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12): 1392-139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12.139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Eunjung Lee1,3 , Jae-Ho Kim2, and Jang-Eun Lee1
,3
1Research Group of Traditional Food and
2Industrial Support Research Center,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3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ence to:Jang-Eun Lee, 245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 Jeonbuk 55365, Korea, E-mail: jelee@kfri.re.kr
Author information: Jang-Eun Lee (Researche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Saccharomyces cerevisiae boulardii-03 from the traditional Nuruk called Gongbyunggok and then analyzed its probiotic characteristics. The isolated yeast showed non-galactose assimilation, acid tolerance in pH 2.0, and an active growth rate at a high temperature of 37°C, which reveals this boulardii-03 strain has not only the ability to produce alcohol, but also resistance to gastrointestinal conditions. As a result of an in vivo study, the yeast supplementation showed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a mouse model of DS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In addition, after the live-cell administrations, the S. cerevisiae RNA concentration in the mouse cecu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the DSS treatment group, which suggests that the boulardii-03 yeast has a superior intestinal survival rate. Thus this opens up the new prospects for the into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probiotic food using S. cerevisiae boulardii-03 strain as a starter culture.
Keywords: Saccharomyces cerevisiae var. boulardii, probiotics, yeast, nuruk, makgeolli
Probiotics는 장내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미생물을 의미하며, 주로
이와 같은
누룩은 밀, 보리, 쌀 등의 전분질 원료를 자연 배양한 발효제로 주로 막걸리, 약주와 같은 전통주 제조 시 첨가하는 발효제이다. 자연 배양된 누룩에는 곰팡이, 효모, 유산균 등 다양한 야생 미생물이 존재하는데(Bal 등, 2015; Bal 등, 2016), 이는 호화된 쌀에 특정 균주를 접종하는 입국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누룩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자생하고 있기 때문에 양조에 누룩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입국과 달리 효모와 젖산을 첨가하지 않는데, 이는 누룩이 당화와 동시에 알코올 발효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발효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전통누룩의 미생물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누룩은 주류 제조를 위한 첨가물 또는 일부 발효식품 등의 원료 등 매우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즉, 다양한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전통누룩은 유용 미생물 자원을 발굴할 수 있는 우수한 매체이며, 전통누룩에서 유용 미생물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는 일은 전통누룩의 활용성 확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누룩에서
효모 균주 분리 및 배양
고문헌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 및 수집된 전통누룩 60종(Lee 등, 2017)으로부터 약 200여
Boulardii 효모 선발
Boulardii 효모 선발을 위해 분리된
균주동정
선발된 효모 균주의 동정을 위해 18S rRNA gene 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사용된 primer는 ITS1(5′-TCCGTAGGTGAACCTGCGG-3′) 및 ITS4(5′-TCCTCCGCTTATTGATATGC-3′)였으며 18S rRNA 염기서열을 sequencing(ABI PRISM, 3730XL DNA Analyz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하여 분석된 염기서열을 BLAST(http://www.ncbi.nlm.nih.go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균주를 동정하였다.
효모 생균 시료 제조
시료의 투여 및 대장염 유발 동물모델
실험동물은 6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Orient Bio, Seongnam, Korea)로 체중은 24 g 내외의 것을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온도 22±2°C, 습도 55±5%, 12시간의 dark-light cycle로 조절되는 시설에서 사육하였으며 실험 기간에는 표준사료(Harlan 2019S, Harlan Teklad, Madison, WI, USA)와 음수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급여하였다. 마우스는 1주일의 적응기간 후, 무작위로 5개의 그룹(그룹당 8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이들 간의 무게를 기준으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5개의 그룹은 정상군(Cont), 대장염을 유발하는 대조군(DSS),
맹장에서의 효모 생균수 측정
장내 살아있는 효모의 정량은 Everard 등(2014)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맹장 내용물의 total RNA는 RNeasy PowerMicrobiome kit(Qiagen, Valencia, CA, USA)을 이용하여 준비하였으며, 정량은 Varioskan Flash(Thermo-Fisher, Waltham, MA, USA)의 µDrop plat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후 총 RNA 1 µg을 iScript cDNA Synthesis kit(Bio-Rad, Hercules, CA, USA)을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모두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표준곡선 측정을 위하여 S288C 효모 1×109 CFU/mL 농도의 배양액을 제조하고 이의 total RNA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후 cDNA로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Yeast cell의 정량을 위한 primer는 Yeast-F(5′-GAGTCGAGTTGTTTGGGAATGC-3′), Yeast-R(5′-TCTCTTTCCAAAGTTCTTTTCATCTTT-3′)을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Galactose 이용률 분석을 통한
Boulardii 균주를
내산성 및 고온생육 활성 분석을 통한
1차로 선발된 10종의 효모 콜로니를 대상으로 내산성 및 고온에서의 생장률을 기반으로 최종 probiotic 효모
Table 1 . pH and high temperature resistances of
Yeast no. | Nuruk name | Strains | Fermentation time (days) [pH 2.0, 25°C] | Survival after 12 days (at 37°C) | ||
---|---|---|---|---|---|---|
1 | 3 | 11 | ||||
1 | Backgok | − | + | + | − | |
2 | Nebubigeongok | − | + | + | − | |
3 | Kongnbyunggok | − | + | + | ++ | |
4 | Nokdugok | − | + | + | − | |
5 | Gok | − | + | + | − | |
6 | Myungok | − | − | + | − | |
7 | Myungok | − | + | + | − | |
8 | Myungok | − | − | + | − | |
9 | Myungok | − | + | + | − | |
10 | Wheat Nuruk | − | + | + | − |
−, no growth; +, low-growth rate; ++, high-growth rate.
Boulardii 효모의 pH 내성과 높은 온도에서의 생존율은 더 많은 균수가 생균 형태로 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생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미 많은 연구에서 이러한 boulardii 특성이 보고된 바 있다(Edwards-Ingram 등, 2007; Fietto 등, 2004). Goktas 등(2021)은 pH 3.0 이하에서
Boulardii 효모는
Boulardii-03 균주의 probiotic 활성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SS로 대장염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의 장 염증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DSS 투여에 의하여 DAI 스코어는 투여 1일만에 0.76에서 6일 후에는 2.71까지 상승하였으며, 투여 6일째 정상 음수로 교체한 뒤 3일 후에도 스코어는 2.21 수준으로 장 염증 유도가 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Fig. 2A). Boulardii-03 균주를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는 DSS 처리에도 1일차에는 DAI 스코어가 0.17에서 6일 후에는 2.55까지 상승하였으나, 정상 음수로 교체한 후에는 1.9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DAI 스코어의 전반적인 수준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총 9일간의 DAI를 area under curve (AUC)로 계산하여 확인한 결과, Boulardii-03과 양성대조군인 Bi 처리군에서는 DSS 그룹 대비 AUC가 감소하는 유의적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음성대조군인 S288c 처리 그룹은 DSS만 처리한 그룹과 유의적 감소를 유도하지 못하였다(Fig. 2B). 이러한 결과는 DSS로 유도되는 대장 내의 염증이 효모 투여 자체에 의하여 완화된 것이 아닌, 비오플(Bi)과 Boulardii-03 효모 투여에 의해서만 나타나는 것임을 의미한다. 대장 내 염증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간접적인 지표로 대장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여 그 비율을 확인한 결과에서도 DSS 대비 Boulardii-03과 Bi를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Fig. 2C). 이러한 결과들은 Boulardii-03의 섭취가 DSS로 유도되는 장 염증을 감소시키고 그 효능이 의약품으로 처방되고 있는 Bi와 유사한 수준의 효능임을 의미한다.
Boulardii-03 균주에 의하여 장 염증이 완화되는 probiotic 활성을 확인한 후, 실제 효모를 경구로 섭취 시에도 장까지 고농도로 생존할 수 있는지를
Boulardii 효모는 37°C 부근 높은 온도와 낮은 pH에 내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생균을 식후 섭취하여도 좀 더 많은 양의 균이 살아있는 상태로 장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특히 효모는 구성성분의 약 1/4이 prebiotics로 잘 알려진 베타글루칸을 비롯하여 다양한 다당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boulardii 효모 섭취 시 probiotic 기능과 함께 prebiotic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발효식품의 종균으로서 boulardii 균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균주의 알코올 발효 특성을 분석하였다. 생균 섭취에 가장 효율적인 발효주인 탁주 제조에 S.
Table 2 . Brewing characteristics of Boulardii-03
Yeast | Characterization of Takju | |||
---|---|---|---|---|
°Brix | pH | Total acidity (%) | Alcohol (%) | |
Brewing yeast-1 ( | 11.2±0.9 | 4.1±0ab | 0.5±0 | 16.8±0.4 |
Brewing yeast-2 ( | 10.4±0.3 | 4.0±0ab | 0.5±0 | 17.3±0.4 |
10.6±0.2 | 4.1±0ab | 0.5±0 | 16.9±0.2 | |
10.3±0.4 | 4.0±0ab | 0.5±0 | 15.8±0.4 | |
10.5±0.4 | 4.0±0.1b | 0.6±0 | 16.1±0.8 |
1)All 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etters (a,b)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at
본 연구는 전통누룩에서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의 일환인 농림축산식품미생물유전체전략연구사업(Project No. 918007-4)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12): 1392-139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12.139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이은정1,3․김재호2․이장은1,3
1한국식품연구원 식품융합연구본부 전통식품연구단
2한국식품연구원 식품산업연구본부 기업솔루션연구센터
3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
Eunjung Lee1,3 , Jae-Ho Kim2, and Jang-Eun Lee1,3
1Research Group of Traditional Food and
2Industrial Support Research Center,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3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ence to:Jang-Eun Lee, 245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 Jeonbuk 55365, Korea, E-mail: jelee@kfri.re.kr
Author information: Jang-Eun Lee (Researche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Saccharomyces cerevisiae boulardii-03 from the traditional Nuruk called Gongbyunggok and then analyzed its probiotic characteristics. The isolated yeast showed non-galactose assimilation, acid tolerance in pH 2.0, and an active growth rate at a high temperature of 37°C, which reveals this boulardii-03 strain has not only the ability to produce alcohol, but also resistance to gastrointestinal conditions. As a result of an in vivo study, the yeast supplementation showed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a mouse model of DS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intestinal inflammation. In addition, after the live-cell administrations, the S. cerevisiae RNA concentration in the mouse cecu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the DSS treatment group, which suggests that the boulardii-03 yeast has a superior intestinal survival rate. Thus this opens up the new prospects for the into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probiotic food using S. cerevisiae boulardii-03 strain as a starter culture.
Keywords: Saccharomyces cerevisiae var. boulardii, probiotics, yeast, nuruk, makgeolli
Probiotics는 장내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미생물을 의미하며, 주로
이와 같은
누룩은 밀, 보리, 쌀 등의 전분질 원료를 자연 배양한 발효제로 주로 막걸리, 약주와 같은 전통주 제조 시 첨가하는 발효제이다. 자연 배양된 누룩에는 곰팡이, 효모, 유산균 등 다양한 야생 미생물이 존재하는데(Bal 등, 2015; Bal 등, 2016), 이는 호화된 쌀에 특정 균주를 접종하는 입국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누룩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자생하고 있기 때문에 양조에 누룩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입국과 달리 효모와 젖산을 첨가하지 않는데, 이는 누룩이 당화와 동시에 알코올 발효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발효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전통누룩의 미생물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누룩은 주류 제조를 위한 첨가물 또는 일부 발효식품 등의 원료 등 매우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즉, 다양한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전통누룩은 유용 미생물 자원을 발굴할 수 있는 우수한 매체이며, 전통누룩에서 유용 미생물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는 일은 전통누룩의 활용성 확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누룩에서
효모 균주 분리 및 배양
고문헌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 및 수집된 전통누룩 60종(Lee 등, 2017)으로부터 약 200여
Boulardii 효모 선발
Boulardii 효모 선발을 위해 분리된
균주동정
선발된 효모 균주의 동정을 위해 18S rRNA gene 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사용된 primer는 ITS1(5′-TCCGTAGGTGAACCTGCGG-3′) 및 ITS4(5′-TCCTCCGCTTATTGATATGC-3′)였으며 18S rRNA 염기서열을 sequencing(ABI PRISM, 3730XL DNA Analyz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하여 분석된 염기서열을 BLAST(http://www.ncbi.nlm.nih.go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균주를 동정하였다.
효모 생균 시료 제조
시료의 투여 및 대장염 유발 동물모델
실험동물은 6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Orient Bio, Seongnam, Korea)로 체중은 24 g 내외의 것을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온도 22±2°C, 습도 55±5%, 12시간의 dark-light cycle로 조절되는 시설에서 사육하였으며 실험 기간에는 표준사료(Harlan 2019S, Harlan Teklad, Madison, WI, USA)와 음수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급여하였다. 마우스는 1주일의 적응기간 후, 무작위로 5개의 그룹(그룹당 8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이들 간의 무게를 기준으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5개의 그룹은 정상군(Cont), 대장염을 유발하는 대조군(DSS),
맹장에서의 효모 생균수 측정
장내 살아있는 효모의 정량은 Everard 등(2014)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맹장 내용물의 total RNA는 RNeasy PowerMicrobiome kit(Qiagen, Valencia, CA, USA)을 이용하여 준비하였으며, 정량은 Varioskan Flash(Thermo-Fisher, Waltham, MA, USA)의 µDrop plat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후 총 RNA 1 µg을 iScript cDNA Synthesis kit(Bio-Rad, Hercules, CA, USA)을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모두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표준곡선 측정을 위하여 S288C 효모 1×109 CFU/mL 농도의 배양액을 제조하고 이의 total RNA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후 cDNA로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Yeast cell의 정량을 위한 primer는 Yeast-F(5′-GAGTCGAGTTGTTTGGGAATGC-3′), Yeast-R(5′-TCTCTTTCCAAAGTTCTTTTCATCTTT-3′)을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Galactose 이용률 분석을 통한
Boulardii 균주를
내산성 및 고온생육 활성 분석을 통한
1차로 선발된 10종의 효모 콜로니를 대상으로 내산성 및 고온에서의 생장률을 기반으로 최종 probiotic 효모
Table 1 . pH and high temperature resistances of
Yeast no. | Nuruk name | Strains | Fermentation time (days) [pH 2.0, 25°C] | Survival after 12 days (at 37°C) | ||
---|---|---|---|---|---|---|
1 | 3 | 11 | ||||
1 | Backgok | − | + | + | − | |
2 | Nebubigeongok | − | + | + | − | |
3 | Kongnbyunggok | − | + | + | ++ | |
4 | Nokdugok | − | + | + | − | |
5 | Gok | − | + | + | − | |
6 | Myungok | − | − | + | − | |
7 | Myungok | − | + | + | − | |
8 | Myungok | − | − | + | − | |
9 | Myungok | − | + | + | − | |
10 | Wheat Nuruk | − | + | + | − |
−, no growth; +, low-growth rate; ++, high-growth rate..
Boulardii 효모의 pH 내성과 높은 온도에서의 생존율은 더 많은 균수가 생균 형태로 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생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미 많은 연구에서 이러한 boulardii 특성이 보고된 바 있다(Edwards-Ingram 등, 2007; Fietto 등, 2004). Goktas 등(2021)은 pH 3.0 이하에서
Boulardii 효모는
Boulardii-03 균주의 probiotic 활성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SS로 대장염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의 장 염증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DSS 투여에 의하여 DAI 스코어는 투여 1일만에 0.76에서 6일 후에는 2.71까지 상승하였으며, 투여 6일째 정상 음수로 교체한 뒤 3일 후에도 스코어는 2.21 수준으로 장 염증 유도가 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Fig. 2A). Boulardii-03 균주를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는 DSS 처리에도 1일차에는 DAI 스코어가 0.17에서 6일 후에는 2.55까지 상승하였으나, 정상 음수로 교체한 후에는 1.9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DAI 스코어의 전반적인 수준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총 9일간의 DAI를 area under curve (AUC)로 계산하여 확인한 결과, Boulardii-03과 양성대조군인 Bi 처리군에서는 DSS 그룹 대비 AUC가 감소하는 유의적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음성대조군인 S288c 처리 그룹은 DSS만 처리한 그룹과 유의적 감소를 유도하지 못하였다(Fig. 2B). 이러한 결과는 DSS로 유도되는 대장 내의 염증이 효모 투여 자체에 의하여 완화된 것이 아닌, 비오플(Bi)과 Boulardii-03 효모 투여에 의해서만 나타나는 것임을 의미한다. 대장 내 염증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간접적인 지표로 대장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여 그 비율을 확인한 결과에서도 DSS 대비 Boulardii-03과 Bi를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Fig. 2C). 이러한 결과들은 Boulardii-03의 섭취가 DSS로 유도되는 장 염증을 감소시키고 그 효능이 의약품으로 처방되고 있는 Bi와 유사한 수준의 효능임을 의미한다.
Boulardii-03 균주에 의하여 장 염증이 완화되는 probiotic 활성을 확인한 후, 실제 효모를 경구로 섭취 시에도 장까지 고농도로 생존할 수 있는지를
Boulardii 효모는 37°C 부근 높은 온도와 낮은 pH에 내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생균을 식후 섭취하여도 좀 더 많은 양의 균이 살아있는 상태로 장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특히 효모는 구성성분의 약 1/4이 prebiotics로 잘 알려진 베타글루칸을 비롯하여 다양한 다당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boulardii 효모 섭취 시 probiotic 기능과 함께 prebiotic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발효식품의 종균으로서 boulardii 균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균주의 알코올 발효 특성을 분석하였다. 생균 섭취에 가장 효율적인 발효주인 탁주 제조에 S.
Table 2 . Brewing characteristics of Boulardii-03.
Yeast | Characterization of Takju | |||
---|---|---|---|---|
°Brix | pH | Total acidity (%) | Alcohol (%) | |
Brewing yeast-1 ( | 11.2±0.9 | 4.1±0ab | 0.5±0 | 16.8±0.4 |
Brewing yeast-2 ( | 10.4±0.3 | 4.0±0ab | 0.5±0 | 17.3±0.4 |
10.6±0.2 | 4.1±0ab | 0.5±0 | 16.9±0.2 | |
10.3±0.4 | 4.0±0ab | 0.5±0 | 15.8±0.4 | |
10.5±0.4 | 4.0±0.1b | 0.6±0 | 16.1±0.8 |
1)All 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etters (a,b)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at
본 연구는 전통누룩에서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의 일환인 농림축산식품미생물유전체전략연구사업(Project No. 918007-4)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Table 1 . pH and high temperature resistances of
Yeast no. | Nuruk name | Strains | Fermentation time (days) [pH 2.0, 25°C] | Survival after 12 days (at 37°C) | ||
---|---|---|---|---|---|---|
1 | 3 | 11 | ||||
1 | Backgok | − | + | + | − | |
2 | Nebubigeongok | − | + | + | − | |
3 | Kongnbyunggok | − | + | + | ++ | |
4 | Nokdugok | − | + | + | − | |
5 | Gok | − | + | + | − | |
6 | Myungok | − | − | + | − | |
7 | Myungok | − | + | + | − | |
8 | Myungok | − | − | + | − | |
9 | Myungok | − | + | + | − | |
10 | Wheat Nuruk | − | + | + | − |
−, no growth; +, low-growth rate; ++, high-growth rate..
Table 2 . Brewing characteristics of Boulardii-03.
Yeast | Characterization of Takju | |||
---|---|---|---|---|
°Brix | pH | Total acidity (%) | Alcohol (%) | |
Brewing yeast-1 ( | 11.2±0.9 | 4.1±0ab | 0.5±0 | 16.8±0.4 |
Brewing yeast-2 ( | 10.4±0.3 | 4.0±0ab | 0.5±0 | 17.3±0.4 |
10.6±0.2 | 4.1±0ab | 0.5±0 | 16.9±0.2 | |
10.3±0.4 | 4.0±0ab | 0.5±0 | 15.8±0.4 | |
10.5±0.4 | 4.0±0.1b | 0.6±0 | 16.1±0.8 |
1)All values are mean±SD (n=3)..
2)Different letters (a,b)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a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