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KF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Online ISSN 2288-5978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0): 1014-1020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0.101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Effects of the Administration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Extract and Ursolic Acid on the Biomarkers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Function in Adult Rats

Yerin Lee and Inkyung Baik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okmi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Inkyung Baik,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okmin University,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E-mail: ibaik@kookmin.ac.kr

Received: July 23, 2024; Revised: September 10, 2024; Accepted: September 27,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ministration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CPF) extract and ursolic acid (UA), one of the major compounds of CPF, on biomarkers related to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hepatic function, and systemic inflammation in adult animal model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24-week-old Sprague Dawley male rats. In the first experiment, the CPF experimental group (n=10) was administered 12 mg/kg of CPF extract dissolved in saline, and the CPF control group (n=9) was given saline daily for 24 weeks. In the second experiment, two experimental groups, namely, a low-dose UA (Low-UA) group (n=8) and a high-dose UA (High-UA) group (n=8), were administered 1.7 μg/kg and 17 μg/kg of UA, respectively, and a UA control group (n=15) was given saline, daily for 12 weeks. The blood levels of glucose, insulin, adiponectin,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nd hepatic function enzymes including alanine transaminase (AL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ssayed and compared. The experimental rats administered CPF showed higher adiponectin (P<0.05) and lower ALT levels (P<0.05) compared to the controls. Those administered UA showed lower LDL cholesterol (P<0.05) and ALP levels (P<0.05)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s. Among the rats involved in the UA experiment, the LDL cholesterol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P leve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UA administration may improve cholesterol metabolism, possibly reducing hepatic cholesterol levels, although future studies are warranted to explore the underlying mechanisms.

Keywords: ursolic acid, adiponectin, LDL cholesterol, alanine transaminase, alkaline phosphatase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다. 산사자, 즉 산사나무 열매(C. pinnatifida fruit, CPF)는 붉은 과실로 9월에서 10월 사이에 맺히고, 이는 식용 가능하며 약용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NIBR, 2016). 동의보감에서 산사자는 소화 기능 및 혈액 순환을 돕는 약초로 서술되며 민간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다(Park, 2017).

현대의 과학적 평가에 의해 산사자는 항산화능, 항고지혈증, 심혈관계질환 위험 감소, 당질대사 개선, 항암, 항염증, 간 보호 등(Jurikova 등, 2012; Li 등, 2023; Nazhand 등, 2020)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Seong 등(2014)의 동물실험에서 산사자의 간 보호 효과가 간 조직 내 지방 축적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관찰된 바 있다. 즉 기본 식이에 돈유(lard) 및 콜레스테롤을 추가한 식이를 먹인 백서를 이상지혈증 모델로 하여 간 기능 지표인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kaline phosphatase(ALP) 등의 혈중 농도를 분석한 결과, 기본 식이를 먹인 대조군 백서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간 조직의 지방세포 수와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지혈증 모델인 백서에 산사자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물을 급여한 경우 간 기능 지표와 간 조직 이상이 개선되었다. 이 실험에서 혈중 지질대사 지표가 분석되지 않았지만, Kwok 등(2013)의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의 동물실험에서 산사자 추출물이 주로 혈중 low-density lipoprotein(LDL) 콜레스테롤 농도와 간 조직에 축적된 지방 함량을 감소시켰다. 한편, 산사자 추출물 투여가 당대사에도 영향을 미치므로(Aierken 등, 2017),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와 간 기능 지표 사이의 연관성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산사자의 생리활성 물질을 발굴하고자 산사자로부터 150개 이상의 화합물을 분리한 바 있고(Wu 등, 2014a), 우르솔산(ursolic acid, UA)이 상대적으로 함유량이 높은 화합물 중 하나로 나타났다(Rezaei-Golmisheh 등, 2015). UA는 천연 오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로 다양한 허브 및 향신료에서 발견되고(Woźniak 등, 2015), 산사자의 생리활성 효과와 유사하게 항산화, 항염증, 간 보호, 당질 및 지질대사 개선(Kashyap 등, 2016) 등의 다기능성을 보여준다. 고지방식이를 먹인 마우스에 무게 kg당 200 mg의 UA를 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아디포넥틴 및 high-density lipoprotein(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증가한 반면,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 혈중 중성지방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소하여 당질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Jia 등, 2015). 하지만 다른 실험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관찰하지 못했다(Wu 등, 2014b). 이와 같은 일관되지 못한 결과는 고혈당 혹은 이상지혈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의 경우 고인슐린혈증 상태가 유도되면 아디포넥틴 발현이 억제되거나, 간으로 유리지방산의 유입이 증가하여 간 내 당질 및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므로(Jung과 Park, 2004) 산사자 및 UA 투여로 인한 대사 지표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PF 추출물 및 UA 투여가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와 간 기능 지표에 미치는 영향과 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대사 이상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적인 성인기의 설치 동물(Sengupta, 2013)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CPF 추출물 및 UA 각각을 투여한 두 차례의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물질

CPF는 경남생약농협협동조합(Gyeongnam Bio-Pharmaceutic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으로부터 구매하여, 100 g을 분쇄한 후 1 L의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침지액을 20 μm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n-1300, Sunil Eyela)하여 초저온 냉동고에 1시간 냉동 보관한 후, 동결 건조(FDU-2110, Sunil Eyela)하여 분말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추출 수율(동결건조 후 건물 중량/원료 건물량의 비율 %)은 4.3%로 나타났다. 제조된 추출물은 -70°C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UA는 일차표준품(primary reference standard)을 Sigma-Aldrich Co.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동물실험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심의 승인(KMU-2020-04, KMU-2023-04)을 받은 후 24주령의 Sprague Dawley계 수컷 백서(Central Lab. Animal Inc.)를 구입하여 2회의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동물실험은 CPF 추출물 투여 실험(CPF experiment)으로, 20마리의 백서를 CPF 대조군(CPF control group, n=10)과 CPF 실험군(CPF group, n=10)에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채혈 시료의 용혈로 인해 바이오마커 분석이 불가했던 CPF 대조군 1마리를 제외하여 9마리의 백서가 CPF 대조군에 최종적으로 포함되었다. 두 번째 동물실험은 UA 투여 실험(UA experiment)으로, 31마리의 백서를 UA 대조군(UA control group, n=15)과 2군의 UA 투여 실험군, 즉 저농도 UA 실험군(Low-UA group, n=8) 및 고농도 UA 실험군(High-UA group, n=8)에 무작위로 배치하였다(Fig. 1). UA 투여 실험은 두 차례의 동물실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1차 동물실험에 포함된 실험군과 1, 2차 동물실험에 포함된 UA 대조군의 동물 수를 모두 합쳐서 분석하였다. 각 군의 동물 수는 유사한 동물실험 결과를 근거로 결정되었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animal experiment progress.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대조군은 3 mL의 생리식염수만을, CPF 실험군은 3 mL의 생리식염수에 12 mg/kg의 CPF 추출물을 용해하여 24주 동안 매일 오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UA 투여 실험에서도 대조군은 3 mL의 생리식염수만을, 저농도 UA 실험군 및 고농도 UA 실험군 각각은 1.7 μg/kg 및 17 μg/kg의 UA를 동일한 양의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12주 동안 매일 오전에 경구 투여하였다(Fig. 1). 저농도 UA 투여량은 CPF 추출물에 UA 함유량 비율이 약 0.014%라고 보고된 결과(Rezaei-Golmisheh 등, 2015)에 따라 1배 용량으로 계산하였고, 고농도 UA 투여량은 저농도 UA 투여량의 10배 용량으로 결정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항온(22±1°C), 항습(50±10%) 및 12시간 간격의 일정한 광주기를 유지하였다. 식이(Teklad 2018; Envigo)와 물은 실험 기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 일정한 시각에 측정하였으며, 실험을 종료하는 희생일 전날부터 절식시킨 백서를 흡입마취 후 심장 채혈하였다.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10 mL 튜브에 채취된 혈액은 원심분리 후 혈장만 microtube에 수집 후 분석 전까지 -70°C에서 보관하였다.

생화학적 바이오마커 분석

혈장 인슐린, 아디포넥틴 농도는 ELISA kits(Rat insulin: Mercodia; Rat adiponectin: Adipoge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triglyceride),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ALT, AL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hs-CRP) 등은 Cobas Analyzer(Roche Diagnostic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는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 후 Friedewald 공식(LDL 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중성지방/5)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계산하였고(Sanchez-Muniz와 Bastida, 2008), UA 투여 실험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직접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

본 연구에서 모든 자료는 SAS 프로그램(SAS 9.4, SAS Institut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두 군간 비교는 Student’s t-test를, 세 군간 비교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를, 분석값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Spearman’s rank 상관관계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양측검정 0.0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평균 체중 비교

Table 1은 두 실험에서 각 군에 포함된 백서의 체중 평균값을 나타낸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의 시작 시점인 24주령, 중간 시점인 36주령, 종료 시점인 48주령 시에 체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UA 투여 실험에서도 시작 시점인 24주령, 종료 시점인 36주령 시에 측정한 체중이 대조군 및 두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1 . Average body weight and chow intake in two experiment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Number of rats

Body weight (g)

24 week

36 week

48 week

9

555.61±36.59

637.40±58.81

653.62±65.89

10

545.97±25.15

627.77±44.68

638.58±59.54

0.508

0.691

0.608

15

549.74±55.94

656.15±51.95

8

534.12±33.55

673.68±52.23

8

533.97±23.58

649.06±50.02

0.624

0.614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 비교

Table 2는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값을 군 간 비교한 결과이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평균 38%가량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혈당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UA 투여 실험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두 실험군 모두에서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평균 26% 및 30% 정도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혈당, 인슐린, 아디포넥틴,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에서는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able 2 . Comparison of plasma biomarkers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two experiments

Biomarker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Fasting glucose (mg/dL)

Fasting insulin (ng/mL)

Adiponectin (ng/mL)

Total cholesterol (mg/dL)

LDL cholesterol (mg/dL)

HD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195.78±32.05

1.13±1.52

11.53±1.77

112.22±29.72

28.62±11.11

63.67±16.88

99.67±37.94

175.30±31.21

0.98±0.88

16.01±5.07

112.80±28.48

21.74±10.48

65.80±20.19

126.30±50.51

0.177

0.793

0.023

0.966

0.183

0.807

0.215

193.62±20.75

2.78±2.11

7.12±1.89

95.35±17.72

11.79±3.35

59.50±11.75

120.31±45.96

195.39±19.19

1.83±1.23

7.53±2.02

86.79±12.88

8.64±1.88*

53.43±8.84

123.58±29.87

188.14±19.58

2.38±1.74

8.44±2.00

86.68±13.87

8.20±2.84*

55.40±8.76

115.42±45.91

0.748

0.502

0.318

0.327

0.012

0.381

0.928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DL, low-density lipoprotein.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hen compared with UA control group.



간 기능 지표 및 염증성 지표

혈중 간 기능 지표 및 염증성 지표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간 기능 지표 ALT 농도가 평균 65%가량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염증성 지표인 hs-CRP 농도는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A 투여 실험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두 실험군 모두에서 ALP 농도가 90% 이상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hs-CRP 농도는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3 . Comparison of plasma biomarkers of liver function and systematic inflammation in two experiments

Biomarker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ALT (IU/L)

ALP (IU/L)

Hs-CRP (mg/L)

209.78±173.38

5.89±2.47

0.07±0.04

73.70±30.61

5.60±3.24

0.12±0.08

0.047

0.831

0.072

52.09±15.88

2.93±2.80

1.24±0.32

57.58±21.59

0.24±0.29*

1.32±0.27

50.31±9.91

0.26±0.38*

1.23±0.30

0.645

0.003

0.779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hen compared with UA control group.



간 기능 지표 ALP와 대사 지표 간의 상관관계

앞선 Table 3에서 UA 투여 실험에서는 ALP 농도가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에 대사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UA 투여 실험에서만 ALP 농도가 LDL 콜레스테롤 농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Table 4). 추가로 ALT와 대사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ALT 농도와 아디포넥틴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70)(Table 4).

Table 4 . Correlation of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nd other biomarkers in two experiments

CPF experiment (n=19)

UA experiment (n=31)



Spearman’s rho

P-value

Spearman’s rho

P-value

Fasting glucose (mg/dL)

Fasting insulin (ng/mL)

Adiponectin (ng/mL)

Total cholesterol (mg/dL)

LDL cholesterol (mg/dL)

HD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Hs-CRP (mg/L)

0.357

0.277

0.417

0.153

0.126

0.136

0.074

0.220

0.134

0.250

0.076

0.531

0.609

0.580

0.763

0.365

0.016

0.132

0.128

0.219

0.495

0.267

−0.059

−0.157

0.932

0.478

0.492

0.236

0.005*

0.147

0.753

0.400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LDL, low-density lipoprotein; HDL, high-density lipoprotein;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P<0.05.


본 연구에서 CPF 추출물 12 mg/kg을 24주 동안 매일 경구 투여한 실험군 백서는 대조군 백서에 비해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38%가량 유의하게 증가하고, 간 기능 지표인 ALT 농도는 65%가량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함께 실험군에서는 혈당과 LDL 콜레스테롤 농도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산사자 내 주요 화합물 중 하나인 UA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7 μg/kg 및 17 μg/kg의 UA를 12주 동안 매일 경구 투여한 실험군 백서는 대조군 백서에 비해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 및 간 기능 지표인 ALP 농도가 90% 이상 감소하였다. 더 나아가 두 지표의 농도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UA가 간 내 지질대사에 바람직한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CPF 추출물 투여 효과와 UA의 투여 효과가 일치하지 않는 결과는 산사자 내 UA 외 다른 화합물이 당대사 개선에 더 기여한 것으로 추측된다.

산사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북부로, 한국, 일본, 유럽 및 북미에도 널리 분포한다. 따라서 다양한 나라에서 산사나무의 잎, 열매, 씨앗 등의 생리활성 유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Nazhand 등, 2020). 특히 산사자에는 다수의 화합물, 즉 leucocyanidin 및 kaempferol 3-neohesperidoside와 같은 플라보노이드, UA, oleanolic acid, maslinic acid와 같은 트리테르페노이드, citric acid, ascorbic acid, oleic acid와 같은 유기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Wu 등, 2014a). 이들 화합물 중 UA의 생리활성에 관해 주로 연구되어, 항산화, 항염증, 간 보호, 당질 및 지질대사 개선 등의 유효성이 보고되었다(Kashyap 등, 2016). 본 연구에서는 질병 상태를 유도하지 않은 성인기 설치 동물에서 산사자 및 UA 투여가 당질 및 지질대사, 간 기능 지표인 ALT 및 ALP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지표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산사자 투여는 당질대사 개선과 함께 ALT 농도의 감소를, UA 투여는 지질대사 개선과 함께 ALP 농도의 감소를 나타냈다.

ALT 및 ALP 농도의 증가는 모두 비정상적인 간 기능 상태를 나타내지만, 특정 상태에 대한 특이도가 다르므로 결과 해석이 다를 수 있다. ALT는 AST와 함께 아미노전이효소로 주로 간에 존재하며 바이러스 감염, 금속 과부하, 약물 대사로 인한 간 스트레스 혹은 손상 시에 그 농도가 특이적으로 증가한다. 한편, ALP는 주로 담낭과 담관 세포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및 간 염증 시에도 증가하지만, 담즙이 배설되지 못하고 정체되거나 담즙산(간세포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이 축적된 상태일 때 그 합성과 분비가 증가한다(Giannini 등, 2005). 실제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역학연구에서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ALP 활성 증가와 밀접하게 관계되었다(Mehdi 등, 2012).

LDL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간에서 말초조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지단백으로, 간과 말초조직에는 LDL 수용체가 있어 콜레스테롤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조직에 있는 LDL 수용체 활성과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간 혹은 동맥벽에 유입되는 콜레스테롤양을 조절하게 된다. 동맥벽에 콜레스테롤이 유입되고 축적되면 플라크가 형성되고 염증성이 증가하여 동맥경화증, 심장병, 뇌졸중 등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Gaggini 등, 2023). 이와 같은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전략, 즉 스타틴과 같은 약물 치료 혹은 생활 습관 개선이나 유효성을 지닌 건강 기능성 식품의 활용 등이 필요하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식물유래 생리활성 화합물이 보고된 바 있으며, 산사자에 함유된 UA도 포함되어 있다(Ji 등, 2019). 하지만 UA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와 관련된 동물실험에서 상충하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Li 등(2016)의 동물실험에서 만성 고콜린 식이로 유도된 이상지혈증 모델의 마우스에 2달 동안 400 mg/kg 및 800 mg/kg의 UA를 투여한 결과,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하였다. 반면, Hao 등(2020)의 동물실험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이상지혈증 모델의 햄스터에게 UA를 투여한 결과, LDL 및 VLDL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비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못했다. Lin 등(2011)은 UA 투여가 장내 acyl-coenzyme A:cholesterol acyltransferases 활성을 억제하여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를 감소시킨다고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기전을 자세히 평가하지 못했지만, 혈중 LDL 콜레스테롤 및 ALP 농도가 서로 연관되면서 UA 투여에 의해 동반적으로 감소한다는 결과는 앞서 제의된 기전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즉, UA 투여로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가 감소하면서 담즙산이 덜 합성, 분비되고 이러한 상태가 ALP 활성 감소로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산사자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성은 얻지 못했다. 이에 UA 실험과 동일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산사자 내 추출물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의 영향으로 인해 장내 흡수된 UA 양이 적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산사자 추출물의 투여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증가시키고 ALT 농도를 감소시킨 반면, 상호 간에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LDL 콜레스테롤 및 ALP 농도가 유의하게 차이 나지 않았다. 이는 UA가 아닌 산사자에 포함된 다른 화합물이 아디포넥틴 합성을 촉진한 것으로 추측된다. 선행 연구 결과(Liou 등, 2019; Matumba 등, 2019)를 바탕으로 산사자에 포함된 화합물인 oleanolic acid 혹은 maslinic acid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는 질환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 동물모델에서 도출되었으므로, 질환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 당뇨 혹은 이상지혈증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산사자 추출물 및 UA 투여가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낼지, 관련 기전은 무엇인지 추가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안전성이 확보된 인간 대상 연구를 통해 UA가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 가능한지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산사자 추출물과 그 주요 화합물 중 하나인 우르솔산의 투여가 당질 및 지질대사, 간 기능 및 염증 관련 생리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24주령 Sprague Dawley 수컷 백서를 포함하는 두 차례의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동물실험에서는 CPF 실험군(n=10)에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CPF 추출물 12 mg/kg을, CPF 대조군(n=9)에는 생리식염수를 24주간 매일 투여하였고, 두 번째 동물실험에서는 저용량 UA 실험군(n=8) 및 고용량 UA 실험군(n=8) 각각에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UA 1.7 μg/kg 및 17 μg/kg을, UA 대조군(n=15)에는 생리식염수를 12주간 매일 투여하였다. 실험 종료 후 백서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 인슐린, 아디포넥틴,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염증성 지표인 hs-CRP, 간 기능 지표인 ALT 및 ALP 농도를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CPF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더 높았고(P<0.05) ALT 농도는 더 낮았다(P<0.05). UA를 투여한 실험군 2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LDL 콜레스테롤 농도 및 ALP 농도가 더 낮았다(P<0.05). 또한 UA 실험에서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ALP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는 산사자 추출물 및 UA가 당질 및 지질 대사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재확인하였으며, 추가 연구를 통해 관련 기전을 발굴할 필요성을 제의하는 바이다.

이 논문은 2024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RS-2024-00336637).

  1. Aierken A, Buchholz T, Chen C, et al. Hypoglycemic effect of hawthorn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rat model. J Sci Food Agric. 2017. 97:4557-4561.
    Pubmed CrossRef
  2. Gaggini M, Gorini F, Vassalle C. Lipids in atherosclerosis: Pathophysiology and the role of calculated lipid indices in assessing cardiovascular risk in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Int J Mol Sci. 2023. 24:75. https://doi.org/10.3390/ijms24010075.
    Pubmed KoreaMed CrossRef
  3. Giannini EG, Testa R, Savarino V. Liver enzyme alteration: a guide for clinicians. CMAJ. 2005. 172:367-379.
    Pubmed KoreaMed CrossRef
  4. Hao W, Kwek E, He Z, et al. Ursolic acid alleviates hypercholesterolemia and modulates the gut microbiota in hamsters. Food Funct. 2020. 11:6091-6103.
    Pubmed CrossRef
  5. Ji X, Shi S, Liu B, et al. Bioactive compounds from herbal medicines to manage dyslipidemia. Biomed Pharmacother. 2019. 118:109338. https://doi.org/10.1016/j.biopha.2019.109338.
    Pubmed CrossRef
  6. Jia Y, Kim S, Kim J, et al. Ursolic acid improves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high-fat-fed C57BL/6J mice by activat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and hepatic autophagy. Mol Nutr Food Res. 2015. 59:344-354.
    Pubmed CrossRef
  7. Jung HS, Park KS. Adiponectin and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tab J. 2004. 28:239-249.
  8. Jurikova T, Sochor J, Rop O, et al. Polyphenolic profile and biological activity of Chinese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s. Molecules. 2012. 17:14490-14509.
    Pubmed KoreaMed CrossRef
  9. Kashyap D, Tuli HS, Sharma AK. Ursolic acid (UA): A metabolite with promising therapeutic potential. Life Sci. 2016. 146:201-213.
    Pubmed CrossRef
  10. Kwok CY, Li C, Cheng HL, et al. Cholesterol lowering and vascular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dried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hawthorn (Shan Zha),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aemic rat model. J Funct Foods. 2013. 5:1326-1335.
    CrossRef
  11. Li D, Ren D, Luo Y, et al. Protective effects of ursolic acid against hepatotoxicity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mice with chronic high choline diet consumption. Chem Biol Interact. 2016. 258:102-107.
    Pubmed CrossRef
  12. Li R, Luan F, Zhao Y, et al. Crataegus pinnatifida: A botanical, ethnopharmacolog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overview. J Ethnopharmacol. 2023. 301:115819. https://doi.org/10.1016/j.jep.2022.115819.
    Pubmed CrossRef
  13. Lin Y, Vermeer MA, Trautwein EA. Triterpenic acids present in hawthorn lower plasma cholesterol by inhibiting intestinal ACAT activity in hamster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Article ID 801272. https://doi.org/10.1093/ecam/nep007.
    Pubmed KoreaMed CrossRef
  14. Liou CJ, Dai YW, Wang CL, et al. Maslinic acid protects against obesity-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mice through regulation of the Sirt1/AMPK signaling pathway. FASEB J. 2019. 33:11791-11803.
    Pubmed KoreaMed CrossRef
  15. Matumba MG, Ayeleso AO, Nyakudya T, et al. Long-term impact of neonatal intake of oleanolic acid on the express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diponectin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fed with a high fructose diet. Nutrients. 2019. 11:226. https://doi.org/10.3390/nu11020226.
    Pubmed KoreaMed CrossRef
  16. Mehdi WA, Farhan LO, Abed BA. Biochemical and kinetic studies on alkaline phosphatase and other biochemical features in sera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Baghdad Sci J. 2012. 9:160-167.
    CrossRef
  17. Nazhand A, Lucarini M, Durazzo A, et al. Hawthorn (Crataegus spp.): An updated overview on its beneficial properties. Forests. 2020. 11:564. https://doi.org/10.3390/f11050564.
    CrossRef
  18. NIBR. Crataegus pinnatifida Bung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 [cited 2024 Jul 18]. Available from: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pageMode=view&ktsn=120000061711.
  19. Park JC. Food herbal medicine encyclopedia. Blue Happiness. 2017. p 476.
  20. Rezaei-Golmisheh A, Malekinejad H, Asri-Rezaei S, et al. Hawthorn ethanolic extracts with triterpenoids and flavonoids exert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suppress the hypercholesterolemia-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Iranian J Basic Med Sci. 2015. 18:691-699.
  21. Sanchez-Muniz FJ, Bastida S. Do not use the Friedewald formula to calculate LDL-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aemic rats. Eur J Lipid Sci Technol. 2008. 110:295-301.
    CrossRef
  22. Sengupta P. The laboratory rat: Relating its age with human's. Int J Prev Med. 2013. 4:624-630.
  23. Seong JH, Kim MA, Duan Y, et al. Effects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hepatic functional enzyme activity in dyslipidemic ra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176-182.
    CrossRef
  24. Woźniak Ł, Skąpska S, Marszałek K. Ursolic acid-A pentacyclic triterpenoid with a wide spectrum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Molecules. 2015. 20:20614-20641.
    Pubmed KoreaMed CrossRef
  25. Wu J, Peng W, Qin R, et al. Crataegus pinnatifida: Chemical constituents, pharmacology, and potential applications. Molecules. 2014a. 19:1685-1712.
    Pubmed KoreaMed CrossRef
  26. Wu P, He P, Zhao S, et al. Effects of ursolic acid derivatives on Caco-2 cells and their alleviating role in streptozocin-induced type 2 diabetic rats. Molecules. 2014b. 19:12559-12576.
    Pubmed KoreaMed CrossRef

Article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10): 1014-1020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10.101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성인기 백서에서 산사자 추출물 및 우르솔산 투여가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와 간 기능 지표에 미치는 영향

이예린․백인경

국민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영양학과

Received: July 23, 2024; Revised: September 10, 2024; Accepted: September 27, 2024

Effects of the Administration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Extract and Ursolic Acid on the Biomarkers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Function in Adult Rats

Yerin Lee and Inkyung Baik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okmi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Inkyung Baik,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okmin University,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E-mail: ibaik@kookmin.ac.kr

Received: July 23, 2024; Revised: September 10, 2024; Accepted: September 27,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ministration o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CPF) extract and ursolic acid (UA), one of the major compounds of CPF, on biomarkers related to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hepatic function, and systemic inflammation in adult animal model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24-week-old Sprague Dawley male rats. In the first experiment, the CPF experimental group (n=10) was administered 12 mg/kg of CPF extract dissolved in saline, and the CPF control group (n=9) was given saline daily for 24 weeks. In the second experiment, two experimental groups, namely, a low-dose UA (Low-UA) group (n=8) and a high-dose UA (High-UA) group (n=8), were administered 1.7 μg/kg and 17 μg/kg of UA, respectively, and a UA control group (n=15) was given saline, daily for 12 weeks. The blood levels of glucose, insulin, adiponectin,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nd hepatic function enzymes including alanine transaminase (AL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ssayed and compared. The experimental rats administered CPF showed higher adiponectin (P<0.05) and lower ALT levels (P<0.05) compared to the controls. Those administered UA showed lower LDL cholesterol (P<0.05) and ALP levels (P<0.05)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s. Among the rats involved in the UA experiment, the LDL cholesterol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LP leve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UA administration may improve cholesterol metabolism, possibly reducing hepatic cholesterol levels, although future studies are warranted to explore the underlying mechanisms.

Keywords: ursolic acid, adiponectin, LDL cholesterol, alanine transaminase, alkaline phosphatase

서 론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다. 산사자, 즉 산사나무 열매(C. pinnatifida fruit, CPF)는 붉은 과실로 9월에서 10월 사이에 맺히고, 이는 식용 가능하며 약용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NIBR, 2016). 동의보감에서 산사자는 소화 기능 및 혈액 순환을 돕는 약초로 서술되며 민간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다(Park, 2017).

현대의 과학적 평가에 의해 산사자는 항산화능, 항고지혈증, 심혈관계질환 위험 감소, 당질대사 개선, 항암, 항염증, 간 보호 등(Jurikova 등, 2012; Li 등, 2023; Nazhand 등, 2020)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Seong 등(2014)의 동물실험에서 산사자의 간 보호 효과가 간 조직 내 지방 축적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관찰된 바 있다. 즉 기본 식이에 돈유(lard) 및 콜레스테롤을 추가한 식이를 먹인 백서를 이상지혈증 모델로 하여 간 기능 지표인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kaline phosphatase(ALP) 등의 혈중 농도를 분석한 결과, 기본 식이를 먹인 대조군 백서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간 조직의 지방세포 수와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지혈증 모델인 백서에 산사자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물을 급여한 경우 간 기능 지표와 간 조직 이상이 개선되었다. 이 실험에서 혈중 지질대사 지표가 분석되지 않았지만, Kwok 등(2013)의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의 동물실험에서 산사자 추출물이 주로 혈중 low-density lipoprotein(LDL) 콜레스테롤 농도와 간 조직에 축적된 지방 함량을 감소시켰다. 한편, 산사자 추출물 투여가 당대사에도 영향을 미치므로(Aierken 등, 2017),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와 간 기능 지표 사이의 연관성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산사자의 생리활성 물질을 발굴하고자 산사자로부터 150개 이상의 화합물을 분리한 바 있고(Wu 등, 2014a), 우르솔산(ursolic acid, UA)이 상대적으로 함유량이 높은 화합물 중 하나로 나타났다(Rezaei-Golmisheh 등, 2015). UA는 천연 오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로 다양한 허브 및 향신료에서 발견되고(Woźniak 등, 2015), 산사자의 생리활성 효과와 유사하게 항산화, 항염증, 간 보호, 당질 및 지질대사 개선(Kashyap 등, 2016) 등의 다기능성을 보여준다. 고지방식이를 먹인 마우스에 무게 kg당 200 mg의 UA를 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아디포넥틴 및 high-density lipoprotein(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증가한 반면,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 혈중 중성지방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소하여 당질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Jia 등, 2015). 하지만 다른 실험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관찰하지 못했다(Wu 등, 2014b). 이와 같은 일관되지 못한 결과는 고혈당 혹은 이상지혈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의 경우 고인슐린혈증 상태가 유도되면 아디포넥틴 발현이 억제되거나, 간으로 유리지방산의 유입이 증가하여 간 내 당질 및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므로(Jung과 Park, 2004) 산사자 및 UA 투여로 인한 대사 지표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PF 추출물 및 UA 투여가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와 간 기능 지표에 미치는 영향과 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대사 이상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적인 성인기의 설치 동물(Sengupta, 2013)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CPF 추출물 및 UA 각각을 투여한 두 차례의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물질

CPF는 경남생약농협협동조합(Gyeongnam Bio-Pharmaceutic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으로부터 구매하여, 100 g을 분쇄한 후 1 L의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침지액을 20 μm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n-1300, Sunil Eyela)하여 초저온 냉동고에 1시간 냉동 보관한 후, 동결 건조(FDU-2110, Sunil Eyela)하여 분말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추출 수율(동결건조 후 건물 중량/원료 건물량의 비율 %)은 4.3%로 나타났다. 제조된 추출물은 -70°C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UA는 일차표준품(primary reference standard)을 Sigma-Aldrich Co.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동물실험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심의 승인(KMU-2020-04, KMU-2023-04)을 받은 후 24주령의 Sprague Dawley계 수컷 백서(Central Lab. Animal Inc.)를 구입하여 2회의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동물실험은 CPF 추출물 투여 실험(CPF experiment)으로, 20마리의 백서를 CPF 대조군(CPF control group, n=10)과 CPF 실험군(CPF group, n=10)에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채혈 시료의 용혈로 인해 바이오마커 분석이 불가했던 CPF 대조군 1마리를 제외하여 9마리의 백서가 CPF 대조군에 최종적으로 포함되었다. 두 번째 동물실험은 UA 투여 실험(UA experiment)으로, 31마리의 백서를 UA 대조군(UA control group, n=15)과 2군의 UA 투여 실험군, 즉 저농도 UA 실험군(Low-UA group, n=8) 및 고농도 UA 실험군(High-UA group, n=8)에 무작위로 배치하였다(Fig. 1). UA 투여 실험은 두 차례의 동물실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1차 동물실험에 포함된 실험군과 1, 2차 동물실험에 포함된 UA 대조군의 동물 수를 모두 합쳐서 분석하였다. 각 군의 동물 수는 유사한 동물실험 결과를 근거로 결정되었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animal experiment progress.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대조군은 3 mL의 생리식염수만을, CPF 실험군은 3 mL의 생리식염수에 12 mg/kg의 CPF 추출물을 용해하여 24주 동안 매일 오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UA 투여 실험에서도 대조군은 3 mL의 생리식염수만을, 저농도 UA 실험군 및 고농도 UA 실험군 각각은 1.7 μg/kg 및 17 μg/kg의 UA를 동일한 양의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12주 동안 매일 오전에 경구 투여하였다(Fig. 1). 저농도 UA 투여량은 CPF 추출물에 UA 함유량 비율이 약 0.014%라고 보고된 결과(Rezaei-Golmisheh 등, 2015)에 따라 1배 용량으로 계산하였고, 고농도 UA 투여량은 저농도 UA 투여량의 10배 용량으로 결정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항온(22±1°C), 항습(50±10%) 및 12시간 간격의 일정한 광주기를 유지하였다. 식이(Teklad 2018; Envigo)와 물은 실험 기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 일정한 시각에 측정하였으며, 실험을 종료하는 희생일 전날부터 절식시킨 백서를 흡입마취 후 심장 채혈하였다.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10 mL 튜브에 채취된 혈액은 원심분리 후 혈장만 microtube에 수집 후 분석 전까지 -70°C에서 보관하였다.

생화학적 바이오마커 분석

혈장 인슐린, 아디포넥틴 농도는 ELISA kits(Rat insulin: Mercodia; Rat adiponectin: Adipoge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triglyceride),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ALT, AL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hs-CRP) 등은 Cobas Analyzer(Roche Diagnostic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는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 후 Friedewald 공식(LDL 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중성지방/5)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계산하였고(Sanchez-Muniz와 Bastida, 2008), UA 투여 실험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직접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

본 연구에서 모든 자료는 SAS 프로그램(SAS 9.4, SAS Institut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두 군간 비교는 Student’s t-test를, 세 군간 비교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를, 분석값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Spearman’s rank 상관관계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양측검정 0.0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평균 체중 비교

Table 1은 두 실험에서 각 군에 포함된 백서의 체중 평균값을 나타낸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의 시작 시점인 24주령, 중간 시점인 36주령, 종료 시점인 48주령 시에 체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UA 투여 실험에서도 시작 시점인 24주령, 종료 시점인 36주령 시에 측정한 체중이 대조군 및 두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1 . Average body weight and chow intake in two experiment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Number of rats.

Body weight (g).

24 week.

36 week.

48 week.

9.

555.61±36.59.

637.40±58.81.

653.62±65.89.

10.

545.97±25.15.

627.77±44.68.

638.58±59.54.

0.508.

0.691.

0.608.

15.

549.74±55.94.

656.15±51.95.

8.

534.12±33.55.

673.68±52.23.

8.

533.97±23.58.

649.06±50.02.

0.624.

0.614.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 비교

Table 2는 당질 및 지질대사 지표값을 군 간 비교한 결과이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평균 38%가량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혈당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UA 투여 실험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두 실험군 모두에서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평균 26% 및 30% 정도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혈당, 인슐린, 아디포넥틴,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에서는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able 2 . Comparison of plasma biomarkers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two experiments.

Biomarker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Fasting glucose (mg/dL).

Fasting insulin (ng/mL).

Adiponectin (ng/mL).

Total cholesterol (mg/dL).

LDL cholesterol (mg/dL).

HD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195.78±32.05.

1.13±1.52.

11.53±1.77.

112.22±29.72.

28.62±11.11.

63.67±16.88.

99.67±37.94.

175.30±31.21.

0.98±0.88.

16.01±5.07.

112.80±28.48.

21.74±10.48.

65.80±20.19.

126.30±50.51.

0.177.

0.793.

0.023.

0.966.

0.183.

0.807.

0.215.

193.62±20.75.

2.78±2.11.

7.12±1.89.

95.35±17.72.

11.79±3.35.

59.50±11.75.

120.31±45.96.

195.39±19.19.

1.83±1.23.

7.53±2.02.

86.79±12.88.

8.64±1.88*.

53.43±8.84.

123.58±29.87.

188.14±19.58.

2.38±1.74.

8.44±2.00.

86.68±13.87.

8.20±2.84*.

55.40±8.76.

115.42±45.91.

0.748.

0.502.

0.318.

0.327.

0.012.

0.381.

0.928.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DL, low-density lipoprotein..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hen compared with UA control group..



간 기능 지표 및 염증성 지표

혈중 간 기능 지표 및 염증성 지표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간 기능 지표 ALT 농도가 평균 65%가량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염증성 지표인 hs-CRP 농도는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A 투여 실험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두 실험군 모두에서 ALP 농도가 90% 이상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hs-CRP 농도는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3 . Comparison of plasma biomarkers of liver function and systematic inflammation in two experiments.

Biomarker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ALT (IU/L).

ALP (IU/L).

Hs-CRP (mg/L).

209.78±173.38.

5.89±2.47.

0.07±0.04.

73.70±30.61.

5.60±3.24.

0.12±0.08.

0.047.

0.831.

0.072.

52.09±15.88.

2.93±2.80.

1.24±0.32.

57.58±21.59.

0.24±0.29*.

1.32±0.27.

50.31±9.91.

0.26±0.38*.

1.23±0.30.

0.645.

0.003.

0.779.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hen compared with UA control group..



간 기능 지표 ALP와 대사 지표 간의 상관관계

앞선 Table 3에서 UA 투여 실험에서는 ALP 농도가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에 대사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UA 투여 실험에서만 ALP 농도가 LDL 콜레스테롤 농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Table 4). 추가로 ALT와 대사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PF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 ALT 농도와 아디포넥틴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70)(Table 4).

Table 4 . Correlation of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nd other biomarkers in two experiments.

CPF experiment (n=19).

UA experiment (n=31).



Spearman’s rho.

P-value.

Spearman’s rho.

P-value.

Fasting glucose (mg/dL).

Fasting insulin (ng/mL).

Adiponectin (ng/mL).

Total cholesterol (mg/dL).

LDL cholesterol (mg/dL).

HD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Hs-CRP (mg/L).

0.357.

0.277.

0.417.

0.153.

0.126.

0.136.

0.074.

0.220.

0.134.

0.250.

0.076.

0.531.

0.609.

0.580.

0.763.

0.365.

0.016.

0.132.

0.128.

0.219.

0.495.

0.267.

−0.059.

−0.157.

0.932.

0.478.

0.492.

0.236.

0.005*.

0.147.

0.753.

0.400.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LDL, low-density lipoprotein; HDL, high-density lipoprotein;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P<0.05..


고 찰

본 연구에서 CPF 추출물 12 mg/kg을 24주 동안 매일 경구 투여한 실험군 백서는 대조군 백서에 비해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38%가량 유의하게 증가하고, 간 기능 지표인 ALT 농도는 65%가량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함께 실험군에서는 혈당과 LDL 콜레스테롤 농도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산사자 내 주요 화합물 중 하나인 UA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7 μg/kg 및 17 μg/kg의 UA를 12주 동안 매일 경구 투여한 실험군 백서는 대조군 백서에 비해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 및 간 기능 지표인 ALP 농도가 90% 이상 감소하였다. 더 나아가 두 지표의 농도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UA가 간 내 지질대사에 바람직한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CPF 추출물 투여 효과와 UA의 투여 효과가 일치하지 않는 결과는 산사자 내 UA 외 다른 화합물이 당대사 개선에 더 기여한 것으로 추측된다.

산사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북부로, 한국, 일본, 유럽 및 북미에도 널리 분포한다. 따라서 다양한 나라에서 산사나무의 잎, 열매, 씨앗 등의 생리활성 유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Nazhand 등, 2020). 특히 산사자에는 다수의 화합물, 즉 leucocyanidin 및 kaempferol 3-neohesperidoside와 같은 플라보노이드, UA, oleanolic acid, maslinic acid와 같은 트리테르페노이드, citric acid, ascorbic acid, oleic acid와 같은 유기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Wu 등, 2014a). 이들 화합물 중 UA의 생리활성에 관해 주로 연구되어, 항산화, 항염증, 간 보호, 당질 및 지질대사 개선 등의 유효성이 보고되었다(Kashyap 등, 2016). 본 연구에서는 질병 상태를 유도하지 않은 성인기 설치 동물에서 산사자 및 UA 투여가 당질 및 지질대사, 간 기능 지표인 ALT 및 ALP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지표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산사자 투여는 당질대사 개선과 함께 ALT 농도의 감소를, UA 투여는 지질대사 개선과 함께 ALP 농도의 감소를 나타냈다.

ALT 및 ALP 농도의 증가는 모두 비정상적인 간 기능 상태를 나타내지만, 특정 상태에 대한 특이도가 다르므로 결과 해석이 다를 수 있다. ALT는 AST와 함께 아미노전이효소로 주로 간에 존재하며 바이러스 감염, 금속 과부하, 약물 대사로 인한 간 스트레스 혹은 손상 시에 그 농도가 특이적으로 증가한다. 한편, ALP는 주로 담낭과 담관 세포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및 간 염증 시에도 증가하지만, 담즙이 배설되지 못하고 정체되거나 담즙산(간세포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이 축적된 상태일 때 그 합성과 분비가 증가한다(Giannini 등, 2005). 실제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역학연구에서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ALP 활성 증가와 밀접하게 관계되었다(Mehdi 등, 2012).

LDL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간에서 말초조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지단백으로, 간과 말초조직에는 LDL 수용체가 있어 콜레스테롤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조직에 있는 LDL 수용체 활성과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간 혹은 동맥벽에 유입되는 콜레스테롤양을 조절하게 된다. 동맥벽에 콜레스테롤이 유입되고 축적되면 플라크가 형성되고 염증성이 증가하여 동맥경화증, 심장병, 뇌졸중 등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Gaggini 등, 2023). 이와 같은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전략, 즉 스타틴과 같은 약물 치료 혹은 생활 습관 개선이나 유효성을 지닌 건강 기능성 식품의 활용 등이 필요하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식물유래 생리활성 화합물이 보고된 바 있으며, 산사자에 함유된 UA도 포함되어 있다(Ji 등, 2019). 하지만 UA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와 관련된 동물실험에서 상충하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Li 등(2016)의 동물실험에서 만성 고콜린 식이로 유도된 이상지혈증 모델의 마우스에 2달 동안 400 mg/kg 및 800 mg/kg의 UA를 투여한 결과,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하였다. 반면, Hao 등(2020)의 동물실험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이상지혈증 모델의 햄스터에게 UA를 투여한 결과, LDL 및 VLDL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비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못했다. Lin 등(2011)은 UA 투여가 장내 acyl-coenzyme A:cholesterol acyltransferases 활성을 억제하여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를 감소시킨다고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기전을 자세히 평가하지 못했지만, 혈중 LDL 콜레스테롤 및 ALP 농도가 서로 연관되면서 UA 투여에 의해 동반적으로 감소한다는 결과는 앞서 제의된 기전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즉, UA 투여로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가 감소하면서 담즙산이 덜 합성, 분비되고 이러한 상태가 ALP 활성 감소로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산사자 추출물 투여 실험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성은 얻지 못했다. 이에 UA 실험과 동일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산사자 내 추출물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의 영향으로 인해 장내 흡수된 UA 양이 적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산사자 추출물의 투여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증가시키고 ALT 농도를 감소시킨 반면, 상호 간에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LDL 콜레스테롤 및 ALP 농도가 유의하게 차이 나지 않았다. 이는 UA가 아닌 산사자에 포함된 다른 화합물이 아디포넥틴 합성을 촉진한 것으로 추측된다. 선행 연구 결과(Liou 등, 2019; Matumba 등, 2019)를 바탕으로 산사자에 포함된 화합물인 oleanolic acid 혹은 maslinic acid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는 질환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 동물모델에서 도출되었으므로, 질환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 당뇨 혹은 이상지혈증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산사자 추출물 및 UA 투여가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낼지, 관련 기전은 무엇인지 추가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안전성이 확보된 인간 대상 연구를 통해 UA가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 가능한지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요 약

본 연구는 산사자 추출물과 그 주요 화합물 중 하나인 우르솔산의 투여가 당질 및 지질대사, 간 기능 및 염증 관련 생리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24주령 Sprague Dawley 수컷 백서를 포함하는 두 차례의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동물실험에서는 CPF 실험군(n=10)에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CPF 추출물 12 mg/kg을, CPF 대조군(n=9)에는 생리식염수를 24주간 매일 투여하였고, 두 번째 동물실험에서는 저용량 UA 실험군(n=8) 및 고용량 UA 실험군(n=8) 각각에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UA 1.7 μg/kg 및 17 μg/kg을, UA 대조군(n=15)에는 생리식염수를 12주간 매일 투여하였다. 실험 종료 후 백서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 인슐린, 아디포넥틴,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염증성 지표인 hs-CRP, 간 기능 지표인 ALT 및 ALP 농도를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CPF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더 높았고(P<0.05) ALT 농도는 더 낮았다(P<0.05). UA를 투여한 실험군 2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LDL 콜레스테롤 농도 및 ALP 농도가 더 낮았다(P<0.05). 또한 UA 실험에서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ALP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는 산사자 추출물 및 UA가 당질 및 지질 대사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재확인하였으며, 추가 연구를 통해 관련 기전을 발굴할 필요성을 제의하는 바이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4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RS-2024-00336637).

Fig 1.

Fig 1.Schematic diagram of the animal experiment progress.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 1014-1020https://doi.org/10.3746/jkfn.2024.53.10.1014

Table 1 . Average body weight and chow intake in two experiment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Number of rats.

Body weight (g).

24 week.

36 week.

48 week.

9.

555.61±36.59.

637.40±58.81.

653.62±65.89.

10.

545.97±25.15.

627.77±44.68.

638.58±59.54.

0.508.

0.691.

0.608.

15.

549.74±55.94.

656.15±51.95.

8.

534.12±33.55.

673.68±52.23.

8.

533.97±23.58.

649.06±50.02.

0.624.

0.614.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Table 2 . Comparison of plasma biomarkers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two experiments.

Biomarker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Fasting glucose (mg/dL).

Fasting insulin (ng/mL).

Adiponectin (ng/mL).

Total cholesterol (mg/dL).

LDL cholesterol (mg/dL).

HD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195.78±32.05.

1.13±1.52.

11.53±1.77.

112.22±29.72.

28.62±11.11.

63.67±16.88.

99.67±37.94.

175.30±31.21.

0.98±0.88.

16.01±5.07.

112.80±28.48.

21.74±10.48.

65.80±20.19.

126.30±50.51.

0.177.

0.793.

0.023.

0.966.

0.183.

0.807.

0.215.

193.62±20.75.

2.78±2.11.

7.12±1.89.

95.35±17.72.

11.79±3.35.

59.50±11.75.

120.31±45.96.

195.39±19.19.

1.83±1.23.

7.53±2.02.

86.79±12.88.

8.64±1.88*.

53.43±8.84.

123.58±29.87.

188.14±19.58.

2.38±1.74.

8.44±2.00.

86.68±13.87.

8.20±2.84*.

55.40±8.76.

115.42±45.91.

0.748.

0.502.

0.318.

0.327.

0.012.

0.381.

0.928.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DL, low-density lipoprotein..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hen compared with UA control group..


Table 3 . Comparison of plasma biomarkers of liver function and systematic inflammation in two experiments.

Biomarkers.

CPF experiment.

P-value.

UA experiment.

P-value.



CPF control group.

CPF group.

UA control group.

High-UA group.

Low-UA group.

ALT (IU/L).

ALP (IU/L).

Hs-CRP (mg/L).

209.78±173.38.

5.89±2.47.

0.07±0.04.

73.70±30.61.

5.60±3.24.

0.12±0.08.

0.047.

0.831.

0.072.

52.09±15.88.

2.93±2.80.

1.24±0.32.

57.58±21.59.

0.24±0.29*.

1.32±0.27.

50.31±9.91.

0.26±0.38*.

1.23±0.30.

0.645.

0.003.

0.779.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Data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tudent’s t-test or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hen compared with UA control group..


Table 4 . Correlation of plasma alkaline phosphatase and other biomarkers in two experiments.

CPF experiment (n=19).

UA experiment (n=31).



Spearman’s rho.

P-value.

Spearman’s rho.

P-value.

Fasting glucose (mg/dL).

Fasting insulin (ng/mL).

Adiponectin (ng/mL).

Total cholesterol (mg/dL).

LDL cholesterol (mg/dL).

HD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Hs-CRP (mg/L).

0.357.

0.277.

0.417.

0.153.

0.126.

0.136.

0.074.

0.220.

0.134.

0.250.

0.076.

0.531.

0.609.

0.580.

0.763.

0.365.

0.016.

0.132.

0.128.

0.219.

0.495.

0.267.

−0.059.

−0.157.

0.932.

0.478.

0.492.

0.236.

0.005*.

0.147.

0.753.

0.400.

Abbreviations: CPF, Crataegus pinnatifida fruit; UA, ursolic acid; LDL, low-density lipoprotein; HDL, high-density lipoprotein;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P<0.05..


References

  1. Aierken A, Buchholz T, Chen C, et al. Hypoglycemic effect of hawthorn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rat model. J Sci Food Agric. 2017. 97:4557-4561.
    Pubmed CrossRef
  2. Gaggini M, Gorini F, Vassalle C. Lipids in atherosclerosis: Pathophysiology and the role of calculated lipid indices in assessing cardiovascular risk in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Int J Mol Sci. 2023. 24:75. https://doi.org/10.3390/ijms24010075.
    Pubmed KoreaMed CrossRef
  3. Giannini EG, Testa R, Savarino V. Liver enzyme alteration: a guide for clinicians. CMAJ. 2005. 172:367-379.
    Pubmed KoreaMed CrossRef
  4. Hao W, Kwek E, He Z, et al. Ursolic acid alleviates hypercholesterolemia and modulates the gut microbiota in hamsters. Food Funct. 2020. 11:6091-6103.
    Pubmed CrossRef
  5. Ji X, Shi S, Liu B, et al. Bioactive compounds from herbal medicines to manage dyslipidemia. Biomed Pharmacother. 2019. 118:109338. https://doi.org/10.1016/j.biopha.2019.109338.
    Pubmed CrossRef
  6. Jia Y, Kim S, Kim J, et al. Ursolic acid improves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high-fat-fed C57BL/6J mice by activat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and hepatic autophagy. Mol Nutr Food Res. 2015. 59:344-354.
    Pubmed CrossRef
  7. Jung HS, Park KS. Adiponectin and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tab J. 2004. 28:239-249.
  8. Jurikova T, Sochor J, Rop O, et al. Polyphenolic profile and biological activity of Chinese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s. Molecules. 2012. 17:14490-14509.
    Pubmed KoreaMed CrossRef
  9. Kashyap D, Tuli HS, Sharma AK. Ursolic acid (UA): A metabolite with promising therapeutic potential. Life Sci. 2016. 146:201-213.
    Pubmed CrossRef
  10. Kwok CY, Li C, Cheng HL, et al. Cholesterol lowering and vascular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dried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hawthorn (Shan Zha),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aemic rat model. J Funct Foods. 2013. 5:1326-1335.
    CrossRef
  11. Li D, Ren D, Luo Y, et al. Protective effects of ursolic acid against hepatotoxicity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mice with chronic high choline diet consumption. Chem Biol Interact. 2016. 258:102-107.
    Pubmed CrossRef
  12. Li R, Luan F, Zhao Y, et al. Crataegus pinnatifida: A botanical, ethnopharmacolog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overview. J Ethnopharmacol. 2023. 301:115819. https://doi.org/10.1016/j.jep.2022.115819.
    Pubmed CrossRef
  13. Lin Y, Vermeer MA, Trautwein EA. Triterpenic acids present in hawthorn lower plasma cholesterol by inhibiting intestinal ACAT activity in hamster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Article ID 801272. https://doi.org/10.1093/ecam/nep007.
    Pubmed KoreaMed CrossRef
  14. Liou CJ, Dai YW, Wang CL, et al. Maslinic acid protects against obesity-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mice through regulation of the Sirt1/AMPK signaling pathway. FASEB J. 2019. 33:11791-11803.
    Pubmed KoreaMed CrossRef
  15. Matumba MG, Ayeleso AO, Nyakudya T, et al. Long-term impact of neonatal intake of oleanolic acid on the express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diponectin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fed with a high fructose diet. Nutrients. 2019. 11:226. https://doi.org/10.3390/nu11020226.
    Pubmed KoreaMed CrossRef
  16. Mehdi WA, Farhan LO, Abed BA. Biochemical and kinetic studies on alkaline phosphatase and other biochemical features in sera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Baghdad Sci J. 2012. 9:160-167.
    CrossRef
  17. Nazhand A, Lucarini M, Durazzo A, et al. Hawthorn (Crataegus spp.): An updated overview on its beneficial properties. Forests. 2020. 11:564. https://doi.org/10.3390/f11050564.
    CrossRef
  18. NIBR. Crataegus pinnatifida Bung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 [cited 2024 Jul 18]. Available from: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pageMode=view&ktsn=120000061711.
  19. Park JC. Food herbal medicine encyclopedia. Blue Happiness. 2017. p 476.
  20. Rezaei-Golmisheh A, Malekinejad H, Asri-Rezaei S, et al. Hawthorn ethanolic extracts with triterpenoids and flavonoids exert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suppress the hypercholesterolemia-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Iranian J Basic Med Sci. 2015. 18:691-699.
  21. Sanchez-Muniz FJ, Bastida S. Do not use the Friedewald formula to calculate LDL-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aemic rats. Eur J Lipid Sci Technol. 2008. 110:295-301.
    CrossRef
  22. Sengupta P. The laboratory rat: Relating its age with human's. Int J Prev Med. 2013. 4:624-630.
  23. Seong JH, Kim MA, Duan Y, et al. Effects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hepatic functional enzyme activity in dyslipidemic ra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176-182.
    CrossRef
  24. Woźniak Ł, Skąpska S, Marszałek K. Ursolic acid-A pentacyclic triterpenoid with a wide spectrum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Molecules. 2015. 20:20614-20641.
    Pubmed KoreaMed CrossRef
  25. Wu J, Peng W, Qin R, et al. Crataegus pinnatifida: Chemical constituents, pharmacology, and potential applications. Molecules. 2014a. 19:1685-1712.
    Pubmed KoreaMed CrossRef
  26. Wu P, He P, Zhao S, et al. Effects of ursolic acid derivatives on Caco-2 cells and their alleviating role in streptozocin-induced type 2 diabetic rats. Molecules. 2014b. 19:12559-12576.
    Pubmed KoreaMed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