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KF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Online ISSN 2288-5978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8): 844-85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for Chamchwi (Aster scaber Thunb.)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a Central Composition Design

Ji Soo Kim , Hyun Wook Jang, Yong Sik Cho, and Ha Yun Kim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ence to:Ha Yun Kim,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66,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gun, Jeonbuk 55365, Korea, E-mail: khy0617@korea.kr

Received: May 4, 2023; Revised: June 26, 2023; Accepted: June 27,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optimal drying conditions that minimize quality changes during hot air drying for Chamchwi, a leafy vegetable. Drying temperature (50, 60, 70°C) and time (60, 150, 240 min)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fter dry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design 13 experimental point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moisture content, water absorption capacity, chromaticity, strengt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β-carotene, total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volatile aroma components. The optimization variables were moisture content, water absorption capacity, leaf, and stem strength, a* value,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ith a model P-value of 0.05 or less and R2 values of 80% or more. The optimized drying conditions were a temperature of 56.87°C and a time of 156.36 minutes. The corresponding predicted values were moisture content 10.27%, water absorption capacity 12.54%, leaf strength 47.44 kg/cm2, stem strength 51.86 kg/cm2, a* value of −2.54,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11.25 μg/mL.

Keywords: Chamchwi, drying condition, hot-air dry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산채는 자연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320여 종의 산채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Cho, 2000; Jiang 등, 2016). 산채는 비타민과 무기질,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지방 및 단백질의 함량은 매우 낮은 식물로서(Kim 등, 2015), 예로부터 흉년이나 춘궁기에는 주요한 구황식품으로 여겨졌다(Lee 등, 2012). 산채 중 취나물은 우리나라에 흔히 섭취하는 나물 중 하나로 현대인들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재료로 알려져 있다(Jiang 등, 2016).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취나물은 60여 종으로, 그중 24종을 식용으로 섭취한다. 일반적으로 참취, 곤달비, 곰취, 미역취, 수리취, 각시취 등의 향기가 독특한 취나물이 주로 소비되고 있다(Hong 등, 2014; Lee 등, 2016). 참취(Aster scaber Thunb.)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4~5월경 어린잎을 채취하여 생채, 나물, 쌈 등으로 섭취하며(Hong 등, 2014; Kim 등, 2014), 독특한 향과 향긋하고 쌉쌀한 맛을 특징으로 한다(Kim 등, 2004b; Lee 등, 2016). 참취는 Ca과 Fe 등의 무기질과 β-carotene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부위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옹근 풀에는 다량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saponin이 있고, 꽃이삭과 줄기에는 정유 성분이 있으며, 뿌리에는 coumarin, sapogenin, shionon, alkaloid, squalene, friedelin, α-spinasterol을 함유하고 있다(Choi 등, 2001; Kim 등, 2004b; Lee 등, 2016). 참취는 주로 봄과 여름에 생육되어 채취되며, 겨울철에는 채취가 제한적이어서 원료의 공급이 어려운 식재료이다(Choi 등, 2018b). 또한, 품질관리와 가공 기술이 미흡하여 연중 신선한 품질을 유지함에 어려움이 있어 통조림으로 가공되거나 건조 나물로 소비되고 있다(Jung과 Lee, 2007; Oh 등, 2018). 참취를 가공·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된 전처리로는 blanching 방법이 있다. Blanching은 고온에서 짧은 시간 가열하는 방법으로, 효소를 불활성화하여 색상의 변화와 조직의 연화를 최소화한다는 특징이 있다(Lee 등, 2011).

한편 농가에서는 농산물을 건조 가공하기 위해 주로 천일 건조와 열풍 건조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천일 건조 방법은 특별한 설비가 필요 없어 경제적이고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장기간의 건조 시간이 필요하며 수분함량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Hwang과 Rhim, 1994). 또한, 건조 과정 중 미생물 및 해충에 의한 오염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산화 반응이나 광화학 반응에 의해 퇴색 및 변색되거나 영양 성분이 파괴되는 등 품질 저하 현상이 현저한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다(Hwang과 Rhim, 1994; Jiang 등, 2016). 반면, 열풍 건조 방법은 온습도 조절이 쉬워 신속하고 균일하게 건조가 이루어지며, 천일 건조와 비교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열로 인한 영양소 및 생리적 물질의 파괴와 갈변 반응에 의한 변색, 조직화 변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ldsworth, 1971; Shin 등, 1999). 현재 열풍 건조는 건조 조건의 기준이 설정되지 않아 우수한 품질의 건조 제품을 얻기에는 어려움이 많다(Shin 등, 1999). 따라서 열풍 건조 과정에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온도 및 시간 등의 건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취의 건조 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를 반응표면분석법(RSM)으로 분석하여, 건조 시 참취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건조 조건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실험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참취는 2022년 6월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수확한 것을 구입하였고, 4°C의 냉장고에서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참취는 Fig. 1과 같이 열풍 건조 전에 blanching 하는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Blanching 조건은 선행연구(Jung과 Lee, 2007; Lee 등, 2012)를 참고하여 blanching 액 10배, 염 농도 1%로 설정하였으며, 가열 온도 및 시간은 Beom 등(2015)Park 등(2016)을 참고하여 100°C와 2분으로 설정하였다. 흐르는 냉수에 세척한 참취는 100°C의 끓는 물에서 2분 동안 blanching 한 후 흐르는 냉수에 냉각하였고 채소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하였다.

Fig. 1. Process for preparation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참취는 열풍건조기(W-500ED, Jinwoo Electronics Co., Ltd.)를 이용하여 건조하였으며, 1개의 트레이(54×48×4.5 cm)당 1 kg의 참취를 담아 건조하였다. 이는 중심 합성법에 의해 구축된 온도(50, 60, 70°C)와 시간(60, 150, 240분)의 조건에서 건조를 진행하였고, 건조 후에는 데시케이터에서 1시간 동안 수분평형을 이루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열풍 건조의 조건은 선행연구(Kim 등, 2004a; Lim 등, 2018; Nam 등, 2007)를 참고하여 예비 실험을 진행한 후 설정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RSM)

본 연구에서는 참취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 열풍 건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 합성 계획법(Central Composite Design)을 활용하여 실험을 설계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Minitab 17(Minitab Inc., State College)을 사용하였다. 참취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변수로는 건조 온도(X1)와 건조 시간(X2)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각각 -1, 0, 1로 코드화하여 Table 1로 나타내었다. 중심 합성법에 의해 설계된 건조 조건은 Table 2와 같으며, 건조된 참취의 사진은 Fig. 2에 나타내었다. 종속변수로는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색도, 강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β-carotene,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휘발성 향기성분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중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a 값, 강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최적화 변수 조건으로 설정하여 최적화하였다.

Table 1 .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coded and actual levels for central composited design

Independent variableCoded levels
−101
X1Drying temperature (°C)506070
X2Drying time (min)60150240


Table 2 .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the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No.X1X2
15060
250150
350240
46060
560150
660240
77060
870150
970240
1060150
1160150
1260150
1360150

X1: Temperature (°C), X2: Time (min).



Fig. 2. Photos of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temperature and time with drying. 1)Fresh Aster scaber. 2)Blanched Aster scaber.

수분함량 및 수분흡수력 측정

수분함량은 AOAC 법(2005)을 참고하여 105°C 상압 가열 건조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수분흡수력은 Kang 등(2018)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참취 2 g을 다시백(8.5×7.5 cm)에 넣어 30°C의 water bath(WB-22, Daihan Scientific Co., Ltd.)에서 4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수화된 참취의 표면수를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원물의 고형분 함량을 도출한 뒤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수분흡수력을 계산하였다.

%= - ×100

색도 측정

참취는 색도 측정을 위해 30°C의 water bath(WB-22)에서 4시간 동안 수화하여 탈수하였으며, 균일한 측정을 위해 블렌더(BL481KRCO, SharkNinja)로 분쇄하였다. 이를 petri dish(35×10 mm)에 담은 후, colorimeter(UltraScan PRO CMS-35SP, HunterLab)를 이용하여 CIELab 방식으로 L*(명도), a*[적(R)-녹(G)], b*[황(Y)-청(B)]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한 표준 백색판의 값은 L=99.54, a=-0.15, b=-0.18이었다.

물성 측정

참취는 물성 측정을 위해 30°C의 water bath(WB-22)에서 4시간 동안 수화하여 탈수하였다. 이는 1×5 cm의 크기로 절단하였고, 무작위로 선택하여 rheometer(Compac-100, Sun Scientific Co., Ltd.)를 이용해 강도를 측정하였다. Rheometer 측정 시 사용한 adapter는 No. 8인 칼날(blade)형 probe였고, 로드 셀 최대 응력은 10 kg, 진입 거리는 5 mm, 테이블 이동 속도는 120 mm/min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은 Dewanto 등(2002)의 Folin-Denis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추출물 800 μL에 0.9 N Folin-Ciocalteu’s 용액 50 μL를 첨가하여 3분 동안 반응시켰고, 20% Na2CO3 150 μL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분광광도계(Cary UV-Vis Multicell, Agilent Technologies)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사용해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hen 등(200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추출물 1 mL에 5% NaNO2 150 μL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6분 동안 반응시켰으며, 10% AlCl3・6H2O 300 μL를 첨가해 암실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뒤 1 N NaOH 1 mL를 첨가하였고, 분광광도계(Cary UV-Vis Multicell)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표준물질 quercetin(Sigma-Aldrich Co.)을 사용해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

β-Carotene 함량

β-Carotene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을 참고하였다. 시료 추출물에 3% pyrogallol ethanol 10 mL와 60% KOH 1 mL를 첨가하여 비누화(70°C, 30분)한 뒤 냉각하였으며, 1% NaCl 20 mL와 hexane・ethyl acetate(9:1) 혼합 용액 15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진탕하였다. 이를 원심분리(2,000×g, 5분)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고, 하층에 hexane ・ethyl acetate(9:1) 혼합 용액 15 mL를 첨가하여 반복 추출하였다. 반복 추출한 상층액은 감압 농축한 뒤 에탄올 10 mL로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β-Carotene 함량 분석을 위한 HPLC의 조건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 . HPLC conditions for β-carotene contents analysis

Condition
InstumentHITACHI Chromaster HPLC (UV-VIS) system
ColumnC18 4.6×150 mm, 5 μm (Waters Atlantis dC18)
Mobile phase(A) Acetonitrile:Methanol (85:15, v/v), (B) Dichloromethane
Flow rate1.0 mL/min
Injection volume20 μL
Gradient(A) 70%, (B) 30%
Detector450 nm
Run time15 min


총 chlorophyll 및 chlorophyll a, b 함량

Chlorophyll 함량은 AOAC 법(2005)을 참고하여, 시료 무게의 10배의 85% acetone으로 추출하였으며, 642.5 nm와 6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뒤 다음의 계산식에 넣어 농도를 정량하였다.

TotalchlorophyllμL/mL=7.12O.D.660.0nm+16.80O.D.642.5nmChlorophyllaμL/mL=9.93O.D.660.0nm0.777O.D.642.5nmChlorophyllbμL/mL=17.60O.D.642.5nm2.81O.D.660.0nm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참취는 향기성분 분석을 위해 Freezer/mill(6875D, SPEX SamplePrep LCC)로 동결분쇄하였다. 동결분쇄된 시료 0.5 g은 NaCl 1 g, 1,2,3 Trichloropropane(500 ppm, internal standard) 4 μL와 함께 SPME vial에 준비하여 vortexing 한 후, Solid-Phase Micro Extraction(SPME) 법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을 위한 GC-MS/MS는 TSQ 8000(Thermo Fisher Scientific)이 연결된 Trace 1310(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였으며, 주입구 온도는 250°C로 설정하였다. 칼럼은 DB-Was(60 m×0.25 mm, 0.50 micron, Agilent Technologies)를 사용하였고, 오븐 온도는 40°C에서 2분간 유지한 다음 4°C/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150°C까지, 4°C/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200°C까지, 10°C/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230°C까지 분석하였다. Carrier 가스로는 He 가스를 유속 1.5 mL/min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측정은 3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휘발성 성분은 NIST search 및 Mass library data에 의한 검색으로 동정하였다.

통계처리

본 실험의 결과는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SPSS statistics(25.0 ver., IBM)를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였다. 그 후 유의성이 있는 변수는 사후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해 유의적 차이(P<0.05)를 검증하였다. 원물 참취(F)와 blanching 참취(B)의 유의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를 이용하여 독립 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원물 참취 및 blanching 참취의 이화학적 품질 분석

원물 참취(F) 및 blanching 참취(B)의 이화학적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으며, F와 B의 유의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분함량의 경우 F는 89.40%, B는 85.81%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t-test 분석 결과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이는 blanching 중 참취 조직 표면의 수분이 용출되어 수분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w and blanched Aster scaber Thunb.

F1)B2)t-valueP-value
Moisture contents (%)89.40±0.193)85.81±0.18***23.7380
Leaf strength (kg/cm2)11.04±0.7334.80±0.73***−39.6980
Stem strength (kg/cm2)53.48±2.2139.04±2.94**6.8040.002
L* value42.83±0.4840.33±0.30**7.6120.002
a* value−2.66±0.22−3.79±0.26**5.7950.004
b* value4.14±0.373.80±0.291.2690.273

1)Fresh Aster scaber Thunb.

2)Blanched Aster scaber Thunb.

3)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P<0.01, ***P<0.001 in t-test.



잎의 절단 강도는 F는 11.04 kg/cm2, B는 34.80 kg/cm2로 측정되었으며, t-test 분석 결과 P<0.001 수준의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eom 등(2015)의 연구에서 참취를 2~3분 blanching 처리 시 잎의 강도가 증가하는 결과와 유사하였고 가열 처리 시 잎이 질겨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줄기의 절단 강도는 F는 53.48 kg/cm2, B는 39.04 kg/cm2로 측정되었고, t-test 분석 결과 P<0.01 수준의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um과 Han(1998)의 연구에서 당근을 blanching 처리 시 강도가 낮아지는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가열 처리 시 줄기가 물러지기 때문에 강도가 낮아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의 L 값의 경우 F는 42.88, B는 40.33으로 측정되었으며, a 값은 F -2.66, B -3.79, b 값은 F 4.14, B 3.80으로 측정되었다. 색도의 t-test 분석 결과 L 값 및 a 값은 P<0.01 수준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b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선행 연구(Lee 등, 2012)에 의하면 blanching 처리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색상을 뚜렷하게 한다고 보고되었으며, blanching 처리 시 L 값 및 a 값이 감소한다는 Lee 등(2012)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이화학적 품질분석

건조 참취의 이화학적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건조 참취의 수분함량은 2.45~76.21%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No. 9(2.45%)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전통 식품 표준 규격(T094)에 의하면 건조 엽채류의 수분함량은 13% 이하로 규정되어 있어 No. 3, 5, 6, 8~13 시료가 건조 참취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Moisture contents (%)Water absorption capacity (%)Leaf strength (kg/cm2)Stem strength (kg/cm2)
176.21±0.87a1)2)44.61±1.61a39.47±1.27d45.84±1.28e
223.14±5.27d13.84±0.95d41.59±0.74cd48.02±1.85de
39.64±1.50e11.74±0.19e65.36±2.94ab59.26±0.64ab
470.05±1.33b35.46±1.56b48.38±6.74cd44.08±5.16e
58.67±1.02e11.61±0.13e47.06±1.64cd52.21±6.78bcd
63.22±0.37f10.96±0.04e65.24±13.30ab68.65±1.91a
741.90±1.09c18.25±0.34c59.18±4.91b52.06±6.55bcd
83.14±0.55f10.95±0.06e63.77±3.55ab57.96±0.73b
92.45±0.28f10.87±0.03e68.74±2.55a71.72±6.28a
107.86±0.74e11.47±0.08e46.69±4.09cd55.17±7.68bc
117.75±1.30e11.43±0.21e47.96±0.73cd52.20±4.59bcd
126.51±0.92e11.34±0.12e50.08±6.02c51.78±7.46bcd
137.70±1.73e11.61±0.07e50.08±1.94c52.20±1.28bcd

1)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건조 참취의 수분흡수력은 10.87~44.61% 범위였고,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No. 9(10.87%)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이는 건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표면이 경화되고 수축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건조 참취의 잎 절단 강도는 39.47~68.74 kg/cm2 범위였으며, 줄기 절단 강도는 44.08~71.72 kg/cm2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Koo 등(2019)의 연구에 의하면 냉풍 건조에 비해 열풍 건조한 참외의 강도가 더 높았으며, Song 등(2022)의 연구에서는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Table 4에 제시한 blanching 참취(B)의 절단 강도는 잎 34.80 kg/cm2, 줄기 39.04 kg/cm2로 건조 참취와 비교하여 낮은 값을 보였다. 이는 참취 열풍 건조 시 열처리에 의해 참취의 표면 경화가 진행되어 강도가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색도 측정

건조 참취의 수화 전 및 수화 후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건조 참취의 수화 전 L 값은 40.51~45.60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a 값은 -3.36~-1.86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녹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b 값의 경우 3.04~4.63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Table 6 . CIE color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L* valuea* valueb* value
Before rehydration140.51±0.23g1)2)−3.36±0.23g3.95±0.43abc
244.22±0.33de−3.03±0.19f4.21±0.42abc
344.60±0.03cd−2.25±0.03b3.66±0.00bcd
440.73±0.44g−2.93±0.24ef3.44±0.51cd
545.07±0.41abc−2.60±0.16cd4.24±0.44abc
643.81±0.47ef−2.01±0.14ab3.04±0.48d
743.19±0.85f−2.88±0.35def3.86±0.95abc
844.13±0.09de−2.15±0.04ab3.53±0.06bcd
943.66±0.28ef−1.86±0.10a3.04±0.23d
1045.13±0.22abc−2.61±0.08cd4.28±0.30ab
1144.93±0.18bc−2.55±0.05c4.11±0.16abc
1245.29±0.19ab−2.66±0.05cde4.63±0.19a
1345.60±0.10a−2.71±0.06cde4.57±0.46a
After rehydration139.83±0.83c−3.14±0.12c3.70±0.24a
240.18±0.33bc−2.62±0.20b3.43±0.26ab
340.16±0.54bc−2.35±0.12ab3.09±0.05bc
440.77±0.36ab−2.92±0.24c3.79±0.38a
540.35±0.63bc−2.50±0.18b3.25±0.44abc
640.53±0.41bc−2.37±0.15ab2.85±0.34bc
740.18±0.49bc−2.52±0.19b3.25±0.61abc
840.54±0.50bc−2.32±0.17ab2.77±0.26c
941.42±0.20a−2.11±0.16a2.69±0.36c
1040.56±0.32bc−2.50±0.10b2.70±0.21c
1140.14±0.40bc−2.57±0.01b2.69±0.17c
1240.67±0.23abc−2.51±0.07b2.83±0.23c
1340.87±0.22ab−2.43±0.24b2.72±0.29c

1)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수화 후 색도의 L 값은 39.83~41.42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a 값은 -3.14~-2.11 범위로 수화 전과 유사하게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녹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면, b 값은 2.69~3.79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황색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Jiang 등(2016)의 연구에 의하면 열풍 건조 참취의 a 값은 동결 건조 참취에 비해 높게 나타나 녹색도가 낮았다. 따라서 열처리에 따라 a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Table 4에 제시한 blanching 참취(B)의 색도는 L 값 40.33, a 값 -3.79, b 값 3.80으로 건조 참취와 비교하여 a 값이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참취 열풍 건조 시 열처리의 의한 갈변 현상으로 녹색도가 낮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총 폴리페놀 함량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인 페놀성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탄닌 및 카테킨 등을 말하며, 식물성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Kim 등, 2022). 이는 hydroxyl기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로, 산화 방지,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등, 2012). 건조 참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ig. 3과 같다. 건조 참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60.13~166.91 μg/mL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이는 쑥(Kim, 2009), 곤드레(Park 등, 2016), 아로니아(Park과 Kim, 2018) 등의 선행연구에서 열처리의 증가에 따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열에 의해 페놀 성분의 일부가 파괴되었을 것이라 보고된 바 있다(Park 등, 2016).

Fig. 3. Antioxidant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A, total polyphenol contents; B, total flavonoid content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i)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건조 조건별 참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플라보노이드는 페놀성 화합물의 일종으로 식물체의 잎, 꽃, 과실, 줄기 및 뿌리 등에 존재하며,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항바이러스, 항암, 항염증 등과 같은 생리 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등, 2022). 건조 참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Fig. 3과 같다. 건조 참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1.07~11.54 μg/mL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나 열에 의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파괴로 판단되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β-carotene 함량

지용성 비타민 중 하나인 비타민 A는 체내에서 생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식이를 통해 섭취해야 하며, 동물성 식품에서는 주로 레티놀의 형태로, 식물성 식품에서는 카로티노이드 형태로 존재한다. β-Carotene은 카로티노이드의 전구체로, 섭취 시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물질로 보고되어 있다(Choi 등, 2018a). 건조 참취의 β-carotene 함량은 Fig. 4와 같이 34.20~56.03 mg/100 g 범위로 나타났으며, 50°C의 건조품(No. 1~3)과 70°C의 건조품(No. 7~9)의 경우 건조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반면, 60°C의 건조품(No. 4~6)은 시간에 따른 경향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Choi 등(2001)의 연구에 의하면 데침 조건에 따른 참취의 β-carotene 함량은 29.6~40.0 mg/100 g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괏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Jeong 등(2015)의 고구마 잎 선행연구에 의하면 건조 온도가 높아질수록 β-carotene 함량이 감소한다고 보고되어, 열처리에 따라 β-carotene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인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Fig. 4. β-Carotene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건조 조건별 참취의 chlorophyll 함량

식물체의 chlorophyll은 페놀 화합물 중 녹색 색소 성분으로, 싱그러운 향기, 외관, 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며(Lee 등, 2010), 카로티노이드와 함께 단백질, 지방질, 지단백질과 결합한 상태로 존재한다(Choi 등, 2022). 녹색을 나타내는 물질인 chlorophyll은 a, b, c, d 중 a와 b로 보고되어 있으며(Beom 등, 2007), chlorophyll a는 청록색, chlorophyll b는 황록색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Park 등, 2015). 건조 참취의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Fig. 5와 같다. 건조 참취의 총 chlorophyll 함량은 92.87~129.62 mg/100 g 범위였고, chlorophyll a 함량은 67.38~92.64 mg/100 g, chlorophyll b 함량은 25.50~36.98 mg/100 g 범위로 나타났다.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함량은 모두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또한, chlorophyll a 함량은 chlorophyll b 함량과 비교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건조 참취는 황록색보다 청록색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수창포 분말(Beom 등, 2007)과 건조채소(Hwang과 Rhim, 1994)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건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chlorophyll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Fig. 5. Chlorophyll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A, total chlorophyll contents; B, chlorophyll a contents; C, chlorophyll b content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건조 조건별 참취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

참취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SPME 법으로 동정한 후, 주요 화합물을 정리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참취의 주요 휘발성 향기 성분은 함량이 높은 28종을 선별하였으며, 알코올류 8종, 테르펜 화합물류 20종으로 나타났다. 산채류의 특징적인 향기는 테르펜 화합물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Choi, 2012), 본 연구에서 참취의 향기 성분을 동정한 결과 테르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테르펜 화합물은 에센셜 오일 또는 아로마 오일의 주성분으로 신선한 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산화되어 다른 향기 성분의 구성 물질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기능기인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및 에스테르 등이 부가된 형은 풍미가 더 우세하다고 알려져 있다(Del Castillo 등, 1975).

Table 7 . The main volatile aroma compounds in dried Aster scaber Thunb.

NoVolatile compoundsFormulaOdor
Alcohols
1Amyl alcoholC5H12Ofusel, oily, sweet, balsamic
2β-Copaen-4-α-olC15H24O
32-Methyl-6-methylene-1,7-octadien-3-oneC10H14O
4tau-CadinolC15H26Obalsamic, earthy
5HimachalolC15H26O
6α-CadinolC15H26Oherbal, woody
7NeointermedeolC15H26O
85-Cyclodecen-1-olC15H24O
Terpene hydrocarbons
9β-MyrceneC10H16peppery, terpenic, spicy, balsamic, rose, carrot, plastic, herbal, woody, celery citrus, orange, fresh, sweet
10D-LimoneneC10H16minty, terpenic
11β-PhellandreneC10H16green, tropical, woody, floral, vegetable
12β-OcimeneC10H16herbal, waxy
13α-CubebeneC15H24woody, spicy, honey
14CopaeneC15H24herbal, waxy, fresh
15β-ElemeneC15H24sweet, woody, spicy, clove, dry
16CaryophylleneC15H24
17Cadina-3,5-dieneC15H24woody, citrus, herbal, sweet
18β-FarneseneC15H24thyme, herbal, woody, dry
19δ-CadineneC15H24woody
20α-HumuleneC15H24herbal, woody, spicy
21ɤ-MuuroleneC15H24woody, spicy
22Germacrene-DC15H24amber
23α-SelineneC15H24
24IsodauceneC15H24thyme, herbal, woody, dry
25δ-CadineneC15H24herbal, woody, spicy
26ɤ-CadineneC15H24spicy, fruity, mango
27CadinadieneC15H24
28α-AmorpheneC15H24


참취의 주요 휘발성 향기 성분을 정량하여 나타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건조 참취는 모든 건조 조건에서 β-myrcene(11.61~40.49%), germacrene-D(14.82~28.00%), caryophyllene(2.90~10.41%), β-ocimene(2.90~5.71%), α-humulene(2.46~4.03%)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β-Myrcene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그 외의 β-phellandrene, copaene, cadina-3,5-diene, α-humulene, ɤ-muurolene, δ-cadinene, ɤ-cadinene, cadinadiene, α-amorphene 등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 향기 성분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myrcene은 모노테르펜류에 속한다. Peppery, terpenic, spicy, balsamic, rose, carrot, plastic, herbal, woody, celery 등의 주요 향기 성분이며, 신선하고 상쾌한 관능적 특성이 있어 향기 산업에서 널리 쓰이는 화합물이다. 10 ppm 이하에서는 단 냄새와 허브향을 내나, 농도가 높아질 경우 자극적이며 강한 풀 냄새를 내게 되므로 저농도에서 사용되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Choi, 2012). Germacrene은 세스퀴테르펜류에 속하며, 다양한 종의 식물에서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살충, 미생물 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Choi, 2021; Yang 등, 2005). 세스퀴테르펜류에 속하는 caryophyllene은 쑥, 수리취, 참취를 포함한 국화과 식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향성 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sweet, woody, spicy, clove, dry 등의 향을 내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최근 병원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 2015, 2016).

Table 8 . Volatile aroma compound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Volatile compoundsR/T (min)12345678910111213
Alcohols
1Amyl alcohol20.510.370.040.020.120.030.010.070.020.010.020.020.020.02
2β-Copaen-4-α-ol31.120.971.061.051.540.961.111.251.070.961.121.061.020.86
32-Methyl-6-methylene-1,7-octadien-3-one31.350.400.080.150.160.290.120.270.110.150.150.230.280.24
4tau-Cadinol58.810.540.180.130.360.130.080.200.120.050.100.110.080.07
5Himachalol60.161.870.320.541.030.610.780.930.870.841.041.040.830.83
6α-Cadinol60.570.780.280.210.580.180.100.310.190.060.150.160.100.10
7Neointermedeol61.250.170.080.080.130.070.030.070.060.010.040.050.030.03
85-Cyclodecen-1-ol64.450.290.120.230.100.530.480.160.400.290.390.560.590.39
Terpene hydrocabons
9β-Myrcene17.4311.6122.3340.4915.0735.7533.1626.6728.0636.8026.5830.5733.4533.73
10D-Limonene18.952.334.732.431.836.471.842.711.405.053.463.244.554.37
11β-Phellandrene19.367.396.674.012.131.761.563.462.842.455.113.261.717.47
12β-Ocimene20.773.504.523.872.904.035.713.915.434.114.494.373.923.93
13α-Cubebene28.255.270.450.352.160.430.470.830.400.430.430.460.330.42
14Copaene29.570.510.320.270.540.250.260.400.260.190.250.250.200.20
15β-Elemene33.141.322.442.892.592.732.662.313.232.462.722.522.722.77
16Caryophyllene33.7810.412.903.424.733.224.242.933.132.914.083.904.213.09
17Cadina-3,5-diene35.561.200.640.501.110.430.360.660.460.280.390.360.290.27
18β-Farnesene36.091.831.120.683.990.930.731.471.020.990.830.920.990.69
19δ-Cadinene36.560.400.160.120.310.100.080.160.100.050.080.080.060.06
20α-Humulene37.313.742.742.514.032.682.973.343.082.532.952.882.932.46
21ɤ-Muurolene38.102.701.531.272.641.181.101.681.340.861.131.090.910.82
22Germacrene-D39.5214.8221.4018.6728.0021.3224.8027.2625.6322.7824.7023.3924.9820.52
23α-Selinene40.460.600.290.320.460.230.170.230.250.130.180.170.140.16
24Isodaucene40.943.362.471.835.372.211.924.501.952.192.182.231.902.09
25δ-Cadinene42.013.961.711.643.231.341.772.211.471.001.351.361.001.07
26ɤ-Cadinene42.292.481.211.032.210.950.871.261.050.680.880.860.680.65
27Cadinadiene43.460.840.430.370.750.300.280.440.340.220.300.300.230.22
28α-Amorphene43.930.950.490.400.870.370.330.530.400.250.340.330.260.25


참취의 건조 조건 최적화에 따른 회귀식 및 반응표면모형

참취는 건조 온도(X1) 및 건조 시간(X2)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중심 합성 계획법에 의해 열풍 건조하였고, 건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종속변수(Y)에 대한 2차 다항식 모델 회귀식은 Table 9와 같다. 종속변수의 P-value는 L 값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0.05 이하로 나타나 최적화 변수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R2 값이 80% 미만인 항목은 설명력이 부족하여 최적화 변수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참취의 최적화 종속변수는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잎 및 줄기 절단 강도, a 값,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설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반응 표면 모형은 Fig. 6과 같다. 반응 표면에서 잎 및 줄기 절단 강도, a 값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모형이 나타났으며,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모형을 나타내었다.

Table 9 .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quadratic polynomial models of drying Aster scaber Thunb.

YnResponse surface regressionR2P-value
Moisture contents284.2-3.16X1-1.673X2+0.0084X12+0.003005X22+0.00753X1*X297.20.00
Water absorption capacity137.1-1.05X1-0.929X2-0.0042X12+0.001282X22+0.00707X1*X293.880.00
Leaf strength71.8-2.04X1+0.109X2+0.0289X12+0.000867X22-0.00454X1*X291.920.00
Stem strength54.5-0.45X1-0.1427X2+0.0056X12+0.000485X22+0.00173X1*X293.560.00
L* value33.43+0.238X1-0.0161X2-0.00203X12+0.000011X22+0.000254X1*X236.520.14
a* value−2.83-0.0501X1+0.01331X2+0.000709X12-0.000013X22-0.000105X1*X295.730.00
b* value8.47-0.112X1-0.01559X2+0.00070X12+0.000036X22+0.000016X1*X263.250.03
Total polyphenols221.8-1.652X1-0.0474X2+0.01183X12-0.000044X22+0.000655X1*X262.280.03
Total flavonoids12.92-0.0199X1-0.00762X2-0.000061X12+0.000003X22+0.000088X1*X287.840.00
β-Carotene165.3-2.71X1-0.424X2-0.0187X12+0.000949X22+0.00100X1*X275.630.01
Total chlorophyll166.2-1.41X1-0.278X2-0.0130X12+0.000122X22+0.00562X1*X276.810.01
Chlorophyll a120.8-1.08X1-0.205X2-0.0099X12+0.000107X22+0.00400X1*X279.120.00
Chlorophyll b45.5-0.33X1-0.0728X2-0.00310X12+0.000015X22+0.001619X1*X269.570.02
α-Humulene0.34+0.171X1-0.0287X2-0.00157X12+0.000053X22+0.000117X1*X267.030.02
β-Myrcene−99.7+2.53X1+0.503X2-0.0122X12-0.000284X22-0.00521X1*X271.060.01
ɤ-Muurolene10.16-0.164X1-0.0370X2+0.00093X12+0.000066X22+0.000171X1*X279.740.00

X1: Temperature (°C), X2: Time (min).



Fig. 6. Response surface model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최적 건조 조건 및 예측값 도출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도출된 최적 조건의 예측값, 95% 신뢰구간 및 95% 예측구간과 검증 실험을 통해 측정된 실험값은 Table 10과 같다. 수분함량은 전통 식품 표준 규격(T094) 규정에 준거하여 타겟점을 13%로 설정하였고, 수분흡수력은 minimum으로 설정하였다. 잎과 줄기의 절단 강도는 minimum으로 설정하였으며, 색도의 a 값은 원물을 blanching 한 것과 유사하도록 타겟점을 -3.79로 설정하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ax로 설정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참취의 건조 최적점은 56.87°C 온도와 156.36분의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해당하는 예측값은 수분함량 10.27%, 수분흡수력 12.54%, 잎 절단 강도 47.44 kg/cm2, 줄기 절단 강도 51.86 kg/cm2, a 값 -2.5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11.25 μg/mL로 도출되었다.

Table 10 . Comparison of predicted values of response variables according to optimal drying conditions for Aster scaber Thunb.

Response variablesPredicted values95% CI95% PI
Moisture contents (%)10.276.03∼14.451.75∼21.23
Water absorption capacity (%)12.549.92∼15.155.71∼19.37
Leaf strength (kg/cm2)47.4444.74∼50.1740.30∼54.58
Stem strength (kg/cm2)51.8649.85∼53.8746.60∼57.12
a* value−2.54−2.60∼−2.49−2.68∼−2.41
Total flavonoids (μg/mL)11.2511.20∼11.3011.12∼11.39

본 연구에서는 건조 온도(50, 60, 70°C) 및 시간(60, 150, 240 min)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건조한 후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열풍 건조 시 참취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 건조 조건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중심 합성법에 따라 총 13가지의 실험점이 설계되었으며, 종속변수로는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색도, 강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β-carotene,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휘발성 향기 성분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중 최적화 변수는 모델의 P-value가 0.05 이하이며, R2 값이 80% 이상인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잎 및 줄기 절단 강도, a 값,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설정하였다. 최적화 결과 56.87°C의 온도와 156.36분의 시간이 최적 건조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해당하는 예측값은 수분함량 10.27%, 수분흡수력 12.54%, 잎 절단 강도 47.44 kg/cm2, 줄기 절단 강도 51.86 kg/cm2, a 값 -2.5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11.25 μg/mL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433701)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ternational. 2005. p 112-113.
  2. Beom HJ, Kang DJ, Lee BD,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wder from hot air and freeze dried leaves and roots of Acorous calam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1451-1457.
    CrossRef
  3. Beom SW, Jiang GH, Eun JB. Effect of blanching tim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Aster scaber.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51-55.
    CrossRef
  4. Cho EJ.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J Korean Soc Food Cult. 2000. 15:59-68.
  5. Choi HS. A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chwi-namuls by terpenoid analysis. Korean J Food Nutr. 2012. 25:930-940.
    CrossRef
  6. Choi HS. Analysis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Nutr. 2016. 29:153-161.
    CrossRef
  7. Choi HS. The variation of the major compound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essential oil by harvest year. Korean J Food Nutr. 2015. 28:533-543.
    CrossRef
  8. Choi I, Woo KS, Choi HS,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β-carotene and vitamin E of different varieties of brown and white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8a. 47:1259-1267.
    CrossRef
  9. Choi MH, Kim MH, Han YS. Antioxidant and glucose-regulating enzyme activities of red chicory (Cichorium intybus L.) extract. Food Eng Prog. 2022. 26:177-187.
    CrossRef
  10. Choi MJ, Kim YS, Seon MJ, et al.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frozen Aster scaber. Food Eng Prog. 2018b. 22:43-49.
    CrossRef
  11. Choi NS, Oh S, Lee JM.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1. 33:745-752.
  12. Choi NS. Comparison o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Ligularia stenocephala and Ligularia fischeri leaves. Korean J Food Nutr. 2021. 34:340-346.
  13. Del Castillo J, Anderson M, Rubottom GM. Marijuana, absinthe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Nature. 1975. 253:365-366.
    Pubmed CrossRef
  14. Dewanto V, Wu X, Adom KK, et al.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2. 50:3010-3014.
    Pubmed CrossRef
  15. Holdsworth SD. Dehydration of food products: A review. J Food Technol. 1971. 6:331-370.
    CrossRef
  16. Hong JY, Kim KM, Nam HS,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Aster scaber by cultivation and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82-90.
    CrossRef
  17. Hwang KT, Rhim JW. Effect of various pretreatments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drie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4. 26:805-813.
  18. Jeong DW, Park YK, Nam SS, et al. Effect of hot-air drying temperature on nutritional components and rehydration rate of sweetpotato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498-504.
    CrossRef
  19. Jiang GH, Na MO, Eun J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and Aster scaber dried by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2016. 23:819-824.
    CrossRef
  20. Jung DS, Lee NH.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leaf and stem) extrac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herb.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07. 35:30-35.
  21. Kang EJ, Park YJ, Park SS, et al. Comparative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rry tomato (Solanum lycopersicum var. cerasiforme) prepared using hot-air and combined 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8. 50:339-343.
  22. Kim BJ, Lee YD, Park JH. Microbial analysis of Aster scaber blanched with NaCl for storage. Korean J Food Nutr. 2014. 27:551-557.
    CrossRef
  23. Kim CH.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sp.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s. Korean J Culinary Res. 2009. 15(3):128-138.
    CrossRef
  24. Kim DH, Seo JM, Kang MH. Antioxidant effect of 80% ethanol extract of Jerusalem artichokes obtaine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ook Sci. 2022. 38:170-177.
    CrossRef
  25. Kim GM, Hong JY, Woo SY,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Aster scaber grown in wild and culture field.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567-576.
    CrossRef
  26. Kim HK, Kwon YJ, Kim YE, et al.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2004a. 11:88-93.
  27. Kim SJ, Kim CK, Kim 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using its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04b. 20:310-316.
  28. Koo H, Lee J, Jung H. Storag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dried oriental melon. Korean J Food Preserv. 2019. 26:606-614.
    CrossRef
  29. Kum JS, Han O. Effects of food height for microwave blanching on vegetables and reheating on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281-285.
  30. Lee EH, Park HJ, Kim NH,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Aster scab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016. 23:393-401.
    CrossRef
  31. Lee HO, Kim JY, Kim G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Aster scaber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246-253.
    CrossRef
  32. Lee LS, Park JD, Cha HS,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wdered green tea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0. 42:33-38.
  33. Lee YJ, Lee HO, Kim JY,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2011. 18:661-668.
    CrossRef
  34. Lim SB, Kim MU, Park KI, et al. Biological activity of wild Ligularia fischeri leaf extracts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Korean J Food Preserv. 2018. 25:359-365.
    CrossRef
  3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gulations concerning recogni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an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2016 [cited 2023 May 15]. Available from: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49644&lang=ENG
  36. Nam HJ, Kwak YJ, Kim CG, et al.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on vegetables during drying process. J Food Hyg Safety. 2007. 22:300-305.
  37. Oh IN, Kim JE, Kwak JY, et al. Quality assessment of Aster scaber cultured at different conditions for processed food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8. 50:371-376.
  38. Park MH, Kim B.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s. Food Eng Prog. 2018. 22:315-320.
    CrossRef
  39. Park SJ, Lee DW, Park SH, et al. Effects of blanching conditions by various salt content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Culinary Res. 2015. 21(6):280-290.
    CrossRef
  40. Park SJ, Lee DW, Park S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rsium setidens Nakai by different drying method. Culi Sci Hos Res. 2016. 22(2):104-114.
    CrossRef
  41. Park WT, Kim JK, Park S. Metabolic profiling of glucosinolate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i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J Agric Food Chem. 2012. 60:8111-8116.
    Pubmed CrossRef
  42. Shen Y, Jin L, Xiao P, et al.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tioxidant capacity in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 to grain color, size and weight. J Cereal Sci. 2009. 49:106-111.
    CrossRef
  43. Shin SR, Han JP, Lee SH, et al.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dried jujube fruit by drying metho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1999. 6:61-65.
  44. Song JM, Hwang Y, Cho YS, et al.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for steamed-dried sweet pumpkin produ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2022. 29:440-454.
    CrossRef
  45. Yang FQ, Li SP, Chen Y, et al.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eleven sesquiterpenes in three species of Curcuma rhizomes by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Pharm Biomed Anal. 2005. 39:552-558.
    Pubmed CrossRef

Article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8): 844-85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한 참취 (Aster scaber Thunb.)의 건조 조건 최적화

김지수․장현욱․조용식․김하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Received: May 4, 2023; Revised: June 26, 2023; Accepted: June 27, 2023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for Chamchwi (Aster scaber Thunb.)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a Central Composition Design

Ji Soo Kim , Hyun Wook Jang, Yong Sik Cho, and Ha Yun Kim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ence to:Ha Yun Kim,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66,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gun, Jeonbuk 55365, Korea, E-mail: khy0617@korea.kr

Received: May 4, 2023; Revised: June 26, 2023; Accepted: June 27,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optimal drying conditions that minimize quality changes during hot air drying for Chamchwi, a leafy vegetable. Drying temperature (50, 60, 70°C) and time (60, 150, 240 min)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fter dry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design 13 experimental point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moisture content, water absorption capacity, chromaticity, strengt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β-carotene, total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volatile aroma components. The optimization variables were moisture content, water absorption capacity, leaf, and stem strength, a* value,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ith a model P-value of 0.05 or less and R2 values of 80% or more. The optimized drying conditions were a temperature of 56.87°C and a time of 156.36 minutes. The corresponding predicted values were moisture content 10.27%, water absorption capacity 12.54%, leaf strength 47.44 kg/cm2, stem strength 51.86 kg/cm2, a* value of −2.54,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11.25 μg/mL.

Keywords: Chamchwi, drying condition, hot-air dry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서 론

산채는 자연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320여 종의 산채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Cho, 2000; Jiang 등, 2016). 산채는 비타민과 무기질,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지방 및 단백질의 함량은 매우 낮은 식물로서(Kim 등, 2015), 예로부터 흉년이나 춘궁기에는 주요한 구황식품으로 여겨졌다(Lee 등, 2012). 산채 중 취나물은 우리나라에 흔히 섭취하는 나물 중 하나로 현대인들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재료로 알려져 있다(Jiang 등, 2016).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취나물은 60여 종으로, 그중 24종을 식용으로 섭취한다. 일반적으로 참취, 곤달비, 곰취, 미역취, 수리취, 각시취 등의 향기가 독특한 취나물이 주로 소비되고 있다(Hong 등, 2014; Lee 등, 2016). 참취(Aster scaber Thunb.)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4~5월경 어린잎을 채취하여 생채, 나물, 쌈 등으로 섭취하며(Hong 등, 2014; Kim 등, 2014), 독특한 향과 향긋하고 쌉쌀한 맛을 특징으로 한다(Kim 등, 2004b; Lee 등, 2016). 참취는 Ca과 Fe 등의 무기질과 β-carotene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부위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옹근 풀에는 다량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saponin이 있고, 꽃이삭과 줄기에는 정유 성분이 있으며, 뿌리에는 coumarin, sapogenin, shionon, alkaloid, squalene, friedelin, α-spinasterol을 함유하고 있다(Choi 등, 2001; Kim 등, 2004b; Lee 등, 2016). 참취는 주로 봄과 여름에 생육되어 채취되며, 겨울철에는 채취가 제한적이어서 원료의 공급이 어려운 식재료이다(Choi 등, 2018b). 또한, 품질관리와 가공 기술이 미흡하여 연중 신선한 품질을 유지함에 어려움이 있어 통조림으로 가공되거나 건조 나물로 소비되고 있다(Jung과 Lee, 2007; Oh 등, 2018). 참취를 가공·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된 전처리로는 blanching 방법이 있다. Blanching은 고온에서 짧은 시간 가열하는 방법으로, 효소를 불활성화하여 색상의 변화와 조직의 연화를 최소화한다는 특징이 있다(Lee 등, 2011).

한편 농가에서는 농산물을 건조 가공하기 위해 주로 천일 건조와 열풍 건조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천일 건조 방법은 특별한 설비가 필요 없어 경제적이고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장기간의 건조 시간이 필요하며 수분함량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Hwang과 Rhim, 1994). 또한, 건조 과정 중 미생물 및 해충에 의한 오염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산화 반응이나 광화학 반응에 의해 퇴색 및 변색되거나 영양 성분이 파괴되는 등 품질 저하 현상이 현저한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다(Hwang과 Rhim, 1994; Jiang 등, 2016). 반면, 열풍 건조 방법은 온습도 조절이 쉬워 신속하고 균일하게 건조가 이루어지며, 천일 건조와 비교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열로 인한 영양소 및 생리적 물질의 파괴와 갈변 반응에 의한 변색, 조직화 변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ldsworth, 1971; Shin 등, 1999). 현재 열풍 건조는 건조 조건의 기준이 설정되지 않아 우수한 품질의 건조 제품을 얻기에는 어려움이 많다(Shin 등, 1999). 따라서 열풍 건조 과정에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온도 및 시간 등의 건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취의 건조 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를 반응표면분석법(RSM)으로 분석하여, 건조 시 참취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건조 조건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참취는 2022년 6월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수확한 것을 구입하였고, 4°C의 냉장고에서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참취는 Fig. 1과 같이 열풍 건조 전에 blanching 하는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Blanching 조건은 선행연구(Jung과 Lee, 2007; Lee 등, 2012)를 참고하여 blanching 액 10배, 염 농도 1%로 설정하였으며, 가열 온도 및 시간은 Beom 등(2015)Park 등(2016)을 참고하여 100°C와 2분으로 설정하였다. 흐르는 냉수에 세척한 참취는 100°C의 끓는 물에서 2분 동안 blanching 한 후 흐르는 냉수에 냉각하였고 채소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하였다.

Fig 1. Process for preparation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참취는 열풍건조기(W-500ED, Jinwoo Electronics Co., Ltd.)를 이용하여 건조하였으며, 1개의 트레이(54×48×4.5 cm)당 1 kg의 참취를 담아 건조하였다. 이는 중심 합성법에 의해 구축된 온도(50, 60, 70°C)와 시간(60, 150, 240분)의 조건에서 건조를 진행하였고, 건조 후에는 데시케이터에서 1시간 동안 수분평형을 이루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열풍 건조의 조건은 선행연구(Kim 등, 2004a; Lim 등, 2018; Nam 등, 2007)를 참고하여 예비 실험을 진행한 후 설정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RSM)

본 연구에서는 참취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 열풍 건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 합성 계획법(Central Composite Design)을 활용하여 실험을 설계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Minitab 17(Minitab Inc., State College)을 사용하였다. 참취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변수로는 건조 온도(X1)와 건조 시간(X2)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각각 -1, 0, 1로 코드화하여 Table 1로 나타내었다. 중심 합성법에 의해 설계된 건조 조건은 Table 2와 같으며, 건조된 참취의 사진은 Fig. 2에 나타내었다. 종속변수로는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색도, 강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β-carotene,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휘발성 향기성분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중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a 값, 강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최적화 변수 조건으로 설정하여 최적화하였다.

Table 1 .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coded and actual levels for central composited design.

Independent variableCoded levels
−101
X1Drying temperature (°C)506070
X2Drying time (min)60150240


Table 2 .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the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No.X1X2
15060
250150
350240
46060
560150
660240
77060
870150
970240
1060150
1160150
1260150
1360150

X1: Temperature (°C), X2: Time (min)..



Fig 2. Photos of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temperature and time with drying. 1)Fresh Aster scaber. 2)Blanched Aster scaber.

수분함량 및 수분흡수력 측정

수분함량은 AOAC 법(2005)을 참고하여 105°C 상압 가열 건조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수분흡수력은 Kang 등(2018)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참취 2 g을 다시백(8.5×7.5 cm)에 넣어 30°C의 water bath(WB-22, Daihan Scientific Co., Ltd.)에서 4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수화된 참취의 표면수를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원물의 고형분 함량을 도출한 뒤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수분흡수력을 계산하였다.

%= - ×100

색도 측정

참취는 색도 측정을 위해 30°C의 water bath(WB-22)에서 4시간 동안 수화하여 탈수하였으며, 균일한 측정을 위해 블렌더(BL481KRCO, SharkNinja)로 분쇄하였다. 이를 petri dish(35×10 mm)에 담은 후, colorimeter(UltraScan PRO CMS-35SP, HunterLab)를 이용하여 CIELab 방식으로 L*(명도), a*[적(R)-녹(G)], b*[황(Y)-청(B)]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한 표준 백색판의 값은 L=99.54, a=-0.15, b=-0.18이었다.

물성 측정

참취는 물성 측정을 위해 30°C의 water bath(WB-22)에서 4시간 동안 수화하여 탈수하였다. 이는 1×5 cm의 크기로 절단하였고, 무작위로 선택하여 rheometer(Compac-100, Sun Scientific Co., Ltd.)를 이용해 강도를 측정하였다. Rheometer 측정 시 사용한 adapter는 No. 8인 칼날(blade)형 probe였고, 로드 셀 최대 응력은 10 kg, 진입 거리는 5 mm, 테이블 이동 속도는 120 mm/min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은 Dewanto 등(2002)의 Folin-Denis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추출물 800 μL에 0.9 N Folin-Ciocalteu’s 용액 50 μL를 첨가하여 3분 동안 반응시켰고, 20% Na2CO3 150 μL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분광광도계(Cary UV-Vis Multicell, Agilent Technologies)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사용해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hen 등(200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추출물 1 mL에 5% NaNO2 150 μL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6분 동안 반응시켰으며, 10% AlCl3・6H2O 300 μL를 첨가해 암실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뒤 1 N NaOH 1 mL를 첨가하였고, 분광광도계(Cary UV-Vis Multicell)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표준물질 quercetin(Sigma-Aldrich Co.)을 사용해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

β-Carotene 함량

β-Carotene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을 참고하였다. 시료 추출물에 3% pyrogallol ethanol 10 mL와 60% KOH 1 mL를 첨가하여 비누화(70°C, 30분)한 뒤 냉각하였으며, 1% NaCl 20 mL와 hexane・ethyl acetate(9:1) 혼합 용액 15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진탕하였다. 이를 원심분리(2,000×g, 5분)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고, 하층에 hexane ・ethyl acetate(9:1) 혼합 용액 15 mL를 첨가하여 반복 추출하였다. 반복 추출한 상층액은 감압 농축한 뒤 에탄올 10 mL로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β-Carotene 함량 분석을 위한 HPLC의 조건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 . HPLC conditions for β-carotene contents analysis.

Condition
InstumentHITACHI Chromaster HPLC (UV-VIS) system
ColumnC18 4.6×150 mm, 5 μm (Waters Atlantis dC18)
Mobile phase(A) Acetonitrile:Methanol (85:15, v/v), (B) Dichloromethane
Flow rate1.0 mL/min
Injection volume20 μL
Gradient(A) 70%, (B) 30%
Detector450 nm
Run time15 min


총 chlorophyll 및 chlorophyll a, b 함량

Chlorophyll 함량은 AOAC 법(2005)을 참고하여, 시료 무게의 10배의 85% acetone으로 추출하였으며, 642.5 nm와 6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뒤 다음의 계산식에 넣어 농도를 정량하였다.

TotalchlorophyllμL/mL=7.12O.D.660.0nm+16.80O.D.642.5nmChlorophyllaμL/mL=9.93O.D.660.0nm0.777O.D.642.5nmChlorophyllbμL/mL=17.60O.D.642.5nm2.81O.D.660.0nm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참취는 향기성분 분석을 위해 Freezer/mill(6875D, SPEX SamplePrep LCC)로 동결분쇄하였다. 동결분쇄된 시료 0.5 g은 NaCl 1 g, 1,2,3 Trichloropropane(500 ppm, internal standard) 4 μL와 함께 SPME vial에 준비하여 vortexing 한 후, Solid-Phase Micro Extraction(SPME) 법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을 위한 GC-MS/MS는 TSQ 8000(Thermo Fisher Scientific)이 연결된 Trace 1310(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였으며, 주입구 온도는 250°C로 설정하였다. 칼럼은 DB-Was(60 m×0.25 mm, 0.50 micron, Agilent Technologies)를 사용하였고, 오븐 온도는 40°C에서 2분간 유지한 다음 4°C/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150°C까지, 4°C/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200°C까지, 10°C/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230°C까지 분석하였다. Carrier 가스로는 He 가스를 유속 1.5 mL/min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측정은 3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휘발성 성분은 NIST search 및 Mass library data에 의한 검색으로 동정하였다.

통계처리

본 실험의 결과는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SPSS statistics(25.0 ver., IBM)를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였다. 그 후 유의성이 있는 변수는 사후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해 유의적 차이(P<0.05)를 검증하였다. 원물 참취(F)와 blanching 참취(B)의 유의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를 이용하여 독립 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원물 참취 및 blanching 참취의 이화학적 품질 분석

원물 참취(F) 및 blanching 참취(B)의 이화학적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으며, F와 B의 유의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분함량의 경우 F는 89.40%, B는 85.81%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t-test 분석 결과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이는 blanching 중 참취 조직 표면의 수분이 용출되어 수분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w and blanched Aster scaber Thunb..

F1)B2)t-valueP-value
Moisture contents (%)89.40±0.193)85.81±0.18***23.7380
Leaf strength (kg/cm2)11.04±0.7334.80±0.73***−39.6980
Stem strength (kg/cm2)53.48±2.2139.04±2.94**6.8040.002
L* value42.83±0.4840.33±0.30**7.6120.002
a* value−2.66±0.22−3.79±0.26**5.7950.004
b* value4.14±0.373.80±0.291.2690.273

1)Fresh Aster scaber Thunb..

2)Blanched Aster scaber Thunb..

3)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P<0.01, ***P<0.001 in t-test..



잎의 절단 강도는 F는 11.04 kg/cm2, B는 34.80 kg/cm2로 측정되었으며, t-test 분석 결과 P<0.001 수준의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eom 등(2015)의 연구에서 참취를 2~3분 blanching 처리 시 잎의 강도가 증가하는 결과와 유사하였고 가열 처리 시 잎이 질겨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줄기의 절단 강도는 F는 53.48 kg/cm2, B는 39.04 kg/cm2로 측정되었고, t-test 분석 결과 P<0.01 수준의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um과 Han(1998)의 연구에서 당근을 blanching 처리 시 강도가 낮아지는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가열 처리 시 줄기가 물러지기 때문에 강도가 낮아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의 L 값의 경우 F는 42.88, B는 40.33으로 측정되었으며, a 값은 F -2.66, B -3.79, b 값은 F 4.14, B 3.80으로 측정되었다. 색도의 t-test 분석 결과 L 값 및 a 값은 P<0.01 수준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b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선행 연구(Lee 등, 2012)에 의하면 blanching 처리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색상을 뚜렷하게 한다고 보고되었으며, blanching 처리 시 L 값 및 a 값이 감소한다는 Lee 등(2012)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이화학적 품질분석

건조 참취의 이화학적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건조 참취의 수분함량은 2.45~76.21%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No. 9(2.45%)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전통 식품 표준 규격(T094)에 의하면 건조 엽채류의 수분함량은 13% 이하로 규정되어 있어 No. 3, 5, 6, 8~13 시료가 건조 참취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Moisture contents (%)Water absorption capacity (%)Leaf strength (kg/cm2)Stem strength (kg/cm2)
176.21±0.87a1)2)44.61±1.61a39.47±1.27d45.84±1.28e
223.14±5.27d13.84±0.95d41.59±0.74cd48.02±1.85de
39.64±1.50e11.74±0.19e65.36±2.94ab59.26±0.64ab
470.05±1.33b35.46±1.56b48.38±6.74cd44.08±5.16e
58.67±1.02e11.61±0.13e47.06±1.64cd52.21±6.78bcd
63.22±0.37f10.96±0.04e65.24±13.30ab68.65±1.91a
741.90±1.09c18.25±0.34c59.18±4.91b52.06±6.55bcd
83.14±0.55f10.95±0.06e63.77±3.55ab57.96±0.73b
92.45±0.28f10.87±0.03e68.74±2.55a71.72±6.28a
107.86±0.74e11.47±0.08e46.69±4.09cd55.17±7.68bc
117.75±1.30e11.43±0.21e47.96±0.73cd52.20±4.59bcd
126.51±0.92e11.34±0.12e50.08±6.02c51.78±7.46bcd
137.70±1.73e11.61±0.07e50.08±1.94c52.20±1.28bcd

1)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건조 참취의 수분흡수력은 10.87~44.61% 범위였고,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No. 9(10.87%)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이는 건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표면이 경화되고 수축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건조 참취의 잎 절단 강도는 39.47~68.74 kg/cm2 범위였으며, 줄기 절단 강도는 44.08~71.72 kg/cm2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Koo 등(2019)의 연구에 의하면 냉풍 건조에 비해 열풍 건조한 참외의 강도가 더 높았으며, Song 등(2022)의 연구에서는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Table 4에 제시한 blanching 참취(B)의 절단 강도는 잎 34.80 kg/cm2, 줄기 39.04 kg/cm2로 건조 참취와 비교하여 낮은 값을 보였다. 이는 참취 열풍 건조 시 열처리에 의해 참취의 표면 경화가 진행되어 강도가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색도 측정

건조 참취의 수화 전 및 수화 후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건조 참취의 수화 전 L 값은 40.51~45.60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a 값은 -3.36~-1.86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녹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b 값의 경우 3.04~4.63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Table 6 . CIE color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L* valuea* valueb* value
Before rehydration140.51±0.23g1)2)−3.36±0.23g3.95±0.43abc
244.22±0.33de−3.03±0.19f4.21±0.42abc
344.60±0.03cd−2.25±0.03b3.66±0.00bcd
440.73±0.44g−2.93±0.24ef3.44±0.51cd
545.07±0.41abc−2.60±0.16cd4.24±0.44abc
643.81±0.47ef−2.01±0.14ab3.04±0.48d
743.19±0.85f−2.88±0.35def3.86±0.95abc
844.13±0.09de−2.15±0.04ab3.53±0.06bcd
943.66±0.28ef−1.86±0.10a3.04±0.23d
1045.13±0.22abc−2.61±0.08cd4.28±0.30ab
1144.93±0.18bc−2.55±0.05c4.11±0.16abc
1245.29±0.19ab−2.66±0.05cde4.63±0.19a
1345.60±0.10a−2.71±0.06cde4.57±0.46a
After rehydration139.83±0.83c−3.14±0.12c3.70±0.24a
240.18±0.33bc−2.62±0.20b3.43±0.26ab
340.16±0.54bc−2.35±0.12ab3.09±0.05bc
440.77±0.36ab−2.92±0.24c3.79±0.38a
540.35±0.63bc−2.50±0.18b3.25±0.44abc
640.53±0.41bc−2.37±0.15ab2.85±0.34bc
740.18±0.49bc−2.52±0.19b3.25±0.61abc
840.54±0.50bc−2.32±0.17ab2.77±0.26c
941.42±0.20a−2.11±0.16a2.69±0.36c
1040.56±0.32bc−2.50±0.10b2.70±0.21c
1140.14±0.40bc−2.57±0.01b2.69±0.17c
1240.67±0.23abc−2.51±0.07b2.83±0.23c
1340.87±0.22ab−2.43±0.24b2.72±0.29c

1)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수화 후 색도의 L 값은 39.83~41.42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a 값은 -3.14~-2.11 범위로 수화 전과 유사하게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녹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면, b 값은 2.69~3.79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황색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Jiang 등(2016)의 연구에 의하면 열풍 건조 참취의 a 값은 동결 건조 참취에 비해 높게 나타나 녹색도가 낮았다. 따라서 열처리에 따라 a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Table 4에 제시한 blanching 참취(B)의 색도는 L 값 40.33, a 값 -3.79, b 값 3.80으로 건조 참취와 비교하여 a 값이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참취 열풍 건조 시 열처리의 의한 갈변 현상으로 녹색도가 낮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총 폴리페놀 함량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인 페놀성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탄닌 및 카테킨 등을 말하며, 식물성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Kim 등, 2022). 이는 hydroxyl기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로, 산화 방지, 항노화,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등, 2012). 건조 참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ig. 3과 같다. 건조 참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60.13~166.91 μg/mL 범위로,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이는 쑥(Kim, 2009), 곤드레(Park 등, 2016), 아로니아(Park과 Kim, 2018) 등의 선행연구에서 열처리의 증가에 따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열에 의해 페놀 성분의 일부가 파괴되었을 것이라 보고된 바 있다(Park 등, 2016).

Fig 3. Antioxidant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A, total polyphenol contents; B, total flavonoid content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i)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건조 조건별 참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플라보노이드는 페놀성 화합물의 일종으로 식물체의 잎, 꽃, 과실, 줄기 및 뿌리 등에 존재하며,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항바이러스, 항암, 항염증 등과 같은 생리 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등, 2022). 건조 참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Fig. 3과 같다. 건조 참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1.07~11.54 μg/mL 범위로 나타났으며,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나 열에 의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파괴로 판단되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건조 조건별 참취의 β-carotene 함량

지용성 비타민 중 하나인 비타민 A는 체내에서 생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식이를 통해 섭취해야 하며, 동물성 식품에서는 주로 레티놀의 형태로, 식물성 식품에서는 카로티노이드 형태로 존재한다. β-Carotene은 카로티노이드의 전구체로, 섭취 시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물질로 보고되어 있다(Choi 등, 2018a). 건조 참취의 β-carotene 함량은 Fig. 4와 같이 34.20~56.03 mg/100 g 범위로 나타났으며, 50°C의 건조품(No. 1~3)과 70°C의 건조품(No. 7~9)의 경우 건조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반면, 60°C의 건조품(No. 4~6)은 시간에 따른 경향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Choi 등(2001)의 연구에 의하면 데침 조건에 따른 참취의 β-carotene 함량은 29.6~40.0 mg/100 g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괏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Jeong 등(2015)의 고구마 잎 선행연구에 의하면 건조 온도가 높아질수록 β-carotene 함량이 감소한다고 보고되어, 열처리에 따라 β-carotene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인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Fig 4. β-Carotene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건조 조건별 참취의 chlorophyll 함량

식물체의 chlorophyll은 페놀 화합물 중 녹색 색소 성분으로, 싱그러운 향기, 외관, 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며(Lee 등, 2010), 카로티노이드와 함께 단백질, 지방질, 지단백질과 결합한 상태로 존재한다(Choi 등, 2022). 녹색을 나타내는 물질인 chlorophyll은 a, b, c, d 중 a와 b로 보고되어 있으며(Beom 등, 2007), chlorophyll a는 청록색, chlorophyll b는 황록색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Park 등, 2015). 건조 참취의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Fig. 5와 같다. 건조 참취의 총 chlorophyll 함량은 92.87~129.62 mg/100 g 범위였고, chlorophyll a 함량은 67.38~92.64 mg/100 g, chlorophyll b 함량은 25.50~36.98 mg/100 g 범위로 나타났다.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함량은 모두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또한, chlorophyll a 함량은 chlorophyll b 함량과 비교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건조 참취는 황록색보다 청록색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수창포 분말(Beom 등, 2007)과 건조채소(Hwang과 Rhim, 1994)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건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chlorophyll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Fig 5. Chlorophyll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A, total chlorophyll contents; B, chlorophyll a contents; C, chlorophyll b content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건조 조건별 참취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

참취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SPME 법으로 동정한 후, 주요 화합물을 정리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참취의 주요 휘발성 향기 성분은 함량이 높은 28종을 선별하였으며, 알코올류 8종, 테르펜 화합물류 20종으로 나타났다. 산채류의 특징적인 향기는 테르펜 화합물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Choi, 2012), 본 연구에서 참취의 향기 성분을 동정한 결과 테르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테르펜 화합물은 에센셜 오일 또는 아로마 오일의 주성분으로 신선한 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산화되어 다른 향기 성분의 구성 물질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기능기인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및 에스테르 등이 부가된 형은 풍미가 더 우세하다고 알려져 있다(Del Castillo 등, 1975).

Table 7 . The main volatile aroma compounds in dried Aster scaber Thunb..

NoVolatile compoundsFormulaOdor
Alcohols
1Amyl alcoholC5H12Ofusel, oily, sweet, balsamic
2β-Copaen-4-α-olC15H24O
32-Methyl-6-methylene-1,7-octadien-3-oneC10H14O
4tau-CadinolC15H26Obalsamic, earthy
5HimachalolC15H26O
6α-CadinolC15H26Oherbal, woody
7NeointermedeolC15H26O
85-Cyclodecen-1-olC15H24O
Terpene hydrocarbons
9β-MyrceneC10H16peppery, terpenic, spicy, balsamic, rose, carrot, plastic, herbal, woody, celery citrus, orange, fresh, sweet
10D-LimoneneC10H16minty, terpenic
11β-PhellandreneC10H16green, tropical, woody, floral, vegetable
12β-OcimeneC10H16herbal, waxy
13α-CubebeneC15H24woody, spicy, honey
14CopaeneC15H24herbal, waxy, fresh
15β-ElemeneC15H24sweet, woody, spicy, clove, dry
16CaryophylleneC15H24
17Cadina-3,5-dieneC15H24woody, citrus, herbal, sweet
18β-FarneseneC15H24thyme, herbal, woody, dry
19δ-CadineneC15H24woody
20α-HumuleneC15H24herbal, woody, spicy
21ɤ-MuuroleneC15H24woody, spicy
22Germacrene-DC15H24amber
23α-SelineneC15H24
24IsodauceneC15H24thyme, herbal, woody, dry
25δ-CadineneC15H24herbal, woody, spicy
26ɤ-CadineneC15H24spicy, fruity, mango
27CadinadieneC15H24
28α-AmorpheneC15H24


참취의 주요 휘발성 향기 성분을 정량하여 나타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건조 참취는 모든 건조 조건에서 β-myrcene(11.61~40.49%), germacrene-D(14.82~28.00%), caryophyllene(2.90~10.41%), β-ocimene(2.90~5.71%), α-humulene(2.46~4.03%)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β-Myrcene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그 외의 β-phellandrene, copaene, cadina-3,5-diene, α-humulene, ɤ-muurolene, δ-cadinene, ɤ-cadinene, cadinadiene, α-amorphene 등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 향기 성분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myrcene은 모노테르펜류에 속한다. Peppery, terpenic, spicy, balsamic, rose, carrot, plastic, herbal, woody, celery 등의 주요 향기 성분이며, 신선하고 상쾌한 관능적 특성이 있어 향기 산업에서 널리 쓰이는 화합물이다. 10 ppm 이하에서는 단 냄새와 허브향을 내나, 농도가 높아질 경우 자극적이며 강한 풀 냄새를 내게 되므로 저농도에서 사용되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Choi, 2012). Germacrene은 세스퀴테르펜류에 속하며, 다양한 종의 식물에서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살충, 미생물 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Choi, 2021; Yang 등, 2005). 세스퀴테르펜류에 속하는 caryophyllene은 쑥, 수리취, 참취를 포함한 국화과 식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향성 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sweet, woody, spicy, clove, dry 등의 향을 내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최근 병원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 2015, 2016).

Table 8 . Volatile aroma compound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Volatile compoundsR/T (min)12345678910111213
Alcohols
1Amyl alcohol20.510.370.040.020.120.030.010.070.020.010.020.020.020.02
2β-Copaen-4-α-ol31.120.971.061.051.540.961.111.251.070.961.121.061.020.86
32-Methyl-6-methylene-1,7-octadien-3-one31.350.400.080.150.160.290.120.270.110.150.150.230.280.24
4tau-Cadinol58.810.540.180.130.360.130.080.200.120.050.100.110.080.07
5Himachalol60.161.870.320.541.030.610.780.930.870.841.041.040.830.83
6α-Cadinol60.570.780.280.210.580.180.100.310.190.060.150.160.100.10
7Neointermedeol61.250.170.080.080.130.070.030.070.060.010.040.050.030.03
85-Cyclodecen-1-ol64.450.290.120.230.100.530.480.160.400.290.390.560.590.39
Terpene hydrocabons
9β-Myrcene17.4311.6122.3340.4915.0735.7533.1626.6728.0636.8026.5830.5733.4533.73
10D-Limonene18.952.334.732.431.836.471.842.711.405.053.463.244.554.37
11β-Phellandrene19.367.396.674.012.131.761.563.462.842.455.113.261.717.47
12β-Ocimene20.773.504.523.872.904.035.713.915.434.114.494.373.923.93
13α-Cubebene28.255.270.450.352.160.430.470.830.400.430.430.460.330.42
14Copaene29.570.510.320.270.540.250.260.400.260.190.250.250.200.20
15β-Elemene33.141.322.442.892.592.732.662.313.232.462.722.522.722.77
16Caryophyllene33.7810.412.903.424.733.224.242.933.132.914.083.904.213.09
17Cadina-3,5-diene35.561.200.640.501.110.430.360.660.460.280.390.360.290.27
18β-Farnesene36.091.831.120.683.990.930.731.471.020.990.830.920.990.69
19δ-Cadinene36.560.400.160.120.310.100.080.160.100.050.080.080.060.06
20α-Humulene37.313.742.742.514.032.682.973.343.082.532.952.882.932.46
21ɤ-Muurolene38.102.701.531.272.641.181.101.681.340.861.131.090.910.82
22Germacrene-D39.5214.8221.4018.6728.0021.3224.8027.2625.6322.7824.7023.3924.9820.52
23α-Selinene40.460.600.290.320.460.230.170.230.250.130.180.170.140.16
24Isodaucene40.943.362.471.835.372.211.924.501.952.192.182.231.902.09
25δ-Cadinene42.013.961.711.643.231.341.772.211.471.001.351.361.001.07
26ɤ-Cadinene42.292.481.211.032.210.950.871.261.050.680.880.860.680.65
27Cadinadiene43.460.840.430.370.750.300.280.440.340.220.300.300.230.22
28α-Amorphene43.930.950.490.400.870.370.330.530.400.250.340.330.260.25


참취의 건조 조건 최적화에 따른 회귀식 및 반응표면모형

참취는 건조 온도(X1) 및 건조 시간(X2)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중심 합성 계획법에 의해 열풍 건조하였고, 건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종속변수(Y)에 대한 2차 다항식 모델 회귀식은 Table 9와 같다. 종속변수의 P-value는 L 값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0.05 이하로 나타나 최적화 변수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R2 값이 80% 미만인 항목은 설명력이 부족하여 최적화 변수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참취의 최적화 종속변수는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잎 및 줄기 절단 강도, a 값,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설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반응 표면 모형은 Fig. 6과 같다. 반응 표면에서 잎 및 줄기 절단 강도, a 값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모형이 나타났으며,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모형을 나타내었다.

Table 9 .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quadratic polynomial models of drying Aster scaber Thunb..

YnResponse surface regressionR2P-value
Moisture contents284.2-3.16X1-1.673X2+0.0084X12+0.003005X22+0.00753X1*X297.20.00
Water absorption capacity137.1-1.05X1-0.929X2-0.0042X12+0.001282X22+0.00707X1*X293.880.00
Leaf strength71.8-2.04X1+0.109X2+0.0289X12+0.000867X22-0.00454X1*X291.920.00
Stem strength54.5-0.45X1-0.1427X2+0.0056X12+0.000485X22+0.00173X1*X293.560.00
L* value33.43+0.238X1-0.0161X2-0.00203X12+0.000011X22+0.000254X1*X236.520.14
a* value−2.83-0.0501X1+0.01331X2+0.000709X12-0.000013X22-0.000105X1*X295.730.00
b* value8.47-0.112X1-0.01559X2+0.00070X12+0.000036X22+0.000016X1*X263.250.03
Total polyphenols221.8-1.652X1-0.0474X2+0.01183X12-0.000044X22+0.000655X1*X262.280.03
Total flavonoids12.92-0.0199X1-0.00762X2-0.000061X12+0.000003X22+0.000088X1*X287.840.00
β-Carotene165.3-2.71X1-0.424X2-0.0187X12+0.000949X22+0.00100X1*X275.630.01
Total chlorophyll166.2-1.41X1-0.278X2-0.0130X12+0.000122X22+0.00562X1*X276.810.01
Chlorophyll a120.8-1.08X1-0.205X2-0.0099X12+0.000107X22+0.00400X1*X279.120.00
Chlorophyll b45.5-0.33X1-0.0728X2-0.00310X12+0.000015X22+0.001619X1*X269.570.02
α-Humulene0.34+0.171X1-0.0287X2-0.00157X12+0.000053X22+0.000117X1*X267.030.02
β-Myrcene−99.7+2.53X1+0.503X2-0.0122X12-0.000284X22-0.00521X1*X271.060.01
ɤ-Muurolene10.16-0.164X1-0.0370X2+0.00093X12+0.000066X22+0.000171X1*X279.740.00

X1: Temperature (°C), X2: Time (min)..



Fig 6. Response surface model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최적 건조 조건 및 예측값 도출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도출된 최적 조건의 예측값, 95% 신뢰구간 및 95% 예측구간과 검증 실험을 통해 측정된 실험값은 Table 10과 같다. 수분함량은 전통 식품 표준 규격(T094) 규정에 준거하여 타겟점을 13%로 설정하였고, 수분흡수력은 minimum으로 설정하였다. 잎과 줄기의 절단 강도는 minimum으로 설정하였으며, 색도의 a 값은 원물을 blanching 한 것과 유사하도록 타겟점을 -3.79로 설정하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ax로 설정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참취의 건조 최적점은 56.87°C 온도와 156.36분의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해당하는 예측값은 수분함량 10.27%, 수분흡수력 12.54%, 잎 절단 강도 47.44 kg/cm2, 줄기 절단 강도 51.86 kg/cm2, a 값 -2.5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11.25 μg/mL로 도출되었다.

Table 10 . Comparison of predicted values of response variables according to optimal drying conditions for Aster scaber Thunb..

Response variablesPredicted values95% CI95% PI
Moisture contents (%)10.276.03∼14.451.75∼21.23
Water absorption capacity (%)12.549.92∼15.155.71∼19.37
Leaf strength (kg/cm2)47.4444.74∼50.1740.30∼54.58
Stem strength (kg/cm2)51.8649.85∼53.8746.60∼57.12
a* value−2.54−2.60∼−2.49−2.68∼−2.41
Total flavonoids (μg/mL)11.2511.20∼11.3011.12∼11.39

요 약

본 연구에서는 건조 온도(50, 60, 70°C) 및 시간(60, 150, 240 min)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건조한 후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열풍 건조 시 참취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 건조 조건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중심 합성법에 따라 총 13가지의 실험점이 설계되었으며, 종속변수로는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색도, 강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β-carotene, 총 chlorophyll,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휘발성 향기 성분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중 최적화 변수는 모델의 P-value가 0.05 이하이며, R2 값이 80% 이상인 수분함량, 수분흡수력, 잎 및 줄기 절단 강도, a 값,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설정하였다. 최적화 결과 56.87°C의 온도와 156.36분의 시간이 최적 건조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해당하는 예측값은 수분함량 10.27%, 수분흡수력 12.54%, 잎 절단 강도 47.44 kg/cm2, 줄기 절단 강도 51.86 kg/cm2, a 값 -2.5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11.25 μg/mL로 도출되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433701)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 1.

Fig 1.Process for preparation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 844-855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Fig 2.

Fig 2.Photos of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temperature and time with drying. 1)Fresh Aster scaber. 2)Blanched Aster scab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 844-855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Fig 3.

Fig 3.Antioxidant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A, total polyphenol contents; B, total flavonoid content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i)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 844-855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Fig 4.

Fig 4.β-Carotene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 844-855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Fig 5.

Fig 5.Chlorophyll content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A, total chlorophyll contents; B, chlorophyll a contents; C, chlorophyll b contents. 1: 50°C/60 min, 2: 50°C/150 min, 3: 50°C/240 min, 4: 60°C/60 min, 5: 60°C/150 min, 6: 60°C/240 min, 7: 70°C/60 min, 8: 70°C/150 min, 9: 70°C/240 min, 10: 60°C/150 min, 11: 60°C/150 min, 12: 60°C/150 min, 13: 60°C/150 mi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multiple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 844-855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Fig 6.

Fig 6.Response surface model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 844-855https://doi.org/10.3746/jkfn.2023.52.8.844

Table 1 .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coded and actual levels for central composited design.

Independent variableCoded levels
−101
X1Drying temperature (°C)506070
X2Drying time (min)60150240

Table 2 .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the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No.X1X2
15060
250150
350240
46060
560150
660240
77060
870150
970240
1060150
1160150
1260150
1360150

X1: Temperature (°C), X2: Time (min)..


Table 3 . HPLC conditions for β-carotene contents analysis.

Condition
InstumentHITACHI Chromaster HPLC (UV-VIS) system
ColumnC18 4.6×150 mm, 5 μm (Waters Atlantis dC18)
Mobile phase(A) Acetonitrile:Methanol (85:15, v/v), (B) Dichloromethane
Flow rate1.0 mL/min
Injection volume20 μL
Gradient(A) 70%, (B) 30%
Detector450 nm
Run time15 min

Table 4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w and blanched Aster scaber Thunb..

F1)B2)t-valueP-value
Moisture contents (%)89.40±0.193)85.81±0.18***23.7380
Leaf strength (kg/cm2)11.04±0.7334.80±0.73***−39.6980
Stem strength (kg/cm2)53.48±2.2139.04±2.94**6.8040.002
L* value42.83±0.4840.33±0.30**7.6120.002
a* value−2.66±0.22−3.79±0.26**5.7950.004
b* value4.14±0.373.80±0.291.2690.273

1)Fresh Aster scaber Thunb..

2)Blanched Aster scaber Thunb..

3)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P<0.01, ***P<0.001 in t-test..


Table 5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Moisture contents (%)Water absorption capacity (%)Leaf strength (kg/cm2)Stem strength (kg/cm2)
176.21±0.87a1)2)44.61±1.61a39.47±1.27d45.84±1.28e
223.14±5.27d13.84±0.95d41.59±0.74cd48.02±1.85de
39.64±1.50e11.74±0.19e65.36±2.94ab59.26±0.64ab
470.05±1.33b35.46±1.56b48.38±6.74cd44.08±5.16e
58.67±1.02e11.61±0.13e47.06±1.64cd52.21±6.78bcd
63.22±0.37f10.96±0.04e65.24±13.30ab68.65±1.91a
741.90±1.09c18.25±0.34c59.18±4.91b52.06±6.55bcd
83.14±0.55f10.95±0.06e63.77±3.55ab57.96±0.73b
92.45±0.28f10.87±0.03e68.74±2.55a71.72±6.28a
107.86±0.74e11.47±0.08e46.69±4.09cd55.17±7.68bc
117.75±1.30e11.43±0.21e47.96±0.73cd52.20±4.59bcd
126.51±0.92e11.34±0.12e50.08±6.02c51.78±7.46bcd
137.70±1.73e11.61±0.07e50.08±1.94c52.20±1.28bcd

1)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able 6 . CIE color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L* valuea* valueb* value
Before rehydration140.51±0.23g1)2)−3.36±0.23g3.95±0.43abc
244.22±0.33de−3.03±0.19f4.21±0.42abc
344.60±0.03cd−2.25±0.03b3.66±0.00bcd
440.73±0.44g−2.93±0.24ef3.44±0.51cd
545.07±0.41abc−2.60±0.16cd4.24±0.44abc
643.81±0.47ef−2.01±0.14ab3.04±0.48d
743.19±0.85f−2.88±0.35def3.86±0.95abc
844.13±0.09de−2.15±0.04ab3.53±0.06bcd
943.66±0.28ef−1.86±0.10a3.04±0.23d
1045.13±0.22abc−2.61±0.08cd4.28±0.30ab
1144.93±0.18bc−2.55±0.05c4.11±0.16abc
1245.29±0.19ab−2.66±0.05cde4.63±0.19a
1345.60±0.10a−2.71±0.06cde4.57±0.46a
After rehydration139.83±0.83c−3.14±0.12c3.70±0.24a
240.18±0.33bc−2.62±0.20b3.43±0.26ab
340.16±0.54bc−2.35±0.12ab3.09±0.05bc
440.77±0.36ab−2.92±0.24c3.79±0.38a
540.35±0.63bc−2.50±0.18b3.25±0.44abc
640.53±0.41bc−2.37±0.15ab2.85±0.34bc
740.18±0.49bc−2.52±0.19b3.25±0.61abc
840.54±0.50bc−2.32±0.17ab2.77±0.26c
941.42±0.20a−2.11±0.16a2.69±0.36c
1040.56±0.32bc−2.50±0.10b2.70±0.21c
1140.14±0.40bc−2.57±0.01b2.69±0.17c
1240.67±0.23abc−2.51±0.07b2.83±0.23c
1340.87±0.22ab−2.43±0.24b2.72±0.29c

1)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s of three (n=3) measurements..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able 7 . The main volatile aroma compounds in dried Aster scaber Thunb..

NoVolatile compoundsFormulaOdor
Alcohols
1Amyl alcoholC5H12Ofusel, oily, sweet, balsamic
2β-Copaen-4-α-olC15H24O
32-Methyl-6-methylene-1,7-octadien-3-oneC10H14O
4tau-CadinolC15H26Obalsamic, earthy
5HimachalolC15H26O
6α-CadinolC15H26Oherbal, woody
7NeointermedeolC15H26O
85-Cyclodecen-1-olC15H24O
Terpene hydrocarbons
9β-MyrceneC10H16peppery, terpenic, spicy, balsamic, rose, carrot, plastic, herbal, woody, celery citrus, orange, fresh, sweet
10D-LimoneneC10H16minty, terpenic
11β-PhellandreneC10H16green, tropical, woody, floral, vegetable
12β-OcimeneC10H16herbal, waxy
13α-CubebeneC15H24woody, spicy, honey
14CopaeneC15H24herbal, waxy, fresh
15β-ElemeneC15H24sweet, woody, spicy, clove, dry
16CaryophylleneC15H24
17Cadina-3,5-dieneC15H24woody, citrus, herbal, sweet
18β-FarneseneC15H24thyme, herbal, woody, dry
19δ-CadineneC15H24woody
20α-HumuleneC15H24herbal, woody, spicy
21ɤ-MuuroleneC15H24woody, spicy
22Germacrene-DC15H24amber
23α-SelineneC15H24
24IsodauceneC15H24thyme, herbal, woody, dry
25δ-CadineneC15H24herbal, woody, spicy
26ɤ-CadineneC15H24spicy, fruity, mango
27CadinadieneC15H24
28α-AmorpheneC15H24

Table 8 . Volatile aroma compounds of dried Aster scaber Thunb. according to various drying conditions.

Volatile compoundsR/T (min)12345678910111213
Alcohols
1Amyl alcohol20.510.370.040.020.120.030.010.070.020.010.020.020.020.02
2β-Copaen-4-α-ol31.120.971.061.051.540.961.111.251.070.961.121.061.020.86
32-Methyl-6-methylene-1,7-octadien-3-one31.350.400.080.150.160.290.120.270.110.150.150.230.280.24
4tau-Cadinol58.810.540.180.130.360.130.080.200.120.050.100.110.080.07
5Himachalol60.161.870.320.541.030.610.780.930.870.841.041.040.830.83
6α-Cadinol60.570.780.280.210.580.180.100.310.190.060.150.160.100.10
7Neointermedeol61.250.170.080.080.130.070.030.070.060.010.040.050.030.03
85-Cyclodecen-1-ol64.450.290.120.230.100.530.480.160.400.290.390.560.590.39
Terpene hydrocabons
9β-Myrcene17.4311.6122.3340.4915.0735.7533.1626.6728.0636.8026.5830.5733.4533.73
10D-Limonene18.952.334.732.431.836.471.842.711.405.053.463.244.554.37
11β-Phellandrene19.367.396.674.012.131.761.563.462.842.455.113.261.717.47
12β-Ocimene20.773.504.523.872.904.035.713.915.434.114.494.373.923.93
13α-Cubebene28.255.270.450.352.160.430.470.830.400.430.430.460.330.42
14Copaene29.570.510.320.270.540.250.260.400.260.190.250.250.200.20
15β-Elemene33.141.322.442.892.592.732.662.313.232.462.722.522.722.77
16Caryophyllene33.7810.412.903.424.733.224.242.933.132.914.083.904.213.09
17Cadina-3,5-diene35.561.200.640.501.110.430.360.660.460.280.390.360.290.27
18β-Farnesene36.091.831.120.683.990.930.731.471.020.990.830.920.990.69
19δ-Cadinene36.560.400.160.120.310.100.080.160.100.050.080.080.060.06
20α-Humulene37.313.742.742.514.032.682.973.343.082.532.952.882.932.46
21ɤ-Muurolene38.102.701.531.272.641.181.101.681.340.861.131.090.910.82
22Germacrene-D39.5214.8221.4018.6728.0021.3224.8027.2625.6322.7824.7023.3924.9820.52
23α-Selinene40.460.600.290.320.460.230.170.230.250.130.180.170.140.16
24Isodaucene40.943.362.471.835.372.211.924.501.952.192.182.231.902.09
25δ-Cadinene42.013.961.711.643.231.341.772.211.471.001.351.361.001.07
26ɤ-Cadinene42.292.481.211.032.210.950.871.261.050.680.880.860.680.65
27Cadinadiene43.460.840.430.370.750.300.280.440.340.220.300.300.230.22
28α-Amorphene43.930.950.490.400.870.370.330.530.400.250.340.330.260.25

Table 9 .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quadratic polynomial models of drying Aster scaber Thunb..

YnResponse surface regressionR2P-value
Moisture contents284.2-3.16X1-1.673X2+0.0084X12+0.003005X22+0.00753X1*X297.20.00
Water absorption capacity137.1-1.05X1-0.929X2-0.0042X12+0.001282X22+0.00707X1*X293.880.00
Leaf strength71.8-2.04X1+0.109X2+0.0289X12+0.000867X22-0.00454X1*X291.920.00
Stem strength54.5-0.45X1-0.1427X2+0.0056X12+0.000485X22+0.00173X1*X293.560.00
L* value33.43+0.238X1-0.0161X2-0.00203X12+0.000011X22+0.000254X1*X236.520.14
a* value−2.83-0.0501X1+0.01331X2+0.000709X12-0.000013X22-0.000105X1*X295.730.00
b* value8.47-0.112X1-0.01559X2+0.00070X12+0.000036X22+0.000016X1*X263.250.03
Total polyphenols221.8-1.652X1-0.0474X2+0.01183X12-0.000044X22+0.000655X1*X262.280.03
Total flavonoids12.92-0.0199X1-0.00762X2-0.000061X12+0.000003X22+0.000088X1*X287.840.00
β-Carotene165.3-2.71X1-0.424X2-0.0187X12+0.000949X22+0.00100X1*X275.630.01
Total chlorophyll166.2-1.41X1-0.278X2-0.0130X12+0.000122X22+0.00562X1*X276.810.01
Chlorophyll a120.8-1.08X1-0.205X2-0.0099X12+0.000107X22+0.00400X1*X279.120.00
Chlorophyll b45.5-0.33X1-0.0728X2-0.00310X12+0.000015X22+0.001619X1*X269.570.02
α-Humulene0.34+0.171X1-0.0287X2-0.00157X12+0.000053X22+0.000117X1*X267.030.02
β-Myrcene−99.7+2.53X1+0.503X2-0.0122X12-0.000284X22-0.00521X1*X271.060.01
ɤ-Muurolene10.16-0.164X1-0.0370X2+0.00093X12+0.000066X22+0.000171X1*X279.740.00

X1: Temperature (°C), X2: Time (min)..


Table 10 . Comparison of predicted values of response variables according to optimal drying conditions for Aster scaber Thunb..

Response variablesPredicted values95% CI95% PI
Moisture contents (%)10.276.03∼14.451.75∼21.23
Water absorption capacity (%)12.549.92∼15.155.71∼19.37
Leaf strength (kg/cm2)47.4444.74∼50.1740.30∼54.58
Stem strength (kg/cm2)51.8649.85∼53.8746.60∼57.12
a* value−2.54−2.60∼−2.49−2.68∼−2.41
Total flavonoids (μg/mL)11.2511.20∼11.3011.12∼11.39

References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ternational. 2005. p 112-113.
  2. Beom HJ, Kang DJ, Lee BD,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wder from hot air and freeze dried leaves and roots of Acorous calam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1451-1457.
    CrossRef
  3. Beom SW, Jiang GH, Eun JB. Effect of blanching tim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Aster scaber.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51-55.
    CrossRef
  4. Cho EJ.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J Korean Soc Food Cult. 2000. 15:59-68.
  5. Choi HS. A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chwi-namuls by terpenoid analysis. Korean J Food Nutr. 2012. 25:930-940.
    CrossRef
  6. Choi HS. Analysis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Nutr. 2016. 29:153-161.
    CrossRef
  7. Choi HS. The variation of the major compound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essential oil by harvest year. Korean J Food Nutr. 2015. 28:533-543.
    CrossRef
  8. Choi I, Woo KS, Choi HS,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β-carotene and vitamin E of different varieties of brown and white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8a. 47:1259-1267.
    CrossRef
  9. Choi MH, Kim MH, Han YS. Antioxidant and glucose-regulating enzyme activities of red chicory (Cichorium intybus L.) extract. Food Eng Prog. 2022. 26:177-187.
    CrossRef
  10. Choi MJ, Kim YS, Seon MJ, et al.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frozen Aster scaber. Food Eng Prog. 2018b. 22:43-49.
    CrossRef
  11. Choi NS, Oh S, Lee JM.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1. 33:745-752.
  12. Choi NS. Comparison o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Ligularia stenocephala and Ligularia fischeri leaves. Korean J Food Nutr. 2021. 34:340-346.
  13. Del Castillo J, Anderson M, Rubottom GM. Marijuana, absinthe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Nature. 1975. 253:365-366.
    Pubmed CrossRef
  14. Dewanto V, Wu X, Adom KK, et al.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2. 50:3010-3014.
    Pubmed CrossRef
  15. Holdsworth SD. Dehydration of food products: A review. J Food Technol. 1971. 6:331-370.
    CrossRef
  16. Hong JY, Kim KM, Nam HS,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Aster scaber by cultivation and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2014. 21:82-90.
    CrossRef
  17. Hwang KT, Rhim JW. Effect of various pretreatments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drie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4. 26:805-813.
  18. Jeong DW, Park YK, Nam SS, et al. Effect of hot-air drying temperature on nutritional components and rehydration rate of sweetpotato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498-504.
    CrossRef
  19. Jiang GH, Na MO, Eun JB.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and Aster scaber dried by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2016. 23:819-824.
    CrossRef
  20. Jung DS, Lee NH.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leaf and stem) extrac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herb.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07. 35:30-35.
  21. Kang EJ, Park YJ, Park SS, et al. Comparative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rry tomato (Solanum lycopersicum var. cerasiforme) prepared using hot-air and combined 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8. 50:339-343.
  22. Kim BJ, Lee YD, Park JH. Microbial analysis of Aster scaber blanched with NaCl for storage. Korean J Food Nutr. 2014. 27:551-557.
    CrossRef
  23. Kim CH.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sp.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s. Korean J Culinary Res. 2009. 15(3):128-138.
    CrossRef
  24. Kim DH, Seo JM, Kang MH. Antioxidant effect of 80% ethanol extract of Jerusalem artichokes obtaine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ook Sci. 2022. 38:170-177.
    CrossRef
  25. Kim GM, Hong JY, Woo SY,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Aster scaber grown in wild and culture field.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567-576.
    CrossRef
  26. Kim HK, Kwon YJ, Kim YE, et al.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2004a. 11:88-93.
  27. Kim SJ, Kim CK, Kim 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using its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04b. 20:310-316.
  28. Koo H, Lee J, Jung H. Storag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dried oriental melon. Korean J Food Preserv. 2019. 26:606-614.
    CrossRef
  29. Kum JS, Han O. Effects of food height for microwave blanching on vegetables and reheating on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281-285.
  30. Lee EH, Park HJ, Kim NH,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Aster scab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016. 23:393-401.
    CrossRef
  31. Lee HO, Kim JY, Kim G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Aster scaber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246-253.
    CrossRef
  32. Lee LS, Park JD, Cha HS,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wdered green tea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0. 42:33-38.
  33. Lee YJ, Lee HO, Kim JY,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2011. 18:661-668.
    CrossRef
  34. Lim SB, Kim MU, Park KI, et al. Biological activity of wild Ligularia fischeri leaf extracts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Korean J Food Preserv. 2018. 25:359-365.
    CrossRef
  3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gulations concerning recogni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an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2016 [cited 2023 May 15]. Available from: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49644&lang=ENG
  36. Nam HJ, Kwak YJ, Kim CG, et al.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on vegetables during drying process. J Food Hyg Safety. 2007. 22:300-305.
  37. Oh IN, Kim JE, Kwak JY, et al. Quality assessment of Aster scaber cultured at different conditions for processed food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8. 50:371-376.
  38. Park MH, Kim B.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s. Food Eng Prog. 2018. 22:315-320.
    CrossRef
  39. Park SJ, Lee DW, Park SH, et al. Effects of blanching conditions by various salt content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Culinary Res. 2015. 21(6):280-290.
    CrossRef
  40. Park SJ, Lee DW, Park SH,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rsium setidens Nakai by different drying method. Culi Sci Hos Res. 2016. 22(2):104-114.
    CrossRef
  41. Park WT, Kim JK, Park S. Metabolic profiling of glucosinolate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i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J Agric Food Chem. 2012. 60:8111-8116.
    Pubmed CrossRef
  42. Shen Y, Jin L, Xiao P, et al.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tioxidant capacity in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 to grain color, size and weight. J Cereal Sci. 2009. 49:106-111.
    CrossRef
  43. Shin SR, Han JP, Lee SH, et al.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dried jujube fruit by drying metho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1999. 6:61-65.
  44. Song JM, Hwang Y, Cho YS, et al.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for steamed-dried sweet pumpkin produ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2022. 29:440-454.
    CrossRef
  45. Yang FQ, Li SP, Chen Y, et al.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eleven sesquiterpenes in three species of Curcuma rhizomes by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Pharm Biomed Anal. 2005. 39:552-558.
    Pubmed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