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4): 341-349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4.34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Jeong Hwang1 , Soon-Hee Park2, Seon-Young Park3, Soo-Rin Ahn3, Su-Jin Park3, Yoo-Jin Lee3 , Kwang-Jin Chon4, Chung-Hwa Song4, Dae-Gyun Moon4, and Kyung-Ok Shin1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Sahmyook University
2Department of Endocrinology, Sahmyook Medical Center
4Sahmyook Foods
Correspondence to:Kyung-Ok Sh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hmyook University, 815, Hwarang-ro, Nowon-gu, Seoul 01795, Korea, E-mail: skorose@sy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valuate the health improvement efficacy of Sahmyook Care (diabetic control diet) vegetable soymilk intake in elderly diabetic women.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by enrolling 18 elderly diabetic women aged 65 to 80 years, after obtaining their informed consent.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sume a diet containing soy milk developed by Sahmyook Food for diabetes management for 4 weeks. The average BMI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diabetic control diet intake were 18.88±1.16 kg/m2 and 20.74±1.06 kg/m2, respectively. Eating habits after consuming the diabetes control diet, showed an increase in the ratio of not adding salt or soy sauce to food and regularly eating three meals a day. Energy intake, protein, fat, vitamin B6, vitamin B12, folic acid, calcium, iron, selenium, phosphorus, and dietary fiber intakes were also increased after partaking in the diabetes control diet (
Keywords: diabetes, soymilk, BMI, nutrients, blood level
생활환경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는 만성 퇴행성질환의 발병을 증가시켰으며, 이 중 당뇨병은 우리나라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Lim 등, 2005). 국제당뇨병연맹의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제2형 성인 당뇨병 환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4억 6천 300만 명으로 질환자 수가 지속해서 급증하고 있다(Rhee, 2020; Yoon과 Pyo, 2022). 또한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행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0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에서 당뇨병 유병률은 13.8%로 당뇨병 환자 수는 494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하였다(Jung 등, 2021; Lee와 Park, 2022).
당뇨병 환자의 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비만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슐린 저항성이 특징적이다(Zheng 등, 2018). 당뇨병 중 제2형 당뇨병은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여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감염, 수술, 유전자 결함 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비만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oh와 Pyo, 2021).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은 포도당 흡수 및 대사장애를 유발하여 혈당 상승,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유도한다. 당뇨병은 인슐린 민감도를 감소시켜 포도당의 조직 흡수를 방해하고 배설을 촉진한다. 이러한 당뇨병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서 식후 체내 포도당을 빠르게 흡수하여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Lee 등, 2020). 비만으로 인한 체내 유리지방산 증가는 인슐린 신호전달경로를 손상해 인슐린 수용체의 민감성을 낮추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다. 즉, 인슐린 수용체 기질에 의해 PI3K와 Akt가 차례로 인산화되어 GLUT4의 세포막 이동 후 포도당의 흡수가 촉진되는 인슐린 의존성 경로(Mokashi 등, 2017)와 GLUT4의 증가에 직접 관여하는 AMPK의 인슐린 비의존성 경로가 알려져 있다(Li 등, 2013; Yoon과 Pyo, 2022). 현재 당뇨병과 비만의 약물치료로 α-amylase와 α-glucosidase의 저해물질인 acarbose, voglibose 및 miglitol 등의 당뇨 치료제와 orlistat 등의 비만 치료제가 판매되고 있으나, 복용에 따른 구토, 복부 팽만감, 설사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왔다(Dileep 등, 2018; Kim 등, 2006; Mooradian과 Thurman, 1999; Noh와 Pyo, 2021).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당 분해 저해 활성을 갖는 천연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당뇨병 환자들은 다음, 다식, 다뇨 등의 기초 반응으로 시작하여 실명, 신장장애, 말초신경장애까지 다양한 형태의 신체 반응이 일어나므로 건강을 회복하는 데 있어 당뇨병에 맞춤 식사를 섭취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최근 제2형 당뇨병을 억제하는 천연소재 발굴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곡류 및 두류는 부작용이 거의 없고(Kushi 등, 1999; Lee 등, 2020; Wang 등, 2010; Yoon과 Pyo, 2022) 항산화 작용, 항균 작용 및 항암 작용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새로운 기능성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Lee와 Park, 2022; Luca 등, 2020). 특히 두유의 주성분인 대두(soybean,
최근 두유의 품질향상을 위해 검은콩, 메밀 싹, 고구마, 호박, 머루, 검은깨, 인삼 및 견과류 등의 기능성 추출물을 첨가하는 기능성 두유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Kim 등, 2014; Lee 등, 2013; Yang과 Zhang, 2009). 삼육식품에서 개발한 당뇨관리식 두유는 원액 두유와 검정깨페이스트를 활용하여 제조되었고 1팩당 200 kcal 중 당 함량은 2%이며, 삼투질 농도(280 mOsm/kg H2O)와 열량 구성비(단백질:지방:탄수화물=16:40:44)를 결정하여 당뇨환자들의 간식 대용으로 개발되었다. 약물치료로 인한 부작용으로 식품소재를 이용한 당뇨병 연구가 실시되고 있는데, 식이 제한 급여의 혈청 지질 감소 효과(Lee 등, 2001), 발효된 차가버섯의 항당뇨 효과(Cha 등, 2006),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혈당상승 억제(Lee 등, 2007b) 등 동물실험의 비중이 크며,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삼육식품에서 개발한 당뇨관리식 두유를 선택하여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들 동의하에 간식 대체용 환자용 두유를 섭취시켜 균형적인 영양공급에 도움을 주고자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산출 근거 및 모집
본 연구는 삼육서울병원을 내원 및 입원한 환자를 중심으로 수행되었고, 연구목적에 맞는 피로감, 다식, 다음, 다뇨, 상처치유 지연 및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경우의 당뇨병 임상 증상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했으며, 질환에 따른 차이, 투약 약물에 대한 차이를 인정하기 위해 삼육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과장과 논의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65~80세를 대상으로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삼육서울병원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식품 섭취를 통한 유지 및 개선 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중도 탈락률을 고려했으며, 통계적 수치를 계산하기 위해 표본 크기를 18명 내외로 선정하였다(Fig. 1). 삼육서울병원 내분비내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게시판에 연구 모집 문건을 게재한 후, 연구 모집공고문을 읽고 연구에 참여 의사를 표시한 환자에 대해 연구설명서와 동의서를 배포하였다. 담당의사 상담을 통해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대상자 스스로 판단하여 연구 참여 의사를 결정하게 하였다. 연구설명서와 동의서를 받은 대상자는 서면으로 작성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담당 연구원 또는 전담간호사에게 제출한 경우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았다.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두유 과잉 섭취 시 복통, 구토 등에 대한 소화기계 질환의 발생에 대한 부작용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탈락 상황 등에 대한 예측 부작용 및 주의사항과 조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삼육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 SYU 2021-12-006-002, 삼육서울병원 116286-202204-HR(BR)-02).
두유의 원재료 및 섭취 방법
본 연구에서 선택한 당뇨관리식 두유는 삼육식품에서 개발하여 현재 시판 중인 두유를 선택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 구성 재료와 영양 정보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 Diabetes management soymilk nutrition facts
Per pack (200 kcal) | Ratio of daily nutrient content to standard value (%) |
---|---|
Na 160 mg | 8 |
Carbohydrates 23 g | 7 |
Fiber 2 g | 8 |
Sugar 2 g | 2 |
Fat 9 g | 17 |
Trans fat 0 g | |
Saturated fat 1.3 g | 9 |
Cholesterol 0 mg | 0 |
protein 8 g | 15 |
Vitamin A 150 µg RE | 21 |
Vitamin B1 0.3 mg | 25 |
Vitamin B2 0.3 mg | 21 |
Vitamin B6 0.3 mg | 20 |
Vitamin B12 0.48 µg | 20 |
Vitamin C 28 mg | 28 |
Vitamin D3 2 µg | 20 |
Vitamin E 2.2 mg α-TE | 20 |
Vitamin K1 15 µg | 21 |
Folic acid 80 µg | 20 |
Niacin 3.2 mg NE | 21 |
Biotin 6 µg | 20 |
Zn 2.4 mg | 28 |
Fe 2.4 mg | 20 |
K 120 mg | 3 |
Ca 160 mg | 23 |
Cu 0.16 mg | 20 |
Pantothenic acid 1 mg | 20 |
Mg 30 mg | 10 |
P 100 mg | 14 |
실험대상자에게 4주간 지속해서 당뇨관리식 두유를 음용하게 하였다. 음용 전후의 차이를 각각 신체계측, 식생활평가 조사,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및 혈액 분석을 실시하고 총 2회 비교 데이터를 통해 통계분석을 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환자의 모니터링 방법은 스마트 앱을 사용하여 매주 식생활 조사를 실시했으며, 환자와 수시로 전화 상담을 통해 임상시험의 진행 상황을 체크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의 섭취 방법은 다른 간식의 섭취를 피하고, 당뇨관리식 두유를 간식으로 하루에 2~3팩씩 섭취하게 하였다.
신체계측 비교
조사대상자의 비만도 측정을 위해 임피던스 원리를 이용한 체지방 측정기인 (주)바이오스페이스의 Inbody 4.0(Bioimpedence method)을 사용하여 신장(height), 체중(weight),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측정하였다. 혈압 측정은 인바디 병원용 혈압계(BPBIO 320 series, Inbod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생활평가 조사
식생활을 진단하기 위해 10문항으로 구성된 식생활평가(Kim 등, 2003)를 이용하여 식생활을 간단하게 평가하였다. 설문 문항의 항목으로는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 등)을 매일 1병 이상 마신다’,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 등으로 된 음식을 끼니마다 먹는다’,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할 때마다 먹는다’, ‘과일(1개)이나 과일주스(1잔)를 매일 먹는다’,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를 주 2회 이상 먹는다’, ‘지방이 많은 육류(삼겹살, 갈비, 장어 등)를 주 2회 이상 먹는다’,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을 때가 많다’, ‘식사는 매일 세끼를 규칙적으로 한다’, ‘아이스크림, 케이크, 과자류,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등)를 간식으로 주 2회 이상 먹는다’ 및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편이다(편식을 하지 않는다)’ 등이었다.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했으며, 조사된 식이섭취 자료는 한국영양학회에서 개발한 Can-pro(Computerized Nutrient Analysis Program) version 4.0(2011)으로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는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MOHW와 KNS, 2020)에 나와 있는 남자와 여자 65~79세의 영양섭취기준 중 식사섭취 평가 시 활용되는 열량 필요추정량, 권장섭취량(recommended intake; RI) 및 충분섭취량(adequate intake; AI)과 비교하였다.
혈액 분석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얻은 16명의 혈액을 의사의 주관하에 간호사가 직접 채취했으며, 시료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기본 혈액 분석: 채취한 혈액 중 혈액의 일반성분 분석을 위해 약 2 mL EDTA-2K가 처리된 병(CBC bottle, 녹십자)에 넣어 응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8자 교반을 했으며, ADVIA 120(Bayer)을 이용하여 백혈구, 적혈구,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평균적혈구용적(mean cell volume), 평균적혈구혈색소량(mean cell hemoglobin),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적혈구분포폭(red cell distribution width), 혈소판, 평균혈소판용적(mean platelet volume), 혈소판용적(plateletcrit) 및 혈소판분포폭(platelet distribution width) 등을 분석하였다.
당뇨 관련 혈액 분석: 혈액을 채취하여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는 Alifax test-1(Alifax S.r.l.), glucose는 ADAMS glucose GA-1171 analyzer(Arkray, Inc.), glycoalbumin Hitachi 7600(Hitachi Medical Co., Ltd.), HbA1c는 ADAMS A1c HA-8180 analyzer(Arkray, I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질 및 단백질 관련 혈액 분석: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Cho와 Choi(2007)가 제시한 o-phthaldehyde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0.1 mL씩 분취한 후 33% KOH 용액 0.3 mL와 95% 에탄올 3.0 mL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혈청은 15분 동안 60°C 수조에서 가열시킨 후 냉각하였다. 핵산 5.0 mL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증류수 3.0 mL를 가해 1분간 잘 혼합한 다음, 층을 분리하여 1.0 mL의 핵산층을 분취하였다. 핵산층을 질소로 농축 및 건조시키고, o-phthaldehyde 시약 2.0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10분 후 발색시약으로 진한 황산 1.0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했으며, 황산 첨가 후 10~90분에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Human Corp.)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검량선에 따라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정량하였다(Choi 등, 2016). 또한 Kim 등(2009)의 방법을 응용하여 단백질, 알부민, C반응단백질,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 분석은 혈액생화학자동분석기인 Hitachi 7020을 사용하여 동시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과 통계적 방법
환자용 음료의 섭취 전후를 비교하는 연구로 환자들의 식생활평가 조사의 유의성 검증은 χ2-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체계측 조사,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및 혈액 분석은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한 후, paired
신체계측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3.27±2.31세였으며, 신장은 148.70±1.51 cm로 조사되었다.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65~74세)에 제시된 신장 기준치인 여자 152.1 cm와 비교해볼 때,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 신장은 약 3 cm 정도 작았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의 체중을 살펴보면, 당뇨관리식 섭취 전의 체중은 45.19±2.80 kg으로 조사되었으며, 당뇨관리식 섭취 후의 체중은 51.10±2.60 kg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관리식 섭취 후 체중의 변화율을 보면 약 6 kg 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65~74세)에 제시된 체중 기준치(여자 49.7 kg)와 비교해볼 때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경우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약 1 kg 정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들의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BMI는 18.88±1.16 kg/m2와 20.74±1.06 kg/m2로 조사되었다. 이는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에서 제시한 BMI 기준인 21.5 kg/m2의 정상범위 안에 속하였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조사대상자 5명의 BMI 값이 15.87±0.89 kg/m2로 나타나 기준범위인 18.5 kg/m2 미만으로 저체중으로 조사되었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에는 차이가 없었다. 실버타운 형태의 사설 노인복지시설에 입소한 65세 이상 노인 중 체질량지수는 18.5 kg/m2에서 22.9 kg/m2까지가 61.1%로 가장 많았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55.9%를 차지했다고 보고하였는데(Lee 등, 2007a), 이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Hariri 등, 2015)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Table 2 .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iables | Before (n=16) | After (n=16) | |
---|---|---|---|
Age (years) | 73.27±2.312) | ||
Height (cm) | 148.70±1.51 | ||
Weight (kg) | 45.19±2.80 | 51.10±2.60 | 0.4473) |
BMI1) (kg/m2) | 18.88±1.16 | 20.74±1.06 | 0.4473) |
Diastolic blood pressure | 55.67±9.61 | 60.33±10.50 | 0.7413) |
Systolic blood pressure | 119.33±8.39 | 129.33±35.12 | 0.5933) |
1)BMI: body mass index.
2)Mean±SEM.
3)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식생활평가
식생활평가에 대한 조사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 조사대상자들의 식생활평가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당뇨관리식 섭취로 인해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 등)을 매일 1병 이상 섭취하는 비율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12.5%). 당뇨관리식 섭취 후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지 않는다는 비율은 31.3%로 감소했으며(
Table 3 . Mini dietary assessment by healthy eating index
Variables | Before (n=16) | After (n=16) | ||
---|---|---|---|---|
Milk & its products, daily | Very often | 4(25.0)1) | 2(12.5) | 0.3882) |
Sometimes | 7(43.8) | 8(50.0) | ||
Seldom | 5(31.3) | 6(37.5) | ||
Meat, fish, egg, soybean etc, every meal | Very often | 2(12.5) | 2(12.5) | 0.2162) |
Sometimes | 12(75.0) | 12(75.0) | ||
Seldom | 2(12.5) | 2(12.5) | ||
Kimchi, vegetables, every meal | Very often | 6(37.5) | 4(25) | 0.4002) |
Sometimes | 9(56.3) | 10(62.5) | ||
Seldom | 1(6.3) | 2(12.5) | ||
Fruits & other juices, daily | Very often | 3(18.8) | 3(18.8) | 0.0772) |
Sometimes | 6(37.5) | 8(50.0) | ||
Seldom | 7(43.8) | 5(31.3) | ||
Fried foods,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2(12.5) | 1(6.3) | 0.0772) |
Sometimes | 6(37.5) | 8(50.0) | ||
Seldom | 8(50.0) | 7(43.8) | ||
High fat meat,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1(6.3) | 2(12.5) | 0.1222) |
Sometimes | 7(43.8) | 6(37.5) | ||
Seldom | 8(50.0) | 8(50.0) | ||
Add more salt or soy source at meals | Very often | 1(6.3) | 2(12.5) | 0.0463) |
Sometimes | 6(37.5) | 9(56.3) | ||
Seldom | 9(56.3) | 5(31.3) | ||
3 meals a day, regularly | Very often | 9(56.3) | 8(50.0) | 0.0373) |
Sometimes | 5(31.3) | 8(50.0) | ||
Seldom | 2(12.5) | - | ||
Ice cream, cake, cookies, carbonated drinks as snack,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1(6.3) | 1(6.3) | 0.5502) |
Sometimes | 8(50.0) | 9(56.3) | ||
Seldom | 7(43.8) | 6(37.5) | ||
Variety of food (balanced diet) | Very often | 6(37.5) | 5(31.3) | 0.3832) |
Sometimes | 10(62.5) | 10(62.5) | ||
Seldom | - | 1(6.3) |
1)N (%): number of subjects, the relative % of subjects.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 at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량은 Table 4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의 에너지 섭취량은 931.81±116.90 kcal에서 1,366.44±128.52 kcal(
Table 4 . Nutrient intakes calculated by 24-hour recall method
Nutrients1) | Before (n=16) | After (n=16) | |
---|---|---|---|
Energy (kcal) | 931.81±116.902) | 1,366.44±128.52 | 0.0243) |
Carbohydrate (g) | 158.19±21.73 | 186.94±20.97 | 0.2754) |
Protein (g) | 36.17±5.04 | 64.25±7.24 | 0.0123) |
Fat (g) | 18.51±2.41 | 42.88±3.88 | 0.0013) |
Vitamin A (RE) | 577.33±180.46 | 790.58±204.23 | 0.2874) |
Vitamin E (mg) | 9.01±2.18 | 12.96±1.31 | 0.1634) |
Vitamin K (mg) | 200.01±67.98 | 195.19±42.97 | 0.8864) |
Vitamin B1 (mg) | 0.71±0.11 | 0.97±0.11 | 0.1264) |
Vitamin B2 (mg) | 0.63±0.11 | 0.99±0.12 | 0.1164) |
Vitamin B6 (mg) | 0.96±0.15 | 1.57±0.15 | 0.0193) |
Vitamin B12 (mg) | 4.73±1.93 | 17.15±2.97 | 0.0013) |
Niacin (mg) | 8.31±1.59 | 15.48±2.05 | 0.0323) |
Vitamin C (mg) | 73.68±20.07 | 101.66±20.67 | 0.0754) |
Folic acid (µg) | 394.49±80.85 | 714.25±84.88 | 0.0073) |
Calcium (mg) | 261.82±38.53 | 723.31±181.13 | 0.0373) |
Iron (mg) | 9.03±1.54 | 19.02±2.29 | 0.0053) |
Zinc (mg) | 6.07±1.00 | 9.09±1.39 | 0.1204) |
Magnesium (mg) | 61.06±14.66 | 78.37±25.20 | 0.4934) |
Potassium (mg) | 1,968.65±371.38 | 3,056.01±386.31 | 0.0684) |
Selenium (mg) | 47.81±6.75 | 79.61±9.53 | 0.0103) |
Phosphorus (mg) | 615.64±89.80 | 1,099.70±145.46 | 0.0243) |
Sodium (mg) | 3,392.89±825.68 | 4,423.04±573.52 | 0.2394) |
Fiber (g) | 18.83±4.55 | 31.30±3.68 | 0.0263) |
Cholesterol (mg) | 193.70±71.15 | 204.47±59.82 | 0.8174) |
1)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2)Mean±SEM.
3)Significantly different at
4)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칼슘 섭취량은 261.82± 38.53 mg에서 723.31±181.13 mg으로 2.7배 이상 증가했으며(
기본 혈액 인자
기본 혈액 검사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적혈구 수치는 6.52±0.35(103/μL)에서 8.18±1.13(103/μL)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균혈소판용적은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10.62±0.29(fL)로 증가했는데(
Table 5 . Basic blood tests in the blood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White blood cell (103/µL) | 4.6∼10.2 | 6.52±0.351) | 8.18±1.13 | 0.1143) |
Red blood cell (106/µL) | 4∼5.4 | 3.91±0.11 | 3.83±0.10 | 0.5303) |
Hematocrit (%) | 36∼47 | 35.62±0.73 | 35.45±0.82 | 0.6383) |
Hemoglobin (g/dL) | 12.2∼16 | 11.82±0.29 | 11.80±0.34 | 0.6433) |
Mean cell volume (fL) | 80∼97 | 91.60±1.52 | 92.55±1.35 | 0.8423) |
Mean cell hemoglobin (pg) | 27∼31.2 | 30.40±0.63 | 30.77±0.56 | 0.9393) |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g/dL) | 31.8∼35.4 | 33.15±0.31 | 33.24±0.29 | 0.8883) |
Red cell distribution width (%) | 11.5∼14.8 | 12.98±0.19 | 13.12±0.18 | 0.4863) |
Platelets (103/µL) | 130∼400 | 217.14±18.69 | 221.08±31.07 | 0.5123) |
Mean platelet volume (fL) | 6.5∼12 | 10.37±0.25 | 10.62±0.29 | 0.0372) |
Plateletcrit (g/dL) | 0.06∼0.41 | 0.29±0.06 | 0.23±0.03 | 0.4593) |
Platelet distribution width (fL) | 9.8∼16.2 | 11.64±0.51 | 11.92±0.62 | 0.1493) |
1)Mean±SEM.
2)Significantly different at
3)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평균적혈구용적 수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헤마토크릿 및 헤모글로빈 수치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환자들이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한 후 혈액 내 적혈구분포폭과 평균혈소판용적 수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 당뇨관리식 섭취 후 적혈구 수가 증가하여 적혈구분포폭 수치의 증가를 통해 크기가 다양한 적혈구가 많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평균혈소판용적 수치 증가는 혈소판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 관련 혈액 인자
당뇨 관련 혈액 인자는 Table 6에 제시하였다. ESR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혈중 glucose 수치는 161.43± 24.61mg/dL에서 205.85±36.89 mg/dL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시키기 전후의 HbA1c의 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대상자가 노인 여성으로 이미 신체의 노화 상태가 많이 진행된 상황으로 혈액 정상 수치로 회복이 늦은 것으로 판단되며, 노인들 스스로 두유 섭취 방법을 제대로 실천했는지에 대해 전화 상담 확인 방법만으로는 미흡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당뇨관리식 두유 섭취 기간이 4주로 짧았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가 지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glycoalbumin 수치는 21.10±1.72%에서 23.45±2.22%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6 . Comparison of diabetic factors before and after intake of diabetic soymilk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ESR (mm/h) | 0∼19 | 19.36±5.011) | 18.46±6.29 | 0.7992) |
Glucose (mg/dL) | 70∼110 | 161.43±24.61 | 205.85±36.89 | 0.2872) |
Glycoalbumin (%) | 11.0∼16.0 | 21.10±1.72 | 23.45±2.22 | 0.0343) |
HbA1c (%) | 5.6∼6.4 | 7.54±0.48 | 7.72±0.46 | 0.2322) |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1)Mean±SEM.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ly different at
지질 및 단백질 관련 혈액 인자
지질 및 단백질 관련 혈액 인자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시키기 전과 후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144.00±8.02 mg/dL에서 142.46±7.49 mg/dL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210.30±1.72 mg/dL에서 108.11±0.74 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able 7 . Fat-related components in the blood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Cholesterol (mg/dL) | <200 | 144.00±8.021) | 142.46±7.49 | 0.7922) |
LDL-Cholesterol (mg/dL) | <130 | 210.30±1.72 | 108.11±0.74 | 0.0503) |
Protein (g/dL) | 6.0∼8.3 | 6.50±0.21 | 6.68±0.16 | 0.2462) |
Albumin (g/dL) | 3.3∼5.2 | 4.25±0.08 | 4.18±0.09 | 1.5702) |
CRP (mg/dL) | <0.5 | 0.45±0.23 | 0.54±0.31 | 0.8852) |
BUN (mg/dL) | 4∼23 | 20.03±1.99 | 20.98±1.70 | 0.5592) |
Creatinine (mg/dL) | 0.1∼1.2 | 0.89±0.12 | 0.96±0.11 | 0.3612) |
CRP, C-reactive protein; BUN, blood urea nitrogen.
1)Mean±SEM.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ly different at
본 연구에서는 삼육식품이 당뇨병 조절을 위해 개발한 두유를 당뇨병 환자의 동의하에 섭취시켰으며, 삼육케어(당뇨관리식)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BMI는 18.88±1.16 kg/m2, 20.74±1.06 kg/m2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지 않는다는 비율과 식사는 매일 세끼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지방,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칼슘, 철, 셀레늄, 인 및 식이섬유 섭취가 증가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시키기 전과 후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144.00±8.02 mg/dL에서 142.46±7.49 mg/dL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10.30±1.72 mg/dL에서 8.11±0.74 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결과물은 삼육식품의 지원을 받아 삼육서울병원에서 임상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3; 52(4): 341-349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3746/jkfn.2023.52.4.34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황효정1․박순희2․박선영3․안수린3․박수진3․이유진3․전광진4․송중화4․문대균4․신경옥1
1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삼육서울병원 내분비내과
3삼육대학교 식품생명산업학과, 4삼육식품
Hyo-Jeong Hwang1 , Soon-Hee Park2, Seon-Young Park3, Soo-Rin Ahn3, Su-Jin Park3, Yoo-Jin Lee3 , Kwang-Jin Chon4, Chung-Hwa Song4, Dae-Gyun Moon4, and Kyung-Ok Shin1
1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3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Sahmyook University
2Department of Endocrinology, Sahmyook Medical Center
4Sahmyook Foods
Correspondence to:Kyung-Ok Sh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hmyook University, 815, Hwarang-ro, Nowon-gu, Seoul 01795, Korea, E-mail: skorose@sy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valuate the health improvement efficacy of Sahmyook Care (diabetic control diet) vegetable soymilk intake in elderly diabetic women.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by enrolling 18 elderly diabetic women aged 65 to 80 years, after obtaining their informed consent.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sume a diet containing soy milk developed by Sahmyook Food for diabetes management for 4 weeks. The average BMI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diabetic control diet intake were 18.88±1.16 kg/m2 and 20.74±1.06 kg/m2, respectively. Eating habits after consuming the diabetes control diet, showed an increase in the ratio of not adding salt or soy sauce to food and regularly eating three meals a day. Energy intake, protein, fat, vitamin B6, vitamin B12, folic acid, calcium, iron, selenium, phosphorus, and dietary fiber intakes were also increased after partaking in the diabetes control diet (
Keywords: diabetes, soymilk, BMI, nutrients, blood level
생활환경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는 만성 퇴행성질환의 발병을 증가시켰으며, 이 중 당뇨병은 우리나라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Lim 등, 2005). 국제당뇨병연맹의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제2형 성인 당뇨병 환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4억 6천 300만 명으로 질환자 수가 지속해서 급증하고 있다(Rhee, 2020; Yoon과 Pyo, 2022). 또한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행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0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에서 당뇨병 유병률은 13.8%로 당뇨병 환자 수는 494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하였다(Jung 등, 2021; Lee와 Park, 2022).
당뇨병 환자의 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비만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슐린 저항성이 특징적이다(Zheng 등, 2018). 당뇨병 중 제2형 당뇨병은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여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감염, 수술, 유전자 결함 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비만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oh와 Pyo, 2021).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은 포도당 흡수 및 대사장애를 유발하여 혈당 상승,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유도한다. 당뇨병은 인슐린 민감도를 감소시켜 포도당의 조직 흡수를 방해하고 배설을 촉진한다. 이러한 당뇨병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서 식후 체내 포도당을 빠르게 흡수하여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Lee 등, 2020). 비만으로 인한 체내 유리지방산 증가는 인슐린 신호전달경로를 손상해 인슐린 수용체의 민감성을 낮추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다. 즉, 인슐린 수용체 기질에 의해 PI3K와 Akt가 차례로 인산화되어 GLUT4의 세포막 이동 후 포도당의 흡수가 촉진되는 인슐린 의존성 경로(Mokashi 등, 2017)와 GLUT4의 증가에 직접 관여하는 AMPK의 인슐린 비의존성 경로가 알려져 있다(Li 등, 2013; Yoon과 Pyo, 2022). 현재 당뇨병과 비만의 약물치료로 α-amylase와 α-glucosidase의 저해물질인 acarbose, voglibose 및 miglitol 등의 당뇨 치료제와 orlistat 등의 비만 치료제가 판매되고 있으나, 복용에 따른 구토, 복부 팽만감, 설사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왔다(Dileep 등, 2018; Kim 등, 2006; Mooradian과 Thurman, 1999; Noh와 Pyo, 2021).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당 분해 저해 활성을 갖는 천연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당뇨병 환자들은 다음, 다식, 다뇨 등의 기초 반응으로 시작하여 실명, 신장장애, 말초신경장애까지 다양한 형태의 신체 반응이 일어나므로 건강을 회복하는 데 있어 당뇨병에 맞춤 식사를 섭취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최근 제2형 당뇨병을 억제하는 천연소재 발굴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곡류 및 두류는 부작용이 거의 없고(Kushi 등, 1999; Lee 등, 2020; Wang 등, 2010; Yoon과 Pyo, 2022) 항산화 작용, 항균 작용 및 항암 작용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새로운 기능성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Lee와 Park, 2022; Luca 등, 2020). 특히 두유의 주성분인 대두(soybean,
최근 두유의 품질향상을 위해 검은콩, 메밀 싹, 고구마, 호박, 머루, 검은깨, 인삼 및 견과류 등의 기능성 추출물을 첨가하는 기능성 두유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Kim 등, 2014; Lee 등, 2013; Yang과 Zhang, 2009). 삼육식품에서 개발한 당뇨관리식 두유는 원액 두유와 검정깨페이스트를 활용하여 제조되었고 1팩당 200 kcal 중 당 함량은 2%이며, 삼투질 농도(280 mOsm/kg H2O)와 열량 구성비(단백질:지방:탄수화물=16:40:44)를 결정하여 당뇨환자들의 간식 대용으로 개발되었다. 약물치료로 인한 부작용으로 식품소재를 이용한 당뇨병 연구가 실시되고 있는데, 식이 제한 급여의 혈청 지질 감소 효과(Lee 등, 2001), 발효된 차가버섯의 항당뇨 효과(Cha 등, 2006),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혈당상승 억제(Lee 등, 2007b) 등 동물실험의 비중이 크며,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삼육식품에서 개발한 당뇨관리식 두유를 선택하여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들 동의하에 간식 대체용 환자용 두유를 섭취시켜 균형적인 영양공급에 도움을 주고자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산출 근거 및 모집
본 연구는 삼육서울병원을 내원 및 입원한 환자를 중심으로 수행되었고, 연구목적에 맞는 피로감, 다식, 다음, 다뇨, 상처치유 지연 및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경우의 당뇨병 임상 증상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했으며, 질환에 따른 차이, 투약 약물에 대한 차이를 인정하기 위해 삼육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과장과 논의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65~80세를 대상으로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삼육서울병원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식품 섭취를 통한 유지 및 개선 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중도 탈락률을 고려했으며, 통계적 수치를 계산하기 위해 표본 크기를 18명 내외로 선정하였다(Fig. 1). 삼육서울병원 내분비내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게시판에 연구 모집 문건을 게재한 후, 연구 모집공고문을 읽고 연구에 참여 의사를 표시한 환자에 대해 연구설명서와 동의서를 배포하였다. 담당의사 상담을 통해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대상자 스스로 판단하여 연구 참여 의사를 결정하게 하였다. 연구설명서와 동의서를 받은 대상자는 서면으로 작성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담당 연구원 또는 전담간호사에게 제출한 경우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았다.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두유 과잉 섭취 시 복통, 구토 등에 대한 소화기계 질환의 발생에 대한 부작용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탈락 상황 등에 대한 예측 부작용 및 주의사항과 조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삼육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 SYU 2021-12-006-002, 삼육서울병원 116286-202204-HR(BR)-02).
두유의 원재료 및 섭취 방법
본 연구에서 선택한 당뇨관리식 두유는 삼육식품에서 개발하여 현재 시판 중인 두유를 선택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 구성 재료와 영양 정보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 Diabetes management soymilk nutrition facts.
Per pack (200 kcal) | Ratio of daily nutrient content to standard value (%) |
---|---|
Na 160 mg | 8 |
Carbohydrates 23 g | 7 |
Fiber 2 g | 8 |
Sugar 2 g | 2 |
Fat 9 g | 17 |
Trans fat 0 g | |
Saturated fat 1.3 g | 9 |
Cholesterol 0 mg | 0 |
protein 8 g | 15 |
Vitamin A 150 µg RE | 21 |
Vitamin B1 0.3 mg | 25 |
Vitamin B2 0.3 mg | 21 |
Vitamin B6 0.3 mg | 20 |
Vitamin B12 0.48 µg | 20 |
Vitamin C 28 mg | 28 |
Vitamin D3 2 µg | 20 |
Vitamin E 2.2 mg α-TE | 20 |
Vitamin K1 15 µg | 21 |
Folic acid 80 µg | 20 |
Niacin 3.2 mg NE | 21 |
Biotin 6 µg | 20 |
Zn 2.4 mg | 28 |
Fe 2.4 mg | 20 |
K 120 mg | 3 |
Ca 160 mg | 23 |
Cu 0.16 mg | 20 |
Pantothenic acid 1 mg | 20 |
Mg 30 mg | 10 |
P 100 mg | 14 |
실험대상자에게 4주간 지속해서 당뇨관리식 두유를 음용하게 하였다. 음용 전후의 차이를 각각 신체계측, 식생활평가 조사,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및 혈액 분석을 실시하고 총 2회 비교 데이터를 통해 통계분석을 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환자의 모니터링 방법은 스마트 앱을 사용하여 매주 식생활 조사를 실시했으며, 환자와 수시로 전화 상담을 통해 임상시험의 진행 상황을 체크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의 섭취 방법은 다른 간식의 섭취를 피하고, 당뇨관리식 두유를 간식으로 하루에 2~3팩씩 섭취하게 하였다.
신체계측 비교
조사대상자의 비만도 측정을 위해 임피던스 원리를 이용한 체지방 측정기인 (주)바이오스페이스의 Inbody 4.0(Bioimpedence method)을 사용하여 신장(height), 체중(weight),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측정하였다. 혈압 측정은 인바디 병원용 혈압계(BPBIO 320 series, Inbod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생활평가 조사
식생활을 진단하기 위해 10문항으로 구성된 식생활평가(Kim 등, 2003)를 이용하여 식생활을 간단하게 평가하였다. 설문 문항의 항목으로는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 등)을 매일 1병 이상 마신다’,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 등으로 된 음식을 끼니마다 먹는다’,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할 때마다 먹는다’, ‘과일(1개)이나 과일주스(1잔)를 매일 먹는다’,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를 주 2회 이상 먹는다’, ‘지방이 많은 육류(삼겹살, 갈비, 장어 등)를 주 2회 이상 먹는다’,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을 때가 많다’, ‘식사는 매일 세끼를 규칙적으로 한다’, ‘아이스크림, 케이크, 과자류,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등)를 간식으로 주 2회 이상 먹는다’ 및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편이다(편식을 하지 않는다)’ 등이었다.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했으며, 조사된 식이섭취 자료는 한국영양학회에서 개발한 Can-pro(Computerized Nutrient Analysis Program) version 4.0(2011)으로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는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MOHW와 KNS, 2020)에 나와 있는 남자와 여자 65~79세의 영양섭취기준 중 식사섭취 평가 시 활용되는 열량 필요추정량, 권장섭취량(recommended intake; RI) 및 충분섭취량(adequate intake; AI)과 비교하였다.
혈액 분석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얻은 16명의 혈액을 의사의 주관하에 간호사가 직접 채취했으며, 시료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기본 혈액 분석: 채취한 혈액 중 혈액의 일반성분 분석을 위해 약 2 mL EDTA-2K가 처리된 병(CBC bottle, 녹십자)에 넣어 응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8자 교반을 했으며, ADVIA 120(Bayer)을 이용하여 백혈구, 적혈구,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평균적혈구용적(mean cell volume), 평균적혈구혈색소량(mean cell hemoglobin),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적혈구분포폭(red cell distribution width), 혈소판, 평균혈소판용적(mean platelet volume), 혈소판용적(plateletcrit) 및 혈소판분포폭(platelet distribution width) 등을 분석하였다.
당뇨 관련 혈액 분석: 혈액을 채취하여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는 Alifax test-1(Alifax S.r.l.), glucose는 ADAMS glucose GA-1171 analyzer(Arkray, Inc.), glycoalbumin Hitachi 7600(Hitachi Medical Co., Ltd.), HbA1c는 ADAMS A1c HA-8180 analyzer(Arkray, I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질 및 단백질 관련 혈액 분석: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Cho와 Choi(2007)가 제시한 o-phthaldehyde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0.1 mL씩 분취한 후 33% KOH 용액 0.3 mL와 95% 에탄올 3.0 mL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혈청은 15분 동안 60°C 수조에서 가열시킨 후 냉각하였다. 핵산 5.0 mL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증류수 3.0 mL를 가해 1분간 잘 혼합한 다음, 층을 분리하여 1.0 mL의 핵산층을 분취하였다. 핵산층을 질소로 농축 및 건조시키고, o-phthaldehyde 시약 2.0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10분 후 발색시약으로 진한 황산 1.0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했으며, 황산 첨가 후 10~90분에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Human Corp.)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검량선에 따라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정량하였다(Choi 등, 2016). 또한 Kim 등(2009)의 방법을 응용하여 단백질, 알부민, C반응단백질, 혈액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 분석은 혈액생화학자동분석기인 Hitachi 7020을 사용하여 동시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과 통계적 방법
환자용 음료의 섭취 전후를 비교하는 연구로 환자들의 식생활평가 조사의 유의성 검증은 χ2-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체계측 조사,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및 혈액 분석은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한 후, paired
신체계측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3.27±2.31세였으며, 신장은 148.70±1.51 cm로 조사되었다.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65~74세)에 제시된 신장 기준치인 여자 152.1 cm와 비교해볼 때,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 신장은 약 3 cm 정도 작았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의 체중을 살펴보면, 당뇨관리식 섭취 전의 체중은 45.19±2.80 kg으로 조사되었으며, 당뇨관리식 섭취 후의 체중은 51.10±2.60 kg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관리식 섭취 후 체중의 변화율을 보면 약 6 kg 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65~74세)에 제시된 체중 기준치(여자 49.7 kg)와 비교해볼 때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경우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약 1 kg 정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들의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BMI는 18.88±1.16 kg/m2와 20.74±1.06 kg/m2로 조사되었다. 이는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에서 제시한 BMI 기준인 21.5 kg/m2의 정상범위 안에 속하였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조사대상자 5명의 BMI 값이 15.87±0.89 kg/m2로 나타나 기준범위인 18.5 kg/m2 미만으로 저체중으로 조사되었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에는 차이가 없었다. 실버타운 형태의 사설 노인복지시설에 입소한 65세 이상 노인 중 체질량지수는 18.5 kg/m2에서 22.9 kg/m2까지가 61.1%로 가장 많았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55.9%를 차지했다고 보고하였는데(Lee 등, 2007a), 이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Hariri 등, 2015)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Table 2 .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iables | Before (n=16) | After (n=16) | |
---|---|---|---|
Age (years) | 73.27±2.312) | ||
Height (cm) | 148.70±1.51 | ||
Weight (kg) | 45.19±2.80 | 51.10±2.60 | 0.4473) |
BMI1) (kg/m2) | 18.88±1.16 | 20.74±1.06 | 0.4473) |
Diastolic blood pressure | 55.67±9.61 | 60.33±10.50 | 0.7413) |
Systolic blood pressure | 119.33±8.39 | 129.33±35.12 | 0.5933) |
1)BMI: body mass index..
2)Mean±SEM..
3)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식생활평가
식생활평가에 대한 조사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 조사대상자들의 식생활평가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당뇨관리식 섭취로 인해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 등)을 매일 1병 이상 섭취하는 비율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12.5%). 당뇨관리식 섭취 후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지 않는다는 비율은 31.3%로 감소했으며(
Table 3 . Mini dietary assessment by healthy eating index.
Variables | Before (n=16) | After (n=16) | ||
---|---|---|---|---|
Milk & its products, daily | Very often | 4(25.0)1) | 2(12.5) | 0.3882) |
Sometimes | 7(43.8) | 8(50.0) | ||
Seldom | 5(31.3) | 6(37.5) | ||
Meat, fish, egg, soybean etc, every meal | Very often | 2(12.5) | 2(12.5) | 0.2162) |
Sometimes | 12(75.0) | 12(75.0) | ||
Seldom | 2(12.5) | 2(12.5) | ||
Kimchi, vegetables, every meal | Very often | 6(37.5) | 4(25) | 0.4002) |
Sometimes | 9(56.3) | 10(62.5) | ||
Seldom | 1(6.3) | 2(12.5) | ||
Fruits & other juices, daily | Very often | 3(18.8) | 3(18.8) | 0.0772) |
Sometimes | 6(37.5) | 8(50.0) | ||
Seldom | 7(43.8) | 5(31.3) | ||
Fried foods,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2(12.5) | 1(6.3) | 0.0772) |
Sometimes | 6(37.5) | 8(50.0) | ||
Seldom | 8(50.0) | 7(43.8) | ||
High fat meat,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1(6.3) | 2(12.5) | 0.1222) |
Sometimes | 7(43.8) | 6(37.5) | ||
Seldom | 8(50.0) | 8(50.0) | ||
Add more salt or soy source at meals | Very often | 1(6.3) | 2(12.5) | 0.0463) |
Sometimes | 6(37.5) | 9(56.3) | ||
Seldom | 9(56.3) | 5(31.3) | ||
3 meals a day, regularly | Very often | 9(56.3) | 8(50.0) | 0.0373) |
Sometimes | 5(31.3) | 8(50.0) | ||
Seldom | 2(12.5) | - | ||
Ice cream, cake, cookies, carbonated drinks as snack,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1(6.3) | 1(6.3) | 0.5502) |
Sometimes | 8(50.0) | 9(56.3) | ||
Seldom | 7(43.8) | 6(37.5) | ||
Variety of food (balanced diet) | Very often | 6(37.5) | 5(31.3) | 0.3832) |
Sometimes | 10(62.5) | 10(62.5) | ||
Seldom | - | 1(6.3) |
1)N (%): number of subjects, the relative % of subjects..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 at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량은 Table 4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후의 에너지 섭취량은 931.81±116.90 kcal에서 1,366.44±128.52 kcal(
Table 4 . Nutrient intakes calculated by 24-hour recall method.
Nutrients1) | Before (n=16) | After (n=16) | |
---|---|---|---|
Energy (kcal) | 931.81±116.902) | 1,366.44±128.52 | 0.0243) |
Carbohydrate (g) | 158.19±21.73 | 186.94±20.97 | 0.2754) |
Protein (g) | 36.17±5.04 | 64.25±7.24 | 0.0123) |
Fat (g) | 18.51±2.41 | 42.88±3.88 | 0.0013) |
Vitamin A (RE) | 577.33±180.46 | 790.58±204.23 | 0.2874) |
Vitamin E (mg) | 9.01±2.18 | 12.96±1.31 | 0.1634) |
Vitamin K (mg) | 200.01±67.98 | 195.19±42.97 | 0.8864) |
Vitamin B1 (mg) | 0.71±0.11 | 0.97±0.11 | 0.1264) |
Vitamin B2 (mg) | 0.63±0.11 | 0.99±0.12 | 0.1164) |
Vitamin B6 (mg) | 0.96±0.15 | 1.57±0.15 | 0.0193) |
Vitamin B12 (mg) | 4.73±1.93 | 17.15±2.97 | 0.0013) |
Niacin (mg) | 8.31±1.59 | 15.48±2.05 | 0.0323) |
Vitamin C (mg) | 73.68±20.07 | 101.66±20.67 | 0.0754) |
Folic acid (µg) | 394.49±80.85 | 714.25±84.88 | 0.0073) |
Calcium (mg) | 261.82±38.53 | 723.31±181.13 | 0.0373) |
Iron (mg) | 9.03±1.54 | 19.02±2.29 | 0.0053) |
Zinc (mg) | 6.07±1.00 | 9.09±1.39 | 0.1204) |
Magnesium (mg) | 61.06±14.66 | 78.37±25.20 | 0.4934) |
Potassium (mg) | 1,968.65±371.38 | 3,056.01±386.31 | 0.0684) |
Selenium (mg) | 47.81±6.75 | 79.61±9.53 | 0.0103) |
Phosphorus (mg) | 615.64±89.80 | 1,099.70±145.46 | 0.0243) |
Sodium (mg) | 3,392.89±825.68 | 4,423.04±573.52 | 0.2394) |
Fiber (g) | 18.83±4.55 | 31.30±3.68 | 0.0263) |
Cholesterol (mg) | 193.70±71.15 | 204.47±59.82 | 0.8174) |
1)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2)Mean±SEM..
3)Significantly different at
4)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칼슘 섭취량은 261.82± 38.53 mg에서 723.31±181.13 mg으로 2.7배 이상 증가했으며(
기본 혈액 인자
기본 혈액 검사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적혈구 수치는 6.52±0.35(103/μL)에서 8.18±1.13(103/μL)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균혈소판용적은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10.62±0.29(fL)로 증가했는데(
Table 5 . Basic blood tests in the blood.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White blood cell (103/µL) | 4.6∼10.2 | 6.52±0.351) | 8.18±1.13 | 0.1143) |
Red blood cell (106/µL) | 4∼5.4 | 3.91±0.11 | 3.83±0.10 | 0.5303) |
Hematocrit (%) | 36∼47 | 35.62±0.73 | 35.45±0.82 | 0.6383) |
Hemoglobin (g/dL) | 12.2∼16 | 11.82±0.29 | 11.80±0.34 | 0.6433) |
Mean cell volume (fL) | 80∼97 | 91.60±1.52 | 92.55±1.35 | 0.8423) |
Mean cell hemoglobin (pg) | 27∼31.2 | 30.40±0.63 | 30.77±0.56 | 0.9393) |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g/dL) | 31.8∼35.4 | 33.15±0.31 | 33.24±0.29 | 0.8883) |
Red cell distribution width (%) | 11.5∼14.8 | 12.98±0.19 | 13.12±0.18 | 0.4863) |
Platelets (103/µL) | 130∼400 | 217.14±18.69 | 221.08±31.07 | 0.5123) |
Mean platelet volume (fL) | 6.5∼12 | 10.37±0.25 | 10.62±0.29 | 0.0372) |
Plateletcrit (g/dL) | 0.06∼0.41 | 0.29±0.06 | 0.23±0.03 | 0.4593) |
Platelet distribution width (fL) | 9.8∼16.2 | 11.64±0.51 | 11.92±0.62 | 0.1493) |
1)Mean±SEM..
2)Significantly different at
3)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평균적혈구용적 수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헤마토크릿 및 헤모글로빈 수치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환자들이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한 후 혈액 내 적혈구분포폭과 평균혈소판용적 수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 당뇨관리식 섭취 후 적혈구 수가 증가하여 적혈구분포폭 수치의 증가를 통해 크기가 다양한 적혈구가 많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평균혈소판용적 수치 증가는 혈소판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 관련 혈액 인자
당뇨 관련 혈액 인자는 Table 6에 제시하였다. ESR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혈중 glucose 수치는 161.43± 24.61mg/dL에서 205.85±36.89 mg/dL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시키기 전후의 HbA1c의 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대상자가 노인 여성으로 이미 신체의 노화 상태가 많이 진행된 상황으로 혈액 정상 수치로 회복이 늦은 것으로 판단되며, 노인들 스스로 두유 섭취 방법을 제대로 실천했는지에 대해 전화 상담 확인 방법만으로는 미흡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당뇨관리식 두유 섭취 기간이 4주로 짧았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가 지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glycoalbumin 수치는 21.10±1.72%에서 23.45±2.22%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6 . Comparison of diabetic factors before and after intake of diabetic soymilk.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ESR (mm/h) | 0∼19 | 19.36±5.011) | 18.46±6.29 | 0.7992) |
Glucose (mg/dL) | 70∼110 | 161.43±24.61 | 205.85±36.89 | 0.2872) |
Glycoalbumin (%) | 11.0∼16.0 | 21.10±1.72 | 23.45±2.22 | 0.0343) |
HbA1c (%) | 5.6∼6.4 | 7.54±0.48 | 7.72±0.46 | 0.2322) |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1)Mean±SEM..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ly different at
지질 및 단백질 관련 혈액 인자
지질 및 단백질 관련 혈액 인자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시키기 전과 후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144.00±8.02 mg/dL에서 142.46±7.49 mg/dL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210.30±1.72 mg/dL에서 108.11±0.74 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able 7 . Fat-related components in the blood.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Cholesterol (mg/dL) | <200 | 144.00±8.021) | 142.46±7.49 | 0.7922) |
LDL-Cholesterol (mg/dL) | <130 | 210.30±1.72 | 108.11±0.74 | 0.0503) |
Protein (g/dL) | 6.0∼8.3 | 6.50±0.21 | 6.68±0.16 | 0.2462) |
Albumin (g/dL) | 3.3∼5.2 | 4.25±0.08 | 4.18±0.09 | 1.5702) |
CRP (mg/dL) | <0.5 | 0.45±0.23 | 0.54±0.31 | 0.8852) |
BUN (mg/dL) | 4∼23 | 20.03±1.99 | 20.98±1.70 | 0.5592) |
Creatinine (mg/dL) | 0.1∼1.2 | 0.89±0.12 | 0.96±0.11 | 0.3612) |
CRP, C-reactive protein; BUN, blood urea nitrogen..
1)Mean±SEM..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ly different at
본 연구에서는 삼육식품이 당뇨병 조절을 위해 개발한 두유를 당뇨병 환자의 동의하에 섭취시켰으며, 삼육케어(당뇨관리식)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전과 후의 BMI는 18.88±1.16 kg/m2, 20.74±1.06 kg/m2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지 않는다는 비율과 식사는 매일 세끼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당뇨관리식 섭취 후에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지방,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칼슘, 철, 셀레늄, 인 및 식이섬유 섭취가 증가하였다. 당뇨관리식 두유를 섭취시키기 전과 후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144.00±8.02 mg/dL에서 142.46±7.49 mg/dL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10.30±1.72 mg/dL에서 8.11±0.74 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결과물은 삼육식품의 지원을 받아 삼육서울병원에서 임상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Table 1 . Diabetes management soymilk nutrition facts.
Per pack (200 kcal) | Ratio of daily nutrient content to standard value (%) |
---|---|
Na 160 mg | 8 |
Carbohydrates 23 g | 7 |
Fiber 2 g | 8 |
Sugar 2 g | 2 |
Fat 9 g | 17 |
Trans fat 0 g | |
Saturated fat 1.3 g | 9 |
Cholesterol 0 mg | 0 |
protein 8 g | 15 |
Vitamin A 150 µg RE | 21 |
Vitamin B1 0.3 mg | 25 |
Vitamin B2 0.3 mg | 21 |
Vitamin B6 0.3 mg | 20 |
Vitamin B12 0.48 µg | 20 |
Vitamin C 28 mg | 28 |
Vitamin D3 2 µg | 20 |
Vitamin E 2.2 mg α-TE | 20 |
Vitamin K1 15 µg | 21 |
Folic acid 80 µg | 20 |
Niacin 3.2 mg NE | 21 |
Biotin 6 µg | 20 |
Zn 2.4 mg | 28 |
Fe 2.4 mg | 20 |
K 120 mg | 3 |
Ca 160 mg | 23 |
Cu 0.16 mg | 20 |
Pantothenic acid 1 mg | 20 |
Mg 30 mg | 10 |
P 100 mg | 14 |
Table 2 .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iables | Before (n=16) | After (n=16) | |
---|---|---|---|
Age (years) | 73.27±2.312) | ||
Height (cm) | 148.70±1.51 | ||
Weight (kg) | 45.19±2.80 | 51.10±2.60 | 0.4473) |
BMI1) (kg/m2) | 18.88±1.16 | 20.74±1.06 | 0.4473) |
Diastolic blood pressure | 55.67±9.61 | 60.33±10.50 | 0.7413) |
Systolic blood pressure | 119.33±8.39 | 129.33±35.12 | 0.5933) |
1)BMI: body mass index..
2)Mean±SEM..
3)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able 3 . Mini dietary assessment by healthy eating index.
Variables | Before (n=16) | After (n=16) | ||
---|---|---|---|---|
Milk & its products, daily | Very often | 4(25.0)1) | 2(12.5) | 0.3882) |
Sometimes | 7(43.8) | 8(50.0) | ||
Seldom | 5(31.3) | 6(37.5) | ||
Meat, fish, egg, soybean etc, every meal | Very often | 2(12.5) | 2(12.5) | 0.2162) |
Sometimes | 12(75.0) | 12(75.0) | ||
Seldom | 2(12.5) | 2(12.5) | ||
Kimchi, vegetables, every meal | Very often | 6(37.5) | 4(25) | 0.4002) |
Sometimes | 9(56.3) | 10(62.5) | ||
Seldom | 1(6.3) | 2(12.5) | ||
Fruits & other juices, daily | Very often | 3(18.8) | 3(18.8) | 0.0772) |
Sometimes | 6(37.5) | 8(50.0) | ||
Seldom | 7(43.8) | 5(31.3) | ||
Fried foods,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2(12.5) | 1(6.3) | 0.0772) |
Sometimes | 6(37.5) | 8(50.0) | ||
Seldom | 8(50.0) | 7(43.8) | ||
High fat meat,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1(6.3) | 2(12.5) | 0.1222) |
Sometimes | 7(43.8) | 6(37.5) | ||
Seldom | 8(50.0) | 8(50.0) | ||
Add more salt or soy source at meals | Very often | 1(6.3) | 2(12.5) | 0.0463) |
Sometimes | 6(37.5) | 9(56.3) | ||
Seldom | 9(56.3) | 5(31.3) | ||
3 meals a day, regularly | Very often | 9(56.3) | 8(50.0) | 0.0373) |
Sometimes | 5(31.3) | 8(50.0) | ||
Seldom | 2(12.5) | - | ||
Ice cream, cake, cookies, carbonated drinks as snack, more than 2 times per week | Very often | 1(6.3) | 1(6.3) | 0.5502) |
Sometimes | 8(50.0) | 9(56.3) | ||
Seldom | 7(43.8) | 6(37.5) | ||
Variety of food (balanced diet) | Very often | 6(37.5) | 5(31.3) | 0.3832) |
Sometimes | 10(62.5) | 10(62.5) | ||
Seldom | - | 1(6.3) |
1)N (%): number of subjects, the relative % of subjects..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 at
Table 4 . Nutrient intakes calculated by 24-hour recall method.
Nutrients1) | Before (n=16) | After (n=16) | |
---|---|---|---|
Energy (kcal) | 931.81±116.902) | 1,366.44±128.52 | 0.0243) |
Carbohydrate (g) | 158.19±21.73 | 186.94±20.97 | 0.2754) |
Protein (g) | 36.17±5.04 | 64.25±7.24 | 0.0123) |
Fat (g) | 18.51±2.41 | 42.88±3.88 | 0.0013) |
Vitamin A (RE) | 577.33±180.46 | 790.58±204.23 | 0.2874) |
Vitamin E (mg) | 9.01±2.18 | 12.96±1.31 | 0.1634) |
Vitamin K (mg) | 200.01±67.98 | 195.19±42.97 | 0.8864) |
Vitamin B1 (mg) | 0.71±0.11 | 0.97±0.11 | 0.1264) |
Vitamin B2 (mg) | 0.63±0.11 | 0.99±0.12 | 0.1164) |
Vitamin B6 (mg) | 0.96±0.15 | 1.57±0.15 | 0.0193) |
Vitamin B12 (mg) | 4.73±1.93 | 17.15±2.97 | 0.0013) |
Niacin (mg) | 8.31±1.59 | 15.48±2.05 | 0.0323) |
Vitamin C (mg) | 73.68±20.07 | 101.66±20.67 | 0.0754) |
Folic acid (µg) | 394.49±80.85 | 714.25±84.88 | 0.0073) |
Calcium (mg) | 261.82±38.53 | 723.31±181.13 | 0.0373) |
Iron (mg) | 9.03±1.54 | 19.02±2.29 | 0.0053) |
Zinc (mg) | 6.07±1.00 | 9.09±1.39 | 0.1204) |
Magnesium (mg) | 61.06±14.66 | 78.37±25.20 | 0.4934) |
Potassium (mg) | 1,968.65±371.38 | 3,056.01±386.31 | 0.0684) |
Selenium (mg) | 47.81±6.75 | 79.61±9.53 | 0.0103) |
Phosphorus (mg) | 615.64±89.80 | 1,099.70±145.46 | 0.0243) |
Sodium (mg) | 3,392.89±825.68 | 4,423.04±573.52 | 0.2394) |
Fiber (g) | 18.83±4.55 | 31.30±3.68 | 0.0263) |
Cholesterol (mg) | 193.70±71.15 | 204.47±59.82 | 0.8174) |
1)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2)Mean±SEM..
3)Significantly different at
4)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able 5 . Basic blood tests in the blood.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White blood cell (103/µL) | 4.6∼10.2 | 6.52±0.351) | 8.18±1.13 | 0.1143) |
Red blood cell (106/µL) | 4∼5.4 | 3.91±0.11 | 3.83±0.10 | 0.5303) |
Hematocrit (%) | 36∼47 | 35.62±0.73 | 35.45±0.82 | 0.6383) |
Hemoglobin (g/dL) | 12.2∼16 | 11.82±0.29 | 11.80±0.34 | 0.6433) |
Mean cell volume (fL) | 80∼97 | 91.60±1.52 | 92.55±1.35 | 0.8423) |
Mean cell hemoglobin (pg) | 27∼31.2 | 30.40±0.63 | 30.77±0.56 | 0.9393) |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g/dL) | 31.8∼35.4 | 33.15±0.31 | 33.24±0.29 | 0.8883) |
Red cell distribution width (%) | 11.5∼14.8 | 12.98±0.19 | 13.12±0.18 | 0.4863) |
Platelets (103/µL) | 130∼400 | 217.14±18.69 | 221.08±31.07 | 0.5123) |
Mean platelet volume (fL) | 6.5∼12 | 10.37±0.25 | 10.62±0.29 | 0.0372) |
Plateletcrit (g/dL) | 0.06∼0.41 | 0.29±0.06 | 0.23±0.03 | 0.4593) |
Platelet distribution width (fL) | 9.8∼16.2 | 11.64±0.51 | 11.92±0.62 | 0.1493) |
1)Mean±SEM..
2)Significantly different at
3)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able 6 . Comparison of diabetic factors before and after intake of diabetic soymilk.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ESR (mm/h) | 0∼19 | 19.36±5.011) | 18.46±6.29 | 0.7992) |
Glucose (mg/dL) | 70∼110 | 161.43±24.61 | 205.85±36.89 | 0.2872) |
Glycoalbumin (%) | 11.0∼16.0 | 21.10±1.72 | 23.45±2.22 | 0.0343) |
HbA1c (%) | 5.6∼6.4 | 7.54±0.48 | 7.72±0.46 | 0.2322) |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1)Mean±SEM..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ly different at
Table 7 . Fat-related components in the blood.
Parameter | Sahmyook Medical Center standard value | Before (n=16) | After (n=16) | |
---|---|---|---|---|
Cholesterol (mg/dL) | <200 | 144.00±8.021) | 142.46±7.49 | 0.7922) |
LDL-Cholesterol (mg/dL) | <130 | 210.30±1.72 | 108.11±0.74 | 0.0503) |
Protein (g/dL) | 6.0∼8.3 | 6.50±0.21 | 6.68±0.16 | 0.2462) |
Albumin (g/dL) | 3.3∼5.2 | 4.25±0.08 | 4.18±0.09 | 1.5702) |
CRP (mg/dL) | <0.5 | 0.45±0.23 | 0.54±0.31 | 0.8852) |
BUN (mg/dL) | 4∼23 | 20.03±1.99 | 20.98±1.70 | 0.5592) |
Creatinine (mg/dL) | 0.1∼1.2 | 0.89±0.12 | 0.96±0.11 | 0.3612) |
CRP, C-reactive protein; BUN, blood urea nitrogen..
1)Mean±SEM..
2)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Significantly different a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