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5; 54(2): 195-201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https://doi.org/10.3746/jkfn.2025.54.2.19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une-Seok Lim1 , Geon Oh1
, Ji-Hyun Im1
, Xiaolu Fu1
, Min-Hye Kim1
, Jin-Ho Roh2
, and Ok-Hwan Lee1
1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IR H&C Co., Ltd.
Correspondence to:Ok-Hwan Lee,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Enviro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Kangwondaehak-gil, Chuncheon-si, Gangwon 24341, Korea, E-mail: loh99@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bioactive compound of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prepared using two extraction solvents (hot water and 40% ethanol).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extraction conditions (extraction solvent) for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the total phenol content (TPC)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evaluated. We also validated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marker compound, luteolin by evaluating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the develop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0% ethanol extract than in the hot water extract. The extraction yield of the standardized 40% ethanol extract was 16.56%. Luteolin in 4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a bioactive compound. However, p-coumaric acid was not detectab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calibration curve for the determination of luteolin in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was 1.0000. The LOD and LOQ were 0.12 μg/mL and 0.36 μg/mL, respectively. The inter-day and intra-day precision values were 0.09∼2.50% and 0.21∼1.44%, respectively. The inter-day and intra-day accuracies were 99.57∼98.52, and 97.12∼99.11% respectively. Thus, the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luteolin in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was validated.
Keywords: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standardization, antioxidant, luteolin, method validation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불리는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OH), hydrogen peroxide(H2O2) 등은 산화력이 강한 산소로 호흡을 통해 체내 유입된 산소가 산화 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며, 생체조직을 공격하거나 세포손상을 일으키므로 각종 질병과 관련이 있다(Rhim과 Choi, 2011). 따라서 최근 이러한 ROS를 제거하여 생체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성되는 산화물질들을 방어하는 항산화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부작용을 야기하는 화학 물질보다 안전한 식물계에 널리 분포된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차풀(
나고야 의정서 이후 국내 유전자원 보호를 위해 관련 전통지식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 천연물자원 중 식품원재료 database에 등재된 원재료에 관한 기능성 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화하는 연구는 시의적절하다고 판단된다(Choi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는 차풀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추출 용매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통해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차풀 추출물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법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gallic acid, sodium carbonate, DPPH, acetic acid,
본 연구에 사용한 차풀은 강원약초에서 구입하여 40 mesh 이하로 분쇄한 후 4°C에 보관하였다. 차풀 추출물은 Choi 등(2019)의 방법을 변형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실 추출장비를 활용하여 50 g의 시료에 500 mL의 열수 및 40% 에탄올(Daejung Chemical Co.)을 첨가하였으며, 80°C에서 2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Whatman No.2 filter paper(Whatman Ltd.)로 여과한 후, 회전 진공 농축기(Tokyo Rikakikai Co., Ltd.)를 사용하여 40°C에서 농축하였고, 동결건조(Ilshinbiobase Co., Ltd.)하여 분말화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Sato 등, 1996). 각 시료 1 mL에 2% sodium carbonate 용액 1 mL와 10% Folin-Ciocalteu’s reagent 1 mL를 혼합한 후 암소에서 1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표준곡선(y=16.901x-0.011, R2=0.9982)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총 페놀 함량(mg GAE/g)을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내의 항산화 물질이 자유라디칼인 DPPH 시약과 반응하여 자유라디칼이 소거되면서 자색에서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Stagos 등(2012)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에탄올로 용해한 0.4 mM DPPH 용액 0.8 mL와 시료 0.2 mL를 혼합한 후 암소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최근 연구에서 차풀 추출물에 bioactive compound로 보고된
Table 1 . HPLC conditions of
Instrument | Conditions | |||
---|---|---|---|---|
Analytes Column Column temperature | CapcellPakC18 UG120 (250×4.6 mm, 5 μm) 35°C | Luteolin CapcellPakC18 UG120 (250×4.6 mm, 5 μm) 35°C | ||
Mobile phase | A: acetonitrile B: 0.02M sodium acetate buffer (pH 4.3 with acetic acid)=2:8 | Time (min) | A: 0.1% formic acid in DDW | B: acetonitrile |
0 20 25 30 35 | 95 50 30 95 95 | 5 50 70 5 5 | ||
Detector Flow rate Injection volume | PDA 284 nm 1.0 mL/min 10 μL | PDA 350 nm 1.0 mL/min 10 μL |
HPLC를 이용한
Ct: Concentration of test sample added standard solution
Cu: Concentration of test sample
Ca: Concentration of standard solution
지표성분 luteolin의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는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다음 식을 이용하여 나타냈다.
LOD=3.3σ/S
LOQ=10σ/S
σ: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S: 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표현하였고, 통계 처리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6(SPSS In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인 페놀성 화합물은 체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어 만성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고혈압, 항당뇨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다(Van Hung, 2016). 이러한 페놀 화합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된 용매의 극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용해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Naczk와 Shahidi, 2006). 일반적으로 에탄올과 물 혼합물이 식물에서 페놀성 화합물을 추출하는데 사용된다(Bahorun 등, 2004; Durling 등, 2007). 본 연구에서 차풀 추출물의 추출 용매별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은 29.17±0.12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80.27±1.11 mg GAE/g으로 나타났다(Fig. 1A). 이러한 결과는 유근피 추출 시 용매의 에탄올 함량이 높을수록 총 페놀 함량이 증가했다는 Kim 등(201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열수 추출물이 20.96~32.36%, 40% 에탄올 추출물이 36.10~79.60%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Fig. 1B). Kim 등(2006)은 감초의 용매별 및 시간별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였는데,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지표성분이란 해당 성분의 농도와 효능 간의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을 경우 원재료를 확인할 수 있고 대표할 수 있는 성분으로, 건강기능식품 개발 시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해서 지표성분을 선정하여 표준화하고 기능성 원료에 대한 기준규격을 설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Jeon 등, 2016). 특이성이란, 분석법이 다른 성분의 간섭 없이 추출물이나 혼합물에서 분석대상물질을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Marín 등, 2002).
반면 luteolin의 경우 표준물질과 차풀 추출물을 분석하였을 때 luetolin의 머무름시간은 17.901분으로 나타났으며(Fig. 3A, 3B), 두 피크의 PDA spectrum을 확인한 결과 유사한 spectrum을 나타내었다(Fig. 3C, 3D). 이를 통하여 본 분석법의 특이성을 확인하였으며, luteolin을 차풀 추출물의 지표성분으로 설정하고 분석법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직선성이란 시료 중 일정 범위 내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의 양에 비례하는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y축을 peak 면적, x축을 표준용액의 농도(μg/mL)로 하여 작성된 calibration curve의 R2값으로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다(Choi 등, 2020). Luteolin 표준용액을 6.25, 12.5, 25, 50, 100 µg/mL 농도로 희석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 표준검량선이 y=46,022x+12,565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R2) 값은 1로 나타나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Fig. 3E). 정밀성은 균질한 시료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을 말한다(Fatariah 등, 2014). 차풀 추출물 중 luteolin 분석법의 정밀성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Intra-day 정밀도에서 0.09~2.50%를 나타내었고 inter-day 정밀도에서는 0.21~1.44%로 5% 이하의 우수한 정밀도를 보였다. 정확성은 측정값이 이미 알고 있는 참값이나 표준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하며 회수율(recovery)로 나타낸다(Bressolle 등, 1996).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6.25, 25, 100 µg/mL)이 첨가된 차풀 추출물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회수율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차풀 추출물 중 luteolin 분석법의 정확성을 측정한 결과, intra-day에서의 정확성은 93.57~98.52%를 나타냈으며, inter-day의 정확성은 97.12~99.11%를 나타내어 80~120% 분석오차를 만족하였다. 검출한계는 시료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을 말하며 정량한계는 적절한 정밀성과 정확성을 가진 정량값을 표현할 수 있는 시료 중 분석대상물질의 최소량을 말한다(Vial과 Jardy, 1999).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의 분석 결과 luteolin의 검출한계는 0.12 μg/mL로 측정되었으며 정량한계는 0.36 μg/mL로 계산되었다 (Table 2).
Table 2 .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luteolin analysis for
Matrix | Analyte | Concentration (μg/mL) | Mean±SD (μg/mL) | RSD (%) | Recovery (%) | LOD (μg/mL) | LOQ (μg/mL) | |
---|---|---|---|---|---|---|---|---|
H. Ohashi extract | Luteolin | Intra-day | 6.25 25 100 | 5.85±0.15 23.86±0.10 98.52±0.09 | 2.50 0.41 0.09 | 93.57 95.44 98.52 | 0.12 | 0.36 |
Inter-day | 6.25 25 100 | 6.19±0.04 24.28±0.35 98.32±0.20 | 0.71 1.44 0.21 | 99.11 97.12 98.32 |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차풀 추출물(추출수율 16.56%, data not shown) 내 luteol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2.68±0.01 mg/g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러한 결과는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보다 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본 분석법을 이용하여 차풀 추출물의 luteolin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차풀의 유용성분 및 지표성분으로 luteolin을 선정할 시 본 연구의 분석법을 통한 원료 표준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3 . Contents of luteolin in
Analytes | Sample | Mean±SD (mg/g) | RSD (%) |
---|---|---|---|
Luteolin | (Siebold) H. Ohashi extract | 2.68±0.01 | 0.30 |
본 연구는 차풀을 항산화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추출용매(열수 및 40% 에탄올)를 달리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조건 최적화를 위하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차풀 추출물의 원료 표준화를 위하여 지표성분 분석법 개발 및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uteolin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였으며 HPLC-PDA로 분석하여 특이성, 직전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측정을 통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차풀 추출물은 4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높은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개발된 분석법을 통하여 luteolin을 분석하였을 때 차풀 추출물 내 다른 물질과의 간섭없이 분리되고 표준물질의 머무름시간이 일치하였으며, PDA-spectrum을 확인한 결과 유사한 형태의 spectrum을 확인하였다. Luteolin의 검량선은 상관계수 1로 나타나 우수한 직전성을 나타내었으며, 6.25, 25, 100 μg/mL의 luteolin을 차풀 추출물에 첨가하여 분석한 luteolin의 일간 및 일내 정밀성은 0.09~2.50% 및 0.21~1.44%로 나타났으며, 일간 및 일내 정확성은 93.57~98.52% 및 97.12~99.11%로 우수한 정밀성 및 정확성을 나타냈다. Luteolin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12 µg/mL 및 0.36 µg/mL로 나타나 저농도에서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으로 차풀 추출물의 luteol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2.68±0.01 mg/g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차풀 추출물의 luteolin 분석법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측정을 통해 우수한 분석법임이 검증되었으며, 차풀 추출물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재원(RS-2024-00426201)과 한국연구재단의 재원(4299990913942, 2021R1A6A1A03044242 및 2017RID1A3B06028469)으로 수행된 연구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5; 54(2): 195-201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https://doi.org/10.3746/jkfn.2025.54.2.19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임준석1·오 건1·임지현1·부효옥1·김민혜1·노진호2·이옥환1
1강원대학교 식품환경융합학과 2(주)아이알에이치앤씨
June-Seok Lim1 , Geon Oh1
, Ji-Hyun Im1
, Xiaolu Fu1
, Min-Hye Kim1
, Jin-Ho Roh2
, and Ok-Hwan Lee1
1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IR H&C Co., Ltd.
Correspondence to:Ok-Hwan Lee,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Enviro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Kangwondaehak-gil, Chuncheon-si, Gangwon 24341, Korea, E-mail: loh99@kangwon.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bioactive compound of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prepared using two extraction solvents (hot water and 40% ethanol).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extraction conditions (extraction solvent) for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the total phenol content (TPC)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evaluated. We also validated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marker compound, luteolin by evaluating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the develop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0% ethanol extract than in the hot water extract. The extraction yield of the standardized 40% ethanol extract was 16.56%. Luteolin in 40%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be a bioactive compound. However, p-coumaric acid was not detectab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calibration curve for the determination of luteolin in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was 1.0000. The LOD and LOQ were 0.12 μg/mL and 0.36 μg/mL, respectively. The inter-day and intra-day precision values were 0.09∼2.50% and 0.21∼1.44%, respectively. The inter-day and intra-day accuracies were 99.57∼98.52, and 97.12∼99.11% respectively. Thus, the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luteolin in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extract was validated.
Keywords: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 Ohashi, standardization, antioxidant, luteolin, method validation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불리는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OH), hydrogen peroxide(H2O2) 등은 산화력이 강한 산소로 호흡을 통해 체내 유입된 산소가 산화 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며, 생체조직을 공격하거나 세포손상을 일으키므로 각종 질병과 관련이 있다(Rhim과 Choi, 2011). 따라서 최근 이러한 ROS를 제거하여 생체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성되는 산화물질들을 방어하는 항산화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부작용을 야기하는 화학 물질보다 안전한 식물계에 널리 분포된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차풀(
나고야 의정서 이후 국내 유전자원 보호를 위해 관련 전통지식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 천연물자원 중 식품원재료 database에 등재된 원재료에 관한 기능성 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화하는 연구는 시의적절하다고 판단된다(Choi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는 차풀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추출 용매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통해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차풀 추출물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법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gallic acid, sodium carbonate, DPPH, acetic acid,
본 연구에 사용한 차풀은 강원약초에서 구입하여 40 mesh 이하로 분쇄한 후 4°C에 보관하였다. 차풀 추출물은 Choi 등(2019)의 방법을 변형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실 추출장비를 활용하여 50 g의 시료에 500 mL의 열수 및 40% 에탄올(Daejung Chemical Co.)을 첨가하였으며, 80°C에서 2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Whatman No.2 filter paper(Whatman Ltd.)로 여과한 후, 회전 진공 농축기(Tokyo Rikakikai Co., Ltd.)를 사용하여 40°C에서 농축하였고, 동결건조(Ilshinbiobase Co., Ltd.)하여 분말화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Sato 등, 1996). 각 시료 1 mL에 2% sodium carbonate 용액 1 mL와 10% Folin-Ciocalteu’s reagent 1 mL를 혼합한 후 암소에서 1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표준곡선(y=16.901x-0.011, R2=0.9982)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총 페놀 함량(mg GAE/g)을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내의 항산화 물질이 자유라디칼인 DPPH 시약과 반응하여 자유라디칼이 소거되면서 자색에서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Stagos 등(2012)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에탄올로 용해한 0.4 mM DPPH 용액 0.8 mL와 시료 0.2 mL를 혼합한 후 암소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최근 연구에서 차풀 추출물에 bioactive compound로 보고된
Table 1 . HPLC conditions of
Instrument. | Conditions. | |||
---|---|---|---|---|
Analytes. Column. Column temperature. | CapcellPakC18 UG120 (250×4.6 mm, 5 μm). 35°C. | Luteolin. CapcellPakC18 UG120 (250×4.6 mm, 5 μm). 35°C. | ||
Mobile phase. | A: acetonitrile. B: 0.02M sodium acetate buffer. (pH 4.3 with acetic acid)=2:8. | Time. (min). | A: 0.1% formic. acid in DDW. | B: acetonitrile. |
0. 20. 25. 30. 35. | 95. 50. 30. 95. 95. | 5. 50. 70. 5. 5. | ||
Detector. Flow rate. Injection volume. | PDA 284 nm. 1.0 mL/min. 10 μL. | PDA 350 nm. 1.0 mL/min. 10 μL. |
HPLC를 이용한
Ct: Concentration of test sample added standard solution
Cu: Concentration of test sample
Ca: Concentration of standard solution
지표성분 luteolin의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는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다음 식을 이용하여 나타냈다.
LOD=3.3σ/S
LOQ=10σ/S
σ: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S: 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표현하였고, 통계 처리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6(SPSS In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인 페놀성 화합물은 체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어 만성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고혈압, 항당뇨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다(Van Hung, 2016). 이러한 페놀 화합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된 용매의 극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용해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Naczk와 Shahidi, 2006). 일반적으로 에탄올과 물 혼합물이 식물에서 페놀성 화합물을 추출하는데 사용된다(Bahorun 등, 2004; Durling 등, 2007). 본 연구에서 차풀 추출물의 추출 용매별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은 29.17±0.12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80.27±1.11 mg GAE/g으로 나타났다(Fig. 1A). 이러한 결과는 유근피 추출 시 용매의 에탄올 함량이 높을수록 총 페놀 함량이 증가했다는 Kim 등(201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열수 추출물이 20.96~32.36%, 40% 에탄올 추출물이 36.10~79.60%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Fig. 1B). Kim 등(2006)은 감초의 용매별 및 시간별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였는데,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지표성분이란 해당 성분의 농도와 효능 간의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을 경우 원재료를 확인할 수 있고 대표할 수 있는 성분으로, 건강기능식품 개발 시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해서 지표성분을 선정하여 표준화하고 기능성 원료에 대한 기준규격을 설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Jeon 등, 2016). 특이성이란, 분석법이 다른 성분의 간섭 없이 추출물이나 혼합물에서 분석대상물질을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Marín 등, 2002).
반면 luteolin의 경우 표준물질과 차풀 추출물을 분석하였을 때 luetolin의 머무름시간은 17.901분으로 나타났으며(Fig. 3A, 3B), 두 피크의 PDA spectrum을 확인한 결과 유사한 spectrum을 나타내었다(Fig. 3C, 3D). 이를 통하여 본 분석법의 특이성을 확인하였으며, luteolin을 차풀 추출물의 지표성분으로 설정하고 분석법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직선성이란 시료 중 일정 범위 내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의 양에 비례하는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y축을 peak 면적, x축을 표준용액의 농도(μg/mL)로 하여 작성된 calibration curve의 R2값으로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다(Choi 등, 2020). Luteolin 표준용액을 6.25, 12.5, 25, 50, 100 µg/mL 농도로 희석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 표준검량선이 y=46,022x+12,565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R2) 값은 1로 나타나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Fig. 3E). 정밀성은 균질한 시료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을 말한다(Fatariah 등, 2014). 차풀 추출물 중 luteolin 분석법의 정밀성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Intra-day 정밀도에서 0.09~2.50%를 나타내었고 inter-day 정밀도에서는 0.21~1.44%로 5% 이하의 우수한 정밀도를 보였다. 정확성은 측정값이 이미 알고 있는 참값이나 표준값에 근접한 정도를 말하며 회수율(recovery)로 나타낸다(Bressolle 등, 1996).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6.25, 25, 100 µg/mL)이 첨가된 차풀 추출물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회수율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차풀 추출물 중 luteolin 분석법의 정확성을 측정한 결과, intra-day에서의 정확성은 93.57~98.52%를 나타냈으며, inter-day의 정확성은 97.12~99.11%를 나타내어 80~120% 분석오차를 만족하였다. 검출한계는 시료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을 말하며 정량한계는 적절한 정밀성과 정확성을 가진 정량값을 표현할 수 있는 시료 중 분석대상물질의 최소량을 말한다(Vial과 Jardy, 1999).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의 분석 결과 luteolin의 검출한계는 0.12 μg/mL로 측정되었으며 정량한계는 0.36 μg/mL로 계산되었다 (Table 2).
Table 2 .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luteolin analysis for
Matrix. | Analyte. | Concentration. (μg/mL). | Mean±SD. (μg/mL). | RSD (%). | Recovery (%). | LOD. (μg/mL). | LOQ. (μg/mL). | |
---|---|---|---|---|---|---|---|---|
H. Ohashi extract. | Luteolin. | Intra-day. | 6.25. 25. 100. | 5.85±0.15. 23.86±0.10. 98.52±0.09. | 2.50. 0.41. 0.09. | 93.57. 95.44. 98.52. | 0.12. | 0.36. |
Inter-day. | 6.25. 25. 100. | 6.19±0.04. 24.28±0.35. 98.32±0.20. | 0.71. 1.44. 0.21. | 99.11. 97.12. 98.32. |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차풀 추출물(추출수율 16.56%, data not shown) 내 luteol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2.68±0.01 mg/g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러한 결과는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보다 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본 분석법을 이용하여 차풀 추출물의 luteolin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차풀의 유용성분 및 지표성분으로 luteolin을 선정할 시 본 연구의 분석법을 통한 원료 표준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3 . Contents of luteolin in
Analytes. | Sample. | Mean±SD. (mg/g). | RSD. (%). |
---|---|---|---|
Luteolin. | (Siebold) H. Ohashi extract. | 2.68±0.01. | 0.30. |
본 연구는 차풀을 항산화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추출용매(열수 및 40% 에탄올)를 달리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조건 최적화를 위하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차풀 추출물의 원료 표준화를 위하여 지표성분 분석법 개발 및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uteolin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였으며 HPLC-PDA로 분석하여 특이성, 직전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측정을 통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차풀 추출물은 4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높은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개발된 분석법을 통하여 luteolin을 분석하였을 때 차풀 추출물 내 다른 물질과의 간섭없이 분리되고 표준물질의 머무름시간이 일치하였으며, PDA-spectrum을 확인한 결과 유사한 형태의 spectrum을 확인하였다. Luteolin의 검량선은 상관계수 1로 나타나 우수한 직전성을 나타내었으며, 6.25, 25, 100 μg/mL의 luteolin을 차풀 추출물에 첨가하여 분석한 luteolin의 일간 및 일내 정밀성은 0.09~2.50% 및 0.21~1.44%로 나타났으며, 일간 및 일내 정확성은 93.57~98.52% 및 97.12~99.11%로 우수한 정밀성 및 정확성을 나타냈다. Luteolin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12 µg/mL 및 0.36 µg/mL로 나타나 저농도에서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으로 차풀 추출물의 luteol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2.68±0.01 mg/g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차풀 추출물의 luteolin 분석법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측정을 통해 우수한 분석법임이 검증되었으며, 차풀 추출물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재원(RS-2024-00426201)과 한국연구재단의 재원(4299990913942, 2021R1A6A1A03044242 및 2017RID1A3B06028469)으로 수행된 연구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Table 1 . HPLC conditions of
Instrument. | Conditions. | |||
---|---|---|---|---|
Analytes. Column. Column temperature. | CapcellPakC18 UG120 (250×4.6 mm, 5 μm). 35°C. | Luteolin. CapcellPakC18 UG120 (250×4.6 mm, 5 μm). 35°C. | ||
Mobile phase. | A: acetonitrile. B: 0.02M sodium acetate buffer. (pH 4.3 with acetic acid)=2:8. | Time. (min). | A: 0.1% formic. acid in DDW. | B: acetonitrile. |
0. 20. 25. 30. 35. | 95. 50. 30. 95. 95. | 5. 50. 70. 5. 5. | ||
Detector. Flow rate. Injection volume. | PDA 284 nm. 1.0 mL/min. 10 μL. | PDA 350 nm. 1.0 mL/min. 10 μL. |
Table 2 .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luteolin analysis for
Matrix. | Analyte. | Concentration. (μg/mL). | Mean±SD. (μg/mL). | RSD (%). | Recovery (%). | LOD. (μg/mL). | LOQ. (μg/mL). | |
---|---|---|---|---|---|---|---|---|
H. Ohashi extract. | Luteolin. | Intra-day. | 6.25. 25. 100. | 5.85±0.15. 23.86±0.10. 98.52±0.09. | 2.50. 0.41. 0.09. | 93.57. 95.44. 98.52. | 0.12. | 0.36. |
Inter-day. | 6.25. 25. 100. | 6.19±0.04. 24.28±0.35. 98.32±0.20. | 0.71. 1.44. 0.21. | 99.11. 97.12. 98.32. |
Table 3 . Contents of luteolin in
Analytes. | Sample. | Mean±SD. (mg/g). | RSD. (%). |
---|---|---|---|
Luteolin. | (Siebold) H. Ohashi extract. | 2.68±0.01. | 0.30.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