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1): 1127-1134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12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Young In Kim1 , Eun-Ji Song1, Ji-Eun Eom1 , Hee Soon Shin1,2 , Gun-Dong Kim1 , Young-Do Nam1 , and So-Young Lee1 ,2
1Food Functionality Research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ence to:So-Young Lee, Food Functionality Research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45,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gun, Jeonbuk 55365, Korea, E-mail: sylee09@kfri.re.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obiotics are defined as live microorganisms, which, when administered in adequate doses, confer health benefits on the host. With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probiotics, there have been concerns regarding their safety. Therefore, in this study, evaluation of the safety of Lactiplantibiacllus plantarum KF511 (LPKF511)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outh Korea. LPKF511 is known to attenuate lung damage and alleviate inflammation. We conduct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 hemolytic test, measurement of cytotoxicity and D-lactate production, and a bile salt hydrolase (BSH) activity test. The result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revealed that LPKF511 was susceptible to 7 antimicrobials recommended by guidelines of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for bacterial susceptibility testing. In addition, LPKF511 exhibited no hemolytic activity, BSH activity, or cytotoxicity against Caco-2 cells.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LPKF511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ngredient without safety concerns.
Keywords: probiotics, Lactiplantibiacllus plantarum KF511, safety, probiotics safety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는 특정 환경 내 존재하는 전체 미생물 집단으로 마이크로바이오타를 이루는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체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 하며, 적정량 섭취 시 숙주에 건강상 유익한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 정의하고 있다(Araya 등, 2002; Herrema 등, 2017). 프로바이오틱스의 유익한 효과는 주로 면역조절 및 장 건강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항암 및 항염 효과, 근감소증 예방, 아토피 개선, 항비만, 갱년기 관련 질병 개선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고, 마이크로바이옴과 질환의 상관성 및 인과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됨에 따라, 질환 개선 소재로서의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Araya 등, 2002; Ayob 등, 2023; Barrea 등, 2023; Byeon 등, 2022; Chon 등, 2023; Lee 등, 2022; Liu 등, 2022). 또한,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의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세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규모는 2021년에서 2026년 사이 연평균 8.3% 성장하여 915억 달러,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026년에 1조 5,143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Jang 등, 2023: Sohn, 2022).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소비 증가는 프로바이오틱스 사용에 따른 부작용 및 안전성 문제를 동반하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국제식량기구(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에서도 생균 형태로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특성상 일부 부작용 및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Malashree 등, 2019). 실제 세계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서도 독성, 항생제 내성 등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LPKF511은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 관리번호 KCCM 12573P)에 기탁하였다. LPKF511은 deMan Rogos and Sharpe(MRS) 고체 배지(BD Difco)에 도말하여 37°C, 24시간 호기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단일 콜로니를 MRS 액체 배지(BD Difco)에 2회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비교군으로 사용한
LPKF511의 항생제 내성 평가는 EFSA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tetracycline에 대해 항생제 스트립(E-TEST®, BioMérieux)을 이용한 E-test법으로 평가하였다. MRS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LPKF511 콜로니를 McFarland 탁도 0.5~1.0 사이로 희석하여 MRS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혐기 조건에서 20분간 하였다. 도말한 균주가 고체 배지에 잘 스며든 후 멸균 포셉을 이용해 각 항생제 스트립을 고체 배지 위에 올리고 37°C, 48시간 혐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균이 자라지 않는 스트립의 가장 밑 부분으로 확정하였다.
LPKF511의 전장유전체 서열은 수탁 번호 GCA_029543005.1로 GenBank에 기탁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항생제 내성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RGI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Comprehensive Antibiotic Resistance Database(CARD)와 비교, 분석하였다(Alcock 등, 2023).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획득/내재 내성 판단을 위해 HGTree PlasmidFinder 버전 2.1, PHASTEST, MobileElementFinder 버전 10.3을 사용하였고(Carattoli 등, 2014; Jeong 등, 2016; Johansson 등, 2021; Wishart 등, 2023), virulence factor를 확인하기 위해 Pathogen Finder, Virulence Finder를 사용하였다.
활성화한 LPKF511 균주를 Sheep blood agar(KisanBio)에 선상 도말 평판법으로 도말하여 37°C, 48시간 혐기 조건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 주위에 생기는 환을 관찰하여 용혈 활성을 평가하였다.
Caco-2(ATCC HTB-37) 세포를 5×104 cells/well 농도로 24-well plate(SPL Life Science)에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WelGENE Inc.), 10% fetal bovine serum(WELGENE Inc.), 1% penicillin/streptomycin(v/v)(WELGENE Inc.) 배지에 seeding하고, 5% CO2, 37°C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Caco-2에 LPKF511을 농도별로(107, 108, 109 CFU/well) 접종하고 5% CO2, 37°C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10% cell lysis buffer, 음성대조군으로 균주가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독소 생성능의 비교를 위해 독성이 있다고 알려진
0.5% taurocholic acid(TCA; bile acid)(T4009, Sigma)가 첨가된 MRS 고체배지에 LPKF511을 선상 도말 평판법으로 도말하여 37°C, 48시간 혐기 조건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 주위에 생기는 변화를 관찰하여 BSH 활성을 평가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본 실험 결과는 GraphPad Prism Version 9.5.0(Graph Pad Software)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Table 1 . The antibiotics resistance of
Antibiotics | MIC (μg/mL) | ||
---|---|---|---|
MIC-cut off value of EFSA1) (for | E-strip MIC of LPKF511 | ||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Tetracycline | 2 8 2 1 16 64 32 | 0.064 2 0.019 0.75 0.75 16 0.75 |
1)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LPKF511 균주의 염색체 서열을 RGI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CARD 버전 3.3.0과 비교 분석해 항생제 내성 관련 추정 유전자를 식별하였다. 그 결과 vancomycin과 teicoplanin type 항생제에 대한 내성에 잠재적으로 관여하는 유전적 결정인자를 확인하였다(Table 2). 해당 유전자의 획득 내성 및 내재 내성을 구분하기 위해 HGTree를 기반으로 horizontal gene transfer(HGT) 이벤트 분석
Table 2 . The antibiotics resistance determinants identified in
Features | LPKF511 | ||
---|---|---|---|
Locus-tag Antibiotic ARO1) AMR gene family Resistance mechanism Algorithm Identifty (%) Coverage (%) | NZ_CP071125.1_849 Vancomycin vanY gene in vanB cluster vanY, glycopeptide resistance gene cluster Antibiotic target alteration Strict 31.93 91.42 |
1)ARO: Antibiotic Resistance Ontology.
결과, 해당 유전자에서 HGT 이벤트가 확인되지 않았다.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은 LAB의 내재적 특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이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임상적 우려는 없다고 판단된다(Delcour 등, 1999).
이와 더불어 plasmid 또는 prophage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 존재 및 획득/내재 내성 판단을 위해 PlasmidFinder를 사용하여 plasmi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고, 그 결과 1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plasmid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와 tra 유전자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HSTEST를 사용하여 prophage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3개의 prophage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1). 해당 prophage들의 염기서열에 항생제 내성 유전자 존재 여부를 확인한 결과 prophage 내에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았다. Mobile element에 의한 항생제 내성 획득/내재 내성 판단을 위해 MobileElementFinder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염색체 내에 13개, plasmid 내에 5개의 mobile element 염기서열이 예측되었지만 항생제 내성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추가로 Pathogen Finder와 Virulence Finder를 사용해 virulence factor를 확인한 결과, virulence factor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PKF511이 가진 vancomycin에 대한 항생제 내성이 외재적 유전자로 인한 획득 내성이 아님을 확인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프로바이오틱스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의 항생제 내성 기준을 충족하는 안전한 균주로 판단하였다.
용혈 활성은 sheep blood가 포함된 고체 배지에 균주를 배양한 후, 적혈구 용해에 따른 혈액 고체배지 상의 색상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용혈반응은 적혈구의 불완전 용해로 인해 hemoglobin이 methemoglobin으로 산화되면서 녹회색 균주 집락을 형성하는 α-hemolysis, 적혈구의 완전 용해로 균주 집락 주변부에 투명환을 형성하는 β-hemolysis, 용혈반응이 없어 균주 집락 주변부에 색상 변화가 없는 γ-hemolysis로 구분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DH는 세포가 손상될 때 세포 내에서 세포 배양액으로 유출되는 성분으로 LDH 활성 측정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한 세포막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Chen 등, 2017). 이전 연구에 의하면 vero 세포에
L-lactate는 인체에서 대사가 가능하지만 이성질체인 D-lactate의 경우 대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D-lactate를 생성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과량 섭취는 혈액 내 D-lactate 축적을 초래해 D-lactic acid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mund 등, 2023; Yilmaz 등, 2018). Short bowel syndrome 환자의 경우 체내 D-lactate 축적에 더 취약하며, D-lactic acidosis에 의해 혼란, 방향 감각 상실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혼수상태, 사망에 이를 수 있다(Remund 등, 2023). 건강한 성인의 혈중에는 D-lactate 5~20 µmol/L, L-lactate 1,000 µmol/L가 존재하고 있어 일정 수준의 D-lactate가 존재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Higgins, 2011). D-lactate는 D-lactate dehydrogenase 및 D,L-lactate racemase 경로에 의해 생성되며,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에 따라 D-lactate 생성 정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LPKF511이 속하는
Bile salt는 생물학적 계면활성제로 지질을 유화 및 용해해 지방의 소화와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박테리아의 membrane을 용해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기도 한다(Begley 등, 2006; Sarkar 등, 2016). BSH는 bile salt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를 보호하거나 콜레스테롤의 수용성 대사산물인 bile salt를 가수분해해 숙주의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bile salt deconjugation을 촉매해 bile salt의 기능을 저하시켜 지방산 분해를 어렵게 한다(Ahn 등, 2003; Lim, 2011). Deconjugation된 bile acid는 소수성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생성된 일부 2차 담즙산은 콜레스테롤 담석 질환 및 대장암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Ridlon 등, 2006). 이러한 BSH의 위험성 때문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BSH 활성이 양성인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해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 표시 표기를 권고하고 있다(De Boever 등, 2000; MFDS, 2022). 이에 본 연구에서는 0.5% TCA 함유 MRS 배지에 LPKF511을 배양하여 BSH 활성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이때 BSH 양성 균주인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 건강 개선 활성을 가지는 LPKF511 균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약처 프로바이오틱스 안전성 평가 가이드에 준하여 항생제 내성, 용혈 활성, 독소 생성 및 대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LPKF511은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및 tetracycline 등 7종의 항생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감수성 기준을 충족하는 균주로 genotype 안전성 평가를 통해 관련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virulence factor가 부재함도 확인되었다. 또한, 용혈반응 음성, 담석 질환 및 대장암 발병과 관련이 있는 BSH 음성 및 장관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세포독성 물질 미생성 균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LPKF511은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사용 가능한 안전한 균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LPKF511은 D,L-lactate 혼합 생성 균주임으로 영유아 및 short bowel syndrome 환자군 대상의 섭취 주의 문구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원으로 한국식품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기본연구사업(E0210202-04)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1): 1127-1134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1.112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김영인1․송은지1․엄지은1․신희순1,2․김근동1․남영도1․이소영1,2
1한국식품연구원 식품기능연구본부
2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
Young In Kim1 , Eun-Ji Song1, Ji-Eun Eom1 , Hee Soon Shin1,2 , Gun-Dong Kim1 , Young-Do Nam1 , and So-Young Lee1,2
1Food Functionality Research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ence to:So-Young Lee, Food Functionality Research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45,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gun, Jeonbuk 55365, Korea, E-mail: sylee09@kfri.re.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obiotics are defined as live microorganisms, which, when administered in adequate doses, confer health benefits on the host. With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probiotics, there have been concerns regarding their safety. Therefore, in this study, evaluation of the safety of Lactiplantibiacllus plantarum KF511 (LPKF511)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outh Korea. LPKF511 is known to attenuate lung damage and alleviate inflammation. We conduct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 hemolytic test, measurement of cytotoxicity and D-lactate production, and a bile salt hydrolase (BSH) activity test. The result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revealed that LPKF511 was susceptible to 7 antimicrobials recommended by guidelines of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for bacterial susceptibility testing. In addition, LPKF511 exhibited no hemolytic activity, BSH activity, or cytotoxicity against Caco-2 cells.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LPKF511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ngredient without safety concerns.
Keywords: probiotics, Lactiplantibiacllus plantarum KF511, safety, probiotics safety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는 특정 환경 내 존재하는 전체 미생물 집단으로 마이크로바이오타를 이루는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체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 하며, 적정량 섭취 시 숙주에 건강상 유익한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 정의하고 있다(Araya 등, 2002; Herrema 등, 2017). 프로바이오틱스의 유익한 효과는 주로 면역조절 및 장 건강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항암 및 항염 효과, 근감소증 예방, 아토피 개선, 항비만, 갱년기 관련 질병 개선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고, 마이크로바이옴과 질환의 상관성 및 인과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됨에 따라, 질환 개선 소재로서의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Araya 등, 2002; Ayob 등, 2023; Barrea 등, 2023; Byeon 등, 2022; Chon 등, 2023; Lee 등, 2022; Liu 등, 2022). 또한,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의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세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규모는 2021년에서 2026년 사이 연평균 8.3% 성장하여 915억 달러,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026년에 1조 5,143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Jang 등, 2023: Sohn, 2022).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소비 증가는 프로바이오틱스 사용에 따른 부작용 및 안전성 문제를 동반하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국제식량기구(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에서도 생균 형태로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특성상 일부 부작용 및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Malashree 등, 2019). 실제 세계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서도 독성, 항생제 내성 등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LPKF511은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 관리번호 KCCM 12573P)에 기탁하였다. LPKF511은 deMan Rogos and Sharpe(MRS) 고체 배지(BD Difco)에 도말하여 37°C, 24시간 호기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단일 콜로니를 MRS 액체 배지(BD Difco)에 2회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비교군으로 사용한
LPKF511의 항생제 내성 평가는 EFSA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tetracycline에 대해 항생제 스트립(E-TEST®, BioMérieux)을 이용한 E-test법으로 평가하였다. MRS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LPKF511 콜로니를 McFarland 탁도 0.5~1.0 사이로 희석하여 MRS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혐기 조건에서 20분간 하였다. 도말한 균주가 고체 배지에 잘 스며든 후 멸균 포셉을 이용해 각 항생제 스트립을 고체 배지 위에 올리고 37°C, 48시간 혐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균이 자라지 않는 스트립의 가장 밑 부분으로 확정하였다.
LPKF511의 전장유전체 서열은 수탁 번호 GCA_029543005.1로 GenBank에 기탁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항생제 내성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RGI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Comprehensive Antibiotic Resistance Database(CARD)와 비교, 분석하였다(Alcock 등, 2023).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획득/내재 내성 판단을 위해 HGTree PlasmidFinder 버전 2.1, PHASTEST, MobileElementFinder 버전 10.3을 사용하였고(Carattoli 등, 2014; Jeong 등, 2016; Johansson 등, 2021; Wishart 등, 2023), virulence factor를 확인하기 위해 Pathogen Finder, Virulence Finder를 사용하였다.
활성화한 LPKF511 균주를 Sheep blood agar(KisanBio)에 선상 도말 평판법으로 도말하여 37°C, 48시간 혐기 조건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 주위에 생기는 환을 관찰하여 용혈 활성을 평가하였다.
Caco-2(ATCC HTB-37) 세포를 5×104 cells/well 농도로 24-well plate(SPL Life Science)에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WelGENE Inc.), 10% fetal bovine serum(WELGENE Inc.), 1% penicillin/streptomycin(v/v)(WELGENE Inc.) 배지에 seeding하고, 5% CO2, 37°C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Caco-2에 LPKF511을 농도별로(107, 108, 109 CFU/well) 접종하고 5% CO2, 37°C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10% cell lysis buffer, 음성대조군으로 균주가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독소 생성능의 비교를 위해 독성이 있다고 알려진
0.5% taurocholic acid(TCA; bile acid)(T4009, Sigma)가 첨가된 MRS 고체배지에 LPKF511을 선상 도말 평판법으로 도말하여 37°C, 48시간 혐기 조건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 주위에 생기는 변화를 관찰하여 BSH 활성을 평가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본 실험 결과는 GraphPad Prism Version 9.5.0(Graph Pad Software)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Table 1 . The antibiotics resistance of
Antibiotics. | MIC (μg/mL). | ||
---|---|---|---|
MIC-cut off value of EFSA1) (for | E-strip MIC of LPKF511. | ||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Tetracycline. | 2. 8. 2. 1. 16. 64. 32. | 0.064. 2. 0.019. 0.75. 0.75. 16. 0.75. |
1)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LPKF511 균주의 염색체 서열을 RGI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CARD 버전 3.3.0과 비교 분석해 항생제 내성 관련 추정 유전자를 식별하였다. 그 결과 vancomycin과 teicoplanin type 항생제에 대한 내성에 잠재적으로 관여하는 유전적 결정인자를 확인하였다(Table 2). 해당 유전자의 획득 내성 및 내재 내성을 구분하기 위해 HGTree를 기반으로 horizontal gene transfer(HGT) 이벤트 분석
Table 2 . The antibiotics resistance determinants identified in
Features. | LPKF511. | ||
---|---|---|---|
Locus-tag. Antibiotic. ARO1). AMR gene family. Resistance mechanism. Algorithm. Identifty (%). Coverage (%). | NZ_CP071125.1_849. Vancomycin. vanY gene in vanB cluster. vanY, glycopeptide resistance gene cluster. Antibiotic target alteration. Strict. 31.93. 91.42. |
1)ARO: Antibiotic Resistance Ontology..
결과, 해당 유전자에서 HGT 이벤트가 확인되지 않았다.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은 LAB의 내재적 특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이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임상적 우려는 없다고 판단된다(Delcour 등, 1999).
이와 더불어 plasmid 또는 prophage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 존재 및 획득/내재 내성 판단을 위해 PlasmidFinder를 사용하여 plasmid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고, 그 결과 1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plasmid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와 tra 유전자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HSTEST를 사용하여 prophage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3개의 prophage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1). 해당 prophage들의 염기서열에 항생제 내성 유전자 존재 여부를 확인한 결과 prophage 내에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았다. Mobile element에 의한 항생제 내성 획득/내재 내성 판단을 위해 MobileElementFinder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염색체 내에 13개, plasmid 내에 5개의 mobile element 염기서열이 예측되었지만 항생제 내성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추가로 Pathogen Finder와 Virulence Finder를 사용해 virulence factor를 확인한 결과, virulence factor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PKF511이 가진 vancomycin에 대한 항생제 내성이 외재적 유전자로 인한 획득 내성이 아님을 확인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프로바이오틱스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의 항생제 내성 기준을 충족하는 안전한 균주로 판단하였다.
용혈 활성은 sheep blood가 포함된 고체 배지에 균주를 배양한 후, 적혈구 용해에 따른 혈액 고체배지 상의 색상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용혈반응은 적혈구의 불완전 용해로 인해 hemoglobin이 methemoglobin으로 산화되면서 녹회색 균주 집락을 형성하는 α-hemolysis, 적혈구의 완전 용해로 균주 집락 주변부에 투명환을 형성하는 β-hemolysis, 용혈반응이 없어 균주 집락 주변부에 색상 변화가 없는 γ-hemolysis로 구분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DH는 세포가 손상될 때 세포 내에서 세포 배양액으로 유출되는 성분으로 LDH 활성 측정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한 세포막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Chen 등, 2017). 이전 연구에 의하면 vero 세포에
L-lactate는 인체에서 대사가 가능하지만 이성질체인 D-lactate의 경우 대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D-lactate를 생성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과량 섭취는 혈액 내 D-lactate 축적을 초래해 D-lactic acid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mund 등, 2023; Yilmaz 등, 2018). Short bowel syndrome 환자의 경우 체내 D-lactate 축적에 더 취약하며, D-lactic acidosis에 의해 혼란, 방향 감각 상실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혼수상태, 사망에 이를 수 있다(Remund 등, 2023). 건강한 성인의 혈중에는 D-lactate 5~20 µmol/L, L-lactate 1,000 µmol/L가 존재하고 있어 일정 수준의 D-lactate가 존재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Higgins, 2011). D-lactate는 D-lactate dehydrogenase 및 D,L-lactate racemase 경로에 의해 생성되며,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에 따라 D-lactate 생성 정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LPKF511이 속하는
Bile salt는 생물학적 계면활성제로 지질을 유화 및 용해해 지방의 소화와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박테리아의 membrane을 용해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기도 한다(Begley 등, 2006; Sarkar 등, 2016). BSH는 bile salt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를 보호하거나 콜레스테롤의 수용성 대사산물인 bile salt를 가수분해해 숙주의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bile salt deconjugation을 촉매해 bile salt의 기능을 저하시켜 지방산 분해를 어렵게 한다(Ahn 등, 2003; Lim, 2011). Deconjugation된 bile acid는 소수성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생성된 일부 2차 담즙산은 콜레스테롤 담석 질환 및 대장암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Ridlon 등, 2006). 이러한 BSH의 위험성 때문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BSH 활성이 양성인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해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 표시 표기를 권고하고 있다(De Boever 등, 2000; MFDS, 2022). 이에 본 연구에서는 0.5% TCA 함유 MRS 배지에 LPKF511을 배양하여 BSH 활성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이때 BSH 양성 균주인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 건강 개선 활성을 가지는 LPKF511 균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약처 프로바이오틱스 안전성 평가 가이드에 준하여 항생제 내성, 용혈 활성, 독소 생성 및 대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LPKF511은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및 tetracycline 등 7종의 항생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감수성 기준을 충족하는 균주로 genotype 안전성 평가를 통해 관련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virulence factor가 부재함도 확인되었다. 또한, 용혈반응 음성, 담석 질환 및 대장암 발병과 관련이 있는 BSH 음성 및 장관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세포독성 물질 미생성 균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LPKF511은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사용 가능한 안전한 균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LPKF511은 D,L-lactate 혼합 생성 균주임으로 영유아 및 short bowel syndrome 환자군 대상의 섭취 주의 문구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원으로 한국식품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기본연구사업(E0210202-04)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Table 1 . The antibiotics resistance of
Antibiotics. | MIC (μg/mL). | ||
---|---|---|---|
MIC-cut off value of EFSA1) (for | E-strip MIC of LPKF511. | ||
Ampicill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Kanamycin. Tetracycline. | 2. 8. 2. 1. 16. 64. 32. | 0.064. 2. 0.019. 0.75. 0.75. 16. 0.75. |
1)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Table 2 . The antibiotics resistance determinants identified in
Features. | LPKF511. | ||
---|---|---|---|
Locus-tag. Antibiotic. ARO1). AMR gene family. Resistance mechanism. Algorithm. Identifty (%). Coverage (%). | NZ_CP071125.1_849. Vancomycin. vanY gene in vanB cluster. vanY, glycopeptide resistance gene cluster. Antibiotic target alteration. Strict. 31.93. 91.42. |
1)ARO: Antibiotic Resistance Ontolog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