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11): 1258-1263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11.125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i Yeong Kim , Ha Na Jang, Gi Chang Kim, Hae Ju Kang, and In Guk Hwang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Correspondence to:In Guk Hwang,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66,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gun, Jeonbuk 55365, Korea, E-mail: ighwang79@korea.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ocyanidin is a major functional component of apples. This study sought to verify an analytical method to evaluate the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by varieties, parts, and farms of apples. The linearity of the method developed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was excellent,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2)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9996 and 0.9996, respectively. The limits of detection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70 and 0.77 μg/mL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were 2.14 and 2.32 μ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the intra-day and inter-day were calculated and had excellent precision and was found to be within 5%. The RSD of the recovery rate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68∼3.33% and 1.63∼2.78%, respectively. Through this, the analytical method for estimating procyanidin was confirmed. Analysis of procyanidin in the different apple varieties (Summerking, Gamhong, Hongro, Arisu, Busa), showed that Gamhong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compared to other varieties, and the peel had the highest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When the procyanidin content of Gamhong collected from ten farms was analyzed, the average content of procyanidin B2 in the peel was 9.79 mg/100 g FW and that of procyanidin C1 was 11.58 mg/100 g FW. Heretofore, information on the procyanidin content in apples grown in Korea wa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les.
Keywords: apple, procyanidin B2, procyanidin C1, UPLC, analytical method
사과(
기능 성분이란 원료와 그 원료에 함유된 성분의 효능이 유사하여 상관관계를 가질 때 선정된다(Lee 등, 2021). 사과의 procyanidin은 사과의 기능 성분 중 항산화력 기여도가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Tsao 등, 2005), 사과 폴리페놀 중 procyanidin B의 항염증 활성 기여도가 높다고 보고되었다(Andre 등, 2012). 또한 중성 지방 흡수 억제를 통한 비만 관련 질병 예방(Sugiyama 등, 2007), 모발 성장 개선(Takahashi 등, 2005), 결장암 예방 효과(Gosse 등, 2005) 등이 규명되어 사과의 기능성이 procyanidin으로부터 기인한다는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Procyanidin은 proanthocyanin 그룹이며 주요 성분은 flavan-3-ol을 기본골격으로 한 monomer인 catechin, epicatechin과 dimer인 procyanidin B1, B2, B5 그리고 trimer인 C1과 그 외의 oligomer, polymer 등이 있다(Brownmiller 등, 2009; Hummer와 Schreier 등, 2008). 이들 중 사과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는 procyanidin으로는 procyanidin B2와 C1이 보고되어 있다(Mayr 등, 1995; Guyot 등, 2002). Procyanidin은 oligomer, polymer 특성으로 인해 HPLC로 정량이 어려운 편으로 알려져 있으나 dimer인 procyanidin B1, B2와 trimer인 C1은 HPLC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단일 피크로 분리되기에 사과의 정량 분석 연구에서 주로 분석된다고 알려져 있다(Burda 등, 1990; Perez-Ilzarbe 등, 1991). 이에 따라 사과 내 함유된 함량이 높으며 분리능이 다른 성분보다 뛰어난 procyanidin B2와 C1을 지표 성분으로 선정하였으며,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보고된 선행 연구를 변경하여 본 연구실 조건으로 분석법 설정 및 검증 절차를 거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최근까지 국내외적으로 사과 효능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한 단계 나아가 국내에서 재배되는 사과의 procyanidin 함량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된 사과 품종 5종(썸머킹, 부사, 감홍, 아리수, 홍로)과 주 생산지인 문경으로부터 수확된 감홍 사과의 부위별 procyanidin B2와 C1 정량 분석을 실시하여 사과의 procyanidin 함량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사과 시료는 2020년 7~10월에 경북 문경시농업기술센터 시험포장지에서 재배된 5품종(썸머킹, 부사, 감홍, 아리수, 홍로)과 문경시 소재 농가로부터 감홍 품종 사과 10종을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는 수집 즉시 세척 후 전체, 과육 그리고 껍질 부위로 구분하여 세절한 다음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각 시료는 분쇄하여 -70°C에서 보관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Procyanidin B2와 procyanidin C1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그 밖의 시약은 analytical 및 HPLC 등급을 사용하였다.
사과 procyanidin B2, C1 추출 및 UPLC 분석 방법
Procyanidin 분석용 추출물 제조를 위해 시료 2.00±0.05 g을 50 mL conical tube에 넣고 methanol 25 mL를 넣은 후 1시간 동안 150 rpm으로 shaker(SK-71, Jeio Tech, Daejeon, Korea) 하였다. 3,000 rpm(175×10
Procyanidin B2, C1 분석법 검증
본 연구실의 기기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사과의 procyanidin 분석을 위해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검출한계(limits of detection, LOD), 정량한계(limits of quantification, LOQ), 정밀성(precision) 및 정확성(accuracy)을 분석하여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특이성은 사과 추출물과 표준품의 UV spectrum과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표준품이 다른 성분과의 간섭없이 분리되었는지 검토하여 확인하였다(Fig. 1). 직선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준품을 3.13, 6.25, 12.5, 25, 50 µg/mL 농도로 단계 희석하여 5회 반복 측정하였다. 피크 면적과 시료 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linear regression equation(y=ax+b, y: peak 면적, x: 시료 농도, a: 직선의 기울기, b: y 절편)을 구하였으며 산출된 상관계수(R2)를 확인하여 직선성을 검토하였다. 직선성 검증을 통해 얻은 검량선의 기울기 평균값과 y 절편에 대한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계산하였다.
정밀성을 측정하기 위해 일내(intra-day)분석은 1일 6구간 분석하였고 일간(inter-day)분석은 1일 1구간 6일간 분석하여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를 통해 정밀성을 평가하였다.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3가지 농도(500, 1,000, 2,000 µg/mL)로 조제하고 동일한 분석 조건으로 3회 반복 주입하여 얻은 결과를 회수율(recovery)로 나타내어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 IL, USA)을 이용하였다. 각 측정군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처리 간의 차이 유무를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tion)로 분석한 뒤 다중검정범위(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Procyanidin B2, C1 분석 조건 설정 및 분석법 검증
사과 내 procyanidin B2와 C1 분석을 위한 UPLC 분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성 및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사과 추출물과 표준품의 UPLC 크로마토그램 비교를 통해 머무름 시간을 확인한 결과 procyanidin B2와 C1의 피크가 각각 9.8분과 11.8분으로 일치하여 다른 물질과 간섭없이 양호하게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과 추출물과 표준품의 UV spectrum λ max가 동일함을 확인하여 특이성을 검증하였다(Fig. 1). 직선성은 사과 내 procyanidin B2와 C1 농도가 포함되는 구간으로 선정 후 분석하였고, 검량선의 linear regression equation은 각각 y=2,350.2x+1,081, y=1,189.7x+295.95였으며 상관계수(R2) 값은 각각 0.9996, 0.9996을 나타내어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Table 1). 검증된 검량선의 기울기와 y 절편을 이용하여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계산한 결과 검출한계는 0.70, 0.77 µg/mL, 정량한계는 2.14, 2.32 µg/mL로 나타났다. 정밀성을 확인한 결과 procyanidin B2와 C1의 일내분석 결과는 각각 3.61~3.99, 3.54~3.80 mg/100 g FW를 보였고, 일간분석 결과는 각각 3.57~4.17, 3.41~3.95 mg/100 g FW를 나타내었으며 상대표준편차(RSD) 값이 5% 이내의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냈다. 회수율을 이용하여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과 추출물에 표준품을 첨가하여 회수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procyanidin B2와 C1의 회수율 RSD 값은 각각 0.68~3.30%, 1.63~2.78%를 나타내 RSD 값이 5% 이하의 정확성 있는 검증임을 확인하였다(Table 2).
Table 1 . Validation parameters of the developed UPLC analysis for procyanidin B2 and C1
Procyanidin B2 | Procyanidin C1 | |
---|---|---|
Regression equation | y=2,350.2x+1,081 | y=1,189.7x+295.95 |
Correlation coefficient (R2) | 0.9996 | 0.9996 |
LOD1) (µg/mL) | 0.7 | 0.77 |
LOQ2) (µg/mL) | 2.14 | 2.32 |
Intra-day (n=6) Mean±SD (mg/100 g FW) | 3.77±0.16 | 3.67±0.11 |
RSD3) (%) | 4.17 | 2.97 |
Inter-day (n=6) Mean±SD (mg/100 g FW) | 3.85±0.19 | 3.70±0.14 |
RSD (%) | 3.24 | 2.08 |
1)Limit of detection.
2)Limit of quantification.
3)Relative standard deviation.
Table 2 . Accuracy of UPLC analysis for procyanidin B2 and C1 of apples
Compound | Original (mg/2 g) | Added (mg) | Found (mg/2 g) | Recovery rate (%) | RSD1) (%) |
---|---|---|---|---|---|
Procyanidin B2 | 0.41±0.02 | 0.50 | 0.95±0.01 | 104.64±1.26 | 1.20 |
1.00 | 1.42±0.01 | 101.10±0.69 | 0.68 | ||
2.00 | 2.42±0.08 | 100.40±3.31 | 3.3 | ||
Procyanidin C1 | 0.39±0.01 | 0.50 | 0.92±0.03 | 103.11±2.86 | 2.78 |
1.00 | 1.41±0.04 | 101.75±2.56 | 2.52 | ||
2.00 | 2.37±0.04 | 99.20±1.62 | 1.63 |
1)Relative standard deviation.
사과 품종 및 부위별 procyanidin B2, C1 분석
국내산 사과 품종 5종(썸머킹, 감홍, 홍로, 아리수, 부사)과 부위(전체, 과육, 껍질)별 procyanidin B2와 C1을 분석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Procyanidin B2 분석 결과 사과 5품종의 전체(과육+껍질)와 과육 부위는 모두 부사 품종이 6.12, 5.18 mg/100 g FW의 함량을 보여 유의적으로(
감홍 품종의 농가 및 부위 별 procyanidin B2, C1 분석
경상북도 문경시 소재 농가(GH1~10)로부터 감홍 품종 사과를 수집하여 procyanidin B2와 C1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Procyanidin B2 함량 분석 결과 전체 부위는 1.82~4.46 mg/100 g FW, 과육 부위는 1.28~3.34 mg/100 g FW 함량을 보였으며 껍질 부위는 5.99~13.08 mg/100 g FW 함량을 보여 농가별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procyanidin C1 분석 결과 전체 부위에서 2.22~4.48 mg/100 g FW, 과육 부위에서 1.37~3.35 mg/100 g FW를 보였고 껍질 부위에서 8.42~15.49 mg/100 g FW를 보였으며 procyanidin B2와 C1은 전체와 과육 부위보다 껍질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Table 3 . Content of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by parts and farms of apples
Fruit tissue | Farm name | Procyanidin B2 (mg/100 g FW) | Procyanidin C1 (mg/100 g FW) |
---|---|---|---|
Whole | GH11) | 3.79±0.07bB | 3.76±0.11bBC |
GH2 | 2.94±0.03bC | 3.38±0.07bC | |
GH3 | 4.26±0.56bA | 4.39±0.05bAB | |
GH4 | 4.25±0.07bA | 4.48±0.84bA | |
GH5 | 2.89±0.44bC | 2.70±0.69bB | |
GH6 | 3.24±0.04bC | 3.66±0.13bC | |
GH7 | 1.82±0.18bD | 2.22±0.25bB | |
GH8 | 3.15±0.04bC | 3.52±0.19bC | |
GH9 | 4.46±0.10bA | 3.87±0.09bABC | |
GH10 | 3.77±0.21bB | 3.70±0.04bC | |
Mean | 3.46±0.80 | 3.95±1.36 | |
Flesh | GH1 | 2.70±0.02cC | 2.43±0.05cBC |
GH2 | 1.59±0.01cE | 1.84±0.01cCD | |
GH3 | 3.29±0.30cA | 3.35±0.11bA | |
GH4 | 3.16±0.01cA | 3.36±0.90bA | |
GH5 | 3.20±0.08bA | 2.68±0.04bAB | |
GH6 | 3.34±0.04bA | 3.29±0.08cA | |
GH7 | 1.28±0.05cF | 1.37±0.03cD | |
GH8 | 2.91±0.02bB | 2.72±0.07bAB | |
GH9 | 2.97±0.10cB | 2.02±0.77cBCD | |
GH10 | 2.48±0.07cD | 2.35±0.03cBC | |
Mean | 2.69±0.71 | 3.38±2.78 | |
Peel | GH1 | 9.36±0.45aD | 10.03±0.13aE |
GH2 | 10.74±0.16aC | 13.72±0.67aBC | |
GH3 | 11.86±0.17aB | 13.20±0.98aCD | |
GH4 | 13.08±0.44aA | 14.44±0.41aB | |
GH5 | 7.63±0.38aF | 8.42±0.41aF | |
GH6 | 5.99±0.14aG | 8.62±0.20aF | |
GH7 | 8.03±0.33aEF | 10.59±0.48aE | |
GH8 | 12.71±0.68aA | 15.49±1.07aA | |
GH9 | 8.50±0.44aE | 8.73±0.51aF | |
GH10 | 9.97±0.11aD | 12.61±0.06aD | |
Mean | 9.79±2.32 | 11.58±2.62 |
1)Gamhong.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Chinnici 등(2004)은 사과 껍질 부위의 procyanidin 함량이 높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껍질 부위의 항산화 활성이 높다고 보고하였고, 특히 procyanidin류와 quercetin glycoside가 항산화 활성 기여도가 가장 높다고 밝혔다. 사과의 주 기능 성분인 procyanidin류의 함량을 분석하는 연구는 사과 이용성 증진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국내산 사과의 품종 및 부위뿐 아니라 재배 지역, 재배 조건 등에 따른 폭넓은 연구 또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주 기능 성분인 procyanidin B2와 C1의 정확성 있는 함량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과 품종(썸머킹, 부사, 감홍, 아리수, 홍로)과 부위(전체, 과육, 껍질) 그리고 농가 별 감홍 품종의 procyanidin B2, C1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통해 procyanidin B2, C1의 피크가 다른 물질과의 간섭없이 분리되어 높은 직선성을 가짐을 확인 하였으며 검출한계는 각각 0.70, 0.77 µg/mL, 정량한계는 각각 2.14, 2.32 µg/mL로 나타났다. 또한 정밀성 분석을 위해 실시한 일내, 일간 분석과 정확성 분석을 위해 실시한 회수율 분석에서 모두 상대표준편차(RSD) 값이 5% 이내의 우수한 정밀성과 정확성이 있는 검증임을 확인하여 사과의 정량 분석 실험을 진행하였다. 품종별 함량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감홍 품종의 procyanidin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고 아리수 품종이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함량 분석을 통해 껍질 부위가 전체와 과육 부위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홍 껍질의 procyanidin B2 함량이 14.84 mg/100 g FW를 나타내어 아리수 껍질보다 약 8배 높았으며 감홍 껍질의 procyanidin C1의 함량은 18.34 mg/100 g FW로 확인되어 다섯 품종의 껍질 평균 함량인 10.09 mg/100 g FW보다 월등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농가로부터 수집한 감홍 품종의 전체, 과육, 껍질 부위별 procyanidin B2는 각 1.82~4.46, 1.28~3.34, 5.99~13.08 mg/100 g FW 함량을 보였으며 procyanidin C1은 각 2.22~4.48, 1.37~3.35, 8.42~15.49 mg/100 g FW 함량을 보여 농가 간의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재배 품종, 재배 조건 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국내에서 재배되는 사과 품종의 procyanidin 함량 정보를 정확히 구축하는 것은 사과의 기능 성분 함량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사과의 이용성 증진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는 2021년도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14403) 및 국립농업과학원 전문연구원 과정 지원사업(과제 번호: PJ01514402)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11): 1258-1263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11.125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김지영․장하나․김기창․강해주․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Ji Yeong Kim , Ha Na Jang, Gi Chang Kim, Hae Ju Kang, and In Guk Hwang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Correspondence to:In Guk Hwang,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66,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gun, Jeonbuk 55365, Korea, E-mail: ighwang79@korea.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ocyanidin is a major functional component of apples. This study sought to verify an analytical method to evaluate the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by varieties, parts, and farms of apples. The linearity of the method developed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was excellent,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2)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9996 and 0.9996, respectively. The limits of detection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70 and 0.77 μg/mL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were 2.14 and 2.32 μ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the intra-day and inter-day were calculated and had excellent precision and was found to be within 5%. The RSD of the recovery rate of procyanidin B2 and C1 were 0.68∼3.33% and 1.63∼2.78%, respectively. Through this, the analytical method for estimating procyanidin was confirmed. Analysis of procyanidin in the different apple varieties (Summerking, Gamhong, Hongro, Arisu, Busa), showed that Gamhong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compared to other varieties, and the peel had the highest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When the procyanidin content of Gamhong collected from ten farms was analyzed, the average content of procyanidin B2 in the peel was 9.79 mg/100 g FW and that of procyanidin C1 was 11.58 mg/100 g FW. Heretofore, information on the procyanidin content in apples grown in Korea wa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les.
Keywords: apple, procyanidin B2, procyanidin C1, UPLC, analytical method
사과(
기능 성분이란 원료와 그 원료에 함유된 성분의 효능이 유사하여 상관관계를 가질 때 선정된다(Lee 등, 2021). 사과의 procyanidin은 사과의 기능 성분 중 항산화력 기여도가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Tsao 등, 2005), 사과 폴리페놀 중 procyanidin B의 항염증 활성 기여도가 높다고 보고되었다(Andre 등, 2012). 또한 중성 지방 흡수 억제를 통한 비만 관련 질병 예방(Sugiyama 등, 2007), 모발 성장 개선(Takahashi 등, 2005), 결장암 예방 효과(Gosse 등, 2005) 등이 규명되어 사과의 기능성이 procyanidin으로부터 기인한다는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Procyanidin은 proanthocyanin 그룹이며 주요 성분은 flavan-3-ol을 기본골격으로 한 monomer인 catechin, epicatechin과 dimer인 procyanidin B1, B2, B5 그리고 trimer인 C1과 그 외의 oligomer, polymer 등이 있다(Brownmiller 등, 2009; Hummer와 Schreier 등, 2008). 이들 중 사과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는 procyanidin으로는 procyanidin B2와 C1이 보고되어 있다(Mayr 등, 1995; Guyot 등, 2002). Procyanidin은 oligomer, polymer 특성으로 인해 HPLC로 정량이 어려운 편으로 알려져 있으나 dimer인 procyanidin B1, B2와 trimer인 C1은 HPLC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단일 피크로 분리되기에 사과의 정량 분석 연구에서 주로 분석된다고 알려져 있다(Burda 등, 1990; Perez-Ilzarbe 등, 1991). 이에 따라 사과 내 함유된 함량이 높으며 분리능이 다른 성분보다 뛰어난 procyanidin B2와 C1을 지표 성분으로 선정하였으며,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보고된 선행 연구를 변경하여 본 연구실 조건으로 분석법 설정 및 검증 절차를 거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최근까지 국내외적으로 사과 효능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한 단계 나아가 국내에서 재배되는 사과의 procyanidin 함량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된 사과 품종 5종(썸머킹, 부사, 감홍, 아리수, 홍로)과 주 생산지인 문경으로부터 수확된 감홍 사과의 부위별 procyanidin B2와 C1 정량 분석을 실시하여 사과의 procyanidin 함량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사과 시료는 2020년 7~10월에 경북 문경시농업기술센터 시험포장지에서 재배된 5품종(썸머킹, 부사, 감홍, 아리수, 홍로)과 문경시 소재 농가로부터 감홍 품종 사과 10종을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는 수집 즉시 세척 후 전체, 과육 그리고 껍질 부위로 구분하여 세절한 다음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각 시료는 분쇄하여 -70°C에서 보관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Procyanidin B2와 procyanidin C1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그 밖의 시약은 analytical 및 HPLC 등급을 사용하였다.
사과 procyanidin B2, C1 추출 및 UPLC 분석 방법
Procyanidin 분석용 추출물 제조를 위해 시료 2.00±0.05 g을 50 mL conical tube에 넣고 methanol 25 mL를 넣은 후 1시간 동안 150 rpm으로 shaker(SK-71, Jeio Tech, Daejeon, Korea) 하였다. 3,000 rpm(175×10
Procyanidin B2, C1 분석법 검증
본 연구실의 기기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사과의 procyanidin 분석을 위해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검출한계(limits of detection, LOD), 정량한계(limits of quantification, LOQ), 정밀성(precision) 및 정확성(accuracy)을 분석하여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특이성은 사과 추출물과 표준품의 UV spectrum과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표준품이 다른 성분과의 간섭없이 분리되었는지 검토하여 확인하였다(Fig. 1). 직선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준품을 3.13, 6.25, 12.5, 25, 50 µg/mL 농도로 단계 희석하여 5회 반복 측정하였다. 피크 면적과 시료 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linear regression equation(y=ax+b, y: peak 면적, x: 시료 농도, a: 직선의 기울기, b: y 절편)을 구하였으며 산출된 상관계수(R2)를 확인하여 직선성을 검토하였다. 직선성 검증을 통해 얻은 검량선의 기울기 평균값과 y 절편에 대한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계산하였다.
정밀성을 측정하기 위해 일내(intra-day)분석은 1일 6구간 분석하였고 일간(inter-day)분석은 1일 1구간 6일간 분석하여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를 통해 정밀성을 평가하였다.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3가지 농도(500, 1,000, 2,000 µg/mL)로 조제하고 동일한 분석 조건으로 3회 반복 주입하여 얻은 결과를 회수율(recovery)로 나타내어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 IL, USA)을 이용하였다. 각 측정군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처리 간의 차이 유무를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tion)로 분석한 뒤 다중검정범위(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Procyanidin B2, C1 분석 조건 설정 및 분석법 검증
사과 내 procyanidin B2와 C1 분석을 위한 UPLC 분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성 및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사과 추출물과 표준품의 UPLC 크로마토그램 비교를 통해 머무름 시간을 확인한 결과 procyanidin B2와 C1의 피크가 각각 9.8분과 11.8분으로 일치하여 다른 물질과 간섭없이 양호하게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과 추출물과 표준품의 UV spectrum λ max가 동일함을 확인하여 특이성을 검증하였다(Fig. 1). 직선성은 사과 내 procyanidin B2와 C1 농도가 포함되는 구간으로 선정 후 분석하였고, 검량선의 linear regression equation은 각각 y=2,350.2x+1,081, y=1,189.7x+295.95였으며 상관계수(R2) 값은 각각 0.9996, 0.9996을 나타내어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Table 1). 검증된 검량선의 기울기와 y 절편을 이용하여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계산한 결과 검출한계는 0.70, 0.77 µg/mL, 정량한계는 2.14, 2.32 µg/mL로 나타났다. 정밀성을 확인한 결과 procyanidin B2와 C1의 일내분석 결과는 각각 3.61~3.99, 3.54~3.80 mg/100 g FW를 보였고, 일간분석 결과는 각각 3.57~4.17, 3.41~3.95 mg/100 g FW를 나타내었으며 상대표준편차(RSD) 값이 5% 이내의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냈다. 회수율을 이용하여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과 추출물에 표준품을 첨가하여 회수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procyanidin B2와 C1의 회수율 RSD 값은 각각 0.68~3.30%, 1.63~2.78%를 나타내 RSD 값이 5% 이하의 정확성 있는 검증임을 확인하였다(Table 2).
Table 1 . Validation parameters of the developed UPLC analysis for procyanidin B2 and C1.
Procyanidin B2 | Procyanidin C1 | |
---|---|---|
Regression equation | y=2,350.2x+1,081 | y=1,189.7x+295.95 |
Correlation coefficient (R2) | 0.9996 | 0.9996 |
LOD1) (µg/mL) | 0.7 | 0.77 |
LOQ2) (µg/mL) | 2.14 | 2.32 |
Intra-day (n=6) Mean±SD (mg/100 g FW) | 3.77±0.16 | 3.67±0.11 |
RSD3) (%) | 4.17 | 2.97 |
Inter-day (n=6) Mean±SD (mg/100 g FW) | 3.85±0.19 | 3.70±0.14 |
RSD (%) | 3.24 | 2.08 |
1)Limit of detection..
2)Limit of quantification..
3)Relative standard deviation..
Table 2 . Accuracy of UPLC analysis for procyanidin B2 and C1 of apples.
Compound | Original (mg/2 g) | Added (mg) | Found (mg/2 g) | Recovery rate (%) | RSD1) (%) |
---|---|---|---|---|---|
Procyanidin B2 | 0.41±0.02 | 0.50 | 0.95±0.01 | 104.64±1.26 | 1.20 |
1.00 | 1.42±0.01 | 101.10±0.69 | 0.68 | ||
2.00 | 2.42±0.08 | 100.40±3.31 | 3.3 | ||
Procyanidin C1 | 0.39±0.01 | 0.50 | 0.92±0.03 | 103.11±2.86 | 2.78 |
1.00 | 1.41±0.04 | 101.75±2.56 | 2.52 | ||
2.00 | 2.37±0.04 | 99.20±1.62 | 1.63 |
1)Relative standard deviation..
사과 품종 및 부위별 procyanidin B2, C1 분석
국내산 사과 품종 5종(썸머킹, 감홍, 홍로, 아리수, 부사)과 부위(전체, 과육, 껍질)별 procyanidin B2와 C1을 분석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Procyanidin B2 분석 결과 사과 5품종의 전체(과육+껍질)와 과육 부위는 모두 부사 품종이 6.12, 5.18 mg/100 g FW의 함량을 보여 유의적으로(
감홍 품종의 농가 및 부위 별 procyanidin B2, C1 분석
경상북도 문경시 소재 농가(GH1~10)로부터 감홍 품종 사과를 수집하여 procyanidin B2와 C1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Procyanidin B2 함량 분석 결과 전체 부위는 1.82~4.46 mg/100 g FW, 과육 부위는 1.28~3.34 mg/100 g FW 함량을 보였으며 껍질 부위는 5.99~13.08 mg/100 g FW 함량을 보여 농가별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procyanidin C1 분석 결과 전체 부위에서 2.22~4.48 mg/100 g FW, 과육 부위에서 1.37~3.35 mg/100 g FW를 보였고 껍질 부위에서 8.42~15.49 mg/100 g FW를 보였으며 procyanidin B2와 C1은 전체와 과육 부위보다 껍질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Table 3 . Content of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by parts and farms of apples.
Fruit tissue | Farm name | Procyanidin B2 (mg/100 g FW) | Procyanidin C1 (mg/100 g FW) |
---|---|---|---|
Whole | GH11) | 3.79±0.07bB | 3.76±0.11bBC |
GH2 | 2.94±0.03bC | 3.38±0.07bC | |
GH3 | 4.26±0.56bA | 4.39±0.05bAB | |
GH4 | 4.25±0.07bA | 4.48±0.84bA | |
GH5 | 2.89±0.44bC | 2.70±0.69bB | |
GH6 | 3.24±0.04bC | 3.66±0.13bC | |
GH7 | 1.82±0.18bD | 2.22±0.25bB | |
GH8 | 3.15±0.04bC | 3.52±0.19bC | |
GH9 | 4.46±0.10bA | 3.87±0.09bABC | |
GH10 | 3.77±0.21bB | 3.70±0.04bC | |
Mean | 3.46±0.80 | 3.95±1.36 | |
Flesh | GH1 | 2.70±0.02cC | 2.43±0.05cBC |
GH2 | 1.59±0.01cE | 1.84±0.01cCD | |
GH3 | 3.29±0.30cA | 3.35±0.11bA | |
GH4 | 3.16±0.01cA | 3.36±0.90bA | |
GH5 | 3.20±0.08bA | 2.68±0.04bAB | |
GH6 | 3.34±0.04bA | 3.29±0.08cA | |
GH7 | 1.28±0.05cF | 1.37±0.03cD | |
GH8 | 2.91±0.02bB | 2.72±0.07bAB | |
GH9 | 2.97±0.10cB | 2.02±0.77cBCD | |
GH10 | 2.48±0.07cD | 2.35±0.03cBC | |
Mean | 2.69±0.71 | 3.38±2.78 | |
Peel | GH1 | 9.36±0.45aD | 10.03±0.13aE |
GH2 | 10.74±0.16aC | 13.72±0.67aBC | |
GH3 | 11.86±0.17aB | 13.20±0.98aCD | |
GH4 | 13.08±0.44aA | 14.44±0.41aB | |
GH5 | 7.63±0.38aF | 8.42±0.41aF | |
GH6 | 5.99±0.14aG | 8.62±0.20aF | |
GH7 | 8.03±0.33aEF | 10.59±0.48aE | |
GH8 | 12.71±0.68aA | 15.49±1.07aA | |
GH9 | 8.50±0.44aE | 8.73±0.51aF | |
GH10 | 9.97±0.11aD | 12.61±0.06aD | |
Mean | 9.79±2.32 | 11.58±2.62 |
1)Gamhong.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Chinnici 등(2004)은 사과 껍질 부위의 procyanidin 함량이 높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껍질 부위의 항산화 활성이 높다고 보고하였고, 특히 procyanidin류와 quercetin glycoside가 항산화 활성 기여도가 가장 높다고 밝혔다. 사과의 주 기능 성분인 procyanidin류의 함량을 분석하는 연구는 사과 이용성 증진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국내산 사과의 품종 및 부위뿐 아니라 재배 지역, 재배 조건 등에 따른 폭넓은 연구 또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주 기능 성분인 procyanidin B2와 C1의 정확성 있는 함량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과 품종(썸머킹, 부사, 감홍, 아리수, 홍로)과 부위(전체, 과육, 껍질) 그리고 농가 별 감홍 품종의 procyanidin B2, C1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통해 procyanidin B2, C1의 피크가 다른 물질과의 간섭없이 분리되어 높은 직선성을 가짐을 확인 하였으며 검출한계는 각각 0.70, 0.77 µg/mL, 정량한계는 각각 2.14, 2.32 µg/mL로 나타났다. 또한 정밀성 분석을 위해 실시한 일내, 일간 분석과 정확성 분석을 위해 실시한 회수율 분석에서 모두 상대표준편차(RSD) 값이 5% 이내의 우수한 정밀성과 정확성이 있는 검증임을 확인하여 사과의 정량 분석 실험을 진행하였다. 품종별 함량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감홍 품종의 procyanidin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고 아리수 품종이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함량 분석을 통해 껍질 부위가 전체와 과육 부위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홍 껍질의 procyanidin B2 함량이 14.84 mg/100 g FW를 나타내어 아리수 껍질보다 약 8배 높았으며 감홍 껍질의 procyanidin C1의 함량은 18.34 mg/100 g FW로 확인되어 다섯 품종의 껍질 평균 함량인 10.09 mg/100 g FW보다 월등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농가로부터 수집한 감홍 품종의 전체, 과육, 껍질 부위별 procyanidin B2는 각 1.82~4.46, 1.28~3.34, 5.99~13.08 mg/100 g FW 함량을 보였으며 procyanidin C1은 각 2.22~4.48, 1.37~3.35, 8.42~15.49 mg/100 g FW 함량을 보여 농가 간의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재배 품종, 재배 조건 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국내에서 재배되는 사과 품종의 procyanidin 함량 정보를 정확히 구축하는 것은 사과의 기능 성분 함량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사과의 이용성 증진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는 2021년도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14403) 및 국립농업과학원 전문연구원 과정 지원사업(과제 번호: PJ01514402)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Table 1 . Validation parameters of the developed UPLC analysis for procyanidin B2 and C1.
Procyanidin B2 | Procyanidin C1 | |
---|---|---|
Regression equation | y=2,350.2x+1,081 | y=1,189.7x+295.95 |
Correlation coefficient (R2) | 0.9996 | 0.9996 |
LOD1) (µg/mL) | 0.7 | 0.77 |
LOQ2) (µg/mL) | 2.14 | 2.32 |
Intra-day (n=6) Mean±SD (mg/100 g FW) | 3.77±0.16 | 3.67±0.11 |
RSD3) (%) | 4.17 | 2.97 |
Inter-day (n=6) Mean±SD (mg/100 g FW) | 3.85±0.19 | 3.70±0.14 |
RSD (%) | 3.24 | 2.08 |
1)Limit of detection..
2)Limit of quantification..
3)Relative standard deviation..
Table 2 . Accuracy of UPLC analysis for procyanidin B2 and C1 of apples.
Compound | Original (mg/2 g) | Added (mg) | Found (mg/2 g) | Recovery rate (%) | RSD1) (%) |
---|---|---|---|---|---|
Procyanidin B2 | 0.41±0.02 | 0.50 | 0.95±0.01 | 104.64±1.26 | 1.20 |
1.00 | 1.42±0.01 | 101.10±0.69 | 0.68 | ||
2.00 | 2.42±0.08 | 100.40±3.31 | 3.3 | ||
Procyanidin C1 | 0.39±0.01 | 0.50 | 0.92±0.03 | 103.11±2.86 | 2.78 |
1.00 | 1.41±0.04 | 101.75±2.56 | 2.52 | ||
2.00 | 2.37±0.04 | 99.20±1.62 | 1.63 |
1)Relative standard deviation..
Table 3 . Content of procyanidin B2 and C1 content by parts and farms of apples.
Fruit tissue | Farm name | Procyanidin B2 (mg/100 g FW) | Procyanidin C1 (mg/100 g FW) |
---|---|---|---|
Whole | GH11) | 3.79±0.07bB | 3.76±0.11bBC |
GH2 | 2.94±0.03bC | 3.38±0.07bC | |
GH3 | 4.26±0.56bA | 4.39±0.05bAB | |
GH4 | 4.25±0.07bA | 4.48±0.84bA | |
GH5 | 2.89±0.44bC | 2.70±0.69bB | |
GH6 | 3.24±0.04bC | 3.66±0.13bC | |
GH7 | 1.82±0.18bD | 2.22±0.25bB | |
GH8 | 3.15±0.04bC | 3.52±0.19bC | |
GH9 | 4.46±0.10bA | 3.87±0.09bABC | |
GH10 | 3.77±0.21bB | 3.70±0.04bC | |
Mean | 3.46±0.80 | 3.95±1.36 | |
Flesh | GH1 | 2.70±0.02cC | 2.43±0.05cBC |
GH2 | 1.59±0.01cE | 1.84±0.01cCD | |
GH3 | 3.29±0.30cA | 3.35±0.11bA | |
GH4 | 3.16±0.01cA | 3.36±0.90bA | |
GH5 | 3.20±0.08bA | 2.68±0.04bAB | |
GH6 | 3.34±0.04bA | 3.29±0.08cA | |
GH7 | 1.28±0.05cF | 1.37±0.03cD | |
GH8 | 2.91±0.02bB | 2.72±0.07bAB | |
GH9 | 2.97±0.10cB | 2.02±0.77cBCD | |
GH10 | 2.48±0.07cD | 2.35±0.03cBC | |
Mean | 2.69±0.71 | 3.38±2.78 | |
Peel | GH1 | 9.36±0.45aD | 10.03±0.13aE |
GH2 | 10.74±0.16aC | 13.72±0.67aBC | |
GH3 | 11.86±0.17aB | 13.20±0.98aCD | |
GH4 | 13.08±0.44aA | 14.44±0.41aB | |
GH5 | 7.63±0.38aF | 8.42±0.41aF | |
GH6 | 5.99±0.14aG | 8.62±0.20aF | |
GH7 | 8.03±0.33aEF | 10.59±0.48aE | |
GH8 | 12.71±0.68aA | 15.49±1.07aA | |
GH9 | 8.50±0.44aE | 8.73±0.51aF | |
GH10 | 9.97±0.11aD | 12.61±0.06aD | |
Mean | 9.79±2.32 | 11.58±2.62 |
1)Gamhong.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