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9): 938-946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9.93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in A Yoon1 and Kyung-Ok Shin2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angseo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hmyoo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Kyung-Ok Sh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hmyook University, 815, Hwarang-ro, Nowon-gu, Seoul 01795, Korea, E-mail: skorose@sy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muffins were prepared by adding varying concentrations of mealworm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uffins were confirm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upplementation with 10% mealworm powder changed the color to brown. Among the chromaticities evaluated,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and the a value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mealworm amounts. The crude protein content, magnesium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increased mealworm supplementation. Thus, considering the various nutritional func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mealworm is valuable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Emphasizing the nutritional aspects,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about 10% mealworm powder in the manufacturing of muffins.
Keywords: Tenebrio molitor Linnaeus, muffins, mineral, amino acid, antioxidant
지구 온난화로 인한 생물다양성의 감소, 해수면 상승, 농업 및 어업의 감소 등은 인류의 존재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예상된다(Jung 등, 2019). 이러한 기온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은 지구환경을 보전하고 인류의 성장을 지속 발전시킬 수 있으며, 빈곤의 근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Shim 등, 2019). 지구 온난화는 온실가스의 생성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데, 그중 반추동물의 메탄가스(CH4) 생성량은 온실가스의 42.2%나 차지하며, 축산 폐수에 의한 온실가스 생성도 지구 온난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Song 등, 2020). 이에 온실가스의 생성을 줄이고 양질의 단백질을 손쉽게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은 지구의 환경을 지키면서 식량난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서 미래 환경을 보호하고, 단백질 등의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식품으로 식용곤충을 선정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미래 식량으로 주목하고 있는 곤충은 130만 종에 이르고 시장 규모도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성장하고 있다(Lee 등, 2020a).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마련을 시작으로 식품위생법 제7조 1항에 곤충을 식품 원료로 인정하고 있으며, 그 종류에는 벼메뚜기(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 허용된 식용곤충 중 갈색거저리 유충은 밀웜(mealwom)이라 불리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곤충으로 곡류에서 서식하고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캐나다, 네덜란드, 중국 등 외국에서 대량 사육하여 식용으로 이용된다(Hwang 등, 2015). 밀웜은 저렴한 가격으로 식용뿐만 아니라 낚시에 미끼용,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의 사료용으로 사용되며, 건조된 밀웜은 100 g당 50 g의 단백질과 33.8 g의 지방을 함유하여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철과 비타민 A 함량도 높으며(Rumpold와 Schlüter, 2013), 단백질은 대두보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다(Yi 등, 2013). 또한 밀웜의 껍질에는 동물성 식이섬유소인 키틴이 풍부하다(Hamed 등, 2016).
밀웜을 이용한 연구에는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Kim 등, 2019),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이용한 패티 제조 및 품질 특성(Kim 등, 2015),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파스타의 품질 특성(Kim 등, 2014), 밀웜(갈색거저리)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Hwang과 Choi, 2015), 갈색거저리 유충(밀웜)으로부터 청국장 균주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 방지 기능성 펩타이드 생산(Gam 등, 2019), 밀웜 분말을 첨가한 다쿠아즈 개발(Lee 등, 2023), 식용 밀웜(
현대에는 밥 중심의 식생활에서 면과 빵 등 식생활이 다양해지면서 제과·제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국제적인 감염병의 유행 등으로 소비자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의 고조에 의해 기능성 식품의 소비 증가로 2020년 78.2%의 사람들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Ahn과 Yuh, 2004; Lee 등, 2020b). 제과·제빵 제품 중 머핀은 우유와 달걀을 첨가하기 때문에 영양가가 높고 간편하게 구울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Yoon 등, 2021). 이러한 특성으로 국내 머핀에 관한 연구에는 레몬그라스(Lee 등, 2015), 히비스커스(Kim과 Kim, 2019), 카레(Kim, 2020), 아사이베리(Park 등, 2021), 칠면초(Yoon, 2021), 카무트(Yoon 등, 2021), 잇바디돌김(Yoon, 2022) 등을 첨가하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과·제빵의 수요 증가에 부합하되 건강한 먹거리 제공을 위해 가격이 저렴한 단백질 급원으로 이용 가치가 높은 밀웜을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하였다. 머핀의 품질과 단백질 영양 향상을 위해 밀웜을 분말화한 후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머핀의 품질 특성, 아미노산 성분분석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여 식품개발을 위한 소재로 밀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머핀은 일반 머핀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재료 배합 비율은 Table 1과 같다. 강력분(CJ) 및 밀웜 분말(Green Insect) 함량 외에 모든 재료는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강력분의 0, 5, 10, 15, 20, 30%를 밀웜 분말로 대체하여 머핀을 제조하였다. 강력분, 베이킹파우더(Sungjin Food), 밀웜 분말은 체질하여 놓고, 설탕(CJ), 소금(CJ), 계란, 버터(Lotte Food)를 넣어 크림상이 되도록 hand mixer(Dretec HM-706, Guangdong Xinbao Electrical Appliances Holdings Co., Ltd.)로 1분 30초간 반죽한 후 체질한 재료들을 넣고 30초간 반죽하였다. 머핀 반죽은 머핀 컵에 50 g씩 담고 예열된 오븐(SPS43K, Smeg)으로 170°C에서 15분간 구운 후 즉시 꺼내어 상온에서 1시간 방랭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Table 1 . Muffin recipe with mealworm powder
Ingredients (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Wheat flour | 32 | 30.4 | 28.8 | 27.2 | 25.6 | 22.4 |
Mealworm powder | 0 | 1.6 | 3.2 | 4.8 | 6.4 | 9.6 |
Egg | 27.4 | 27.4 | 27.4 | 27.4 | 27.4 | 27.4 |
Butter | 21 | 21 | 21 | 21 | 21 | 21 |
Sugar | 19 | 19 | 19 | 19 | 19 | 19 |
Baking powder | 0.5 | 0.5 | 0.5 | 0.5 | 0.5 | 0.5 |
Salt | 0.1 | 0.1 | 0.1 | 0.1 | 0.1 | 0.1 |
Total | 100 |
밀웜 첨가 머핀의 전체면은 디지털카메라(Ev-nxflzza2 pkr, Samsung)로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색도 분석은 색차계(CR-400,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기에 표준백판(L=93.97, a=-0.63, b=3.85)을 사용하여 보정하였고, 절단된 시료를 원형 cell에 넣어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을 측정하였다.
머핀의 무게는 구운 머핀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랭한 후에 전자저울(KB-500, Kyungin)을 사용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머핀의 높이는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봉우리 중 가장 높은 부분까지 측정하였다. 굽기 손실률은 반죽 무게와 머핀 무게를 3회 반복 측정하여 아래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반죽 수율은 발효가 완료된 반죽의 무게와 숙성 후 머핀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아래의 식으로부터 반죽 수율을 계산하였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Kim(2020)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반죽 50 g을 취하여 실험 조작이 용이하도록 덧가루를 바르고 500 mL 메스실린더에 넣은 후, 상대습도 80%, 온도 27°C의 발효실에서 15분간 발효시켜 반죽의 팽창부피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Kim과 Lee(2012)의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머핀을 직경 60 mm, 높이 45 mm로 잘라서 Advanced Universal Testing System(LPXPlus, Lloyd Instrument Ltd.)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15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측정 조건은 test speed는 1 mm/s, trigger는 5.0 gf였으며, 높이와 지름이 각각 50.00 mm, 12.45 mm인 원기둥형 탐침(probe)을 사용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105°C 상압 가열 건조법(FS- 620, Toyo Seisakusho Co., Ltd.), 조회분은 회화로(KL- 160, Toyo Seisakusho Co., Ltd.)를 사용한 건식회화법, 조단백질 함량은 Kjeldahl법(Kjeltec TM 2300, FOSS) 및 조지방 함량은 soxhlet(SOX606, LABTECH) 추출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아연의 무기질 함량은 Kim 등(2007)이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건식분해법에 따른 시료 전처리는 분해 및 여과하여 증류수로 100 mL까지 정용한 시험용액으로 하였으며, 시료를 넣지 않은 공시험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전처리된 시험용액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기(ICP-AES,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Z 6100, Hitachi)를 사용하여 분석 조건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아미노산 성분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분석 의뢰하였다. 시료는 일정량을 취한 후 PICO-Tag법에 의하여 phenyl isothiocyanate(PITC) labeling을 실시하였다. PITC labeling된 시료를 400 µL의 buffer(1.4 mM NaHAc+0.1% Triethylamine+6% CH3CN; pH 6.1)에 녹인 다음, 그중 10 µL를 취하고 RP-HPLC(Waters 510)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Waters Pico-tag column(3.9×300 mm, 4.0 µm)을 이용하여 용매 A{140 mM sodium acetate(6% acetonitrile)}와 용매 B(60% acetonitrile)를 1 mL/min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Waters 2487 UV detector(Youngseong Techpia)를 이용하여 25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Cha 등, 2020; Kim 등, 2021).
총 페놀 함량 측정은 Shin과 Eum(202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25 mL 용량 플라스크에 1 mL 추출물을 취한 후 9 mL의 증류수를 추가하였다. 1 mL Folin-Ciocalteu’s phenol regent(1 M)를 넣고 상온에 5분 동안 방치한 후, 7% NaCO3 10 mL를 넣고 용량플라스크 총량까지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시료를 23°C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암소에서 반응시켜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 Mecasys Co., Ltd.)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 gallic acid를 사용하여 함량은 GAE mg/g으로 표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Shin과 Eum(202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밀웜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머핀 1 mL 추출물에 증류수 4 mL를 추가한 다음, 5% NaNO2 0.3 mL를 혼합하고 상온에 5분 동안 방치하였다. 여기에 10% AlCl3 0.3 mL를 넣고 상온에서 6분 동안 방치한 다음 2 mL NaOH(1 M)를 추가한 후 증류수 2.4 mL를 넣었다. 용액의 총부피를 10 mL로 맞춘 후,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를 이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atechin을 표준물질로 표준곡선을 만들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곡선 Catechin mg/g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Shin과 Eum(202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밀웜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머핀은 에탄올로 용해하고 100 mg/mL 농도로 만들었다. 7.4 mM ABTS(Sigma-Aldrich, Spruce) 수용액과 2.6 mM potassium persulfate(Samchun Pure Chemical) 수용액을 1:1로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phosphate-buffered saline 용액과 1:72 비율로 혼합하였다. 시료 추출물 0.05 mL를 ABTS 용액 0.95 mL와 혼합 후 암소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다음, 파장 732 nm에서 흡광도를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서 나온 흡광도 값은 아래에 나타낸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과정에서 DPPH stock solution은 DPPH 24 mg을 메탄올 100 mL에 용해한 후, -20°C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DPPH 용액은 515 nm에서 흡광도 값 1.1(±0.02)이 되도록 메탄올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Radical inhibition(%)이 20~80%가 되도록 희석한 50 μL 조제 시료와 2 mL DPPH 용액을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메탄올을 blank로 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Thaipong 등, 2006). 각 시료에서 나온 흡광도 값은 아래에 나타낸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밀웜 분말을 첨가한 머핀에 대한 영양적인 특성에 대한 실험 자료는 SPSS(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 SPSS In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시료에 대한 Mean±SD로 나타내었다. 시료 간의 차이분석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유의적 차이(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 전체면 관찰 및 색도 측정은 Fig. 1과 Table 2에 제시하였다. L값은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에서 각각 74.63±0.20> 73.83±0.19> 72.20±0.27> 60.40±0.78> 55.00±0.32> 47.70±0.32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Table 2 . Color values of muffin added with mealworm powder
Variables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L | 74.63±0.20a1)2) | 73.83±0.19b | 72.20±0.27c | 60.40±0.78d | 55.00±0.32e | 47.70±0.32f |
a | 2.30±0.06b | 2.10±0.06b | 2.53±0.03b | 4.50±0.06a | 4.37±0.07a | 4.07±0.26a |
b | 33.13±0.52a | 30.27±0.34b | 29.17±0.15c | 21.90±0.10d | 20.10±0.12e | 18.10±0.48f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f)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무게, 높이, 굽기 손실률, 반죽 수율, 비중 및 경도 측정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머핀의 무게는 45.93~47.80 g이었으며, 머핀의 높이는 4.67~5.47 cm로 조사되었다. 무게는 밀웜 분말 5% 첨가군에서 45.93 ±2.41 g으로 가장 낮았으며, 높이는 대조군에서 4.67±0.15 cm로 낮았고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 5.47±0.25 cm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Table 3 . Weight, height, volume, baking loss rate, dough yield, specific gravity, and hardness of muffins made with mealworm powder
Mealworm powder content (%) | ||||||
---|---|---|---|---|---|---|
0 | 5 | 10 | 15 | 20 | 30 | |
Weight (g) | 46.30±0.61a1) | 45.93±2.41a | 46.37±1.95a | 46.00±1.05a | 47.30±0.98a | 47.80±1.99a |
Height (cm) | 4.67±0.15b2) | 4.73±0.25b | 4.97±0.25b | 4.80±0.10b | 5.13±0.15a | 5.47±0.25a |
Baking loss rate | 7.21±0.80b | 7.57±0.33b | 8.07±0.34a | 8.49±0.70a | 8.57±0.65a | 8.79±0.51a |
Dough yield | 92.79±0.80a | 92.43±0.33a | 91.93±0.33b | 91.51±0.70b | 91.43±0.65b | 91.21±0.51b |
Specific gravity | 1.66±0.01a | 1.64±0.01a | 1.63±0.00a | 1.64±0.01a | 1.63±0.00a | 1.62±0.00a |
Hardness | 23.33±6.35b | 26.67±4.04a | 14.33±0.58c | 26.00±4.36a | 11.33±0.58d | 9.33±5.03e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수분의 함량은 15.55~18.76% 사이로 조사되었다. 조회분 함량은 대조군에서 0.53±0.02%,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는 1.20±0.03%로 측정되었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으로 갈수록 8.10±0.17 <8.70±0.18 <11.05±0.53 <12.49 ±0.69 <13.80±0.51 <17.60±0.5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4 . Proximate composition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Composition (%)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Moisture | 17.88±0.06a1) | 18.76±0.05a | 15.55±0.02a | 18.23±0.01a | 17.16±0.02a | 17.14±0.06a |
Crude ash | 0.53±0.02c2) | 0.44±0.01d | 0.51±0.09c | 0.77±0.05b | 0.76±0.02b | 1.20±0.03a |
Crude protein | 8.10±0.17e | 8.70±0.18e | 11.05±0.53d | 12.49±0.69c | 13.80±0.51b | 17.60±0.53a |
Crude fat | 22.76±0.09a | 21.59±1.26a | 22.59±0.19a | 21.73±0.84a | 23.72±0.17a | 23.99±0.54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무기질 함량은 Table 5와 같다. 칼슘의 함량은 대조군에서 287.67±23.33 mg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마그네슘 함량은 대조군, 5, 10, 15, 20, 30%가 각각 123.77±2.13 <123.99±2.45 <124.65±3.64 <249.42±4.80 <301.77±3.57 <377.37±1.82 mg 순으로 밀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연의 함량은 대조군과 밀웜 분말 5% 첨가군에서 각각 7.21±0.54 mg과 8.32±0.42 mg이었으며, 밀웜 분말 15%에서는 13.69±0.87 m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5 . Mineral content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Measurement (m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Ca | 287.67±23.33a1) | 260.13±13.32b | 225.46±24.00d | 246.78±16.74c | 266.41±11.64b | 282.91±19.09a |
Mg | 123.77±2.13d2) | 123.99±2.45d | 124.65±3.64d | 249.42±4.80c | 301.77±3.57b | 377.37±1.82a |
Zn | 7.21±0.54d | 8.32±0.42d | 8.65±1.40d | 13.69±0.87c | 17.39±0.74b | 22.73±0.22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d)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아미노산 조성은 Table 6과 같다. 필수아미노산은 대조군에 비해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 발린(696.9±0.01 mg), 루이신(911.1±0.01 mg), 이소루이신(466.8±0.01 mg), 트레오닌(545.3±0.01 mg), 페닐알라닌(490.7±0.01 mg), 메티오닌(175.2±0.01 mg), 리신(672.0±0.01 mg), 아르기닌(600.2±0.01 mg), 히스티딘(317.8±0.01 mg)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Table 6 . Amino acid composition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Variety (mg/100 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Essential amino acid | Valine | 328.3±0.01d1)2) | 366.4±0.01d | 300.0±0.01e | 542.1±0.01c | 564.8±0.01b | 696.9±0.01a |
Leucine | 551.8±0.01d | 570.3±0.01d | 499.7±0.01e | 766.9±0.01c | 797.0±0.01b | 911.1±0.01a | |
Isoleucine | 272.4±0.01d | 299.1±0.01c | 260.9±0.01d | 421.8±0.01b | 400.1±0.01b | 466.8±0.01a | |
Threonine | 284.6±0.01d | 301.0±0.01c | 239.8±0.01d | 405.3±0.01b | 454.0±0.01b | 545.3±0.01a | |
Phenylalanine | 359.4±0.01c | 357.5±0.01c | 341.5±0.01c | 470.3±0.01b | 467.8±0.01b | 490.7±0.01a | |
Methionine | 140.4±0.01c | 144.3±0.01c | 122.3±0.01d | 182.9±0.01a | 168.2±0.01b | 175.2±0.01b | |
Lysine | 337.2±0.01c | 334.7±0.01c | 276.5±0.01d | 516.8±0.01b | 556.9±0.01b | 672.0±0.01a | |
Arginine | 312.0±0.01d | 323.8±0.01d | 270.5±0.01e | 475.0±0.01c | 522.2±0.01b | 600.2±0.01a | |
Histidine | 152.6±0.01d | 152.7±0.01d | 145.4±0.01e | 249.4±0.01c | 265.2±0.01b | 317.8±0.01a | |
Non-essential amino acid | Aspartic acid | 502.2±0.01d | 493.3±0.01e | 433.3±0.01e | 744.3±0.01c | 805.7±0.01b | 916.3±0.01a |
Serine | 478.5±0.01d | 475.0±0.01d | 394.9±0.01e | 587.0±0.01c | 654.5±0.01b | 756.7±0.01a | |
Glutamic acid | 1,747.4±0.01c | 1,751.4±0.01c | 1,668.8±0.01d | 1,962.4±0.01b | 2,028.2±0.01a | 2,058.5±0.01a | |
Proline | 618.0±0.01c | 638.0±0.01c | 589.7±0.01d | 768.2±0.01b | 900.2±0.01a | 905.9±0.01a | |
Glycine | 239.4±0.01d | 243.1±0.01d | 222.6±0.01d | 387.9±0.01c | 420.8±0.01b | 507.0±0.01a | |
Alanine | 303.9±0.01c | 317.0±0.01c | 267.6±0.01d | 520.4±0.01b | 582.9±0.01b | 718.2±0.01a | |
Tyrosine | 167.5±0.01c | 166.1±0.01c | 150.5±0.01d | 302.1±0.01b | 321.9±0.01b | 401.3±0.01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Table 7과 같다.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이 각각 29.69±0.00 <30.64±0.01 <36.83±0.01 < 53.02±0.01 <68.26±0.02 <80.17±0.02 GAE mg/g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Table 7 .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Variables | Total phenolic content (GAE mg/g) | Total flavonoid content (mg CA/g) |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
0 | 29.69±0.00f1)2) | 23.58±0.00d | 14.44±0.95e | 4.05±0.72c |
5 | 30.64±0.01e | 24.58±0.00d | 19.76±1.73d | 2.21±0.25d |
10 | 36.83±0.01d | 28.42±0.00c | 19.90±0.94d | 1.79±0.22e |
15 | 53.02±0.01c | 30.42±0.00c | 40.84±0.72c | 5.09±0.08b |
20 | 68.26±0.02b | 32.08±0.00b | 49.56±1.05b | 5.88±0.19b |
30 | 80.17±0.02a | 39.58±0.00a | 53.29±1.44a | 8.01±0.51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f)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도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이 각각 14.44±0.95 <19.76±1.73 <19.90 ±0.94 <40.84±0.72 <49.56±1.05 <53.29±1.44%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는 밀웜을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머핀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여 밀웜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알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밀웜 분말 10% 첨가군부터 머핀의 색상은 갈색으로 변하였으며, 이는 밀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상이 진하게 나타났다. 색도 중 L값과 b값은 낮아지고,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대조군에서 23.33±6.35, 밀웜 분말 5%와 10% 첨가군에서 각각 26.67±4.04, 26.00±4.36을 보였다. 머핀의 밀웜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단백질 함량, 마그네슘 함량, 총 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9): 938-946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9.93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윤진아1․신경옥2
1강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Jin A Yoon1 and Kyung-Ok Shin2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angseo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hmyoo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Kyung-Ok Sh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hmyook University, 815, Hwarang-ro, Nowon-gu, Seoul 01795, Korea, E-mail: skorose@sy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this study, muffins were prepared by adding varying concentrations of mealworm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uffins were confirm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upplementation with 10% mealworm powder changed the color to brown. Among the chromaticities evaluated,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and the a value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mealworm amounts. The crude protein content, magnesium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increased mealworm supplementation. Thus, considering the various nutritional func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mealworm is valuable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Emphasizing the nutritional aspects,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about 10% mealworm powder in the manufacturing of muffins.
Keywords: Tenebrio molitor Linnaeus, muffins, mineral, amino acid, antioxidant
지구 온난화로 인한 생물다양성의 감소, 해수면 상승, 농업 및 어업의 감소 등은 인류의 존재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예상된다(Jung 등, 2019). 이러한 기온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은 지구환경을 보전하고 인류의 성장을 지속 발전시킬 수 있으며, 빈곤의 근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Shim 등, 2019). 지구 온난화는 온실가스의 생성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데, 그중 반추동물의 메탄가스(CH4) 생성량은 온실가스의 42.2%나 차지하며, 축산 폐수에 의한 온실가스 생성도 지구 온난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Song 등, 2020). 이에 온실가스의 생성을 줄이고 양질의 단백질을 손쉽게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은 지구의 환경을 지키면서 식량난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서 미래 환경을 보호하고, 단백질 등의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식품으로 식용곤충을 선정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미래 식량으로 주목하고 있는 곤충은 130만 종에 이르고 시장 규모도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성장하고 있다(Lee 등, 2020a).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마련을 시작으로 식품위생법 제7조 1항에 곤충을 식품 원료로 인정하고 있으며, 그 종류에는 벼메뚜기(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 허용된 식용곤충 중 갈색거저리 유충은 밀웜(mealwom)이라 불리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곤충으로 곡류에서 서식하고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캐나다, 네덜란드, 중국 등 외국에서 대량 사육하여 식용으로 이용된다(Hwang 등, 2015). 밀웜은 저렴한 가격으로 식용뿐만 아니라 낚시에 미끼용,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의 사료용으로 사용되며, 건조된 밀웜은 100 g당 50 g의 단백질과 33.8 g의 지방을 함유하여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철과 비타민 A 함량도 높으며(Rumpold와 Schlüter, 2013), 단백질은 대두보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다(Yi 등, 2013). 또한 밀웜의 껍질에는 동물성 식이섬유소인 키틴이 풍부하다(Hamed 등, 2016).
밀웜을 이용한 연구에는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Kim 등, 2019),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이용한 패티 제조 및 품질 특성(Kim 등, 2015),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파스타의 품질 특성(Kim 등, 2014), 밀웜(갈색거저리)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Hwang과 Choi, 2015), 갈색거저리 유충(밀웜)으로부터 청국장 균주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 방지 기능성 펩타이드 생산(Gam 등, 2019), 밀웜 분말을 첨가한 다쿠아즈 개발(Lee 등, 2023), 식용 밀웜(
현대에는 밥 중심의 식생활에서 면과 빵 등 식생활이 다양해지면서 제과·제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국제적인 감염병의 유행 등으로 소비자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의 고조에 의해 기능성 식품의 소비 증가로 2020년 78.2%의 사람들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Ahn과 Yuh, 2004; Lee 등, 2020b). 제과·제빵 제품 중 머핀은 우유와 달걀을 첨가하기 때문에 영양가가 높고 간편하게 구울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Yoon 등, 2021). 이러한 특성으로 국내 머핀에 관한 연구에는 레몬그라스(Lee 등, 2015), 히비스커스(Kim과 Kim, 2019), 카레(Kim, 2020), 아사이베리(Park 등, 2021), 칠면초(Yoon, 2021), 카무트(Yoon 등, 2021), 잇바디돌김(Yoon, 2022) 등을 첨가하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과·제빵의 수요 증가에 부합하되 건강한 먹거리 제공을 위해 가격이 저렴한 단백질 급원으로 이용 가치가 높은 밀웜을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하였다. 머핀의 품질과 단백질 영양 향상을 위해 밀웜을 분말화한 후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머핀의 품질 특성, 아미노산 성분분석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여 식품개발을 위한 소재로 밀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머핀은 일반 머핀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재료 배합 비율은 Table 1과 같다. 강력분(CJ) 및 밀웜 분말(Green Insect) 함량 외에 모든 재료는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강력분의 0, 5, 10, 15, 20, 30%를 밀웜 분말로 대체하여 머핀을 제조하였다. 강력분, 베이킹파우더(Sungjin Food), 밀웜 분말은 체질하여 놓고, 설탕(CJ), 소금(CJ), 계란, 버터(Lotte Food)를 넣어 크림상이 되도록 hand mixer(Dretec HM-706, Guangdong Xinbao Electrical Appliances Holdings Co., Ltd.)로 1분 30초간 반죽한 후 체질한 재료들을 넣고 30초간 반죽하였다. 머핀 반죽은 머핀 컵에 50 g씩 담고 예열된 오븐(SPS43K, Smeg)으로 170°C에서 15분간 구운 후 즉시 꺼내어 상온에서 1시간 방랭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Table 1 . Muffin recipe with mealworm powder.
Ingredients (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Wheat flour | 32 | 30.4 | 28.8 | 27.2 | 25.6 | 22.4 |
Mealworm powder | 0 | 1.6 | 3.2 | 4.8 | 6.4 | 9.6 |
Egg | 27.4 | 27.4 | 27.4 | 27.4 | 27.4 | 27.4 |
Butter | 21 | 21 | 21 | 21 | 21 | 21 |
Sugar | 19 | 19 | 19 | 19 | 19 | 19 |
Baking powder | 0.5 | 0.5 | 0.5 | 0.5 | 0.5 | 0.5 |
Salt | 0.1 | 0.1 | 0.1 | 0.1 | 0.1 | 0.1 |
Total | 100 |
밀웜 첨가 머핀의 전체면은 디지털카메라(Ev-nxflzza2 pkr, Samsung)로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색도 분석은 색차계(CR-400,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기에 표준백판(L=93.97, a=-0.63, b=3.85)을 사용하여 보정하였고, 절단된 시료를 원형 cell에 넣어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을 측정하였다.
머핀의 무게는 구운 머핀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랭한 후에 전자저울(KB-500, Kyungin)을 사용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머핀의 높이는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봉우리 중 가장 높은 부분까지 측정하였다. 굽기 손실률은 반죽 무게와 머핀 무게를 3회 반복 측정하여 아래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반죽 수율은 발효가 완료된 반죽의 무게와 숙성 후 머핀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아래의 식으로부터 반죽 수율을 계산하였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Kim(2020)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반죽 50 g을 취하여 실험 조작이 용이하도록 덧가루를 바르고 500 mL 메스실린더에 넣은 후, 상대습도 80%, 온도 27°C의 발효실에서 15분간 발효시켜 반죽의 팽창부피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Kim과 Lee(2012)의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머핀을 직경 60 mm, 높이 45 mm로 잘라서 Advanced Universal Testing System(LPXPlus, Lloyd Instrument Ltd.)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15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측정 조건은 test speed는 1 mm/s, trigger는 5.0 gf였으며, 높이와 지름이 각각 50.00 mm, 12.45 mm인 원기둥형 탐침(probe)을 사용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105°C 상압 가열 건조법(FS- 620, Toyo Seisakusho Co., Ltd.), 조회분은 회화로(KL- 160, Toyo Seisakusho Co., Ltd.)를 사용한 건식회화법, 조단백질 함량은 Kjeldahl법(Kjeltec TM 2300, FOSS) 및 조지방 함량은 soxhlet(SOX606, LABTECH) 추출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아연의 무기질 함량은 Kim 등(2007)이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건식분해법에 따른 시료 전처리는 분해 및 여과하여 증류수로 100 mL까지 정용한 시험용액으로 하였으며, 시료를 넣지 않은 공시험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전처리된 시험용액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기(ICP-AES,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Z 6100, Hitachi)를 사용하여 분석 조건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아미노산 성분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분석 의뢰하였다. 시료는 일정량을 취한 후 PICO-Tag법에 의하여 phenyl isothiocyanate(PITC) labeling을 실시하였다. PITC labeling된 시료를 400 µL의 buffer(1.4 mM NaHAc+0.1% Triethylamine+6% CH3CN; pH 6.1)에 녹인 다음, 그중 10 µL를 취하고 RP-HPLC(Waters 510)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Waters Pico-tag column(3.9×300 mm, 4.0 µm)을 이용하여 용매 A{140 mM sodium acetate(6% acetonitrile)}와 용매 B(60% acetonitrile)를 1 mL/min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Waters 2487 UV detector(Youngseong Techpia)를 이용하여 25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Cha 등, 2020; Kim 등, 2021).
총 페놀 함량 측정은 Shin과 Eum(202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25 mL 용량 플라스크에 1 mL 추출물을 취한 후 9 mL의 증류수를 추가하였다. 1 mL Folin-Ciocalteu’s phenol regent(1 M)를 넣고 상온에 5분 동안 방치한 후, 7% NaCO3 10 mL를 넣고 용량플라스크 총량까지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시료를 23°C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암소에서 반응시켜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 Mecasys Co., Ltd.)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 gallic acid를 사용하여 함량은 GAE mg/g으로 표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Shin과 Eum(202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밀웜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머핀 1 mL 추출물에 증류수 4 mL를 추가한 다음, 5% NaNO2 0.3 mL를 혼합하고 상온에 5분 동안 방치하였다. 여기에 10% AlCl3 0.3 mL를 넣고 상온에서 6분 동안 방치한 다음 2 mL NaOH(1 M)를 추가한 후 증류수 2.4 mL를 넣었다. 용액의 총부피를 10 mL로 맞춘 후,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를 이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atechin을 표준물질로 표준곡선을 만들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곡선 Catechin mg/g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Shin과 Eum(202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밀웜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머핀은 에탄올로 용해하고 100 mg/mL 농도로 만들었다. 7.4 mM ABTS(Sigma-Aldrich, Spruce) 수용액과 2.6 mM potassium persulfate(Samchun Pure Chemical) 수용액을 1:1로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phosphate-buffered saline 용액과 1:72 비율로 혼합하였다. 시료 추출물 0.05 mL를 ABTS 용액 0.95 mL와 혼합 후 암소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다음, 파장 732 nm에서 흡광도를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서 나온 흡광도 값은 아래에 나타낸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과정에서 DPPH stock solution은 DPPH 24 mg을 메탄올 100 mL에 용해한 후, -20°C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DPPH 용액은 515 nm에서 흡광도 값 1.1(±0.02)이 되도록 메탄올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Radical inhibition(%)이 20~80%가 되도록 희석한 50 μL 조제 시료와 2 mL DPPH 용액을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메탄올을 blank로 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Thaipong 등, 2006). 각 시료에서 나온 흡광도 값은 아래에 나타낸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밀웜 분말을 첨가한 머핀에 대한 영양적인 특성에 대한 실험 자료는 SPSS(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 SPSS In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시료에 대한 Mean±SD로 나타내었다. 시료 간의 차이분석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유의적 차이(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 전체면 관찰 및 색도 측정은 Fig. 1과 Table 2에 제시하였다. L값은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에서 각각 74.63±0.20> 73.83±0.19> 72.20±0.27> 60.40±0.78> 55.00±0.32> 47.70±0.32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Table 2 . Color values of muffin added with mealworm powder.
Variables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L | 74.63±0.20a1)2) | 73.83±0.19b | 72.20±0.27c | 60.40±0.78d | 55.00±0.32e | 47.70±0.32f |
a | 2.30±0.06b | 2.10±0.06b | 2.53±0.03b | 4.50±0.06a | 4.37±0.07a | 4.07±0.26a |
b | 33.13±0.52a | 30.27±0.34b | 29.17±0.15c | 21.90±0.10d | 20.10±0.12e | 18.10±0.48f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f)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무게, 높이, 굽기 손실률, 반죽 수율, 비중 및 경도 측정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머핀의 무게는 45.93~47.80 g이었으며, 머핀의 높이는 4.67~5.47 cm로 조사되었다. 무게는 밀웜 분말 5% 첨가군에서 45.93 ±2.41 g으로 가장 낮았으며, 높이는 대조군에서 4.67±0.15 cm로 낮았고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 5.47±0.25 cm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Table 3 . Weight, height, volume, baking loss rate, dough yield, specific gravity, and hardness of muffins made with mealworm powder.
Mealworm powder content (%) | ||||||
---|---|---|---|---|---|---|
0 | 5 | 10 | 15 | 20 | 30 | |
Weight (g) | 46.30±0.61a1) | 45.93±2.41a | 46.37±1.95a | 46.00±1.05a | 47.30±0.98a | 47.80±1.99a |
Height (cm) | 4.67±0.15b2) | 4.73±0.25b | 4.97±0.25b | 4.80±0.10b | 5.13±0.15a | 5.47±0.25a |
Baking loss rate | 7.21±0.80b | 7.57±0.33b | 8.07±0.34a | 8.49±0.70a | 8.57±0.65a | 8.79±0.51a |
Dough yield | 92.79±0.80a | 92.43±0.33a | 91.93±0.33b | 91.51±0.70b | 91.43±0.65b | 91.21±0.51b |
Specific gravity | 1.66±0.01a | 1.64±0.01a | 1.63±0.00a | 1.64±0.01a | 1.63±0.00a | 1.62±0.00a |
Hardness | 23.33±6.35b | 26.67±4.04a | 14.33±0.58c | 26.00±4.36a | 11.33±0.58d | 9.33±5.03e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수분의 함량은 15.55~18.76% 사이로 조사되었다. 조회분 함량은 대조군에서 0.53±0.02%,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는 1.20±0.03%로 측정되었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으로 갈수록 8.10±0.17 <8.70±0.18 <11.05±0.53 <12.49 ±0.69 <13.80±0.51 <17.60±0.5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4 . Proximate composition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Composition (%)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Moisture | 17.88±0.06a1) | 18.76±0.05a | 15.55±0.02a | 18.23±0.01a | 17.16±0.02a | 17.14±0.06a |
Crude ash | 0.53±0.02c2) | 0.44±0.01d | 0.51±0.09c | 0.77±0.05b | 0.76±0.02b | 1.20±0.03a |
Crude protein | 8.10±0.17e | 8.70±0.18e | 11.05±0.53d | 12.49±0.69c | 13.80±0.51b | 17.60±0.53a |
Crude fat | 22.76±0.09a | 21.59±1.26a | 22.59±0.19a | 21.73±0.84a | 23.72±0.17a | 23.99±0.54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무기질 함량은 Table 5와 같다. 칼슘의 함량은 대조군에서 287.67±23.33 mg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마그네슘 함량은 대조군, 5, 10, 15, 20, 30%가 각각 123.77±2.13 <123.99±2.45 <124.65±3.64 <249.42±4.80 <301.77±3.57 <377.37±1.82 mg 순으로 밀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연의 함량은 대조군과 밀웜 분말 5% 첨가군에서 각각 7.21±0.54 mg과 8.32±0.42 mg이었으며, 밀웜 분말 15%에서는 13.69±0.87 m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5 . Mineral content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Measurement (m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Ca | 287.67±23.33a1) | 260.13±13.32b | 225.46±24.00d | 246.78±16.74c | 266.41±11.64b | 282.91±19.09a |
Mg | 123.77±2.13d2) | 123.99±2.45d | 124.65±3.64d | 249.42±4.80c | 301.77±3.57b | 377.37±1.82a |
Zn | 7.21±0.54d | 8.32±0.42d | 8.65±1.40d | 13.69±0.87c | 17.39±0.74b | 22.73±0.22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d)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아미노산 조성은 Table 6과 같다. 필수아미노산은 대조군에 비해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 발린(696.9±0.01 mg), 루이신(911.1±0.01 mg), 이소루이신(466.8±0.01 mg), 트레오닌(545.3±0.01 mg), 페닐알라닌(490.7±0.01 mg), 메티오닌(175.2±0.01 mg), 리신(672.0±0.01 mg), 아르기닌(600.2±0.01 mg), 히스티딘(317.8±0.01 mg)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Table 6 . Amino acid composition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Variety (mg/100 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Essential amino acid | Valine | 328.3±0.01d1)2) | 366.4±0.01d | 300.0±0.01e | 542.1±0.01c | 564.8±0.01b | 696.9±0.01a |
Leucine | 551.8±0.01d | 570.3±0.01d | 499.7±0.01e | 766.9±0.01c | 797.0±0.01b | 911.1±0.01a | |
Isoleucine | 272.4±0.01d | 299.1±0.01c | 260.9±0.01d | 421.8±0.01b | 400.1±0.01b | 466.8±0.01a | |
Threonine | 284.6±0.01d | 301.0±0.01c | 239.8±0.01d | 405.3±0.01b | 454.0±0.01b | 545.3±0.01a | |
Phenylalanine | 359.4±0.01c | 357.5±0.01c | 341.5±0.01c | 470.3±0.01b | 467.8±0.01b | 490.7±0.01a | |
Methionine | 140.4±0.01c | 144.3±0.01c | 122.3±0.01d | 182.9±0.01a | 168.2±0.01b | 175.2±0.01b | |
Lysine | 337.2±0.01c | 334.7±0.01c | 276.5±0.01d | 516.8±0.01b | 556.9±0.01b | 672.0±0.01a | |
Arginine | 312.0±0.01d | 323.8±0.01d | 270.5±0.01e | 475.0±0.01c | 522.2±0.01b | 600.2±0.01a | |
Histidine | 152.6±0.01d | 152.7±0.01d | 145.4±0.01e | 249.4±0.01c | 265.2±0.01b | 317.8±0.01a | |
Non-essential amino acid | Aspartic acid | 502.2±0.01d | 493.3±0.01e | 433.3±0.01e | 744.3±0.01c | 805.7±0.01b | 916.3±0.01a |
Serine | 478.5±0.01d | 475.0±0.01d | 394.9±0.01e | 587.0±0.01c | 654.5±0.01b | 756.7±0.01a | |
Glutamic acid | 1,747.4±0.01c | 1,751.4±0.01c | 1,668.8±0.01d | 1,962.4±0.01b | 2,028.2±0.01a | 2,058.5±0.01a | |
Proline | 618.0±0.01c | 638.0±0.01c | 589.7±0.01d | 768.2±0.01b | 900.2±0.01a | 905.9±0.01a | |
Glycine | 239.4±0.01d | 243.1±0.01d | 222.6±0.01d | 387.9±0.01c | 420.8±0.01b | 507.0±0.01a | |
Alanine | 303.9±0.01c | 317.0±0.01c | 267.6±0.01d | 520.4±0.01b | 582.9±0.01b | 718.2±0.01a | |
Tyrosine | 167.5±0.01c | 166.1±0.01c | 150.5±0.01d | 302.1±0.01b | 321.9±0.01b | 401.3±0.01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밀웜 분말이 첨가된 머핀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Table 7과 같다.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이 각각 29.69±0.00 <30.64±0.01 <36.83±0.01 < 53.02±0.01 <68.26±0.02 <80.17±0.02 GAE mg/g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Table 7 .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Variables | Total phenolic content (GAE mg/g) | Total flavonoid content (mg CA/g) |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
0 | 29.69±0.00f1)2) | 23.58±0.00d | 14.44±0.95e | 4.05±0.72c |
5 | 30.64±0.01e | 24.58±0.00d | 19.76±1.73d | 2.21±0.25d |
10 | 36.83±0.01d | 28.42±0.00c | 19.90±0.94d | 1.79±0.22e |
15 | 53.02±0.01c | 30.42±0.00c | 40.84±0.72c | 5.09±0.08b |
20 | 68.26±0.02b | 32.08±0.00b | 49.56±1.05b | 5.88±0.19b |
30 | 80.17±0.02a | 39.58±0.00a | 53.29±1.44a | 8.01±0.51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f)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도 대조군, 밀웜 분말 5, 10, 15, 20, 30% 첨가군이 각각 14.44±0.95 <19.76±1.73 <19.90 ±0.94 <40.84±0.72 <49.56±1.05 <53.29±1.44%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는 밀웜을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머핀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여 밀웜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알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밀웜 분말 10% 첨가군부터 머핀의 색상은 갈색으로 변하였으며, 이는 밀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상이 진하게 나타났다. 색도 중 L값과 b값은 낮아지고,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대조군에서 23.33±6.35, 밀웜 분말 5%와 10% 첨가군에서 각각 26.67±4.04, 26.00±4.36을 보였다. 머핀의 밀웜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단백질 함량, 마그네슘 함량, 총 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1 . Muffin recipe with mealworm powder.
Ingredients (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Wheat flour | 32 | 30.4 | 28.8 | 27.2 | 25.6 | 22.4 |
Mealworm powder | 0 | 1.6 | 3.2 | 4.8 | 6.4 | 9.6 |
Egg | 27.4 | 27.4 | 27.4 | 27.4 | 27.4 | 27.4 |
Butter | 21 | 21 | 21 | 21 | 21 | 21 |
Sugar | 19 | 19 | 19 | 19 | 19 | 19 |
Baking powder | 0.5 | 0.5 | 0.5 | 0.5 | 0.5 | 0.5 |
Salt | 0.1 | 0.1 | 0.1 | 0.1 | 0.1 | 0.1 |
Total | 100 |
Table 2 . Color values of muffin added with mealworm powder.
Variables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L | 74.63±0.20a1)2) | 73.83±0.19b | 72.20±0.27c | 60.40±0.78d | 55.00±0.32e | 47.70±0.32f |
a | 2.30±0.06b | 2.10±0.06b | 2.53±0.03b | 4.50±0.06a | 4.37±0.07a | 4.07±0.26a |
b | 33.13±0.52a | 30.27±0.34b | 29.17±0.15c | 21.90±0.10d | 20.10±0.12e | 18.10±0.48f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f)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Table 3 . Weight, height, volume, baking loss rate, dough yield, specific gravity, and hardness of muffins made with mealworm powder.
Mealworm powder content (%) | ||||||
---|---|---|---|---|---|---|
0 | 5 | 10 | 15 | 20 | 30 | |
Weight (g) | 46.30±0.61a1) | 45.93±2.41a | 46.37±1.95a | 46.00±1.05a | 47.30±0.98a | 47.80±1.99a |
Height (cm) | 4.67±0.15b2) | 4.73±0.25b | 4.97±0.25b | 4.80±0.10b | 5.13±0.15a | 5.47±0.25a |
Baking loss rate | 7.21±0.80b | 7.57±0.33b | 8.07±0.34a | 8.49±0.70a | 8.57±0.65a | 8.79±0.51a |
Dough yield | 92.79±0.80a | 92.43±0.33a | 91.93±0.33b | 91.51±0.70b | 91.43±0.65b | 91.21±0.51b |
Specific gravity | 1.66±0.01a | 1.64±0.01a | 1.63±0.00a | 1.64±0.01a | 1.63±0.00a | 1.62±0.00a |
Hardness | 23.33±6.35b | 26.67±4.04a | 14.33±0.58c | 26.00±4.36a | 11.33±0.58d | 9.33±5.03e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Table 4 . Proximate composition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Composition (%)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Moisture | 17.88±0.06a1) | 18.76±0.05a | 15.55±0.02a | 18.23±0.01a | 17.16±0.02a | 17.14±0.06a |
Crude ash | 0.53±0.02c2) | 0.44±0.01d | 0.51±0.09c | 0.77±0.05b | 0.76±0.02b | 1.20±0.03a |
Crude protein | 8.10±0.17e | 8.70±0.18e | 11.05±0.53d | 12.49±0.69c | 13.80±0.51b | 17.60±0.53a |
Crude fat | 22.76±0.09a | 21.59±1.26a | 22.59±0.19a | 21.73±0.84a | 23.72±0.17a | 23.99±0.54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Table 5 . Mineral content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Measurement (m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Ca | 287.67±23.33a1) | 260.13±13.32b | 225.46±24.00d | 246.78±16.74c | 266.41±11.64b | 282.91±19.09a |
Mg | 123.77±2.13d2) | 123.99±2.45d | 124.65±3.64d | 249.42±4.80c | 301.77±3.57b | 377.37±1.82a |
Zn | 7.21±0.54d | 8.32±0.42d | 8.65±1.40d | 13.69±0.87c | 17.39±0.74b | 22.73±0.22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d)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Table 6 . Amino acid composition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Variety (mg/100 g) | Mealworm powder (%) | ||||||
---|---|---|---|---|---|---|---|
0 | 5 | 10 | 15 | 20 | 30 | ||
Essential amino acid | Valine | 328.3±0.01d1)2) | 366.4±0.01d | 300.0±0.01e | 542.1±0.01c | 564.8±0.01b | 696.9±0.01a |
Leucine | 551.8±0.01d | 570.3±0.01d | 499.7±0.01e | 766.9±0.01c | 797.0±0.01b | 911.1±0.01a | |
Isoleucine | 272.4±0.01d | 299.1±0.01c | 260.9±0.01d | 421.8±0.01b | 400.1±0.01b | 466.8±0.01a | |
Threonine | 284.6±0.01d | 301.0±0.01c | 239.8±0.01d | 405.3±0.01b | 454.0±0.01b | 545.3±0.01a | |
Phenylalanine | 359.4±0.01c | 357.5±0.01c | 341.5±0.01c | 470.3±0.01b | 467.8±0.01b | 490.7±0.01a | |
Methionine | 140.4±0.01c | 144.3±0.01c | 122.3±0.01d | 182.9±0.01a | 168.2±0.01b | 175.2±0.01b | |
Lysine | 337.2±0.01c | 334.7±0.01c | 276.5±0.01d | 516.8±0.01b | 556.9±0.01b | 672.0±0.01a | |
Arginine | 312.0±0.01d | 323.8±0.01d | 270.5±0.01e | 475.0±0.01c | 522.2±0.01b | 600.2±0.01a | |
Histidine | 152.6±0.01d | 152.7±0.01d | 145.4±0.01e | 249.4±0.01c | 265.2±0.01b | 317.8±0.01a | |
Non-essential amino acid | Aspartic acid | 502.2±0.01d | 493.3±0.01e | 433.3±0.01e | 744.3±0.01c | 805.7±0.01b | 916.3±0.01a |
Serine | 478.5±0.01d | 475.0±0.01d | 394.9±0.01e | 587.0±0.01c | 654.5±0.01b | 756.7±0.01a | |
Glutamic acid | 1,747.4±0.01c | 1,751.4±0.01c | 1,668.8±0.01d | 1,962.4±0.01b | 2,028.2±0.01a | 2,058.5±0.01a | |
Proline | 618.0±0.01c | 638.0±0.01c | 589.7±0.01d | 768.2±0.01b | 900.2±0.01a | 905.9±0.01a | |
Glycine | 239.4±0.01d | 243.1±0.01d | 222.6±0.01d | 387.9±0.01c | 420.8±0.01b | 507.0±0.01a | |
Alanine | 303.9±0.01c | 317.0±0.01c | 267.6±0.01d | 520.4±0.01b | 582.9±0.01b | 718.2±0.01a | |
Tyrosine | 167.5±0.01c | 166.1±0.01c | 150.5±0.01d | 302.1±0.01b | 321.9±0.01b | 401.3±0.01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e)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Table 7 .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ffin with mealworm powder.
Variables | Total phenolic content (GAE mg/g) | Total flavonoid content (mg CA/g) |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
0 | 29.69±0.00f1)2) | 23.58±0.00d | 14.44±0.95e | 4.05±0.72c |
5 | 30.64±0.01e | 24.58±0.00d | 19.76±1.73d | 2.21±0.25d |
10 | 36.83±0.01d | 28.42±0.00c | 19.90±0.94d | 1.79±0.22e |
15 | 53.02±0.01c | 30.42±0.00c | 40.84±0.72c | 5.09±0.08b |
20 | 68.26±0.02b | 32.08±0.00b | 49.56±1.05b | 5.88±0.19b |
30 | 80.17±0.02a | 39.58±0.00a | 53.29±1.44a | 8.01±0.51a |
1)Mean±SD..
2)Different superscripts (a-f)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