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7): 679-687
Published online July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7.67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Taehee Kim , Hee Ju Song, and Sang Do Lee
Department of Phys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rrespondence to:Sang Do Lee, Department of Phys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66, Munhwa-ro, Jung-gu, Daejeon 35015, Korea, E-mail: sdlee@cnu.ac.kr
Author information: Taehee Kim (Researcher), Hee Ju Song (Graduate student), Sang Do Lee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aclitaxel is an effective chemotherapeutic agent that is cytotoxic not only to cancer cells but also to normal cells. Thus, in order to reduce the side effects, the co-administration of paclitaxel and natural products such as flavonoids has been propos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co-treatment of paclitaxel (0.5 and 5 nM) with quercetin (25 and 50 μM), we determin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in MDA-MB-453 cells.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was observ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following co-treatment of 0.5 nM paclitaxel with quercetin. In contrast, co-treatment with 5 nM paclitaxel and quercetin reduc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compared to paclitaxel alone treatment. Nex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n apoptosis and the cell cycle. We observed that 0.5 nM paclitaxel with quercetin resulted in an increased number of apoptotic cells, whereas 5 nM paclitaxel with quercetin reduced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Moreover, the combined treatment of paclitaxel and quercetin increased cell cycle arrest at the G2/M phase in both the 0.5 and 5 nM paclitaxel groups. We then examined cell cycle-related protein expression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ell cycle reg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treatment of paclitaxel with quercetin regulated not only G1-related proteins but also G2/M-related protei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ed treatment of paclitaxel with quercetin increases cell cycle disruption via regulation of cell cycle-related proteins and decreases the incidence of apoptosis in MDA-MB-453 cells.
Keywords: cell cycle, MDA-MB-453, paclitaxel, quercetin
Paclitaxel은 주목나무(
Quercetin은 양파, 케일, 브로콜리, 사과, 포도 등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로(Miean과 Mohamed, 2001; Mikkonen 등, 2001; Slimestad 등, 2007), 다른 플라보노이드와 마찬가지로 항산화, 항염증 작용을 가진다. 또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유방암 세포(Choi 등, 2008; Chien 등, 2009; Jeong 등, 2009), 간암 세포(Granado-Serrano 등, 2006; Tanigawa 등, 2008; Tan 등, 2009), 전립선암 세포(Lee 등, 2008), 폐암 세포(Yang 등, 2006), 난소암 세포(Chen 등, 2012; Gao 등, 2012)에서 항암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Quercetin을 고농도로 처리했을 때 세포주기의 정체 및 세포사멸이 유도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된 반면 정상세포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Son 등, 2004). 그뿐만 아니라 실험동물에 paclitaxel과 quercetin을 병용투여 했을 때 paclitaxel의 흡수율이 증가할 뿐 아니라 체내 반감기도 증가했다(Choi 등, 2004a; 2004b). 이러한 결과는 quercetin이 항암제와 병용투여 되는 보조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Paclitaxel은 전이 발생이 높은 유방암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항암제로, 유방암의 특성에 따라 항암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Her2 양성 유방암에서 가장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Hayes 등, 2007). Her2 양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환자 중 20~25%를 차지하나 Her2를 표적으로 한 항암요법에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Her2 음성 유방암은 전이성 유방암 중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상대적으로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가 다양하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항암제에 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Her2 음성 유방암 치료 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paclitaxel의 투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항암제로 인한 부작용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다(Croom과 Dhillon, 2011). 그러나 Her2 음성 유방암에서 paclitaxel의 항암효과를 증가시키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r2 음성 유방암 세포주인 MDA-MB-453에 paclitaxel과 quercetin을 병용처리한 후 세포주기와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세포배양
MDA-MB-453 유방암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는 10% FBS(Welgene, Daegu, Korea), 100 unit/mL penicillin(Welgene), 100 μg/mL streptomycin(Welgene)이 함유된 RPMI1640 배지(Welgene)를 사용하여 37°C,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율은 3(4,5-dimethylthiazole-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MTT, Sigma, St. Louis, MO, USA)를 통해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3,000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aclitaxel과 quercetin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2, 24, 48,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 mg/mL 농도로 phosphate-buffered saline(PBS)에 녹인 MTT 용액을 각각의 well에 20 μL 첨가하여 37°C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생성된 formazan crystal은 200 μL dimethyl sulfoxide를 분주하여 녹여낸 후 microplate reader(EL800, 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540 nm 파장의 흡광도 측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세포주기와 sub-G1 분석
세포주기와 sub-G1은 propidium iodide(PI) 염색을 통해서 측정하였다. 100 mm culture plate에 1×106 cells를 분주한 다음 날 paclitaxel과 quercetin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trypsin을 처리하여 모은 후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세포는 90% 에탄올로 고정하였으며 분석하기 전까지 -20°C에서 보관하였다. 고정된 세포는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한 후에 10 mg/mL 농도로 녹인 PI(Molecular Probes, Sunnyvale, CA, USA) 1 μL와 10 mg/mL 농도로 녹인 RNase A(Sigma) 20 μL가 포함된 500 μL PBS에 현탁하여 37°C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염색한 세포의 PI 형광은 FACS Calibur instrument(BD Bioscience, San Jose, CA, USA)로 측정하였으며, FlowJo software(Tree Star, Inc., Ashland, OR, USA)로 분석하였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량 측정
60 mm culture plate에 5×105 cells를 분주한 후 72시간 동안 paclitaxel과 quercetin을 처리하였다. 처리한 세포는 200 μL RIPA buffer(50 mM Tris-HCl, pH 8.0, with 150 mM NaCl, 0.1% NP-40, 0.5% sodium deoxycholate, 0.1% SDS)를 처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Bradford protein assay kit Ⅱ(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였다. 동량의 단백질을 12% SDS-polyacrylamide gel을 사용하여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후 nitrocellulose membrane(0.45 μm)으로 이동시켰다. Membrane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5% skim milk를 사용하여 blocking 하였다. 1차 항체를 첨가한 후 4°C에서 12시간 이상 반응시킨 후 세척하였다. 세척한 membrane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2차 항체와 반응시켰으며, ECL advanced detection kit(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Piscataway, NJ, USA)을 사용하여 LAS-3000(Fujifilm, Tokyo, Japan)에서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했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igmaStat(Jandel, San Rafael, CA, USA)을 이용한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로 하였다.
uercetin이 저농도와 고농도의 paclitaxel에 의해 유도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
Paclitaxel과 quercetin을 12, 24, 48,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항암제는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뿐 아니라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중요하기 때문에 세포 생존율은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Paclitaxel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4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의 IC50값은 Hela 세포에서 2.6 nM, MCF-7 세포에서 2.5 nM, PC-Sh 세포에서 7.5 nM, OVG-1 세포에서 4.0 nM이었다(O’Connor와 Kohn, 1992; Gottesman, 1994; Reed,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50값보다 낮거나 높은 농도인 0.5 nM과 5 nM로 paclitaxel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Paclitaxel을 0.5 nM로 단독처리 했을 때 세포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5 μM, 50 μM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세포 생존율이 감소했다. Paclitaxel과 quercetin을 72시간 동안 병용처리 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76.2%, 70.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Fig. 1A). 24, 48, 72시간 동안 5 nM paclitaxel을 단독처리 했을 때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72시간 동안 5 nM paclitaxel과 25 μM quercetin을 병용처리 했을 때 paclitaxel의 효과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Fig. 1B). 이전 연구를 통해 quercetin이 단기간만 paclitaxel의 항암효과를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고농도의 paclitaxel과 quercetin을 12시간 동안 병용투여 했을 때 quercetin에 의해 paclitaxel의 활성이 억제됨을 세포주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나, 8일 동안 배양한 경우 paclitaxel을 단독처리한 것에 비해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콜로니 형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Samuel 등, 2010).
Quercetin과 paclitaxel의 병용처리가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세포 생존율의 억제는 세포주기 억제 또는 세포자연사멸로 인해 발생한다(King과 Cidlowski, 1995). 세포자연사멸(apoptosis)은 약물이나 외부 자극에 의해 세포가 스스로 사멸되는 과정을 말한다. 항암제는 정상세포가 아닌 암세포에서만 세포자연사멸을 유도하며, 이는 항암제의 효과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Corcoran 등, 1994; Bremer 등, 2006). 다양한 암세포주에 paclitaxel을 2~20 nM 농도로 처리했을 때 세포자연사멸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어 있다(Liebmann 등, 1993). Paclitaxel을 저농도인 0.5 nM로 72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 세포사멸 시 발생하는 sub-G1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paclitaxel 단독처리에 비해 sub-G1이 증가했다(Fig. 2A). Paclitaxel을 5 nM로 처리한 경우 저농도로 처리한 것에 비해 sub-G1이 증가한 반면 quercetin과 병용처리한 경우 paclitaxel로 인해 증가한 sub-G1을 감소시켰다(Fig 2C). PARP는 DNA가 복제할 때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복구하는 단백질로, 절단될 경우 활성이 억제되어 세포자연사멸을 유도한다. 실험결과 paclitaxel의 단독처리 및 quercetin과의 병용처리에서 절단된 PARP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2B 및 2D). 본 실험을 통해 paclitaxel과 quercetin의 병용처리가 자연 사멸된 세포를 증가시킨 반면 PARP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Quercetin과 저농도의 paclitaxel의 병용처리가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
세포 생존율의 감소는 세포주기 억제 및 세포사멸로 인해 유도된다(King과 Cidlowski, 1995). 세포주기는 G1, S, G2, M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Qu 등, 2003), 주변 영향에 따라 세포주기가 변함으로써 세포 증식이 조절된다. 항암제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G1기 또는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정체시킨다고 보고되어 있으며(Pérez-Roger 등, 2000), paclitaxel과 quercetin은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Schiff 등, 1979; Choi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낮은 농도인 0.5 nM paclitaxel에 querceti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Quercetin을 단독처리한 경우 정상군의 G2/M기는 20.0%인 반면 25 μM로 처리했을 때 67.7%, 50 μM로 처리했을 때 36.2%로 증가했다(Fig. 3). 이를 통해 quercetin이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정체시킴으로써 세포주기를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5 nM paclitaxel은 세포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25 μM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quercetin의 단독처리와 유사하게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정체시켰다(Fig. 3).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은 cyclin-dependent kinase(CDK)와 cyclin에 의해 조절된다. CDK는 cyclin과 결합하여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CDK는 세포주기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진행되도록 한다(Pines, 1995). Quercetin과 paclitaxel의 병용처리로 G2/M기에서 세포주기가 정체되었으므로 관련 기전을 살펴보기 위해 G2/M기와 관련된 단백질인 cdc2, cyclin B1, cyclin 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Paclitaxel을 0.5 nM 농도로 처리했을 때 인산화된 cdc2와 cyclin B1은 감소하였으나 cyclin A의 발현 변화는 없었다. Quercetin을 단독처리한 경우 인산화된 cdc2, cyclin B1, cyclin A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paclitaxel과 병용처리 했을 때도 감소했다(Fig. 4A). G1기와 관련된 단백질은 CDK4, CDK6, cyclin D, cyclin E가 있다(van den Heuvel, 2005; Suryadinata 등, 2010). Quercetin과 paclitaxel을 단독 또는 병용처리 했을 때 G1기를 조절하는 CDK4, CDK6, cyclin D1, cyclin D3의 발현은 변하지 않았으며, quercetin을 단독 또는 paclitaxel과 병용처리 했을 때만 cyclin E2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했다(Fig. 4B). 본 실험 결과는 quercetin과 paclitaxel을 단독 또는 병용처리로 인해 세포주기 정체가 G2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로 인한 것임을 시사한다.
Quercetin이 고농도의 paclitaxel에 의해 유도된 세포주기 억제에 미치는 효과
Paclitaxel을 5 nM로 단독처리하거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세포주기를 분석했다. Paclitaxel을 5 nM로 처리했을 때 S기와 G2/M기에서 세포주기가 억제되었으며, quercetin과 병용처리 시 G2/M기의 세포 비율이 증가했지만 quercetin의 농도 차이로 인한 변화는 없었다(Fig. 5). 또한 세포주기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paclitaxel의 단독처리는 cdc2의 인산화와 cyclin B1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인산화된 cdc2가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cyclin B1의 발현 또한 감소했다. 반면 cyclin A는 paclitaxel의 단독처리에서도 감소했으며 quercetin과 병용처리 시 더욱 감소함이 관찰되었다(Fig. 6A). 반면 G1기와 관련된 단백질인 CDK4, CDK6, cyclin D1, cyclin D3의 발현은 paclitaxel의 단독처리 또는 quercetin과의 병용처리 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quercetin의 처리는 G2/M기에서 세포주기의 억제를 유도하며, 이러한 효과는 항암제인 paclitaxel의 세포주기 억제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quercetin이 고농도의 paclitaxel로 인해 유도된 세포사멸 효과를 억제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관한 연구가 차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clitaxel은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항암제이나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세포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천연물의 병용투여를 통해 paclitaxel의 농도를 줄이면서 항암효과를 높이는 연구가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세포주인 MDA-MB-453 세포에 저농도와 고농도의 paclitaxel과 플라보노이드인 quercetin을 병용처리한 후 세포 증식, 세포사멸,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Quercetin은 저농도의 paclitaxel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세포사멸을 더욱 증가시켰으나, 고농도의 paclitaxel에서는 quercetin이 paclitaxel로 인한 세포사멸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농도의 paclitaxel로 인해 증가한 활성산소로 인해 세포사멸이 발생하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quercetin이 활성산소를 소거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세포 증식은 세포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quercetin과 paclitaxel을 병용처리 했을 때 palitaxel의 농도에 상관없이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억제한다. 세포주기의 억제는 G2/M기와 관련된 단백질인 cdc2, cyclin B, cyclin A 발현 억제로 인한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 결과는 paclitaxel과 quercetin의 병용처리는 암세포에서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의 조절을 통해 세포주기를 억제함으로써 paclitaxel의 항암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문은 201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14R1A6A102961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2; 51(7): 679-687
Published online July 31, 2022 https://doi.org/10.3746/jkfn.2022.51.7.67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김태희․송희주․이상도
충남대학교 의학과
Taehee Kim , Hee Ju Song, and Sang Do Lee
Department of Phys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rrespondence to:Sang Do Lee, Department of Phys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66, Munhwa-ro, Jung-gu, Daejeon 35015, Korea, E-mail: sdlee@cnu.ac.kr
Author information: Taehee Kim (Researcher), Hee Ju Song (Graduate student), Sang Do Lee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aclitaxel is an effective chemotherapeutic agent that is cytotoxic not only to cancer cells but also to normal cells. Thus, in order to reduce the side effects, the co-administration of paclitaxel and natural products such as flavonoids has been propos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co-treatment of paclitaxel (0.5 and 5 nM) with quercetin (25 and 50 μM), we determin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in MDA-MB-453 cells.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was observ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following co-treatment of 0.5 nM paclitaxel with quercetin. In contrast, co-treatment with 5 nM paclitaxel and quercetin reduc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compared to paclitaxel alone treatment. Nex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n apoptosis and the cell cycle. We observed that 0.5 nM paclitaxel with quercetin resulted in an increased number of apoptotic cells, whereas 5 nM paclitaxel with quercetin reduced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Moreover, the combined treatment of paclitaxel and quercetin increased cell cycle arrest at the G2/M phase in both the 0.5 and 5 nM paclitaxel groups. We then examined cell cycle-related protein expression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ell cycle reg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treatment of paclitaxel with quercetin regulated not only G1-related proteins but also G2/M-related protei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ed treatment of paclitaxel with quercetin increases cell cycle disruption via regulation of cell cycle-related proteins and decreases the incidence of apoptosis in MDA-MB-453 cells.
Keywords: cell cycle, MDA-MB-453, paclitaxel, quercetin
Paclitaxel은 주목나무(
Quercetin은 양파, 케일, 브로콜리, 사과, 포도 등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로(Miean과 Mohamed, 2001; Mikkonen 등, 2001; Slimestad 등, 2007), 다른 플라보노이드와 마찬가지로 항산화, 항염증 작용을 가진다. 또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유방암 세포(Choi 등, 2008; Chien 등, 2009; Jeong 등, 2009), 간암 세포(Granado-Serrano 등, 2006; Tanigawa 등, 2008; Tan 등, 2009), 전립선암 세포(Lee 등, 2008), 폐암 세포(Yang 등, 2006), 난소암 세포(Chen 등, 2012; Gao 등, 2012)에서 항암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Quercetin을 고농도로 처리했을 때 세포주기의 정체 및 세포사멸이 유도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된 반면 정상세포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Son 등, 2004). 그뿐만 아니라 실험동물에 paclitaxel과 quercetin을 병용투여 했을 때 paclitaxel의 흡수율이 증가할 뿐 아니라 체내 반감기도 증가했다(Choi 등, 2004a; 2004b). 이러한 결과는 quercetin이 항암제와 병용투여 되는 보조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Paclitaxel은 전이 발생이 높은 유방암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항암제로, 유방암의 특성에 따라 항암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Her2 양성 유방암에서 가장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Hayes 등, 2007). Her2 양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환자 중 20~25%를 차지하나 Her2를 표적으로 한 항암요법에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Her2 음성 유방암은 전이성 유방암 중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상대적으로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가 다양하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항암제에 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Her2 음성 유방암 치료 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paclitaxel의 투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항암제로 인한 부작용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다(Croom과 Dhillon, 2011). 그러나 Her2 음성 유방암에서 paclitaxel의 항암효과를 증가시키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r2 음성 유방암 세포주인 MDA-MB-453에 paclitaxel과 quercetin을 병용처리한 후 세포주기와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세포배양
MDA-MB-453 유방암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는 10% FBS(Welgene, Daegu, Korea), 100 unit/mL penicillin(Welgene), 100 μg/mL streptomycin(Welgene)이 함유된 RPMI1640 배지(Welgene)를 사용하여 37°C,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율은 3(4,5-dimethylthiazole-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MTT, Sigma, St. Louis, MO, USA)를 통해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3,000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aclitaxel과 quercetin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2, 24, 48,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 mg/mL 농도로 phosphate-buffered saline(PBS)에 녹인 MTT 용액을 각각의 well에 20 μL 첨가하여 37°C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생성된 formazan crystal은 200 μL dimethyl sulfoxide를 분주하여 녹여낸 후 microplate reader(EL800, 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540 nm 파장의 흡광도 측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세포주기와 sub-G1 분석
세포주기와 sub-G1은 propidium iodide(PI) 염색을 통해서 측정하였다. 100 mm culture plate에 1×106 cells를 분주한 다음 날 paclitaxel과 quercetin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trypsin을 처리하여 모은 후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세포는 90% 에탄올로 고정하였으며 분석하기 전까지 -20°C에서 보관하였다. 고정된 세포는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한 후에 10 mg/mL 농도로 녹인 PI(Molecular Probes, Sunnyvale, CA, USA) 1 μL와 10 mg/mL 농도로 녹인 RNase A(Sigma) 20 μL가 포함된 500 μL PBS에 현탁하여 37°C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염색한 세포의 PI 형광은 FACS Calibur instrument(BD Bioscience, San Jose, CA, USA)로 측정하였으며, FlowJo software(Tree Star, Inc., Ashland, OR, USA)로 분석하였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량 측정
60 mm culture plate에 5×105 cells를 분주한 후 72시간 동안 paclitaxel과 quercetin을 처리하였다. 처리한 세포는 200 μL RIPA buffer(50 mM Tris-HCl, pH 8.0, with 150 mM NaCl, 0.1% NP-40, 0.5% sodium deoxycholate, 0.1% SDS)를 처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Bradford protein assay kit Ⅱ(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였다. 동량의 단백질을 12% SDS-polyacrylamide gel을 사용하여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후 nitrocellulose membrane(0.45 μm)으로 이동시켰다. Membrane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5% skim milk를 사용하여 blocking 하였다. 1차 항체를 첨가한 후 4°C에서 12시간 이상 반응시킨 후 세척하였다. 세척한 membrane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2차 항체와 반응시켰으며, ECL advanced detection kit(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Piscataway, NJ, USA)을 사용하여 LAS-3000(Fujifilm, Tokyo, Japan)에서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했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igmaStat(Jandel, San Rafael, CA, USA)을 이용한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로 하였다.
uercetin이 저농도와 고농도의 paclitaxel에 의해 유도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
Paclitaxel과 quercetin을 12, 24, 48,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항암제는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뿐 아니라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중요하기 때문에 세포 생존율은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Paclitaxel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4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의 IC50값은 Hela 세포에서 2.6 nM, MCF-7 세포에서 2.5 nM, PC-Sh 세포에서 7.5 nM, OVG-1 세포에서 4.0 nM이었다(O’Connor와 Kohn, 1992; Gottesman, 1994; Reed,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50값보다 낮거나 높은 농도인 0.5 nM과 5 nM로 paclitaxel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Paclitaxel을 0.5 nM로 단독처리 했을 때 세포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5 μM, 50 μM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세포 생존율이 감소했다. Paclitaxel과 quercetin을 72시간 동안 병용처리 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76.2%, 70.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Fig. 1A). 24, 48, 72시간 동안 5 nM paclitaxel을 단독처리 했을 때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72시간 동안 5 nM paclitaxel과 25 μM quercetin을 병용처리 했을 때 paclitaxel의 효과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Fig. 1B). 이전 연구를 통해 quercetin이 단기간만 paclitaxel의 항암효과를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고농도의 paclitaxel과 quercetin을 12시간 동안 병용투여 했을 때 quercetin에 의해 paclitaxel의 활성이 억제됨을 세포주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나, 8일 동안 배양한 경우 paclitaxel을 단독처리한 것에 비해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콜로니 형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Samuel 등, 2010).
Quercetin과 paclitaxel의 병용처리가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세포 생존율의 억제는 세포주기 억제 또는 세포자연사멸로 인해 발생한다(King과 Cidlowski, 1995). 세포자연사멸(apoptosis)은 약물이나 외부 자극에 의해 세포가 스스로 사멸되는 과정을 말한다. 항암제는 정상세포가 아닌 암세포에서만 세포자연사멸을 유도하며, 이는 항암제의 효과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Corcoran 등, 1994; Bremer 등, 2006). 다양한 암세포주에 paclitaxel을 2~20 nM 농도로 처리했을 때 세포자연사멸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어 있다(Liebmann 등, 1993). Paclitaxel을 저농도인 0.5 nM로 72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 세포사멸 시 발생하는 sub-G1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paclitaxel 단독처리에 비해 sub-G1이 증가했다(Fig. 2A). Paclitaxel을 5 nM로 처리한 경우 저농도로 처리한 것에 비해 sub-G1이 증가한 반면 quercetin과 병용처리한 경우 paclitaxel로 인해 증가한 sub-G1을 감소시켰다(Fig 2C). PARP는 DNA가 복제할 때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복구하는 단백질로, 절단될 경우 활성이 억제되어 세포자연사멸을 유도한다. 실험결과 paclitaxel의 단독처리 및 quercetin과의 병용처리에서 절단된 PARP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2B 및 2D). 본 실험을 통해 paclitaxel과 quercetin의 병용처리가 자연 사멸된 세포를 증가시킨 반면 PARP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Quercetin과 저농도의 paclitaxel의 병용처리가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
세포 생존율의 감소는 세포주기 억제 및 세포사멸로 인해 유도된다(King과 Cidlowski, 1995). 세포주기는 G1, S, G2, M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Qu 등, 2003), 주변 영향에 따라 세포주기가 변함으로써 세포 증식이 조절된다. 항암제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G1기 또는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정체시킨다고 보고되어 있으며(Pérez-Roger 등, 2000), paclitaxel과 quercetin은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Schiff 등, 1979; Choi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낮은 농도인 0.5 nM paclitaxel에 querceti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Quercetin을 단독처리한 경우 정상군의 G2/M기는 20.0%인 반면 25 μM로 처리했을 때 67.7%, 50 μM로 처리했을 때 36.2%로 증가했다(Fig. 3). 이를 통해 quercetin이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정체시킴으로써 세포주기를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5 nM paclitaxel은 세포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25 μM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quercetin의 단독처리와 유사하게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정체시켰다(Fig. 3).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은 cyclin-dependent kinase(CDK)와 cyclin에 의해 조절된다. CDK는 cyclin과 결합하여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CDK는 세포주기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진행되도록 한다(Pines, 1995). Quercetin과 paclitaxel의 병용처리로 G2/M기에서 세포주기가 정체되었으므로 관련 기전을 살펴보기 위해 G2/M기와 관련된 단백질인 cdc2, cyclin B1, cyclin 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Paclitaxel을 0.5 nM 농도로 처리했을 때 인산화된 cdc2와 cyclin B1은 감소하였으나 cyclin A의 발현 변화는 없었다. Quercetin을 단독처리한 경우 인산화된 cdc2, cyclin B1, cyclin A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paclitaxel과 병용처리 했을 때도 감소했다(Fig. 4A). G1기와 관련된 단백질은 CDK4, CDK6, cyclin D, cyclin E가 있다(van den Heuvel, 2005; Suryadinata 등, 2010). Quercetin과 paclitaxel을 단독 또는 병용처리 했을 때 G1기를 조절하는 CDK4, CDK6, cyclin D1, cyclin D3의 발현은 변하지 않았으며, quercetin을 단독 또는 paclitaxel과 병용처리 했을 때만 cyclin E2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했다(Fig. 4B). 본 실험 결과는 quercetin과 paclitaxel을 단독 또는 병용처리로 인해 세포주기 정체가 G2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로 인한 것임을 시사한다.
Quercetin이 고농도의 paclitaxel에 의해 유도된 세포주기 억제에 미치는 효과
Paclitaxel을 5 nM로 단독처리하거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세포주기를 분석했다. Paclitaxel을 5 nM로 처리했을 때 S기와 G2/M기에서 세포주기가 억제되었으며, quercetin과 병용처리 시 G2/M기의 세포 비율이 증가했지만 quercetin의 농도 차이로 인한 변화는 없었다(Fig. 5). 또한 세포주기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paclitaxel의 단독처리는 cdc2의 인산화와 cyclin B1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quercetin과 병용처리 했을 때 인산화된 cdc2가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cyclin B1의 발현 또한 감소했다. 반면 cyclin A는 paclitaxel의 단독처리에서도 감소했으며 quercetin과 병용처리 시 더욱 감소함이 관찰되었다(Fig. 6A). 반면 G1기와 관련된 단백질인 CDK4, CDK6, cyclin D1, cyclin D3의 발현은 paclitaxel의 단독처리 또는 quercetin과의 병용처리 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quercetin의 처리는 G2/M기에서 세포주기의 억제를 유도하며, 이러한 효과는 항암제인 paclitaxel의 세포주기 억제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quercetin이 고농도의 paclitaxel로 인해 유도된 세포사멸 효과를 억제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관한 연구가 차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clitaxel은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항암제이나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세포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천연물의 병용투여를 통해 paclitaxel의 농도를 줄이면서 항암효과를 높이는 연구가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세포주인 MDA-MB-453 세포에 저농도와 고농도의 paclitaxel과 플라보노이드인 quercetin을 병용처리한 후 세포 증식, 세포사멸,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Quercetin은 저농도의 paclitaxel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세포사멸을 더욱 증가시켰으나, 고농도의 paclitaxel에서는 quercetin이 paclitaxel로 인한 세포사멸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농도의 paclitaxel로 인해 증가한 활성산소로 인해 세포사멸이 발생하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quercetin이 활성산소를 소거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세포 증식은 세포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quercetin과 paclitaxel을 병용처리 했을 때 palitaxel의 농도에 상관없이 G2/M기에서 세포주기를 억제한다. 세포주기의 억제는 G2/M기와 관련된 단백질인 cdc2, cyclin B, cyclin A 발현 억제로 인한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 결과는 paclitaxel과 quercetin의 병용처리는 암세포에서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의 조절을 통해 세포주기를 억제함으로써 paclitaxel의 항암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문은 201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14R1A6A1029617).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