등, 2019; Jung 등, 2018; Lee 등, 2019; Cho 등, 2018). 발효식초는 일반적으로 품질 균일성과 식품 안전성을 위하여 발효 특성이 검증된 종초(seed vinegar)를 첨가하여 발효하여 제조하는데, 아직 아로니아 식초의 경우에는 종초가 첨가된 식초의 품질 특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Lee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식초 제조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아로니아 식초 제조에 적합한 종초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아로니아 식초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료, 균주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균주는 초산균(
균주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 조성 성분인 yeast extract, agar는 BD사(Becton, Dickinson & Co., Franklin Lakes, NJ, USA), glucose는 Sigma-Aldrich Co.(St. Louis, MO, USA), 에탄올은 삼전(Pyeongtaek, Korea)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enebenzothiozoline-6-sulfonic acid(ABTS),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AAPH), fluorescein, neocuproine, cupric chloride, 3-morpholinopropane-1-sulfonic acid(MOPS), porcine pancreatic lipase, ascorbic acid, Trolox, gallic acid, Folin-Ciocalteu reagent,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dihydrate(EDTA) 등은 Sigma-Aldrich Co., nutrient broth (NB), nutrient agar(NA) 등은 BD사에서 구입하였다.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의 표준물질로 사용한 orlistat는 Sigma-Aldrich Co.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의 시약들은 analytical 및 HPLC grade를 사용하였다.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 선정
16°Brix 아로니아 착즙액에 주정을 첨가하여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을 제조하였다. 초산균(
아로니아 식초 제조
선정된 초산균(
아로니아 식초는 종초를 각각 0~30 mL씩 첨가하여 총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조절한 후에 진탕배양(30°C, 120 rpm, 20일) 하여 아로니아 식초 완제품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원심분리(10,000×
이화학적 특성 측정
pH는 pH meter(SevenMulti, Mettler Toledo GmBH, Giessen, Germany)를 사용해 측정하였으며, 수용성 고형분은 당도계(PAL-1, Atago Co., Ltd., Tokyo, Japan)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총산도는 시료 1 mL에 0.1 N NaOH를 첨가하여 pH 8.3에 도달할 때까지 소모된 양을 acetic acid 함량으로 산출하였다. 생균수는 시료 1 mL를 멸균 펩톤수에 십진희석법으로 희석하고 GY agar(1% yeast extract, 5% glucose, 3% ethanol, 2.5% agar)에 도말한 후 배양(30°C, 72시간)하여 나타난 colony 수를 log CFU/mL로 나타내었다. 유기산 및 에탄올 함량은 Kim과 Song(2002)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아로니아 식초를 5배 희석하여 0.22 μm membrane filter(Futecs Co., Ltd., Daejeon, Korea)로 여과하여 HPLC system(Shimadzu Co., Kyoto, Japan)으로 측정하였다. 분리된 유기산 및 에탄올의 각 peak는 동일조건에서 분석한 표준물질의 peak 면적 비율과 retention time을 비교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HPLC system의 분석조건은 Aminex HPX-87H Ion Exclusion column(300×7.8 mm, 9 μm, Bio-Rad Labs., Richmond, CA, USA), 이동상은 0.008 N H2SO4, 유속은 0.6 mL/min, column oven 온도는 35°C, 유기산의 검출기는 UV-VIS detecter(SPD-10A, Shimadzu Co.), 에탄올의 검출기는 RID detecter(RID-10A, Shimadzu Co.) 그리고 검출 파장은 210 nm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측정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total phenolic content, TPC)은 ISO 14502-1(2005)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시료 20 μL와 10%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100 μL를 첨가하여 3분간 반응시킨 후 7.5% Na2CO3 80 μ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액을 암소에서 반응(23°C, 1시간)시킨 후 microplate reader(BioTek synergy HTX,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당 mg%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DPPH radical assay는 Magalhaes 등(2006)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시료 50 μL와 150 μM DPPH 라디칼 용액 200 μL를 첨가한 다음 암실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으로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assay는 Grandois 등(2017)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시료 10 μL와 50 μM ABTS 라디칼 용액 200 μL를 첨가한 다음 암실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EAC)으로 나타내었다.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는 Huang 등(2002)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시 사용한 표준액 제조와 농도별 희석액은 75 mM phosphate buffer(pH 7.0)를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0.08 μM fluorescein 용액 150 μL와 시료 25 μL를 혼합한 후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153 mM AAPH 용액 25 μL를 첨가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실험에 설정한 microplate reader 조건은 excitation 파장 485 nm와 emission 파장 538 nm에서 2분 간격으로 60분 동안 측정하였다. ORAC 값은 Net AUC로 나타내었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EAC)으로 나타내었다.
Cup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CUPRAC)는 Ribeiro 등(2011)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10 mM cupric chloride 용액과 7.5 mM neocuproine 및 1 M ammonium acetate buffer(pH 7.0)를 각각 50 μL씩 첨가하고 37°C에서 15분간 예열하였다. 반응액에 시료 100 μL를 첨가하고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rolox를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 100 mL당 mg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 능력(TEAC)으로 나타내었다.
항비만 활성 측정
Lipase inhibition activity는 Dechakhamphu와 Wongchum(2015)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Pancreatic lipase(100 unit/mL)는 1 mM EDTA가 포함된 0.01 M MOPS buffer(pH 6.8)에 1 mg/mL 농도로 용해하여 효소액으로 사용하였고 기질용액은
항균 활성 측정
항균 활성은 Sohn 등(200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계대배양 된 각 식중독 유발 세균 1 백금이를 NB 1 mL에 접종하여 진탕배양(37°C, 200 rpm, 10시간) 한 후 멸균된 면봉을 사용하여 NA에 도말하였다. 각 균이 도말된 NA의 표면에 6 mm paper disc(ADVANTEC, Tokyo, Japan)를 올려놓고 그 위에 시료를 20 μL 점적하여 정치배양(37°C, 18시간) 한 후 paper disc 주위로 형성된 clear zone(mm)을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각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얻은 결과를 SPSS package program(Ver. 12.0K,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시료 간의 유의성은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 선정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에 MIFI에서 분양받은
아로니아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선정된 초산균주(
Table 1 . Comparison of soluble solid, pH, total acidity, and viable count in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Soluble solid (°Brix) | Control | 17.80±0.00aAB1)2) | 17.75±0.07aA | 17.90±0.00aB |
10% seed vinegar | 17.80±0.00aA | 17.85±0.07aA | 18.45±0.21bB | |
20% seed vinegar | 17.80±0.00aA | 17.75±0.07aA | 18.45±0.07bB | |
30% seed vinegar | 17.80±0.00aA | 17.75±0.07aA | 18.45±0.07bB | |
pH | Control | 4.03±0.01dA | 4.00±0.00cA | 4.02±0.01cA |
10% seed vinegar | 3.54±0.00cC | 2.67±0.01bA | 2.64±0.05bA | |
20% seed vinegar | 3.33±0.00bD | 2.60±0.01aB | 2.56±0.01abA | |
30% seed vinegar | 3.21±0.00aC | 2.59±0.03aA | 2.57±0.00aA | |
Total acidity (%) | Control | 0.14±0.02aA | 0.15±0.00aA | 0.11±0.02aA |
10% seed vinegar | 0.44±0.02bA | 4.40±0.11bC | 4.44±0.17bC | |
20% seed vinegar | 0.74±0.02cA | 5.17±0.17cC | 5.21±0.15cC | |
30% seed vinegar | 1.11±0.04dA | 5.15±0.06cC | 5.24±0.06cC | |
Viable count (log CFU/mL) | Control | ND4) | ND | ND |
10% seed vinegar | 5.05±0.09aB | 4.85±0.21aB | ND | |
20% seed vinegar | 5.41±0.05bB | 5.19±0.30aB | ND | |
30% seed vinegar | 5.63±0.09cB | 5.45±0.63aB | ND |
1)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3)ND means not detected..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유기산 및 에탄올 함량에 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아로니아 식초의 유기산은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 3종이 검출되었다. 특히 acetic acid는 총 유기산(612.77~5,736.03 mg%)의 4.29~91.2%를 차지하여 주요 유기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종초 첨가량에 따라 1.11~1.66배 증가하였다. 이는 풋귤 식초, 보리수 열매 식초, 천도복숭아 식초 등의 acetic acid가 초산발효에 따라 증가하였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Park 등, 2020; Cho 등, 2017; Jung 등, 2018). 초산균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에탄올은 초기에 3,972.12~5,033.32 mg%로 종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control과 10% 종초 첨가구를 제외한 20%와 30% 종초 첨가구는 발효 10일에서 에탄올이 모두 소비되었다. 초산발효는 에탄올이 호기적 상태에서 초산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기질인 에탄올이 모두 소비되면 초산발효가 중지된다(Kang 등, 2011). Acet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등의 유기산들은 TCA 회로를 통해 조직 내에서 에너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생체의 균형 유지에 도움(Bang 등, 2020)이 되며, 특히 acetic acid는 식초의 관능성 및 품질의 중요한 지표 성분 중 하나이다(Moon 등, 1997; Jeong과 Lee, 2000).
Table 2 . Comparison of organic acid and ethanol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Fermentation time (day) | Control | 10% seed vinegar | 20% seed vinegar | 30% seed vinegar | |
---|---|---|---|---|---|---|
Organic acid (mg%) | Malic acid | 0 | 238.14±4.19aA1)2) | 238.32±2.01aA | 236.23±5.68aA | 250.31±4.66aB |
10 | 244.59±0.92aA | 274.87±3.61bB | 261.90±1.71bB | 248.68±10.26aA | ||
20 | 232.56±10.00aA | 250.14±7.40aA | 253.59±12.54bA | 260.73±9.64aA | ||
Succinic acid | 0 | 421.40±8.94cB | 406.31±6.33cA | 410.86±5.99bAB | 414.67±4.74caB | |
10 | 339.62±4.73aB | 379.81±2.85bC | 312.32±1.76aA | 314.08±2.48bA | ||
20 | 385.50±6.03bD | 232.24±0.98aA | 319.50±2.82aC | 242.60±0.70aB | ||
Acetic acid | 0 | 45.68±8.97bA | 386.88±2.41aB | 724.14±5.04aC | 1,049.22±5.21aD | |
10 | 28.56±0.22aA | 4,355.77±3.05cB | 5,157.03±3.88cC | 5,028.57±9.49bD | ||
20 | 27.76±8.12aA | 4,188.37±1.18bB | 4,837.22±4.94bC | 5,232.70±26.35cD | ||
Total | 0 | 705.22±3.61cA | 1,031.51±10.52aB | 1,371.23±10.52aC | 1,714.20±13.67aD | |
10 | 612.77±3.68aA | 5,010.45±5.40cB | 5,731.26±3.17cD | 5,591.32±16.41bC | ||
20 | 645.82±14.04bA | 4,670.75±7.88bB | 5,410.30±17.13bC | 5,736.03±28.77cD | ||
Ethanol (mg%) | 0 | 5,033.32±64.60cD | 4,688.97±77.93cC | 4,226.79±54.27bB | 3,972.12±58.93cA | |
10 | 4,816.86±28.22bD | 1,117.76±0.99bC | ND3) | ND | ||
20 | 4,184.27±4.71aD | 576.98±1.95aC | ND | ND |
1)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ower-case letters (a-c) and upper-case letters (A-D)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3)ND means not detected..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TPC와 항산화 활성에 관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아로니아 식초의 TPC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63.86 mg%에서 58.53 mg%로 1.09배 감소하였는데, 이는 아로니아 착즙액이 함유한 TPC가 종초의 TPC보다 높기 때문이다(data not shown). 한편 30% 종초 첨가구의 TPC는 초기보다 말기에 1.32배 감소하였는데, 이는 초산발효 과정에서 페놀 분해 및 변형으로 폴리페놀 함량이 감소하거나 TPC의 일부가 산화되어 감소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Andlauer 등, 2000; Oh와 Lim, 2017; Oh 등, 2020). 따라서 종초 첨가량과 발효시간은 아로니아 식초의 TPC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 Comparis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Total phenolic content (mg%) | Control | 63.86±0.47cC2)3) | 61.50±0.20cB | 59.19±0.53dA | |
10% seed vinegar | 60.37±0.33bC | 52.30±0.40bB | 49.99±0.33cA | ||
20% seed vinegar | 59.75±0.13bC | 51.59±0.20abB | 47.11±0.40bA | ||
30% seed vinegar | 58.53±0.40aC | 51.03±0.47aB | 44.38±0.40aA | ||
Antioxidant activity (TEAC1)) | DPPH radical assay | Control | 48.29±0.06dC | 45.00±0.11dB | 41.14±0.17dA |
10% seed vinegar | 44.31±0.06cC | 36.38±0.11cB | 33.58±0.17cA | ||
20% seed vinegar | 42.60±0.06bC | 36.10±0.06bB | 32.24±0.11bA | ||
30% seed vinegar | 41.87±0.06aC | 33.53±0.06aB | 30.33±0.06aA | ||
ABTS radical assay | Control | 86.13±0.39cC | 83.95±0.64bB | 79.67±0.51dA | |
10% seed vinegar | 84.04±0.77bC | 73.22±0.39aB | 65.13±0.51cA | ||
20% seed vinegar | 83.22±0.13aC | 73.04±0.39aB | 58.67±0.64bA | ||
30% seed vinegar | 82.85±0.13aC | 73.22±0.39aB | 57.85±0.26aA | ||
ORAC | Control | 254.82±2.90bB | 251.78±5.51cAB | 243.87±1.07dA | |
10% seed vinegar | 252.34±5.68bC | 225.98±0.17bB | 220.58±1.62cA | ||
20% seed vinegar | 248.75±6.41bC | 210.97±3.02aB | 183.28±3.22aA | ||
30% seed vinegar | 235.14±3.41aB | 205.48±8.07aA | 193.02±4.96bA | ||
CUPRAC | Control | 115.22±0.68bA | 118.10±2.04bB | 119.30±0.68dAB | |
10% seed vinegar | 115.22±0.00bC | 92.86±2.04aB | 88.77±0.68cA | ||
20% seed vinegar | 109.57±1.57aC | 90.94±0.34aB | 81.92±0.17bA | ||
30% seed vinegar | 109.21±0.68aC | 90.46±2.38aB | 74.11±0.68aA |
1)TEAC is an abbreviation for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unit is mg of Trolox in 100 mL..
2)Values are mean±SD (n=3)..
3)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assay, ORAC, CUPRAC)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41.87~48.29 TEAC, 82.85~86.13 TEAC, 235.14~254.82 TEAC 및 109.21~115.22 TEAC로 감소하였으며, 말기에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TPC의 phenolic hydroxyl group이 산화되어 라디칼 소거 능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Labuza와 Dugan, 1971).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낮을수록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능력이 감소한다는 보고와도 유사하였다(Hong 등, 2012).
항비만 활성 및 항균 활성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항비만 활성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의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항비만 활성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6.80~160.30 OEAC, 말기에는 6.71~820.73 OEAC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보다 종초에 함유된 acetic acid 함량이 높아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비만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항비만 활성의 급격한 증가는 초산발효에 의한 acetic acid 함량의 급격한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근 주스를 당근 식초로 발효한 후에 lipase 저해 활성이 증가한다는 경향과 유사하였는데, 당근 주스 제조 과정 중에 생성된 acetic acid 등과 같은 유기산이 lipase 저해 활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Kim 등, 2018).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통풍 등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기에 심각한 건강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비만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orlistat는 pancreatic lipase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소장에서 식이 중성지방의 소화를 억제하는 약물로 구조적으로 중성지방과 유사하므로 pancreatic lipase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중성지방의 가수분해를 방해하는 물질이다(Jeon 등, 2014). 그러나 양성대조구인 orlistat는 위장장애, 과민증, 지용성비타민 흡수 억제 등의 부작용이 보고됨에 따라 부작용이 적은 비만 치료제가 필요한 시점에서 아로니아 식초는 비만을 지연하거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Kim과 Kim, 2015).
Table 4 . Comparison of antiobe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Lipase inhibition activity (OEAC1)) | Control | 6.80±0.09aA2)3) | 6.86±0.06aA | 6.71±0.16aA | |
10% seed vinegar | 57.36±0.80bA | 585.80±2.07bB | 687.36±6.95bC | ||
20% seed vinegar | 107.69±1.61cA | 720.12±0.61cB | 796.62±3.41cC | ||
30% seed vinegar | 160.30±1.59dA | 731.93±4.15dB | 820.73±1.71dC | ||
Clear zone (mm) | KACC 13064 | Control | ND4) | ND | ND |
10% seed vinegar | 9.02±0.43aA | 18.64±0.49aB | 20.67±0.20cC | ||
20% seed vinegar | 11.09±0.01bA | 18.39±0.18aB | 18.16±0.16aB | ||
30% seed vinegar | 12.76±0.33cA | 18.80±0.26aB | 18.90±0.42bB | ||
KACC 10115 | Control | ND | ND | ND | |
10% seed vinegar | ND | 14.58±0.08aA | 15.32±0.46bA | ||
20% seed vinegar | ND | 14.82±0.71aA | 14.32±0.50aA | ||
30% seed vinegar | 8.03±0.10A | 18.14±0.35bB | 18.53±0.20cB | ||
KACC 1927 | Control | ND | ND | ND | |
10% seed vinegar | ND | 28.67±0.07aB | 26.37±0.54aA | ||
20% seed vinegar | ND | 29.08±0.13aB | 25.70±0.76aA | ||
30% seed vinegar | 13.39±0.45A | 28.63±1.24aB | 31.20±0.94bB |
1)OEAC is an abbreviation for orlistat equivalent anti-obesity capacity and it’s unit is μg of orlistat in 100 mL..
2)Values are mean±SD (n=3)..
3)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4)ND means not detected..
아로니아 식초의 clear zone diameter 값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아로니아 식초의 TPC 및 acetic acid와 기능성의 상관성 비교
30% 종초 첨가구로 제조한 아로니아 식초의 acetic acid와 TPC를 아로니아 식초의 기능성(항산화 활성, 항비만 활성 및 항균 활성)의 상관성을
Table 5 . Correlation matrix of primary components analysis using 10 variabl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tiobe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at aronia vinegar with 30% seed vinegar.
Component | Correlation matrix1) | ||||||||||
---|---|---|---|---|---|---|---|---|---|---|---|
X1 | X2 | X3 | X4 | X5 | X6 | X7 | X8 | X9 | X10 | ||
X1 | Acetic acid | 1.000 | |||||||||
X2 | TPC | −0.900* | 1.000 | ||||||||
X3 | DPPH radical assay | −0.911* | 0.998** | 1.000 | |||||||
X4 | ABTS radical assay | −0.817* | 0.985** | 0.982** | 1.000 | ||||||
X5 | ORAC | −0.944** | 0.959** | 0.959** | 0.915* | 1.000 | |||||
X6 | CUPRAC | −0.901* | 0.997** | 0.997** | 0.984** | 0.966** | 1.000 | ||||
X7 | Lipase inhibition activity | 0.999** | −0.913* | −0.922** | −0.833* | −0.948** | −0.912* | 1.000 | |||
X8 | 0.996** | −0.883* | −0.896* | −0.800 | −0.943** | −0.891* | 0.994** | 1.000 | |||
X9 | 0.999** | −0.895* | −0.907* | −0.812* | −0.937** | −0.896* | 0.999** | 0.996** | 1.000 | ||
X10 | 0.992** | −0.932** | −0.942** | −0.862* | −0.940** | −0.929** | 0.995** | 0.982** | 0.992** | 1.000 |
1)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
본 연구는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에 초산균주를 활용하여 종초를 제조한 후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산균 5종에 대한 생육 특성을 확인한 결과,
본 논문은 농림축산식품부 지역전략 식품산업 육성사업(과제명: 임산물 기반 동부권 발효식초개발, MIFI 2020-1)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Table 1 . Comparison of soluble solid, pH, total acidity, and viable count in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Soluble solid (°Brix) | Control | 17.80±0.00aAB1)2) | 17.75±0.07aA | 17.90±0.00aB |
10% seed vinegar | 17.80±0.00aA | 17.85±0.07aA | 18.45±0.21bB | |
20% seed vinegar | 17.80±0.00aA | 17.75±0.07aA | 18.45±0.07bB | |
30% seed vinegar | 17.80±0.00aA | 17.75±0.07aA | 18.45±0.07bB | |
pH | Control | 4.03±0.01dA | 4.00±0.00cA | 4.02±0.01cA |
10% seed vinegar | 3.54±0.00cC | 2.67±0.01bA | 2.64±0.05bA | |
20% seed vinegar | 3.33±0.00bD | 2.60±0.01aB | 2.56±0.01abA | |
30% seed vinegar | 3.21±0.00aC | 2.59±0.03aA | 2.57±0.00aA | |
Total acidity (%) | Control | 0.14±0.02aA | 0.15±0.00aA | 0.11±0.02aA |
10% seed vinegar | 0.44±0.02bA | 4.40±0.11bC | 4.44±0.17bC | |
20% seed vinegar | 0.74±0.02cA | 5.17±0.17cC | 5.21±0.15cC | |
30% seed vinegar | 1.11±0.04dA | 5.15±0.06cC | 5.24±0.06cC | |
Viable count (log CFU/mL) | Control | ND4) | ND | ND |
10% seed vinegar | 5.05±0.09aB | 4.85±0.21aB | ND | |
20% seed vinegar | 5.41±0.05bB | 5.19±0.30aB | ND | |
30% seed vinegar | 5.63±0.09cB | 5.45±0.63aB | ND |
1)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3)ND means not detected..
Table 2 . Comparison of organic acid and ethanol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Fermentation time (day) | Control | 10% seed vinegar | 20% seed vinegar | 30% seed vinegar | |
---|---|---|---|---|---|---|
Organic acid (mg%) | Malic acid | 0 | 238.14±4.19aA1)2) | 238.32±2.01aA | 236.23±5.68aA | 250.31±4.66aB |
10 | 244.59±0.92aA | 274.87±3.61bB | 261.90±1.71bB | 248.68±10.26aA | ||
20 | 232.56±10.00aA | 250.14±7.40aA | 253.59±12.54bA | 260.73±9.64aA | ||
Succinic acid | 0 | 421.40±8.94cB | 406.31±6.33cA | 410.86±5.99bAB | 414.67±4.74caB | |
10 | 339.62±4.73aB | 379.81±2.85bC | 312.32±1.76aA | 314.08±2.48bA | ||
20 | 385.50±6.03bD | 232.24±0.98aA | 319.50±2.82aC | 242.60±0.70aB | ||
Acetic acid | 0 | 45.68±8.97bA | 386.88±2.41aB | 724.14±5.04aC | 1,049.22±5.21aD | |
10 | 28.56±0.22aA | 4,355.77±3.05cB | 5,157.03±3.88cC | 5,028.57±9.49bD | ||
20 | 27.76±8.12aA | 4,188.37±1.18bB | 4,837.22±4.94bC | 5,232.70±26.35cD | ||
Total | 0 | 705.22±3.61cA | 1,031.51±10.52aB | 1,371.23±10.52aC | 1,714.20±13.67aD | |
10 | 612.77±3.68aA | 5,010.45±5.40cB | 5,731.26±3.17cD | 5,591.32±16.41bC | ||
20 | 645.82±14.04bA | 4,670.75±7.88bB | 5,410.30±17.13bC | 5,736.03±28.77cD | ||
Ethanol (mg%) | 0 | 5,033.32±64.60cD | 4,688.97±77.93cC | 4,226.79±54.27bB | 3,972.12±58.93cA | |
10 | 4,816.86±28.22bD | 1,117.76±0.99bC | ND3) | ND | ||
20 | 4,184.27±4.71aD | 576.98±1.95aC | ND | ND |
1)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ower-case letters (a-c) and upper-case letters (A-D)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3)ND means not detected..
Table 3 . Comparis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Total phenolic content (mg%) | Control | 63.86±0.47cC2)3) | 61.50±0.20cB | 59.19±0.53dA | |
10% seed vinegar | 60.37±0.33bC | 52.30±0.40bB | 49.99±0.33cA | ||
20% seed vinegar | 59.75±0.13bC | 51.59±0.20abB | 47.11±0.40bA | ||
30% seed vinegar | 58.53±0.40aC | 51.03±0.47aB | 44.38±0.40aA | ||
Antioxidant activity (TEAC1)) | DPPH radical assay | Control | 48.29±0.06dC | 45.00±0.11dB | 41.14±0.17dA |
10% seed vinegar | 44.31±0.06cC | 36.38±0.11cB | 33.58±0.17cA | ||
20% seed vinegar | 42.60±0.06bC | 36.10±0.06bB | 32.24±0.11bA | ||
30% seed vinegar | 41.87±0.06aC | 33.53±0.06aB | 30.33±0.06aA | ||
ABTS radical assay | Control | 86.13±0.39cC | 83.95±0.64bB | 79.67±0.51dA | |
10% seed vinegar | 84.04±0.77bC | 73.22±0.39aB | 65.13±0.51cA | ||
20% seed vinegar | 83.22±0.13aC | 73.04±0.39aB | 58.67±0.64bA | ||
30% seed vinegar | 82.85±0.13aC | 73.22±0.39aB | 57.85±0.26aA | ||
ORAC | Control | 254.82±2.90bB | 251.78±5.51cAB | 243.87±1.07dA | |
10% seed vinegar | 252.34±5.68bC | 225.98±0.17bB | 220.58±1.62cA | ||
20% seed vinegar | 248.75±6.41bC | 210.97±3.02aB | 183.28±3.22aA | ||
30% seed vinegar | 235.14±3.41aB | 205.48±8.07aA | 193.02±4.96bA | ||
CUPRAC | Control | 115.22±0.68bA | 118.10±2.04bB | 119.30±0.68dAB | |
10% seed vinegar | 115.22±0.00bC | 92.86±2.04aB | 88.77±0.68cA | ||
20% seed vinegar | 109.57±1.57aC | 90.94±0.34aB | 81.92±0.17bA | ||
30% seed vinegar | 109.21±0.68aC | 90.46±2.38aB | 74.11±0.68aA |
1)TEAC is an abbreviation for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unit is mg of Trolox in 100 mL..
2)Values are mean±SD (n=3)..
3)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Table 4 . Comparison of antiobe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ronia vinegar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cultur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Component | Aronia vinegar | Fermentation time (day) | |||
---|---|---|---|---|---|
0 | 10 | 20 | |||
Lipase inhibition activity (OEAC1)) | Control | 6.80±0.09aA2)3) | 6.86±0.06aA | 6.71±0.16aA | |
10% seed vinegar | 57.36±0.80bA | 585.80±2.07bB | 687.36±6.95bC | ||
20% seed vinegar | 107.69±1.61cA | 720.12±0.61cB | 796.62±3.41cC | ||
30% seed vinegar | 160.30±1.59dA | 731.93±4.15dB | 820.73±1.71dC | ||
Clear zone (mm) | KACC 13064 | Control | ND4) | ND | ND |
10% seed vinegar | 9.02±0.43aA | 18.64±0.49aB | 20.67±0.20cC | ||
20% seed vinegar | 11.09±0.01bA | 18.39±0.18aB | 18.16±0.16aB | ||
30% seed vinegar | 12.76±0.33cA | 18.80±0.26aB | 18.90±0.42bB | ||
KACC 10115 | Control | ND | ND | ND | |
10% seed vinegar | ND | 14.58±0.08aA | 15.32±0.46bA | ||
20% seed vinegar | ND | 14.82±0.71aA | 14.32±0.50aA | ||
30% seed vinegar | 8.03±0.10A | 18.14±0.35bB | 18.53±0.20cB | ||
KACC 1927 | Control | ND | ND | ND | |
10% seed vinegar | ND | 28.67±0.07aB | 26.37±0.54aA | ||
20% seed vinegar | ND | 29.08±0.13aB | 25.70±0.76aA | ||
30% seed vinegar | 13.39±0.45A | 28.63±1.24aB | 31.20±0.94bB |
1)OEAC is an abbreviation for orlistat equivalent anti-obesity capacity and it’s unit is μg of orlistat in 100 mL..
2)Values are mean±SD (n=3)..
3)Different lower-case letters (a-d) and upper-case letters (A-C) in the same column and row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test (
4)ND means not detected..
Table 5 . Correlation matrix of primary components analysis using 10 variabl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tiobe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at aronia vinegar with 30% seed vinegar.
Component | Correlation matrix1) | ||||||||||
---|---|---|---|---|---|---|---|---|---|---|---|
X1 | X2 | X3 | X4 | X5 | X6 | X7 | X8 | X9 | X10 | ||
X1 | Acetic acid | 1.000 | |||||||||
X2 | TPC | −0.900* | 1.000 | ||||||||
X3 | DPPH radical assay | −0.911* | 0.998** | 1.000 | |||||||
X4 | ABTS radical assay | −0.817* | 0.985** | 0.982** | 1.000 | ||||||
X5 | ORAC | −0.944** | 0.959** | 0.959** | 0.915* | 1.000 | |||||
X6 | CUPRAC | −0.901* | 0.997** | 0.997** | 0.984** | 0.966** | 1.000 | ||||
X7 | Lipase inhibition activity | 0.999** | −0.913* | −0.922** | −0.833* | −0.948** | −0.912* | 1.000 | |||
X8 | 0.996** | −0.883* | −0.896* | −0.800 | −0.943** | −0.891* | 0.994** | 1.000 | |||
X9 | 0.999** | −0.895* | −0.907* | −0.812* | −0.937** | −0.896* | 0.999** | 0.996** | 1.000 | ||
X10 | 0.992** | −0.932** | −0.942** | −0.862* | −0.940** | −0.929** | 0.995** | 0.982** | 0.992** | 1.000 |
1)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