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1): 1219-1225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21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Yeon-Jun Lee1 , Yoon-Hee Ko2, Suk-Chan Hahm2, Jae-Yang Lee3, and Kun-Young Park2
1Department of Life Science and
2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Medicine, CHA University
3Insanga
Correspondence to:Kun-Young Park, 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Medicine, CHA University, 335 Pangyo-ro, Bundang-gu, Seongnam, Gyeonggi 13488, Korea, E-mail: kypark9004@gmail.com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v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Bokhaejeong Ganjang (BG) manufactured by adding sulfur duck essence with those of Seomoktae Ganjang (SG) and Commercial Ganjang (CG) o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The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 value, acidity, and salinity) revealed that BG and SG had a higher pH and salinity, and lower acidity than CG. In addition, as the treatmen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arkedly increased, an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G. The effect of BG on the growth of HT-29 colon cancer cells was investigated through a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factors related to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BG on HT-29 cell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mRNA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cell cycle arrest p53 and p21, and pro-apoptosis factors, namely BIM, BAK, caspase 9, and caspase 3,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addition, the mRNA expression of BCL-2, an anti-apoptosis factor,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G with bamboo salt, sulfur duck essence, and Seomoktae showed a high flavonoid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n anticancer effect in colon cancer cells by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of HT-29 cancer cells via the regulation of genes related to cell cycle and apoptosis.
Keywords: Bokhaejeong, sulfur duck essence, cell cycle, apoptosis, HT-29 cancer cells
대장암은 직장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흔한 악성 종양이다(Jahanafrooz 등, 2020).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많은 지역에서 흔히 발생한다(Ahmed, 2020). 대장암의 발병기전은 유전적 요인, 환경,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고지방식이, 당뇨, 흡연, 음주 등 식이에 관련된 해로운 습관은 대장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Pietrzyk, 2017). 대장암 치료에 있어서 최근 종양세포의 성장 신호전달 경로를 방해하는 것을 목표로 최근 몇 년간 중요한 치료 전략이 되었다(Shanmugam 등, 2011). 비용이 많이 들고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운 약물에 비해 식품 기반 표적치료제는 식습관을 조절하고 식품 내 생리활성 화합물을 활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Saiwal 등, 2019).
간장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단순히 맛을 더하는 조미료의 역할을 넘어 건강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Jang 등, 2021). 간장은 콩을 주재료로 하여 미생물의 발효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유익균과 발효 산물이 생성된다(Jung 등, 2022). 이 과정은 주로 바실러스(
Isoflavone 및 anthocyanin이 다량 함유된 서목태(
오리에게 유황을 먹여 황화수소, 황산화물 및 methyl mercaptan과 같은 휘발성 황 화합물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해독물질이 오리 내에 생산되어 오리의 간, 쓸개 등에 축적이 되고, 이로 인해 해독력이 3~4배로 증가하게 된다(Jeon, 2006). 이런 유황오리는 단순히 해독 능력뿐 아니라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도 나타내며, 마우스의 대장염에 대한 항염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Choi와 Kim, 2002; Kim 등, 2013). 또한 서목태 간장에 유황오리를 혼합하여 만든 간장이 항염증 및 면역 활성 효능과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Jin 등, 2011; Seo 등, 2014).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장암에서의 항암효과를 확인하고자(Celiberto 등, 2023)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의 서목태, 유황오리진액 및 죽염 등이 혼합된 복해정 간장(
본 연구는 (주)인산가에서 제조한 서목태 간장(
본 실험에 사용하고자 제조된 간장 시료를, 동결건조기(FDS-7012, Operon Co.)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하여 가루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시료 20배(w/v)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12시간 교반을 3회 반복한 다음 여과하여 회전식진공농축기(EYELA, Tokyo Rikakikai Co.)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은 dimethly sulfoxide(Sigma-Aldrich)에 희석하여 항산화 및 암세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간장 시료의 pH는 10배 희석한 후 희석액을 pH meter(M220, Corning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산도는 시료를 20배 희석한 후 pH를 8.4로 조절하고자 0.1 N NaOH를 소비하여 소비된 0.1 N NaOH의 양을 측정하였다. 염도는 간장 300 μL를 염도 측정기(PALES2, ATAGO Co.)에 넣고 측정된 값을 얻었다(Lee 등, 2022).
Acidity (%)=(mL of 0.1 N NaOH×normality of NaOH×0.09/ weight of sample)×100
1 mL의 diethylene glycol을 시료 100 μL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방치해 두었다. 그 후 100 μL의 1 N NaOH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7°C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리고 Wallac Victor3 1420 Multilabel Counter(Perkin-Elmer)를 사용하여 420 nm에서 ELISA reader(model 680, Bio-Rad)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퀘르세틴(Sigma-Aldrich)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 보정 곡선을 얻어 표준 곡선(0~1,280 μg/mL)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75 μL Folin-Ciocalteu 시약(Sigma-Aldrich)을 250 mg/mL 각 시료의 메탄올 추출물 25 μL와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200 μL의 7.5% Na2CO3 용액과 700 μL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765 nm에서 ELISA reader(model 680, Bio-Rad)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기준으로 표준 곡선을 그리고(0.03125~1.0 mg/mL)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간장의 총 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Lee 등, 2024).
DPPH(1,1-diphenyl-2-picrylhyrazyl)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고자, 시료 100 μL와 150 μm DPPH(Sigma Co.) 용액 100 μL 를 96-well plate에 혼합하여 30분간 실온에 빛이 차단된 상태를 반응시킨 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D: sample+DPPH, SM: sample+methanol
MD: methanol+DPPH
MM: methanol+methanol (흡광도 값)
인체 결장암종 세포주인 HT-29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했다. 세포배양은 5% CO2 인큐베이터(BB150, Thermo Scientific)에서 37°C 조건에서 배양했으며, 사용된 배지는 RPMI1640(Welgene Inc.)에 10% fetal bovine serum(Welgene Inc.)과 1% penicillin-streptomycin(Gibco BRL)을 혼합하여 사용했다. 또한 계대 배양을 진행하고자 세포를 75T cell culture flask(Falcon)에서 배양한 후, 0.05% trypsin-0.02% EDTA(Gibco BRL)를 2 mL 이용하여 부착된 세포를 탈착 및 원심분리로 집적시켰다. 이후 집적된 세포와 배지를, 피펫을 이용하여 잘 혼합한 후 새로운 75T cell culture flask에 10 mL씩 넣어 계대 배양을 진행하면서 실험에 사용했다(Lee 등, 2023).
배양된 암세포는 96-well plate에 well당 5×104 cells/mL가 되도록 만들어 well당 100 μL씩 분주하고 일정 농도로 제조한 시료를 첨가하여 37°C,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한 후 phosphate-buffered saline을 이용하여 5 mg/mL의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을 첨가하여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 결정을 dimethly sulfoxide에 30분간 처리한 후 ELISA reader(model 680, Bio-Rad)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주의 배양된 세포는 세포 계수기(Luna cell counter; Logos Biosystems)를 사용하여 계수했고, 각 well당 1.0×105 cells/mL의 세포를 6-well plate에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HT-29 대장암세포는 CG 4 mg/mL, SG 4 mg/mL, 그리고 BG 4 mg/mL가 포함된 배지를 추가하여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세포로부터 Trizol(Invitrogen)을 사용하여 RNA를 분리했고, 이를 0.1% diethyl pyrocarbonate water(Bioneer Co.)에 용해했다. 총 용해된 RNA는 Nano Drop ND-1000(NanoDrop Technologies Inc.)을 사용하여 정량화했고, 정량화된 RNA를 Superscript Ⅱ 역전사효소(Invitrogen)를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Bio Rad CFX96(Bio-Rad)을 사용하여 Thermalcycler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Lee 등, 2023). 사용된 Primer 서열은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Table 1 . Primer sequences of RT-qPCR assay
Gene name | Primer sequence |
---|---|
p53 | F: 5′-ATGGAGGAGCCGCAGTCAGA-3′ R: 5′-TGCAGGGGCCGCCGGTGTAG-3′ |
p21 | F: 5′-ATGTCAGAACCGGCTGGGG-3′ R: 5′-GCCGGGGCCCCGTGGGA-3′ |
BIM | F: 5′-AGATCCCCGCTTTTCATCTT-3′ R: 5′-TCTTGGGCGATCCATATCTC-3′ |
BCL-2 | F: 5′-AAGATTGATGGGATCGTTGC-3′ R: 5′-GCGGAACACTTGATTCTGGT-3′ |
Caspase 9 | F: 5′-CTAGTTTGCCCACACCCAGT-3′ R: 5′-CTGCTCAAAGATGTCGTCCA-3′ |
Caspase 3 | F: 5′-TTTTTCAGAGGGGATCGTTG-3′ R: 5′-CGGCCTCCACTGGTATTTTA-3′ |
GAPDH | F: 5′-AGGTCGGTGTGAACGGATTTG-3′ R: 5′-GGGGTCGTTGATGGCAACA-3′ |
이화학적 평가(pH value, acidity, salinity)는 SPSS v18 statistical software package(SPSS Inc.)를 통해 one-way ANOVA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진행하여
pH, 산도 및 염도 분석: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CG군에서의 pH는 4.86±0.02, SG군 및 BG군 에서는 각각 6.53±0.02, 5.83±0.01로 CG군보다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발효 기간이 오래될수록 낮아지는데, 이러한 결과는 60일간 발효를 진행한 SG군보다 6개월간 발효를 진행한 BG군의 pH가 낮은 경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통 발효를 통해 제조되는 SG군 및 BG군과 다르게 시판 간장인 CG군의 경우, 대량 생산 및 유통을 위해 유산균 및 효모 발효를 통해 단기간에 걸쳐 빠르게 발효시키는 공정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미생물의
Table 2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pH values, acidity, and salinity) of
pH value | Acidity (%) | Salinity (%) | |
---|---|---|---|
CG SG BG | 4.86±0.02c 6.53±0.02a 5.83±0.01b | 2.67±0.03a 2.02±0.05b 1.99±0.01b | 13.9±0.01b 25.8±0.01a 25.7±0.02a |
CG: Commercial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대사활동으로 인해 유기산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하여 pH가 낮아지기 때문이다(Sionek 등, 2023). 이는 BG군의 더 긴 발효 기간,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하여 숙성 발효한 CG군이 SG군보다 낮은 pH를 보이는 것은 긴 발효 기간에 유산균 및 효모에 의한 유기산 축적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pH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염도의 농도에 따라 pH가 변화하는데, 염도가 13.9±0.01%를 보여준 CG군이 25.8±0.01%, 25.7±0.02%로 나타난 SG군 및 BG군보다 pH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소금 함량이 높아 발효 기간에 따른 pH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보인다(Park 등, 2015). SG군 및 BG군에서의 염도가 CG군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한국 전통 간장 제조 방식으로 제조하기에 다른 한국 전통 간장 18종의 염분 함량인 27.5±3.6%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Park 등, 2016). 전통 발효 방식에서는 발효 동안 높은 소금의 농도가 미생물 활동을 조절하여 유기산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염도가 높은 SG군과 BG군의 pH 감소가 CG군보다 덜 나타났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산도의 경우 CG군에서 2.67±0.03%, SG군에서 2.02±0.05%, BG군에서 1.99±0.01%로 나타나 CG, SG, BG군으로 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평균적으로 120일가량 발효하는 간장의 특성상 짧은 발효 기간을 가지기에 2%가량의 산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SG군 및 BG군에서는 높은 염도 함량을 보였으므로 이는 미생물의 활동 억제 및 산도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Devanthi와 Gkatzionis, 2019). 이러한 결과는 한국 전통 발효 과정인 자연 발효를 통해 만든 SG군 및 BG군이 시판되는 CG군보다 높은 염도에 따른 높은 pH와 낮은 산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특성은 발효 기간에 따른 간장의 적절한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간장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페놀 함량 측정 결과는 Fig. 1A, B와 같다. 농도 의존적으로 모든 그룹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서목태로 제조된 SG군과 BG군이 CG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BG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간장의 DPPH 소거 효과의 경우 Fig.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능은 증가했으며, 모든 농도에서 BG군이 CG 및 SG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MTT assay: 간장 추출물의 농도별 HT-29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율에 관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1 mg/mL 및 2 mg/mL를 제외하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BG군이 CG와 SG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HT-29 대장암세포 사멸률을 보였다(
RT-qPCR을 이용한 p53, p21의 mRNA 발현: 세포주기 정지와 관련된 유전인자인 p53과 p21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Fig. 3). p53에서 SG군은 아무것도 처리되지 않은 CON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T-qPCR을 이용한 Bim, Bcl-2, caspase 9 및 caspase 3의 mRNA 발현: Apoptosis와 관련된 유전인자인 Bim, Bcl-2, caspase 9 및 caspase 3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Fig. 4), 모든 추출물이 CON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pro-apoptosis 인자인 Bim에서 모든 간장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CON군보다 증가했으며, 그중 BG군이 2.67배로 증가하여 수치상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복해정 간장(BG)이 HT-29 대장암 세포에서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BG군은 시판 간장(CG) 및 서목태 간장(SG)에 비해 높은 pH와 염도, 낮은 산도를 보였으며,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BG군은 다른 샘플들보다 높은 DPPH 소거 활성 능력을 보였는데, 이는 유황오리진액에 포함된 황 성분과 서목태의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 결과로 생각된다. MTT assay 결과, BG군은 CG군 및 SG군보다 높은 대장암 세포사멸률을 보였으며, 이는 서목태와 유황오리진액 등이 갖는 항염증 효과 및 항암효과가 결합한 결과로 사료된다. 유전자 발현 분석에서는 p53과 p21의 mRNA 발현이 증가하여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사멸을 유도하였고, pro-apoptosis 유전자인 Bim의 발현이 증가하고 anti-apoptosis 유전자인 Bcl-2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caspase 9 및 caspase 3의 발현이 증가하여 apoptosis를 촉진하였다. 결론적으로 서목태 및 유황오리진액 혼합간장은 높은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대장암 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는 서목태의 높은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과 유황오리진액의 항산화 성분이 결합한 결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그 기전과 효과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1): 1219-1225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21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이연준1*․고윤희2*․함석찬2․이재양3․박건영2
1차의과학대학교 생명과학과
2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3(주)인산가
Yeon-Jun Lee1* , Yoon-Hee Ko2*, Suk-Chan Hahm2, Jae-Yang Lee3, and Kun-Young Park2
1Department of Life Science and
2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Medicine, CHA University
3Insanga
Correspondence to:Kun-Young Park, 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Medicine, CHA University, 335 Pangyo-ro, Bundang-gu, Seongnam, Gyeonggi 13488, Korea, E-mail: kypark9004@gmail.com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v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Bokhaejeong Ganjang (BG) manufactured by adding sulfur duck essence with those of Seomoktae Ganjang (SG) and Commercial Ganjang (CG) o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The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 value, acidity, and salinity) revealed that BG and SG had a higher pH and salinity, and lower acidity than CG. In addition, as the treatmen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arkedly increased, an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G. The effect of BG on the growth of HT-29 colon cancer cells was investigated through a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factors related to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BG on HT-29 cell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mRNA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cell cycle arrest p53 and p21, and pro-apoptosis factors, namely BIM, BAK, caspase 9, and caspase 3,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addition, the mRNA expression of BCL-2, an anti-apoptosis factor,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G with bamboo salt, sulfur duck essence, and Seomoktae showed a high flavonoid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n anticancer effect in colon cancer cells by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of HT-29 cancer cells via the regulation of genes related to cell cycle and apoptosis.
Keywords: Bokhaejeong, sulfur duck essence, cell cycle, apoptosis, HT-29 cancer cells
대장암은 직장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흔한 악성 종양이다(Jahanafrooz 등, 2020).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많은 지역에서 흔히 발생한다(Ahmed, 2020). 대장암의 발병기전은 유전적 요인, 환경,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고지방식이, 당뇨, 흡연, 음주 등 식이에 관련된 해로운 습관은 대장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Pietrzyk, 2017). 대장암 치료에 있어서 최근 종양세포의 성장 신호전달 경로를 방해하는 것을 목표로 최근 몇 년간 중요한 치료 전략이 되었다(Shanmugam 등, 2011). 비용이 많이 들고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운 약물에 비해 식품 기반 표적치료제는 식습관을 조절하고 식품 내 생리활성 화합물을 활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Saiwal 등, 2019).
간장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단순히 맛을 더하는 조미료의 역할을 넘어 건강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Jang 등, 2021). 간장은 콩을 주재료로 하여 미생물의 발효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유익균과 발효 산물이 생성된다(Jung 등, 2022). 이 과정은 주로 바실러스(
Isoflavone 및 anthocyanin이 다량 함유된 서목태(
오리에게 유황을 먹여 황화수소, 황산화물 및 methyl mercaptan과 같은 휘발성 황 화합물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해독물질이 오리 내에 생산되어 오리의 간, 쓸개 등에 축적이 되고, 이로 인해 해독력이 3~4배로 증가하게 된다(Jeon, 2006). 이런 유황오리는 단순히 해독 능력뿐 아니라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도 나타내며, 마우스의 대장염에 대한 항염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Choi와 Kim, 2002; Kim 등, 2013). 또한 서목태 간장에 유황오리를 혼합하여 만든 간장이 항염증 및 면역 활성 효능과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Jin 등, 2011; Seo 등, 2014).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장암에서의 항암효과를 확인하고자(Celiberto 등, 2023)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의 서목태, 유황오리진액 및 죽염 등이 혼합된 복해정 간장(
본 연구는 (주)인산가에서 제조한 서목태 간장(
본 실험에 사용하고자 제조된 간장 시료를, 동결건조기(FDS-7012, Operon Co.)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하여 가루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시료 20배(w/v)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12시간 교반을 3회 반복한 다음 여과하여 회전식진공농축기(EYELA, Tokyo Rikakikai Co.)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은 dimethly sulfoxide(Sigma-Aldrich)에 희석하여 항산화 및 암세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간장 시료의 pH는 10배 희석한 후 희석액을 pH meter(M220, Corning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산도는 시료를 20배 희석한 후 pH를 8.4로 조절하고자 0.1 N NaOH를 소비하여 소비된 0.1 N NaOH의 양을 측정하였다. 염도는 간장 300 μL를 염도 측정기(PALES2, ATAGO Co.)에 넣고 측정된 값을 얻었다(Lee 등, 2022).
Acidity (%)=(mL of 0.1 N NaOH×normality of NaOH×0.09/ weight of sample)×100
1 mL의 diethylene glycol을 시료 100 μL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방치해 두었다. 그 후 100 μL의 1 N NaOH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7°C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리고 Wallac Victor3 1420 Multilabel Counter(Perkin-Elmer)를 사용하여 420 nm에서 ELISA reader(model 680, Bio-Rad)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퀘르세틴(Sigma-Aldrich)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 보정 곡선을 얻어 표준 곡선(0~1,280 μg/mL)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75 μL Folin-Ciocalteu 시약(Sigma-Aldrich)을 250 mg/mL 각 시료의 메탄올 추출물 25 μL와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200 μL의 7.5% Na2CO3 용액과 700 μL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765 nm에서 ELISA reader(model 680, Bio-Rad)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기준으로 표준 곡선을 그리고(0.03125~1.0 mg/mL)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간장의 총 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Lee 등, 2024).
DPPH(1,1-diphenyl-2-picrylhyrazyl)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고자, 시료 100 μL와 150 μm DPPH(Sigma Co.) 용액 100 μL 를 96-well plate에 혼합하여 30분간 실온에 빛이 차단된 상태를 반응시킨 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D: sample+DPPH, SM: sample+methanol
MD: methanol+DPPH
MM: methanol+methanol (흡광도 값)
인체 결장암종 세포주인 HT-29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했다. 세포배양은 5% CO2 인큐베이터(BB150, Thermo Scientific)에서 37°C 조건에서 배양했으며, 사용된 배지는 RPMI1640(Welgene Inc.)에 10% fetal bovine serum(Welgene Inc.)과 1% penicillin-streptomycin(Gibco BRL)을 혼합하여 사용했다. 또한 계대 배양을 진행하고자 세포를 75T cell culture flask(Falcon)에서 배양한 후, 0.05% trypsin-0.02% EDTA(Gibco BRL)를 2 mL 이용하여 부착된 세포를 탈착 및 원심분리로 집적시켰다. 이후 집적된 세포와 배지를, 피펫을 이용하여 잘 혼합한 후 새로운 75T cell culture flask에 10 mL씩 넣어 계대 배양을 진행하면서 실험에 사용했다(Lee 등, 2023).
배양된 암세포는 96-well plate에 well당 5×104 cells/mL가 되도록 만들어 well당 100 μL씩 분주하고 일정 농도로 제조한 시료를 첨가하여 37°C,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한 후 phosphate-buffered saline을 이용하여 5 mg/mL의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을 첨가하여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 결정을 dimethly sulfoxide에 30분간 처리한 후 ELISA reader(model 680, Bio-Rad)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주의 배양된 세포는 세포 계수기(Luna cell counter; Logos Biosystems)를 사용하여 계수했고, 각 well당 1.0×105 cells/mL의 세포를 6-well plate에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HT-29 대장암세포는 CG 4 mg/mL, SG 4 mg/mL, 그리고 BG 4 mg/mL가 포함된 배지를 추가하여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세포로부터 Trizol(Invitrogen)을 사용하여 RNA를 분리했고, 이를 0.1% diethyl pyrocarbonate water(Bioneer Co.)에 용해했다. 총 용해된 RNA는 Nano Drop ND-1000(NanoDrop Technologies Inc.)을 사용하여 정량화했고, 정량화된 RNA를 Superscript Ⅱ 역전사효소(Invitrogen)를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Bio Rad CFX96(Bio-Rad)을 사용하여 Thermalcycler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Lee 등, 2023). 사용된 Primer 서열은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Table 1 . Primer sequences of RT-qPCR assay.
Gene name. | Primer sequence. |
---|---|
p53. | F: 5′-ATGGAGGAGCCGCAGTCAGA-3′. R: 5′-TGCAGGGGCCGCCGGTGTAG-3′. |
p21. | F: 5′-ATGTCAGAACCGGCTGGGG-3′. R: 5′-GCCGGGGCCCCGTGGGA-3′. |
BIM. | F: 5′-AGATCCCCGCTTTTCATCTT-3′. R: 5′-TCTTGGGCGATCCATATCTC-3′. |
BCL-2. | F: 5′-AAGATTGATGGGATCGTTGC-3′. R: 5′-GCGGAACACTTGATTCTGGT-3′. |
Caspase 9. | F: 5′-CTAGTTTGCCCACACCCAGT-3′. R: 5′-CTGCTCAAAGATGTCGTCCA-3′. |
Caspase 3. | F: 5′-TTTTTCAGAGGGGATCGTTG-3′. R: 5′-CGGCCTCCACTGGTATTTTA-3′. |
GAPDH. | F: 5′-AGGTCGGTGTGAACGGATTTG-3′. R: 5′-GGGGTCGTTGATGGCAACA-3′. |
이화학적 평가(pH value, acidity, salinity)는 SPSS v18 statistical software package(SPSS Inc.)를 통해 one-way ANOVA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진행하여
pH, 산도 및 염도 분석: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CG군에서의 pH는 4.86±0.02, SG군 및 BG군 에서는 각각 6.53±0.02, 5.83±0.01로 CG군보다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발효 기간이 오래될수록 낮아지는데, 이러한 결과는 60일간 발효를 진행한 SG군보다 6개월간 발효를 진행한 BG군의 pH가 낮은 경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통 발효를 통해 제조되는 SG군 및 BG군과 다르게 시판 간장인 CG군의 경우, 대량 생산 및 유통을 위해 유산균 및 효모 발효를 통해 단기간에 걸쳐 빠르게 발효시키는 공정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미생물의
Table 2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pH values, acidity, and salinity) of
pH value. | Acidity (%). | Salinity (%). | |
---|---|---|---|
CG. SG. BG. | 4.86±0.02c. 6.53±0.02a. 5.83±0.01b. | 2.67±0.03a. 2.02±0.05b. 1.99±0.01b. | 13.9±0.01b. 25.8±0.01a. 25.7±0.02a. |
CG: Commercial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대사활동으로 인해 유기산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하여 pH가 낮아지기 때문이다(Sionek 등, 2023). 이는 BG군의 더 긴 발효 기간,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하여 숙성 발효한 CG군이 SG군보다 낮은 pH를 보이는 것은 긴 발효 기간에 유산균 및 효모에 의한 유기산 축적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pH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염도의 농도에 따라 pH가 변화하는데, 염도가 13.9±0.01%를 보여준 CG군이 25.8±0.01%, 25.7±0.02%로 나타난 SG군 및 BG군보다 pH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소금 함량이 높아 발효 기간에 따른 pH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보인다(Park 등, 2015). SG군 및 BG군에서의 염도가 CG군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한국 전통 간장 제조 방식으로 제조하기에 다른 한국 전통 간장 18종의 염분 함량인 27.5±3.6%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Park 등, 2016). 전통 발효 방식에서는 발효 동안 높은 소금의 농도가 미생물 활동을 조절하여 유기산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염도가 높은 SG군과 BG군의 pH 감소가 CG군보다 덜 나타났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산도의 경우 CG군에서 2.67±0.03%, SG군에서 2.02±0.05%, BG군에서 1.99±0.01%로 나타나 CG, SG, BG군으로 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평균적으로 120일가량 발효하는 간장의 특성상 짧은 발효 기간을 가지기에 2%가량의 산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SG군 및 BG군에서는 높은 염도 함량을 보였으므로 이는 미생물의 활동 억제 및 산도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Devanthi와 Gkatzionis, 2019). 이러한 결과는 한국 전통 발효 과정인 자연 발효를 통해 만든 SG군 및 BG군이 시판되는 CG군보다 높은 염도에 따른 높은 pH와 낮은 산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특성은 발효 기간에 따른 간장의 적절한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간장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페놀 함량 측정 결과는 Fig. 1A, B와 같다. 농도 의존적으로 모든 그룹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서목태로 제조된 SG군과 BG군이 CG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BG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간장의 DPPH 소거 효과의 경우 Fig.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능은 증가했으며, 모든 농도에서 BG군이 CG 및 SG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MTT assay: 간장 추출물의 농도별 HT-29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율에 관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1 mg/mL 및 2 mg/mL를 제외하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BG군이 CG와 SG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HT-29 대장암세포 사멸률을 보였다(
RT-qPCR을 이용한 p53, p21의 mRNA 발현: 세포주기 정지와 관련된 유전인자인 p53과 p21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Fig. 3). p53에서 SG군은 아무것도 처리되지 않은 CON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T-qPCR을 이용한 Bim, Bcl-2, caspase 9 및 caspase 3의 mRNA 발현: Apoptosis와 관련된 유전인자인 Bim, Bcl-2, caspase 9 및 caspase 3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Fig. 4), 모든 추출물이 CON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pro-apoptosis 인자인 Bim에서 모든 간장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CON군보다 증가했으며, 그중 BG군이 2.67배로 증가하여 수치상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복해정 간장(BG)이 HT-29 대장암 세포에서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BG군은 시판 간장(CG) 및 서목태 간장(SG)에 비해 높은 pH와 염도, 낮은 산도를 보였으며,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BG군은 다른 샘플들보다 높은 DPPH 소거 활성 능력을 보였는데, 이는 유황오리진액에 포함된 황 성분과 서목태의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 결과로 생각된다. MTT assay 결과, BG군은 CG군 및 SG군보다 높은 대장암 세포사멸률을 보였으며, 이는 서목태와 유황오리진액 등이 갖는 항염증 효과 및 항암효과가 결합한 결과로 사료된다. 유전자 발현 분석에서는 p53과 p21의 mRNA 발현이 증가하여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사멸을 유도하였고, pro-apoptosis 유전자인 Bim의 발현이 증가하고 anti-apoptosis 유전자인 Bcl-2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caspase 9 및 caspase 3의 발현이 증가하여 apoptosis를 촉진하였다. 결론적으로 서목태 및 유황오리진액 혼합간장은 높은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대장암 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는 서목태의 높은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과 유황오리진액의 항산화 성분이 결합한 결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그 기전과 효과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주)인산가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으며 이에 감사를 드립니다.
Table 1 . Primer sequences of RT-qPCR assay.
Gene name. | Primer sequence. |
---|---|
p53. | F: 5′-ATGGAGGAGCCGCAGTCAGA-3′. R: 5′-TGCAGGGGCCGCCGGTGTAG-3′. |
p21. | F: 5′-ATGTCAGAACCGGCTGGGG-3′. R: 5′-GCCGGGGCCCCGTGGGA-3′. |
BIM. | F: 5′-AGATCCCCGCTTTTCATCTT-3′. R: 5′-TCTTGGGCGATCCATATCTC-3′. |
BCL-2. | F: 5′-AAGATTGATGGGATCGTTGC-3′. R: 5′-GCGGAACACTTGATTCTGGT-3′. |
Caspase 9. | F: 5′-CTAGTTTGCCCACACCCAGT-3′. R: 5′-CTGCTCAAAGATGTCGTCCA-3′. |
Caspase 3. | F: 5′-TTTTTCAGAGGGGATCGTTG-3′. R: 5′-CGGCCTCCACTGGTATTTTA-3′. |
GAPDH. | F: 5′-AGGTCGGTGTGAACGGATTTG-3′. R: 5′-GGGGTCGTTGATGGCAACA-3′. |
Table 2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pH values, acidity, and salinity) of
pH value. | Acidity (%). | Salinity (%). | |
---|---|---|---|
CG. SG. BG. | 4.86±0.02c. 6.53±0.02a. 5.83±0.01b. | 2.67±0.03a. 2.02±0.05b. 1.99±0.01b. | 13.9±0.01b. 25.8±0.01a. 25.7±0.02a. |
CG: Commercial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