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5): 519-528
Published online May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5.51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i-Hye Kim1 , Sung-Keun Jung1,2 , Young-Je Cho1,2 , and Byung-Oh Kim1 ,2
1School of Food Science and 2Research Institute of Tailored Foo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Byung-Oh Kim, School of Food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0, Daehak-ro, Buk-gu, Daegu 41566, Korea, E-mail: kimb@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kakdugi for its use as a probiotic.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material for promoting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functionality was evalua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LAB as probiotics, their survival rates in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artificial bile were evaluated. In artificial gastric juice, the average number of probiotics was maintained at 5.3×109 colony-forming units (CFU)/mL, showing a survival rate of about 99%. In artificial bile, the average number of probiotics was maintained at 1.2×109 CFU/mL, showing a survival rate of about 95%. The survival rate indicated their ability to reach the target site to exert their effects. In addition, autoaggregation an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directly confirm their ability to adhere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surface. The autoaggregation rate of all LAB strains increased over time. Specifically, L. plantarum K1-9 and L. brevis K2-9 strains showed high hydrophobicity. LAB culture supernatants were use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d skin functionality, such as the effects on skin wrinkles, whitening, and astringent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B isolated from kkakdugi ha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additi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AB culture supernatant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kin wrinkles and whitenin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LAB isolated from kkakdugi ensure that they have sufficient potential to be utilized as an intestinal probiotic and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Keywords: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physiological activity, skin functionality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 국제학회(ISAPP)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충분한 양을 섭취하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라고 정의한다. 자가 관리, 웰니스 등과 같이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 산업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경제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Lejaniya 등, 2023).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사람들의 면역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의 시장 성장률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이 2024년까지 768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으며, 2020~2025년 예측 기간 8.1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했다(Yoha 등, 2022).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미생물 무리의 분포를 조절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며 유당 불내증으로 인한 불편을 완화하는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Hill 등, 2014). 또한 유아기 설사, 괴사성 장염, 항생제 관련 설사,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주재료, 지역 및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며,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깍두기에서 분리한 신규 젖산균을 대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더불어 이 균주들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주름 개선, 미백, 모공 수축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MRS broth에 배양한 젖산균 배양액을 4,000×
깍두기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산에 대한 저항성은 체내 소화관 조건과 유사한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에서의 내성을 평가하였다. 인공위액 및 인공담즙에 대한 내성은 Kobayashi 등(1974)과 Shin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인공위액은 1 N HCl을 사용하여 pH 3.0으로 조정한 MRS broth에 pepsin(Daejung Chem.) 1,000 unit/mL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인공담즙의 제조는 MRS broth에 0.45 μm 멸균 syringe filter로 여과, 제균된 oxgall(BD)을 0.5%(v/v) 첨가하였다. MRS broth에 젖산균 균주를 2% 접종하여 37°C,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9,950×
젖산균의 장내 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세포 표면 소수성과 응집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세포 표면 소수성은 Vinderola 등(2004)의 방법을 참고하여 microbial adhesion to solvents 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유기용매로 n-hexane을 사용하였다. Autoaggregation은 Krausova 등(2019)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MRS broth에 2%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젖산균 배양액을 4,000×
Autoaggregation (%)=(1-At/A0)×100
Hydrophobicity (%)=(H0-H1)/H0×100
DPPH(2,2-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 평가는 Blois(1958)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1 mM DPPH 시약을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517 nm에서 O.D값이 0.6~0.7이 되도록 맞추어 60 µM DPPH solution을 제조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50 μL와 60 μM DPPH solution 150 μL를 넣고 혼합하여 암실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 평가는 Fellegrini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라디칼을 생성시키기 위해 7 mM ABTS와 140 mM K2S2O8을 50:0.88 비율로 혼합한 후 암실에서 14~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냉장 보관을 하였다. 반응시킨 stock solution을 50% 에탄올과 혼합하여 O.D값이 0.7±0.02가 되도록 맞춘 뒤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9 μL와 ABTS solution 180 μL를 넣어 암실에서 1분 30초 동안 반응시킨 후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Wünsch와 Heidrich(1963)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젖산균 배양 상등액 0.1 mL에 4 mM CaCl2 in 0.1 M tris-HCl(pH 7.5) buffer에 녹인 기질 0.4 mM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 0.25 mL를 넣고, 4 mM CaCl2 in 0.1 M tris-HCl(pH 7.5) buffer 0.15 mL를 넣었다. 그다음 4 mM CaCl2 in 0.1 M tris-HCl(pH 7.5) buffer로 제조한 9.77 unit/mL collagenase from
Elastase 저해 활성은 Kraunsoe 등(1996)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30 μL와 0.2 M Tris-HCl(pH 8.0) buffer 200 μL 그리고 0.2 M Tris-HCl(pH 8.0) buffer에 녹인 기질 0.8 mM N-suc-(Ala)3-ρ-nitroanilide 30 μL를 첨가한 후 25°C에서 10분간 전처리한 다음 0.2 M Tris-HCl(pH 8.0) buffer로 제조한 1.18 unit/mL elastase from porcine pancreas(Sigma Aldrich Co.) 30 μL를 첨가하여 25°C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SPECTROstar Nano)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EGCG를 사용하였으며, elastase 저해율(%)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Flurkey(1991)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50 μL와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녹인 기질 10 mM L-DOPA 50 μL 그리고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로 제조한 100 unit/mL tyrosinase form mushroom(Sigma Aldrich Co.) 25 μL 그리고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125 μL를 혼합한 다음 37°C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SPECTROstar Nano)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koj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tyrosinase 저해율(%)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수렴 효과는 Lee 등(2002)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1.5 mL Eppendorf tub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700 μL와 0.2 M sodium phosphate buffer(pH 7.5) 350 μL 그리고 기질로는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인 0.4% hemoglobin 350 μL를 넣은 후 voltexing 하여 17,177×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Watanabe 등(1997)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40 μL와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녹인 기질 5 mM ρ-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40 μL,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로 제조한 1.95 unit/mL α-glucosidase from
모든 실험의 결과는 3회 반복하여 얻어진 결과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SPSS(SPSS Inc.)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각 sample 간의 차이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e-way ANOVA로 9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대조군과의 유의차는 Student’s
젖산균은 당을 통해 젖산을 생산하며, 이에 따라 배양 후 pH가 감소한다(Ahn 등, 2006).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젖산균을 배양하기 전 MRS broth의 pH는 5.97로 나타났지만, 젖산균 배양 후 3.79~4.34로 pH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pH의 변화는 젖산균이 생산한 유기산뿐만 아니라 효소 가수분해에 의한 펩타이드, 아미노산, 유리지방산 등의 증가로 수소이온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im 등, 2023).
Table 1 . pH result of LAB culture supernatant
MRS broth | LAB culture supernatant | |
---|---|---|
5.97±0.00c1) | 3.81±0.11a | |
3.80±0.11a | ||
3.79±0.10a | ||
3.80±0.12a | ||
3.80±0.13a | ||
4.16±0.19b | ||
3.80±0.11a | ||
3.79±0.13a | ||
4.28±0.08b | ||
4.34±0.19b | ||
3.80±0.10a |
1)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n=3).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정장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균주가 소화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존해야 한다. 섭취된 균주는 최종 목적 부위인 장에 도달하기까지 위액 및 담즙염에 노출되기 때문에 산에 대한 내성을 갖추어야 한다(Madureira 등, 2005). Fig.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된 균주의 최초 균수는 108~109 CFU/mL로 나타났다. 인공위액(pH 3.0) 환경에서 2시간 배양했을 때
섭취된 균주는 위를 통과하여 담즙이 분비되는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 0.5% oxgall에 24시간 처리하여 인공담즙 내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젖산균 균주에서 92~97%의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pH 3.0 조건인 인공위액에서 높은 내산성의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담즙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분리된 젖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로써 활용 가능한 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상피 세포에 대한 부착과 그에 따른 위장관의 colonization은 장내에서 젖산균이 효과적으로 경쟁하고 증식하는 데 도움을 주는 특성이다. 따라서 장내 부착능은 프로바이오틱스로써 작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특성이며, autoaggregation 및 MATH(microbial adhesion to solvents) 법에 의한 세포 표면 소수성 평가는 젖산균 균주의 세포 접착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보충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autoaggregation을 통해 젖산균 균주가 세포 응집체를 형성하면 장내 지속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로써 작용하기 위해 응집을 통해 큰 바이오매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Krausova 등, 2019).
깍두기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autoaggregation을 확인한 결과 Table 2에서와 같이 모든 균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응집력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24시간 후 평균 72.64%의 응집력을 나타내었다.
Table 2 . Autoaggregation percentages for probiotics strains from
Strain | Time (h) | ||
---|---|---|---|
3 | 6 | 24 | |
14.69±0.83abc1) | 22.42±2.72ab | 75.93±4.92cd | |
19.02±2.00cd | 26.79±0.34bc | 71.77±1.12c | |
12.81±1.28ab | 19.16±1.22a | 72.72±2.73cd | |
11.06±1.58a | 20.58±0.701ab | 60.37±12.01b | |
12.08±1.25ab | 18.92±0.77a | 37.90±1.36a | |
23.89±1.42e | 29.81±0.68c | 80.64±4.29cd | |
18.11±0.94cd | 21.54±1.03ab | 75.85±2.99cd | |
16.04±1.13bc | 19.32±1.51ab | 77.82±2.63cd | |
22.18±2.13de | 30.88±0.67d | 81.47±3.19d | |
31.94±6.80f | 37.74±2.57d | 92.53±2.78e | |
12.97±0.67ab | 18.61±2.88a | 72.01±4.33c |
1)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n=3).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f) with the value in the same incubation tim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박테리아 접착은 두 표면 사이의 비특이적인 물리화학적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세포 표면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MATH 법은 세포 표면의 소수성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용매에 대한 미생물의 친화도로써 소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세포 표면의 소수성이 높을수록 상피 세포에 더 높은 결합 능력을 갖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그 결과 Fig. 2에서와 같이
항산화 평가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산화환원 분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산화 스트레스 매개 질환에 대한 산화환원제의 잠재적 건강상 이점을 연구하는데 유용하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합성 착색 라디칼이 샘플에 의해 감소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산화능을 정량화한다(Floegel 등, 201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Fig. 3A에서와 같이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 5 mg/mL에서 평균 82.54%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그중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Fig. 3B에서와 같이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 5 mg/mL에서 평균 60.28%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그중 L. sakei K4-8은 81.08%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llagen은 피부, 뼈 및 힘줄의 주요 구조 단백질로써 다른 세포가 증식할 수 있는 지지체, 매트릭스 역할을 하며, 다수의 단백질 합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collagen을 분해하는 collagenase의 합성을 촉진하여 거칠고 주름진 피부의 원인이 된다(Madhan 등, 2007).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주름 생성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ollagenase 억제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ig. 4A에서와 같이 평균 23.80%의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그중
Elastin은 collagen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피부 단백질로써 피부에 탄력을 제공하는데, 자외선 노출에 의해 유도된 elastase는 elastin 섬유의 손상을 일으켜 피부 탄력성 저하를 초래한다(Ko 등, 2011). 따라서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여 피부 탄력성 유지 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Fig. 4B와 같다. 평균 27.96%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그중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melanin 색소를 합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내피를 보호한다. 그러나 melanin의 과잉생산 및 축적은 기미, 주근깨 등 표피 색소 침착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Melanin 생합성에서는 구리를 함유한 산화효소인 tyrosinase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tyrosinase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색소 생성 조절 효능을 측정할 수 있다(Ko 등, 2011). 따라서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yrosinase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평균 16.99%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수렴이란 주름이 지고 또는 움츠린다는 의미이며 단백질과 결합하는 성질을 나타내는데, 피부 단백질인 고분자 플라보노이드와 가교적 결합 형태로 생성되어 피부가 수축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 hemoglobin을 사용하여 수렴 효과를 측정하여 모공 수축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 표면에 복합체를 형성하여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Ditthawutthikul 등, 2021; Youn 등, 2012). Hemoglobin의 단백질이 젖산균 배양 상등액과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수렴 효과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평균 6.37%의 수렴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소장 상피세포의 brush-border-membrane에는 α-glucosidase라는 효소가 존재하는데, 이는 이당류나 다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당질 가수분해와 흡수를 지연시킴에 따라 식후 당 농도를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항당뇨 활성 측정법으로 이용되고 있다(Lee 등, 2008).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α-glucosidase 억제 효과 측정 결과 평균 23.81%의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7).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깍두기에서 분리 동정한 젖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로써 활용하기 위한 특성 그리고 항산화 활성 및 피부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젖산을 비롯한 다양한 대사산물에 의해 pH의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로써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의 환경에서의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인공위액에서는 평균 5.3×109 CFU/mL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99% 정도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인공담즙에서는 평균 1.2×109 CFU/mL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95% 정도의 생존율을 보여 목적 부위까지 도달하여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장관 표면 부착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autoaggregation과 세포 표면 소수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젖산균 균주의 응집률이 증가하였고,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5): 519-528
Published online May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5.51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김지혜1․정성근1,2․조영제1,2․김병오1,2
1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2경북대학교 특수식품연구소
Ji-Hye Kim1 , Sung-Keun Jung1,2 , Young-Je Cho1,2 , and Byung-Oh Kim1,2
1School of Food Science and 2Research Institute of Tailored Foo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Byung-Oh Kim, School of Food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0, Daehak-ro, Buk-gu, Daegu 41566, Korea, E-mail: kimb@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kakdugi for its use as a probiotic.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material for promoting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functionality was evalua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LAB as probiotics, their survival rates in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artificial bile were evaluated. In artificial gastric juice, the average number of probiotics was maintained at 5.3×109 colony-forming units (CFU)/mL, showing a survival rate of about 99%. In artificial bile, the average number of probiotics was maintained at 1.2×109 CFU/mL, showing a survival rate of about 95%. The survival rate indicated their ability to reach the target site to exert their effects. In addition, autoaggregation an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directly confirm their ability to adhere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surface. The autoaggregation rate of all LAB strains increased over time. Specifically, L. plantarum K1-9 and L. brevis K2-9 strains showed high hydrophobicity. LAB culture supernatants were use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d skin functionality, such as the effects on skin wrinkles, whitening, and astringent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B isolated from kkakdugi ha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additi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AB culture supernatant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kin wrinkles and whitenin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LAB isolated from kkakdugi ensure that they have sufficient potential to be utilized as an intestinal probiotic and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Keywords: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physiological activity, skin functionality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 국제학회(ISAPP)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충분한 양을 섭취하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라고 정의한다. 자가 관리, 웰니스 등과 같이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 산업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경제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Lejaniya 등, 2023).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사람들의 면역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의 시장 성장률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이 2024년까지 768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으며, 2020~2025년 예측 기간 8.1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했다(Yoha 등, 2022).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미생물 무리의 분포를 조절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며 유당 불내증으로 인한 불편을 완화하는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Hill 등, 2014). 또한 유아기 설사, 괴사성 장염, 항생제 관련 설사,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주재료, 지역 및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며,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깍두기에서 분리한 신규 젖산균을 대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더불어 이 균주들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주름 개선, 미백, 모공 수축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MRS broth에 배양한 젖산균 배양액을 4,000×
깍두기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산에 대한 저항성은 체내 소화관 조건과 유사한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에서의 내성을 평가하였다. 인공위액 및 인공담즙에 대한 내성은 Kobayashi 등(1974)과 Shin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인공위액은 1 N HCl을 사용하여 pH 3.0으로 조정한 MRS broth에 pepsin(Daejung Chem.) 1,000 unit/mL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인공담즙의 제조는 MRS broth에 0.45 μm 멸균 syringe filter로 여과, 제균된 oxgall(BD)을 0.5%(v/v) 첨가하였다. MRS broth에 젖산균 균주를 2% 접종하여 37°C,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9,950×
젖산균의 장내 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세포 표면 소수성과 응집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세포 표면 소수성은 Vinderola 등(2004)의 방법을 참고하여 microbial adhesion to solvents 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유기용매로 n-hexane을 사용하였다. Autoaggregation은 Krausova 등(2019)의 방법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MRS broth에 2%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젖산균 배양액을 4,000×
Autoaggregation (%)=(1-At/A0)×100
Hydrophobicity (%)=(H0-H1)/H0×100
DPPH(2,2-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 평가는 Blois(1958)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1 mM DPPH 시약을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517 nm에서 O.D값이 0.6~0.7이 되도록 맞추어 60 µM DPPH solution을 제조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50 μL와 60 μM DPPH solution 150 μL를 넣고 혼합하여 암실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 평가는 Fellegrini 등(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라디칼을 생성시키기 위해 7 mM ABTS와 140 mM K2S2O8을 50:0.88 비율로 혼합한 후 암실에서 14~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냉장 보관을 하였다. 반응시킨 stock solution을 50% 에탄올과 혼합하여 O.D값이 0.7±0.02가 되도록 맞춘 뒤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9 μL와 ABTS solution 180 μL를 넣어 암실에서 1분 30초 동안 반응시킨 후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Wünsch와 Heidrich(1963)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젖산균 배양 상등액 0.1 mL에 4 mM CaCl2 in 0.1 M tris-HCl(pH 7.5) buffer에 녹인 기질 0.4 mM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 0.25 mL를 넣고, 4 mM CaCl2 in 0.1 M tris-HCl(pH 7.5) buffer 0.15 mL를 넣었다. 그다음 4 mM CaCl2 in 0.1 M tris-HCl(pH 7.5) buffer로 제조한 9.77 unit/mL collagenase from
Elastase 저해 활성은 Kraunsoe 등(1996)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30 μL와 0.2 M Tris-HCl(pH 8.0) buffer 200 μL 그리고 0.2 M Tris-HCl(pH 8.0) buffer에 녹인 기질 0.8 mM N-suc-(Ala)3-ρ-nitroanilide 30 μL를 첨가한 후 25°C에서 10분간 전처리한 다음 0.2 M Tris-HCl(pH 8.0) buffer로 제조한 1.18 unit/mL elastase from porcine pancreas(Sigma Aldrich Co.) 30 μL를 첨가하여 25°C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SPECTROstar Nano)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EGCG를 사용하였으며, elastase 저해율(%)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Flurkey(1991)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50 μL와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녹인 기질 10 mM L-DOPA 50 μL 그리고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로 제조한 100 unit/mL tyrosinase form mushroom(Sigma Aldrich Co.) 25 μL 그리고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125 μL를 혼합한 다음 37°C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SPECTROstar Nano)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은 koj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tyrosinase 저해율(%)은 {1-(sample O.D/control O.D)}×100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수렴 효과는 Lee 등(2002)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1.5 mL Eppendorf tub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700 μL와 0.2 M sodium phosphate buffer(pH 7.5) 350 μL 그리고 기질로는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인 0.4% hemoglobin 350 μL를 넣은 후 voltexing 하여 17,177×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Watanabe 등(1997)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젖산균 배양 상등액 40 μL와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녹인 기질 5 mM ρ-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40 μL,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로 제조한 1.95 unit/mL α-glucosidase from
모든 실험의 결과는 3회 반복하여 얻어진 결과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SPSS(SPSS Inc.)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각 sample 간의 차이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e-way ANOVA로 95%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대조군과의 유의차는 Student’s
젖산균은 당을 통해 젖산을 생산하며, 이에 따라 배양 후 pH가 감소한다(Ahn 등, 2006).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젖산균을 배양하기 전 MRS broth의 pH는 5.97로 나타났지만, 젖산균 배양 후 3.79~4.34로 pH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pH의 변화는 젖산균이 생산한 유기산뿐만 아니라 효소 가수분해에 의한 펩타이드, 아미노산, 유리지방산 등의 증가로 수소이온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im 등, 2023).
Table 1 . pH result of LAB culture supernatant.
MRS broth | LAB culture supernatant | |
---|---|---|
5.97±0.00c1) | 3.81±0.11a | |
3.80±0.11a | ||
3.79±0.10a | ||
3.80±0.12a | ||
3.80±0.13a | ||
4.16±0.19b | ||
3.80±0.11a | ||
3.79±0.13a | ||
4.28±0.08b | ||
4.34±0.19b | ||
3.80±0.10a |
1)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n=3).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정장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균주가 소화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존해야 한다. 섭취된 균주는 최종 목적 부위인 장에 도달하기까지 위액 및 담즙염에 노출되기 때문에 산에 대한 내성을 갖추어야 한다(Madureira 등, 2005). Fig.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된 균주의 최초 균수는 108~109 CFU/mL로 나타났다. 인공위액(pH 3.0) 환경에서 2시간 배양했을 때
섭취된 균주는 위를 통과하여 담즙이 분비되는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 0.5% oxgall에 24시간 처리하여 인공담즙 내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젖산균 균주에서 92~97%의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pH 3.0 조건인 인공위액에서 높은 내산성의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담즙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분리된 젖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로써 활용 가능한 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상피 세포에 대한 부착과 그에 따른 위장관의 colonization은 장내에서 젖산균이 효과적으로 경쟁하고 증식하는 데 도움을 주는 특성이다. 따라서 장내 부착능은 프로바이오틱스로써 작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특성이며, autoaggregation 및 MATH(microbial adhesion to solvents) 법에 의한 세포 표면 소수성 평가는 젖산균 균주의 세포 접착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보충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autoaggregation을 통해 젖산균 균주가 세포 응집체를 형성하면 장내 지속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로써 작용하기 위해 응집을 통해 큰 바이오매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Krausova 등, 2019).
깍두기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autoaggregation을 확인한 결과 Table 2에서와 같이 모든 균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응집력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24시간 후 평균 72.64%의 응집력을 나타내었다.
Table 2 . Autoaggregation percentages for probiotics strains from
Strain | Time (h) | ||
---|---|---|---|
3 | 6 | 24 | |
14.69±0.83abc1) | 22.42±2.72ab | 75.93±4.92cd | |
19.02±2.00cd | 26.79±0.34bc | 71.77±1.12c | |
12.81±1.28ab | 19.16±1.22a | 72.72±2.73cd | |
11.06±1.58a | 20.58±0.701ab | 60.37±12.01b | |
12.08±1.25ab | 18.92±0.77a | 37.90±1.36a | |
23.89±1.42e | 29.81±0.68c | 80.64±4.29cd | |
18.11±0.94cd | 21.54±1.03ab | 75.85±2.99cd | |
16.04±1.13bc | 19.32±1.51ab | 77.82±2.63cd | |
22.18±2.13de | 30.88±0.67d | 81.47±3.19d | |
31.94±6.80f | 37.74±2.57d | 92.53±2.78e | |
12.97±0.67ab | 18.61±2.88a | 72.01±4.33c |
1)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n=3).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f) with the value in the same incubation tim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박테리아 접착은 두 표면 사이의 비특이적인 물리화학적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세포 표면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MATH 법은 세포 표면의 소수성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용매에 대한 미생물의 친화도로써 소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세포 표면의 소수성이 높을수록 상피 세포에 더 높은 결합 능력을 갖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그 결과 Fig. 2에서와 같이
항산화 평가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산화환원 분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산화 스트레스 매개 질환에 대한 산화환원제의 잠재적 건강상 이점을 연구하는데 유용하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합성 착색 라디칼이 샘플에 의해 감소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산화능을 정량화한다(Floegel 등, 201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Fig. 3A에서와 같이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 5 mg/mL에서 평균 82.54%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그중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Fig. 3B에서와 같이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 5 mg/mL에서 평균 60.28%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그중 L. sakei K4-8은 81.08%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llagen은 피부, 뼈 및 힘줄의 주요 구조 단백질로써 다른 세포가 증식할 수 있는 지지체, 매트릭스 역할을 하며, 다수의 단백질 합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collagen을 분해하는 collagenase의 합성을 촉진하여 거칠고 주름진 피부의 원인이 된다(Madhan 등, 2007).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주름 생성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ollagenase 억제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ig. 4A에서와 같이 평균 23.80%의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그중
Elastin은 collagen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피부 단백질로써 피부에 탄력을 제공하는데, 자외선 노출에 의해 유도된 elastase는 elastin 섬유의 손상을 일으켜 피부 탄력성 저하를 초래한다(Ko 등, 2011). 따라서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여 피부 탄력성 유지 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Fig. 4B와 같다. 평균 27.96%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그중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melanin 색소를 합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내피를 보호한다. 그러나 melanin의 과잉생산 및 축적은 기미, 주근깨 등 표피 색소 침착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Melanin 생합성에서는 구리를 함유한 산화효소인 tyrosinase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tyrosinase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색소 생성 조절 효능을 측정할 수 있다(Ko 등, 2011). 따라서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yrosinase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평균 16.99%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수렴이란 주름이 지고 또는 움츠린다는 의미이며 단백질과 결합하는 성질을 나타내는데, 피부 단백질인 고분자 플라보노이드와 가교적 결합 형태로 생성되어 피부가 수축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 hemoglobin을 사용하여 수렴 효과를 측정하여 모공 수축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 표면에 복합체를 형성하여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Ditthawutthikul 등, 2021; Youn 등, 2012). Hemoglobin의 단백질이 젖산균 배양 상등액과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수렴 효과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평균 6.37%의 수렴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소장 상피세포의 brush-border-membrane에는 α-glucosidase라는 효소가 존재하는데, 이는 이당류나 다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당질 가수분해와 흡수를 지연시킴에 따라 식후 당 농도를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항당뇨 활성 측정법으로 이용되고 있다(Lee 등, 2008).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α-glucosidase 억제 효과 측정 결과 평균 23.81%의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7).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깍두기에서 분리 동정한 젖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로써 활용하기 위한 특성 그리고 항산화 활성 및 피부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젖산균 배양 상등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젖산을 비롯한 다양한 대사산물에 의해 pH의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로써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의 환경에서의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인공위액에서는 평균 5.3×109 CFU/mL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99% 정도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인공담즙에서는 평균 1.2×109 CFU/mL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95% 정도의 생존율을 보여 목적 부위까지 도달하여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장관 표면 부착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autoaggregation과 세포 표면 소수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젖산균 균주의 응집률이 증가하였고,
Table 1 . pH result of LAB culture supernatant.
MRS broth | LAB culture supernatant | |
---|---|---|
5.97±0.00c1) | 3.81±0.11a | |
3.80±0.11a | ||
3.79±0.10a | ||
3.80±0.12a | ||
3.80±0.13a | ||
4.16±0.19b | ||
3.80±0.11a | ||
3.79±0.13a | ||
4.28±0.08b | ||
4.34±0.19b | ||
3.80±0.10a |
1)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n=3).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able 2 . Autoaggregation percentages for probiotics strains from
Strain | Time (h) | ||
---|---|---|---|
3 | 6 | 24 | |
14.69±0.83abc1) | 22.42±2.72ab | 75.93±4.92cd | |
19.02±2.00cd | 26.79±0.34bc | 71.77±1.12c | |
12.81±1.28ab | 19.16±1.22a | 72.72±2.73cd | |
11.06±1.58a | 20.58±0.701ab | 60.37±12.01b | |
12.08±1.25ab | 18.92±0.77a | 37.90±1.36a | |
23.89±1.42e | 29.81±0.68c | 80.64±4.29cd | |
18.11±0.94cd | 21.54±1.03ab | 75.85±2.99cd | |
16.04±1.13bc | 19.32±1.51ab | 77.82±2.63cd | |
22.18±2.13de | 30.88±0.67d | 81.47±3.19d | |
31.94±6.80f | 37.74±2.57d | 92.53±2.78e | |
12.97±0.67ab | 18.61±2.88a | 72.01±4.33c |
1)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n=3).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f) with the value in the same incubation tim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