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2): 1267-128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2.126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Hee Sung Moon1 , Se Young Yu1 , Younglan Ban2 , Hyeonjin Park2 , Sojeong Yoon2 , Na Eun Yang2, Seong Jun Hong2 , Hyun-Wook Kim2, Kyeong Soo Kim2, Eun Ju Jeong2, and Eui-Cheol Shin1 ,2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2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Eui-Cheol Shin, 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3, Dongjin-ro, Jinju-si, Gyeongnam 52725, Korea, E-mail: eshin@gnu.ac.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the flavor patterns of 20 processed foods in four different formulations (jerky-type, stick-type, puffed-type, and thermally processed-type) were analyzed. The electronic tongue was used for taste analysis, and the electronic nose was used for volatile aroma compound analysis. Thermal processed foods were associated with salty taste, while jerky-type and puffed-type processed foods were associated with umami taste using the electronic tongue analysis. The electronic nose results showed 49, 26, 55, and 56 volatile compounds in the jerky type, the stick-type, the puffed-type, and the thermal processed-types,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using electronic tongue sensor values, volatile aroma compounds, and nutritional content showed that volatile aroma compounds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than taste component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food formulations.
Keywords: formulation, processed food, nutritional content, electronic tongue, electronic nose
가공식품이란 향, 맛, 기호성, 편의성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해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이는 준비하는 데 시간이 적게 들며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고, 가용성 및 접근성이 좋아 현대인에게 적합한 식품 공급원이다(Lee와 Cho, 2024; Shaheen 등, 2024). 최근 인구의 고령화, 1・2인 단위 가구의 증가, 외식산업 및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성장 등 사회 경제적 여건 변화로 인하여 식품소비 트렌드가 급변하고 있다. 또한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 크고 식품 조리에 익숙하지 못하며,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은 저렴하면서 양도 많고 섭취가 편리한 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Lee와 Ahn, 2016). 이로 인해 식품 섭취에 있어서 외식의 비중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가정에서도 조리하지 않는 가공식품 또는 간단한 조리를 통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밀키트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Lee와 Ahn, 2016).
우리나라에서의 동물성 소재 소비는 고도 경제 성장 및 서구화된 식생활의 변화 등에 의해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에 따라 최근 가공식품은 대부분 동물성 소재를 통해서 제조되는데 대표적으로 닭고기, 소고기, 오리고기, 연어, 양고기, 말고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소재를 이용한다(Kwon 등, 2017). 이러한 동물성 원료를 주재료로 한 가공식품에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으며, 이러한 식이 내 풍부한 단백질 함량은 우리 몸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작용하고 수분, 산・염기의 평형 및 면역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다(Kwon과 Choi, 2018).
육류 및 수산 가공식품에는 육포 형태, 스틱 형태, 팽화 형태, 화식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이 존재한다. 그중 대표적인 제형인 육포는 풍부한 단백질 함량에 비해서 질량이 적고 실온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Park 등, 2007). 스틱 형태는 고형, 반고형, 액상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1회분 섭취량이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팽화 형태는 비교적 단시간에 마찰과 고온처리로 조리되어 음식의 소화율 및 기호성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Kim 등, 2021). 그리고 화식 형태는 볏짚과 쌀겨를 포함해 옥수수, 묵 찌꺼기, 콩비지, 싸라기 등을 곡물과 혼합한 뒤 가열하여 섭취하기 용이한 상태로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이는 소화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varenga 등, 2018; Carciofi 등, 2012).
최근 식품의 품질평가 및 관리의 측면에서 신속하고 재현성 있는 객관적인 향미 분석을 위해 전자혀(electronic tongue) 및 전자코(electronic nose)와 같은 전자센서(electronic sensor)를 활용한 생체 모방 감각 기반 기계 인식 기술(biomimetic sensory-based machine perception technology)이 활용되고 있다(Jo 등, 2016). 시료의 향미 특성을 확인하는 방식인 전자혀와 전자코를 통한 품질 분석은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진 센서를 사용하여 패턴 분석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분석법은 주관적인 관능검사에 비해서 재현성이 높으며 객관적인 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식품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Yoon 등, 2023).
현재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은 활발히 생산되고 있지만, 제형에 따른 향미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동물성 원료로 생산 및 가공되는 4가지의 제형(육포, 스틱 형태, 팽화 형태 및 화식 형태)의 육가공품 20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제형에 따라 향과 맛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자혀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변량 분석을 통해 맛 성분,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다양한 동물성 소재를 사용해 제조하는 여러 가지 제형의 가공식품의 향과 맛의 상관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 개발과 같은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소재별 가공식품은 현재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온라인 구매를 통해 B사의 제품을 선택하였다. 제품의 선정 기준으로는 유해한 식품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닭(chicken; C), 소(beef; B), 오리(duck; D), 연어(salmon; S), 양(lamb; L) 및 말(horse; H)의 소재로 이루어진 가공식품 20개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택한 샘플의 제형은 육포 형태(jerky type; J), 팽화 형태(puffed type; P), 스틱 형태(stick type; S) 및 화식 형태(thermally processed type; T)로 구성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제품의 표시는 주원료와 제형에 따라 작성되었고, 주원료와 제형이 같지만 포함된 성분이 다를 경우에는 1, 2로 표기하였다. 각기 다른 제형과 원료로 구성된 가공식품을 닭(CJ, CP, CT1, CT2), 소(BJ, BP1, BP2, BT), 오리(DJ, DP, DT), 연어(SS, ST1, ST2, SP1, SP2), 양(LS, LP), 말(HJ1, HJ2)로 분류하여 휘발성 향기 성분과 맛 성분을 분석하였다. 각 가공식품의 주원료, seasoning, 수분, 단백질, 조회분, 지방, 탄수화물의 함량을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각 가공식품의 첨가물 비율은 제조사의 정책에 따라 상세히 공개되지 않았다. 샘플들은 감각적 특징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분석 전까지 4°C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Table 1 . Main ingredients and seasoning in sample set
Sample | Main ingredients | Seasoning | Proximate (%wet basis) | |||||
---|---|---|---|---|---|---|---|---|
Moisture | Crude protein | Crude lipid | Crude ash | Carbohydrate | ||||
Jerky type | CJ | chicken breas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BJ | beef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DJ | duck breas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HJ1 | horse mea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HJ2 | horse meat, flour, green-lipped mussel | sorbitol, beef seasoning | 55 | 14 | 4 | 5 | 22 | |
Stick type | SS | salmon, flour, soybean meal, chicory, surimi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 30 | 15 | 2.2 | 6 | 46.8 |
LS | lamb, frozen surimi, grain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beef seasoning powder | 30 | 12 | 0.7 | 5 | 52.3 | |
Puffed type | CP | chicken, grain, chicken scrap, cheese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 12 | 8 | 8 | 2 | 70 |
BP1 | beef, rice,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BP2 | beef, rice, cattle liver, sea mustard | - | 10 | 28 | 11 | 12 | 39 | |
DP | duck, rice, green-lipped mussel,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SP1 | salmon, rice,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SP2 | salmon, rice, seamustard | - | 10 | 28 | 11 | 12 | 39 | |
LP | lamb, potato, tapioca, coconut powder | - | 23 | 28 | 10 | 9 | 30 | |
Thermally processed Type | CT1 | chicken, carrot, potato, pumpkin, broccoli | calcium phosphate | 75 | 11 | 6 | 3 | 5 |
CT2 | chicken breast, rice, red ginseng, pumpkin, carrot, cabbage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1 | 4.8 | |
BT | beef, rice, tomato, pumpkin,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3 | 2.8 | |
DT | duck, potato, carrot, broccoli, spinach, pumpkin | calcium phosphate | 75 | 12 | 6 | 3 | 4 | |
ST1 | salmon, carrot, potato, broccoli, pumpkin | calcium phosphate | 75 | 10 | 5 | 3 | 7 | |
ST2 | salmon, rice, red ginseng, pumpkin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1 | 4.8 |
CJ: chicken with jerky type, BJ: beef with jerky type, DJ: duck with jerky type, HJ1: horse with jerky type 1, HJ2: horse with jerky type 2, SS: salmon with stick type, LS: lamb with stick type, CP: chicken with puffed type, BP1: beef with puffed type 1, BP2: beef with puffed type 2, DP: duck with puffed type, SP1: salmon with puffed type 1, SP2: salmon with puffed type 2, LP: lamb with puffed type, CT1: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 CT2: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2, BT: beef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DT: duck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1: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 ST2: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2.
원료와 제형에 따른 가공식품이 가지는 맛 성분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혀 시스템(electronic tongue Ⅱ, ASTREE, Alpha MOS)을 사용하였다. 전자혀 시스템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느낄 수 있는 5가지의 맛인 신맛(AHS_sourness), 짠맛(CTS_saltiness), 감칠맛(NMS_umami), 단맛(ANS_sweetness), 쓴맛(SCS_bitternes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가지의 보조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샘플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샘플을 5 g씩 취하여 팽화 형태는 분쇄기(CSM-309, MotorMillions Electric Industries Co.)를 이용하였고 스틱 형태는 막자사발을 이용해 분쇄하였다. 상대적으로 수분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육포 형태는 가위로 잘게 자른 후 전자혀 분석용 vial에 담아 정제수 100 mL와 함께 30분간 60°C에서 2×
원료와 제형에 따른 가공식품이 가지는 휘발성 향기 성분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코 시스템(HERACLES Neo, Alpha MOS)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샘플 3 g을 전자코 분석용 headspace vial에 넣고 20분간 40°C에서 교반하여 휘발성 향기 성분을 headspace vial에 포화시켰다. 휘발성 향기 성분은 전자코에 부착된 자동시료 채취기를 이용하여 포집하였고, 포집된 향기 성분에서 1,000 μL를 주사기를 이용해 취한 후, 전자코에 장착된 gas chromatography injection port에 주입하였다. 분석조건은 acquisition time 110초, trap absorption temperature 40°C, trap desorption temperature 250°C, 1 mL/min의 수소 가스 유량으로 설정하였다. 전자코 분석에 MXT-5 column(Alpha MOS)이 사용되었고, 오븐 온도는 40°C로 5초간 유지한 뒤 4°C/s의 속도로 270°C까지 승온 후 30초 동안 유지되었다. 전자코 시스템은 탄소수에 기반을 둔 retention index(RI)로 진행되고 Kovat’s index library를 기반으로 둔 AroChemBase(Alpha MOS)의 정보를 통해 분리된 각 향기 성분의 peak area를 동정하였다. RI는 다음 방정식 (1)에 의해 결정되었다.
RIx는 미지의 화합물의 RI, tRx는 미지의 화합물이 머무르는 시간, tRn은 n-alkane이 머무르는 시간이며, tRn+1은 다음 n-alkane이 머무는 시간이다. tRx는 tRn과 tRn+1의 사이이고 이때 n은 탄소 원자 수를 말한다. 이러한 과정을 샘플당 3회 반복하여 분석하였다(Boo 등, 2021; Hong 등, 2021; Park 등, 2024).
본 연구에서 전자혀와 전자코 분석에서 제시된 결괏값은 3 반복 분석을 통한 평균값(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나타내었고, 다변량 분석법은 XLSTAT software ver. 2023(Addinsoft)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HCA)으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Metaboanalyst 6.0(https://www.metaboanalyst.ca)을 사용해 PLS-DA(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heatmap 그리고 correlation을 바탕으로 각 휘발성 향기 성분, 맛 성분과 영양 성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ark 등, 2024).
전자혀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인지하는 5가지의 맛(신맛, 짠맛, 감칠맛, 단맛, 쓴맛)과 관련된 전자센서를 통해 상대적인 맛 강도를 제시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형에 따른 동물성 가공식품의 맛 성분 분석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Fig. 1A는 육포 형태인 CJ, BJ, DJ, HJ1, HJ2의 전자센서 분석값이며, Fig. 1B는 스틱 형태인 SS와 LS의 센서 값을 나타내었다. Fig. 1C는 팽화 형태인 CP, BP1, BP2, DP, SP1, SP2, LP의 센서값을 나타내었으며, Fig. 1D는 화식 형태인 CT1, CT2, BT, DT, ST1, ST2의 전자센서 분석값을 나타내어 제형별 동물성 가공식품에 대한 맛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신맛과 관련된 센서인 AHS는 CT2에서 9.1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T1에서 2.8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짠맛과 관련된 센서인 CTS는 BP1에서 8.8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P2에서 2.4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감칠맛과 관련된 센서인 NMS는 SP2에서 8.8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T2에서 1.7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단맛과 관련된 센서인 ANS는 LP에서 9.4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으며, SP1에서 2.2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쓴맛과 관련된 센서인 SCS는 ST1에서 10.8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P1에서 2.8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육포 형태 가공식품의 맛 성분 결과(Fig. 1A)는 다른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칠맛이 높게 나타났으며, CJ와 HJ2에서 각각 7.9와 7.8로 감칠맛이 높은 값으로 확인되었다. Table 1에서 육포 형태의 CJ, BJ, DJ, HJ1, HJ2는 다른 샘플에 비해 비교적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확인하였다. 단백질은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Anfinsen, 1972). 이 아미노산은 식품의 기호성 및 풍미에 중요한 요소이며, 그중 glutamic acid는 전자혀가 측정하는 전위차 값을 감칠맛으로 감지한다(Lee 등, 2012; Youn 등, 2015). Lee와 Park(2004)의 연구에 따르면 육포에서 유리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육포 형태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확인된 감칠맛은 다른 샘플에 비해 비교적 높은 조단백질 함량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에서 화식 형태 가공식품의 주요 성분에는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한 브로콜리, 양배추, 호박 등의 채소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Khanum 등, 2000). 이러한 채소들은 페놀, 플라보노이드, 이소플라본, 테르펜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등으로 인해 쓴맛을 가진다(Dinehart 등, 2006). 그중 호박은 L-arginine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한 채소로 알려져 있으며, L-arginine은 고유의 짠맛과 강한 쓴맛을 가지고 있다(Kim 등, 2014; Mulwa 등, 2020). Youn 등(2015)에 따르면 L-arginine과 단백질 중의 감칠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상호작용으로 인해 짠맛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Fig. 1D에서 쓴맛과 짠맛을 모든 샘플과 비교했을 때 높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화식 형태 가공식품의 풍부한 식이섬유와 호박 성분에 있는 L-arginine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의 맛 성분을 구별하기 위한 분석 기구로 전자혀 시스템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전자센서인 전자코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형에 따라 분류하여 Table 2~5에 나타내었다. Table 2에는 육포 형태에 대한 휘발성 향기 성분을 나타내었으며, Table 3에는 스틱 형태에 대해서, Table 4에는 팽화 형태에 대해서, 그리고 Table 5에는 화식 형태에 대한 휘발성 향기 성분을 나타내었다. Table 2에서 육포 형태 가공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총 49개가 검출되었으며, Table 3에서 스틱 형태는 총 26개, Table 4에서 팽화 형태는 총 55개, 그리고 Table 5에서 화식 형태는 총 56개가 검출되었다. 스틱 형태 가공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26개로 가장 적은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수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은 향기 성분이 총 56개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Table 2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jerky-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Jerky-type | ||||
---|---|---|---|---|---|---|---|
CJ | BJ | DJ | HJ1 | HJ2 | |||
Amines(1) |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3) | 0.58±0.06 | ND | ND | ND |
Acids and esters(10) |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0.08±0.02a4) | 0.07±0.02a | ND | ND |
Ethyl acrylate | 31.35(698) | Acrid, pungent | ND | ND | ND | 0.08±0.01 | ND |
Butanoic acid | 43.53(802) | Butter, cheese | ND | 0.33±0.02 | ND | ND | ND |
2-Methylbutanoic acid | 50.92(873) | Cashew, cheese | ND | 0.06±0.00 | ND | ND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0.20±0.01a | ND | ND | 0.20±0.02a | 0.10±0.01b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ND | ND | ND | 0.15±0.04 |
Propyl pentanoate | 62.15(999) | Animal | ND | ND | 1.17±0.13 | ND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ND | 0.29±0.04 | ND | ND |
Methacrylic acid | 101.57(1757) | - | ND | ND | ND | ND | 0.08±0.02 |
Propyl tetradecanoate | 107.88(1898) | - | 0.13±0.02 | ND | ND | ND | ND |
Alcohols(9)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4.85±1.28b | 3.68±0.57b | 4.32±0.24b | 4.36±0.21b | 15.12±0.67a |
1-Propanol | 20.29(551) | Fermented | ND | ND | ND | ND | 0.24±0.01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ND | ND | 1.38±0.05 | ND | ND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ND | ND | 0.10±0.01 | ND | ND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21.04±2.06a | 8.13±0.66c | 16.88±1.45ab | 13.65±5.48bc | 6.85±0.63c |
2,3-Butanediol | 43.43(801) | Creamy | ND | ND | 0.36±0.10a | ND | 0.48±0.09a |
2-Nonanol | 69.22(1100) | Cucumber | ND | 0.16±0.04 | ND | ND | ND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0.11±0.06a | ND | ND | ND | 0.07±0.01a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09±0.02a | ND | 0.14±0.04a | ND |
Aldehydes(2)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0.37±0.09d | 0.97±0.09b | 0.53±0.07C | 1.05±0.06b | 1.28±0.05a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ND | ND | ND | 0.32±0.02b | 2.81±0.13a |
Hydrocabons(16) | |||||||
2-Methylbutane | 17.49(489) | Gasoline | ND | ND | ND | ND | 1.20±0.04 |
Hexane | 22.47(600) | Alkane | ND | 2.54±0.15b | ND | 2.35±0.05b | 10.59±0.21a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1.42±0.06b | 3.10±0.04a |
Cyclohexane | 28.21(664) | Chloroform | ND | ND | ND | ND | 0.22±0.01 |
3-Ethylpentane | 30.13(685) | - | ND | ND | ND | ND | 0.25±0.01 |
Octane | 45.07(816) | Fusel, gasoline | ND | ND | 0.07±0.07 | ND | ND |
4-Ethylheptane | 48.24(847) | - | ND | ND | ND | ND | 0.16±0.00 |
m-Xylene | 50.87(872) | Cold meat fat | ND | ND | ND | 0.10±0.04 | ND |
Nonane | 53.86(901) | Fusel, gasoline | ND | 0.23±0.01 | ND | ND | ND |
Decane | 62.09(998) | Fusel, sweet | ND | 0.26±0.05b | ND | 0.74±0.05a | ND |
4-Ethylnonane | 65.47(1046) | - | 1.88±0.39a | 0.42±0.13b | ND | ND | ND |
2-Methyldecane | 66.75(1065) | - | ND | ND | 2.54±0.14a | 1.14±0.21b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ND | ND | 0.64±0.05a | 0.25±0.12b | ND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ND | 0.08±0.02a | 0.09±0.02a | ND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0.17±0.20a | 0.10±0.03a | 0.09±0.01a | ND | ND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0±0.03a | 0.27±0.01a | ND | 0.35±0.05a | 0.33±0.04a |
Heterocyclics(2) | |||||||
Furan | 17.41(487) | Etheral | ND | ND | 4.67±0.12a | 0.08±0.01b | ND |
Indole | 79.88(1286) | Animal | ND | ND | ND | ND | 0.16±0.02 |
Ketones(5)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6.94±0.23 | ND | ND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ND | ND | ND | 0.36±0.01 |
δ-Valerolactone | 59,42(967) | - | 0.06±0.02 | ND | ND | ND | ND |
δ-Nonalactone | 85.81(1406) | Coconut, milky | ND | ND | ND | 0.10±0.01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ND | 0.60±0.07a | 0.63±0.08a | 0.81±0.16a | 0.87±0.24a |
Sulfur-containing compounds(4)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ND | ND | 0.31±0.07b | 0.72±0.08a | ND |
Butanethiol | 35.29(732) | Coffee, sulfurous | ND | ND | 0.09±0.01 | ND | ND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0.31±0.06a | ND | ND | 0.26±0.18a | ND |
Dimethyl trisulfide | 59.37(966) | Meaty, onion | ND | ND | 0.07±0.02b | 0.04±0.03b | 0.30±0.04a |
CJ: chicken with jerky type, BJ: beef with jerky type, DJ: duck with jerky type, HJ1: horse with jerky type, HJ2: horse with jerky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 with different letters (a~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jerky-type processed food (
Table 3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 (stick-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103)
Compounds | RT1) (RI2)) | Sensory description | Stick-type | |
---|---|---|---|---|
SS | LS | |||
Acids and esters(5) | ||||
Methyl isobutyrate | 29.81(681) | Apple | 0.29±0.08 | ND3) |
Ethylmethacrylate | 44.85(814) | Acrid, acrylate | ND | 0.06±0.00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ND | 0.05±0.05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0.14±0.01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0.71±0.13 |
Alcohols(8)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18.96±0.56a4) | 20.30±1.71a |
1-Propanol | 20.29(551) | Fermented | 0.98±0.20a | 0.56±0.04b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0.13±0.08 | ND |
1-Penten-3-ol | 28.29(665) | Burnt, meaty | 0.47±0.13 | ND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7.06±1.63a | 11.68±3.75a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0.43±0.02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ND | 0.07±0.00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14±0.05 |
Aldehydes(3)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1.16±0.13a | 1.07±0.14a |
But-2-enal | 27.14(652) | Green, pungent | ND | 0.14±0.03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0.62±0.07a | 0.23±0.01b |
Ethers(1) | ||||
Diethyl ether | 17.53(490) | Etheral | 1.39±0.32 | ND |
Hydrocabons(6) | ||||
Hexane | 22.47(600) | Alkane | 33.68±8.22a | 35.77±1.94a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10.63±2.40a | 9.69±0.64a |
Cyclohexane | 28.21(664) | Chloroform | ND | 0.44±0.05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0.07±0.01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ND | 0.09±0.02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ND | 0.39±0.07 |
Ketones(2) | ||||
2-Methyl-2-cyclopenten-1-one | 54.06(903) | - | 0.10±0.01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71±0.11 | ND |
Sulfur-containing compounds(1) |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1.37±0.13a | 0.57±0.17b |
SS: salmon with stick type, LS: lamb with stick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b)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tick-type processed food (
Table 4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puffed-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Puffed-type | ||||||
---|---|---|---|---|---|---|---|---|---|
CP | BP1 | BP2 | DP | SP1 | SP2 | LP | |||
Amines(2) | - |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3) | ND | 1.65±0.27a4) | ND | ND | 1.48±0.23a | ND |
Aniline | 60.15(975) | amine, pungent | ND | ND | 0.05±0.00 | ND | ND | ND | ND |
Acids and esters(8) |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ND | ND | ND | ND | 0.12±0.09 | ND |
2-Methylpropanoic acid | 39.79(770) | acidic, cheese | 0.83±0.18 | ND | ND | ND | ND | ND | ND |
Ethyl isobutyrate | 40.38(775) | garlic, onion | ND | ND | ND | ND | ND | ND | 0.85±0.03 |
Butanoic acid | 43.53(802) | butter, cheese | ND | ND | ND | ND | 1.15±0.19 | ND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0.22±0.01 | ND | ND | ND | ND | ND | ND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0.18±0.00a | 0.10±0.01a | ND | ND | ND | 0.15±0.07a |
Ethyl hexanoate | 61.82(995) | apple, fruity | ND | ND | ND | 0.09±0.03 | ND | ND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ND | 0.65±0.13a | ND | ND | 0.63±0.14b | ND |
Alcohols(6)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11.85±0.19e | 290.63±6.58a | ND | 143.93±7.50c | 123.37±2.35c | 173.95±22.16b | 83.79±0.91d |
2-Butanol | 21.49(578) | oily | ND | ND | ND | ND | 0.65±0.26 | ND | ND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0.98±0.18b | 2.21±0.27a | ND | ND | 2.39±0.68a | ND | 1.95±0.36ab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18.00±2.15ab | 15.94±1.77b | 24.12±1.30a | 20.37±1.19ab | 21.41±5.71ab | 19.26±0.27ab | 14.23±2.53b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0.37±0.02a | ND | 0.28±0.06a | 0.32±0.03a | ND | 0.17±0.03b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11±0.00a | 0.12±0.02a | ND | 0.12±0.02a | ND | ND |
Aldehydes(8)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1.07±0.06c | 1.88±0.22ab | 1.73±0.13ab | 2.17±0.15a | 1.74±0.23ab | 1.64±0.19b | 1.61±0.23b |
Propenal | 16.30(463) | pungent, sweet | ND | ND | 164.12±7.65 | ND | ND | ND | ND |
But-2-enal | 27.14(652) | green, pungent | 0.72±0.08c | ND | ND | 1.65±0.11a | 1.40±0.10b | ND | 1.27±0.07b |
2-Methylbutanal | 28.08(662) | almond, burnt | ND | ND | ND | 1.63±0.14a | ND | 0.87±0.08c | 1.26±0.02b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ND | 0.58±0.09c | 0.88±0.07b | 0.59±0.13c | ND | 0.30±0.01d | 1.23±0.04a |
2,4-Heptadienal | 62.77(1007) | dry, musty | ND | ND | ND | ND | 0.18±0.09 | ND | ND |
2-Octenal | 66.52(1061) | burnt, fatty | ND | 0.20±0.03 | ND | ND | ND | ND | ND |
3,6-Nonadienal | 69.31(1102) | cucumber | ND | 0.10±0.04a | ND | ND | 0.15±0.02a | ND | ND |
Ethers(1) | |||||||||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 67.01(1068) | etheral | ND | ND | 0.04±0.04 | ND | ND | ND | ND |
Hydrocabons(17) | |||||||||
Hexane | 22.47(600) | alkane | 4.31±0.23c | ND | ND | 11.71±1.64a | 9.17±1.05ab | ND | 9.06±0.21b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3.58±0.74 | ND | ND | ND |
Fluorobenzene | 29.95(683) | butter, creamy | 0.07±0.01 | ND | ND | ND | ND | ND | ND |
3-Ethylpentane | 30.13(685) | - | 0.09±0.00 | ND | ND | ND | ND | ND | ND |
m-Xylene | 50.87(872) | cold meat fat | 0.10±0.01 | ND | ND | ND | ND | ND | ND |
3-Methyl-octane | 53.11(894) | - | ND | ND | ND | ND | 0.10±0.04 | ND | ND |
1,4-Dichlorobutane | 54.17(905) | - | ND | ND | ND | 0.07±0.00 | ND | ND | ND |
1-Chloroheptane | 57.89(949) | - | ND | ND | ND | 0.07±0.01 | ND | ND | ND |
Cumene | 61.88(996) | herbaceous | ND | ND | ND | ND | ND | ND | 0.22±0.06 |
Butylbenzene | 66.22(1057) | - | ND | ND | ND | 5.14±8.47a | 0.26±0.04a | ND | ND |
4-Methyldecane | 66,71(1064) | - | 0.42±0.07 | ND | ND | ND | ND | ND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ND | ND | ND | 0.13±0.01 | ND | ND | ND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0.08±0.01ab | 0.09±0.02a | ND | ND | 0.08±0.00ab | 0.07±0.00b | 0.07±0.01ab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ND | ND | 0.10±0.01a | ND | ND | 0.07±0.01a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ND | ND | ND | 0.09±0.00a | 0.09±0.01a | ND | 0.05±0.05a |
Myristicin | 91.06(1521) | balsamic | ND | ND | ND | ND | ND | 0.29±0.05 | ND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5±0.04a | 0.29±0.04a | 0.34±0.05a | ND | 0.29±0.02a | ND | 0.32±0.01a |
Heterocyclics(2) | |||||||||
5-Methylfurfural | 60.80(983) | almond, burnt sugar | 0.08±0.01 | ND | ND | ND | ND | ND | ND |
Indole | 79.88(1286) | animal | 0.14±0.01 | ND | ND | ND | ND | ND | ND |
Ketones(6)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ND | ND | 11.92±1.31a | ND | ND | 10.11±0.75a | ND |
3-Pentanone | 30.31(687) | cheese | ND | ND | ND | 0.06±0.05 | ND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0.22±0.02b | 0.37±0.03a | 0.24±0.02b | 0.42±0.04a | ND | ND |
Cyclopentanone | 39.71(769) | minty, peppermint | ND | ND | 0.70±0.11 | ND | ND | ND | ND |
2-Furanone | 55.75(923) | butter | ND | ND | 0.06±0.01 | ND | ND | ND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96±0.30a | 0.68±0.16a | ND | 0.73±0.16a | 0.63±0.17a | ND | 0.83±0.15a |
Sulfur-containing compounds(5)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ND | 1.34±0.28a | ND | 1.64±0.16a | ND | ND | 1.28±0.18a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ND | ND | ND | 0.65±0.43a | 0.83±0.47a | ND | ND |
1-Pentanethiol | 45.26(818) | meaty, smoky | ND | ND | ND | 0.19±0.06 | ND | ND | ND |
Dimethly sulfoxide | 45.84(824) | fatty, garlic | ND | 0.19±0.08a | ND | ND | 0.16±0.08b | ND | ND |
3-Methyl-2-butene-1-thiol | 48.19(846) | meaty, smoky | ND | ND | ND | 0.05±0.04 | ND | ND | ND |
CP: chicken with puffed type, BP1: beef with puffed type, BP2: beef with puffed type, DP: duck with puffed type, SP1: salmon with puffed type, SP2: salmon with puffed type, LP: lamb with puffed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 with different letters (a~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uffed-type processed food (
Table 5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thermally processed-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Thermally processed-type | |||||
---|---|---|---|---|---|---|---|---|
CT1 | CT2 | BT | DT | ST1 | ST2 | |||
Amines(3) | ||||||||
Acrylonitrile | 18.60(514) | irritating | 0.52±0.00b3) | 1.25±0.14a | 1.22±0.10a | 0.77±0.15b | ND4) | ND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 | 0.79±0.06a | 0.56±0.06b | 0.52±0.08b | 0.43±0.07b | ND |
Aniline | 60.15(975) | amine, pungent | ND | ND | ND | ND | 0.13±0.07 | ND |
Acids and esters(10) | ||||||||
Formic acid | 21.51(580) | acidic, vinegar | 2.79±0.15b | 0.59±0.09d | 0.53±0.02d | 2.41±0.11c | 2.83±0.12b | 4.45±0.20a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ND | ND | ND | ND | 0.25±0.04 |
Methyl but-2-enoate | 36.85(745) | blackcurrant | ND | ND | ND | ND | 1.19±0.14 | ND |
Propanoic acid | 36.93(746) | acidic, pungent | 1.14±0.20 | ND | ND | ND | ND | ND |
Propyl propanoate | 45.11(817) | apple, sweet | ND | ND | 0.19±0.03 | ND | ND | ND |
2-Methylbutanoic acid | 50.92(873) | cashew, cheese | ND | ND | ND | ND | 0.12±0.04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ND | ND | 0.14±0.05 | ND | ND | ND |
Propyl 2-butenoate | 57.87(928) | - | ND | ND | ND | ND | 0.07±0.00 | ND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ND | ND | ND | 0.46±0.05 | ND |
Propyl pentanoate | 62.15(999) | animal | ND | ND | ND | ND | ND | 0.28±0.06 |
Alcohols(11) | ||||||||
Methanol | 15.09(436) | pungent | 1.99±0.19b | 10.85±0.80a | ND | ND | ND | ND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24.43±0.51a | ND | 1.34±0.04d | 18.05±0.53b | 17.25±0.86b | 5.07±0.57c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ND | 0.85±0.12b | 0.85±0.04b | ND | ND | 4.20±0.27a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ND | 0.22±0.01b | 0.21±0.01b | 0.39±0.05a | 0.35±0.01a | 0.35±0.03a |
Pentan-2-ol | 29.72(680) | - | ND | ND | ND | 0.13±0.03b | 0.32±0.06a | 0.22±0.04b |
3-Methyl-1-butanol | 35.96(738) | balsamic | ND | ND | ND | ND | ND | 0.51±0.04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ND | ND | 2.35±0.08 | ND | ND | ND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ND | 0.43±0.11 | ND | ND | ND |
3-Nonanol | 69.27(1101) | herbaceous | ND | ND | 0.06±0.05 | ND | ND | ND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ND | 0.09±0.02a | ND | 0.08±0.01a | ND | ND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0.18±0.05 | ND | ND | ND | ND | ND |
Aldehydes(4)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ND | 1.45±0.02a | ND | ND | 0.19±0.02b | 0.13±0.01c |
Propenal | 16.30(463) | pungent, sweet | ND | ND | 4.92±2.57 | ND | ND | ND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0.59±0.02b | 0.35±0.03c | 1.21±0.02a | 0.51±0.06b | ND | 0.49±0.06b |
4-Heptenal | 54.15(904) | biscuit | 0.15±0.02 | ND | ND | ND | ND | ND |
Ethers(1) | ||||||||
Diethyl ether | 17.53(490) | etheral | ND | 2.26±0.22c | 15.51±1.06a | ND | 18.52±2.55a | 9.08±1.17b |
Hydrocabons(14) | ||||||||
Hexane | 22.47(600) | alkane | ND | ND | 4.66±0.18 | ND | ND | ND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ND | 0.12±0.02 | ND |
Octane | 45.07(816) | fusel, gasoline | ND | ND | ND | ND | ND | 0.47±0.03 |
2-Octene | 45.81(823) | - | ND | ND | ND | ND | 0.68±0.05 | ND |
4-Ethenylcyclohexane | 48.18(846) | - | ND | ND | ND | ND | ND | 0.11±0.00 |
4-Ethylheptane | 48.24(847) | - | ND | 0.17±0.04 | ND | ND | ND | ND |
1,4-Dimethylbenzene | 51.55(879) | cold meat fat | 0.04±0.03 | ND | ND | ND | ND | ND |
Cumene | 61.88(996) | herbaceous | ND | 0.14±0.08a | ND | 0.20±0.01a | ND | ND |
4-Ethylnonane | 65.47(1046) | - | 0.06±0.01 | ND | ND | ND | ND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0.05±0.06 | ND | ND | ND | ND | ND |
p-Menthatriene | 69.80(1110) | beany, bell pepper | ND | ND | ND | ND | ND | 0.17±0.02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0.08±0.01a | ND | 0.08±0.00a | ND | ND | ND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ND | ND | ND | 0.08±0.02a | ND | 0.04±0.03a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3±0.03a | ND | 0.36±0.02a | 0.31±0.03a | 0.31±0.02a | ND |
3-Methyl furan | 25.03(628) | - | 0.09±0.03a | ND | ND | 0.08±0.01a | ND | ND |
Pyrrole | 37.96(754) | coffee, cracker | ND | 0.59±0.18 | ND | ND | ND | ND |
5-Methylfurfural | 60.80(983) | almond, burnt sugar | ND | ND | ND | ND | ND | 0.05±0.05 |
Indole | 79.88(1286) | animal | ND | ND | ND | 0.20±0.03a | 0.20±0.02a | 0.18±0.01a |
Ketones(6)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4.86±0.23a | ND | ND | 7.03±0.79b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0.15±0.05 | ND | ND | ND | ND |
1-Hexane-3-one | 40.46(776) | leafy, vegetable | ND | 0.20±0.02 | ND | ND | ND | ND |
Hexan-2-one | 42.47(792) | pungent, synthetic | ND | ND | ND | ND | 0.16±0.03a | 0.11±0.03a |
2-Methyl-2-cyclopenten-1-one | 54.06(903) | - | ND | ND | ND | 0.14±0.04b | 0.26±0.01a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87±0.09a | 0.74±0.12a | 0.94±0.15a | 0.91±0.17a | 0.90±0.22a | 0.78±0.16a |
Sulfur-containing compounds(3)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0.53±0.08 | ND | ND | ND | ND | ND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0.18±0.06c | ND | ND | 0.21±0.10c | 0.76±0.15b | 1.08±0.06a |
1-Pentanethiol | 45.26(818) | meaty, smoky | ND | 0.19±0.06 | ND | ND | ND | ND |
CT1: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CT2: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BT: beef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DT: duck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1: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2: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Mean with different letters (a~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ermally processed-type processed food (
4)ND: not detected.
Acids와 esters는 경화되지 않은 고기의 향에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Chen 등, 2017). Formic acid는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에서만 검출되었는데(Table 5), 이는 셀룰로오스를 산 가수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acid류로 알려져 있으며(Chen 등, 2022), sensory description은 acidic, vinegar를 나타낸다. 이러한 formic acid는 Table 1에 나타낸 대부분 화식 형태 가공식품의 주재료로 사용된 녹색 채소인 브로콜리, 양배추, 호박이 가지고 있는 섬유질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Ghendov-Mosanu 등, 2023; Manaker, 2024; Núñez-Gómez 등, 2022). Table 5에서 formic acid는 ST2에서 4.45±0.20으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BT에서 0.53±0.02로 가장 낮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
육류 가공식품의 주요 향기 성분이라고 알려진 aldehydes에 속하는 acetaldehyde는 Table 5에서 화식 형태 가공식품 중 CT1, BT, DT를 제외한 모든 샘플에서 검출되었다(Koppel 등, 2013). Aldehydes는 지질 및 지방의 산화 반응으로 생성되는 가장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Koppel 등, 2013), acetaldehyde는 지질 과산화 반응으로 인해서 세포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지질 과산화 반응 중에 다양한 활성산소 및 활성질소종이 불포화 지방을 산화시켜 자유 라디칼 연쇄 반응과 그에 따른 aldehydes 형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ayakody와 Jin, 2021). 이는 탄수화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팽화 형태 가공식품인 DP에서 2.17±0.15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 가공식품인 ST2에서 0.13±0.01로 가장 낮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 Table 2~5에서 육포 형태 가공식품인 CJ, BJ 및 DJ와 팽화 형태 가공식품인 CP 및 SP1, 화식 형태 가공식품인 ST1을 제외하고 모든 샘플에서 검출되었으며, sensory description은 fishy, fatty를 나타낸다. Hexanal은 육가공품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동물조직에서 주로 불포화 지방산인 ω-6 지방산에서 유래하며 산패취를 내기도 한다(Koppel 등, 2013; Wettasinghe 등, 2001). 종종 식품에서 풀 향을 나타내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햄, 소시지, 칠면조 가슴살, 다양한 곡물 제품 및 유제품을 함유하는 식품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ppel 등, 2013). 육포 형태 가공식품인 HJ2에서 2.18±0.13으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스틱 형태 가공식품인 LS에서 0.23±0.01로 가장 낮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
샘플과 전자혀 시스템의 5가지 맛 성분 분석 결과와 영양 성분 간의 패턴을 다변량 분석법인 주성분 분석(Fig. 2)과 계층적 군집분석(Fig. 3)을 통해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PC1에서는 44.17%의 variance를, PC2에서는 23.62%의 variance를 나타내어 총 67.79%의 variance를 확인하였다. Fig. 2에서 모든 육포 형태의 샘플과 SP1, DP, BP2, SP2인 팽화 형태는 PC1을 기준으로 음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그중 SP1, DP, BP2, SP2는 crude protein, crude ash, umami와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육포 형태의 샘플은 umami, sourness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육포 형태의 가공식품과 팽화 형태 가공식품의 일부가 umami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CP와 BP1을 제외한 모든 화식 형태의 샘플은 saltiness와 moisture의 영향을 받아 PC1을 기준으로 양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전자혀 결과(Fig. 1D)에서 수분의 함량이 많은 화식 형태의 샘플은 saltiness에서 높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화식 형태 가공식품은 saltiness, moisture와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PC2를 기준으로 양의 방향에 위치한 LS, SS, BP1, CP, LP는 crude lipid와 sweetness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계층적 군집분석은 데이터 간의 차이와 그룹화가 확실하지 않은 샘플 간의 유사성과 패턴을 확인하고 분류한다(Granato 등, 2018). 샘플 간의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는 Fig. 3에 나타내었으며, 20가지의 샘플이 4개의 cluster로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다. SP1, DP, BP2 및 SP2는 cluster Ⅰ으로 분리되었고, HJ2, DJ, HJ1, CJ 및 BJ는 cluster Ⅱ를 형성하였다. 또한, LP, CP, BP1, SS 및 LS는 cluster Ⅲ로 분리되었으며, CT2, BT, ST2, CT1, DT 및 ST1은 cluster Ⅳ를 형성하였다. Cluster Ⅰ 및 cluster Ⅲ는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은 팽화 형태와 스틱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한 군집을 이루었으며, cluster Ⅱ는 조단백질의 함량이 다른 샘플에 비해 높은 육포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한 군집이 이루어졌다. Cluster Ⅳ는 75% 이상의 수분 함량을 가진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한 군집이 형성되었다. 전자혀의 주성분 분석(PCA)과 계층적 군집분석(HCA)의 결과에 따르면, 맛 성분이 동물성 소재의 종류보다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원료와 제품 제형에 따른 가공 공정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과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 함량 간의 패턴 분석을 위하여 다변량 분석법 중 하나인 PCA를 활용하여 Fig. 4에 나타내었다. PC1에서는 33.42%의 variance를, PC2에서는 20.74%의 variance를 나타내어 총 54.16%의 variance를 나타냈다. 수분 함량이 다른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 가공식품은 acids와 esters, ethers 그리고 moisture의 영향을 받아 PC1을 기준으로 양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전자코 분석 결과(Table 5)에서 화식 형태의 샘플에서만 acids류의 formic acid가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은 moisture, acids와 esters와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BP2 및 SP2는 PC1을 기준으로 하여 음의 방향에 위치하였으며 ketones, aldehydes, crude lipid와 상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팽화 형태인 SP1, LP, BP1 및 DP는 PC2를 기준으로 음의 방향에 위치하고 crude protein, carbohydrate, alcohols와 높은 상관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며 모든 육포 형태, 스틱 형태의 샘플과 CP는 heterocyclics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샘플 간의 군집분석 결과는 Fig. 5에 나타내었으며, 4개의 cluster로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다. ST1, ST2, CT2, BT, CT1 및 DT가 cluster Ⅰ을 형성하였고 BP2와 SP2가 cluster Ⅱ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SP1, LP, BP1 및 DP가 cluster Ⅲ를 형성하였으며 DJ, SS, LS, HJ1, CJ, BJ, CP 및 HJ2가 cluster Ⅳ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uster Ⅰ은 모두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이 한 군집을 이룬 것을 확인하였고, cluster Ⅱ 및 cluster Ⅲ는 모두 탄수화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팽화 형태의 가공식품이 한 군집을 이루었다. Cluster Ⅳ는 팽화 형태, 스틱 형태 및 육포 형태의 가공식품이 다양한 제형의 샘플이 한 군집을 이룬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luster Ⅰ과 cluster Ⅱ, cluster Ⅲ 및 cluster Ⅳ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Fig. 4의 PCA 결과에서 moisture, acids와 esters 및 ethers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과 전자혀와 전자코를 활용해 분석된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그리고 Table 1에 나타낸 가공식품의 영양 성분 함량 사이의 패턴을 다변량 분석법 중 하나인 PCA를 활용하여 Fig. 6에 나타내었다. PC1에서는 31.00%의 variance를, PC2에서는 15.43%의 variance를 나타내어 총 PC에서 46.43%의 variance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인 PCA는 각 변수 간의 관계를 cosine 각도를 통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Cosine 180°인 경우 기울기가 -1을 뜻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의미하고, cosine 90°인 경우 기울기가 0을 뜻하여 상관관계가 없음을 뜻하며, cosine 0°인 경우에는 기울기가 -1을 뜻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Shin 등, 2010). Bitterness 및 acids와 esters(r=0.688)(
20개의 샘플에 대한 군집분석은 Fig. 7에 나타내었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3개의 cluster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이 cluster Ⅰ을 형성하였고 영양 성분 함량이 모두 같은 BP2와 SP2는 cluster Ⅱ를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육포 형태, 스틱 형태, 그리고 팽화 형태 가공식품 중에서 CP, BP1, DP, SP1 및 LP는 cluster Ⅲ을 형성하였다.
군집분석을 진행한 결과 화식 형태 가공식품은 Fig. 3, Fig. 5, Fig. 7에서 모두 같은 cluster를 형성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화식 형태인 6개의 샘플은 맛 성분과 휘발성 향기 성분이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ig. 5와 Fig. 7에서 BP2와 SP2가 한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팽화 형태 가공식품 중 소고기와 연어로 제조된 BP2와 SP2는 맛 성분보다는 휘발성 향기 성분이 cluster 형성에 크게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서 진행한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Fig. 6)는 맛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Fig. 2)에 비해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Fig. 4)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맛 성분에 비해서 휘발성 향기 성분이 cluster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사체학 데이터 판별과 정성분석을 위해 PLS-DA, heatmap, correlation 분석을 진행하였다. 해당 분석을 통해 각 그룹에서 얻은 결과를 수치화하여 통계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다(Pang 등, 2024). Fig. 8에서 PLS-DA는 두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VIP score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VIP score는 두 집단에서 변수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보여주었다(Lee 등, 2022). Rahi 등(2021)의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VIP scores 1.0 이상의 값들이 집단 간의 변수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보고되었다. Fig. 8에서 총 8개의 대사체가 확인되었으며, sourness는 CT2에서 가장 높은 1.9의 VIP score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acids와 esters는 ST2, bitterness는 ST1, hydrocarbons는 SP2, aldehydes는 BP2, sulfur-contain은 DP, crude protein은 BJ, 마지막 amines는 CT2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Heatmap은 각각의 대사체의 평균을 정규화한 후 분류하고, 각 항목의 수치를 색상으로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Kim 등, 2022). 각 항목의 상관관계는 양의 상관관계일 때 빨간색이고 음의 상관관계일 때는 파란색으로 나타내어 여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Fig. 9에서 VIP score를 통해 heatmap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heterocyclics와 DJ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aldehydes와 BP2도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Kang 등(2022)의 연구에 따르면 heterocyclics은 어류 및 육류 등의 동물성 식품을 고온 가열할 때 주로 생성되는 화합물로 보고되었다. 20가지의 샘플에서 검출된 heterocyclics 전체값은 DJ가 4.67±0.12로 가장 높은 peak area로 Table 2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DJ는 가공 처리 과정에서 고온으로 조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aldehydes는 지질 및 지방이 산화될 때 생성되는 물질로 팽화 형태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며, aldehydes 함량을 합친 값 중 BP2가 164.12±7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Koppel 등, 2013).
최종 상관관계에서 각각의 그룹에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영양 성분을 포함하여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두 그룹 간의 관련성이 있는 성분을 양의 상관관계(빨간색)와 음의 상관관계(파란색)로 구별하였다. Fig. 10의 분석 결과, acids와 esters 및 bitterness가 correlation coefficient 0.69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moisture와 carbohydrate가 correlation coefficient -0.84로 가장 낮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형과 동물성 소재에 따른 가공식품 20종의 향미 패턴을 분석하였다. 맛 성분 분석에서 전자혀를,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에는 전자코를 사용하였다. 전자혀를 이용하여 가공식품 20종을 분석한 결과,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은 짠맛과 연관이 있었으며, 육포 형태와 팽화 형태의 가공식품은 감칠맛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가공식품 20종을 분석한 결과, 육포 형태는 49개, 스틱 형태는 26개, 팽화 형태는 55개, 화식 형태는 56개의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며, 화식 형태 가공식품에서 가장 풍부한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가공식품의 전자혀 센서값, 전자코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 결과,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과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맛 성분에 비해서 휘발성 향기 성분이 cluster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축산현안대응산업화기술개발사업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RS-2023-0023144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2): 1267-128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2.126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문희성1*․유세영1*․반영란2․박현진2․윤소정2․양나은2․홍성준2․김현욱2․김경수2․정은주2․신의철1,2
1경상국립대학교 식품과학부
2경상국립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Hee Sung Moon1* , Se Young Yu1* , Younglan Ban2 , Hyeonjin Park2 , Sojeong Yoon2 , Na Eun Yang2, Seong Jun Hong2 , Hyun-Wook Kim2, Kyeong Soo Kim2, Eun Ju Jeong2, and Eui-Cheol Shin1,2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2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Eui-Cheol Shin, Department of GreenBio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3, Dongjin-ro, Jinju-si, Gyeongnam 52725, Korea, E-mail: eshin@gnu.ac.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the flavor patterns of 20 processed foods in four different formulations (jerky-type, stick-type, puffed-type, and thermally processed-type) were analyzed. The electronic tongue was used for taste analysis, and the electronic nose was used for volatile aroma compound analysis. Thermal processed foods were associated with salty taste, while jerky-type and puffed-type processed foods were associated with umami taste using the electronic tongue analysis. The electronic nose results showed 49, 26, 55, and 56 volatile compounds in the jerky type, the stick-type, the puffed-type, and the thermal processed-types,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using electronic tongue sensor values, volatile aroma compounds, and nutritional content showed that volatile aroma compounds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than taste component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food formulations.
Keywords: formulation, processed food, nutritional content, electronic tongue, electronic nose
가공식품이란 향, 맛, 기호성, 편의성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해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이는 준비하는 데 시간이 적게 들며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고, 가용성 및 접근성이 좋아 현대인에게 적합한 식품 공급원이다(Lee와 Cho, 2024; Shaheen 등, 2024). 최근 인구의 고령화, 1・2인 단위 가구의 증가, 외식산업 및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성장 등 사회 경제적 여건 변화로 인하여 식품소비 트렌드가 급변하고 있다. 또한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 크고 식품 조리에 익숙하지 못하며,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은 저렴하면서 양도 많고 섭취가 편리한 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Lee와 Ahn, 2016). 이로 인해 식품 섭취에 있어서 외식의 비중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가정에서도 조리하지 않는 가공식품 또는 간단한 조리를 통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밀키트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Lee와 Ahn, 2016).
우리나라에서의 동물성 소재 소비는 고도 경제 성장 및 서구화된 식생활의 변화 등에 의해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에 따라 최근 가공식품은 대부분 동물성 소재를 통해서 제조되는데 대표적으로 닭고기, 소고기, 오리고기, 연어, 양고기, 말고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소재를 이용한다(Kwon 등, 2017). 이러한 동물성 원료를 주재료로 한 가공식품에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으며, 이러한 식이 내 풍부한 단백질 함량은 우리 몸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작용하고 수분, 산・염기의 평형 및 면역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다(Kwon과 Choi, 2018).
육류 및 수산 가공식품에는 육포 형태, 스틱 형태, 팽화 형태, 화식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이 존재한다. 그중 대표적인 제형인 육포는 풍부한 단백질 함량에 비해서 질량이 적고 실온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Park 등, 2007). 스틱 형태는 고형, 반고형, 액상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1회분 섭취량이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팽화 형태는 비교적 단시간에 마찰과 고온처리로 조리되어 음식의 소화율 및 기호성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Kim 등, 2021). 그리고 화식 형태는 볏짚과 쌀겨를 포함해 옥수수, 묵 찌꺼기, 콩비지, 싸라기 등을 곡물과 혼합한 뒤 가열하여 섭취하기 용이한 상태로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이는 소화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varenga 등, 2018; Carciofi 등, 2012).
최근 식품의 품질평가 및 관리의 측면에서 신속하고 재현성 있는 객관적인 향미 분석을 위해 전자혀(electronic tongue) 및 전자코(electronic nose)와 같은 전자센서(electronic sensor)를 활용한 생체 모방 감각 기반 기계 인식 기술(biomimetic sensory-based machine perception technology)이 활용되고 있다(Jo 등, 2016). 시료의 향미 특성을 확인하는 방식인 전자혀와 전자코를 통한 품질 분석은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진 센서를 사용하여 패턴 분석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분석법은 주관적인 관능검사에 비해서 재현성이 높으며 객관적인 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식품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Yoon 등, 2023).
현재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은 활발히 생산되고 있지만, 제형에 따른 향미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동물성 원료로 생산 및 가공되는 4가지의 제형(육포, 스틱 형태, 팽화 형태 및 화식 형태)의 육가공품 20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제형에 따라 향과 맛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자혀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변량 분석을 통해 맛 성분,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다양한 동물성 소재를 사용해 제조하는 여러 가지 제형의 가공식품의 향과 맛의 상관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 개발과 같은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소재별 가공식품은 현재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온라인 구매를 통해 B사의 제품을 선택하였다. 제품의 선정 기준으로는 유해한 식품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닭(chicken; C), 소(beef; B), 오리(duck; D), 연어(salmon; S), 양(lamb; L) 및 말(horse; H)의 소재로 이루어진 가공식품 20개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택한 샘플의 제형은 육포 형태(jerky type; J), 팽화 형태(puffed type; P), 스틱 형태(stick type; S) 및 화식 형태(thermally processed type; T)로 구성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제품의 표시는 주원료와 제형에 따라 작성되었고, 주원료와 제형이 같지만 포함된 성분이 다를 경우에는 1, 2로 표기하였다. 각기 다른 제형과 원료로 구성된 가공식품을 닭(CJ, CP, CT1, CT2), 소(BJ, BP1, BP2, BT), 오리(DJ, DP, DT), 연어(SS, ST1, ST2, SP1, SP2), 양(LS, LP), 말(HJ1, HJ2)로 분류하여 휘발성 향기 성분과 맛 성분을 분석하였다. 각 가공식품의 주원료, seasoning, 수분, 단백질, 조회분, 지방, 탄수화물의 함량을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각 가공식품의 첨가물 비율은 제조사의 정책에 따라 상세히 공개되지 않았다. 샘플들은 감각적 특징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분석 전까지 4°C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Table 1 . Main ingredients and seasoning in sample set.
Sample | Main ingredients | Seasoning | Proximate (%wet basis) | |||||
---|---|---|---|---|---|---|---|---|
Moisture | Crude protein | Crude lipid | Crude ash | Carbohydrate | ||||
Jerky type | CJ | chicken breas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BJ | beef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DJ | duck breas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HJ1 | horse mea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HJ2 | horse meat, flour, green-lipped mussel | sorbitol, beef seasoning | 55 | 14 | 4 | 5 | 22 | |
Stick type | SS | salmon, flour, soybean meal, chicory, surimi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 30 | 15 | 2.2 | 6 | 46.8 |
LS | lamb, frozen surimi, grain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beef seasoning powder | 30 | 12 | 0.7 | 5 | 52.3 | |
Puffed type | CP | chicken, grain, chicken scrap, cheese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 12 | 8 | 8 | 2 | 70 |
BP1 | beef, rice,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BP2 | beef, rice, cattle liver, sea mustard | - | 10 | 28 | 11 | 12 | 39 | |
DP | duck, rice, green-lipped mussel,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SP1 | salmon, rice,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SP2 | salmon, rice, seamustard | - | 10 | 28 | 11 | 12 | 39 | |
LP | lamb, potato, tapioca, coconut powder | - | 23 | 28 | 10 | 9 | 30 | |
Thermally processed Type | CT1 | chicken, carrot, potato, pumpkin, broccoli | calcium phosphate | 75 | 11 | 6 | 3 | 5 |
CT2 | chicken breast, rice, red ginseng, pumpkin, carrot, cabbage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1 | 4.8 | |
BT | beef, rice, tomato, pumpkin,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3 | 2.8 | |
DT | duck, potato, carrot, broccoli, spinach, pumpkin | calcium phosphate | 75 | 12 | 6 | 3 | 4 | |
ST1 | salmon, carrot, potato, broccoli, pumpkin | calcium phosphate | 75 | 10 | 5 | 3 | 7 | |
ST2 | salmon, rice, red ginseng, pumpkin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1 | 4.8 |
CJ: chicken with jerky type, BJ: beef with jerky type, DJ: duck with jerky type, HJ1: horse with jerky type 1, HJ2: horse with jerky type 2, SS: salmon with stick type, LS: lamb with stick type, CP: chicken with puffed type, BP1: beef with puffed type 1, BP2: beef with puffed type 2, DP: duck with puffed type, SP1: salmon with puffed type 1, SP2: salmon with puffed type 2, LP: lamb with puffed type, CT1: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 CT2: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2, BT: beef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DT: duck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1: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 ST2: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2..
원료와 제형에 따른 가공식품이 가지는 맛 성분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혀 시스템(electronic tongue Ⅱ, ASTREE, Alpha MOS)을 사용하였다. 전자혀 시스템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느낄 수 있는 5가지의 맛인 신맛(AHS_sourness), 짠맛(CTS_saltiness), 감칠맛(NMS_umami), 단맛(ANS_sweetness), 쓴맛(SCS_bitternes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가지의 보조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샘플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샘플을 5 g씩 취하여 팽화 형태는 분쇄기(CSM-309, MotorMillions Electric Industries Co.)를 이용하였고 스틱 형태는 막자사발을 이용해 분쇄하였다. 상대적으로 수분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육포 형태는 가위로 잘게 자른 후 전자혀 분석용 vial에 담아 정제수 100 mL와 함께 30분간 60°C에서 2×
원료와 제형에 따른 가공식품이 가지는 휘발성 향기 성분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코 시스템(HERACLES Neo, Alpha MOS)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샘플 3 g을 전자코 분석용 headspace vial에 넣고 20분간 40°C에서 교반하여 휘발성 향기 성분을 headspace vial에 포화시켰다. 휘발성 향기 성분은 전자코에 부착된 자동시료 채취기를 이용하여 포집하였고, 포집된 향기 성분에서 1,000 μL를 주사기를 이용해 취한 후, 전자코에 장착된 gas chromatography injection port에 주입하였다. 분석조건은 acquisition time 110초, trap absorption temperature 40°C, trap desorption temperature 250°C, 1 mL/min의 수소 가스 유량으로 설정하였다. 전자코 분석에 MXT-5 column(Alpha MOS)이 사용되었고, 오븐 온도는 40°C로 5초간 유지한 뒤 4°C/s의 속도로 270°C까지 승온 후 30초 동안 유지되었다. 전자코 시스템은 탄소수에 기반을 둔 retention index(RI)로 진행되고 Kovat’s index library를 기반으로 둔 AroChemBase(Alpha MOS)의 정보를 통해 분리된 각 향기 성분의 peak area를 동정하였다. RI는 다음 방정식 (1)에 의해 결정되었다.
RIx는 미지의 화합물의 RI, tRx는 미지의 화합물이 머무르는 시간, tRn은 n-alkane이 머무르는 시간이며, tRn+1은 다음 n-alkane이 머무는 시간이다. tRx는 tRn과 tRn+1의 사이이고 이때 n은 탄소 원자 수를 말한다. 이러한 과정을 샘플당 3회 반복하여 분석하였다(Boo 등, 2021; Hong 등, 2021; Park 등, 2024).
본 연구에서 전자혀와 전자코 분석에서 제시된 결괏값은 3 반복 분석을 통한 평균값(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나타내었고, 다변량 분석법은 XLSTAT software ver. 2023(Addinsoft)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HCA)으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Metaboanalyst 6.0(https://www.metaboanalyst.ca)을 사용해 PLS-DA(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heatmap 그리고 correlation을 바탕으로 각 휘발성 향기 성분, 맛 성분과 영양 성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ark 등, 2024).
전자혀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인지하는 5가지의 맛(신맛, 짠맛, 감칠맛, 단맛, 쓴맛)과 관련된 전자센서를 통해 상대적인 맛 강도를 제시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형에 따른 동물성 가공식품의 맛 성분 분석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Fig. 1A는 육포 형태인 CJ, BJ, DJ, HJ1, HJ2의 전자센서 분석값이며, Fig. 1B는 스틱 형태인 SS와 LS의 센서 값을 나타내었다. Fig. 1C는 팽화 형태인 CP, BP1, BP2, DP, SP1, SP2, LP의 센서값을 나타내었으며, Fig. 1D는 화식 형태인 CT1, CT2, BT, DT, ST1, ST2의 전자센서 분석값을 나타내어 제형별 동물성 가공식품에 대한 맛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신맛과 관련된 센서인 AHS는 CT2에서 9.1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T1에서 2.8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짠맛과 관련된 센서인 CTS는 BP1에서 8.8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P2에서 2.4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감칠맛과 관련된 센서인 NMS는 SP2에서 8.8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T2에서 1.7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단맛과 관련된 센서인 ANS는 LP에서 9.4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으며, SP1에서 2.2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쓴맛과 관련된 센서인 SCS는 ST1에서 10.8로 가장 높은 값이 확인되었고, SP1에서 2.8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다.
육포 형태 가공식품의 맛 성분 결과(Fig. 1A)는 다른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칠맛이 높게 나타났으며, CJ와 HJ2에서 각각 7.9와 7.8로 감칠맛이 높은 값으로 확인되었다. Table 1에서 육포 형태의 CJ, BJ, DJ, HJ1, HJ2는 다른 샘플에 비해 비교적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확인하였다. 단백질은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Anfinsen, 1972). 이 아미노산은 식품의 기호성 및 풍미에 중요한 요소이며, 그중 glutamic acid는 전자혀가 측정하는 전위차 값을 감칠맛으로 감지한다(Lee 등, 2012; Youn 등, 2015). Lee와 Park(2004)의 연구에 따르면 육포에서 유리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육포 형태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확인된 감칠맛은 다른 샘플에 비해 비교적 높은 조단백질 함량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에서 화식 형태 가공식품의 주요 성분에는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한 브로콜리, 양배추, 호박 등의 채소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Khanum 등, 2000). 이러한 채소들은 페놀, 플라보노이드, 이소플라본, 테르펜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등으로 인해 쓴맛을 가진다(Dinehart 등, 2006). 그중 호박은 L-arginine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한 채소로 알려져 있으며, L-arginine은 고유의 짠맛과 강한 쓴맛을 가지고 있다(Kim 등, 2014; Mulwa 등, 2020). Youn 등(2015)에 따르면 L-arginine과 단백질 중의 감칠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상호작용으로 인해 짠맛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Fig. 1D에서 쓴맛과 짠맛을 모든 샘플과 비교했을 때 높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화식 형태 가공식품의 풍부한 식이섬유와 호박 성분에 있는 L-arginine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의 맛 성분을 구별하기 위한 분석 기구로 전자혀 시스템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전자센서인 전자코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형에 따라 분류하여 Table 2~5에 나타내었다. Table 2에는 육포 형태에 대한 휘발성 향기 성분을 나타내었으며, Table 3에는 스틱 형태에 대해서, Table 4에는 팽화 형태에 대해서, 그리고 Table 5에는 화식 형태에 대한 휘발성 향기 성분을 나타내었다. Table 2에서 육포 형태 가공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총 49개가 검출되었으며, Table 3에서 스틱 형태는 총 26개, Table 4에서 팽화 형태는 총 55개, 그리고 Table 5에서 화식 형태는 총 56개가 검출되었다. 스틱 형태 가공식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26개로 가장 적은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수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은 향기 성분이 총 56개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Table 2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jerky-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Jerky-type | ||||
---|---|---|---|---|---|---|---|
CJ | BJ | DJ | HJ1 | HJ2 | |||
Amines(1) |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3) | 0.58±0.06 | ND | ND | ND |
Acids and esters(10) |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0.08±0.02a4) | 0.07±0.02a | ND | ND |
Ethyl acrylate | 31.35(698) | Acrid, pungent | ND | ND | ND | 0.08±0.01 | ND |
Butanoic acid | 43.53(802) | Butter, cheese | ND | 0.33±0.02 | ND | ND | ND |
2-Methylbutanoic acid | 50.92(873) | Cashew, cheese | ND | 0.06±0.00 | ND | ND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0.20±0.01a | ND | ND | 0.20±0.02a | 0.10±0.01b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ND | ND | ND | 0.15±0.04 |
Propyl pentanoate | 62.15(999) | Animal | ND | ND | 1.17±0.13 | ND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ND | 0.29±0.04 | ND | ND |
Methacrylic acid | 101.57(1757) | - | ND | ND | ND | ND | 0.08±0.02 |
Propyl tetradecanoate | 107.88(1898) | - | 0.13±0.02 | ND | ND | ND | ND |
Alcohols(9)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4.85±1.28b | 3.68±0.57b | 4.32±0.24b | 4.36±0.21b | 15.12±0.67a |
1-Propanol | 20.29(551) | Fermented | ND | ND | ND | ND | 0.24±0.01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ND | ND | 1.38±0.05 | ND | ND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ND | ND | 0.10±0.01 | ND | ND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21.04±2.06a | 8.13±0.66c | 16.88±1.45ab | 13.65±5.48bc | 6.85±0.63c |
2,3-Butanediol | 43.43(801) | Creamy | ND | ND | 0.36±0.10a | ND | 0.48±0.09a |
2-Nonanol | 69.22(1100) | Cucumber | ND | 0.16±0.04 | ND | ND | ND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0.11±0.06a | ND | ND | ND | 0.07±0.01a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09±0.02a | ND | 0.14±0.04a | ND |
Aldehydes(2)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0.37±0.09d | 0.97±0.09b | 0.53±0.07C | 1.05±0.06b | 1.28±0.05a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ND | ND | ND | 0.32±0.02b | 2.81±0.13a |
Hydrocabons(16) | |||||||
2-Methylbutane | 17.49(489) | Gasoline | ND | ND | ND | ND | 1.20±0.04 |
Hexane | 22.47(600) | Alkane | ND | 2.54±0.15b | ND | 2.35±0.05b | 10.59±0.21a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1.42±0.06b | 3.10±0.04a |
Cyclohexane | 28.21(664) | Chloroform | ND | ND | ND | ND | 0.22±0.01 |
3-Ethylpentane | 30.13(685) | - | ND | ND | ND | ND | 0.25±0.01 |
Octane | 45.07(816) | Fusel, gasoline | ND | ND | 0.07±0.07 | ND | ND |
4-Ethylheptane | 48.24(847) | - | ND | ND | ND | ND | 0.16±0.00 |
m-Xylene | 50.87(872) | Cold meat fat | ND | ND | ND | 0.10±0.04 | ND |
Nonane | 53.86(901) | Fusel, gasoline | ND | 0.23±0.01 | ND | ND | ND |
Decane | 62.09(998) | Fusel, sweet | ND | 0.26±0.05b | ND | 0.74±0.05a | ND |
4-Ethylnonane | 65.47(1046) | - | 1.88±0.39a | 0.42±0.13b | ND | ND | ND |
2-Methyldecane | 66.75(1065) | - | ND | ND | 2.54±0.14a | 1.14±0.21b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ND | ND | 0.64±0.05a | 0.25±0.12b | ND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ND | 0.08±0.02a | 0.09±0.02a | ND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0.17±0.20a | 0.10±0.03a | 0.09±0.01a | ND | ND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0±0.03a | 0.27±0.01a | ND | 0.35±0.05a | 0.33±0.04a |
Heterocyclics(2) | |||||||
Furan | 17.41(487) | Etheral | ND | ND | 4.67±0.12a | 0.08±0.01b | ND |
Indole | 79.88(1286) | Animal | ND | ND | ND | ND | 0.16±0.02 |
Ketones(5)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6.94±0.23 | ND | ND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ND | ND | ND | 0.36±0.01 |
δ-Valerolactone | 59,42(967) | - | 0.06±0.02 | ND | ND | ND | ND |
δ-Nonalactone | 85.81(1406) | Coconut, milky | ND | ND | ND | 0.10±0.01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ND | 0.60±0.07a | 0.63±0.08a | 0.81±0.16a | 0.87±0.24a |
Sulfur-containing compounds(4)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ND | ND | 0.31±0.07b | 0.72±0.08a | ND |
Butanethiol | 35.29(732) | Coffee, sulfurous | ND | ND | 0.09±0.01 | ND | ND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0.31±0.06a | ND | ND | 0.26±0.18a | ND |
Dimethyl trisulfide | 59.37(966) | Meaty, onion | ND | ND | 0.07±0.02b | 0.04±0.03b | 0.30±0.04a |
CJ: chicken with jerky type, BJ: beef with jerky type, DJ: duck with jerky type, HJ1: horse with jerky type, HJ2: horse with jerky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 with different letters (a~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jerky-type processed food (
Table 3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 (stick-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103).
Compounds | RT1) (RI2)) | Sensory description | Stick-type | |
---|---|---|---|---|
SS | LS | |||
Acids and esters(5) | ||||
Methyl isobutyrate | 29.81(681) | Apple | 0.29±0.08 | ND3) |
Ethylmethacrylate | 44.85(814) | Acrid, acrylate | ND | 0.06±0.00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ND | 0.05±0.05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0.14±0.01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0.71±0.13 |
Alcohols(8)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18.96±0.56a4) | 20.30±1.71a |
1-Propanol | 20.29(551) | Fermented | 0.98±0.20a | 0.56±0.04b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0.13±0.08 | ND |
1-Penten-3-ol | 28.29(665) | Burnt, meaty | 0.47±0.13 | ND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7.06±1.63a | 11.68±3.75a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0.43±0.02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ND | 0.07±0.00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14±0.05 |
Aldehydes(3)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1.16±0.13a | 1.07±0.14a |
But-2-enal | 27.14(652) | Green, pungent | ND | 0.14±0.03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0.62±0.07a | 0.23±0.01b |
Ethers(1) | ||||
Diethyl ether | 17.53(490) | Etheral | 1.39±0.32 | ND |
Hydrocabons(6) | ||||
Hexane | 22.47(600) | Alkane | 33.68±8.22a | 35.77±1.94a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10.63±2.40a | 9.69±0.64a |
Cyclohexane | 28.21(664) | Chloroform | ND | 0.44±0.05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0.07±0.01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ND | 0.09±0.02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ND | 0.39±0.07 |
Ketones(2) | ||||
2-Methyl-2-cyclopenten-1-one | 54.06(903) | - | 0.10±0.01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71±0.11 | ND |
Sulfur-containing compounds(1) |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1.37±0.13a | 0.57±0.17b |
SS: salmon with stick type, LS: lamb with stick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b)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tick-type processed food (
Table 4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puffed-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Puffed-type | ||||||
---|---|---|---|---|---|---|---|---|---|
CP | BP1 | BP2 | DP | SP1 | SP2 | LP | |||
Amines(2) | - |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3) | ND | 1.65±0.27a4) | ND | ND | 1.48±0.23a | ND |
Aniline | 60.15(975) | amine, pungent | ND | ND | 0.05±0.00 | ND | ND | ND | ND |
Acids and esters(8) |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ND | ND | ND | ND | 0.12±0.09 | ND |
2-Methylpropanoic acid | 39.79(770) | acidic, cheese | 0.83±0.18 | ND | ND | ND | ND | ND | ND |
Ethyl isobutyrate | 40.38(775) | garlic, onion | ND | ND | ND | ND | ND | ND | 0.85±0.03 |
Butanoic acid | 43.53(802) | butter, cheese | ND | ND | ND | ND | 1.15±0.19 | ND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0.22±0.01 | ND | ND | ND | ND | ND | ND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0.18±0.00a | 0.10±0.01a | ND | ND | ND | 0.15±0.07a |
Ethyl hexanoate | 61.82(995) | apple, fruity | ND | ND | ND | 0.09±0.03 | ND | ND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ND | 0.65±0.13a | ND | ND | 0.63±0.14b | ND |
Alcohols(6)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11.85±0.19e | 290.63±6.58a | ND | 143.93±7.50c | 123.37±2.35c | 173.95±22.16b | 83.79±0.91d |
2-Butanol | 21.49(578) | oily | ND | ND | ND | ND | 0.65±0.26 | ND | ND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0.98±0.18b | 2.21±0.27a | ND | ND | 2.39±0.68a | ND | 1.95±0.36ab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18.00±2.15ab | 15.94±1.77b | 24.12±1.30a | 20.37±1.19ab | 21.41±5.71ab | 19.26±0.27ab | 14.23±2.53b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0.37±0.02a | ND | 0.28±0.06a | 0.32±0.03a | ND | 0.17±0.03b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11±0.00a | 0.12±0.02a | ND | 0.12±0.02a | ND | ND |
Aldehydes(8)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1.07±0.06c | 1.88±0.22ab | 1.73±0.13ab | 2.17±0.15a | 1.74±0.23ab | 1.64±0.19b | 1.61±0.23b |
Propenal | 16.30(463) | pungent, sweet | ND | ND | 164.12±7.65 | ND | ND | ND | ND |
But-2-enal | 27.14(652) | green, pungent | 0.72±0.08c | ND | ND | 1.65±0.11a | 1.40±0.10b | ND | 1.27±0.07b |
2-Methylbutanal | 28.08(662) | almond, burnt | ND | ND | ND | 1.63±0.14a | ND | 0.87±0.08c | 1.26±0.02b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ND | 0.58±0.09c | 0.88±0.07b | 0.59±0.13c | ND | 0.30±0.01d | 1.23±0.04a |
2,4-Heptadienal | 62.77(1007) | dry, musty | ND | ND | ND | ND | 0.18±0.09 | ND | ND |
2-Octenal | 66.52(1061) | burnt, fatty | ND | 0.20±0.03 | ND | ND | ND | ND | ND |
3,6-Nonadienal | 69.31(1102) | cucumber | ND | 0.10±0.04a | ND | ND | 0.15±0.02a | ND | ND |
Ethers(1) | |||||||||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 67.01(1068) | etheral | ND | ND | 0.04±0.04 | ND | ND | ND | ND |
Hydrocabons(17) | |||||||||
Hexane | 22.47(600) | alkane | 4.31±0.23c | ND | ND | 11.71±1.64a | 9.17±1.05ab | ND | 9.06±0.21b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3.58±0.74 | ND | ND | ND |
Fluorobenzene | 29.95(683) | butter, creamy | 0.07±0.01 | ND | ND | ND | ND | ND | ND |
3-Ethylpentane | 30.13(685) | - | 0.09±0.00 | ND | ND | ND | ND | ND | ND |
m-Xylene | 50.87(872) | cold meat fat | 0.10±0.01 | ND | ND | ND | ND | ND | ND |
3-Methyl-octane | 53.11(894) | - | ND | ND | ND | ND | 0.10±0.04 | ND | ND |
1,4-Dichlorobutane | 54.17(905) | - | ND | ND | ND | 0.07±0.00 | ND | ND | ND |
1-Chloroheptane | 57.89(949) | - | ND | ND | ND | 0.07±0.01 | ND | ND | ND |
Cumene | 61.88(996) | herbaceous | ND | ND | ND | ND | ND | ND | 0.22±0.06 |
Butylbenzene | 66.22(1057) | - | ND | ND | ND | 5.14±8.47a | 0.26±0.04a | ND | ND |
4-Methyldecane | 66,71(1064) | - | 0.42±0.07 | ND | ND | ND | ND | ND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ND | ND | ND | 0.13±0.01 | ND | ND | ND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0.08±0.01ab | 0.09±0.02a | ND | ND | 0.08±0.00ab | 0.07±0.00b | 0.07±0.01ab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ND | ND | 0.10±0.01a | ND | ND | 0.07±0.01a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ND | ND | ND | 0.09±0.00a | 0.09±0.01a | ND | 0.05±0.05a |
Myristicin | 91.06(1521) | balsamic | ND | ND | ND | ND | ND | 0.29±0.05 | ND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5±0.04a | 0.29±0.04a | 0.34±0.05a | ND | 0.29±0.02a | ND | 0.32±0.01a |
Heterocyclics(2) | |||||||||
5-Methylfurfural | 60.80(983) | almond, burnt sugar | 0.08±0.01 | ND | ND | ND | ND | ND | ND |
Indole | 79.88(1286) | animal | 0.14±0.01 | ND | ND | ND | ND | ND | ND |
Ketones(6)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ND | ND | 11.92±1.31a | ND | ND | 10.11±0.75a | ND |
3-Pentanone | 30.31(687) | cheese | ND | ND | ND | 0.06±0.05 | ND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0.22±0.02b | 0.37±0.03a | 0.24±0.02b | 0.42±0.04a | ND | ND |
Cyclopentanone | 39.71(769) | minty, peppermint | ND | ND | 0.70±0.11 | ND | ND | ND | ND |
2-Furanone | 55.75(923) | butter | ND | ND | 0.06±0.01 | ND | ND | ND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96±0.30a | 0.68±0.16a | ND | 0.73±0.16a | 0.63±0.17a | ND | 0.83±0.15a |
Sulfur-containing compounds(5)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ND | 1.34±0.28a | ND | 1.64±0.16a | ND | ND | 1.28±0.18a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ND | ND | ND | 0.65±0.43a | 0.83±0.47a | ND | ND |
1-Pentanethiol | 45.26(818) | meaty, smoky | ND | ND | ND | 0.19±0.06 | ND | ND | ND |
Dimethly sulfoxide | 45.84(824) | fatty, garlic | ND | 0.19±0.08a | ND | ND | 0.16±0.08b | ND | ND |
3-Methyl-2-butene-1-thiol | 48.19(846) | meaty, smoky | ND | ND | ND | 0.05±0.04 | ND | ND | ND |
CP: chicken with puffed type, BP1: beef with puffed type, BP2: beef with puffed type, DP: duck with puffed type, SP1: salmon with puffed type, SP2: salmon with puffed type, LP: lamb with puffed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 with different letters (a~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uffed-type processed food (
Table 5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thermally processed-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Thermally processed-type | |||||
---|---|---|---|---|---|---|---|---|
CT1 | CT2 | BT | DT | ST1 | ST2 | |||
Amines(3) | ||||||||
Acrylonitrile | 18.60(514) | irritating | 0.52±0.00b3) | 1.25±0.14a | 1.22±0.10a | 0.77±0.15b | ND4) | ND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 | 0.79±0.06a | 0.56±0.06b | 0.52±0.08b | 0.43±0.07b | ND |
Aniline | 60.15(975) | amine, pungent | ND | ND | ND | ND | 0.13±0.07 | ND |
Acids and esters(10) | ||||||||
Formic acid | 21.51(580) | acidic, vinegar | 2.79±0.15b | 0.59±0.09d | 0.53±0.02d | 2.41±0.11c | 2.83±0.12b | 4.45±0.20a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ND | ND | ND | ND | 0.25±0.04 |
Methyl but-2-enoate | 36.85(745) | blackcurrant | ND | ND | ND | ND | 1.19±0.14 | ND |
Propanoic acid | 36.93(746) | acidic, pungent | 1.14±0.20 | ND | ND | ND | ND | ND |
Propyl propanoate | 45.11(817) | apple, sweet | ND | ND | 0.19±0.03 | ND | ND | ND |
2-Methylbutanoic acid | 50.92(873) | cashew, cheese | ND | ND | ND | ND | 0.12±0.04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ND | ND | 0.14±0.05 | ND | ND | ND |
Propyl 2-butenoate | 57.87(928) | - | ND | ND | ND | ND | 0.07±0.00 | ND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ND | ND | ND | 0.46±0.05 | ND |
Propyl pentanoate | 62.15(999) | animal | ND | ND | ND | ND | ND | 0.28±0.06 |
Alcohols(11) | ||||||||
Methanol | 15.09(436) | pungent | 1.99±0.19b | 10.85±0.80a | ND | ND | ND | ND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24.43±0.51a | ND | 1.34±0.04d | 18.05±0.53b | 17.25±0.86b | 5.07±0.57c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ND | 0.85±0.12b | 0.85±0.04b | ND | ND | 4.20±0.27a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ND | 0.22±0.01b | 0.21±0.01b | 0.39±0.05a | 0.35±0.01a | 0.35±0.03a |
Pentan-2-ol | 29.72(680) | - | ND | ND | ND | 0.13±0.03b | 0.32±0.06a | 0.22±0.04b |
3-Methyl-1-butanol | 35.96(738) | balsamic | ND | ND | ND | ND | ND | 0.51±0.04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ND | ND | 2.35±0.08 | ND | ND | ND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ND | 0.43±0.11 | ND | ND | ND |
3-Nonanol | 69.27(1101) | herbaceous | ND | ND | 0.06±0.05 | ND | ND | ND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ND | 0.09±0.02a | ND | 0.08±0.01a | ND | ND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0.18±0.05 | ND | ND | ND | ND | ND |
Aldehydes(4)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ND | 1.45±0.02a | ND | ND | 0.19±0.02b | 0.13±0.01c |
Propenal | 16.30(463) | pungent, sweet | ND | ND | 4.92±2.57 | ND | ND | ND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0.59±0.02b | 0.35±0.03c | 1.21±0.02a | 0.51±0.06b | ND | 0.49±0.06b |
4-Heptenal | 54.15(904) | biscuit | 0.15±0.02 | ND | ND | ND | ND | ND |
Ethers(1) | ||||||||
Diethyl ether | 17.53(490) | etheral | ND | 2.26±0.22c | 15.51±1.06a | ND | 18.52±2.55a | 9.08±1.17b |
Hydrocabons(14) | ||||||||
Hexane | 22.47(600) | alkane | ND | ND | 4.66±0.18 | ND | ND | ND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ND | 0.12±0.02 | ND |
Octane | 45.07(816) | fusel, gasoline | ND | ND | ND | ND | ND | 0.47±0.03 |
2-Octene | 45.81(823) | - | ND | ND | ND | ND | 0.68±0.05 | ND |
4-Ethenylcyclohexane | 48.18(846) | - | ND | ND | ND | ND | ND | 0.11±0.00 |
4-Ethylheptane | 48.24(847) | - | ND | 0.17±0.04 | ND | ND | ND | ND |
1,4-Dimethylbenzene | 51.55(879) | cold meat fat | 0.04±0.03 | ND | ND | ND | ND | ND |
Cumene | 61.88(996) | herbaceous | ND | 0.14±0.08a | ND | 0.20±0.01a | ND | ND |
4-Ethylnonane | 65.47(1046) | - | 0.06±0.01 | ND | ND | ND | ND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0.05±0.06 | ND | ND | ND | ND | ND |
p-Menthatriene | 69.80(1110) | beany, bell pepper | ND | ND | ND | ND | ND | 0.17±0.02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0.08±0.01a | ND | 0.08±0.00a | ND | ND | ND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ND | ND | ND | 0.08±0.02a | ND | 0.04±0.03a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3±0.03a | ND | 0.36±0.02a | 0.31±0.03a | 0.31±0.02a | ND |
3-Methyl furan | 25.03(628) | - | 0.09±0.03a | ND | ND | 0.08±0.01a | ND | ND |
Pyrrole | 37.96(754) | coffee, cracker | ND | 0.59±0.18 | ND | ND | ND | ND |
5-Methylfurfural | 60.80(983) | almond, burnt sugar | ND | ND | ND | ND | ND | 0.05±0.05 |
Indole | 79.88(1286) | animal | ND | ND | ND | 0.20±0.03a | 0.20±0.02a | 0.18±0.01a |
Ketones(6)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4.86±0.23a | ND | ND | 7.03±0.79b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0.15±0.05 | ND | ND | ND | ND |
1-Hexane-3-one | 40.46(776) | leafy, vegetable | ND | 0.20±0.02 | ND | ND | ND | ND |
Hexan-2-one | 42.47(792) | pungent, synthetic | ND | ND | ND | ND | 0.16±0.03a | 0.11±0.03a |
2-Methyl-2-cyclopenten-1-one | 54.06(903) | - | ND | ND | ND | 0.14±0.04b | 0.26±0.01a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87±0.09a | 0.74±0.12a | 0.94±0.15a | 0.91±0.17a | 0.90±0.22a | 0.78±0.16a |
Sulfur-containing compounds(3)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0.53±0.08 | ND | ND | ND | ND | ND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0.18±0.06c | ND | ND | 0.21±0.10c | 0.76±0.15b | 1.08±0.06a |
1-Pentanethiol | 45.26(818) | meaty, smoky | ND | 0.19±0.06 | ND | ND | ND | ND |
CT1: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CT2: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BT: beef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DT: duck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1: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2: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Mean with different letters (a~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ermally processed-type processed food (
4)ND: not detected..
Acids와 esters는 경화되지 않은 고기의 향에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Chen 등, 2017). Formic acid는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에서만 검출되었는데(Table 5), 이는 셀룰로오스를 산 가수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acid류로 알려져 있으며(Chen 등, 2022), sensory description은 acidic, vinegar를 나타낸다. 이러한 formic acid는 Table 1에 나타낸 대부분 화식 형태 가공식품의 주재료로 사용된 녹색 채소인 브로콜리, 양배추, 호박이 가지고 있는 섬유질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Ghendov-Mosanu 등, 2023; Manaker, 2024; Núñez-Gómez 등, 2022). Table 5에서 formic acid는 ST2에서 4.45±0.20으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BT에서 0.53±0.02로 가장 낮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
육류 가공식품의 주요 향기 성분이라고 알려진 aldehydes에 속하는 acetaldehyde는 Table 5에서 화식 형태 가공식품 중 CT1, BT, DT를 제외한 모든 샘플에서 검출되었다(Koppel 등, 2013). Aldehydes는 지질 및 지방의 산화 반응으로 생성되는 가장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Koppel 등, 2013), acetaldehyde는 지질 과산화 반응으로 인해서 세포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지질 과산화 반응 중에 다양한 활성산소 및 활성질소종이 불포화 지방을 산화시켜 자유 라디칼 연쇄 반응과 그에 따른 aldehydes 형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ayakody와 Jin, 2021). 이는 탄수화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팽화 형태 가공식품인 DP에서 2.17±0.15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 가공식품인 ST2에서 0.13±0.01로 가장 낮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 Table 2~5에서 육포 형태 가공식품인 CJ, BJ 및 DJ와 팽화 형태 가공식품인 CP 및 SP1, 화식 형태 가공식품인 ST1을 제외하고 모든 샘플에서 검출되었으며, sensory description은 fishy, fatty를 나타낸다. Hexanal은 육가공품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동물조직에서 주로 불포화 지방산인 ω-6 지방산에서 유래하며 산패취를 내기도 한다(Koppel 등, 2013; Wettasinghe 등, 2001). 종종 식품에서 풀 향을 나타내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햄, 소시지, 칠면조 가슴살, 다양한 곡물 제품 및 유제품을 함유하는 식품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ppel 등, 2013). 육포 형태 가공식품인 HJ2에서 2.18±0.13으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스틱 형태 가공식품인 LS에서 0.23±0.01로 가장 낮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
샘플과 전자혀 시스템의 5가지 맛 성분 분석 결과와 영양 성분 간의 패턴을 다변량 분석법인 주성분 분석(Fig. 2)과 계층적 군집분석(Fig. 3)을 통해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PC1에서는 44.17%의 variance를, PC2에서는 23.62%의 variance를 나타내어 총 67.79%의 variance를 확인하였다. Fig. 2에서 모든 육포 형태의 샘플과 SP1, DP, BP2, SP2인 팽화 형태는 PC1을 기준으로 음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그중 SP1, DP, BP2, SP2는 crude protein, crude ash, umami와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육포 형태의 샘플은 umami, sourness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육포 형태의 가공식품과 팽화 형태 가공식품의 일부가 umami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CP와 BP1을 제외한 모든 화식 형태의 샘플은 saltiness와 moisture의 영향을 받아 PC1을 기준으로 양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전자혀 결과(Fig. 1D)에서 수분의 함량이 많은 화식 형태의 샘플은 saltiness에서 높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화식 형태 가공식품은 saltiness, moisture와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PC2를 기준으로 양의 방향에 위치한 LS, SS, BP1, CP, LP는 crude lipid와 sweetness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계층적 군집분석은 데이터 간의 차이와 그룹화가 확실하지 않은 샘플 간의 유사성과 패턴을 확인하고 분류한다(Granato 등, 2018). 샘플 간의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는 Fig. 3에 나타내었으며, 20가지의 샘플이 4개의 cluster로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다. SP1, DP, BP2 및 SP2는 cluster Ⅰ으로 분리되었고, HJ2, DJ, HJ1, CJ 및 BJ는 cluster Ⅱ를 형성하였다. 또한, LP, CP, BP1, SS 및 LS는 cluster Ⅲ로 분리되었으며, CT2, BT, ST2, CT1, DT 및 ST1은 cluster Ⅳ를 형성하였다. Cluster Ⅰ 및 cluster Ⅲ는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은 팽화 형태와 스틱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한 군집을 이루었으며, cluster Ⅱ는 조단백질의 함량이 다른 샘플에 비해 높은 육포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한 군집이 이루어졌다. Cluster Ⅳ는 75% 이상의 수분 함량을 가진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한 군집이 형성되었다. 전자혀의 주성분 분석(PCA)과 계층적 군집분석(HCA)의 결과에 따르면, 맛 성분이 동물성 소재의 종류보다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원료와 제품 제형에 따른 가공 공정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과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 함량 간의 패턴 분석을 위하여 다변량 분석법 중 하나인 PCA를 활용하여 Fig. 4에 나타내었다. PC1에서는 33.42%의 variance를, PC2에서는 20.74%의 variance를 나타내어 총 54.16%의 variance를 나타냈다. 수분 함량이 다른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 가공식품은 acids와 esters, ethers 그리고 moisture의 영향을 받아 PC1을 기준으로 양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전자코 분석 결과(Table 5)에서 화식 형태의 샘플에서만 acids류의 formic acid가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은 moisture, acids와 esters와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BP2 및 SP2는 PC1을 기준으로 하여 음의 방향에 위치하였으며 ketones, aldehydes, crude lipid와 상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팽화 형태인 SP1, LP, BP1 및 DP는 PC2를 기준으로 음의 방향에 위치하고 crude protein, carbohydrate, alcohols와 높은 상관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며 모든 육포 형태, 스틱 형태의 샘플과 CP는 heterocyclics와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샘플 간의 군집분석 결과는 Fig. 5에 나타내었으며, 4개의 cluster로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다. ST1, ST2, CT2, BT, CT1 및 DT가 cluster Ⅰ을 형성하였고 BP2와 SP2가 cluster Ⅱ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SP1, LP, BP1 및 DP가 cluster Ⅲ를 형성하였으며 DJ, SS, LS, HJ1, CJ, BJ, CP 및 HJ2가 cluster Ⅳ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uster Ⅰ은 모두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이 한 군집을 이룬 것을 확인하였고, cluster Ⅱ 및 cluster Ⅲ는 모두 탄수화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팽화 형태의 가공식품이 한 군집을 이루었다. Cluster Ⅳ는 팽화 형태, 스틱 형태 및 육포 형태의 가공식품이 다양한 제형의 샘플이 한 군집을 이룬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luster Ⅰ과 cluster Ⅱ, cluster Ⅲ 및 cluster Ⅳ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Fig. 4의 PCA 결과에서 moisture, acids와 esters 및 ethers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동물성 소재를 활용한 가공식품과 전자혀와 전자코를 활용해 분석된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그리고 Table 1에 나타낸 가공식품의 영양 성분 함량 사이의 패턴을 다변량 분석법 중 하나인 PCA를 활용하여 Fig. 6에 나타내었다. PC1에서는 31.00%의 variance를, PC2에서는 15.43%의 variance를 나타내어 총 PC에서 46.43%의 variance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인 PCA는 각 변수 간의 관계를 cosine 각도를 통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Cosine 180°인 경우 기울기가 -1을 뜻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의미하고, cosine 90°인 경우 기울기가 0을 뜻하여 상관관계가 없음을 뜻하며, cosine 0°인 경우에는 기울기가 -1을 뜻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Shin 등, 2010). Bitterness 및 acids와 esters(r=0.688)(
20개의 샘플에 대한 군집분석은 Fig. 7에 나타내었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3개의 cluster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이 cluster Ⅰ을 형성하였고 영양 성분 함량이 모두 같은 BP2와 SP2는 cluster Ⅱ를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육포 형태, 스틱 형태, 그리고 팽화 형태 가공식품 중에서 CP, BP1, DP, SP1 및 LP는 cluster Ⅲ을 형성하였다.
군집분석을 진행한 결과 화식 형태 가공식품은 Fig. 3, Fig. 5, Fig. 7에서 모두 같은 cluster를 형성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화식 형태인 6개의 샘플은 맛 성분과 휘발성 향기 성분이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ig. 5와 Fig. 7에서 BP2와 SP2가 한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팽화 형태 가공식품 중 소고기와 연어로 제조된 BP2와 SP2는 맛 성분보다는 휘발성 향기 성분이 cluster 형성에 크게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서 진행한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Fig. 6)는 맛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Fig. 2)에 비해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Fig. 4)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맛 성분에 비해서 휘발성 향기 성분이 cluster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사체학 데이터 판별과 정성분석을 위해 PLS-DA, heatmap, correlation 분석을 진행하였다. 해당 분석을 통해 각 그룹에서 얻은 결과를 수치화하여 통계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다(Pang 등, 2024). Fig. 8에서 PLS-DA는 두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VIP score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VIP score는 두 집단에서 변수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보여주었다(Lee 등, 2022). Rahi 등(2021)의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VIP scores 1.0 이상의 값들이 집단 간의 변수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보고되었다. Fig. 8에서 총 8개의 대사체가 확인되었으며, sourness는 CT2에서 가장 높은 1.9의 VIP score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acids와 esters는 ST2, bitterness는 ST1, hydrocarbons는 SP2, aldehydes는 BP2, sulfur-contain은 DP, crude protein은 BJ, 마지막 amines는 CT2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Heatmap은 각각의 대사체의 평균을 정규화한 후 분류하고, 각 항목의 수치를 색상으로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Kim 등, 2022). 각 항목의 상관관계는 양의 상관관계일 때 빨간색이고 음의 상관관계일 때는 파란색으로 나타내어 여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Fig. 9에서 VIP score를 통해 heatmap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heterocyclics와 DJ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aldehydes와 BP2도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Kang 등(2022)의 연구에 따르면 heterocyclics은 어류 및 육류 등의 동물성 식품을 고온 가열할 때 주로 생성되는 화합물로 보고되었다. 20가지의 샘플에서 검출된 heterocyclics 전체값은 DJ가 4.67±0.12로 가장 높은 peak area로 Table 2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DJ는 가공 처리 과정에서 고온으로 조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aldehydes는 지질 및 지방이 산화될 때 생성되는 물질로 팽화 형태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며, aldehydes 함량을 합친 값 중 BP2가 164.12±7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Koppel 등, 2013).
최종 상관관계에서 각각의 그룹에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영양 성분을 포함하여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두 그룹 간의 관련성이 있는 성분을 양의 상관관계(빨간색)와 음의 상관관계(파란색)로 구별하였다. Fig. 10의 분석 결과, acids와 esters 및 bitterness가 correlation coefficient 0.69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moisture와 carbohydrate가 correlation coefficient -0.84로 가장 낮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형과 동물성 소재에 따른 가공식품 20종의 향미 패턴을 분석하였다. 맛 성분 분석에서 전자혀를,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에는 전자코를 사용하였다. 전자혀를 이용하여 가공식품 20종을 분석한 결과, 화식 형태의 가공식품은 짠맛과 연관이 있었으며, 육포 형태와 팽화 형태의 가공식품은 감칠맛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가공식품 20종을 분석한 결과, 육포 형태는 49개, 스틱 형태는 26개, 팽화 형태는 55개, 화식 형태는 56개의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며, 화식 형태 가공식품에서 가장 풍부한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가공식품의 전자혀 센서값, 전자코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 결과,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과 맛 성분,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영양 성분의 패턴 분석 결과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맛 성분에 비해서 휘발성 향기 성분이 cluster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제형의 가공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축산현안대응산업화기술개발사업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RS-2023-00231446).
Table 1 . Main ingredients and seasoning in sample set.
Sample | Main ingredients | Seasoning | Proximate (%wet basis) | |||||
---|---|---|---|---|---|---|---|---|
Moisture | Crude protein | Crude lipid | Crude ash | Carbohydrate | ||||
Jerky type | CJ | chicken breas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BJ | beef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DJ | duck breas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HJ1 | horse meat | sorbitol, refined salt | 30 | 40 | 1.5 | 5 | 23.5 | |
HJ2 | horse meat, flour, green-lipped mussel | sorbitol, beef seasoning | 55 | 14 | 4 | 5 | 22 | |
Stick type | SS | salmon, flour, soybean meal, chicory, surimi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 30 | 15 | 2.2 | 6 | 46.8 |
LS | lamb, frozen surimi, grain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beef seasoning powder | 30 | 12 | 0.7 | 5 | 52.3 | |
Puffed type | CP | chicken, grain, chicken scrap, cheese | sugar, sorbitol, refined salt | 12 | 8 | 8 | 2 | 70 |
BP1 | beef, rice,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BP2 | beef, rice, cattle liver, sea mustard | - | 10 | 28 | 11 | 12 | 39 | |
DP | duck, rice, green-lipped mussel,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SP1 | salmon, rice, carrot,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23 | 26 | 8 | 8 | 35 | |
SP2 | salmon, rice, seamustard | - | 10 | 28 | 11 | 12 | 39 | |
LP | lamb, potato, tapioca, coconut powder | - | 23 | 28 | 10 | 9 | 30 | |
Thermally processed Type | CT1 | chicken, carrot, potato, pumpkin, broccoli | calcium phosphate | 75 | 11 | 6 | 3 | 5 |
CT2 | chicken breast, rice, red ginseng, pumpkin, carrot, cabbage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1 | 4.8 | |
BT | beef, rice, tomato, pumpkin, broccoli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3 | 2.8 | |
DT | duck, potato, carrot, broccoli, spinach, pumpkin | calcium phosphate | 75 | 12 | 6 | 3 | 4 | |
ST1 | salmon, carrot, potato, broccoli, pumpkin | calcium phosphate | 75 | 10 | 5 | 3 | 7 | |
ST2 | salmon, rice, red ginseng, pumpkin | fructooligosaccharide | 90 | 4 | 0.2 | 1 | 4.8 |
CJ: chicken with jerky type, BJ: beef with jerky type, DJ: duck with jerky type, HJ1: horse with jerky type 1, HJ2: horse with jerky type 2, SS: salmon with stick type, LS: lamb with stick type, CP: chicken with puffed type, BP1: beef with puffed type 1, BP2: beef with puffed type 2, DP: duck with puffed type, SP1: salmon with puffed type 1, SP2: salmon with puffed type 2, LP: lamb with puffed type, CT1: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 CT2: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2, BT: beef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DT: duck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1: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 ST2: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2..
Table 2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jerky-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Jerky-type | ||||
---|---|---|---|---|---|---|---|
CJ | BJ | DJ | HJ1 | HJ2 | |||
Amines(1) |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3) | 0.58±0.06 | ND | ND | ND |
Acids and esters(10) |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0.08±0.02a4) | 0.07±0.02a | ND | ND |
Ethyl acrylate | 31.35(698) | Acrid, pungent | ND | ND | ND | 0.08±0.01 | ND |
Butanoic acid | 43.53(802) | Butter, cheese | ND | 0.33±0.02 | ND | ND | ND |
2-Methylbutanoic acid | 50.92(873) | Cashew, cheese | ND | 0.06±0.00 | ND | ND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0.20±0.01a | ND | ND | 0.20±0.02a | 0.10±0.01b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ND | ND | ND | 0.15±0.04 |
Propyl pentanoate | 62.15(999) | Animal | ND | ND | 1.17±0.13 | ND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ND | 0.29±0.04 | ND | ND |
Methacrylic acid | 101.57(1757) | - | ND | ND | ND | ND | 0.08±0.02 |
Propyl tetradecanoate | 107.88(1898) | - | 0.13±0.02 | ND | ND | ND | ND |
Alcohols(9)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4.85±1.28b | 3.68±0.57b | 4.32±0.24b | 4.36±0.21b | 15.12±0.67a |
1-Propanol | 20.29(551) | Fermented | ND | ND | ND | ND | 0.24±0.01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ND | ND | 1.38±0.05 | ND | ND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ND | ND | 0.10±0.01 | ND | ND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21.04±2.06a | 8.13±0.66c | 16.88±1.45ab | 13.65±5.48bc | 6.85±0.63c |
2,3-Butanediol | 43.43(801) | Creamy | ND | ND | 0.36±0.10a | ND | 0.48±0.09a |
2-Nonanol | 69.22(1100) | Cucumber | ND | 0.16±0.04 | ND | ND | ND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0.11±0.06a | ND | ND | ND | 0.07±0.01a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09±0.02a | ND | 0.14±0.04a | ND |
Aldehydes(2)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0.37±0.09d | 0.97±0.09b | 0.53±0.07C | 1.05±0.06b | 1.28±0.05a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ND | ND | ND | 0.32±0.02b | 2.81±0.13a |
Hydrocabons(16) | |||||||
2-Methylbutane | 17.49(489) | Gasoline | ND | ND | ND | ND | 1.20±0.04 |
Hexane | 22.47(600) | Alkane | ND | 2.54±0.15b | ND | 2.35±0.05b | 10.59±0.21a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1.42±0.06b | 3.10±0.04a |
Cyclohexane | 28.21(664) | Chloroform | ND | ND | ND | ND | 0.22±0.01 |
3-Ethylpentane | 30.13(685) | - | ND | ND | ND | ND | 0.25±0.01 |
Octane | 45.07(816) | Fusel, gasoline | ND | ND | 0.07±0.07 | ND | ND |
4-Ethylheptane | 48.24(847) | - | ND | ND | ND | ND | 0.16±0.00 |
m-Xylene | 50.87(872) | Cold meat fat | ND | ND | ND | 0.10±0.04 | ND |
Nonane | 53.86(901) | Fusel, gasoline | ND | 0.23±0.01 | ND | ND | ND |
Decane | 62.09(998) | Fusel, sweet | ND | 0.26±0.05b | ND | 0.74±0.05a | ND |
4-Ethylnonane | 65.47(1046) | - | 1.88±0.39a | 0.42±0.13b | ND | ND | ND |
2-Methyldecane | 66.75(1065) | - | ND | ND | 2.54±0.14a | 1.14±0.21b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ND | ND | 0.64±0.05a | 0.25±0.12b | ND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ND | 0.08±0.02a | 0.09±0.02a | ND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0.17±0.20a | 0.10±0.03a | 0.09±0.01a | ND | ND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0±0.03a | 0.27±0.01a | ND | 0.35±0.05a | 0.33±0.04a |
Heterocyclics(2) | |||||||
Furan | 17.41(487) | Etheral | ND | ND | 4.67±0.12a | 0.08±0.01b | ND |
Indole | 79.88(1286) | Animal | ND | ND | ND | ND | 0.16±0.02 |
Ketones(5)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6.94±0.23 | ND | ND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ND | ND | ND | 0.36±0.01 |
δ-Valerolactone | 59,42(967) | - | 0.06±0.02 | ND | ND | ND | ND |
δ-Nonalactone | 85.81(1406) | Coconut, milky | ND | ND | ND | 0.10±0.01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ND | 0.60±0.07a | 0.63±0.08a | 0.81±0.16a | 0.87±0.24a |
Sulfur-containing compounds(4)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ND | ND | 0.31±0.07b | 0.72±0.08a | ND |
Butanethiol | 35.29(732) | Coffee, sulfurous | ND | ND | 0.09±0.01 | ND | ND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0.31±0.06a | ND | ND | 0.26±0.18a | ND |
Dimethyl trisulfide | 59.37(966) | Meaty, onion | ND | ND | 0.07±0.02b | 0.04±0.03b | 0.30±0.04a |
CJ: chicken with jerky type, BJ: beef with jerky type, DJ: duck with jerky type, HJ1: horse with jerky type, HJ2: horse with jerky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 with different letters (a~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jerky-type processed food (
Table 3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 (stick-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103).
Compounds | RT1) (RI2)) | Sensory description | Stick-type | |
---|---|---|---|---|
SS | LS | |||
Acids and esters(5) | ||||
Methyl isobutyrate | 29.81(681) | Apple | 0.29±0.08 | ND3) |
Ethylmethacrylate | 44.85(814) | Acrid, acrylate | ND | 0.06±0.00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ND | 0.05±0.05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0.14±0.01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0.71±0.13 |
Alcohols(8)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18.96±0.56a4) | 20.30±1.71a |
1-Propanol | 20.29(551) | Fermented | 0.98±0.20a | 0.56±0.04b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0.13±0.08 | ND |
1-Penten-3-ol | 28.29(665) | Burnt, meaty | 0.47±0.13 | ND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7.06±1.63a | 11.68±3.75a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0.43±0.02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ND | 0.07±0.00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14±0.05 |
Aldehydes(3)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1.16±0.13a | 1.07±0.14a |
But-2-enal | 27.14(652) | Green, pungent | ND | 0.14±0.03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0.62±0.07a | 0.23±0.01b |
Ethers(1) | ||||
Diethyl ether | 17.53(490) | Etheral | 1.39±0.32 | ND |
Hydrocabons(6) | ||||
Hexane | 22.47(600) | Alkane | 33.68±8.22a | 35.77±1.94a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10.63±2.40a | 9.69±0.64a |
Cyclohexane | 28.21(664) | Chloroform | ND | 0.44±0.05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0.07±0.01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ND | 0.09±0.02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ND | 0.39±0.07 |
Ketones(2) | ||||
2-Methyl-2-cyclopenten-1-one | 54.06(903) | - | 0.10±0.01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71±0.11 | ND |
Sulfur-containing compounds(1) |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1.37±0.13a | 0.57±0.17b |
SS: salmon with stick type, LS: lamb with stick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b)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tick-type processed food (
Table 4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puffed-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Puffed-type | ||||||
---|---|---|---|---|---|---|---|---|---|
CP | BP1 | BP2 | DP | SP1 | SP2 | LP | |||
Amines(2) | - |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3) | ND | 1.65±0.27a4) | ND | ND | 1.48±0.23a | ND |
Aniline | 60.15(975) | amine, pungent | ND | ND | 0.05±0.00 | ND | ND | ND | ND |
Acids and esters(8) |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ND | ND | ND | ND | 0.12±0.09 | ND |
2-Methylpropanoic acid | 39.79(770) | acidic, cheese | 0.83±0.18 | ND | ND | ND | ND | ND | ND |
Ethyl isobutyrate | 40.38(775) | garlic, onion | ND | ND | ND | ND | ND | ND | 0.85±0.03 |
Butanoic acid | 43.53(802) | butter, cheese | ND | ND | ND | ND | 1.15±0.19 | ND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0.22±0.01 | ND | ND | ND | ND | ND | ND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0.18±0.00a | 0.10±0.01a | ND | ND | ND | 0.15±0.07a |
Ethyl hexanoate | 61.82(995) | apple, fruity | ND | ND | ND | 0.09±0.03 | ND | ND | ND |
Methyl pentadecanoate | 91.33(1527) | - | ND | ND | 0.65±0.13a | ND | ND | 0.63±0.14b | ND |
Alcohols(6) |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11.85±0.19e | 290.63±6.58a | ND | 143.93±7.50c | 123.37±2.35c | 173.95±22.16b | 83.79±0.91d |
2-Butanol | 21.49(578) | oily | ND | ND | ND | ND | 0.65±0.26 | ND | ND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0.98±0.18b | 2.21±0.27a | ND | ND | 2.39±0.68a | ND | 1.95±0.36ab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18.00±2.15ab | 15.94±1.77b | 24.12±1.30a | 20.37±1.19ab | 21.41±5.71ab | 19.26±0.27ab | 14.23±2.53b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0.37±0.02a | ND | 0.28±0.06a | 0.32±0.03a | ND | 0.17±0.03b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ND | 0.11±0.00a | 0.12±0.02a | ND | 0.12±0.02a | ND | ND |
Aldehydes(8)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1.07±0.06c | 1.88±0.22ab | 1.73±0.13ab | 2.17±0.15a | 1.74±0.23ab | 1.64±0.19b | 1.61±0.23b |
Propenal | 16.30(463) | pungent, sweet | ND | ND | 164.12±7.65 | ND | ND | ND | ND |
But-2-enal | 27.14(652) | green, pungent | 0.72±0.08c | ND | ND | 1.65±0.11a | 1.40±0.10b | ND | 1.27±0.07b |
2-Methylbutanal | 28.08(662) | almond, burnt | ND | ND | ND | 1.63±0.14a | ND | 0.87±0.08c | 1.26±0.02b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ND | 0.58±0.09c | 0.88±0.07b | 0.59±0.13c | ND | 0.30±0.01d | 1.23±0.04a |
2,4-Heptadienal | 62.77(1007) | dry, musty | ND | ND | ND | ND | 0.18±0.09 | ND | ND |
2-Octenal | 66.52(1061) | burnt, fatty | ND | 0.20±0.03 | ND | ND | ND | ND | ND |
3,6-Nonadienal | 69.31(1102) | cucumber | ND | 0.10±0.04a | ND | ND | 0.15±0.02a | ND | ND |
Ethers(1) | |||||||||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 67.01(1068) | etheral | ND | ND | 0.04±0.04 | ND | ND | ND | ND |
Hydrocabons(17) | |||||||||
Hexane | 22.47(600) | alkane | 4.31±0.23c | ND | ND | 11.71±1.64a | 9.17±1.05ab | ND | 9.06±0.21b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3.58±0.74 | ND | ND | ND |
Fluorobenzene | 29.95(683) | butter, creamy | 0.07±0.01 | ND | ND | ND | ND | ND | ND |
3-Ethylpentane | 30.13(685) | - | 0.09±0.00 | ND | ND | ND | ND | ND | ND |
m-Xylene | 50.87(872) | cold meat fat | 0.10±0.01 | ND | ND | ND | ND | ND | ND |
3-Methyl-octane | 53.11(894) | - | ND | ND | ND | ND | 0.10±0.04 | ND | ND |
1,4-Dichlorobutane | 54.17(905) | - | ND | ND | ND | 0.07±0.00 | ND | ND | ND |
1-Chloroheptane | 57.89(949) | - | ND | ND | ND | 0.07±0.01 | ND | ND | ND |
Cumene | 61.88(996) | herbaceous | ND | ND | ND | ND | ND | ND | 0.22±0.06 |
Butylbenzene | 66.22(1057) | - | ND | ND | ND | 5.14±8.47a | 0.26±0.04a | ND | ND |
4-Methyldecane | 66,71(1064) | - | 0.42±0.07 | ND | ND | ND | ND | ND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ND | ND | ND | 0.13±0.01 | ND | ND | ND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0.08±0.01ab | 0.09±0.02a | ND | ND | 0.08±0.00ab | 0.07±0.00b | 0.07±0.01ab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ND | ND | 0.10±0.01a | ND | ND | 0.07±0.01a | ND |
Tetradecane | 85.69(1403) | fusel, sweet | ND | ND | ND | 0.09±0.00a | 0.09±0.01a | ND | 0.05±0.05a |
Myristicin | 91.06(1521) | balsamic | ND | ND | ND | ND | ND | 0.29±0.05 | ND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5±0.04a | 0.29±0.04a | 0.34±0.05a | ND | 0.29±0.02a | ND | 0.32±0.01a |
Heterocyclics(2) | |||||||||
5-Methylfurfural | 60.80(983) | almond, burnt sugar | 0.08±0.01 | ND | ND | ND | ND | ND | ND |
Indole | 79.88(1286) | animal | 0.14±0.01 | ND | ND | ND | ND | ND | ND |
Ketones(6)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ND | ND | 11.92±1.31a | ND | ND | 10.11±0.75a | ND |
3-Pentanone | 30.31(687) | cheese | ND | ND | ND | 0.06±0.05 | ND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0.22±0.02b | 0.37±0.03a | 0.24±0.02b | 0.42±0.04a | ND | ND |
Cyclopentanone | 39.71(769) | minty, peppermint | ND | ND | 0.70±0.11 | ND | ND | ND | ND |
2-Furanone | 55.75(923) | butter | ND | ND | 0.06±0.01 | ND | ND | ND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96±0.30a | 0.68±0.16a | ND | 0.73±0.16a | 0.63±0.17a | ND | 0.83±0.15a |
Sulfur-containing compounds(5)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ND | 1.34±0.28a | ND | 1.64±0.16a | ND | ND | 1.28±0.18a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ND | ND | ND | 0.65±0.43a | 0.83±0.47a | ND | ND |
1-Pentanethiol | 45.26(818) | meaty, smoky | ND | ND | ND | 0.19±0.06 | ND | ND | ND |
Dimethly sulfoxide | 45.84(824) | fatty, garlic | ND | 0.19±0.08a | ND | ND | 0.16±0.08b | ND | ND |
3-Methyl-2-butene-1-thiol | 48.19(846) | meaty, smoky | ND | ND | ND | 0.05±0.04 | ND | ND | ND |
CP: chicken with puffed type, BP1: beef with puffed type, BP2: beef with puffed type, DP: duck with puffed type, SP1: salmon with puffed type, SP2: salmon with puffed type, LP: lamb with puffed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ND: not detected..
4)Mean with different letters (a~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uffed-type processed food (
Table 5 . Volatile compounds in processed food(thermally processed-type) using the electronic nose (peak area × 103).
Compounds | RT1)(RI2)) | Sensory description | Thermally processed-type | |||||
---|---|---|---|---|---|---|---|---|
CT1 | CT2 | BT | DT | ST1 | ST2 | |||
Amines(3) | ||||||||
Acrylonitrile | 18.60(514) | irritating | 0.52±0.00b3) | 1.25±0.14a | 1.22±0.10a | 0.77±0.15b | ND4) | ND |
Acetonitrile | 20.20(549) | aromatic | ND | 0.79±0.06a | 0.56±0.06b | 0.52±0.08b | 0.43±0.07b | ND |
Aniline | 60.15(975) | amine, pungent | ND | ND | ND | ND | 0.13±0.07 | ND |
Acids and esters(10) | ||||||||
Formic acid | 21.51(580) | acidic, vinegar | 2.79±0.15b | 0.59±0.09d | 0.53±0.02d | 2.41±0.11c | 2.83±0.12b | 4.45±0.20a |
Acetic acid | 23.55(612) | acidic, sharp | ND | ND | ND | ND | ND | 0.25±0.04 |
Methyl but-2-enoate | 36.85(745) | blackcurrant | ND | ND | ND | ND | 1.19±0.14 | ND |
Propanoic acid | 36.93(746) | acidic, pungent | 1.14±0.20 | ND | ND | ND | ND | ND |
Propyl propanoate | 45.11(817) | apple, sweet | ND | ND | 0.19±0.03 | ND | ND | ND |
2-Methylbutanoic acid | 50.92(873) | cashew, cheese | ND | ND | ND | ND | 0.12±0.04 | ND |
Pentanoic acid | 53.81(900) | beefy | ND | ND | 0.14±0.05 | ND | ND | ND |
Propyl 2-butenoate | 57.87(928) | - | ND | ND | ND | ND | 0.07±0.00 | ND |
Hexanoic acid | 60.71(982) | cheese, pungent | ND | ND | ND | ND | 0.46±0.05 | ND |
Propyl pentanoate | 62.15(999) | animal | ND | ND | ND | ND | ND | 0.28±0.06 |
Alcohols(11) | ||||||||
Methanol | 15.09(436) | pungent | 1.99±0.19b | 10.85±0.80a | ND | ND | ND | ND |
Ethanol | 15.15(437) | strong, alcoholic | 24.43±0.51a | ND | 1.34±0.04d | 18.05±0.53b | 17.25±0.86b | 5.07±0.57c |
2-Methyl-1-propanol | 23.64(613) | bitter, glue | ND | 0.85±0.12b | 0.85±0.04b | ND | ND | 4.20±0.27a |
1-Butanol | 27.11(651) | fermented | ND | 0.22±0.01b | 0.21±0.01b | 0.39±0.05a | 0.35±0.01a | 0.35±0.03a |
Pentan-2-ol | 29.72(680) | - | ND | ND | ND | 0.13±0.03b | 0.32±0.06a | 0.22±0.04b |
3-Methyl-1-butanol | 35.96(738) | balsamic | ND | ND | ND | ND | ND | 0.51±0.04 |
Propylenglycol | 36.19(740) | caramelized | ND | ND | 2.35±0.08 | ND | ND | ND |
1-Hexanol | 50.73(871) | fusel | ND | ND | 0.43±0.11 | ND | ND | ND |
3-Nonanol | 69.27(1101) | herbaceous | ND | ND | 0.06±0.05 | ND | ND | ND |
4-Ethylphenol | 72.87(1161) | leather, smoky | ND | 0.09±0.02a | ND | 0.08±0.01a | ND | ND |
2-Butyl-1-octanol | 79.93(1287) | - | 0.18±0.05 | ND | ND | ND | ND | ND |
Aldehydes(4) | ||||||||
Acetaldehyde | 14.26(417) | etheral, pungent | ND | 1.45±0.02a | ND | ND | 0.19±0.02b | 0.13±0.01c |
Propenal | 16.30(463) | pungent, sweet | ND | ND | 4.92±2.57 | ND | ND | ND |
Hexanal | 43.42(800) | fishy, fatty | 0.59±0.02b | 0.35±0.03c | 1.21±0.02a | 0.51±0.06b | ND | 0.49±0.06b |
4-Heptenal | 54.15(904) | biscuit | 0.15±0.02 | ND | ND | ND | ND | ND |
Ethers(1) | ||||||||
Diethyl ether | 17.53(490) | etheral | ND | 2.26±0.22c | 15.51±1.06a | ND | 18.52±2.55a | 9.08±1.17b |
Hydrocabons(14) | ||||||||
Hexane | 22.47(600) | alkane | ND | ND | 4.66±0.18 | ND | ND | ND |
Methylcyclopentane | 24.67(624) | gasoline | ND | ND | ND | ND | 0.12±0.02 | ND |
Octane | 45.07(816) | fusel, gasoline | ND | ND | ND | ND | ND | 0.47±0.03 |
2-Octene | 45.81(823) | - | ND | ND | ND | ND | 0.68±0.05 | ND |
4-Ethenylcyclohexane | 48.18(846) | - | ND | ND | ND | ND | ND | 0.11±0.00 |
4-Ethylheptane | 48.24(847) | - | ND | 0.17±0.04 | ND | ND | ND | ND |
1,4-Dimethylbenzene | 51.55(879) | cold meat fat | 0.04±0.03 | ND | ND | ND | ND | ND |
Cumene | 61.88(996) | herbaceous | ND | 0.14±0.08a | ND | 0.20±0.01a | ND | ND |
4-Ethylnonane | 65.47(1046) | - | 0.06±0.01 | ND | ND | ND | ND | ND |
Undecane | 69.17(1099) | faint, fusel | 0.05±0.06 | ND | ND | ND | ND | ND |
p-Menthatriene | 69.80(1110) | beany, bell pepper | ND | ND | ND | ND | ND | 0.17±0.02 |
Pentylbenzene | 72.84(1160) | green, oily | 0.08±0.01a | ND | 0.08±0.00a | ND | ND | ND |
Methyl eugenol | 85.60(1401) | mild, warm | ND | ND | ND | 0.08±0.02a | ND | 0.04±0.03a |
2,4-Dinitrotoluene | 91.19(1524) | slight | 0.33±0.03a | ND | 0.36±0.02a | 0.31±0.03a | 0.31±0.02a | ND |
3-Methyl furan | 25.03(628) | - | 0.09±0.03a | ND | ND | 0.08±0.01a | ND | ND |
Pyrrole | 37.96(754) | coffee, cracker | ND | 0.59±0.18 | ND | ND | ND | ND |
5-Methylfurfural | 60.80(983) | almond, burnt sugar | ND | ND | ND | ND | ND | 0.05±0.05 |
Indole | 79.88(1286) | animal | ND | ND | ND | 0.20±0.03a | 0.20±0.02a | 0.18±0.01a |
Ketones(6) | ||||||||
Propan-2-one | 17.45(488) | apple, sweet | 4.86±0.23a | ND | ND | 7.03±0.79b | ND | ND |
2,3-Pentanedione | 31.39(699) | almond, burnt | ND | 0.15±0.05 | ND | ND | ND | ND |
1-Hexane-3-one | 40.46(776) | leafy, vegetable | ND | 0.20±0.02 | ND | ND | ND | ND |
Hexan-2-one | 42.47(792) | pungent, synthetic | ND | ND | ND | ND | 0.16±0.03a | 0.11±0.03a |
2-Methyl-2-cyclopenten-1-one | 54.06(903) | - | ND | ND | ND | 0.14±0.04b | 0.26±0.01a | ND |
Ambroxide | 104.61(1825) | amber, dry | 0.87±0.09a | 0.74±0.12a | 0.94±0.15a | 0.91±0.17a | 0.90±0.22a | 0.78±0.16a |
Sulfur-containing compounds(3) | ||||||||
Carbon disulfide | 20.21(550) | aromatic, sweet | 0.53±0.08 | ND | ND | ND | ND | ND |
2-Methylthiophene | 40.26(774) | onion | 0.18±0.06c | ND | ND | 0.21±0.10c | 0.76±0.15b | 1.08±0.06a |
1-Pentanethiol | 45.26(818) | meaty, smoky | ND | 0.19±0.06 | ND | ND | ND | ND |
CT1: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CT2: chicke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BT: beef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DT: duck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1: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ST2: salmon with thermally processed type..
1)RT: retention time..
2)RI: retention indices..
3)Mean with different letters (a~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ermally processed-type processed food (
4)ND: not detecte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