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3): 297-307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3.29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 Eun Gong1 , Sun A Choi2 , and Jeong Ok Rho3
1Major of Nutritio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and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eong Ok R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 Jeonbuk 54896, Korea, E-mail: jorho@jb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nalyzed the comparative merits of a selection of frozen mandu (Korean dumplings) as determined by adults in the Jeonbuk area and suggests an ideal type of frozen mandu that would appeal to adults as determined by conjoint analysis. Two hundred forty-o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to July 2022 to adults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a frozen mandu in a hypermarket or online. The order of importance of frozen mandu attributes was type (39.73%), ingredients (35.16%), purchasing method (13.14%), and shell texture (11.97%). The ideal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attributes was purchase online and grilled mandu with meat and a chewy texture. The most preferred frozen mandu for adults showed an incremental 62.7% potential market share by choice simulation versus the frozen mandu being currently sold. Using the attributes utility, the adult frozen mandu market was divided into two clusters. Adults in cluster 1 preferred grilled mandu and online purchase, while those in cluster 2 preferred steamed mandu and store purc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a database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rozen mandu products and the constru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adults.
Keywords: adult, frozen foods, behavior, marketing
우리나라의 만두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타나며 조선시대에서는 왕조의 의궤 음식으로 왕이 어만두를 먹었다는 기록과 조리법이 소개되어 있다(Kim 등, 1999; Oh, 2014; Oh, 2016). 역사적으로 귀한 요리였던 만두는 근대에 와서는 주로 겨울철이나 명절 등 특별한 날에 가정에서 빚어 먹는 음식으로 변화하였다(Kim과 Kim, 2013). 더욱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냉동식품 시장의 확대는 만두의 대중화에 기여하였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냉동만두 제품의 다양화, 고급화, 차별화가 진행되면서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보고된다(aTFIS, 2014, 2022a). 만두는 재료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제품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식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Nam과 Yoo, 2022), 만두소의 재료, 빚은 모양 및 조리방법에 따라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구운 만두, 편수 등의 다양한 제품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aTFIS, 2014). 최근 우리나라의 드라마와 팝 등의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K-푸드에 관한 관심도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등, 2023). Korea Customs Service(2021)의 보도에 따르면 COVID-19에도 한국식품의 수출은 한류 인기와 함께 가정간편식에서 전통 식품까지 지속해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냉동만두는 대표적인 K-푸드로 냉동만두 수출액은 2020년 5,089만 달러에서 2021년 6,371만 달러로 25.2%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aTFIS, 2022b), CJ 제일제당은 국내 식품업체 최초로 2020년 단일품목 매출 1조 원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Roh 등, 2021).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 따르면 국내 냉동만두의 시장 규모는 2019년 4,814억 원, 2020년 5,128억 원으로 증가하였으나 2021년에는 4,770억 원으로 감소하였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COVID-19의 영향으로 가정에서의 식사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식과 관련된 간편식의 구매가 증가하였으며(Kim 등, 2023; Lee, 2021; Lee와 Kim, 2021), 이는 2020년 냉동만두의 수요 증가로 나타났다. 그러나 COVID-19 장기화로 인해 냉동만두를 대체하는 다양한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과 밀키트가 출시되면서 2021년 냉동만두의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aTFIS, 2022b). 또 다른 원인분석으로는 식품업체들의 경쟁으로 냉동만두의 품질은 향상되었으나 만두의 종류와 품목이 유사해진 것이 냉동만두 시장의 성장을 둔화시킨 것으로 보고되었다(Jeon, 2022). 따라서 국내 냉동만두 시장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세분화된 기호를 고려한 다양한 제품 개발을 통한 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겠다(Kim, 20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95.4%가 만두/피자/떡볶이/면류의 간편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고 94.6%가 구매 의사가 있으며, 제품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구매가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 소비자의 만두 선택 속성 관련 연구(Chang과 Hwang, 2006; Kim 등, 2009)에서는 맛, 위생적 품질, 영양가, 가격, 제조사의 브랜드, 광고 등의 요인이 만두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냉동만두 시장의 확대와 함께 만두 관련 연구도 증가하였으며, 만두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속성(Cho, 2010), 우렁이 만두 제품의 마켓 테스트(Chang과 Hwang, 2006), 만두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만두 유형별 이용행동(Kim 등, 2009), 만두의 조리 방법별 중심부 온도 연구(Kim과 Kim, 2013), 냉동만두 패키지의 브랜드이미지 연구(Meang과 Park, 2012)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소비자의 만두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로 냉동만두 업체에서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에 활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속성의 효용분석을 통하여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제시해 주는 컨조인트 분석법(Green과 Srinivasan, 1990)을 이용하고자 한다. 컨조인트 분석법은 제품의 속성 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고, 각 속성 수준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시장점유율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식품개발과 외식산업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Choi 등, 2022a; Choi 등, 2022b; Han 등, 2021; Lee, 2019; Lee 등, 2019; You와 Lee, 2018). 그러나 만두 관련 컨조인트 연구는 조리 전공자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산천어 만두 제품 연구가 있을 뿐이다(Lee 등, 2013). Kim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20대 이상의 성인들이 자주 먹는 만두의 유형은 즉석만두보다 냉동만두를 자주 먹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구매 실태와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 수준의 효용도를 예측하여 이상적인 냉동만두 속성의 조합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 선택 속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냉동만두 구매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하여 컨조인트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예비조사는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승인 번호: JBNU 2022-05-06-008) 승인 이후 남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실시하였으며, 이후 설문지를 수정하였다. 대상자는 전주시, 군산시, 익산에 거주하는 성인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22년 6~7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장소는 대학교, 종교시설, 문화센터 및 지역 공공기관 등을 방문하여 해당기관의 점심시간과 휴게시간을 이용하였다. 조사시작 전 조사목적을 설명하고 의사가 있는 경우에만 조사에 참여하도록 안내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여 전부 회수되었다. 그러나 컨조인트 분석을 위하여 가상의 프로파일과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의 Kendal tau 값을 분석한 결과, 9개의 자료에서 전체 경향과 상이한 컨조인트 답변이 나타나 이를 제외한 241부(96.4%)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4개 부분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냉동만두 구매동기 및 냉동만두 구매 실태, 냉동만두 선택 속성과 수준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수준, 결혼 여부, 월수입, 주거형태의 총 7문항이며, 연령은 직접 기록하도록 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 및 구매 실태 항목은 Cho(2010), Kim 등(2009), Lee 등(2013)의 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개발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는 ‘식사 대용’, ‘간식 대용’, ‘맛이 있어서’, ‘영양이 풍부해서’ 등 총 9문항이며 Likert 척도로 이용 동기(5점 ‘매우 그렇다’~1점 ‘전혀 그렇지 않다’)를 조사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의 Cronbach’s α 계수는 0.698로 나타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냉동만두의 구매 행동은 구매빈도, 섭취 이유, 냉동만두 조리 방법,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 및 증가 이유, 구매 장소 및 구매 브랜드 등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 증가 이유, 구매 장소, 구매 브랜드는 중복응답으로 조사하였으며, 구매빈도 증가 이유는 COVID-19 기간 구매빈도가 증가한 경우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관련 선행연구(Cho, 2010; Kim 등, 2009; Lee 등, 2013)와 전북지역의 대형마트, 식자재마트, 편의점 및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냉동만두 유형, 가격 및 브랜드를 바탕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자료 수집 후 연구자의 진행으로 10명의 식품영양 및 감각과학 석・박사, 외식경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한 후 2회의 검증을 위한 토론을 거쳐 최종적으로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의 4가지 속성과 각각의 속성 수준을 결정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개 수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개 수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개 수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개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도출된 속성과 속성 수준을 바탕으로 가상의 냉동만두 제품의 프로파일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속성과 속성 수준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 Attributes and levels of frozen mandu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Attributes level explain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A product for boiling. |
Grilled mandu | A product for grilling. | |
Steamed mandu | A product for steaming. | |
Ingredients | Meat | Main ingredient is meat. |
Kimchi | Main ingredient is kimchi. | |
Seafood | Main ingredient is seafood (e.g. shrimp). | |
Shell texture | Soft | isit store |
Chewy | Online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Purchase directly from the mart. |
Online | Order online (e.g. Coupang, e-mart mall, etc.). |
설문조사를 위한 프로파일을 구성하기 위하여 모든 속성을 고려한 완전 프로파일 설계법(full profile method)을 사용할 경우, 가능한 프로파일 수는 총 36개(3×3×2×2)이다. 그러나 모든 프로파일을 조사대상자에게 제시하여 비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직교설계(orthogonal design)를 통해 총 9개의 주 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Han 등, 2021). 이와 함께 모형의 신뢰성과 교차타당성 검정을 위해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 4개를 생성하여 총 13개의 프로파일을 디자인하였다. 설문지에는 컨조인트 디자인으로 구성된 가상의 냉동만두 프로파일에 대하여 선호도에 따라 순위를 기재하도록 하였다. 13개의 컨조인트 카드에 기재된 속성들의 세부 수준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 Information of profile cards for conjoint analysis
Card | Type of mandu | Ingredients | Shell texture | Purchasing method |
---|---|---|---|---|
1 | Boiled mandu | Kimchi | Chewy | Online |
2 | Grilled mandu | Meat | Soft | Online |
3 | Grilled mandu | Saefood | Chewy | Visit store |
4 | Grilled mandu | Kimchi | Soft | Visit store |
5 | Steamed mandu | Seafood | Soft | Online |
6 | Steam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7 | Boiled mandu | Meat | Soft | Visit store |
8 | Boiled mandu | Seafood | Soft | Visit store |
9 | Steamed mandu | Kimchi | Soft | Visit store |
101) | Boil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111) | Boiled mandu | Kimchi | Chewy | Visit store |
121) | Grill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131) | Boiled mandu | Meat | Soft | Online |
1)Verification.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7.0(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성별에 따라 χ2-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에서 기대빈도가 5 미만 셀의 경우에는 Fisher’s exact test 결과의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으로 ‘남성’은 121명(50.2%), ‘여성’은 120명(49.8%)이었다. 직업은 ‘사무직’이 42.3%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학생’이 21.6%, ‘전문직’이 18.7%, ‘기타’가 17.4%였다. 조사대상자가 직접 작성한 기타 직업은 ‘주부’, ‘프리랜서’였다. 조사대상자 75.5%의 학력은 ‘대학교 이상’이며, 남성은 ‘대학교 이상’이 66.9%, ‘대학교 재학’은 20.7%, ‘고등학교’는 12.4%이며, 여성은 ‘대학교 이상’이 84.2%, ‘고등학교’는 9.2%, ‘대학교 재학’은 6.7%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able 3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χ2-value | |
---|---|---|---|---|---|
Age | 20≤∼<30 | 40(33.1)1) | 37(30.8) | 77(32.0) | 0.137 |
30≤∼<40 | 40(33.1) | 41(34.2) | 81(33.6) | ||
40≤ | 41(33.9) | 42(35.0) | 83(34.3) | ||
Occupation | Student | 30(24.8) | 22(18.3) | 52(21.6) | 4.467 |
Office worker | 55(45.4) | 47(39.2) | 102(42.3) | ||
Professional | 19(15.7) | 26(21.7) | 45(18.7) | ||
Others | 17(14.0) | 25(20.8) | 42(17.4) | ||
Education level | High school | 15(12.4) | 11(9.2) | 26(10.8) | 11.567** |
In college | 25(20.7) | 8(6.7) | 33(13.7) | ||
University≤ | 81(66.9) | 101(84.2) | 182(75.5) | ||
Marital status | Married | 54(44.6) | 69(57.5) | 123(51.0) | 3.995* |
Single | 67(55.4) | 51(42.5) | 118(49.0) | ||
Monthly income (10,000 Won) | <200 | 6(5.0) | 12(10.0) | 18(7.5) | 3.780 |
200≤∼<300 | 22(18.2) | 26(21.7) | 48(19.9) | ||
300≤∼<400 | 25(20.7) | 27(22.5) | 52(21.6) | ||
400≤ | 68(56.2) | 55(45.8) | 123(51.0) | ||
Residence type | Housing | 89(73.6) | 102(85.0) | 191(79.3) | 8.447* |
Boarding house | 9(7.4) | 1(0.8) | 10(4.1) | ||
Self-boarding | 13(10.7) | 11(9.2) | 24(10.0) | ||
Others | 10(8.3) | 6(5.0) | 16(6.6) |
1)N (%). *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Table 4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27.8%는 ‘6개월에 1~2회’, 13.3%는 ‘1주에 2회 이상’, 6.2%는 ‘1년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섭취 이유는 ‘야식’이 32.4%, ‘오후 간식’이 28.2%로 나타나 주로 간식으로 섭취한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만두는 간식으로 적합한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Cho(2010)의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들은 만두를 주식보다는 간식으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에 냉동만두를 구매한 사람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취식상황과 목적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36.5%가 간식용이며 11.6%는 특히 술안주용으로 나타나(aTFIS, 2022b),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4 . Purchase behavior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χ2-value | |
---|---|---|---|---|---|
Purchase frequency | 2 times/week≤ | 12(9.9)1) | 20(16.7) | 32(13.3) | 2.977 |
1∼2 times/month | 64(52.9) | 63(52.5) | 127(52.7) | ||
1∼2 times/6 month | 36(29.8) | 31(25.8) | 67(27.8) | ||
1∼2 times/year | 9(7.4) | 6(5.0) | 15(6.2) | ||
Reason of intake | Breakfast | 3(2.5) | 6(5.0) | 9(3.7) | 3.525 |
Lunch | 19(15.7) | 11(9.2) | 30(12.4) | ||
Dinner | 26(21.5) | 30(25.0) | 56(23.2) | ||
Afternoon snack | 33(27.3) | 35(29.2) | 68(28.2) | ||
Late-night snack | 40(33.1) | 38(31.7) | 78(32.4) | ||
Cooking methods | Grill | 42(34.7) | 49(40.8) | 91(37.8) | 5.945 |
Steam | 44(36.4) | 43(35.8) | 87(36.1) | ||
Fry | 19(15.7) | 15(12.5) | 34(14.1) | ||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 | 9(7.4) | 12(10.0) | 21(8.7) | ||
Others | 7(5.8) | 1(0.8) | 8(3.3) | ||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 Yes | 27(22.3) | 48(40.0) | 75(31.1) | 12.165** |
No | 52(43.0) | 50(41.7) | 102(42.3) | ||
Don’t know | 42(34.7) | 22(18.3) | 64(26.6) | ||
Reason for increasing the purchase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n=75)2) | To stock up on foods | 5(18.5) | 15(31.3) | 20(26.7) | - |
Eating at home instead of eating out | 19(70.4) | 27(56.3) | 46(61.3) | ||
It’s easy to store | 5(18.5) | 18(37.5) | 23(30.7) | ||
It’s easy to cook | 8(29.6) | 19(39.6) | 27(36.0) | ||
Others | 0(0.0) | 1(2.1) | 1(1.3) |
1)N (%). 2)Multiple answer. **
구매한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은 ‘구워서 먹는다’(37.8%)와 ‘쪄서 먹는다’(36.1%)가 주로 이용하는 조리법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튀겨서 먹는다’가 14.1%, ‘라면, 국 등의 다른 음식에 넣어서 먹는다’가 8.7%, ‘기타’가 3.3%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기타의 조리방법은 에어프라이어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였다. 선행연구에서 만두 조리법은 ‘구워서 먹는다’가 40.8%, ‘쪄서 먹는다’가 29.6%로 높게 나타났는데(Cho, 2010), 본 연구 결과에서도 굽거나 찌는 조리법이 높게 나타나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서도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으로 ‘프라이팬에 굽기’ 34.5%, ‘찜기/찜솥에 찌기’가 33.9%로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COVID-19 확산 이후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42.3%는 ‘아니오’, 31.1%는 ‘예’, 26.6%는 ‘모르겠다’라고 답하였다. 성별에 따라 남성의 43.0%는 ‘아니오’, 34.7%는 ‘모르겠다’이지만 여성의 40.0%는 ‘예’, 41.7%는 ‘아니오’, 18.3%는 ‘모르겠다’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장소 및 구매하는 브랜드를 중복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72.6%는 ‘대형마트’, 39.8%는 ‘온라인 구매’, 29.5%는 ‘식재료 마트’, 14.1%는 ‘슈퍼마켓’, 5.8%는 ‘편의점’에서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KREI, 2021)에서 간편식 구매 장소는 대형 할인점이 4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만두 소매점 매출의 유통경로 조사(aTFIS, 2021)에서는 대형 할인점이 34.6%, 체인슈퍼 25.7%, 독립슈퍼 24.1%, 편의점 7.3%, 일반식품점 7.7%, 백화점 0.6%의 순으로 보고되어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Son(2021)의 연구에서 대형마트에서의 가정간편식 구매는 COVID-19 발생 이전에는 조사대상자의 46.5%, 발생 이후는 35.5%로 하락하였으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COVID-19 발생 이전은 26.8%, 발생 이후는 41.7%로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구매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조사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공식품을 주로 구매하는 장소로 선택한 이유는 ‘직접 배달해 줘서’가 28.6%, ‘가격이 저렴해서’가 19.8%로 나타났다. Han 등(2021)의 연구에서도 도시락 전문점 선택 시 ‘배달 가능’이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Heo와 Bae(2020)의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배달 앱 이용을 성인의 식품소비 방식의 변화로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전북지역 성인들의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Table 5 . Purchase place and preferred brands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
---|---|---|---|---|
Purchase place2) | Hypermarket | 90(74.4)1) | 85(70.8) | 175(72.6) |
Online | 40(33.1) | 56(46.6) | 96(39.8) | |
Food material market | 30(24.8) | 41(34.2) | 71(29.5) | |
Supermarket | 12(9.9) | 22(18.3) | 34(14.1) | |
Convenience store | 8(6.6) | 6(5.0) | 14(5.8) | |
Preferred brands2) | CJ Bibigo | 110(90.9) | 103(85.8) | 213(88.4) |
Pulmuone | 27(22.3) | 54(45.0) | 81(33.6) | |
Ottogi | 20(16.5) | 17(14.2) | 37(15.4) | |
Chungjungone | 11(9.1) | 18(15.0) | 29(12.0) | |
Dongwon | 9(7.4) | 13(10.8) | 22(9.1) | |
Others | 26(21.5) | 20(16.7) | 46(19.1) |
1)N (%). 2)Multiple answer.
구매하는 브랜드는 조사대상자의 88.4%가 ‘CJ 비비고’, 33.6%는 ‘풀무원’, 15.4%는 ‘오뚜기’ 등이며, 기타 브랜드는 해태, 백설, 삼양 및 노브랜드 등으로 나타났다. 2022년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aTFIS, 2022a)에 따르면 ‘CJ’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그다음은 ‘풀무원’, ‘해태’, ‘동원 F&B’, ‘오뚜기’의 순이었다. 냉동만두 시장은 현재 국내업체뿐만 아니라 베트남과 중국 등에서 딤섬, 중국식 만두가 수입되고 있어 향후 소비자들의 냉동만두 구매 브랜드는 보다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동기는 Table 6과 같다. 냉동만두 구매동기의 총평균은 5점 기준 3.49점, 성별에 따른 평균 점수는 남성이 3.42점, 여성은 3.55점으로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Table 6 . Purchase motivation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
---|---|---|---|---|
Convenience of cooking | 3.99±0.801) | 4.08±0.81 | 4.04±0.802) | −0.885 |
Good taste | 3.99±0.73 | 4.02±0.87 | 4.00±0.80 | −0.242 |
For snacks | 3.87±0.90 | 4.11±0.86 | 3.99±0.89 | −2.120* |
Convenience of storage | 3.90±0.94 | 4.03±0.80 | 3.97±0.87 | −1.183 |
A high preference of mandu | 3.64±0.98 | 3.84±1.00 | 3.74±0.99 | −1.617 |
Adequate price | 3.17±0.96 | 3.22±0.90 | 3.19±0.93 | −0.428 |
For a meal | 2.96±1.07 | 3.10±1.13 | 3.03±1.10 | −1.000 |
Rich nutrition | 2.77±0.86 | 2.78±0.89 | 2.77±0.88 | −0.057 |
Influence of the media | 2.51±1.03 | 2.91±1.07 | 2.66±1.06 | −2.190* |
Mean±SD | 3.42±0.50 | 3.55±0.49 | 3.49±0.50 | −2.080* |
1)Mean±SD. 2)Likert scale: 5 (very much)∼1 (never). *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 추정: 전북지역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시 고려되는 속성의 각 수준의 부분 가치를 추정하여 4가지 속성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 . Optimal combination of frozen mandu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Utility | Relative importance (%) | Utility×Relative importance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0.721 | 39.731 | −28.646 |
Grilled mandu | 0.822 | 32.659 | ||
Steamed mandu | −0.101 | −4.013 | ||
Ingredients | Meat | 1.019 | 35.162 | 35.830 |
Kimchi | −0.267 | −9.388 | ||
Seafood | −0.752 | −26.442 | ||
Shell texture | Soft | −0.257 | 11.965 | −3.075 |
Chewy | 0.257 | 3.075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0.185 | 13.142 | −2.431 |
Online | 0.185 | 2.431 | ||
Model fit | Pearson’s R=0.999 ( | |||
Total utility of ideal combination | Grilled mandu (32.659)+Meat (35.830)+Chewy (3.075)+Online (2.431)=73.995 | |||
Results of choice simulation | Optimizes model: Max utility=73.2%, BTL=62.7%, Logit=73.0% | |||
Model for sales: Max utility=26.8%, BTL=37.3%, Logit=27.0% |
컨조인트 모형의 적합성 분석 결과, 관측된 선호도와 추정된 선호도 간의 상관계수인 Pearson의 R값은 0.999(
속성들의 부분 가치 추정 결과, 제시된 속성 수준에서 ‘만두 종류’는 ‘물만두’(-0.721), ‘군만두’(0.822), ‘찐만두’ (-0.101)로 군만두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물만두의 부분 가치가 가장 낮았다. ‘만두 속재료’는 ‘고기’(1.019), ‘김치’(-0.267), ‘해산물’(-0.752)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0.257)보다는 ‘쫄깃함’(0.257)을 더 선호하고,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185)를 ‘직접 마트에서 구매’(-0.185)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들은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왕만두의 순으로 선호하는 만두 종류가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선호하는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채소, 해물의 순으로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Han 등(2021)과 Kim 등(2020)의 도시락 메뉴 보고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들은 육류 메뉴를 가장 선호하며, 그다음은 생선・해물류, 가금류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높은 육류의 선호도를 보였는데, 본 조사에도 속재료가 고기인 만두의 선호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Cho(2010)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만두피 속성에 대한 만족도는 ‘쫄깃함’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은 ‘두께가 얇을수록’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만두피와 관련하여 Kang과 Han(2015), Park 등(2021)에 따르면 냉동만두 제조 시 쫄깃한 만두피가 대중적으로 선호되기 때문에 밀단백질인 글루텐의 점탄성을 이용한 강력분만을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소량 첨가하여 품질개선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등, 2011; Mun 등, 2020; Park, 2015, 2018). 특히, Seo와 Kim(2019)은 밀가루를 이용한 만두피가 조리 후에 빠른 시간 내에 굳어져 식감 및 기호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타피오카 전분 또는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보다 점성이 높고 쫄깃한 식감을 가진 만두피 제조를 시도하였다. 실제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14)에 따르면 만두피에 찹쌀이나 쌀, 메밀가루 등을 첨가한 만두가 출시되고 있으며, 기존의 밀가루 만두피보다 감자 만두피가 식감이 쫄깃하여 시장의 반응이 좋다고 보고하여 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쫄깃한 만두피의 선호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최적 속성 조합 및 시장점유율: 각 속성과 속성 수준의 부분 가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을 도출한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속성 수준별 중요도에 따라 그 효용치가 달라지므로 부분 가치를 상호비교하기 위하여 속성별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곱하여 효용결합 측정을 하였다. 결합측정을 바탕으로 전체 조사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속성의 결합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73.995의 효용결합값을 나타냈다.
시장점유율 분석을 위하여 choice simulation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장점유율 예측에 사용되는 최대효용모형(maximum utility model), BTL 모형(Bradly-Terry Luce model), Logit 모형(Logi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Kim 등, 2017; Lee 등, 2016).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으로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73.2%, BTL 모형 62.7%, Logit 모형 73.0%였다. 현재 판매되는 경쟁사의 냉동만두 속성은 ‘찐만두’, ‘김치’, ‘부드러움’,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26.8%, BTL 모형 37.3%, Logit 모형 27.0%로 나타났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속성인 ‘만두 종류’를 바탕으로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 모형과 현재 판매되는 제품의 냉동만두를 구분하면 성인을 위한 최적의 냉동만두 모형은 ‘군만두’이며, 현재 판매되는 냉동만두 모형은 ‘찐만두’이다. 예측된 시장점유율 모형 중 BTL 모형을 바탕으로 ‘군만두’ 냉동만두 모형은 62.7%, ‘찐만두’는 37.3%로 조사대상자들은 ‘군만두’에 대한 요구도가 더 높았다.
냉동만두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군집분석: 컨조인트 분석 결과 도출된 냉동만두 속성의 효용값을 시장 세분화 변수로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장세분화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시장세분화를 위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에는 133명(55.2%), 군집 2에는 108명(44.8%)이었다. 군집 1의 속성별 부분 가치를 비교하면 ‘만두 종류’는 ‘군만두’(2.05),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0.53),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4),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36)를 선호하였다. 군집 2에서 ‘만두 종류’는 ‘찐만두’(0.91),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8),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0.03)를 선호하였으며,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1.63)를 강하게 요구하였다.
Table 8 . Utilities of frozen mandu by cluster analysis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1.131) | −0.22 |
Grilled mandu | 2.05 | −0.69 | |
Steamed mandu | −0.92 | 0.91 | |
Ingredients | Meat | 0.53 | 1.63 |
Kimchi | −0.01 | −0.59 | |
Seafood | −0.52 | −1.04 | |
Shell texture | Soft | −0.24 | −0.28 |
Chewy | 0.24 | 0.28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0.36 | 0.03 |
Online | 0.36 | −0.03 |
1)Utility.
군집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9에 제시하였다. 군집별 비교 결과, 성별, 연령대, 직업, 학력, 결혼 여부 및 월 평균소득은 군집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주형태는 군집 1이 ‘자택’ 72.2%, ‘자취’ 12.0%, ‘하숙’ 6.0%, ‘기타’ 9.8%이며, 군집 2는 ‘자택’ 88.0%, ‘자취’ 7.4%, ‘하숙’ 1.9%, ‘기타’ 2.8%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able 9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Total (n=241) | χ2-value | |
---|---|---|---|---|---|
Sex | Male | 68(51.1)1) | 53(49.1) | 121(50.2) | 0.101 |
Female | 65(48.9) | 55(50.9) | 120(49.8) | ||
Age | 20≤∼<30 | 40(30.1) | 37(34.3) | 77(32.0) | 0.592 |
30≤∼<40 | 47(35.3) | 34(31.5) | 81(33.6) | ||
40≤ | 46(34.6) | 37(34.3) | 83(34.3) | ||
Occupation | Student | 27(20.3) | 25(23.1) | 52(21.6) | 1.229 |
Office worker | 60(45.1) | 42(38.9) | 102(42.3) | ||
Professional | 25(18.8) | 20(18.5) | 45(18.7) | ||
Others | 21(15.8) | 21(19.4) | 42(17.4) | ||
Education level | High school | 15(11.3) | 11(10.2) | 26(10.8) | 0.188 |
In college | 19(14.3) | 14(13.0) | 33(13.7) | ||
University≤ | 99(74.4) | 83(76.9) | 182(75.5) | ||
Marital status | Married | 62(46.6) | 61(56.5) | 123(51.0) | 2.321 |
Single | 71(53.4) | 44(43.5) | 118(49.0) | ||
Monthly income (10,000 Won) | <200 | 12(9.0) | 6(5.6) | 18(7.5) | 3.733 |
200≤∼<300 | 31(23.3) | 17(15.7) | 48(19.9) | ||
300≤∼<400 | 26(19.5) | 26(24.1) | 52(21.6) | ||
400≤ | 64(48.1) | 59(54.6) | 123(51.0) | ||
Residence type | Housing | 96(72.2) | 95(88.0) | 191(79.3) | 10.037* |
Boarding house | 8(6.0) | 2(1.9) | 10(4.1) | ||
Self-boarding | 16(12.0) | 8(7.4) | 24(10.0) | ||
Others | 13(9.8) | 3(2.8) | 16(6.6) |
1)N (%). *
Table 10은 군집별 냉동만두 구매 행동을 비교한 결과이다. 냉동만두의 구매빈도는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1주일에 2회 이상’이 군집 1은 14.3%, 군집 2는 12.0%이며, ‘한 달에 1~2회’는 군집 1이 51.9%, 군집 2는 53.7%로 군집 1이 구매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리방법은 군집 1의 경우 ‘구워서 먹는다’가 46.6%, ‘튀겨서 먹는다’가 17.3%이며, 군집 2는 ‘쪄서 먹는다’가 50.9%로 높게 나타나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able 10 . Purchase frequency and cooking method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Total (n=241) | χ2-value | |
---|---|---|---|---|---|
Purchase frequency | 2 times/week≤ | 19(14.3)1) | 13(12.0) | 32(13.3) | 1.299 |
1∼2 times/month | 69(51.9) | 58(53.7) | 127(52.7) | ||
1∼2 times/ 6 month | 35(14.5) | 32(29.6) | 67(27.8) | ||
1∼2 times/year | 10(7.5) | 5(4.6) | 15(6.2) | ||
Reason of intake | Breakfast | 4(3.0) | 5(4.6) | 9(3.7) | 1.696 |
Lunch | 15(11.3) | 15(13.9) | 30(12.4) | ||
Dinner | 31(23.2) | 25(23.1) | 56(23.2) | ||
Afternoon snack | 36(27.1) | 32(29.6) | 68(28.2) | ||
Late-night snack | 47(35.3) | 31(28.7) | 78(32.4) | ||
Cooking methods | Grill | 62(46.6) | 29(26.9) | 91(37.8) | 21.973*** |
Steam | 32(24.1) | 55(50.9) | 87(36.1) | ||
Fry | 23(17.3) | 11(10.2) | 34(14.1) | ||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 | 10(7.5) | 11(10.2) | 21(8.7) | ||
Others | 6(4.5) | 2(1.9) | 8(3.3) | ||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 Yes | 35(26.3) | 40(37.0) | 75(31.1) | 7.170* |
No | 54(40.6) | 48(44.4) | 102(42.3) | ||
Don’t know | 44(33.1) | 20(18.5) | 64(26.6) |
1)N (%). *
학생은 군만두의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혼자의 비율이 높은 Cluster 1에서는 구워 먹거나 튀겨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으며, 기혼자와 자택거주가 높은 Cluster 2에서는 쪄서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어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군집결과를 볼 때 군집 1은 미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취와 하숙 및 회사 사택 거주자가 많았으며, 기름을 첨가하여 냉동만두를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을 선호하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빈도가 특별히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군집 2는 기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택 거주자가 군집 1보다 많으며, 조리방법은 쪄서 먹는 방법을 선호하였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등(2013)은 컨조인트 분석의 결과가 전체시장 수준이 아닌 소비자 개인의 선호도를 측정하므로 예측타당성이 높으며,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자료를 적절하고 의미 있게 제공한다고 하였다. 또한, Han 등(2021)은 중요도가 높은 속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면서 군집별 선호하는 속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거주 형태, 결혼 여부 및 구매동기 등을 고려하여 냉동만두의 종류와 조리법 등의 차별화된 냉동만두 제품을 출시한다면 소비자들이 보다 만족하는 냉동만두 제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7월까지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 및 냉동만두 선택 속성 및 수준을 조사하고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냉동만두 속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32.4%는 ‘야식’으로 섭취하며, 굽거나(37.8%) 쪄서 먹는 조리법(36.1%)을 선호하였다. COVID-19 기간 남성보다 여성이 냉동만두의 구매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구매처는 ‘대형마트’(72.6%)와 ‘온라인’(39.8%)을 통해서 구매하였다. 냉동만두를 구매하는 가장 큰 구매동기는 ‘조리가 편리해서’이며, ‘간식 대용으로’와 ‘대중매체 영향으로’가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구매동기로 나타났다. FGI 결과,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가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가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가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가지로 구성하였다.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구매 방법’, ‘만두피의 식감’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 속성의 수준에 대한 효용값 분석 결과, ‘만두 종류’는 ‘군만두’, ‘찐만두’, ‘물만두’의 순으로 선호하고,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산물’의 순으로 육류의 만두소를 선호하며,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를,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을 더 선호하였다. 각 속성과 속성 수준들의 효용값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상의 냉동만두 수준을 도출한 결과,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냉동만두 선호예측점수는 73.995점이며,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62.7%이었다.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시장세분화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55.2%가 해당하였다. 군집 2는 ‘찐만두’, ‘고기’, ‘쫄깃함’,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44.8%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결과, 조사 대상 성인들의 거주 형태 및 조리법 등의 특성들이 냉동만두 선택 속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은 만두 속재료가 고기고 만두피가 쫄깃한 군만두와 찐만두를 선호하고 있으며, 마트에서 직접 구매하지만 온라인 구매가 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속성의 중요도 및 시장세분화 결과는 향후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만두의 종류와 속재료 등을 고려한 냉동만두 제품의 개발 및 판매방식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북지역 일부 성인의 선택 동기 및 선호 브랜드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으므로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3): 297-307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3.29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공다은1․최선아2․노정옥3
1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2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과
3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Da Eun Gong1 , Sun A Choi2 , and Jeong Ok Rho3
1Major of Nutritio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and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eong Ok R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 Jeonbuk 54896, Korea, E-mail: jorho@jb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nalyzed the comparative merits of a selection of frozen mandu (Korean dumplings) as determined by adults in the Jeonbuk area and suggests an ideal type of frozen mandu that would appeal to adults as determined by conjoint analysis. Two hundred forty-o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to July 2022 to adults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a frozen mandu in a hypermarket or online. The order of importance of frozen mandu attributes was type (39.73%), ingredients (35.16%), purchasing method (13.14%), and shell texture (11.97%). The ideal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attributes was purchase online and grilled mandu with meat and a chewy texture. The most preferred frozen mandu for adults showed an incremental 62.7% potential market share by choice simulation versus the frozen mandu being currently sold. Using the attributes utility, the adult frozen mandu market was divided into two clusters. Adults in cluster 1 preferred grilled mandu and online purchase, while those in cluster 2 preferred steamed mandu and store purc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a database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rozen mandu products and the constru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adults.
Keywords: adult, frozen foods, behavior, marketing
우리나라의 만두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타나며 조선시대에서는 왕조의 의궤 음식으로 왕이 어만두를 먹었다는 기록과 조리법이 소개되어 있다(Kim 등, 1999; Oh, 2014; Oh, 2016). 역사적으로 귀한 요리였던 만두는 근대에 와서는 주로 겨울철이나 명절 등 특별한 날에 가정에서 빚어 먹는 음식으로 변화하였다(Kim과 Kim, 2013). 더욱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냉동식품 시장의 확대는 만두의 대중화에 기여하였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냉동만두 제품의 다양화, 고급화, 차별화가 진행되면서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보고된다(aTFIS, 2014, 2022a). 만두는 재료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제품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식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Nam과 Yoo, 2022), 만두소의 재료, 빚은 모양 및 조리방법에 따라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구운 만두, 편수 등의 다양한 제품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aTFIS, 2014). 최근 우리나라의 드라마와 팝 등의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K-푸드에 관한 관심도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등, 2023). Korea Customs Service(2021)의 보도에 따르면 COVID-19에도 한국식품의 수출은 한류 인기와 함께 가정간편식에서 전통 식품까지 지속해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냉동만두는 대표적인 K-푸드로 냉동만두 수출액은 2020년 5,089만 달러에서 2021년 6,371만 달러로 25.2%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aTFIS, 2022b), CJ 제일제당은 국내 식품업체 최초로 2020년 단일품목 매출 1조 원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Roh 등, 2021).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 따르면 국내 냉동만두의 시장 규모는 2019년 4,814억 원, 2020년 5,128억 원으로 증가하였으나 2021년에는 4,770억 원으로 감소하였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COVID-19의 영향으로 가정에서의 식사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식과 관련된 간편식의 구매가 증가하였으며(Kim 등, 2023; Lee, 2021; Lee와 Kim, 2021), 이는 2020년 냉동만두의 수요 증가로 나타났다. 그러나 COVID-19 장기화로 인해 냉동만두를 대체하는 다양한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과 밀키트가 출시되면서 2021년 냉동만두의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aTFIS, 2022b). 또 다른 원인분석으로는 식품업체들의 경쟁으로 냉동만두의 품질은 향상되었으나 만두의 종류와 품목이 유사해진 것이 냉동만두 시장의 성장을 둔화시킨 것으로 보고되었다(Jeon, 2022). 따라서 국내 냉동만두 시장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세분화된 기호를 고려한 다양한 제품 개발을 통한 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겠다(Kim, 20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95.4%가 만두/피자/떡볶이/면류의 간편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고 94.6%가 구매 의사가 있으며, 제품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구매가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 소비자의 만두 선택 속성 관련 연구(Chang과 Hwang, 2006; Kim 등, 2009)에서는 맛, 위생적 품질, 영양가, 가격, 제조사의 브랜드, 광고 등의 요인이 만두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냉동만두 시장의 확대와 함께 만두 관련 연구도 증가하였으며, 만두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속성(Cho, 2010), 우렁이 만두 제품의 마켓 테스트(Chang과 Hwang, 2006), 만두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만두 유형별 이용행동(Kim 등, 2009), 만두의 조리 방법별 중심부 온도 연구(Kim과 Kim, 2013), 냉동만두 패키지의 브랜드이미지 연구(Meang과 Park, 2012)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소비자의 만두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로 냉동만두 업체에서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에 활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속성의 효용분석을 통하여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제시해 주는 컨조인트 분석법(Green과 Srinivasan, 1990)을 이용하고자 한다. 컨조인트 분석법은 제품의 속성 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고, 각 속성 수준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시장점유율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식품개발과 외식산업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Choi 등, 2022a; Choi 등, 2022b; Han 등, 2021; Lee, 2019; Lee 등, 2019; You와 Lee, 2018). 그러나 만두 관련 컨조인트 연구는 조리 전공자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산천어 만두 제품 연구가 있을 뿐이다(Lee 등, 2013). Kim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20대 이상의 성인들이 자주 먹는 만두의 유형은 즉석만두보다 냉동만두를 자주 먹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구매 실태와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 수준의 효용도를 예측하여 이상적인 냉동만두 속성의 조합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 선택 속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냉동만두 구매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하여 컨조인트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예비조사는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승인 번호: JBNU 2022-05-06-008) 승인 이후 남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실시하였으며, 이후 설문지를 수정하였다. 대상자는 전주시, 군산시, 익산에 거주하는 성인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22년 6~7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장소는 대학교, 종교시설, 문화센터 및 지역 공공기관 등을 방문하여 해당기관의 점심시간과 휴게시간을 이용하였다. 조사시작 전 조사목적을 설명하고 의사가 있는 경우에만 조사에 참여하도록 안내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여 전부 회수되었다. 그러나 컨조인트 분석을 위하여 가상의 프로파일과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의 Kendal tau 값을 분석한 결과, 9개의 자료에서 전체 경향과 상이한 컨조인트 답변이 나타나 이를 제외한 241부(96.4%)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4개 부분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냉동만두 구매동기 및 냉동만두 구매 실태, 냉동만두 선택 속성과 수준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수준, 결혼 여부, 월수입, 주거형태의 총 7문항이며, 연령은 직접 기록하도록 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 및 구매 실태 항목은 Cho(2010), Kim 등(2009), Lee 등(2013)의 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개발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는 ‘식사 대용’, ‘간식 대용’, ‘맛이 있어서’, ‘영양이 풍부해서’ 등 총 9문항이며 Likert 척도로 이용 동기(5점 ‘매우 그렇다’~1점 ‘전혀 그렇지 않다’)를 조사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의 Cronbach’s α 계수는 0.698로 나타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냉동만두의 구매 행동은 구매빈도, 섭취 이유, 냉동만두 조리 방법,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 및 증가 이유, 구매 장소 및 구매 브랜드 등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 증가 이유, 구매 장소, 구매 브랜드는 중복응답으로 조사하였으며, 구매빈도 증가 이유는 COVID-19 기간 구매빈도가 증가한 경우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관련 선행연구(Cho, 2010; Kim 등, 2009; Lee 등, 2013)와 전북지역의 대형마트, 식자재마트, 편의점 및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냉동만두 유형, 가격 및 브랜드를 바탕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자료 수집 후 연구자의 진행으로 10명의 식품영양 및 감각과학 석・박사, 외식경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한 후 2회의 검증을 위한 토론을 거쳐 최종적으로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의 4가지 속성과 각각의 속성 수준을 결정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개 수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개 수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개 수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개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도출된 속성과 속성 수준을 바탕으로 가상의 냉동만두 제품의 프로파일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속성과 속성 수준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 Attributes and levels of frozen mandu.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Attributes level explain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A product for boiling. |
Grilled mandu | A product for grilling. | |
Steamed mandu | A product for steaming. | |
Ingredients | Meat | Main ingredient is meat. |
Kimchi | Main ingredient is kimchi. | |
Seafood | Main ingredient is seafood (e.g. shrimp). | |
Shell texture | Soft | isit store |
Chewy | Online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Purchase directly from the mart. |
Online | Order online (e.g. Coupang, e-mart mall, etc.). |
설문조사를 위한 프로파일을 구성하기 위하여 모든 속성을 고려한 완전 프로파일 설계법(full profile method)을 사용할 경우, 가능한 프로파일 수는 총 36개(3×3×2×2)이다. 그러나 모든 프로파일을 조사대상자에게 제시하여 비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직교설계(orthogonal design)를 통해 총 9개의 주 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Han 등, 2021). 이와 함께 모형의 신뢰성과 교차타당성 검정을 위해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 4개를 생성하여 총 13개의 프로파일을 디자인하였다. 설문지에는 컨조인트 디자인으로 구성된 가상의 냉동만두 프로파일에 대하여 선호도에 따라 순위를 기재하도록 하였다. 13개의 컨조인트 카드에 기재된 속성들의 세부 수준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 Information of profile cards for conjoint analysis.
Card | Type of mandu | Ingredients | Shell texture | Purchasing method |
---|---|---|---|---|
1 | Boiled mandu | Kimchi | Chewy | Online |
2 | Grilled mandu | Meat | Soft | Online |
3 | Grilled mandu | Saefood | Chewy | Visit store |
4 | Grilled mandu | Kimchi | Soft | Visit store |
5 | Steamed mandu | Seafood | Soft | Online |
6 | Steam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7 | Boiled mandu | Meat | Soft | Visit store |
8 | Boiled mandu | Seafood | Soft | Visit store |
9 | Steamed mandu | Kimchi | Soft | Visit store |
101) | Boil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111) | Boiled mandu | Kimchi | Chewy | Visit store |
121) | Grill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131) | Boiled mandu | Meat | Soft | Online |
1)Verification..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7.0(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성별에 따라 χ2-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에서 기대빈도가 5 미만 셀의 경우에는 Fisher’s exact test 결과의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으로 ‘남성’은 121명(50.2%), ‘여성’은 120명(49.8%)이었다. 직업은 ‘사무직’이 42.3%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학생’이 21.6%, ‘전문직’이 18.7%, ‘기타’가 17.4%였다. 조사대상자가 직접 작성한 기타 직업은 ‘주부’, ‘프리랜서’였다. 조사대상자 75.5%의 학력은 ‘대학교 이상’이며, 남성은 ‘대학교 이상’이 66.9%, ‘대학교 재학’은 20.7%, ‘고등학교’는 12.4%이며, 여성은 ‘대학교 이상’이 84.2%, ‘고등학교’는 9.2%, ‘대학교 재학’은 6.7%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able 3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χ2-value | |
---|---|---|---|---|---|
Age | 20≤∼<30 | 40(33.1)1) | 37(30.8) | 77(32.0) | 0.137 |
30≤∼<40 | 40(33.1) | 41(34.2) | 81(33.6) | ||
40≤ | 41(33.9) | 42(35.0) | 83(34.3) | ||
Occupation | Student | 30(24.8) | 22(18.3) | 52(21.6) | 4.467 |
Office worker | 55(45.4) | 47(39.2) | 102(42.3) | ||
Professional | 19(15.7) | 26(21.7) | 45(18.7) | ||
Others | 17(14.0) | 25(20.8) | 42(17.4) | ||
Education level | High school | 15(12.4) | 11(9.2) | 26(10.8) | 11.567** |
In college | 25(20.7) | 8(6.7) | 33(13.7) | ||
University≤ | 81(66.9) | 101(84.2) | 182(75.5) | ||
Marital status | Married | 54(44.6) | 69(57.5) | 123(51.0) | 3.995* |
Single | 67(55.4) | 51(42.5) | 118(49.0) | ||
Monthly income (10,000 Won) | <200 | 6(5.0) | 12(10.0) | 18(7.5) | 3.780 |
200≤∼<300 | 22(18.2) | 26(21.7) | 48(19.9) | ||
300≤∼<400 | 25(20.7) | 27(22.5) | 52(21.6) | ||
400≤ | 68(56.2) | 55(45.8) | 123(51.0) | ||
Residence type | Housing | 89(73.6) | 102(85.0) | 191(79.3) | 8.447* |
Boarding house | 9(7.4) | 1(0.8) | 10(4.1) | ||
Self-boarding | 13(10.7) | 11(9.2) | 24(10.0) | ||
Others | 10(8.3) | 6(5.0) | 16(6.6) |
1)N (%). *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Table 4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27.8%는 ‘6개월에 1~2회’, 13.3%는 ‘1주에 2회 이상’, 6.2%는 ‘1년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섭취 이유는 ‘야식’이 32.4%, ‘오후 간식’이 28.2%로 나타나 주로 간식으로 섭취한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만두는 간식으로 적합한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Cho(2010)의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들은 만두를 주식보다는 간식으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에 냉동만두를 구매한 사람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취식상황과 목적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36.5%가 간식용이며 11.6%는 특히 술안주용으로 나타나(aTFIS, 2022b),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4 . Purchase behavior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χ2-value | |
---|---|---|---|---|---|
Purchase frequency | 2 times/week≤ | 12(9.9)1) | 20(16.7) | 32(13.3) | 2.977 |
1∼2 times/month | 64(52.9) | 63(52.5) | 127(52.7) | ||
1∼2 times/6 month | 36(29.8) | 31(25.8) | 67(27.8) | ||
1∼2 times/year | 9(7.4) | 6(5.0) | 15(6.2) | ||
Reason of intake | Breakfast | 3(2.5) | 6(5.0) | 9(3.7) | 3.525 |
Lunch | 19(15.7) | 11(9.2) | 30(12.4) | ||
Dinner | 26(21.5) | 30(25.0) | 56(23.2) | ||
Afternoon snack | 33(27.3) | 35(29.2) | 68(28.2) | ||
Late-night snack | 40(33.1) | 38(31.7) | 78(32.4) | ||
Cooking methods | Grill | 42(34.7) | 49(40.8) | 91(37.8) | 5.945 |
Steam | 44(36.4) | 43(35.8) | 87(36.1) | ||
Fry | 19(15.7) | 15(12.5) | 34(14.1) | ||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 | 9(7.4) | 12(10.0) | 21(8.7) | ||
Others | 7(5.8) | 1(0.8) | 8(3.3) | ||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 Yes | 27(22.3) | 48(40.0) | 75(31.1) | 12.165** |
No | 52(43.0) | 50(41.7) | 102(42.3) | ||
Don’t know | 42(34.7) | 22(18.3) | 64(26.6) | ||
Reason for increasing the purchase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n=75)2) | To stock up on foods | 5(18.5) | 15(31.3) | 20(26.7) | - |
Eating at home instead of eating out | 19(70.4) | 27(56.3) | 46(61.3) | ||
It’s easy to store | 5(18.5) | 18(37.5) | 23(30.7) | ||
It’s easy to cook | 8(29.6) | 19(39.6) | 27(36.0) | ||
Others | 0(0.0) | 1(2.1) | 1(1.3) |
1)N (%). 2)Multiple answer. **
구매한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은 ‘구워서 먹는다’(37.8%)와 ‘쪄서 먹는다’(36.1%)가 주로 이용하는 조리법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튀겨서 먹는다’가 14.1%, ‘라면, 국 등의 다른 음식에 넣어서 먹는다’가 8.7%, ‘기타’가 3.3%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기타의 조리방법은 에어프라이어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였다. 선행연구에서 만두 조리법은 ‘구워서 먹는다’가 40.8%, ‘쪄서 먹는다’가 29.6%로 높게 나타났는데(Cho, 2010), 본 연구 결과에서도 굽거나 찌는 조리법이 높게 나타나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서도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으로 ‘프라이팬에 굽기’ 34.5%, ‘찜기/찜솥에 찌기’가 33.9%로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COVID-19 확산 이후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42.3%는 ‘아니오’, 31.1%는 ‘예’, 26.6%는 ‘모르겠다’라고 답하였다. 성별에 따라 남성의 43.0%는 ‘아니오’, 34.7%는 ‘모르겠다’이지만 여성의 40.0%는 ‘예’, 41.7%는 ‘아니오’, 18.3%는 ‘모르겠다’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장소 및 구매하는 브랜드를 중복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72.6%는 ‘대형마트’, 39.8%는 ‘온라인 구매’, 29.5%는 ‘식재료 마트’, 14.1%는 ‘슈퍼마켓’, 5.8%는 ‘편의점’에서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KREI, 2021)에서 간편식 구매 장소는 대형 할인점이 4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만두 소매점 매출의 유통경로 조사(aTFIS, 2021)에서는 대형 할인점이 34.6%, 체인슈퍼 25.7%, 독립슈퍼 24.1%, 편의점 7.3%, 일반식품점 7.7%, 백화점 0.6%의 순으로 보고되어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Son(2021)의 연구에서 대형마트에서의 가정간편식 구매는 COVID-19 발생 이전에는 조사대상자의 46.5%, 발생 이후는 35.5%로 하락하였으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COVID-19 발생 이전은 26.8%, 발생 이후는 41.7%로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구매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조사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공식품을 주로 구매하는 장소로 선택한 이유는 ‘직접 배달해 줘서’가 28.6%, ‘가격이 저렴해서’가 19.8%로 나타났다. Han 등(2021)의 연구에서도 도시락 전문점 선택 시 ‘배달 가능’이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Heo와 Bae(2020)의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배달 앱 이용을 성인의 식품소비 방식의 변화로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전북지역 성인들의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Table 5 . Purchase place and preferred brands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
---|---|---|---|---|
Purchase place2) | Hypermarket | 90(74.4)1) | 85(70.8) | 175(72.6) |
Online | 40(33.1) | 56(46.6) | 96(39.8) | |
Food material market | 30(24.8) | 41(34.2) | 71(29.5) | |
Supermarket | 12(9.9) | 22(18.3) | 34(14.1) | |
Convenience store | 8(6.6) | 6(5.0) | 14(5.8) | |
Preferred brands2) | CJ Bibigo | 110(90.9) | 103(85.8) | 213(88.4) |
Pulmuone | 27(22.3) | 54(45.0) | 81(33.6) | |
Ottogi | 20(16.5) | 17(14.2) | 37(15.4) | |
Chungjungone | 11(9.1) | 18(15.0) | 29(12.0) | |
Dongwon | 9(7.4) | 13(10.8) | 22(9.1) | |
Others | 26(21.5) | 20(16.7) | 46(19.1) |
1)N (%). 2)Multiple answer..
구매하는 브랜드는 조사대상자의 88.4%가 ‘CJ 비비고’, 33.6%는 ‘풀무원’, 15.4%는 ‘오뚜기’ 등이며, 기타 브랜드는 해태, 백설, 삼양 및 노브랜드 등으로 나타났다. 2022년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aTFIS, 2022a)에 따르면 ‘CJ’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그다음은 ‘풀무원’, ‘해태’, ‘동원 F&B’, ‘오뚜기’의 순이었다. 냉동만두 시장은 현재 국내업체뿐만 아니라 베트남과 중국 등에서 딤섬, 중국식 만두가 수입되고 있어 향후 소비자들의 냉동만두 구매 브랜드는 보다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동기는 Table 6과 같다. 냉동만두 구매동기의 총평균은 5점 기준 3.49점, 성별에 따른 평균 점수는 남성이 3.42점, 여성은 3.55점으로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Table 6 . Purchase motivation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
---|---|---|---|---|
Convenience of cooking | 3.99±0.801) | 4.08±0.81 | 4.04±0.802) | −0.885 |
Good taste | 3.99±0.73 | 4.02±0.87 | 4.00±0.80 | −0.242 |
For snacks | 3.87±0.90 | 4.11±0.86 | 3.99±0.89 | −2.120* |
Convenience of storage | 3.90±0.94 | 4.03±0.80 | 3.97±0.87 | −1.183 |
A high preference of mandu | 3.64±0.98 | 3.84±1.00 | 3.74±0.99 | −1.617 |
Adequate price | 3.17±0.96 | 3.22±0.90 | 3.19±0.93 | −0.428 |
For a meal | 2.96±1.07 | 3.10±1.13 | 3.03±1.10 | −1.000 |
Rich nutrition | 2.77±0.86 | 2.78±0.89 | 2.77±0.88 | −0.057 |
Influence of the media | 2.51±1.03 | 2.91±1.07 | 2.66±1.06 | −2.190* |
Mean±SD | 3.42±0.50 | 3.55±0.49 | 3.49±0.50 | −2.080* |
1)Mean±SD. 2)Likert scale: 5 (very much)∼1 (never). *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 추정: 전북지역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시 고려되는 속성의 각 수준의 부분 가치를 추정하여 4가지 속성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 . Optimal combination of frozen mandu.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Utility | Relative importance (%) | Utility×Relative importance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0.721 | 39.731 | −28.646 |
Grilled mandu | 0.822 | 32.659 | ||
Steamed mandu | −0.101 | −4.013 | ||
Ingredients | Meat | 1.019 | 35.162 | 35.830 |
Kimchi | −0.267 | −9.388 | ||
Seafood | −0.752 | −26.442 | ||
Shell texture | Soft | −0.257 | 11.965 | −3.075 |
Chewy | 0.257 | 3.075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0.185 | 13.142 | −2.431 |
Online | 0.185 | 2.431 | ||
Model fit | Pearson’s R=0.999 ( | |||
Total utility of ideal combination | Grilled mandu (32.659)+Meat (35.830)+Chewy (3.075)+Online (2.431)=73.995 | |||
Results of choice simulation | Optimizes model: Max utility=73.2%, BTL=62.7%, Logit=73.0% | |||
Model for sales: Max utility=26.8%, BTL=37.3%, Logit=27.0% |
컨조인트 모형의 적합성 분석 결과, 관측된 선호도와 추정된 선호도 간의 상관계수인 Pearson의 R값은 0.999(
속성들의 부분 가치 추정 결과, 제시된 속성 수준에서 ‘만두 종류’는 ‘물만두’(-0.721), ‘군만두’(0.822), ‘찐만두’ (-0.101)로 군만두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물만두의 부분 가치가 가장 낮았다. ‘만두 속재료’는 ‘고기’(1.019), ‘김치’(-0.267), ‘해산물’(-0.752)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0.257)보다는 ‘쫄깃함’(0.257)을 더 선호하고,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185)를 ‘직접 마트에서 구매’(-0.185)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들은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왕만두의 순으로 선호하는 만두 종류가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선호하는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채소, 해물의 순으로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Han 등(2021)과 Kim 등(2020)의 도시락 메뉴 보고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들은 육류 메뉴를 가장 선호하며, 그다음은 생선・해물류, 가금류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높은 육류의 선호도를 보였는데, 본 조사에도 속재료가 고기인 만두의 선호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Cho(2010)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만두피 속성에 대한 만족도는 ‘쫄깃함’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은 ‘두께가 얇을수록’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만두피와 관련하여 Kang과 Han(2015), Park 등(2021)에 따르면 냉동만두 제조 시 쫄깃한 만두피가 대중적으로 선호되기 때문에 밀단백질인 글루텐의 점탄성을 이용한 강력분만을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소량 첨가하여 품질개선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등, 2011; Mun 등, 2020; Park, 2015, 2018). 특히, Seo와 Kim(2019)은 밀가루를 이용한 만두피가 조리 후에 빠른 시간 내에 굳어져 식감 및 기호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타피오카 전분 또는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보다 점성이 높고 쫄깃한 식감을 가진 만두피 제조를 시도하였다. 실제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14)에 따르면 만두피에 찹쌀이나 쌀, 메밀가루 등을 첨가한 만두가 출시되고 있으며, 기존의 밀가루 만두피보다 감자 만두피가 식감이 쫄깃하여 시장의 반응이 좋다고 보고하여 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쫄깃한 만두피의 선호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최적 속성 조합 및 시장점유율: 각 속성과 속성 수준의 부분 가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을 도출한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속성 수준별 중요도에 따라 그 효용치가 달라지므로 부분 가치를 상호비교하기 위하여 속성별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곱하여 효용결합 측정을 하였다. 결합측정을 바탕으로 전체 조사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속성의 결합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73.995의 효용결합값을 나타냈다.
시장점유율 분석을 위하여 choice simulation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장점유율 예측에 사용되는 최대효용모형(maximum utility model), BTL 모형(Bradly-Terry Luce model), Logit 모형(Logi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Kim 등, 2017; Lee 등, 2016).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으로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73.2%, BTL 모형 62.7%, Logit 모형 73.0%였다. 현재 판매되는 경쟁사의 냉동만두 속성은 ‘찐만두’, ‘김치’, ‘부드러움’,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26.8%, BTL 모형 37.3%, Logit 모형 27.0%로 나타났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속성인 ‘만두 종류’를 바탕으로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 모형과 현재 판매되는 제품의 냉동만두를 구분하면 성인을 위한 최적의 냉동만두 모형은 ‘군만두’이며, 현재 판매되는 냉동만두 모형은 ‘찐만두’이다. 예측된 시장점유율 모형 중 BTL 모형을 바탕으로 ‘군만두’ 냉동만두 모형은 62.7%, ‘찐만두’는 37.3%로 조사대상자들은 ‘군만두’에 대한 요구도가 더 높았다.
냉동만두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군집분석: 컨조인트 분석 결과 도출된 냉동만두 속성의 효용값을 시장 세분화 변수로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장세분화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시장세분화를 위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에는 133명(55.2%), 군집 2에는 108명(44.8%)이었다. 군집 1의 속성별 부분 가치를 비교하면 ‘만두 종류’는 ‘군만두’(2.05),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0.53),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4),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36)를 선호하였다. 군집 2에서 ‘만두 종류’는 ‘찐만두’(0.91),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8),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0.03)를 선호하였으며,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1.63)를 강하게 요구하였다.
Table 8 . Utilities of frozen mandu by cluster analysis.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1.131) | −0.22 |
Grilled mandu | 2.05 | −0.69 | |
Steamed mandu | −0.92 | 0.91 | |
Ingredients | Meat | 0.53 | 1.63 |
Kimchi | −0.01 | −0.59 | |
Seafood | −0.52 | −1.04 | |
Shell texture | Soft | −0.24 | −0.28 |
Chewy | 0.24 | 0.28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0.36 | 0.03 |
Online | 0.36 | −0.03 |
1)Utility..
군집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9에 제시하였다. 군집별 비교 결과, 성별, 연령대, 직업, 학력, 결혼 여부 및 월 평균소득은 군집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주형태는 군집 1이 ‘자택’ 72.2%, ‘자취’ 12.0%, ‘하숙’ 6.0%, ‘기타’ 9.8%이며, 군집 2는 ‘자택’ 88.0%, ‘자취’ 7.4%, ‘하숙’ 1.9%, ‘기타’ 2.8%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able 9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Total (n=241) | χ2-value | |
---|---|---|---|---|---|
Sex | Male | 68(51.1)1) | 53(49.1) | 121(50.2) | 0.101 |
Female | 65(48.9) | 55(50.9) | 120(49.8) | ||
Age | 20≤∼<30 | 40(30.1) | 37(34.3) | 77(32.0) | 0.592 |
30≤∼<40 | 47(35.3) | 34(31.5) | 81(33.6) | ||
40≤ | 46(34.6) | 37(34.3) | 83(34.3) | ||
Occupation | Student | 27(20.3) | 25(23.1) | 52(21.6) | 1.229 |
Office worker | 60(45.1) | 42(38.9) | 102(42.3) | ||
Professional | 25(18.8) | 20(18.5) | 45(18.7) | ||
Others | 21(15.8) | 21(19.4) | 42(17.4) | ||
Education level | High school | 15(11.3) | 11(10.2) | 26(10.8) | 0.188 |
In college | 19(14.3) | 14(13.0) | 33(13.7) | ||
University≤ | 99(74.4) | 83(76.9) | 182(75.5) | ||
Marital status | Married | 62(46.6) | 61(56.5) | 123(51.0) | 2.321 |
Single | 71(53.4) | 44(43.5) | 118(49.0) | ||
Monthly income (10,000 Won) | <200 | 12(9.0) | 6(5.6) | 18(7.5) | 3.733 |
200≤∼<300 | 31(23.3) | 17(15.7) | 48(19.9) | ||
300≤∼<400 | 26(19.5) | 26(24.1) | 52(21.6) | ||
400≤ | 64(48.1) | 59(54.6) | 123(51.0) | ||
Residence type | Housing | 96(72.2) | 95(88.0) | 191(79.3) | 10.037* |
Boarding house | 8(6.0) | 2(1.9) | 10(4.1) | ||
Self-boarding | 16(12.0) | 8(7.4) | 24(10.0) | ||
Others | 13(9.8) | 3(2.8) | 16(6.6) |
1)N (%). *
Table 10은 군집별 냉동만두 구매 행동을 비교한 결과이다. 냉동만두의 구매빈도는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1주일에 2회 이상’이 군집 1은 14.3%, 군집 2는 12.0%이며, ‘한 달에 1~2회’는 군집 1이 51.9%, 군집 2는 53.7%로 군집 1이 구매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리방법은 군집 1의 경우 ‘구워서 먹는다’가 46.6%, ‘튀겨서 먹는다’가 17.3%이며, 군집 2는 ‘쪄서 먹는다’가 50.9%로 높게 나타나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able 10 . Purchase frequency and cooking method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Total (n=241) | χ2-value | |
---|---|---|---|---|---|
Purchase frequency | 2 times/week≤ | 19(14.3)1) | 13(12.0) | 32(13.3) | 1.299 |
1∼2 times/month | 69(51.9) | 58(53.7) | 127(52.7) | ||
1∼2 times/ 6 month | 35(14.5) | 32(29.6) | 67(27.8) | ||
1∼2 times/year | 10(7.5) | 5(4.6) | 15(6.2) | ||
Reason of intake | Breakfast | 4(3.0) | 5(4.6) | 9(3.7) | 1.696 |
Lunch | 15(11.3) | 15(13.9) | 30(12.4) | ||
Dinner | 31(23.2) | 25(23.1) | 56(23.2) | ||
Afternoon snack | 36(27.1) | 32(29.6) | 68(28.2) | ||
Late-night snack | 47(35.3) | 31(28.7) | 78(32.4) | ||
Cooking methods | Grill | 62(46.6) | 29(26.9) | 91(37.8) | 21.973*** |
Steam | 32(24.1) | 55(50.9) | 87(36.1) | ||
Fry | 23(17.3) | 11(10.2) | 34(14.1) | ||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 | 10(7.5) | 11(10.2) | 21(8.7) | ||
Others | 6(4.5) | 2(1.9) | 8(3.3) | ||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 Yes | 35(26.3) | 40(37.0) | 75(31.1) | 7.170* |
No | 54(40.6) | 48(44.4) | 102(42.3) | ||
Don’t know | 44(33.1) | 20(18.5) | 64(26.6) |
1)N (%). *
학생은 군만두의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혼자의 비율이 높은 Cluster 1에서는 구워 먹거나 튀겨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으며, 기혼자와 자택거주가 높은 Cluster 2에서는 쪄서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어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군집결과를 볼 때 군집 1은 미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취와 하숙 및 회사 사택 거주자가 많았으며, 기름을 첨가하여 냉동만두를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을 선호하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빈도가 특별히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군집 2는 기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택 거주자가 군집 1보다 많으며, 조리방법은 쪄서 먹는 방법을 선호하였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등(2013)은 컨조인트 분석의 결과가 전체시장 수준이 아닌 소비자 개인의 선호도를 측정하므로 예측타당성이 높으며,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자료를 적절하고 의미 있게 제공한다고 하였다. 또한, Han 등(2021)은 중요도가 높은 속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면서 군집별 선호하는 속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거주 형태, 결혼 여부 및 구매동기 등을 고려하여 냉동만두의 종류와 조리법 등의 차별화된 냉동만두 제품을 출시한다면 소비자들이 보다 만족하는 냉동만두 제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7월까지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 및 냉동만두 선택 속성 및 수준을 조사하고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냉동만두 속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32.4%는 ‘야식’으로 섭취하며, 굽거나(37.8%) 쪄서 먹는 조리법(36.1%)을 선호하였다. COVID-19 기간 남성보다 여성이 냉동만두의 구매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구매처는 ‘대형마트’(72.6%)와 ‘온라인’(39.8%)을 통해서 구매하였다. 냉동만두를 구매하는 가장 큰 구매동기는 ‘조리가 편리해서’이며, ‘간식 대용으로’와 ‘대중매체 영향으로’가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구매동기로 나타났다. FGI 결과,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가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가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가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가지로 구성하였다.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구매 방법’, ‘만두피의 식감’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 속성의 수준에 대한 효용값 분석 결과, ‘만두 종류’는 ‘군만두’, ‘찐만두’, ‘물만두’의 순으로 선호하고,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산물’의 순으로 육류의 만두소를 선호하며,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를,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을 더 선호하였다. 각 속성과 속성 수준들의 효용값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상의 냉동만두 수준을 도출한 결과,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냉동만두 선호예측점수는 73.995점이며,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62.7%이었다.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시장세분화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55.2%가 해당하였다. 군집 2는 ‘찐만두’, ‘고기’, ‘쫄깃함’,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44.8%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결과, 조사 대상 성인들의 거주 형태 및 조리법 등의 특성들이 냉동만두 선택 속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은 만두 속재료가 고기고 만두피가 쫄깃한 군만두와 찐만두를 선호하고 있으며, 마트에서 직접 구매하지만 온라인 구매가 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속성의 중요도 및 시장세분화 결과는 향후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만두의 종류와 속재료 등을 고려한 냉동만두 제품의 개발 및 판매방식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북지역 일부 성인의 선택 동기 및 선호 브랜드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으므로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Table 1 . Attributes and levels of frozen mandu.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Attributes level explain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A product for boiling. |
Grilled mandu | A product for grilling. | |
Steamed mandu | A product for steaming. | |
Ingredients | Meat | Main ingredient is meat. |
Kimchi | Main ingredient is kimchi. | |
Seafood | Main ingredient is seafood (e.g. shrimp). | |
Shell texture | Soft | isit store |
Chewy | Online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Purchase directly from the mart. |
Online | Order online (e.g. Coupang, e-mart mall, etc.). |
Table 2 . Information of profile cards for conjoint analysis.
Card | Type of mandu | Ingredients | Shell texture | Purchasing method |
---|---|---|---|---|
1 | Boiled mandu | Kimchi | Chewy | Online |
2 | Grilled mandu | Meat | Soft | Online |
3 | Grilled mandu | Saefood | Chewy | Visit store |
4 | Grilled mandu | Kimchi | Soft | Visit store |
5 | Steamed mandu | Seafood | Soft | Online |
6 | Steam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7 | Boiled mandu | Meat | Soft | Visit store |
8 | Boiled mandu | Seafood | Soft | Visit store |
9 | Steamed mandu | Kimchi | Soft | Visit store |
101) | Boil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111) | Boiled mandu | Kimchi | Chewy | Visit store |
121) | Grilled mandu | Meat | Chewy | Visit store |
131) | Boiled mandu | Meat | Soft | Online |
1)Verification..
Table 3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χ2-value | |
---|---|---|---|---|---|
Age | 20≤∼<30 | 40(33.1)1) | 37(30.8) | 77(32.0) | 0.137 |
30≤∼<40 | 40(33.1) | 41(34.2) | 81(33.6) | ||
40≤ | 41(33.9) | 42(35.0) | 83(34.3) | ||
Occupation | Student | 30(24.8) | 22(18.3) | 52(21.6) | 4.467 |
Office worker | 55(45.4) | 47(39.2) | 102(42.3) | ||
Professional | 19(15.7) | 26(21.7) | 45(18.7) | ||
Others | 17(14.0) | 25(20.8) | 42(17.4) | ||
Education level | High school | 15(12.4) | 11(9.2) | 26(10.8) | 11.567** |
In college | 25(20.7) | 8(6.7) | 33(13.7) | ||
University≤ | 81(66.9) | 101(84.2) | 182(75.5) | ||
Marital status | Married | 54(44.6) | 69(57.5) | 123(51.0) | 3.995* |
Single | 67(55.4) | 51(42.5) | 118(49.0) | ||
Monthly income (10,000 Won) | <200 | 6(5.0) | 12(10.0) | 18(7.5) | 3.780 |
200≤∼<300 | 22(18.2) | 26(21.7) | 48(19.9) | ||
300≤∼<400 | 25(20.7) | 27(22.5) | 52(21.6) | ||
400≤ | 68(56.2) | 55(45.8) | 123(51.0) | ||
Residence type | Housing | 89(73.6) | 102(85.0) | 191(79.3) | 8.447* |
Boarding house | 9(7.4) | 1(0.8) | 10(4.1) | ||
Self-boarding | 13(10.7) | 11(9.2) | 24(10.0) | ||
Others | 10(8.3) | 6(5.0) | 16(6.6) |
1)N (%). *
Table 4 . Purchase behavior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χ2-value | |
---|---|---|---|---|---|
Purchase frequency | 2 times/week≤ | 12(9.9)1) | 20(16.7) | 32(13.3) | 2.977 |
1∼2 times/month | 64(52.9) | 63(52.5) | 127(52.7) | ||
1∼2 times/6 month | 36(29.8) | 31(25.8) | 67(27.8) | ||
1∼2 times/year | 9(7.4) | 6(5.0) | 15(6.2) | ||
Reason of intake | Breakfast | 3(2.5) | 6(5.0) | 9(3.7) | 3.525 |
Lunch | 19(15.7) | 11(9.2) | 30(12.4) | ||
Dinner | 26(21.5) | 30(25.0) | 56(23.2) | ||
Afternoon snack | 33(27.3) | 35(29.2) | 68(28.2) | ||
Late-night snack | 40(33.1) | 38(31.7) | 78(32.4) | ||
Cooking methods | Grill | 42(34.7) | 49(40.8) | 91(37.8) | 5.945 |
Steam | 44(36.4) | 43(35.8) | 87(36.1) | ||
Fry | 19(15.7) | 15(12.5) | 34(14.1) | ||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 | 9(7.4) | 12(10.0) | 21(8.7) | ||
Others | 7(5.8) | 1(0.8) | 8(3.3) | ||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 Yes | 27(22.3) | 48(40.0) | 75(31.1) | 12.165** |
No | 52(43.0) | 50(41.7) | 102(42.3) | ||
Don’t know | 42(34.7) | 22(18.3) | 64(26.6) | ||
Reason for increasing the purchase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n=75)2) | To stock up on foods | 5(18.5) | 15(31.3) | 20(26.7) | - |
Eating at home instead of eating out | 19(70.4) | 27(56.3) | 46(61.3) | ||
It’s easy to store | 5(18.5) | 18(37.5) | 23(30.7) | ||
It’s easy to cook | 8(29.6) | 19(39.6) | 27(36.0) | ||
Others | 0(0.0) | 1(2.1) | 1(1.3) |
1)N (%). 2)Multiple answer. **
Table 5 . Purchase place and preferred brands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
---|---|---|---|---|
Purchase place2) | Hypermarket | 90(74.4)1) | 85(70.8) | 175(72.6) |
Online | 40(33.1) | 56(46.6) | 96(39.8) | |
Food material market | 30(24.8) | 41(34.2) | 71(29.5) | |
Supermarket | 12(9.9) | 22(18.3) | 34(14.1) | |
Convenience store | 8(6.6) | 6(5.0) | 14(5.8) | |
Preferred brands2) | CJ Bibigo | 110(90.9) | 103(85.8) | 213(88.4) |
Pulmuone | 27(22.3) | 54(45.0) | 81(33.6) | |
Ottogi | 20(16.5) | 17(14.2) | 37(15.4) | |
Chungjungone | 11(9.1) | 18(15.0) | 29(12.0) | |
Dongwon | 9(7.4) | 13(10.8) | 22(9.1) | |
Others | 26(21.5) | 20(16.7) | 46(19.1) |
1)N (%). 2)Multiple answer..
Table 6 . Purchase motivation of frozen mandu.
Variables | Male (n=121) | Female (n=120) | Total (n=241) | |
---|---|---|---|---|
Convenience of cooking | 3.99±0.801) | 4.08±0.81 | 4.04±0.802) | −0.885 |
Good taste | 3.99±0.73 | 4.02±0.87 | 4.00±0.80 | −0.242 |
For snacks | 3.87±0.90 | 4.11±0.86 | 3.99±0.89 | −2.120* |
Convenience of storage | 3.90±0.94 | 4.03±0.80 | 3.97±0.87 | −1.183 |
A high preference of mandu | 3.64±0.98 | 3.84±1.00 | 3.74±0.99 | −1.617 |
Adequate price | 3.17±0.96 | 3.22±0.90 | 3.19±0.93 | −0.428 |
For a meal | 2.96±1.07 | 3.10±1.13 | 3.03±1.10 | −1.000 |
Rich nutrition | 2.77±0.86 | 2.78±0.89 | 2.77±0.88 | −0.057 |
Influence of the media | 2.51±1.03 | 2.91±1.07 | 2.66±1.06 | −2.190* |
Mean±SD | 3.42±0.50 | 3.55±0.49 | 3.49±0.50 | −2.080* |
1)Mean±SD. 2)Likert scale: 5 (very much)∼1 (never). *
Table 7 . Optimal combination of frozen mandu.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Utility | Relative importance (%) | Utility×Relative importance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0.721 | 39.731 | −28.646 |
Grilled mandu | 0.822 | 32.659 | ||
Steamed mandu | −0.101 | −4.013 | ||
Ingredients | Meat | 1.019 | 35.162 | 35.830 |
Kimchi | −0.267 | −9.388 | ||
Seafood | −0.752 | −26.442 | ||
Shell texture | Soft | −0.257 | 11.965 | −3.075 |
Chewy | 0.257 | 3.075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0.185 | 13.142 | −2.431 |
Online | 0.185 | 2.431 | ||
Model fit | Pearson’s R=0.999 ( | |||
Total utility of ideal combination | Grilled mandu (32.659)+Meat (35.830)+Chewy (3.075)+Online (2.431)=73.995 | |||
Results of choice simulation | Optimizes model: Max utility=73.2%, BTL=62.7%, Logit=73.0% | |||
Model for sales: Max utility=26.8%, BTL=37.3%, Logit=27.0% |
Table 8 . Utilities of frozen mandu by cluster analysis.
Attributes | Attributes level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
Type of mandu | Boiled mandu | −1.131) | −0.22 |
Grilled mandu | 2.05 | −0.69 | |
Steamed mandu | −0.92 | 0.91 | |
Ingredients | Meat | 0.53 | 1.63 |
Kimchi | −0.01 | −0.59 | |
Seafood | −0.52 | −1.04 | |
Shell texture | Soft | −0.24 | −0.28 |
Chewy | 0.24 | 0.28 | |
Purchasing method | Visit store | −0.36 | 0.03 |
Online | 0.36 | −0.03 |
1)Utility..
Table 9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Total (n=241) | χ2-value | |
---|---|---|---|---|---|
Sex | Male | 68(51.1)1) | 53(49.1) | 121(50.2) | 0.101 |
Female | 65(48.9) | 55(50.9) | 120(49.8) | ||
Age | 20≤∼<30 | 40(30.1) | 37(34.3) | 77(32.0) | 0.592 |
30≤∼<40 | 47(35.3) | 34(31.5) | 81(33.6) | ||
40≤ | 46(34.6) | 37(34.3) | 83(34.3) | ||
Occupation | Student | 27(20.3) | 25(23.1) | 52(21.6) | 1.229 |
Office worker | 60(45.1) | 42(38.9) | 102(42.3) | ||
Professional | 25(18.8) | 20(18.5) | 45(18.7) | ||
Others | 21(15.8) | 21(19.4) | 42(17.4) | ||
Education level | High school | 15(11.3) | 11(10.2) | 26(10.8) | 0.188 |
In college | 19(14.3) | 14(13.0) | 33(13.7) | ||
University≤ | 99(74.4) | 83(76.9) | 182(75.5) | ||
Marital status | Married | 62(46.6) | 61(56.5) | 123(51.0) | 2.321 |
Single | 71(53.4) | 44(43.5) | 118(49.0) | ||
Monthly income (10,000 Won) | <200 | 12(9.0) | 6(5.6) | 18(7.5) | 3.733 |
200≤∼<300 | 31(23.3) | 17(15.7) | 48(19.9) | ||
300≤∼<400 | 26(19.5) | 26(24.1) | 52(21.6) | ||
400≤ | 64(48.1) | 59(54.6) | 123(51.0) | ||
Residence type | Housing | 96(72.2) | 95(88.0) | 191(79.3) | 10.037* |
Boarding house | 8(6.0) | 2(1.9) | 10(4.1) | ||
Self-boarding | 16(12.0) | 8(7.4) | 24(10.0) | ||
Others | 13(9.8) | 3(2.8) | 16(6.6) |
1)N (%). *
Table 10 . Purchase frequency and cooking method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 | Cluster 1 (n=133) | Cluster 2 (n=108) | Total (n=241) | χ2-value | |
---|---|---|---|---|---|
Purchase frequency | 2 times/week≤ | 19(14.3)1) | 13(12.0) | 32(13.3) | 1.299 |
1∼2 times/month | 69(51.9) | 58(53.7) | 127(52.7) | ||
1∼2 times/ 6 month | 35(14.5) | 32(29.6) | 67(27.8) | ||
1∼2 times/year | 10(7.5) | 5(4.6) | 15(6.2) | ||
Reason of intake | Breakfast | 4(3.0) | 5(4.6) | 9(3.7) | 1.696 |
Lunch | 15(11.3) | 15(13.9) | 30(12.4) | ||
Dinner | 31(23.2) | 25(23.1) | 56(23.2) | ||
Afternoon snack | 36(27.1) | 32(29.6) | 68(28.2) | ||
Late-night snack | 47(35.3) | 31(28.7) | 78(32.4) | ||
Cooking methods | Grill | 62(46.6) | 29(26.9) | 91(37.8) | 21.973*** |
Steam | 32(24.1) | 55(50.9) | 87(36.1) | ||
Fry | 23(17.3) | 11(10.2) | 34(14.1) | ||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 | 10(7.5) | 11(10.2) | 21(8.7) | ||
Others | 6(4.5) | 2(1.9) | 8(3.3) | ||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 Yes | 35(26.3) | 40(37.0) | 75(31.1) | 7.170* |
No | 54(40.6) | 48(44.4) | 102(42.3) | ||
Don’t know | 44(33.1) | 20(18.5) | 64(26.6) |
1)N (%).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