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1): 1119-1128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1.111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Xuemei Lee1 , Geun-Hye Hong2,3 , So-Young Lee2,3 , Hyun Chul Noh3, and Kun-Young Park2 ,3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A University
3Immunobiotech Corp.
Correspondence to:Kun-Young Par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A University, 335, Pangyo-ro, Bundang-gu, Seongnam, Gyeonggi 13488, Korea, E-mail: kypark9004@gmail.com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dead Lactobacillus plantarum nF1 (nLp), live Lactobacillus plantarum pF1 (pLp), or live Lactobacillus plantarum PNU (PNU) were studied on C57BL/6 mice fed a 45% high-fat diet. The body, liver, and epididymal fat weights of mice fed nL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ice in the pLp, PNU, or control groups (P<0.05).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Lp, pLp, or PNU groups than in control, and thes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Lp group than in the pLp and PNU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adiponectin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Lp group than in the pLp, PNU, and control groups. Histological observations indicated that nLp reduced fat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Furthermore, L. plantarum strains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expressions of SREBP-1c,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PPAR-α, CPT-1, and ACO in liver tissu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PPAR-α, and CPT-1 in epididymal fat tissues. In particular, the mRNA expressions of PPAR-α and CPT-1 in liver and epididymal fat tissues were highest in the nLp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nLp (dead L. plantarum) has a greater anti-obesity effect on high-fat diet-induced mice than the live strain (pLp) and a live L. plantarum PNU strain.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nF1, anti-obesity, high-fat diet, C57BL/6 mice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보다 많을 때, 그리고 패스트푸드의 섭취, 운동 부족 및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발병하며, 그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Lee 등, 2021). 비만은 에너지를 지질로 축적하는 문제 이외에도 고혈압, 고지혈증, 제2형(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AFLD) 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Song 등, 2009). 이에 따른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적절한 양을 섭취했을 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항비만(Kerry 등, 2018), 콜레스테롤 저하(Nguyen 등, 2007), 면역기능 조절(Tsai 등, 2012), 항암(De Vries 등, 2006), 항알레르기(Song 등, 2016)와 같은 다양한 건강 기능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항비만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 중 사균체
유산균 배양 및 제조
본 연구에 사용한
실험동물
본 실험에 사용된 6주령 C57BL/6 수컷 마우스(체중 20±2 g)는 샘타코(Samtaco Bio Korea, Osan, Korea)에서 구입하여 온도는 23±2°C, 상대습도 55±5%, 12시간 단위 dark-light cycle로 조정되는 시설에서 사육하였으며 충분한 물과 사료를 공급하였다. AIN-93G와 고지방 식이(45% HFD)는 두열바이오텍(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Park 등, 2020). 마우스는 Normal(Nor, AIN-93G normal diet), Control(Con, 45% HFD), dead
마우스의 체중은 순화 기간 중 1회, 군 분리 시 및 실험 기간 중 1주일에 한 번씩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였다. 주 2회 사육 case 별 사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특히 실험 기간 중 체중 측정은 매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한 요일과 시간대에 같은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료 효율(feed efficiency ratio)은 같은 실험 기간에 체중 증가량을 동일 기간의 식이 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희생 직전에 절식 없이 마지막 한 번 체중을 측정하고 부검을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마취한 후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으며 채혈 직후에 장기를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채취한 장기는 액체 질소로 급속 냉동하여 -80°C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Park 등, 2020).
혈청 지질, 혈당, 인슐린 및 아디포넥틴 분석
혈액은 30분 정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3,000×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
적출한 간 조직을 10% formalin 용액(v/v)으로 고정한 후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여 5 μm 두께의 절편을 만들었다. Hematoxylin과 Eosin(H&E) 염색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Nikon 현미경(ECLIPSE 50i, Nikon Inc., Tokyo, Japan)으로 관찰하였다(Park 등, 2020).
간과 지방 조직 내 mRNA 발현 분석
각 군 마우스의 간 조직과 지방 조직을 PBS로 세척한 후 TRIzol reagent(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total RNA는 spectrophotometer(UV-2401PC,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oligo dT primer(Invitrogen Co.)와 AMV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2 μg의 RNA에서 mRNA에 상보적인 ss cDNA로 역전사하였다(Park 등, 2020). 이 cDNA를 template로 하여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SREBP-1c, forward 5′-AGC AGC CCC TAG AAC AAA CAC-3′ and reverse 5′-CAG CAG TGA GTC TGC CTT AAA CA-3′),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PPAR-α, forward 5′-TGA GCA ACT ATT CCA AAC CAG C-3′ and reverse 5′-GCA CGT AGT CTT CGA TCA CTA TC-3′), acyl CoA oxidase(ACO, forward 5′-GCC TTT GTT GTC CCT ATC CG-3′ and reverse 5′-TAC ATA CGT GCC GTC AGG C-3′),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I(CPT-1, forward 5′-GGA GGT GGT GAT AGC CGG TAT-3′ and reverse 5′-TGG GTA ATC CAT AGA GCC CAG-3′) 유전자를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의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 부위를 BIONEER thermocycler(Mygenie 96, BIONEER,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증폭시켰다(Lee 등, 2016b). 이때 internal control로 housekeeping 유전자인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GAPDH, forward 5′-CGG AGT CAA CGG ATT TGG TC-3′, reverse 5′-AGC CTT CTC CAT GGT CGT GA-3′)를 사용하였다. 각 PCR 산물들을 2% agarose gel(Invitrogen Co.)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ethidium bromide(Sigma Aldrich,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의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냈다.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실시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처리 시료(n=3)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체중 및 조직 무게 변화
C57BL/6 마우스에 45% 고지방 식이를 4주 동안 공급하 여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5주차부터 고지방 식이와 함께
Table 1 . Effects of
Nor | Con | nLp1) | pLp | PNU | |
---|---|---|---|---|---|
Initial body weight (g) | 22.6±1.1NS2)3) | 22.3±0.8 | 22.7±0.4 | 22.8±1.1 | 22.9±0.7 |
Final body weight (g) | 29.6±1.2d4) | 41.4±1.3a | 37.5±2.3c | 38.4±1.2c | 40.0±2.8ab |
(9.4%)5) | -7.20% | -3.40% | |||
Body weight gain (g) | 7.0±1.3d | 19.0±1.8a | 14.8±2.3c | 15.6±1.3bc | 17.1±2.8ab |
-22.10% | -17.80% | -10.00% | |||
Food intake (g/d) | 3.1±0.1a | 3.0±0.1ab | 3.0±0.1ab | 2.9±0.1b | 3.0±0.1ab |
Food efficiency ratio (%) | 3.7±0.7c | 10.5±1.2a | 8.3±1.3b | 9.0±1.8b | 9.5±1.5ab |
1)nLp, dead
2)Data represent means±SD.
3)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d)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5)The values in parentheses are the reduction rates compared to control (%).
또한, 실험 기간에 Con 그룹은 19.0±1.8 g의 체중이 증가였으나, 유산균을 섭취한 nLp(14.8±2.3 g), pLp(15.6±1.3 g), PNU(17.1±2.8 g) 그룹은 Con 그룹에 비해 각각 억제율 22.1%, 17.8%, 10.0%로 낮은 체중 증가량을 보였다(
식이 섭취량의 경우는 2.9±0.1~3.1±0.1 g으로 모든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식이 효율의 경우에는 Con 그룹이 10.5±1.2%로 Nor 그룹(3.7±0.7%)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hih 등(2008)의 연구에 따르면 고지방식을 섭취하면 간세포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축적되고 간 무게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도 Con 그룹의 간 조직 무게는 1.8±0.1 g으로 Nor 그룹(1.6±0.1 g)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산균을 섭취한 모든 그룹에서 Con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able 2 . Effects of
Nor | Con | nLp1) | pLp | PNU | |
---|---|---|---|---|---|
Liver (g) | 1.6±0.1b2)3) | 1.8±0.1a | 1.4±0.1c(22.2%)4) | 1.5±0.1bc(16.7%) | 1.5±0.2b (16.7%) |
Epididymal fat (g) | 0.6±0.14c | 2.4±0.2a | 2.0±0.3b(16.7%) | 2.1±0.2ab(12.5%) | 2.1±0.5ab(12.5%) |
1)nLp, dead
2)Data represent means±SD.
3)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c)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4)The values in parentheses are the reduction rates compared to control (%).
부고환 지방은 체내에 과잉 에너지를 저장하는 백색지방으로 내장비만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이며 혈중 지질 함량 등 대사 변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Handjieva-Darlenska와 Boyadjieva, 2007).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Con 그룹 이 2.4±0.2 g을 보였으나 nLp 그룹은 2.0±0.3 g(16.6%), pLp 그룹은 2.1±0.2 g(12.5%), PNU 그룹은 2.1±0.5 g (12.5%)으로 Con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유산균 섭취에 따른 마우스의 혈청 중성지방(triglyceride, TG) 함량을 조사한 결과(Fig. 2A) Con 그룹의 경우 252.5±2.6 mg/dL 함량을 보였지만, nLp 그룹은 175.2±3.4 mg/dL, pLp 그룹은 175.4±5.0 mg/dL, PNU 그룹은 184.7±1.3 mg/dL로 Con 그룹에 비해 각각 30.6%, 30.5%, 26.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ee 등(2006)의 연구에 따르면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할 경우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함량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도 Con 그룹의 TC농도는 255.5±20.3 mg/dL로 Nor 그룹(194.0±6.9 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DL 콜레스테롤은 혈액 중의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VLDL 콜레스테롤 등)을 제거하여 간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등, 2009).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Con 그룹의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67.7±8.5 mg/dL로 Nor 그룹(95.8±0.7 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혈당, 인슐린, adiponectin 함량 측정
혈당은 인슐린의 합성 및 분비를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인자이며, 인슐린은 간, 근육 및 지방조직에 작용하여 혈당조절에 기여한다(Meisenherg와 Simmons, 2016). 혈당의 농도는 Con 그룹이 621.9±3.0 mg/dL를 보였으나 nLp 그룹은 359.0±1.3 mg/dL, pLp 그룹은 380.8±2.9 mg/dL, PNU 그룹은 435.7±5.8 mg/dL로 Con 그룹에 비해 각각 42.3%, 38.8%, 29.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Bonini 등(1995)의 연구에 따르면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면 혈중 인슐린 수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지방세포에서 간으로의 유리지방산 이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도 Con 그룹의 인슐린 농도(67.7±8.5 mg/dL)는 Nor 그룹(18.1±0.2 mg/dL)에 비해 3.7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Adiponectin은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로 정상 쥐의 지방조직에서는 높게 발현되지만, 비만 혹은 당뇨 모델 마우스에서는 그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여 비만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Bonini 등, 1995). Con 그룹보다
따라서 nLp는 혈중 포도당 및 인슐린의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켜 비만 이외에도 혈당 개선 및 당뇨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nLp는 대사성 증후군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
유산균이 간 조직 내 지방(지방구)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결과를 확인하였다(Fig. 4). Con 그룹은
간 조직에서의 mRNA 발현
nF1이 간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의 조절이 확실히 있음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에서 지방합성(lipogenesis)과 관련된 유전자인 SREBP-1c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한 결과 Con 그룹보다
간 조직에서 지방 분해(fatty acid β-oxidation)와 관련된 유전자(PPAR-α, CPT-1, ACO)의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Fig. 6). PPAR-α는 주로 간, 갈색지방 조직에서 발현되며, 지질 및 지단백질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Braissant와 Wahli, 1998). PPAR-α의 mRNA 발현 수준은
CPT-1과 ACO는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산화에서 속도를 제한하는 효소(Kobayashi 등, 2010)로 에너지 항상성 및 지방생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PPAR의 표적 유전자이다(Ahmed 등, 2007). CPT-1의 mRNA 발현은 nLp(4.52±0.19) 그룹이 Con 그룹에 비해 4.52배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nLp는 지방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감소시키고 지방 분해와 관련된 유전자를 증가시켜 간의 지방합성을 억제하고 분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조직에서의 mRNA 발현
지방조직에서 fatty acid β-oxidation과 관련된 유전자(PPAR-α, CPT-1)의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
지방조직에서도 생균보다 사균에서 지방 분해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PT-1은 PPAR-α에 의해 발현이 증가함으로써 지방산의 β-oxidation의 경로를 촉진해 세포 내 지방 축적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Johnson과 Olefsky, 2013). 유산균을 섭취한 모든 그룹에서 CPT-1의 mRNA 발현 수준은 nLp, pLp, PNU로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Con 그룹보다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미생물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안전성, 안정성에 대한 한계가 있어 포스트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Żółkiewicz 등, 2020). 포스트바이오틱스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대사물질뿐만 아니라 미생물 그 자체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며(Salminen 등, 2021), 이들의 기능성은 lipoteichoic acid, peptidoglycan, S-layer 단백질 및 세포외 다당류(exopolysaccharides, EPS) 등과 같은 유산균의 세포벽 물질에 의해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과 Park, 2021). 유산균의 단쇄지방산이 포도당 신생합성을 활성화해 체중과 지방세포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한 Han 등(2018)의 연구와 같이 nF1의 EPS가 단쇄지방산 생성과도 연관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균체의 EPS가 SCFA의 생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한 유산 균 사균체
본 연구에서는 사균체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으며[GRRC-CHA2017-B03, 기능성 김치 및 태명청 음료의 건강기능식품 개발], 이뮤노바이오텍(주)의 지원에 감사를 드립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11): 1119-1128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11.111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이설매1*․홍근혜2,3*․이소영2,3․노현철3․박건영2,3
1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3이뮤노바이오텍(주)
Xuemei Lee1* , Geun-Hye Hong2,3* , So-Young Lee2,3 , Hyun Chul Noh3, and Kun-Young Park2,3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A University
3Immunobiotech Corp.
Correspondence to:Kun-Young Par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A University, 335, Pangyo-ro, Bundang-gu, Seongnam, Gyeonggi 13488, Korea, E-mail: kypark9004@gmail.com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dead Lactobacillus plantarum nF1 (nLp), live Lactobacillus plantarum pF1 (pLp), or live Lactobacillus plantarum PNU (PNU) were studied on C57BL/6 mice fed a 45% high-fat diet. The body, liver, and epididymal fat weights of mice fed nL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ice in the pLp, PNU, or control groups (P<0.05).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Lp, pLp, or PNU groups than in control, and thes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Lp group than in the pLp and PNU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adiponectin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Lp group than in the pLp, PNU, and control groups. Histological observations indicated that nLp reduced fat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Furthermore, L. plantarum strains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expressions of SREBP-1c,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PPAR-α, CPT-1, and ACO in liver tissu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PPAR-α, and CPT-1 in epididymal fat tissues. In particular, the mRNA expressions of PPAR-α and CPT-1 in liver and epididymal fat tissues were highest in the nLp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nLp (dead L. plantarum) has a greater anti-obesity effect on high-fat diet-induced mice than the live strain (pLp) and a live L. plantarum PNU strain.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nF1, anti-obesity, high-fat diet, C57BL/6 mice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보다 많을 때, 그리고 패스트푸드의 섭취, 운동 부족 및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발병하며, 그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Lee 등, 2021). 비만은 에너지를 지질로 축적하는 문제 이외에도 고혈압, 고지혈증, 제2형(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AFLD) 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Song 등, 2009). 이에 따른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적절한 양을 섭취했을 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항비만(Kerry 등, 2018), 콜레스테롤 저하(Nguyen 등, 2007), 면역기능 조절(Tsai 등, 2012), 항암(De Vries 등, 2006), 항알레르기(Song 등, 2016)와 같은 다양한 건강 기능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항비만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 중 사균체
유산균 배양 및 제조
본 연구에 사용한
실험동물
본 실험에 사용된 6주령 C57BL/6 수컷 마우스(체중 20±2 g)는 샘타코(Samtaco Bio Korea, Osan, Korea)에서 구입하여 온도는 23±2°C, 상대습도 55±5%, 12시간 단위 dark-light cycle로 조정되는 시설에서 사육하였으며 충분한 물과 사료를 공급하였다. AIN-93G와 고지방 식이(45% HFD)는 두열바이오텍(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Park 등, 2020). 마우스는 Normal(Nor, AIN-93G normal diet), Control(Con, 45% HFD), dead
마우스의 체중은 순화 기간 중 1회, 군 분리 시 및 실험 기간 중 1주일에 한 번씩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였다. 주 2회 사육 case 별 사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특히 실험 기간 중 체중 측정은 매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한 요일과 시간대에 같은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료 효율(feed efficiency ratio)은 같은 실험 기간에 체중 증가량을 동일 기간의 식이 섭취량으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희생 직전에 절식 없이 마지막 한 번 체중을 측정하고 부검을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마취한 후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으며 채혈 직후에 장기를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채취한 장기는 액체 질소로 급속 냉동하여 -80°C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Park 등, 2020).
혈청 지질, 혈당, 인슐린 및 아디포넥틴 분석
혈액은 30분 정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3,000×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
적출한 간 조직을 10% formalin 용액(v/v)으로 고정한 후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여 5 μm 두께의 절편을 만들었다. Hematoxylin과 Eosin(H&E) 염색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Nikon 현미경(ECLIPSE 50i, Nikon Inc., Tokyo, Japan)으로 관찰하였다(Park 등, 2020).
간과 지방 조직 내 mRNA 발현 분석
각 군 마우스의 간 조직과 지방 조직을 PBS로 세척한 후 TRIzol reagent(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total RNA는 spectrophotometer(UV-2401PC,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oligo dT primer(Invitrogen Co.)와 AMV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2 μg의 RNA에서 mRNA에 상보적인 ss cDNA로 역전사하였다(Park 등, 2020). 이 cDNA를 template로 하여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SREBP-1c, forward 5′-AGC AGC CCC TAG AAC AAA CAC-3′ and reverse 5′-CAG CAG TGA GTC TGC CTT AAA CA-3′),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PPAR-α, forward 5′-TGA GCA ACT ATT CCA AAC CAG C-3′ and reverse 5′-GCA CGT AGT CTT CGA TCA CTA TC-3′), acyl CoA oxidase(ACO, forward 5′-GCC TTT GTT GTC CCT ATC CG-3′ and reverse 5′-TAC ATA CGT GCC GTC AGG C-3′),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I(CPT-1, forward 5′-GGA GGT GGT GAT AGC CGG TAT-3′ and reverse 5′-TGG GTA ATC CAT AGA GCC CAG-3′) 유전자를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의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 부위를 BIONEER thermocycler(Mygenie 96, BIONEER,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증폭시켰다(Lee 등, 2016b). 이때 internal control로 housekeeping 유전자인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GAPDH, forward 5′-CGG AGT CAA CGG ATT TGG TC-3′, reverse 5′-AGC CTT CTC CAT GGT CGT GA-3′)를 사용하였다. 각 PCR 산물들을 2% agarose gel(Invitrogen Co.)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ethidium bromide(Sigma Aldrich,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의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냈다.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실시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처리 시료(n=3)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체중 및 조직 무게 변화
C57BL/6 마우스에 45% 고지방 식이를 4주 동안 공급하 여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5주차부터 고지방 식이와 함께
Table 1 . Effects of
Nor | Con | nLp1) | pLp | PNU | |
---|---|---|---|---|---|
Initial body weight (g) | 22.6±1.1NS2)3) | 22.3±0.8 | 22.7±0.4 | 22.8±1.1 | 22.9±0.7 |
Final body weight (g) | 29.6±1.2d4) | 41.4±1.3a | 37.5±2.3c | 38.4±1.2c | 40.0±2.8ab |
(9.4%)5) | -7.20% | -3.40% | |||
Body weight gain (g) | 7.0±1.3d | 19.0±1.8a | 14.8±2.3c | 15.6±1.3bc | 17.1±2.8ab |
-22.10% | -17.80% | -10.00% | |||
Food intake (g/d) | 3.1±0.1a | 3.0±0.1ab | 3.0±0.1ab | 2.9±0.1b | 3.0±0.1ab |
Food efficiency ratio (%) | 3.7±0.7c | 10.5±1.2a | 8.3±1.3b | 9.0±1.8b | 9.5±1.5ab |
1)nLp, dead
2)Data represent means±SD..
3)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d)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5)The values in parentheses are the reduction rates compared to control (%)..
또한, 실험 기간에 Con 그룹은 19.0±1.8 g의 체중이 증가였으나, 유산균을 섭취한 nLp(14.8±2.3 g), pLp(15.6±1.3 g), PNU(17.1±2.8 g) 그룹은 Con 그룹에 비해 각각 억제율 22.1%, 17.8%, 10.0%로 낮은 체중 증가량을 보였다(
식이 섭취량의 경우는 2.9±0.1~3.1±0.1 g으로 모든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식이 효율의 경우에는 Con 그룹이 10.5±1.2%로 Nor 그룹(3.7±0.7%)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hih 등(2008)의 연구에 따르면 고지방식을 섭취하면 간세포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축적되고 간 무게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도 Con 그룹의 간 조직 무게는 1.8±0.1 g으로 Nor 그룹(1.6±0.1 g)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산균을 섭취한 모든 그룹에서 Con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able 2 . Effects of
Nor | Con | nLp1) | pLp | PNU | |
---|---|---|---|---|---|
Liver (g) | 1.6±0.1b2)3) | 1.8±0.1a | 1.4±0.1c(22.2%)4) | 1.5±0.1bc(16.7%) | 1.5±0.2b (16.7%) |
Epididymal fat (g) | 0.6±0.14c | 2.4±0.2a | 2.0±0.3b(16.7%) | 2.1±0.2ab(12.5%) | 2.1±0.5ab(12.5%) |
1)nLp, dead
2)Data represent means±SD..
3)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c)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4)The values in parentheses are the reduction rates compared to control (%)..
부고환 지방은 체내에 과잉 에너지를 저장하는 백색지방으로 내장비만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이며 혈중 지질 함량 등 대사 변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Handjieva-Darlenska와 Boyadjieva, 2007).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Con 그룹 이 2.4±0.2 g을 보였으나 nLp 그룹은 2.0±0.3 g(16.6%), pLp 그룹은 2.1±0.2 g(12.5%), PNU 그룹은 2.1±0.5 g (12.5%)으로 Con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유산균 섭취에 따른 마우스의 혈청 중성지방(triglyceride, TG) 함량을 조사한 결과(Fig. 2A) Con 그룹의 경우 252.5±2.6 mg/dL 함량을 보였지만, nLp 그룹은 175.2±3.4 mg/dL, pLp 그룹은 175.4±5.0 mg/dL, PNU 그룹은 184.7±1.3 mg/dL로 Con 그룹에 비해 각각 30.6%, 30.5%, 26.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ee 등(2006)의 연구에 따르면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할 경우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함량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도 Con 그룹의 TC농도는 255.5±20.3 mg/dL로 Nor 그룹(194.0±6.9 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DL 콜레스테롤은 혈액 중의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VLDL 콜레스테롤 등)을 제거하여 간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등, 2009).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Con 그룹의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67.7±8.5 mg/dL로 Nor 그룹(95.8±0.7 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혈당, 인슐린, adiponectin 함량 측정
혈당은 인슐린의 합성 및 분비를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인자이며, 인슐린은 간, 근육 및 지방조직에 작용하여 혈당조절에 기여한다(Meisenherg와 Simmons, 2016). 혈당의 농도는 Con 그룹이 621.9±3.0 mg/dL를 보였으나 nLp 그룹은 359.0±1.3 mg/dL, pLp 그룹은 380.8±2.9 mg/dL, PNU 그룹은 435.7±5.8 mg/dL로 Con 그룹에 비해 각각 42.3%, 38.8%, 29.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Bonini 등(1995)의 연구에 따르면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면 혈중 인슐린 수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지방세포에서 간으로의 유리지방산 이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도 Con 그룹의 인슐린 농도(67.7±8.5 mg/dL)는 Nor 그룹(18.1±0.2 mg/dL)에 비해 3.7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Adiponectin은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로 정상 쥐의 지방조직에서는 높게 발현되지만, 비만 혹은 당뇨 모델 마우스에서는 그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여 비만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Bonini 등, 1995). Con 그룹보다
따라서 nLp는 혈중 포도당 및 인슐린의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켜 비만 이외에도 혈당 개선 및 당뇨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nLp는 대사성 증후군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
유산균이 간 조직 내 지방(지방구)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결과를 확인하였다(Fig. 4). Con 그룹은
간 조직에서의 mRNA 발현
nF1이 간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의 조절이 확실히 있음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에서 지방합성(lipogenesis)과 관련된 유전자인 SREBP-1c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한 결과 Con 그룹보다
간 조직에서 지방 분해(fatty acid β-oxidation)와 관련된 유전자(PPAR-α, CPT-1, ACO)의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Fig. 6). PPAR-α는 주로 간, 갈색지방 조직에서 발현되며, 지질 및 지단백질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Braissant와 Wahli, 1998). PPAR-α의 mRNA 발현 수준은
CPT-1과 ACO는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산화에서 속도를 제한하는 효소(Kobayashi 등, 2010)로 에너지 항상성 및 지방생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PPAR의 표적 유전자이다(Ahmed 등, 2007). CPT-1의 mRNA 발현은 nLp(4.52±0.19) 그룹이 Con 그룹에 비해 4.52배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nLp는 지방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감소시키고 지방 분해와 관련된 유전자를 증가시켜 간의 지방합성을 억제하고 분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조직에서의 mRNA 발현
지방조직에서 fatty acid β-oxidation과 관련된 유전자(PPAR-α, CPT-1)의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
지방조직에서도 생균보다 사균에서 지방 분해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PT-1은 PPAR-α에 의해 발현이 증가함으로써 지방산의 β-oxidation의 경로를 촉진해 세포 내 지방 축적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Johnson과 Olefsky, 2013). 유산균을 섭취한 모든 그룹에서 CPT-1의 mRNA 발현 수준은 nLp, pLp, PNU로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Con 그룹보다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미생물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안전성, 안정성에 대한 한계가 있어 포스트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Żółkiewicz 등, 2020). 포스트바이오틱스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대사물질뿐만 아니라 미생물 그 자체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며(Salminen 등, 2021), 이들의 기능성은 lipoteichoic acid, peptidoglycan, S-layer 단백질 및 세포외 다당류(exopolysaccharides, EPS) 등과 같은 유산균의 세포벽 물질에 의해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과 Park, 2021). 유산균의 단쇄지방산이 포도당 신생합성을 활성화해 체중과 지방세포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한 Han 등(2018)의 연구와 같이 nF1의 EPS가 단쇄지방산 생성과도 연관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균체의 EPS가 SCFA의 생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한 유산 균 사균체
본 연구에서는 사균체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으며[GRRC-CHA2017-B03, 기능성 김치 및 태명청 음료의 건강기능식품 개발], 이뮤노바이오텍(주)의 지원에 감사를 드립니다.
Table 1 . Effects of
Nor | Con | nLp1) | pLp | PNU | |
---|---|---|---|---|---|
Initial body weight (g) | 22.6±1.1NS2)3) | 22.3±0.8 | 22.7±0.4 | 22.8±1.1 | 22.9±0.7 |
Final body weight (g) | 29.6±1.2d4) | 41.4±1.3a | 37.5±2.3c | 38.4±1.2c | 40.0±2.8ab |
(9.4%)5) | -7.20% | -3.40% | |||
Body weight gain (g) | 7.0±1.3d | 19.0±1.8a | 14.8±2.3c | 15.6±1.3bc | 17.1±2.8ab |
-22.10% | -17.80% | -10.00% | |||
Food intake (g/d) | 3.1±0.1a | 3.0±0.1ab | 3.0±0.1ab | 2.9±0.1b | 3.0±0.1ab |
Food efficiency ratio (%) | 3.7±0.7c | 10.5±1.2a | 8.3±1.3b | 9.0±1.8b | 9.5±1.5ab |
1)nLp, dead
2)Data represent means±SD..
3)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d)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5)The values in parentheses are the reduction rates compared to control (%)..
Table 2 . Effects of
Nor | Con | nLp1) | pLp | PNU | |
---|---|---|---|---|---|
Liver (g) | 1.6±0.1b2)3) | 1.8±0.1a | 1.4±0.1c(22.2%)4) | 1.5±0.1bc(16.7%) | 1.5±0.2b (16.7%) |
Epididymal fat (g) | 0.6±0.14c | 2.4±0.2a | 2.0±0.3b(16.7%) | 2.1±0.2ab(12.5%) | 2.1±0.5ab(12.5%) |
1)nLp, dead
2)Data represent means±SD..
3)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c)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
4)The values in parentheses are the reduction rates compared to control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