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KF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Online ISSN 2288-5978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3): 297-307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3.29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A Study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rozen Mandu (Korean Dumpling) for Adults in the Jeonbuk Area Using Conjoint Analysis

Da Eun Gong1 , Sun A Choi2 , and Jeong Ok Rho3

1Major of Nutritio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and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eong Ok R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 Jeonbuk 54896, Korea, E-mail: jorho@jbnu.ac.kr

Received: December 21, 2023; Revised: January 29, 2024; Accepted: January 30,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nalyzed the comparative merits of a selection of frozen mandu (Korean dumplings) as determined by adults in the Jeonbuk area and suggests an ideal type of frozen mandu that would appeal to adults as determined by conjoint analysis. Two hundred forty-o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to July 2022 to adults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a frozen mandu in a hypermarket or online. The order of importance of frozen mandu attributes was type (39.73%), ingredients (35.16%), purchasing method (13.14%), and shell texture (11.97%). The ideal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attributes was purchase online and grilled mandu with meat and a chewy texture. The most preferred frozen mandu for adults showed an incremental 62.7% potential market share by choice simulation versus the frozen mandu being currently sold. Using the attributes utility, the adult frozen mandu market was divided into two clusters. Adults in cluster 1 preferred grilled mandu and online purchase, while those in cluster 2 preferred steamed mandu and store purc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a database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rozen mandu products and the constru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adults.

Keywords: adult, frozen foods, behavior, marketing

우리나라의 만두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타나며 조선시대에서는 왕조의 의궤 음식으로 왕이 어만두를 먹었다는 기록과 조리법이 소개되어 있다(Kim 등, 1999; Oh, 2014; Oh, 2016). 역사적으로 귀한 요리였던 만두는 근대에 와서는 주로 겨울철이나 명절 등 특별한 날에 가정에서 빚어 먹는 음식으로 변화하였다(Kim과 Kim, 2013). 더욱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냉동식품 시장의 확대는 만두의 대중화에 기여하였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냉동만두 제품의 다양화, 고급화, 차별화가 진행되면서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보고된다(aTFIS, 2014, 2022a). 만두는 재료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제품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식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Nam과 Yoo, 2022), 만두소의 재료, 빚은 모양 및 조리방법에 따라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구운 만두, 편수 등의 다양한 제품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aTFIS, 2014). 최근 우리나라의 드라마와 팝 등의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K-푸드에 관한 관심도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등, 2023). Korea Customs Service(2021)의 보도에 따르면 COVID-19에도 한국식품의 수출은 한류 인기와 함께 가정간편식에서 전통 식품까지 지속해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냉동만두는 대표적인 K-푸드로 냉동만두 수출액은 2020년 5,089만 달러에서 2021년 6,371만 달러로 25.2%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aTFIS, 2022b), CJ 제일제당은 국내 식품업체 최초로 2020년 단일품목 매출 1조 원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Roh 등, 2021).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 따르면 국내 냉동만두의 시장 규모는 2019년 4,814억 원, 2020년 5,128억 원으로 증가하였으나 2021년에는 4,770억 원으로 감소하였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COVID-19의 영향으로 가정에서의 식사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식과 관련된 간편식의 구매가 증가하였으며(Kim 등, 2023; Lee, 2021; Lee와 Kim, 2021), 이는 2020년 냉동만두의 수요 증가로 나타났다. 그러나 COVID-19 장기화로 인해 냉동만두를 대체하는 다양한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과 밀키트가 출시되면서 2021년 냉동만두의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aTFIS, 2022b). 또 다른 원인분석으로는 식품업체들의 경쟁으로 냉동만두의 품질은 향상되었으나 만두의 종류와 품목이 유사해진 것이 냉동만두 시장의 성장을 둔화시킨 것으로 보고되었다(Jeon, 2022). 따라서 국내 냉동만두 시장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세분화된 기호를 고려한 다양한 제품 개발을 통한 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겠다(Kim, 20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95.4%가 만두/피자/떡볶이/면류의 간편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고 94.6%가 구매 의사가 있으며, 제품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구매가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 소비자의 만두 선택 속성 관련 연구(Chang과 Hwang, 2006; Kim 등, 2009)에서는 맛, 위생적 품질, 영양가, 가격, 제조사의 브랜드, 광고 등의 요인이 만두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냉동만두 시장의 확대와 함께 만두 관련 연구도 증가하였으며, 만두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속성(Cho, 2010), 우렁이 만두 제품의 마켓 테스트(Chang과 Hwang, 2006), 만두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만두 유형별 이용행동(Kim 등, 2009), 만두의 조리 방법별 중심부 온도 연구(Kim과 Kim, 2013), 냉동만두 패키지의 브랜드이미지 연구(Meang과 Park, 2012)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소비자의 만두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로 냉동만두 업체에서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에 활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속성의 효용분석을 통하여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제시해 주는 컨조인트 분석법(Green과 Srinivasan, 1990)을 이용하고자 한다. 컨조인트 분석법은 제품의 속성 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고, 각 속성 수준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시장점유율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식품개발과 외식산업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Choi 등, 2022a; Choi 등, 2022b; Han 등, 2021; Lee, 2019; Lee 등, 2019; You와 Lee, 2018). 그러나 만두 관련 컨조인트 연구는 조리 전공자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산천어 만두 제품 연구가 있을 뿐이다(Lee 등, 2013). Kim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20대 이상의 성인들이 자주 먹는 만두의 유형은 즉석만두보다 냉동만두를 자주 먹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구매 실태와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 수준의 효용도를 예측하여 이상적인 냉동만두 속성의 조합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 선택 속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냉동만두 구매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하여 컨조인트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예비조사는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승인 번호: JBNU 2022-05-06-008) 승인 이후 남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실시하였으며, 이후 설문지를 수정하였다. 대상자는 전주시, 군산시, 익산에 거주하는 성인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22년 6~7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장소는 대학교, 종교시설, 문화센터 및 지역 공공기관 등을 방문하여 해당기관의 점심시간과 휴게시간을 이용하였다. 조사시작 전 조사목적을 설명하고 의사가 있는 경우에만 조사에 참여하도록 안내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여 전부 회수되었다. 그러나 컨조인트 분석을 위하여 가상의 프로파일과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의 Kendal tau 값을 분석한 결과, 9개의 자료에서 전체 경향과 상이한 컨조인트 답변이 나타나 이를 제외한 241부(96.4%)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 도구 및 측정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4개 부분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냉동만두 구매동기 및 냉동만두 구매 실태, 냉동만두 선택 속성과 수준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수준, 결혼 여부, 월수입, 주거형태의 총 7문항이며, 연령은 직접 기록하도록 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 및 구매 실태 항목은 Cho(2010), Kim 등(2009), Lee 등(2013)의 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개발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는 ‘식사 대용’, ‘간식 대용’, ‘맛이 있어서’, ‘영양이 풍부해서’ 등 총 9문항이며 Likert 척도로 이용 동기(5점 ‘매우 그렇다’~1점 ‘전혀 그렇지 않다’)를 조사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의 Cronbach’s α 계수는 0.698로 나타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냉동만두의 구매 행동은 구매빈도, 섭취 이유, 냉동만두 조리 방법,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 및 증가 이유, 구매 장소 및 구매 브랜드 등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 증가 이유, 구매 장소, 구매 브랜드는 중복응답으로 조사하였으며, 구매빈도 증가 이유는 COVID-19 기간 구매빈도가 증가한 경우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관련 선행연구(Cho, 2010; Kim 등, 2009; Lee 등, 2013)와 전북지역의 대형마트, 식자재마트, 편의점 및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냉동만두 유형, 가격 및 브랜드를 바탕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자료 수집 후 연구자의 진행으로 10명의 식품영양 및 감각과학 석・박사, 외식경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한 후 2회의 검증을 위한 토론을 거쳐 최종적으로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의 4가지 속성과 각각의 속성 수준을 결정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개 수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개 수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개 수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개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도출된 속성과 속성 수준을 바탕으로 가상의 냉동만두 제품의 프로파일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속성과 속성 수준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 Attributes and levels of frozen mandu

AttributesAttributes levelAttributes level explain
Type of manduBoiled manduA product for boiling.
Grilled manduA product for grilling.
Steamed manduA product for steaming.
IngredientsMeatMain ingredient is meat.
KimchiMain ingredient is kimchi.
SeafoodMain ingredient is seafood (e.g. shrimp).
Shell textureSoftisit store
ChewyOnline
Purchasing methodVisit storePurchase directly from the mart.
OnlineOrder online (e.g. Coupang, e-mart mall, etc.).


설문조사를 위한 프로파일을 구성하기 위하여 모든 속성을 고려한 완전 프로파일 설계법(full profile method)을 사용할 경우, 가능한 프로파일 수는 총 36개(3×3×2×2)이다. 그러나 모든 프로파일을 조사대상자에게 제시하여 비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직교설계(orthogonal design)를 통해 총 9개의 주 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Han 등, 2021). 이와 함께 모형의 신뢰성과 교차타당성 검정을 위해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 4개를 생성하여 총 13개의 프로파일을 디자인하였다. 설문지에는 컨조인트 디자인으로 구성된 가상의 냉동만두 프로파일에 대하여 선호도에 따라 순위를 기재하도록 하였다. 13개의 컨조인트 카드에 기재된 속성들의 세부 수준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 Information of profile cards for conjoint analysis

CardType of manduIngredientsShell texturePurchasing method
1Boiled manduKimchiChewyOnline
2Grilled manduMeatSoftOnline
3Grilled manduSaefoodChewyVisit store
4Grilled manduKimchiSoftVisit store
5Steamed manduSeafoodSoftOnline
6Steamed manduMeatChewyVisit store
7Boiled manduMeatSoftVisit store
8Boiled manduSeafoodSoftVisit store
9Steamed manduKimchiSoftVisit store
101)Boiled manduMeatChewyVisit store
111)Boiled manduKimchiChewyVisit store
121)Grilled manduMeatChewyVisit store
131)Boiled manduMeatSoftOnline

1)Verification.



자료 분석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7.0(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성별에 따라 χ2-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에서 기대빈도가 5 미만 셀의 경우에는 Fisher’s exact test 결과의 P-값을 제시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성인의 가상 냉동만두에 대한 선호도 분석을 위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속성별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별 수준에 따른 효용값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최적속성조합을 산출하였으며, 최적화된 냉동만두를 출시했을 때의 시장점유율을 예측하고자 choice simulation을 실시하였다. 시장세분화 분석은 속성별 부분 가치를 이용하여 K-means clustering를 실시하였으며, 군집에 따른 일반적 특성, 냉동만두 구매빈도 및 조리방법 분석은 χ2-test를 실시하여 냉동만두 세분시장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으로 ‘남성’은 121명(50.2%), ‘여성’은 120명(49.8%)이었다. 직업은 ‘사무직’이 42.3%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학생’이 21.6%, ‘전문직’이 18.7%, ‘기타’가 17.4%였다. 조사대상자가 직접 작성한 기타 직업은 ‘주부’, ‘프리랜서’였다. 조사대상자 75.5%의 학력은 ‘대학교 이상’이며, 남성은 ‘대학교 이상’이 66.9%, ‘대학교 재학’은 20.7%, ‘고등학교’는 12.4%이며, 여성은 ‘대학교 이상’이 84.2%, ‘고등학교’는 9.2%, ‘대학교 재학’은 6.7%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원주지역 성인대상의 연구(Lee와 Lee, 2021)에서도 대학교 졸업 이상이 79.0%,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21.1%로 높은 학력 수준을 보였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51.0%, ‘미혼’이 49.0%이며, 남성의 55.4%는 ‘미혼’, 여성의 57.5%는 ‘기혼’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조사대상자의 51.0%의 월평균 소득은 ‘400만 원 이상’이며, 21.6%는 ‘300만 원 이상 400만 원 미만’으로 전체의 72.6%가 300만 원 이상의 소득수준을 보였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79.3%의 거주형태는 ‘자택’이며, 성별에 따라 여성은 ‘자택’ 거주가 높으나 남성은 ‘하숙’과 ‘자취’가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기타 의견은 ‘학교 기숙사’, ‘회사 사택’이었다. Park과 Kim(2020)의 편의점 선택기준 연구에 따르면 20대와 30대가 차지하는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으나 최근 자녀 교육 또는 인사이동으로 인하여 1인 가구의 연령과 직업군이 다양해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회사 사택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는 1인 가구로 생각된다. Lee 등(2020)은 1인 가구는 1인 분량의 식사를 준비하는 시간과 식재료 구매가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가공식품 및 간편식의 구매율이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의 기혼과 미혼자의 분포는 냉동만두의 소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able 3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χ2-value
Age20≤∼<3040(33.1)1)37(30.8)77(32.0)0.137
30≤∼<4040(33.1)41(34.2)81(33.6)
40≤41(33.9)42(35.0)83(34.3)

OccupationStudent30(24.8)22(18.3)52(21.6)4.467
Office worker55(45.4)47(39.2)102(42.3)
Professional19(15.7)26(21.7)45(18.7)
Others17(14.0)25(20.8)42(17.4)

Education levelHigh school15(12.4)11(9.2)26(10.8)11.567**
In college25(20.7)8(6.7)33(13.7)
University≤81(66.9)101(84.2)182(75.5)

Marital statusMarried54(44.6)69(57.5)123(51.0)3.995*
Single67(55.4)51(42.5)118(49.0)

Monthly income (10,000 Won)<2006(5.0)12(10.0)18(7.5)3.780
200≤∼<30022(18.2)26(21.7)48(19.9)
300≤∼<40025(20.7)27(22.5)52(21.6)
400≤68(56.2)55(45.8)123(51.0)

Residence typeHousing89(73.6)102(85.0)191(79.3)8.447*
Boarding house9(7.4)1(0.8)10(4.1)
Self-boarding13(10.7)11(9.2)24(10.0)
Others10(8.3)6(5.0)16(6.6)

1)N (%). *P<0.05, **P<0.01.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Table 4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27.8%는 ‘6개월에 1~2회’, 13.3%는 ‘1주에 2회 이상’, 6.2%는 ‘1년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섭취 이유는 ‘야식’이 32.4%, ‘오후 간식’이 28.2%로 나타나 주로 간식으로 섭취한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만두는 간식으로 적합한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Cho(2010)의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들은 만두를 주식보다는 간식으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에 냉동만두를 구매한 사람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취식상황과 목적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36.5%가 간식용이며 11.6%는 특히 술안주용으로 나타나(aTFIS, 2022b),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4 . Purchase behavior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χ2-value
Purchase frequency2 times/week≤12(9.9)1)20(16.7)32(13.3)2.977
1∼2 times/month64(52.9)63(52.5)127(52.7)
1∼2 times/6 month36(29.8)31(25.8)67(27.8)
1∼2 times/year9(7.4)6(5.0)15(6.2)

Reason of intakeBreakfast3(2.5)6(5.0)9(3.7)3.525
Lunch19(15.7)11(9.2)30(12.4)
Dinner26(21.5)30(25.0)56(23.2)
Afternoon snack33(27.3)35(29.2)68(28.2)
Late-night snack40(33.1)38(31.7)78(32.4)

Cooking methodsGrill42(34.7)49(40.8)91(37.8)5.945
Steam44(36.4)43(35.8)87(36.1)
Fry19(15.7)15(12.5)34(14.1)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9(7.4)12(10.0)21(8.7)
Others7(5.8)1(0.8)8(3.3)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Yes27(22.3)48(40.0)75(31.1)12.165**
No52(43.0)50(41.7)102(42.3)
Don’t know42(34.7)22(18.3)64(26.6)

Reason for increasing the purchase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n=75)2)To stock up on foods5(18.5)15(31.3)20(26.7)
Eating at home instead of eating out19(70.4)27(56.3)46(61.3)
It’s easy to store5(18.5)18(37.5)23(30.7)
It’s easy to cook8(29.6)19(39.6)27(36.0)
Others0(0.0)1(2.1)1(1.3)

1)N (%). 2)Multiple answer. **P<0.01.



구매한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은 ‘구워서 먹는다’(37.8%)와 ‘쪄서 먹는다’(36.1%)가 주로 이용하는 조리법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튀겨서 먹는다’가 14.1%, ‘라면, 국 등의 다른 음식에 넣어서 먹는다’가 8.7%, ‘기타’가 3.3%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기타의 조리방법은 에어프라이어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였다. 선행연구에서 만두 조리법은 ‘구워서 먹는다’가 40.8%, ‘쪄서 먹는다’가 29.6%로 높게 나타났는데(Cho, 2010), 본 연구 결과에서도 굽거나 찌는 조리법이 높게 나타나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서도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으로 ‘프라이팬에 굽기’ 34.5%, ‘찜기/찜솥에 찌기’가 33.9%로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COVID-19 확산 이후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42.3%는 ‘아니오’, 31.1%는 ‘예’, 26.6%는 ‘모르겠다’라고 답하였다. 성별에 따라 남성의 43.0%는 ‘아니오’, 34.7%는 ‘모르겠다’이지만 여성의 40.0%는 ‘예’, 41.7%는 ‘아니오’, 18.3%는 ‘모르겠다’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냉동만두의 구매가 COVID-19 기간 증가하였다고 답한 75명을 대상으로 증가 이유를 중복으로 조사한 결과,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해서’가 61.3%로 가장 많은 답변을 보였으며, ‘조리방법이 간편해서’는 36.0%, ‘보관이 용이해서’는 30.7%, ‘식량 비축을 위해’는 26.7%, ‘기타’가 1.3%로 나타났다. COVID-19 이후 가정간편식의 소비행태 변화를 조사한 Son(2021)의 연구에서 COVID-19 발생 이후 조사대상자의 22.2%가 외식 빈도가 낮아졌다고 답하였으며, 20.0%는 집에서 직접 요리하는 빈도가 높아졌다고 답하여 본 조사의 COVID-19 이후의 냉동만두 구매의 증가 이유를 일부 확인하였다. 2021년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에서도 2020년 대비 만두/피자류의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COVID-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으로 인해 가정에서의 증가한 식사 빈도의 영향으로 분석되었다(KREI, 20211). 본 조사에서도 COVID-19 이후 여성의 냉동만두 구매가 증가한 것은 가정에서의 식사 빈도가 증가하면서 주부들이 식사준비의 부담을 경감하고자 냉동만두 등의 간편식 구매가 증가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장소 및 구매하는 브랜드를 중복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72.6%는 ‘대형마트’, 39.8%는 ‘온라인 구매’, 29.5%는 ‘식재료 마트’, 14.1%는 ‘슈퍼마켓’, 5.8%는 ‘편의점’에서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KREI, 2021)에서 간편식 구매 장소는 대형 할인점이 4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만두 소매점 매출의 유통경로 조사(aTFIS, 2021)에서는 대형 할인점이 34.6%, 체인슈퍼 25.7%, 독립슈퍼 24.1%, 편의점 7.3%, 일반식품점 7.7%, 백화점 0.6%의 순으로 보고되어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Son(2021)의 연구에서 대형마트에서의 가정간편식 구매는 COVID-19 발생 이전에는 조사대상자의 46.5%, 발생 이후는 35.5%로 하락하였으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COVID-19 발생 이전은 26.8%, 발생 이후는 41.7%로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구매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조사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공식품을 주로 구매하는 장소로 선택한 이유는 ‘직접 배달해 줘서’가 28.6%, ‘가격이 저렴해서’가 19.8%로 나타났다. Han 등(2021)의 연구에서도 도시락 전문점 선택 시 ‘배달 가능’이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Heo와 Bae(2020)의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배달 앱 이용을 성인의 식품소비 방식의 변화로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전북지역 성인들의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Table 5 . Purchase place and preferred brands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
Purchase place2)Hypermarket90(74.4)1)85(70.8)175(72.6)
Online40(33.1)56(46.6)96(39.8)
Food material market30(24.8)41(34.2)71(29.5)
Supermarket12(9.9)22(18.3)34(14.1)
Convenience store8(6.6)6(5.0)14(5.8)

Preferred brands2)CJ Bibigo110(90.9)103(85.8)213(88.4)
Pulmuone27(22.3)54(45.0)81(33.6)
Ottogi20(16.5)17(14.2)37(15.4)
Chungjungone11(9.1)18(15.0)29(12.0)
Dongwon9(7.4)13(10.8)22(9.1)
Others26(21.5)20(16.7)46(19.1)

1)N (%). 2)Multiple answer.



구매하는 브랜드는 조사대상자의 88.4%가 ‘CJ 비비고’, 33.6%는 ‘풀무원’, 15.4%는 ‘오뚜기’ 등이며, 기타 브랜드는 해태, 백설, 삼양 및 노브랜드 등으로 나타났다. 2022년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aTFIS, 2022a)에 따르면 ‘CJ’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그다음은 ‘풀무원’, ‘해태’, ‘동원 F&B’, ‘오뚜기’의 순이었다. 냉동만두 시장은 현재 국내업체뿐만 아니라 베트남과 중국 등에서 딤섬, 중국식 만두가 수입되고 있어 향후 소비자들의 냉동만두 구매 브랜드는 보다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동기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동기는 Table 6과 같다. 냉동만두 구매동기의 총평균은 5점 기준 3.49점, 성별에 따른 평균 점수는 남성이 3.42점, 여성은 3.55점으로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 9개의 구매동기 항목 중 ‘조리가 편리해서’(4.04점)가 가장 높은 구매동기이며, ‘대중매체의 영향으로’(2.66점)가 가장 낮은 구매동기였다. 9개 항목 중 평균값(3.49점) 이상으로 나타난 구매동기는 ‘조리가 편리해서’, ‘맛이 있어서’, ‘간식용으로’, ‘보관이 편리해서’, ‘만두를 좋아해서’의 5개 항목이며, ‘가격이 적절하다’, ‘식사용으로’, ‘영양이 풍부해서’, ‘대중매체의 영향으로’는 평균값 이하의 낮은 구매동기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 ‘간식 대용으로’는 남성이 3.87점, 여성은 4.11점으로 여성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대중매체의 영향으로’는 남성이 2.51점, 여성은 2.91점으로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사대상자가 직접 작성한 기타의 구매동기는 ‘비상식량용’, ‘지인의 추천’ 및 ‘시식사원의 권유’였다. Kim 등(2009)의 냉동만두 구매동기조사에서 만두의 간식성이 5점 기준 3.72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격의 경제성 2.97점, 식사대용은 2.79점으로 나타났으며, Cho(2010)의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의 68.9%가 간식용으로 만두를 먹는 것으로 보고되어 본 조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한편, Choi 등(2022b)의 남녀대학생의 프랜차이즈 햄버거 구매동기조사에서 광고 및 리플렛의 영향으로 구매한다는 남학생은 5점 기준 2.61점, 여학생은 3.22점으로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본 조사에서도 냉동만두 구매 시 남성보다는 여성이 대중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Yoon(2020)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SNS, TV 광고가 고객의 음식에 대한 접근성과 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여성이 남성보다 대중매체에 대한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향후 여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겠다.

Table 6 . Purchase motivation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t-value
Convenience of cooking3.99±0.801)4.08±0.814.04±0.802)−0.885
Good taste3.99±0.734.02±0.874.00±0.80−0.242
For snacks3.87±0.904.11±0.863.99±0.89−2.120*
Convenience of storage3.90±0.944.03±0.803.97±0.87−1.183
A high preference of mandu3.64±0.983.84±1.003.74±0.99−1.617
Adequate price3.17±0.963.22±0.903.19±0.93−0.428
For a meal2.96±1.073.10±1.133.03±1.10−1.000
Rich nutrition2.77±0.862.78±0.892.77±0.88−0.057
Influence of the media2.51±1.032.91±1.072.66±1.06−2.190*

Mean±SD3.42±0.503.55±0.493.49±0.50−2.080*

1)Mean±SD. 2)Likert scale: 5 (very much)∼1 (never). *P<0.05.



컨조인트 분석 결과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 추정: 전북지역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시 고려되는 속성의 각 수준의 부분 가치를 추정하여 4가지 속성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 . Optimal combination of frozen mandu

AttributesAttributes levelUtilityRelative importance (%)Utility×Relative importance
Type of manduBoiled mandu−0.72139.731−28.646
Grilled mandu0.82232.659
Steamed mandu−0.101−4.013

IngredientsMeat1.01935.16235.830
Kimchi−0.267−9.388
Seafood−0.752−26.442

Shell textureSoft−0.25711.965−3.075
Chewy0.2573.075

Purchasing methodVisit store−0.18513.142−2.431
Online0.1852.431

Model fitPearson’s R=0.999 (P<0.001), Kendall’s tau=1.000 (P<0.001)

Total utility of ideal combinationGrilled mandu (32.659)+Meat (35.830)+Chewy (3.075)+Online (2.431)=73.995

Results of choice simulationOptimizes model: Max utility=73.2%, BTL=62.7%, Logit=73.0%
Model for sales: Max utility=26.8%, BTL=37.3%, Logit=27.0%


컨조인트 모형의 적합성 분석 결과, 관측된 선호도와 추정된 선호도 간의 상관계수인 Pearson의 R값은 0.999(P<0.001), Kendall의 tau 값은 1.000(P<0.001)으로 분석되어 직교설계를 통해 추출된 프로파일들이 적합하게 구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상대적 중요도는 산출된 부분 가치의 최대치와 최소치 차이를 통해 속성별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며, 부분 가치는 각 속성 수준의 선호 수준을 의미한다(Han 등, 2021; Kim 등, 2017). 성인들이 냉동만두를 선택할 때의 제시된 속성의 중요도는 ‘만두 종류’(39.73%), ‘만두 속재료’(35.16%), ‘구매 방법’(13.14%), ‘만두피의 식감’(11.97%)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16)에 따르면 만두는 기온이 낮은 시기에 상대적으로 매출이 높으며, 만두의 종류별 매출의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2016년 상반기 기준 매출이 높은 만두는 교자만두이며, 그다음은 군만두, 물만두, 왕만두, 기타 만두류, 찐만두의 순이었다. Chang과 Hwang(2006)의 연구에서 소비자들이 만두를 구매할 때 중요한 결정인자는 조사대상자의 60%가 맛으로 답하였으며, 그다음은 위생적인 품질, 영양가, 가격, 브랜드 명의 순으로 보고하였다. 소비자들은 만두의 속재료에 따라 맛의 차이를 인식하기 때문에 만두의 속재료는 소비자들의 만두 구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산천어 만두 제품 개발 연구(Lee 등, 2013)에서는 제시된 4가지 속성 중 만두의 속재료(33.09%)가 가장 중요한 선택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가격(30.28%), 외관(21.69%), 매운맛 정도(14.94%)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에서 제시된 냉동만두의 속성과 선행연구의 속성과는 차이가 있었으나 만두의 속재료가 만두 선택 시 중요한 속성임을 재확인하였다.

속성들의 부분 가치 추정 결과, 제시된 속성 수준에서 ‘만두 종류’는 ‘물만두’(-0.721), ‘군만두’(0.822), ‘찐만두’ (-0.101)로 군만두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물만두의 부분 가치가 가장 낮았다. ‘만두 속재료’는 ‘고기’(1.019), ‘김치’(-0.267), ‘해산물’(-0.752)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0.257)보다는 ‘쫄깃함’(0.257)을 더 선호하고,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185)를 ‘직접 마트에서 구매’(-0.185)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들은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왕만두의 순으로 선호하는 만두 종류가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선호하는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채소, 해물의 순으로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Han 등(2021)Kim 등(2020)의 도시락 메뉴 보고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들은 육류 메뉴를 가장 선호하며, 그다음은 생선・해물류, 가금류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높은 육류의 선호도를 보였는데, 본 조사에도 속재료가 고기인 만두의 선호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Cho(2010)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만두피 속성에 대한 만족도는 ‘쫄깃함’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은 ‘두께가 얇을수록’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만두피와 관련하여 Kang과 Han(2015), Park 등(2021)에 따르면 냉동만두 제조 시 쫄깃한 만두피가 대중적으로 선호되기 때문에 밀단백질인 글루텐의 점탄성을 이용한 강력분만을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소량 첨가하여 품질개선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등, 2011; Mun 등, 2020; Park, 2015, 2018). 특히, Seo와 Kim(2019)은 밀가루를 이용한 만두피가 조리 후에 빠른 시간 내에 굳어져 식감 및 기호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타피오카 전분 또는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보다 점성이 높고 쫄깃한 식감을 가진 만두피 제조를 시도하였다. 실제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14)에 따르면 만두피에 찹쌀이나 쌀, 메밀가루 등을 첨가한 만두가 출시되고 있으며, 기존의 밀가루 만두피보다 감자 만두피가 식감이 쫄깃하여 시장의 반응이 좋다고 보고하여 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쫄깃한 만두피의 선호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최적 속성 조합 및 시장점유율: 각 속성과 속성 수준의 부분 가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을 도출한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속성 수준별 중요도에 따라 그 효용치가 달라지므로 부분 가치를 상호비교하기 위하여 속성별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곱하여 효용결합 측정을 하였다. 결합측정을 바탕으로 전체 조사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속성의 결합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73.995의 효용결합값을 나타냈다.

시장점유율 분석을 위하여 choice simulation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장점유율 예측에 사용되는 최대효용모형(maximum utility model), BTL 모형(Bradly-Terry Luce model), Logit 모형(Logi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Kim 등, 2017; Lee 등, 2016).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으로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73.2%, BTL 모형 62.7%, Logit 모형 73.0%였다. 현재 판매되는 경쟁사의 냉동만두 속성은 ‘찐만두’, ‘김치’, ‘부드러움’,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26.8%, BTL 모형 37.3%, Logit 모형 27.0%로 나타났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속성인 ‘만두 종류’를 바탕으로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 모형과 현재 판매되는 제품의 냉동만두를 구분하면 성인을 위한 최적의 냉동만두 모형은 ‘군만두’이며, 현재 판매되는 냉동만두 모형은 ‘찐만두’이다. 예측된 시장점유율 모형 중 BTL 모형을 바탕으로 ‘군만두’ 냉동만두 모형은 62.7%, ‘찐만두’는 37.3%로 조사대상자들은 ‘군만두’에 대한 요구도가 더 높았다.

냉동만두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군집분석: 컨조인트 분석 결과 도출된 냉동만두 속성의 효용값을 시장 세분화 변수로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장세분화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시장세분화를 위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에는 133명(55.2%), 군집 2에는 108명(44.8%)이었다. 군집 1의 속성별 부분 가치를 비교하면 ‘만두 종류’는 ‘군만두’(2.05),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0.53),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4),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36)를 선호하였다. 군집 2에서 ‘만두 종류’는 ‘찐만두’(0.91),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8),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0.03)를 선호하였으며,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1.63)를 강하게 요구하였다.

Table 8 . Utilities of frozen mandu by cluster analysis

AttributesAttributes levelCluster 1 (n=133)Cluster 2 (n=108)
Type of manduBoiled mandu−1.131)−0.22
Grilled mandu2.05−0.69
Steamed mandu−0.920.91

IngredientsMeat0.531.63
Kimchi−0.01−0.59
Seafood−0.52−1.04

Shell textureSoft−0.24−0.28
Chewy0.240.28

Purchasing methodVisit store−0.360.03
Online0.36−0.03

1)Utility.



군집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9에 제시하였다. 군집별 비교 결과, 성별, 연령대, 직업, 학력, 결혼 여부 및 월 평균소득은 군집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주형태는 군집 1이 ‘자택’ 72.2%, ‘자취’ 12.0%, ‘하숙’ 6.0%, ‘기타’ 9.8%이며, 군집 2는 ‘자택’ 88.0%, ‘자취’ 7.4%, ‘하숙’ 1.9%, ‘기타’ 2.8%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군집 1은 군집 2보다 자취, 하숙 및 기타 거주가 높으며, 군집 2는 군집 1보다 자택 거주가 높았다.

Table 9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Cluster 1 (n=133)Cluster 2 (n=108)Total (n=241)χ2-value
SexMale68(51.1)1)53(49.1)121(50.2)0.101
Female65(48.9)55(50.9)120(49.8)

Age20≤∼<3040(30.1)37(34.3)77(32.0)0.592
30≤∼<4047(35.3)34(31.5)81(33.6)
40≤46(34.6)37(34.3)83(34.3)

OccupationStudent27(20.3)25(23.1)52(21.6)1.229
Office worker60(45.1)42(38.9)102(42.3)
Professional25(18.8)20(18.5)45(18.7)
Others21(15.8)21(19.4)42(17.4)

Education levelHigh school15(11.3)11(10.2)26(10.8)0.188
In college19(14.3)14(13.0)33(13.7)
University≤99(74.4)83(76.9)182(75.5)

Marital statusMarried62(46.6)61(56.5)123(51.0)2.321
Single71(53.4)44(43.5)118(49.0)

Monthly income (10,000 Won)<20012(9.0)6(5.6)18(7.5)3.733
200≤∼<30031(23.3)17(15.7)48(19.9)
300≤∼<40026(19.5)26(24.1)52(21.6)
400≤64(48.1)59(54.6)123(51.0)

Residence typeHousing96(72.2)95(88.0)191(79.3)10.037*
Boarding house8(6.0)2(1.9)10(4.1)
Self-boarding16(12.0)8(7.4)24(10.0)
Others13(9.8)3(2.8)16(6.6)

1)N (%). *P<0.05.



Table 10은 군집별 냉동만두 구매 행동을 비교한 결과이다. 냉동만두의 구매빈도는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1주일에 2회 이상’이 군집 1은 14.3%, 군집 2는 12.0%이며, ‘한 달에 1~2회’는 군집 1이 51.9%, 군집 2는 53.7%로 군집 1이 구매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리방법은 군집 1의 경우 ‘구워서 먹는다’가 46.6%, ‘튀겨서 먹는다’가 17.3%이며, 군집 2는 ‘쪄서 먹는다’가 50.9%로 높게 나타나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섭취 이유는 군집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야식’ 항목에서 군집 1(35.3%)이 군집 2(28.7%)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COVID-19 확산 이후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에 대하여 군집 1의 26.3%는 ‘예’, 40.6%는 ‘아니오’, 33.1%는 ‘모르겠다’라고 답하였으나, 군집 2는 ‘예’가 37.0%, ‘아니요’가 44.4%, ‘모르겠다’가 18.5%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Kim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주부는 찐만두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Table 10 . Purchase frequency and cooking method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Cluster 1 (n=133)Cluster 2 (n=108)Total (n=241)χ2-value
Purchase frequency2 times/week≤19(14.3)1)13(12.0)32(13.3)1.299
1∼2 times/month69(51.9)58(53.7)127(52.7)
1∼2 times/ 6 month35(14.5)32(29.6)67(27.8)
1∼2 times/year10(7.5)5(4.6)15(6.2)

Reason of intakeBreakfast4(3.0)5(4.6)9(3.7)1.696
Lunch15(11.3)15(13.9)30(12.4)
Dinner31(23.2)25(23.1)56(23.2)
Afternoon snack36(27.1)32(29.6)68(28.2)
Late-night snack47(35.3)31(28.7)78(32.4)

Cooking methodsGrill62(46.6)29(26.9)91(37.8)21.973***
Steam32(24.1)55(50.9)87(36.1)
Fry23(17.3)11(10.2)34(14.1)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10(7.5)11(10.2)21(8.7)
Others6(4.5)2(1.9)8(3.3)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Yes35(26.3)40(37.0)75(31.1)7.170*
No54(40.6)48(44.4)102(42.3)
Don’t know44(33.1)20(18.5)64(26.6)

1)N (%). *P<0.05, ***P<0.001.



학생은 군만두의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혼자의 비율이 높은 Cluster 1에서는 구워 먹거나 튀겨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으며, 기혼자와 자택거주가 높은 Cluster 2에서는 쪄서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어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군집결과를 볼 때 군집 1은 미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취와 하숙 및 회사 사택 거주자가 많았으며, 기름을 첨가하여 냉동만두를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을 선호하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빈도가 특별히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군집 2는 기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택 거주자가 군집 1보다 많으며, 조리방법은 쪄서 먹는 방법을 선호하였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등(2013)은 컨조인트 분석의 결과가 전체시장 수준이 아닌 소비자 개인의 선호도를 측정하므로 예측타당성이 높으며,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자료를 적절하고 의미 있게 제공한다고 하였다. 또한, Han 등(2021)은 중요도가 높은 속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면서 군집별 선호하는 속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거주 형태, 결혼 여부 및 구매동기 등을 고려하여 냉동만두의 종류와 조리법 등의 차별화된 냉동만두 제품을 출시한다면 소비자들이 보다 만족하는 냉동만두 제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7월까지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 및 냉동만두 선택 속성 및 수준을 조사하고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냉동만두 속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32.4%는 ‘야식’으로 섭취하며, 굽거나(37.8%) 쪄서 먹는 조리법(36.1%)을 선호하였다. COVID-19 기간 남성보다 여성이 냉동만두의 구매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구매처는 ‘대형마트’(72.6%)와 ‘온라인’(39.8%)을 통해서 구매하였다. 냉동만두를 구매하는 가장 큰 구매동기는 ‘조리가 편리해서’이며, ‘간식 대용으로’와 ‘대중매체 영향으로’가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구매동기로 나타났다. FGI 결과,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가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가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가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가지로 구성하였다.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구매 방법’, ‘만두피의 식감’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 속성의 수준에 대한 효용값 분석 결과, ‘만두 종류’는 ‘군만두’, ‘찐만두’, ‘물만두’의 순으로 선호하고,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산물’의 순으로 육류의 만두소를 선호하며,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를,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을 더 선호하였다. 각 속성과 속성 수준들의 효용값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상의 냉동만두 수준을 도출한 결과,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냉동만두 선호예측점수는 73.995점이며,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62.7%이었다.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시장세분화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55.2%가 해당하였다. 군집 2는 ‘찐만두’, ‘고기’, ‘쫄깃함’,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44.8%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결과, 조사 대상 성인들의 거주 형태 및 조리법 등의 특성들이 냉동만두 선택 속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은 만두 속재료가 고기고 만두피가 쫄깃한 군만두와 찐만두를 선호하고 있으며, 마트에서 직접 구매하지만 온라인 구매가 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속성의 중요도 및 시장세분화 결과는 향후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만두의 종류와 속재료 등을 고려한 냉동만두 제품의 개발 및 판매방식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북지역 일부 성인의 선택 동기 및 선호 브랜드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으므로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1. aTFIS. 2022 Status of the segmented market of processed food-Frozen food. aT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22a [cited 2022 Aug 5].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24.do?act=read&bpoId=4466&bcaId=0&subSkinYn=N&pageIndex=1.
  2. aTFIS. Market report. 2014 Status of the segmented market of processed food-Mandoo market. 2014 [cited 2022 Aug 5].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27.do?act=read&bpoId=1425&bcaId=0&pageIndex=8.
  3. aTFIS. Market report. 2016 Processed food market report-Mandoo. 2016 [cited 2022 Aug 5].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02.do?act=read&bpoId=2268.
  4. aTFIS. Newsletter-Mandoo. aT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22b [cited 2022 Aug 3].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02.do?act=read&bpoId=4169.
  5. aTFIS. Retail POS. aT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21 [cited 2022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offsales.do.
  6. Chang H, Hwang Y.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 testing of ready-to-eat Mandu with pond-snail as a health food.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650-660.
  7. Cho GA. A study on dumpling consumer recognition and purchase attribut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0.
  8. Choi HJ, Chung SS, Rho JO. A study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a franchise coffee shop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onbuk area using conjoint analysis. Korean J Food Cook Sci. 2022a. 38:290-300.
  9. Choi YN, Chung SS, Rho JO. A franchise hamburger menu for university students determined by identifying selection attributes using conjoint analysi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22b. 32:250-262.
    CrossRef
  10. Green PE, inivasan V Sr. Conjoint analysis in marketing: New developments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Marketing. 1990. 54(4):3-19.
    CrossRef
  11. Han AR, Chung SS, Rho JO. Studies of selection attributes for lunch boxes (dosirak) using conjoint analysis among single 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884-893.
    CrossRef
  12. Heo SJ, Bae HJ. Analysis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delivery food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J Nutr Health. 2020. 53:547-561.
    CrossRef
  13. Jeon MO. A decline in the popularity of frozen dumplings. Pulmuone•Haitai, side by side "backward". Newspim. 2022 [cited 2022 Oct 6]. Available from: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831000950.
  14. Kang BH, Shin EJ, Lee S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40:570-574.
    CrossRef
  15. Kang YR, Han JA. Quality improvement of dumpling shell based on rice flour by addition of potato starch and HPMC. Korean J Food Cook Sci. 2015. 31:696-702.
    CrossRef
  16. Kim AR. Frozen dumplings difficult to reverse growth. The Digitaltimes. 2022 Feb 9 [cited 2022 Aug 27]. Available from: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2021002101732060001&ref=naver.
  17. Kim BJ, Choi SA, Rho JO. Dietary life among Korean adolescents before COVID-19 (2018∼2019) and during COVID-19 (2020∼2021): Data analysis of the 2018∼2021 youth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3. 52:640-650.
    CrossRef
  18. Kim H, Huh IJ, Lee SY.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lunchbox by dietary lifestyle. Korean J Community Nutr. 2020. 25:267-279.
    CrossRef
  19. Kim H, Lee J, Chung L. Studies of restaurants to identify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solo diners using conjoint analysis. J Korean Soc Food Cult. 2017. 32:287-294.
  20. Kim JG, Kim JS. Changes of internal temperature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dumpling (mandu).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3. 22:485-492.
    CrossRef
  21. Kim JY, Kim KB, Park IS. Perceptions of Mandu and usage behaviors by Mandu typ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690-702.
  22. Kim KS, Lee MJ, Han BJ. A study of the types of Mandoo and its cooking methods in the old cooking books -Focused on the old cooking books issued in 1600 to 1950-.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99. 9:3-16.
  23. Korea Customs Service. Press release-Korean food exports record high despite COVID-19. 2021 [cited 2022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customs.go.kr/kcs/na/ntt/selectNttInfo.do?mi=2891&bbsId=1362&nttSn=10056798.
  24. KREI. 2021 In-depth analysis report on the consumer attitude survey of processed foo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21 [cited 2022 Sep 28]. Available from: https://www.krei.re.kr/foodInfo/selectBbsNttView.do?key=744&bbsNo=504&nttNo=159230&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25. Kwon DY, Kim SH, Chung KR, et al. Science and philosophy of Korea traditional foods (K-food). J Ethn Food. 2023. 10:26. https://doi.org/10.1186/s42779-023-00194-3.
    CrossRef
  26. Lee HJ, Lee MA, Park HK. Assessing relative importance of laver attributes for infants using conjoint analy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894-902.
    CrossRef
  27. Lee HJ. Market segmentation by level of change in food expenditure per channels since the COVID-19 outbreak: An analysis of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2021. 17(2):1-28.
    CrossRef
  28. Lee HS, Kim JH.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behavior due to COVID-19: Focusing on MZ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1. 19(3):47-54.
  29. Lee J, Moon MS, Lim SY. Eating behavior and convenience store food consumption behavior of millennial male single- person household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0. 49:394-404.
    CrossRef
  30. Lee J. Relativ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in garlic-based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conjoint analysi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9. 29:336-343.
    CrossRef
  31. Lee MH, Kim HY, Ahn YJ. Stud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lecting attribute in purchasing pickles by conjoint analysis. Korean J Food Cook Sci. 2019. 35:198-207.
    CrossRef
  32. Lee MN, Lee HY. Analysis of consumer intentions on fostering kalguksu and dumplings as Wonju local food. Journal of Hotel & Resort. 2021. 20(5):309-328.
  33. Lee MS, Kim KB, Kim YS, et al. The research on Sanchoneo mandu product development using conjoint analysis. Korean J Culinary Res. 2013. 19:164-178.
    CrossRef
  34. Meang JH, Park KW. A study on relevance about effective graphic elements and brand image of frozen mandoo package design.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2012. 10(3):123-136.
    CrossRef
  35. Mun S, Baek M, Lee KA. Effects of rice flour substitution levels on the gluten formation,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of dumpling shell. Korean J Food Cook Sci. 2020. 36:492-497.
    CrossRef
  36. Nam PS, Yoo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with addition of spirulina powder. Culi Sci Hos Res. 2022. 28(7):23-31.
  37. Oh S.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E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6. 2(1):1-12.
    CrossRef
  38. Oh SD. A literature review on the Mandoo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Cult. 2014. 29:129-139.
    CrossRef
  39. Park I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containing Boehmeria nivea powder. J Korean Soc Food Cult. 2018. 33:268-275.
  40. Park I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190-196.
    CrossRef
  41. Park J, Seong E, Heo 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umpling shell based on the addition of sorghum powder ad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1074-1081.
    CrossRef
  42. Park JH, Kim YJ. Choice criteria of convenience stor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Focus on single household. Journal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2020. 7(3):37-53.
    CrossRef
  43. Roh T, Choi J, Kim JG, et al. The rise of K-food in the United States, Bibigo: CJ CheilJedang's acquisition of Schwan's company. Korea Business Review. 2021. 25(3):35-60.
    CrossRef
  44. Seo YH, Kim HY.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with starch material.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9. 29:402-407.
    CrossRef
  45. Son JY.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after COVID-19.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2021.
  46. Yoon TH. Effect of eating out information searching methods on the selection attributes at fast-food restaurants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020. 36:373-381.
    CrossRef
  47. You SY, Lee MA.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 package design using conjoint analysis. J Nutr Health. 2018. 51:480-487.
    CrossRef

Article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4; 53(3): 297-307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4 https://doi.org/10.3746/jkfn.2024.53.3.29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전북지역 성인의 냉동만두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공다은1․최선아2․노정옥3

1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2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과
3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Received: December 21, 2023; Revised: January 29, 2024; Accepted: January 30, 2024

A Study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rozen Mandu (Korean Dumpling) for Adults in the Jeonbuk Area Using Conjoint Analysis

Da Eun Gong1 , Sun A Choi2 , and Jeong Ok Rho3

1Major of Nutritio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and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Jeong Ok R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 Jeonbuk 54896, Korea, E-mail: jorho@jbnu.ac.kr

Received: December 21, 2023; Revised: January 29, 2024; Accepted: January 30,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mparative merits of a selection of frozen mandu (Korean dumplings) as determined by adults in the Jeonbuk area and suggests an ideal type of frozen mandu that would appeal to adults as determined by conjoint analysis. Two hundred forty-o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to July 2022 to adults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a frozen mandu in a hypermarket or online. The order of importance of frozen mandu attributes was type (39.73%), ingredients (35.16%), purchasing method (13.14%), and shell texture (11.97%). The ideal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attributes was purchase online and grilled mandu with meat and a chewy texture. The most preferred frozen mandu for adults showed an incremental 62.7% potential market share by choice simulation versus the frozen mandu being currently sold. Using the attributes utility, the adult frozen mandu market was divided into two clusters. Adults in cluster 1 preferred grilled mandu and online purchase, while those in cluster 2 preferred steamed mandu and store purc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a database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rozen mandu products and the constru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adults.

Keywords: adult, frozen foods, behavior, marketing

서 론

우리나라의 만두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타나며 조선시대에서는 왕조의 의궤 음식으로 왕이 어만두를 먹었다는 기록과 조리법이 소개되어 있다(Kim 등, 1999; Oh, 2014; Oh, 2016). 역사적으로 귀한 요리였던 만두는 근대에 와서는 주로 겨울철이나 명절 등 특별한 날에 가정에서 빚어 먹는 음식으로 변화하였다(Kim과 Kim, 2013). 더욱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냉동식품 시장의 확대는 만두의 대중화에 기여하였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냉동만두 제품의 다양화, 고급화, 차별화가 진행되면서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보고된다(aTFIS, 2014, 2022a). 만두는 재료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제품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식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Nam과 Yoo, 2022), 만두소의 재료, 빚은 모양 및 조리방법에 따라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구운 만두, 편수 등의 다양한 제품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aTFIS, 2014). 최근 우리나라의 드라마와 팝 등의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K-푸드에 관한 관심도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등, 2023). Korea Customs Service(2021)의 보도에 따르면 COVID-19에도 한국식품의 수출은 한류 인기와 함께 가정간편식에서 전통 식품까지 지속해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냉동만두는 대표적인 K-푸드로 냉동만두 수출액은 2020년 5,089만 달러에서 2021년 6,371만 달러로 25.2%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aTFIS, 2022b), CJ 제일제당은 국내 식품업체 최초로 2020년 단일품목 매출 1조 원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Roh 등, 2021).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 따르면 국내 냉동만두의 시장 규모는 2019년 4,814억 원, 2020년 5,128억 원으로 증가하였으나 2021년에는 4,770억 원으로 감소하였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COVID-19의 영향으로 가정에서의 식사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식과 관련된 간편식의 구매가 증가하였으며(Kim 등, 2023; Lee, 2021; Lee와 Kim, 2021), 이는 2020년 냉동만두의 수요 증가로 나타났다. 그러나 COVID-19 장기화로 인해 냉동만두를 대체하는 다양한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과 밀키트가 출시되면서 2021년 냉동만두의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aTFIS, 2022b). 또 다른 원인분석으로는 식품업체들의 경쟁으로 냉동만두의 품질은 향상되었으나 만두의 종류와 품목이 유사해진 것이 냉동만두 시장의 성장을 둔화시킨 것으로 보고되었다(Jeon, 2022). 따라서 국내 냉동만두 시장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세분화된 기호를 고려한 다양한 제품 개발을 통한 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겠다(Kim, 20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95.4%가 만두/피자/떡볶이/면류의 간편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고 94.6%가 구매 의사가 있으며, 제품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구매가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 소비자의 만두 선택 속성 관련 연구(Chang과 Hwang, 2006; Kim 등, 2009)에서는 맛, 위생적 품질, 영양가, 가격, 제조사의 브랜드, 광고 등의 요인이 만두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냉동만두 시장의 확대와 함께 만두 관련 연구도 증가하였으며, 만두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속성(Cho, 2010), 우렁이 만두 제품의 마켓 테스트(Chang과 Hwang, 2006), 만두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만두 유형별 이용행동(Kim 등, 2009), 만두의 조리 방법별 중심부 온도 연구(Kim과 Kim, 2013), 냉동만두 패키지의 브랜드이미지 연구(Meang과 Park, 2012)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소비자의 만두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로 냉동만두 업체에서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에 활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속성의 효용분석을 통하여 소비자의 의사결정을 제시해 주는 컨조인트 분석법(Green과 Srinivasan, 1990)을 이용하고자 한다. 컨조인트 분석법은 제품의 속성 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고, 각 속성 수준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시장점유율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식품개발과 외식산업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Choi 등, 2022a; Choi 등, 2022b; Han 등, 2021; Lee, 2019; Lee 등, 2019; You와 Lee, 2018). 그러나 만두 관련 컨조인트 연구는 조리 전공자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산천어 만두 제품 연구가 있을 뿐이다(Lee 등, 2013). Kim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20대 이상의 성인들이 자주 먹는 만두의 유형은 즉석만두보다 냉동만두를 자주 먹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구매 실태와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 수준의 효용도를 예측하여 이상적인 냉동만두 속성의 조합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조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냉동만두 선택 속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냉동만두 구매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하여 컨조인트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예비조사는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승인 번호: JBNU 2022-05-06-008) 승인 이후 남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실시하였으며, 이후 설문지를 수정하였다. 대상자는 전주시, 군산시, 익산에 거주하는 성인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22년 6~7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조사장소는 대학교, 종교시설, 문화센터 및 지역 공공기관 등을 방문하여 해당기관의 점심시간과 휴게시간을 이용하였다. 조사시작 전 조사목적을 설명하고 의사가 있는 경우에만 조사에 참여하도록 안내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부하여 전부 회수되었다. 그러나 컨조인트 분석을 위하여 가상의 프로파일과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의 Kendal tau 값을 분석한 결과, 9개의 자료에서 전체 경향과 상이한 컨조인트 답변이 나타나 이를 제외한 241부(96.4%)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 도구 및 측정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4개 부분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냉동만두 구매동기 및 냉동만두 구매 실태, 냉동만두 선택 속성과 수준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수준, 결혼 여부, 월수입, 주거형태의 총 7문항이며, 연령은 직접 기록하도록 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 및 구매 실태 항목은 Cho(2010), Kim 등(2009), Lee 등(2013)의 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개발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는 ‘식사 대용’, ‘간식 대용’, ‘맛이 있어서’, ‘영양이 풍부해서’ 등 총 9문항이며 Likert 척도로 이용 동기(5점 ‘매우 그렇다’~1점 ‘전혀 그렇지 않다’)를 조사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의 Cronbach’s α 계수는 0.698로 나타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냉동만두의 구매 행동은 구매빈도, 섭취 이유, 냉동만두 조리 방법,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 및 증가 이유, 구매 장소 및 구매 브랜드 등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COVID-19 기간의 냉동만두 구매빈도 증가 이유, 구매 장소, 구매 브랜드는 중복응답으로 조사하였으며, 구매빈도 증가 이유는 COVID-19 기간 구매빈도가 증가한 경우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관련 선행연구(Cho, 2010; Kim 등, 2009; Lee 등, 2013)와 전북지역의 대형마트, 식자재마트, 편의점 및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냉동만두 유형, 가격 및 브랜드를 바탕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자료 수집 후 연구자의 진행으로 10명의 식품영양 및 감각과학 석・박사, 외식경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과 속성별 수준을 도출한 후 2회의 검증을 위한 토론을 거쳐 최종적으로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의 4가지 속성과 각각의 속성 수준을 결정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개 수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개 수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개 수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개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도출된 속성과 속성 수준을 바탕으로 가상의 냉동만두 제품의 프로파일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속성과 속성 수준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 Attributes and levels of frozen mandu.

AttributesAttributes levelAttributes level explain
Type of manduBoiled manduA product for boiling.
Grilled manduA product for grilling.
Steamed manduA product for steaming.
IngredientsMeatMain ingredient is meat.
KimchiMain ingredient is kimchi.
SeafoodMain ingredient is seafood (e.g. shrimp).
Shell textureSoftisit store
ChewyOnline
Purchasing methodVisit storePurchase directly from the mart.
OnlineOrder online (e.g. Coupang, e-mart mall, etc.).


설문조사를 위한 프로파일을 구성하기 위하여 모든 속성을 고려한 완전 프로파일 설계법(full profile method)을 사용할 경우, 가능한 프로파일 수는 총 36개(3×3×2×2)이다. 그러나 모든 프로파일을 조사대상자에게 제시하여 비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직교설계(orthogonal design)를 통해 총 9개의 주 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Han 등, 2021). 이와 함께 모형의 신뢰성과 교차타당성 검정을 위해 검정용 프로파일(holdout set) 4개를 생성하여 총 13개의 프로파일을 디자인하였다. 설문지에는 컨조인트 디자인으로 구성된 가상의 냉동만두 프로파일에 대하여 선호도에 따라 순위를 기재하도록 하였다. 13개의 컨조인트 카드에 기재된 속성들의 세부 수준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 Information of profile cards for conjoint analysis.

CardType of manduIngredientsShell texturePurchasing method
1Boiled manduKimchiChewyOnline
2Grilled manduMeatSoftOnline
3Grilled manduSaefoodChewyVisit store
4Grilled manduKimchiSoftVisit store
5Steamed manduSeafoodSoftOnline
6Steamed manduMeatChewyVisit store
7Boiled manduMeatSoftVisit store
8Boiled manduSeafoodSoftVisit store
9Steamed manduKimchiSoftVisit store
101)Boiled manduMeatChewyVisit store
111)Boiled manduKimchiChewyVisit store
121)Grilled manduMeatChewyVisit store
131)Boiled manduMeatSoftOnline

1)Verification..



자료 분석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7.0(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성별에 따라 χ2-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에서 기대빈도가 5 미만 셀의 경우에는 Fisher’s exact test 결과의 P-값을 제시하였다. 냉동만두 이용 동기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성인의 가상 냉동만두에 대한 선호도 분석을 위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속성별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별 수준에 따른 효용값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최적속성조합을 산출하였으며, 최적화된 냉동만두를 출시했을 때의 시장점유율을 예측하고자 choice simulation을 실시하였다. 시장세분화 분석은 속성별 부분 가치를 이용하여 K-means clustering를 실시하였으며, 군집에 따른 일반적 특성, 냉동만두 구매빈도 및 조리방법 분석은 χ2-test를 실시하여 냉동만두 세분시장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및 고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으로 ‘남성’은 121명(50.2%), ‘여성’은 120명(49.8%)이었다. 직업은 ‘사무직’이 42.3%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학생’이 21.6%, ‘전문직’이 18.7%, ‘기타’가 17.4%였다. 조사대상자가 직접 작성한 기타 직업은 ‘주부’, ‘프리랜서’였다. 조사대상자 75.5%의 학력은 ‘대학교 이상’이며, 남성은 ‘대학교 이상’이 66.9%, ‘대학교 재학’은 20.7%, ‘고등학교’는 12.4%이며, 여성은 ‘대학교 이상’이 84.2%, ‘고등학교’는 9.2%, ‘대학교 재학’은 6.7%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원주지역 성인대상의 연구(Lee와 Lee, 2021)에서도 대학교 졸업 이상이 79.0%,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21.1%로 높은 학력 수준을 보였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51.0%, ‘미혼’이 49.0%이며, 남성의 55.4%는 ‘미혼’, 여성의 57.5%는 ‘기혼’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조사대상자의 51.0%의 월평균 소득은 ‘400만 원 이상’이며, 21.6%는 ‘300만 원 이상 400만 원 미만’으로 전체의 72.6%가 300만 원 이상의 소득수준을 보였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79.3%의 거주형태는 ‘자택’이며, 성별에 따라 여성은 ‘자택’ 거주가 높으나 남성은 ‘하숙’과 ‘자취’가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기타 의견은 ‘학교 기숙사’, ‘회사 사택’이었다. Park과 Kim(2020)의 편의점 선택기준 연구에 따르면 20대와 30대가 차지하는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으나 최근 자녀 교육 또는 인사이동으로 인하여 1인 가구의 연령과 직업군이 다양해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회사 사택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는 1인 가구로 생각된다. Lee 등(2020)은 1인 가구는 1인 분량의 식사를 준비하는 시간과 식재료 구매가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가공식품 및 간편식의 구매율이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의 기혼과 미혼자의 분포는 냉동만두의 소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able 3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χ2-value
Age20≤∼<3040(33.1)1)37(30.8)77(32.0)0.137
30≤∼<4040(33.1)41(34.2)81(33.6)
40≤41(33.9)42(35.0)83(34.3)

OccupationStudent30(24.8)22(18.3)52(21.6)4.467
Office worker55(45.4)47(39.2)102(42.3)
Professional19(15.7)26(21.7)45(18.7)
Others17(14.0)25(20.8)42(17.4)

Education levelHigh school15(12.4)11(9.2)26(10.8)11.567**
In college25(20.7)8(6.7)33(13.7)
University≤81(66.9)101(84.2)182(75.5)

Marital statusMarried54(44.6)69(57.5)123(51.0)3.995*
Single67(55.4)51(42.5)118(49.0)

Monthly income (10,000 Won)<2006(5.0)12(10.0)18(7.5)3.780
200≤∼<30022(18.2)26(21.7)48(19.9)
300≤∼<40025(20.7)27(22.5)52(21.6)
400≤68(56.2)55(45.8)123(51.0)

Residence typeHousing89(73.6)102(85.0)191(79.3)8.447*
Boarding house9(7.4)1(0.8)10(4.1)
Self-boarding13(10.7)11(9.2)24(10.0)
Others10(8.3)6(5.0)16(6.6)

1)N (%). *P<0.05, **P<0.01..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은 Table 4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27.8%는 ‘6개월에 1~2회’, 13.3%는 ‘1주에 2회 이상’, 6.2%는 ‘1년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섭취 이유는 ‘야식’이 32.4%, ‘오후 간식’이 28.2%로 나타나 주로 간식으로 섭취한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만두는 간식으로 적합한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Cho(2010)의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들은 만두를 주식보다는 간식으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에 냉동만두를 구매한 사람을 대상으로 냉동만두의 취식상황과 목적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36.5%가 간식용이며 11.6%는 특히 술안주용으로 나타나(aTFIS, 2022b),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4 . Purchase behavior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χ2-value
Purchase frequency2 times/week≤12(9.9)1)20(16.7)32(13.3)2.977
1∼2 times/month64(52.9)63(52.5)127(52.7)
1∼2 times/6 month36(29.8)31(25.8)67(27.8)
1∼2 times/year9(7.4)6(5.0)15(6.2)

Reason of intakeBreakfast3(2.5)6(5.0)9(3.7)3.525
Lunch19(15.7)11(9.2)30(12.4)
Dinner26(21.5)30(25.0)56(23.2)
Afternoon snack33(27.3)35(29.2)68(28.2)
Late-night snack40(33.1)38(31.7)78(32.4)

Cooking methodsGrill42(34.7)49(40.8)91(37.8)5.945
Steam44(36.4)43(35.8)87(36.1)
Fry19(15.7)15(12.5)34(14.1)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9(7.4)12(10.0)21(8.7)
Others7(5.8)1(0.8)8(3.3)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Yes27(22.3)48(40.0)75(31.1)12.165**
No52(43.0)50(41.7)102(42.3)
Don’t know42(34.7)22(18.3)64(26.6)

Reason for increasing the purchase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n=75)2)To stock up on foods5(18.5)15(31.3)20(26.7)
Eating at home instead of eating out19(70.4)27(56.3)46(61.3)
It’s easy to store5(18.5)18(37.5)23(30.7)
It’s easy to cook8(29.6)19(39.6)27(36.0)
Others0(0.0)1(2.1)1(1.3)

1)N (%). 2)Multiple answer. **P<0.01..



구매한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은 ‘구워서 먹는다’(37.8%)와 ‘쪄서 먹는다’(36.1%)가 주로 이용하는 조리법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튀겨서 먹는다’가 14.1%, ‘라면, 국 등의 다른 음식에 넣어서 먹는다’가 8.7%, ‘기타’가 3.3%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기타의 조리방법은 에어프라이어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였다. 선행연구에서 만두 조리법은 ‘구워서 먹는다’가 40.8%, ‘쪄서 먹는다’가 29.6%로 높게 나타났는데(Cho, 2010), 본 연구 결과에서도 굽거나 찌는 조리법이 높게 나타나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22b)에서도 냉동만두의 조리방법으로 ‘프라이팬에 굽기’ 34.5%, ‘찜기/찜솥에 찌기’가 33.9%로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COVID-19 확산 이후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42.3%는 ‘아니오’, 31.1%는 ‘예’, 26.6%는 ‘모르겠다’라고 답하였다. 성별에 따라 남성의 43.0%는 ‘아니오’, 34.7%는 ‘모르겠다’이지만 여성의 40.0%는 ‘예’, 41.7%는 ‘아니오’, 18.3%는 ‘모르겠다’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냉동만두의 구매가 COVID-19 기간 증가하였다고 답한 75명을 대상으로 증가 이유를 중복으로 조사한 결과,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해서’가 61.3%로 가장 많은 답변을 보였으며, ‘조리방법이 간편해서’는 36.0%, ‘보관이 용이해서’는 30.7%, ‘식량 비축을 위해’는 26.7%, ‘기타’가 1.3%로 나타났다. COVID-19 이후 가정간편식의 소비행태 변화를 조사한 Son(2021)의 연구에서 COVID-19 발생 이후 조사대상자의 22.2%가 외식 빈도가 낮아졌다고 답하였으며, 20.0%는 집에서 직접 요리하는 빈도가 높아졌다고 답하여 본 조사의 COVID-19 이후의 냉동만두 구매의 증가 이유를 일부 확인하였다. 2021년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에서도 2020년 대비 만두/피자류의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COVID-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으로 인해 가정에서의 증가한 식사 빈도의 영향으로 분석되었다(KREI, 20211). 본 조사에서도 COVID-19 이후 여성의 냉동만두 구매가 증가한 것은 가정에서의 식사 빈도가 증가하면서 주부들이 식사준비의 부담을 경감하고자 냉동만두 등의 간편식 구매가 증가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 장소 및 구매하는 브랜드를 중복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72.6%는 ‘대형마트’, 39.8%는 ‘온라인 구매’, 29.5%는 ‘식재료 마트’, 14.1%는 ‘슈퍼마켓’, 5.8%는 ‘편의점’에서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KREI, 2021)에서 간편식 구매 장소는 대형 할인점이 4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만두 소매점 매출의 유통경로 조사(aTFIS, 2021)에서는 대형 할인점이 34.6%, 체인슈퍼 25.7%, 독립슈퍼 24.1%, 편의점 7.3%, 일반식품점 7.7%, 백화점 0.6%의 순으로 보고되어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Son(2021)의 연구에서 대형마트에서의 가정간편식 구매는 COVID-19 발생 이전에는 조사대상자의 46.5%, 발생 이후는 35.5%로 하락하였으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COVID-19 발생 이전은 26.8%, 발생 이후는 41.7%로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구매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1)의 조사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공식품을 주로 구매하는 장소로 선택한 이유는 ‘직접 배달해 줘서’가 28.6%, ‘가격이 저렴해서’가 19.8%로 나타났다. Han 등(2021)의 연구에서도 도시락 전문점 선택 시 ‘배달 가능’이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Heo와 Bae(2020)의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배달 앱 이용을 성인의 식품소비 방식의 변화로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전북지역 성인들의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Table 5 . Purchase place and preferred brands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
Purchase place2)Hypermarket90(74.4)1)85(70.8)175(72.6)
Online40(33.1)56(46.6)96(39.8)
Food material market30(24.8)41(34.2)71(29.5)
Supermarket12(9.9)22(18.3)34(14.1)
Convenience store8(6.6)6(5.0)14(5.8)

Preferred brands2)CJ Bibigo110(90.9)103(85.8)213(88.4)
Pulmuone27(22.3)54(45.0)81(33.6)
Ottogi20(16.5)17(14.2)37(15.4)
Chungjungone11(9.1)18(15.0)29(12.0)
Dongwon9(7.4)13(10.8)22(9.1)
Others26(21.5)20(16.7)46(19.1)

1)N (%). 2)Multiple answer..



구매하는 브랜드는 조사대상자의 88.4%가 ‘CJ 비비고’, 33.6%는 ‘풀무원’, 15.4%는 ‘오뚜기’ 등이며, 기타 브랜드는 해태, 백설, 삼양 및 노브랜드 등으로 나타났다. 2022년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aTFIS, 2022a)에 따르면 ‘CJ’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그다음은 ‘풀무원’, ‘해태’, ‘동원 F&B’, ‘오뚜기’의 순이었다. 냉동만두 시장은 현재 국내업체뿐만 아니라 베트남과 중국 등에서 딤섬, 중국식 만두가 수입되고 있어 향후 소비자들의 냉동만두 구매 브랜드는 보다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동기

조사대상자의 냉동만두 구매동기는 Table 6과 같다. 냉동만두 구매동기의 총평균은 5점 기준 3.49점, 성별에 따른 평균 점수는 남성이 3.42점, 여성은 3.55점으로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 9개의 구매동기 항목 중 ‘조리가 편리해서’(4.04점)가 가장 높은 구매동기이며, ‘대중매체의 영향으로’(2.66점)가 가장 낮은 구매동기였다. 9개 항목 중 평균값(3.49점) 이상으로 나타난 구매동기는 ‘조리가 편리해서’, ‘맛이 있어서’, ‘간식용으로’, ‘보관이 편리해서’, ‘만두를 좋아해서’의 5개 항목이며, ‘가격이 적절하다’, ‘식사용으로’, ‘영양이 풍부해서’, ‘대중매체의 영향으로’는 평균값 이하의 낮은 구매동기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 ‘간식 대용으로’는 남성이 3.87점, 여성은 4.11점으로 여성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대중매체의 영향으로’는 남성이 2.51점, 여성은 2.91점으로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사대상자가 직접 작성한 기타의 구매동기는 ‘비상식량용’, ‘지인의 추천’ 및 ‘시식사원의 권유’였다. Kim 등(2009)의 냉동만두 구매동기조사에서 만두의 간식성이 5점 기준 3.72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격의 경제성 2.97점, 식사대용은 2.79점으로 나타났으며, Cho(2010)의 연구에서도 조사대상자의 68.9%가 간식용으로 만두를 먹는 것으로 보고되어 본 조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한편, Choi 등(2022b)의 남녀대학생의 프랜차이즈 햄버거 구매동기조사에서 광고 및 리플렛의 영향으로 구매한다는 남학생은 5점 기준 2.61점, 여학생은 3.22점으로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본 조사에서도 냉동만두 구매 시 남성보다는 여성이 대중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Yoon(2020)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SNS, TV 광고가 고객의 음식에 대한 접근성과 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여성이 남성보다 대중매체에 대한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향후 여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겠다.

Table 6 . Purchase motivation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t-value
Convenience of cooking3.99±0.801)4.08±0.814.04±0.802)−0.885
Good taste3.99±0.734.02±0.874.00±0.80−0.242
For snacks3.87±0.904.11±0.863.99±0.89−2.120*
Convenience of storage3.90±0.944.03±0.803.97±0.87−1.183
A high preference of mandu3.64±0.983.84±1.003.74±0.99−1.617
Adequate price3.17±0.963.22±0.903.19±0.93−0.428
For a meal2.96±1.073.10±1.133.03±1.10−1.000
Rich nutrition2.77±0.862.78±0.892.77±0.88−0.057
Influence of the media2.51±1.032.91±1.072.66±1.06−2.190*

Mean±SD3.42±0.503.55±0.493.49±0.50−2.080*

1)Mean±SD. 2)Likert scale: 5 (very much)∼1 (never). *P<0.05..



컨조인트 분석 결과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 추정: 전북지역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시 고려되는 속성의 각 수준의 부분 가치를 추정하여 4가지 속성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계산하여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 . Optimal combination of frozen mandu.

AttributesAttributes levelUtilityRelative importance (%)Utility×Relative importance
Type of manduBoiled mandu−0.72139.731−28.646
Grilled mandu0.82232.659
Steamed mandu−0.101−4.013

IngredientsMeat1.01935.16235.830
Kimchi−0.267−9.388
Seafood−0.752−26.442

Shell textureSoft−0.25711.965−3.075
Chewy0.2573.075

Purchasing methodVisit store−0.18513.142−2.431
Online0.1852.431

Model fitPearson’s R=0.999 (P<0.001), Kendall’s tau=1.000 (P<0.001)

Total utility of ideal combinationGrilled mandu (32.659)+Meat (35.830)+Chewy (3.075)+Online (2.431)=73.995

Results of choice simulationOptimizes model: Max utility=73.2%, BTL=62.7%, Logit=73.0%
Model for sales: Max utility=26.8%, BTL=37.3%, Logit=27.0%


컨조인트 모형의 적합성 분석 결과, 관측된 선호도와 추정된 선호도 간의 상관계수인 Pearson의 R값은 0.999(P<0.001), Kendall의 tau 값은 1.000(P<0.001)으로 분석되어 직교설계를 통해 추출된 프로파일들이 적합하게 구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상대적 중요도는 산출된 부분 가치의 최대치와 최소치 차이를 통해 속성별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며, 부분 가치는 각 속성 수준의 선호 수준을 의미한다(Han 등, 2021; Kim 등, 2017). 성인들이 냉동만두를 선택할 때의 제시된 속성의 중요도는 ‘만두 종류’(39.73%), ‘만두 속재료’(35.16%), ‘구매 방법’(13.14%), ‘만두피의 식감’(11.97%)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16)에 따르면 만두는 기온이 낮은 시기에 상대적으로 매출이 높으며, 만두의 종류별 매출의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2016년 상반기 기준 매출이 높은 만두는 교자만두이며, 그다음은 군만두, 물만두, 왕만두, 기타 만두류, 찐만두의 순이었다. Chang과 Hwang(2006)의 연구에서 소비자들이 만두를 구매할 때 중요한 결정인자는 조사대상자의 60%가 맛으로 답하였으며, 그다음은 위생적인 품질, 영양가, 가격, 브랜드 명의 순으로 보고하였다. 소비자들은 만두의 속재료에 따라 맛의 차이를 인식하기 때문에 만두의 속재료는 소비자들의 만두 구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산천어 만두 제품 개발 연구(Lee 등, 2013)에서는 제시된 4가지 속성 중 만두의 속재료(33.09%)가 가장 중요한 선택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가격(30.28%), 외관(21.69%), 매운맛 정도(14.94%)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에서 제시된 냉동만두의 속성과 선행연구의 속성과는 차이가 있었으나 만두의 속재료가 만두 선택 시 중요한 속성임을 재확인하였다.

속성들의 부분 가치 추정 결과, 제시된 속성 수준에서 ‘만두 종류’는 ‘물만두’(-0.721), ‘군만두’(0.822), ‘찐만두’ (-0.101)로 군만두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물만두의 부분 가치가 가장 낮았다. ‘만두 속재료’는 ‘고기’(1.019), ‘김치’(-0.267), ‘해산물’(-0.752)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0.257)보다는 ‘쫄깃함’(0.257)을 더 선호하고,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185)를 ‘직접 마트에서 구매’(-0.185)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2009)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들은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왕만두의 순으로 선호하는 만두 종류가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선호하는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채소, 해물의 순으로 나타나 본 조사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Han 등(2021)Kim 등(2020)의 도시락 메뉴 보고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들은 육류 메뉴를 가장 선호하며, 그다음은 생선・해물류, 가금류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높은 육류의 선호도를 보였는데, 본 조사에도 속재료가 고기인 만두의 선호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Cho(2010)의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만두피 속성에 대한 만족도는 ‘쫄깃함’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은 ‘두께가 얇을수록’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만두피와 관련하여 Kang과 Han(2015), Park 등(2021)에 따르면 냉동만두 제조 시 쫄깃한 만두피가 대중적으로 선호되기 때문에 밀단백질인 글루텐의 점탄성을 이용한 강력분만을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소량 첨가하여 품질개선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등, 2011; Mun 등, 2020; Park, 2015, 2018). 특히, Seo와 Kim(2019)은 밀가루를 이용한 만두피가 조리 후에 빠른 시간 내에 굳어져 식감 및 기호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타피오카 전분 또는 감자전분을 이용하여 보다 점성이 높고 쫄깃한 식감을 가진 만두피 제조를 시도하였다. 실제 식품산업통계정보(aTFIS, 2014)에 따르면 만두피에 찹쌀이나 쌀, 메밀가루 등을 첨가한 만두가 출시되고 있으며, 기존의 밀가루 만두피보다 감자 만두피가 식감이 쫄깃하여 시장의 반응이 좋다고 보고하여 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쫄깃한 만두피의 선호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냉동만두 선택 속성의 최적 속성 조합 및 시장점유율: 각 속성과 속성 수준의 부분 가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을 도출한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속성 수준별 중요도에 따라 그 효용치가 달라지므로 부분 가치를 상호비교하기 위하여 속성별 중요도와 부분 가치를 곱하여 효용결합 측정을 하였다. 결합측정을 바탕으로 전체 조사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속성의 결합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73.995의 효용결합값을 나타냈다.

시장점유율 분석을 위하여 choice simulation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장점유율 예측에 사용되는 최대효용모형(maximum utility model), BTL 모형(Bradly-Terry Luce model), Logit 모형(Logi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Kim 등, 2017; Lee 등, 2016).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으로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73.2%, BTL 모형 62.7%, Logit 모형 73.0%였다. 현재 판매되는 경쟁사의 냉동만두 속성은 ‘찐만두’, ‘김치’, ‘부드러움’,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모형의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최대효용모형 26.8%, BTL 모형 37.3%, Logit 모형 27.0%로 나타났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속성인 ‘만두 종류’를 바탕으로 최적의 냉동만두 제품 모형과 현재 판매되는 제품의 냉동만두를 구분하면 성인을 위한 최적의 냉동만두 모형은 ‘군만두’이며, 현재 판매되는 냉동만두 모형은 ‘찐만두’이다. 예측된 시장점유율 모형 중 BTL 모형을 바탕으로 ‘군만두’ 냉동만두 모형은 62.7%, ‘찐만두’는 37.3%로 조사대상자들은 ‘군만두’에 대한 요구도가 더 높았다.

냉동만두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군집분석: 컨조인트 분석 결과 도출된 냉동만두 속성의 효용값을 시장 세분화 변수로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장세분화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시장세분화를 위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에는 133명(55.2%), 군집 2에는 108명(44.8%)이었다. 군집 1의 속성별 부분 가치를 비교하면 ‘만두 종류’는 ‘군만두’(2.05),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0.53),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4),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0.36)를 선호하였다. 군집 2에서 ‘만두 종류’는 ‘찐만두’(0.91),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0.28),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0.03)를 선호하였으며, ‘만두 속재료’에서는 ‘고기’(1.63)를 강하게 요구하였다.

Table 8 . Utilities of frozen mandu by cluster analysis.

AttributesAttributes levelCluster 1 (n=133)Cluster 2 (n=108)
Type of manduBoiled mandu−1.131)−0.22
Grilled mandu2.05−0.69
Steamed mandu−0.920.91

IngredientsMeat0.531.63
Kimchi−0.01−0.59
Seafood−0.52−1.04

Shell textureSoft−0.24−0.28
Chewy0.240.28

Purchasing methodVisit store−0.360.03
Online0.36−0.03

1)Utility..



군집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9에 제시하였다. 군집별 비교 결과, 성별, 연령대, 직업, 학력, 결혼 여부 및 월 평균소득은 군집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주형태는 군집 1이 ‘자택’ 72.2%, ‘자취’ 12.0%, ‘하숙’ 6.0%, ‘기타’ 9.8%이며, 군집 2는 ‘자택’ 88.0%, ‘자취’ 7.4%, ‘하숙’ 1.9%, ‘기타’ 2.8%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군집 1은 군집 2보다 자취, 하숙 및 기타 거주가 높으며, 군집 2는 군집 1보다 자택 거주가 높았다.

Table 9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Cluster 1 (n=133)Cluster 2 (n=108)Total (n=241)χ2-value
SexMale68(51.1)1)53(49.1)121(50.2)0.101
Female65(48.9)55(50.9)120(49.8)

Age20≤∼<3040(30.1)37(34.3)77(32.0)0.592
30≤∼<4047(35.3)34(31.5)81(33.6)
40≤46(34.6)37(34.3)83(34.3)

OccupationStudent27(20.3)25(23.1)52(21.6)1.229
Office worker60(45.1)42(38.9)102(42.3)
Professional25(18.8)20(18.5)45(18.7)
Others21(15.8)21(19.4)42(17.4)

Education levelHigh school15(11.3)11(10.2)26(10.8)0.188
In college19(14.3)14(13.0)33(13.7)
University≤99(74.4)83(76.9)182(75.5)

Marital statusMarried62(46.6)61(56.5)123(51.0)2.321
Single71(53.4)44(43.5)118(49.0)

Monthly income (10,000 Won)<20012(9.0)6(5.6)18(7.5)3.733
200≤∼<30031(23.3)17(15.7)48(19.9)
300≤∼<40026(19.5)26(24.1)52(21.6)
400≤64(48.1)59(54.6)123(51.0)

Residence typeHousing96(72.2)95(88.0)191(79.3)10.037*
Boarding house8(6.0)2(1.9)10(4.1)
Self-boarding16(12.0)8(7.4)24(10.0)
Others13(9.8)3(2.8)16(6.6)

1)N (%). *P<0.05..



Table 10은 군집별 냉동만두 구매 행동을 비교한 결과이다. 냉동만두의 구매빈도는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1주일에 2회 이상’이 군집 1은 14.3%, 군집 2는 12.0%이며, ‘한 달에 1~2회’는 군집 1이 51.9%, 군집 2는 53.7%로 군집 1이 구매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리방법은 군집 1의 경우 ‘구워서 먹는다’가 46.6%, ‘튀겨서 먹는다’가 17.3%이며, 군집 2는 ‘쪄서 먹는다’가 50.9%로 높게 나타나 군집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섭취 이유는 군집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야식’ 항목에서 군집 1(35.3%)이 군집 2(28.7%)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COVID-19 확산 이후 냉동만두 구매빈도의 증가 여부에 대하여 군집 1의 26.3%는 ‘예’, 40.6%는 ‘아니오’, 33.1%는 ‘모르겠다’라고 답하였으나, 군집 2는 ‘예’가 37.0%, ‘아니요’가 44.4%, ‘모르겠다’가 18.5%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Kim 등(2009)의 연구에 따르면 주부는 찐만두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Table 10 . Purchase frequency and cooking method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Cluster 1 (n=133)Cluster 2 (n=108)Total (n=241)χ2-value
Purchase frequency2 times/week≤19(14.3)1)13(12.0)32(13.3)1.299
1∼2 times/month69(51.9)58(53.7)127(52.7)
1∼2 times/ 6 month35(14.5)32(29.6)67(27.8)
1∼2 times/year10(7.5)5(4.6)15(6.2)

Reason of intakeBreakfast4(3.0)5(4.6)9(3.7)1.696
Lunch15(11.3)15(13.9)30(12.4)
Dinner31(23.2)25(23.1)56(23.2)
Afternoon snack36(27.1)32(29.6)68(28.2)
Late-night snack47(35.3)31(28.7)78(32.4)

Cooking methodsGrill62(46.6)29(26.9)91(37.8)21.973***
Steam32(24.1)55(50.9)87(36.1)
Fry23(17.3)11(10.2)34(14.1)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10(7.5)11(10.2)21(8.7)
Others6(4.5)2(1.9)8(3.3)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Yes35(26.3)40(37.0)75(31.1)7.170*
No54(40.6)48(44.4)102(42.3)
Don’t know44(33.1)20(18.5)64(26.6)

1)N (%). *P<0.05, ***P<0.001..



학생은 군만두의 선호도가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혼자의 비율이 높은 Cluster 1에서는 구워 먹거나 튀겨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으며, 기혼자와 자택거주가 높은 Cluster 2에서는 쪄서 먹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있어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군집결과를 볼 때 군집 1은 미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취와 하숙 및 회사 사택 거주자가 많았으며, 기름을 첨가하여 냉동만두를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을 선호하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빈도가 특별히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군집 2는 기혼자의 비율이 높고 자택 거주자가 군집 1보다 많으며, 조리방법은 쪄서 먹는 방법을 선호하였고 COVID-19 동안 냉동만두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등(2013)은 컨조인트 분석의 결과가 전체시장 수준이 아닌 소비자 개인의 선호도를 측정하므로 예측타당성이 높으며,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자료를 적절하고 의미 있게 제공한다고 하였다. 또한, Han 등(2021)은 중요도가 높은 속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면서 군집별 선호하는 속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거주 형태, 결혼 여부 및 구매동기 등을 고려하여 냉동만두의 종류와 조리법 등의 차별화된 냉동만두 제품을 출시한다면 소비자들이 보다 만족하는 냉동만두 제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요 약

본 연구는 전북지역 성인 241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7월까지 성인의 냉동만두 구매 행동 및 냉동만두 선택 속성 및 수준을 조사하고 최적의 냉동만두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냉동만두 속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52.7%는 ‘한 달에 1~2회’ 냉동만두를 구매하고 32.4%는 ‘야식’으로 섭취하며, 굽거나(37.8%) 쪄서 먹는 조리법(36.1%)을 선호하였다. COVID-19 기간 남성보다 여성이 냉동만두의 구매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구매처는 ‘대형마트’(72.6%)와 ‘온라인’(39.8%)을 통해서 구매하였다. 냉동만두를 구매하는 가장 큰 구매동기는 ‘조리가 편리해서’이며, ‘간식 대용으로’와 ‘대중매체 영향으로’가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구매동기로 나타났다. FGI 결과, 냉동만두의 선택 속성은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만두피의 식감’, ‘구매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만두 종류의 속성 수준은 ‘물만두’, ‘군만두’, ‘찐만두’의 3가지,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물’의 3가지, ‘만두피의 식감’은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2가지, ‘구매 방법’은 ‘직접 마트에서 구매’와 ‘온라인 주문’의 2가지로 구성하였다. 냉동만두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 ‘만두 종류’, ‘만두 속재료’, ‘구매 방법’, ‘만두피의 식감’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 속성의 수준에 대한 효용값 분석 결과, ‘만두 종류’는 ‘군만두’, ‘찐만두’, ‘물만두’의 순으로 선호하고, ‘만두 속재료’는 ‘고기’, ‘김치’, ‘해산물’의 순으로 육류의 만두소를 선호하며, ‘구매 방법’은 ‘온라인 구매’를, ‘만두피의 식감’은 ‘쫄깃함’을 더 선호하였다. 각 속성과 속성 수준들의 효용값을 이용하여 성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상의 냉동만두 수준을 도출한 결과,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냉동만두 선호예측점수는 73.995점이며,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62.7%이었다. 속성의 부분 가치를 이용한 시장세분화 결과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은 ‘군만두’, ‘고기’, ‘쫄깃함’, ‘온라인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55.2%가 해당하였다. 군집 2는 ‘찐만두’, ‘고기’, ‘쫄깃함’, ‘직접 마트에서 구매’로 조사대상자의 44.8%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결과, 조사 대상 성인들의 거주 형태 및 조리법 등의 특성들이 냉동만두 선택 속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은 만두 속재료가 고기고 만두피가 쫄깃한 군만두와 찐만두를 선호하고 있으며, 마트에서 직접 구매하지만 온라인 구매가 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속성의 중요도 및 시장세분화 결과는 향후 냉동만두 시장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만두의 종류와 속재료 등을 고려한 냉동만두 제품의 개발 및 판매방식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북지역 일부 성인의 선택 동기 및 선호 브랜드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으므로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Table 1 . Attributes and levels of frozen mandu.

AttributesAttributes levelAttributes level explain
Type of manduBoiled manduA product for boiling.
Grilled manduA product for grilling.
Steamed manduA product for steaming.
IngredientsMeatMain ingredient is meat.
KimchiMain ingredient is kimchi.
SeafoodMain ingredient is seafood (e.g. shrimp).
Shell textureSoftisit store
ChewyOnline
Purchasing methodVisit storePurchase directly from the mart.
OnlineOrder online (e.g. Coupang, e-mart mall, etc.).

Table 2 . Information of profile cards for conjoint analysis.

CardType of manduIngredientsShell texturePurchasing method
1Boiled manduKimchiChewyOnline
2Grilled manduMeatSoftOnline
3Grilled manduSaefoodChewyVisit store
4Grilled manduKimchiSoftVisit store
5Steamed manduSeafoodSoftOnline
6Steamed manduMeatChewyVisit store
7Boiled manduMeatSoftVisit store
8Boiled manduSeafoodSoftVisit store
9Steamed manduKimchiSoftVisit store
101)Boiled manduMeatChewyVisit store
111)Boiled manduKimchiChewyVisit store
121)Grilled manduMeatChewyVisit store
131)Boiled manduMeatSoftOnline

1)Verification..


Table 3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χ2-value
Age20≤∼<3040(33.1)1)37(30.8)77(32.0)0.137
30≤∼<4040(33.1)41(34.2)81(33.6)
40≤41(33.9)42(35.0)83(34.3)

OccupationStudent30(24.8)22(18.3)52(21.6)4.467
Office worker55(45.4)47(39.2)102(42.3)
Professional19(15.7)26(21.7)45(18.7)
Others17(14.0)25(20.8)42(17.4)

Education levelHigh school15(12.4)11(9.2)26(10.8)11.567**
In college25(20.7)8(6.7)33(13.7)
University≤81(66.9)101(84.2)182(75.5)

Marital statusMarried54(44.6)69(57.5)123(51.0)3.995*
Single67(55.4)51(42.5)118(49.0)

Monthly income (10,000 Won)<2006(5.0)12(10.0)18(7.5)3.780
200≤∼<30022(18.2)26(21.7)48(19.9)
300≤∼<40025(20.7)27(22.5)52(21.6)
400≤68(56.2)55(45.8)123(51.0)

Residence typeHousing89(73.6)102(85.0)191(79.3)8.447*
Boarding house9(7.4)1(0.8)10(4.1)
Self-boarding13(10.7)11(9.2)24(10.0)
Others10(8.3)6(5.0)16(6.6)

1)N (%). *P<0.05, **P<0.01..


Table 4 . Purchase behavior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χ2-value
Purchase frequency2 times/week≤12(9.9)1)20(16.7)32(13.3)2.977
1∼2 times/month64(52.9)63(52.5)127(52.7)
1∼2 times/6 month36(29.8)31(25.8)67(27.8)
1∼2 times/year9(7.4)6(5.0)15(6.2)

Reason of intakeBreakfast3(2.5)6(5.0)9(3.7)3.525
Lunch19(15.7)11(9.2)30(12.4)
Dinner26(21.5)30(25.0)56(23.2)
Afternoon snack33(27.3)35(29.2)68(28.2)
Late-night snack40(33.1)38(31.7)78(32.4)

Cooking methodsGrill42(34.7)49(40.8)91(37.8)5.945
Steam44(36.4)43(35.8)87(36.1)
Fry19(15.7)15(12.5)34(14.1)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9(7.4)12(10.0)21(8.7)
Others7(5.8)1(0.8)8(3.3)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Yes27(22.3)48(40.0)75(31.1)12.165**
No52(43.0)50(41.7)102(42.3)
Don’t know42(34.7)22(18.3)64(26.6)

Reason for increasing the purchase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 (n=75)2)To stock up on foods5(18.5)15(31.3)20(26.7)
Eating at home instead of eating out19(70.4)27(56.3)46(61.3)
It’s easy to store5(18.5)18(37.5)23(30.7)
It’s easy to cook8(29.6)19(39.6)27(36.0)
Others0(0.0)1(2.1)1(1.3)

1)N (%). 2)Multiple answer. **P<0.01..


Table 5 . Purchase place and preferred brands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
Purchase place2)Hypermarket90(74.4)1)85(70.8)175(72.6)
Online40(33.1)56(46.6)96(39.8)
Food material market30(24.8)41(34.2)71(29.5)
Supermarket12(9.9)22(18.3)34(14.1)
Convenience store8(6.6)6(5.0)14(5.8)

Preferred brands2)CJ Bibigo110(90.9)103(85.8)213(88.4)
Pulmuone27(22.3)54(45.0)81(33.6)
Ottogi20(16.5)17(14.2)37(15.4)
Chungjungone11(9.1)18(15.0)29(12.0)
Dongwon9(7.4)13(10.8)22(9.1)
Others26(21.5)20(16.7)46(19.1)

1)N (%). 2)Multiple answer..


Table 6 . Purchase motivation of frozen mandu.

VariablesMale (n=121)Female (n=120)Total (n=241)t-value
Convenience of cooking3.99±0.801)4.08±0.814.04±0.802)−0.885
Good taste3.99±0.734.02±0.874.00±0.80−0.242
For snacks3.87±0.904.11±0.863.99±0.89−2.120*
Convenience of storage3.90±0.944.03±0.803.97±0.87−1.183
A high preference of mandu3.64±0.983.84±1.003.74±0.99−1.617
Adequate price3.17±0.963.22±0.903.19±0.93−0.428
For a meal2.96±1.073.10±1.133.03±1.10−1.000
Rich nutrition2.77±0.862.78±0.892.77±0.88−0.057
Influence of the media2.51±1.032.91±1.072.66±1.06−2.190*

Mean±SD3.42±0.503.55±0.493.49±0.50−2.080*

1)Mean±SD. 2)Likert scale: 5 (very much)∼1 (never). *P<0.05..


Table 7 . Optimal combination of frozen mandu.

AttributesAttributes levelUtilityRelative importance (%)Utility×Relative importance
Type of manduBoiled mandu−0.72139.731−28.646
Grilled mandu0.82232.659
Steamed mandu−0.101−4.013

IngredientsMeat1.01935.16235.830
Kimchi−0.267−9.388
Seafood−0.752−26.442

Shell textureSoft−0.25711.965−3.075
Chewy0.2573.075

Purchasing methodVisit store−0.18513.142−2.431
Online0.1852.431

Model fitPearson’s R=0.999 (P<0.001), Kendall’s tau=1.000 (P<0.001)

Total utility of ideal combinationGrilled mandu (32.659)+Meat (35.830)+Chewy (3.075)+Online (2.431)=73.995

Results of choice simulationOptimizes model: Max utility=73.2%, BTL=62.7%, Logit=73.0%
Model for sales: Max utility=26.8%, BTL=37.3%, Logit=27.0%

Table 8 . Utilities of frozen mandu by cluster analysis.

AttributesAttributes levelCluster 1 (n=133)Cluster 2 (n=108)
Type of manduBoiled mandu−1.131)−0.22
Grilled mandu2.05−0.69
Steamed mandu−0.920.91

IngredientsMeat0.531.63
Kimchi−0.01−0.59
Seafood−0.52−1.04

Shell textureSoft−0.24−0.28
Chewy0.240.28

Purchasing methodVisit store−0.360.03
Online0.36−0.03

1)Utility..


Table 9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Cluster 1 (n=133)Cluster 2 (n=108)Total (n=241)χ2-value
SexMale68(51.1)1)53(49.1)121(50.2)0.101
Female65(48.9)55(50.9)120(49.8)

Age20≤∼<3040(30.1)37(34.3)77(32.0)0.592
30≤∼<4047(35.3)34(31.5)81(33.6)
40≤46(34.6)37(34.3)83(34.3)

OccupationStudent27(20.3)25(23.1)52(21.6)1.229
Office worker60(45.1)42(38.9)102(42.3)
Professional25(18.8)20(18.5)45(18.7)
Others21(15.8)21(19.4)42(17.4)

Education levelHigh school15(11.3)11(10.2)26(10.8)0.188
In college19(14.3)14(13.0)33(13.7)
University≤99(74.4)83(76.9)182(75.5)

Marital statusMarried62(46.6)61(56.5)123(51.0)2.321
Single71(53.4)44(43.5)118(49.0)

Monthly income (10,000 Won)<20012(9.0)6(5.6)18(7.5)3.733
200≤∼<30031(23.3)17(15.7)48(19.9)
300≤∼<40026(19.5)26(24.1)52(21.6)
400≤64(48.1)59(54.6)123(51.0)

Residence typeHousing96(72.2)95(88.0)191(79.3)10.037*
Boarding house8(6.0)2(1.9)10(4.1)
Self-boarding16(12.0)8(7.4)24(10.0)
Others13(9.8)3(2.8)16(6.6)

1)N (%). *P<0.05..


Table 10 . Purchase frequency and cooking methods by cluster analysis.

VariablesCluster 1 (n=133)Cluster 2 (n=108)Total (n=241)χ2-value
Purchase frequency2 times/week≤19(14.3)1)13(12.0)32(13.3)1.299
1∼2 times/month69(51.9)58(53.7)127(52.7)
1∼2 times/ 6 month35(14.5)32(29.6)67(27.8)
1∼2 times/year10(7.5)5(4.6)15(6.2)

Reason of intakeBreakfast4(3.0)5(4.6)9(3.7)1.696
Lunch15(11.3)15(13.9)30(12.4)
Dinner31(23.2)25(23.1)56(23.2)
Afternoon snack36(27.1)32(29.6)68(28.2)
Late-night snack47(35.3)31(28.7)78(32.4)

Cooking methodsGrill62(46.6)29(26.9)91(37.8)21.973***
Steam32(24.1)55(50.9)87(36.1)
Fry23(17.3)11(10.2)34(14.1)
Put in other foods (e.g. Ramen, soup, etc.)10(7.5)11(10.2)21(8.7)
Others6(4.5)2(1.9)8(3.3)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frozen mandu during COVID-19Yes35(26.3)40(37.0)75(31.1)7.170*
No54(40.6)48(44.4)102(42.3)
Don’t know44(33.1)20(18.5)64(26.6)

1)N (%). *P<0.05, ***P<0.001..


References

  1. aTFIS. 2022 Status of the segmented market of processed food-Frozen food. aT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22a [cited 2022 Aug 5].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24.do?act=read&bpoId=4466&bcaId=0&subSkinYn=N&pageIndex=1.
  2. aTFIS. Market report. 2014 Status of the segmented market of processed food-Mandoo market. 2014 [cited 2022 Aug 5].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27.do?act=read&bpoId=1425&bcaId=0&pageIndex=8.
  3. aTFIS. Market report. 2016 Processed food market report-Mandoo. 2016 [cited 2022 Aug 5].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02.do?act=read&bpoId=2268.
  4. aTFIS. Newsletter-Mandoo. aT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22b [cited 2022 Aug 3].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02.do?act=read&bpoId=4169.
  5. aTFIS. Retail POS. aT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21 [cited 2022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home/offsales.do.
  6. Chang H, Hwang Y.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 testing of ready-to-eat Mandu with pond-snail as a health food.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650-660.
  7. Cho GA. A study on dumpling consumer recognition and purchase attribut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0.
  8. Choi HJ, Chung SS, Rho JO. A study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a franchise coffee shop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onbuk area using conjoint analysis. Korean J Food Cook Sci. 2022a. 38:290-300.
  9. Choi YN, Chung SS, Rho JO. A franchise hamburger menu for university students determined by identifying selection attributes using conjoint analysi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22b. 32:250-262.
    CrossRef
  10. Green PE, inivasan V Sr. Conjoint analysis in marketing: New developments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Marketing. 1990. 54(4):3-19.
    CrossRef
  11. Han AR, Chung SS, Rho JO. Studies of selection attributes for lunch boxes (dosirak) using conjoint analysis among single 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884-893.
    CrossRef
  12. Heo SJ, Bae HJ. Analysis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delivery food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J Nutr Health. 2020. 53:547-561.
    CrossRef
  13. Jeon MO. A decline in the popularity of frozen dumplings. Pulmuone•Haitai, side by side "backward". Newspim. 2022 [cited 2022 Oct 6]. Available from: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831000950.
  14. Kang BH, Shin EJ, Lee S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40:570-574.
    CrossRef
  15. Kang YR, Han JA. Quality improvement of dumpling shell based on rice flour by addition of potato starch and HPMC. Korean J Food Cook Sci. 2015. 31:696-702.
    CrossRef
  16. Kim AR. Frozen dumplings difficult to reverse growth. The Digitaltimes. 2022 Feb 9 [cited 2022 Aug 27]. Available from: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2021002101732060001&ref=naver.
  17. Kim BJ, Choi SA, Rho JO. Dietary life among Korean adolescents before COVID-19 (2018∼2019) and during COVID-19 (2020∼2021): Data analysis of the 2018∼2021 youth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3. 52:640-650.
    CrossRef
  18. Kim H, Huh IJ, Lee SY.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lunchbox by dietary lifestyle. Korean J Community Nutr. 2020. 25:267-279.
    CrossRef
  19. Kim H, Lee J, Chung L. Studies of restaurants to identify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solo diners using conjoint analysis. J Korean Soc Food Cult. 2017. 32:287-294.
  20. Kim JG, Kim JS. Changes of internal temperature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dumpling (mandu).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3. 22:485-492.
    CrossRef
  21. Kim JY, Kim KB, Park IS. Perceptions of Mandu and usage behaviors by Mandu typ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690-702.
  22. Kim KS, Lee MJ, Han BJ. A study of the types of Mandoo and its cooking methods in the old cooking books -Focused on the old cooking books issued in 1600 to 1950-.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99. 9:3-16.
  23. Korea Customs Service. Press release-Korean food exports record high despite COVID-19. 2021 [cited 2022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customs.go.kr/kcs/na/ntt/selectNttInfo.do?mi=2891&bbsId=1362&nttSn=10056798.
  24. KREI. 2021 In-depth analysis report on the consumer attitude survey of processed foo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21 [cited 2022 Sep 28]. Available from: https://www.krei.re.kr/foodInfo/selectBbsNttView.do?key=744&bbsNo=504&nttNo=159230&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25. Kwon DY, Kim SH, Chung KR, et al. Science and philosophy of Korea traditional foods (K-food). J Ethn Food. 2023. 10:26. https://doi.org/10.1186/s42779-023-00194-3.
    CrossRef
  26. Lee HJ, Lee MA, Park HK. Assessing relative importance of laver attributes for infants using conjoint analy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894-902.
    CrossRef
  27. Lee HJ. Market segmentation by level of change in food expenditure per channels since the COVID-19 outbreak: An analysis of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2021. 17(2):1-28.
    CrossRef
  28. Lee HS, Kim JH.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behavior due to COVID-19: Focusing on MZ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1. 19(3):47-54.
  29. Lee J, Moon MS, Lim SY. Eating behavior and convenience store food consumption behavior of millennial male single- person household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0. 49:394-404.
    CrossRef
  30. Lee J. Relativ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in garlic-based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conjoint analysi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9. 29:336-343.
    CrossRef
  31. Lee MH, Kim HY, Ahn YJ. Stud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lecting attribute in purchasing pickles by conjoint analysis. Korean J Food Cook Sci. 2019. 35:198-207.
    CrossRef
  32. Lee MN, Lee HY. Analysis of consumer intentions on fostering kalguksu and dumplings as Wonju local food. Journal of Hotel & Resort. 2021. 20(5):309-328.
  33. Lee MS, Kim KB, Kim YS, et al. The research on Sanchoneo mandu product development using conjoint analysis. Korean J Culinary Res. 2013. 19:164-178.
    CrossRef
  34. Meang JH, Park KW. A study on relevance about effective graphic elements and brand image of frozen mandoo package design.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2012. 10(3):123-136.
    CrossRef
  35. Mun S, Baek M, Lee KA. Effects of rice flour substitution levels on the gluten formation,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of dumpling shell. Korean J Food Cook Sci. 2020. 36:492-497.
    CrossRef
  36. Nam PS, Yoo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with addition of spirulina powder. Culi Sci Hos Res. 2022. 28(7):23-31.
  37. Oh S.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E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6. 2(1):1-12.
    CrossRef
  38. Oh SD. A literature review on the Mandoo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Cult. 2014. 29:129-139.
    CrossRef
  39. Park I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containing Boehmeria nivea powder. J Korean Soc Food Cult. 2018. 33:268-275.
  40. Park I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190-196.
    CrossRef
  41. Park J, Seong E, Heo 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umpling shell based on the addition of sorghum powder ad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1. 50:1074-1081.
    CrossRef
  42. Park JH, Kim YJ. Choice criteria of convenience stor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Focus on single household. Journal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2020. 7(3):37-53.
    CrossRef
  43. Roh T, Choi J, Kim JG, et al. The rise of K-food in the United States, Bibigo: CJ CheilJedang's acquisition of Schwan's company. Korea Business Review. 2021. 25(3):35-60.
    CrossRef
  44. Seo YH, Kim HY.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with starch material.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9. 29:402-407.
    CrossRef
  45. Son JY.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after COVID-19.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2021.
  46. Yoon TH. Effect of eating out information searching methods on the selection attributes at fast-food restaurants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020. 36:373-381.
    CrossRef
  47. You SY, Lee MA.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 package design using conjoint analysis. J Nutr Health. 2018. 51:480-487.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