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12): 1385-139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12.138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hangheon Lee1 , Jin Ha Sim1 , Jin Hyeon Kim1 , Ye-Jun Song2 , Eun-Ik Son2 , Young-Mog Kim2,3 , and Daeung Yu1 ,4
1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enior Human Ecology (Food and Nutrition) and
4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3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Daeung Yu,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 Changwondaehak-ro, Uichang-gu, Changwon-si, Gyeongnam 51140, Korea, E-mail: duyu@changwon.ac.kr
Author information: Changheon Lee (Graduate student), Jin Ha Sim (Graduate student), Jin Hyeon Kim (Graduate student), Ye-Jun Song (Graduate student), Eun-Ik Son (Graduate student), Young-Mog Kim (Professor), Daeung Yu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optimization of the synbiotics of Lactobacillus plantarum D-12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kelp kimchi with inulin, which is widely used as a prebiotic, using encapsulation technology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Inulin concentration [x1, (w/v)], inlet temperature [x2, °C], synbiotics yield (Y1), and survival rate of L. plantarum D-12 (Y2) were designated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for the optimization of the synbiotics of L. plantarum D-12 using RSM. Y1 was increased by increasing x1 and x2, whereas it decreased at x1 over 30% due to adhesion loss in the spray dryer vessel due to the increasing stickiness of the synbiotic solution. Y2 was decreased by increasing x1 and x2. Based on the ANOVA result, response models for Y1 and Y2 obtained from RSM were suitably fitted to a quadratic model. The predicted optimum x1 and x2 were 32% and 80°C. Based on the predicted optimum x values (x1, x2), the predicted Y values were 71.70% and 97.43% for Y1 and Y2 and the measured Y values were 75.35±0.58% and 98.12±0.46% for Y1 and Y2,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biotic industry by confirming the potential of prebiotics as a replacement for existing coating materials through the synbiotic optimization of L. plantarum D-12 with inulin.
Keywords: encapsulation, prebiotics, probiotics,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ynbiotics
프로바이오틱스란 인간이 섭취하였을 때 장내 미생물을 일정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균으로 20세기 초 Elie Metchnikoff에 의해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념이 최초로 도입되었다(Jankovic 등, 2010).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시장은 2017년 465억 4천만 달러에서 2024년 768억 5천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Bustamante 등, 2020a).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의 증가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건강상 이점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Oyetayo, 2004). 기존 연구에 의하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소화계통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피부, 구강, 생식기 및 호흡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u 등, 2008).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는 섭취량이 106~107 CFU/g 또는 mL 이상을 섭취했을 때 효과가 발현되며(FAO/WHO, 2002), 프리바이오틱스를 포함한 제품의 경우 저장 기간에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율을 유지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Bustamante 등, 2017).
Encapsulation은 여러 유형의 식품 가공 및 저장 기간에 품질 유지를 도모하여 소재화하는 기술로 유산균의 경우 생존율 및 생존 기간 향상을 목적으로 활용된다(Desmond 등, 2002). 유산균 encapsulation의 경우 동결건조를 활용하였지만 오랜 건조 기간, 높은 생산 비용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생산율이 높고 건조 시간이 짧은 분무건조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Bustamante 등, 2017). 그러나 분무건조 기술은 높은 건조 온도로 인하여 열에 의한 DNA와 막, 리보솜 손상을 유발하여 캡슐화된 유산균의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eixeira등, 1995).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분무건조 중 열 및 탈수 손상 예방, 보관 조건 및 위장 조건 향상 등을 위해 말토덱스트린, 단백질, 다당류 등의 피복물질 사용이 연구되고 있다(Fritzen-Freire 등, 2012; Corcoran 등, 2004).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이란 여러 개의 변수값이 복합적인 작용을 통하여 반응 변수값에 영향을 미칠 때 이러한 반응의 변화가 이루는 반응 표면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을 통한 최적화 실험 계획법으로 실험에 영향을 주는 소수의 인자를 활용한 반응의 최적 반응치를 찾기 위해 활용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encapsulation 기술 및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하여 다시마 김치 유래 유산균(
재료
유산균 분리 및 동정
유산균 분리 동정은 Ryu 등(2020)의 연구에 따라 다시마 김치 25 g을 채취하여 0.1 M phosphate buffer saline (PBS, pH 7.2) 225 mL로 10배 희석 후 3분간 균질화를 진행하였다. Bromocresol purple을 0.002%(w/v) 첨가한 MRS agar 배지에 도말 후 37°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단일 집락 주변의 노란색으로 변한 것을 유산균으로 판단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은 MRS broth에 24시간 전 배양 후 genomic DNA(Chelex bead, Bio-Rad)를 추출한 후 27F와 1492R primer를 이용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database 자료와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유산균의 배양
분리 동정된
반응표면분석법 및 신바이오틱스 최적화
MINITAB 프로그램(MINITAB Ver. 19, MINITAB, State College, PA, USA)을 활용하여 프리바이오틱스(INL) 농도와 분무건조 입구 온도에 따른 신바이오틱스 최적화에 대한 실험계획은 중심합성계획(central composite design, CCD)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INL 농도와 분무건조 입구 온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실험하였으며, maltodextrin을 피복 물질로 하여 실시한 예비 실험을 통해 획득한 최적 입구 온도 및 농도를 토대로 본 실험의 분무건조 입구 온도 및 INL 농도를 설정하였다. 실험 범위에 따라 부호화 및 부호화가 되지 않은 실제 실험값을 각각 Table 1에 표기하였으며, CCD에 따라 13구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 2).
Table 1 . Coded levels and variables used in CCD for synbiotics of
Independent variables | Symbol | Range and level | ||
---|---|---|---|---|
−1 | 0 | +1 | ||
Inulin concentration (%, w/v) | x1 | 25 | 30 | 35 |
Inlet temperature (°C) | x2 | 80 | 95 | 110 |
Table 2 . Matrix CCD experimental design for synbiotics of
Run no. | Experimental factor | |||
---|---|---|---|---|
Coded values1) | Actual values | |||
x1 | x2 | Inulin concentration (%, w/v) | Inlet temperature (°C) | |
1 | 0 | 0 | 30 | 95 |
2 | −1 | 0 | 25 | 95 |
3 | 1 | 1 | 35 | 110 |
4 | 1 | 0 | 35 | 95 |
5 | 0 | 1 | 30 | 110 |
6 | 0 | 0 | 30 | 95 |
7 | 1 | −1 | 35 | 80 |
8 | 0 | 0 | 30 | 95 |
9 | 0 | 0 | 30 | 95 |
10 | −1 | 1 | 25 | 110 |
11 | 0 | 0 | 30 | 95 |
12 | −1 | −1 | 25 | 80 |
13 | 0 | −1 | 30 | 80 |
1)x1=Inulin concentration (%), x2=Inlet temperature of spray dryer (°C).
독립변수(X1, X2)와 종속변수(Y1, Y2) 상호 간의 관계에 따라 제시되는 반응표면 회귀계수 및 분산분석 결과를 토대로 모델(model), 1차항(linear), 2차항(quadratic), 교차항(cross-product) 및 적합성 결여도(lack of fit) 각각의 유의성(
Y: 종속변수, X1, X2: 독립변수
b0, b1, b2, b3, b4, b5: 회귀변수
유산균의 encapsulation
유산균의 encapsulation은 spray dryer(ADL311S, Yamato Scientific Co., Ltd., Tokyo, Japan)를 활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제시된 실험 조건 하에 시료 주입량(100 mL/h) 및 automizer pressure(120 kPa)를 고정하고 프리바이오틱스(INL)의 농도 및 분무건조 입구 온도를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신바이오틱스 수율
신바이오틱스 수율(%)은 유산균 배양액의 고형물 함량을 105°C 상압건조 가열법을 통하여 구한 후 배양액의 고형분 함량과 첨가된 INL 함량 대비 최종 신바이오틱스 무게(g) 비로 나타내었다(수식 1).
유산균 생존율
유산균의 생존율은 pour plate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신바이오틱스화 전 유산균 배양액은 1 mL, 신바이오틱스 분말은 1 g을 9 mL의 멸균 생리식염수에 10진 희석 후 MRS agar 배지와 혼합 분주하여 37°C 배양기(HQ-DI84, Core Tech, Uiwang, Korea)에서 48시간 배양 후 계수하여 수식 2에 의해 초기 유산균수 대비 신바이오틱스화 후 유산균수 비를 계산하여 생존율로 나타내었다.
구조분석
신바이오틱스 입자 표면 구조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샘플 분말들을 gold ion coating 한 후 주사전자현미경(CZ/MIRA I LHM/H.S, TESCAN, Brno, Czech)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 조건은 5.0 kV, 500~1,000배율로 하였다. 동결건조된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RSM 모델의 통계적 유의성 및 적합성 결여 그리고 회귀계수는 MINITAB(Minitab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19)의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신바이오틱스 제조
제시한 중심 합성 계획(CCD)에 따라 INL 농도[X1 25~35%(w/v)] 및 분무건조 입구 온도[X2 80~110°C]를 독립변수로 부호화하여 13개의 조건에 의해 제조된 신바이오틱스의 수율과 유산균 생존율은 Table 3과 같다. 신바이오틱스 수율은 63~78%, 유산균 생존율은 83~100% 범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독립변수(INL 농도 및 입구 온도)에 따른 종속변수(신바이오틱스 수율 및 유산균 생존율)의 변화는 3차원으로 도형화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 유산균의 생존율은 IN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INL 농도의 증가에 따른 초기균수의 상대적 감소 때문이다. 신바이오틱스 수율은 INL 농도가 25%에서 30% 증가함에 따라 약 68%에서 75%로 약 7% 정도 증가하였으며, INL 농도가 35%까지 증가 시 수율은 다시 약 3% 정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이는 고형분 함량 증가가 일정 농도까지는 수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일정 농도를 넘어서게 되면 점도의 상승으로 분무건조실 벽면 점착으로 인한 수율 저하로 이어지게 되며 나아가 산업적으로는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Lian 등(2002)의 연구에서 gelatin, gum arabic 및 가용성 전분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30% 이상의 농도로 증가시켰을 때 유산균의 생존율 및 수율 감소가 관찰되었고, Corrêa-Filho 등(2019)은 분무건조를 적용한
신바이오틱스화 전 유산균 수는 9.26±0.3 log10 CFU/mL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신바이오틱스화에 따른 유산균 수는 7.76±0.3~9.10±0.1 log10 CFU/g 범위로 측정되었다. 신바이오틱스화에 따른 유산균 생존율은 입구 온도 80°C일 때 약 100%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110°C로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7.16~8.15 log10 CFU/g 범위로 약 84.47%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는 FAO/WHO(2002) 발표에 근거하여 6~7 log10 CFU/g 이상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어 섭취 효과(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는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유산균의 생존율 감소는 DNA 및 RNA의 변성, 세포질 막의 탈수, 수분 감소에 따른 세포막의 파열과 같은 세포 손상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Behboudi-Jobbehdar 등, 2013). 신바이오틱스 용액 고형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같이 증가하여 더 높은 분무건조 입구 온도가 요구되며 이는 유산균의 생존율을 감소시킨다. Huang 등(2016)에 따르면 encapsulation 전 높은 고형분 함량은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의 상승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건조 후 유산균 생존율 감소를 초래하며, 나아가 프로바이오틱스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여 적정 농도의 고형분 함량이 요구된다. Bustamante 등(2020a)의 연구에서는 입구 온도를 90~110°C의 범위로 실험하였을 때 가장 낮은 온도인 90°C에서 가장 높은
신바이오틱스 최적화
INL 농도와 분무건조 입구 온도를 독립변수로 CCD에 따라 13구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도출한 종속변수인 수율(
RSM으로 분석한
신바이오틱스 구조분석
Fig. 3은 SEM을 활용한
Encapsulation 기술은 식품, 화장품 및 제약 등 산업계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기술로 식품 산업에서도 소재화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ncapsulation 기술 및 RSM을 활용하여 대체 피복물질인 프리바이오틱스(INL) 적용에 따른 다시마 김치 유래
이 논문은 2021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유산균이 살아있는 고농도 발효 GABA소금의 개발 및 상용화 계획 2020007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12): 1385-139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12.138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이창헌1․심진하1․김진현1․송예준2․손은익2․김영목2,3․유대웅1,4
1창원대학교 시니어 휴먼 에콜로지 협동과정(식품영양학전공), 2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3부경대학교 식품연구소, 4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Changheon Lee1 , Jin Ha Sim1 , Jin Hyeon Kim1 , Ye-Jun Song2 , Eun-Ik Son2 , Young-Mog Kim2,3 , and Daeung Yu1,4
1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enior Human Ecology (Food and Nutrition) and
4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3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Daeung Yu,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 Changwondaehak-ro, Uichang-gu, Changwon-si, Gyeongnam 51140, Korea, E-mail: duyu@changwon.ac.kr
Author information: Changheon Lee (Graduate student), Jin Ha Sim (Graduate student), Jin Hyeon Kim (Graduate student), Ye-Jun Song (Graduate student), Eun-Ik Son (Graduate student), Young-Mog Kim (Professor), Daeung Yu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optimization of the synbiotics of Lactobacillus plantarum D-12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kelp kimchi with inulin, which is widely used as a prebiotic, using encapsulation technology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Inulin concentration [x1, (w/v)], inlet temperature [x2, °C], synbiotics yield (Y1), and survival rate of L. plantarum D-12 (Y2) were designated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for the optimization of the synbiotics of L. plantarum D-12 using RSM. Y1 was increased by increasing x1 and x2, whereas it decreased at x1 over 30% due to adhesion loss in the spray dryer vessel due to the increasing stickiness of the synbiotic solution. Y2 was decreased by increasing x1 and x2. Based on the ANOVA result, response models for Y1 and Y2 obtained from RSM were suitably fitted to a quadratic model. The predicted optimum x1 and x2 were 32% and 80°C. Based on the predicted optimum x values (x1, x2), the predicted Y values were 71.70% and 97.43% for Y1 and Y2 and the measured Y values were 75.35±0.58% and 98.12±0.46% for Y1 and Y2,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biotic industry by confirming the potential of prebiotics as a replacement for existing coating materials through the synbiotic optimization of L. plantarum D-12 with inulin.
Keywords: encapsulation, prebiotics, probiotics,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ynbiotics
프로바이오틱스란 인간이 섭취하였을 때 장내 미생물을 일정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균으로 20세기 초 Elie Metchnikoff에 의해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념이 최초로 도입되었다(Jankovic 등, 2010).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시장은 2017년 465억 4천만 달러에서 2024년 768억 5천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Bustamante 등, 2020a).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의 증가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건강상 이점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Oyetayo, 2004). 기존 연구에 의하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소화계통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피부, 구강, 생식기 및 호흡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u 등, 2008).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는 섭취량이 106~107 CFU/g 또는 mL 이상을 섭취했을 때 효과가 발현되며(FAO/WHO, 2002), 프리바이오틱스를 포함한 제품의 경우 저장 기간에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율을 유지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Bustamante 등, 2017).
Encapsulation은 여러 유형의 식품 가공 및 저장 기간에 품질 유지를 도모하여 소재화하는 기술로 유산균의 경우 생존율 및 생존 기간 향상을 목적으로 활용된다(Desmond 등, 2002). 유산균 encapsulation의 경우 동결건조를 활용하였지만 오랜 건조 기간, 높은 생산 비용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생산율이 높고 건조 시간이 짧은 분무건조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Bustamante 등, 2017). 그러나 분무건조 기술은 높은 건조 온도로 인하여 열에 의한 DNA와 막, 리보솜 손상을 유발하여 캡슐화된 유산균의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eixeira등, 1995).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분무건조 중 열 및 탈수 손상 예방, 보관 조건 및 위장 조건 향상 등을 위해 말토덱스트린, 단백질, 다당류 등의 피복물질 사용이 연구되고 있다(Fritzen-Freire 등, 2012; Corcoran 등, 2004).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이란 여러 개의 변수값이 복합적인 작용을 통하여 반응 변수값에 영향을 미칠 때 이러한 반응의 변화가 이루는 반응 표면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을 통한 최적화 실험 계획법으로 실험에 영향을 주는 소수의 인자를 활용한 반응의 최적 반응치를 찾기 위해 활용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encapsulation 기술 및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하여 다시마 김치 유래 유산균(
재료
유산균 분리 및 동정
유산균 분리 동정은 Ryu 등(2020)의 연구에 따라 다시마 김치 25 g을 채취하여 0.1 M phosphate buffer saline (PBS, pH 7.2) 225 mL로 10배 희석 후 3분간 균질화를 진행하였다. Bromocresol purple을 0.002%(w/v) 첨가한 MRS agar 배지에 도말 후 37°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단일 집락 주변의 노란색으로 변한 것을 유산균으로 판단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은 MRS broth에 24시간 전 배양 후 genomic DNA(Chelex bead, Bio-Rad)를 추출한 후 27F와 1492R primer를 이용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database 자료와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유산균의 배양
분리 동정된
반응표면분석법 및 신바이오틱스 최적화
MINITAB 프로그램(MINITAB Ver. 19, MINITAB, State College, PA, USA)을 활용하여 프리바이오틱스(INL) 농도와 분무건조 입구 온도에 따른 신바이오틱스 최적화에 대한 실험계획은 중심합성계획(central composite design, CCD)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INL 농도와 분무건조 입구 온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실험하였으며, maltodextrin을 피복 물질로 하여 실시한 예비 실험을 통해 획득한 최적 입구 온도 및 농도를 토대로 본 실험의 분무건조 입구 온도 및 INL 농도를 설정하였다. 실험 범위에 따라 부호화 및 부호화가 되지 않은 실제 실험값을 각각 Table 1에 표기하였으며, CCD에 따라 13구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 2).
Table 1 . Coded levels and variables used in CCD for synbiotics of
Independent variables | Symbol | Range and level | ||
---|---|---|---|---|
−1 | 0 | +1 | ||
Inulin concentration (%, w/v) | x1 | 25 | 30 | 35 |
Inlet temperature (°C) | x2 | 80 | 95 | 110 |
Table 2 . Matrix CCD experimental design for synbiotics of
Run no. | Experimental factor | |||
---|---|---|---|---|
Coded values1) | Actual values | |||
x1 | x2 | Inulin concentration (%, w/v) | Inlet temperature (°C) | |
1 | 0 | 0 | 30 | 95 |
2 | −1 | 0 | 25 | 95 |
3 | 1 | 1 | 35 | 110 |
4 | 1 | 0 | 35 | 95 |
5 | 0 | 1 | 30 | 110 |
6 | 0 | 0 | 30 | 95 |
7 | 1 | −1 | 35 | 80 |
8 | 0 | 0 | 30 | 95 |
9 | 0 | 0 | 30 | 95 |
10 | −1 | 1 | 25 | 110 |
11 | 0 | 0 | 30 | 95 |
12 | −1 | −1 | 25 | 80 |
13 | 0 | −1 | 30 | 80 |
1)x1=Inulin concentration (%), x2=Inlet temperature of spray dryer (°C)..
독립변수(X1, X2)와 종속변수(Y1, Y2) 상호 간의 관계에 따라 제시되는 반응표면 회귀계수 및 분산분석 결과를 토대로 모델(model), 1차항(linear), 2차항(quadratic), 교차항(cross-product) 및 적합성 결여도(lack of fit) 각각의 유의성(
Y: 종속변수, X1, X2: 독립변수
b0, b1, b2, b3, b4, b5: 회귀변수
유산균의 encapsulation
유산균의 encapsulation은 spray dryer(ADL311S, Yamato Scientific Co., Ltd., Tokyo, Japan)를 활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제시된 실험 조건 하에 시료 주입량(100 mL/h) 및 automizer pressure(120 kPa)를 고정하고 프리바이오틱스(INL)의 농도 및 분무건조 입구 온도를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신바이오틱스 수율
신바이오틱스 수율(%)은 유산균 배양액의 고형물 함량을 105°C 상압건조 가열법을 통하여 구한 후 배양액의 고형분 함량과 첨가된 INL 함량 대비 최종 신바이오틱스 무게(g) 비로 나타내었다(수식 1).
유산균 생존율
유산균의 생존율은 pour plate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신바이오틱스화 전 유산균 배양액은 1 mL, 신바이오틱스 분말은 1 g을 9 mL의 멸균 생리식염수에 10진 희석 후 MRS agar 배지와 혼합 분주하여 37°C 배양기(HQ-DI84, Core Tech, Uiwang, Korea)에서 48시간 배양 후 계수하여 수식 2에 의해 초기 유산균수 대비 신바이오틱스화 후 유산균수 비를 계산하여 생존율로 나타내었다.
구조분석
신바이오틱스 입자 표면 구조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샘플 분말들을 gold ion coating 한 후 주사전자현미경(CZ/MIRA I LHM/H.S, TESCAN, Brno, Czech)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 조건은 5.0 kV, 500~1,000배율로 하였다. 동결건조된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RSM 모델의 통계적 유의성 및 적합성 결여 그리고 회귀계수는 MINITAB(Minitab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19)의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신바이오틱스 제조
제시한 중심 합성 계획(CCD)에 따라 INL 농도[X1 25~35%(w/v)] 및 분무건조 입구 온도[X2 80~110°C]를 독립변수로 부호화하여 13개의 조건에 의해 제조된 신바이오틱스의 수율과 유산균 생존율은 Table 3과 같다. 신바이오틱스 수율은 63~78%, 유산균 생존율은 83~100% 범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독립변수(INL 농도 및 입구 온도)에 따른 종속변수(신바이오틱스 수율 및 유산균 생존율)의 변화는 3차원으로 도형화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 유산균의 생존율은 IN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INL 농도의 증가에 따른 초기균수의 상대적 감소 때문이다. 신바이오틱스 수율은 INL 농도가 25%에서 30% 증가함에 따라 약 68%에서 75%로 약 7% 정도 증가하였으며, INL 농도가 35%까지 증가 시 수율은 다시 약 3% 정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이는 고형분 함량 증가가 일정 농도까지는 수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일정 농도를 넘어서게 되면 점도의 상승으로 분무건조실 벽면 점착으로 인한 수율 저하로 이어지게 되며 나아가 산업적으로는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Lian 등(2002)의 연구에서 gelatin, gum arabic 및 가용성 전분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30% 이상의 농도로 증가시켰을 때 유산균의 생존율 및 수율 감소가 관찰되었고, Corrêa-Filho 등(2019)은 분무건조를 적용한
신바이오틱스화 전 유산균 수는 9.26±0.3 log10 CFU/mL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신바이오틱스화에 따른 유산균 수는 7.76±0.3~9.10±0.1 log10 CFU/g 범위로 측정되었다. 신바이오틱스화에 따른 유산균 생존율은 입구 온도 80°C일 때 약 100%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110°C로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7.16~8.15 log10 CFU/g 범위로 약 84.47%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는 FAO/WHO(2002) 발표에 근거하여 6~7 log10 CFU/g 이상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어 섭취 효과(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는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유산균의 생존율 감소는 DNA 및 RNA의 변성, 세포질 막의 탈수, 수분 감소에 따른 세포막의 파열과 같은 세포 손상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Behboudi-Jobbehdar 등, 2013). 신바이오틱스 용액 고형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같이 증가하여 더 높은 분무건조 입구 온도가 요구되며 이는 유산균의 생존율을 감소시킨다. Huang 등(2016)에 따르면 encapsulation 전 높은 고형분 함량은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의 상승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건조 후 유산균 생존율 감소를 초래하며, 나아가 프로바이오틱스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여 적정 농도의 고형분 함량이 요구된다. Bustamante 등(2020a)의 연구에서는 입구 온도를 90~110°C의 범위로 실험하였을 때 가장 낮은 온도인 90°C에서 가장 높은
신바이오틱스 최적화
INL 농도와 분무건조 입구 온도를 독립변수로 CCD에 따라 13구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도출한 종속변수인 수율(
RSM으로 분석한
신바이오틱스 구조분석
Fig. 3은 SEM을 활용한
Encapsulation 기술은 식품, 화장품 및 제약 등 산업계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기술로 식품 산업에서도 소재화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ncapsulation 기술 및 RSM을 활용하여 대체 피복물질인 프리바이오틱스(INL) 적용에 따른 다시마 김치 유래
이 논문은 2021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유산균이 살아있는 고농도 발효 GABA소금의 개발 및 상용화 계획 20200073).
Table 1 . Coded levels and variables used in CCD for synbiotics of
Independent variables | Symbol | Range and level | ||
---|---|---|---|---|
−1 | 0 | +1 | ||
Inulin concentration (%, w/v) | x1 | 25 | 30 | 35 |
Inlet temperature (°C) | x2 | 80 | 95 | 110 |
Table 2 . Matrix CCD experimental design for synbiotics of
Run no. | Experimental factor | |||
---|---|---|---|---|
Coded values1) | Actual values | |||
x1 | x2 | Inulin concentration (%, w/v) | Inlet temperature (°C) | |
1 | 0 | 0 | 30 | 95 |
2 | −1 | 0 | 25 | 95 |
3 | 1 | 1 | 35 | 110 |
4 | 1 | 0 | 35 | 95 |
5 | 0 | 1 | 30 | 110 |
6 | 0 | 0 | 30 | 95 |
7 | 1 | −1 | 35 | 80 |
8 | 0 | 0 | 30 | 95 |
9 | 0 | 0 | 30 | 95 |
10 | −1 | 1 | 25 | 110 |
11 | 0 | 0 | 30 | 95 |
12 | −1 | −1 | 25 | 80 |
13 | 0 | −1 | 30 | 80 |
1)x1=Inulin concentration (%), x2=Inlet temperature of spray dryer (°C)..
Table 3 . Experimental design for CCD and its results for synbiotics of
Run no. | Experimental factor | |||
---|---|---|---|---|
Synbiotics condition1) | Y1 (yield, %) | Y2 (survival rate, %) | ||
x1 | x2 | |||
1 | 30 | 95 | 75.84 | 88.12±0.772) |
2 | 25 | 95 | 71.05 | 92.24±0.11 |
3 | 35 | 110 | 72.49 | 84.07±0.47 |
4 | 35 | 95 | 72.98 | 86.46±0.52 |
5 | 30 | 110 | 73.82 | 84.07±0.47 |
6 | 30 | 95 | 76.94 | 87.29±0.11 |
7 | 35 | 80 | 73.54 | 100.43±0.59 |
8 | 30 | 95 | 75.44 | 86.82±0.17 |
9 | 30 | 95 | 78.89 | 83.46±0.11 |
10 | 25 | 110 | 63.39 | 90.79±0.13 |
11 | 30 | 95 | 78.95 | 87.14±0.60 |
12 | 25 | 80 | 68.25 | 98.56±1.35 |
13 | 30 | 80 | 74.29 | 97.47±0.91 |
Predicted | 32 | 80 | 71.7 | 97.43 |
1)x1=inulin concentration (%), x2=inlet temperature of spray dryer (°C)..
2)Mean±SD..
Table 4 .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of CCD for synbiotics of
Independent variables | P-value | ||||
---|---|---|---|---|---|
Model | Linear | Quadratic | Cross-product | Lack of fit | |
Yield (Y1) | 0.002 | 0.016 | 0.001 | 0.322 | 0.364 |
Survival rate (Y2) | 0.000 | 0.000 | 0.001 | 0.031 | 0.748 |
Table 5 . Predicted values from CCD and measured values of yield and survival rate of synbiotics of
Predicted | Measured | |
---|---|---|
Yield | 71.7 | 75.35±0.581) |
Survival rate | 97.43 | 98.12±0.46 |
1)Mean±S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