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nline ISSN 2288-5978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7): 748-755
Published online July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7.74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eong Jun Hong1 , Chang Guk Boo1, Seong Uk Heo1, Seong Min Jo1, Sojeong Yoon1, Hyangyeon Jeong1, Youngseung Lee2, Sung-Soo Park3, and Eui-Cheol Shin1
1Department of Food Science/Institute for Food Sensory & Cognitiv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3Department of Food Science & Nutri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Eui-CheolSh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01, Jinju-daero, Jinju-si, Gyeongnam 52828, Korea, E-mail: eshin@gnu.ac.kr
Author information: Seong Jun Hong (Graduate student), Chang Guk Boo (Graduate student), Seong Uk Heo (Student), Sung Min Cho (Student), So Jeong Yoon (Student), Hyang Yeon Jeong (Student), Youngseung Lee (Professor), Sung-Soo Park (Professor), Eui-Cheol Shin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namely Brix, salinity, pH,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tuberosit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rough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In the Brix analysis, the freeze-dried 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at 4.93±0.06% among all samples, and the blanched radish showed the lowest value at 1.17±0.06% among all samples. In the salinity analysis, the freeze-dried 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at 3.97±0.06%, and the blanched radish showed the lowest value at 1.00±0.01% among all the samples. In the pH analysis, microwaved radish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at 6.49±0.01, and the freeze-dried radish represented the lowest value at 5.66±0.01% compared to the other radishes. In the DPPH analysis, the blanched radish show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9.36±0.66%, and the microwaved radish showed the low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3.89±1.74% among all the samples. In the color analysis, the microwaved 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of lightness at 69.94±0.07, and oven heated radish showed the lowest value at 67.58±0.02% among all the samples. This may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determin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Keywords: wintering-radish,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lor, multivariate analysis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 중 하나인 월동무(
무에 대한 높은 관심도와 함께 무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관련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Boo 등, 2020b). 대표적인 이화학적 특성 연구들은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에 관련된 연구와 흑무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등이 존재하며, 관능적 특성에 관련된 연구들은 무의 이취 저감화에 대한 연구, 전자코, 전자혀,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D) 분석을 통한 제주산 월동무의 맛 성분과 향기 성분을 비교한 연구가 보고되어 왔다(Boo 등, 2020b).
식품의 대표적인 열처리 방법인 볶음 처리는 오븐을 이용한 열처리 방법과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공 방법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가공 방법은 맛 성분과 향기 성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열처리를 통해 본래의 식물 상태에서보다 더욱더 많은 향기 성분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같은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식품의 관능적 특성 중 하나인 색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Hong 등, 2020; Lee 등, 2019). 최근 도라지를 볶은 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관찰한 연구가 발표되었고(Lee 등, 2020), 동결건조를 통한 무의 향기 성분과 염도를 측정하였으며(Coogan과 Wills, 2002), 로스팅기와 가정용 스팀솥을 이용하여 제주도 가을무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색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Kim 등, 2018).
앞서 언급한 제주 무 관련 이화학적 특성이나 기능성 관련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전자레인지와 에어프라이어를 이용한 제주도 월동무의 가공 후 발생하는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한정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레인지 로스팅, 오븐 로스팅, 에어프라이 로스팅, 데치기 및 동결건조한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월동무를 이용한 기본적인 식재료 및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인 HMR(home meal replacement) 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가공 방법에 따른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 결과를 기초연구 데이터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제주산 무는 2020년 제주도에서 재배된 월동무를 이용하였고, 제주산 월동무 중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이는 청정고원 무를 이용하였다. 제주에서 제공받은 샘플은 저온(4°C) 배송을 통해 품질 저하를 최소한으로 진행하였고, 냉동 보관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해동 후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저온에서 제공받은 샘플은 최대한 신속하게 실험을 진행하여 저장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한으로 하였다.
가공 방법
실험에 사용된 월동무의 형태는 가정용 플라스틱 강판을 이용하여 슬러리(slurry) 형태의 무를 사용하였다. 슬러리의 경우 맛과 향의 변화가 쉽게 발생할 것을 고려하여 금속성의 물질과의 접촉을 차단하였고, 강판 역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품질 변화가 없는 신선한 상태의 슬러리 샘플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가공처리 직전에 슬러리를 제조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되고 남은 슬러리는 곧장 폐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의 열처리 가공 방법의 경우 다양한 열처리 기능을 가진 기기(EONC200F, SK Magic,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개별 가열 처리 조건은 전자레인지 처리(microwave treatment)의 경우 전자레인지(800 W)에서 5분간 진행하였고, 오븐 처리(oven treatment)의 경우 180°C의 온도에서 12분간 진행하였다. 데치기(blanching)의 경우는 110°C에서 12분간 진행하였고, 에어프라이어 처리(air frying treatment)의 경우 180°C 12분 간 frying을 통해 진행하였다. 그리고 비열처리 샘플인 동결 건조(freezing dry) 샘플은 동결건조기(Lyoph-Pride 10R, Il-Shin Co., Yangju, Korea)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탐색을 위한 월동무의 교반액은 가공처리된 무 30 g과 정제수 100 mL를 첨가하고 400 rpm에서 30분간 교반 후 Whatman No. 1 filter paper(Whatman International Ltd., Maidstone, UK)를 이용하여 여과했으며, 이를 각각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색도, 갈색도 및 탁도 측정
월동무의 색도는 색차계(CR-400, Konica Milnolta Inc.,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가공 방법에 따른 무의 명도(lightness,
당도, 염도 및 pH 측정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당도(Brix, %)는 당도계(PAL-03S, Atago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염도(%)는 염도계(PAL-α, Atago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도 및 염도 측정을 위해 앞서 정제수에 용해한 월동무 교반액 200 μL를 취해 측정 기기의 prism에 주입하여 당도와 염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진행하였다(Hong 등, 2020). pH 측정의 경우 월동무 교반액 100 mL를 pH meter(ST3100, Ohaus Co., Parsippany, NJ,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Hong 등, 2020).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월동무가 가진 라디칼 소거능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료 교반액 10 μL에 0.1 mM의 DPPH 용액(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혼합한 후 30분 동안 37°C에서 교반 및 암소 방치하였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다음의 식에 대입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산출하였다(Hong 등, 2020).
통계처리
본 연구의 결과값은 3회 반복한 평균값(mean)과 표준편차(SD)로 제시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AS version 9.0(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Tukey's multiple range test(
당도 및 염도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당도와 염도의 변화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당도와 염도의 경우 가공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샘플 간의 수분함량 차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고자 샘플 30 g을 100 mL의 정제수에 용해한 후 동일한 수분함량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당도는 1.17~4.93%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비열처리군으로 열처리 샘플들과의 상대적 비교에서 대조군으로 간주할 수 있는 동결건조된 월동무 샘플에서 가장 높은 당도를 나타내었다(
Table 1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wintering-radish using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Treatment | Sample | Brix (%) | Salt density (%) | pH | DPPH (%) | Turbidity | |||
---|---|---|---|---|---|---|---|---|---|
Non-thermalized | Freezing dry | 4.93±0.06a | 3.97±0.06a | 7.66±0.01a | 6.07±1.37ab | 69.16±0.16b | 0.309±0.001a | 0.314±0.001a | 0.089±0.001c |
Thermalized | Oven | 1.23±0.06cd | 1.10±0.01c | 6.72±0.05d | 5.09±1.03b | 67.58±0.02d | 0.309±0.001a | 0.313±0.001a | 0.114±0.001a |
Microwave | 1.53±0.06b | 1.20±0.01b | 7.49±0.01a | 3.89±1.74b | 69.94±0.07a | 0.308±0.001a | 0.313±0.001a | 0.109±0.001b | |
Air-fryer | 1.37±0.06c | 1.10±0.01c | 7.09±0.01b | 4.00±1.50b | 68.31±0.06c | 0.308±0.001a | 0.313±0.001a | 0.054±0.001c | |
Blanching | 1.17±0.06d | 1.00±0.01d | 6.87±0.05c | 9.36±0.66a | 69.02±0.03b | 0.309±0.001a | 0.313±0.001a | 0.070±0.001d |
Data are given as mean±SD values from experiments performed in triplicate.
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e)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ukey's multiple range test (
염도의 경우 앞선 당도의 결과와 같이 염도에서도 동결건조된 월동무 시료에서 가장 높은 염도를 나타내었고(
당도와 염도는 단맛과 짠맛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식품의 수분함량 변화에 따라 당도 및 염도가 변화한다(Hong 등, 2020). 일반적으로 열 가공처리를 거친 식품은 수분의 함량, 즉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이 감소하므로 조직 내 수분함량이 감소하며(Lee 등, 2013), 앞선 문헌 연구에서 전기장 건조 과정을 거친 월동무의 수분함량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Bajgai와 Hashinaga, 2001).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된 무에서 당도와 염도가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동결건조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의 수분함량이 다른 가공 공정을 겪은 월동무 시료들보다 더 높은 수분건조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Hong 등, 2020). 그리고 60°C에서 가공된 데치기무보다 120°C에서 가공된 오븐 월동무가 더 높은 수분건조가 발생하여 시료 내 당도 및 염도가 증가하였다고 판단된다. 앞선 Jeung 등(2019)의 연구에서 가공온도의 증가에 따라 당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고하였고, Lee 등(2013)의 연구에서 가공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함유량이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가 오븐과 에어프라이어로 가공된 월동무보다 높은 당도를 나타내는 결과 또한 수분 건조량에 따른 변화로 인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당도와 염도의 변화는 월동무 시료들의 단맛과 짠맛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Hong 등(2020)의 연구에서 볶음 처리된 땅콩새싹과 콩나물 추출물 염도의 증가 결과가 전자혀 짠맛과 관련된 센서값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Bae 등(2012)의 연구에서 열처리된 무에서 생무에 비해 sucros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H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pH 변화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모든 시료 중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가 가장 높은 pH를 나타내었고(
DPPH 라디칼 소거능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라디칼 소거능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가공처리별 월동무의 라디칼 소거능은 3.89~9.36%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데치기 과정을 통해 가공된 월동무의 라디칼 소거능이 9.36%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자를 공여하는 성질을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 및 아민류에 의해 산화된다. 이러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환원 후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탈색된 정도를 항산화능의 지표로써 측정한다. 앞선 연구들에서 라디칼 소거능은 주로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영향을 받고, 월동무 가공 후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가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Hong 등, 2020).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이외에도 pH의 변화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변화하며(Hong 등, 2020), 본 연구에서 다른 시료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가지는 전자레인지 및 에어프라이어를 통해 가공된 무에서 비교적 낮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데치기된 무가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데치기 과정이 다른 가공처리 방법들에 비해 단백질, DNA, 지질의 산화를 통해 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세포사를 유발하는 자유 라디칼을 억제할 수 있으며, 체내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긍정적인 생리적 기능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된다(Song 등, 2010). Lee 등(2009)의 연구에서도 열처리를 통해 무 추출물에서 항산화성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Lee 등(2009)은 열처리를 통해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대표적인 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이 열처리 온도에 따라 증가하게 되고, 열처리 과정에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Maillard 반응의 부산물 형성에 의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열처리가 없는 생무보다는 열처리를 통한 가공무에서 항산화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Kim 등(2015)의 연구에서는 무말랭이에서 건조방식에 따라 무말랭이의 항산화능이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열처리를 통한 가공 공정에서 채소류가 가진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화학적 변화를 통해 그 활성이 증대된다는 보고(Kim 등, 2015)도 있어 다양한 가공처리를 통한 월동무의 영양적, 기능적 특성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 및 탁도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색도와 탁도의 변화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비열처리 생무의 기준이 되는 동결건조 샘플을 기준으로 볼 때 월동무의 명도는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에서 가장 높은 명도를 나타내었고(
었다. 이 중 오븐으로 가열한 월동무의 탁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다변량분석을 통한 무의 이화학적 특성 패턴 분석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 결과를 다변량 분석법 중 하나인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들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패턴 결과는 Fig. 1과 Fig.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확인된 패턴 결과는 PC1(principal component)에서 46.55%의 variance가 확인되었고, PC2에서 26.66%의 variance가 확인되어 총 73.21%의 variance가 확인되었다. 가열처리된 시료들과 동결건조된 시료는 주로 PC1에 의해 분리되었다. 비열처리로써 열처리 샘플과의 대조군으로 간주되는 동결건조된 월동무는 당도, 염도, 황색도에 의해 분리되어 제1사분면에 위치하였고, 동결건조된 월동무 이외의 다른 시료들은 PC1 기준으로 음(-)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는 pH에 의해 분리되어 제2사분면에 위치하였고, 에어프라이어로 처리된 월동무 또한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pH의 영향에 의해 제2사분면에 위치하였다. 데치기된 월동무와 오븐 처리된 월동무의 경우 다른 시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접한 위치(제3사분면)에서 확인되었다.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군집분석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군집분석의 결과는 오븐 및 데치기로 가공된 시료들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차이도를 나타내었고, 전자레인지 및 에어프라이어로 가공된 시료들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차이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동결건조된 시료는 열처리로 가공된 시료들과 상대적으로 높은 차이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군집분석의 결과는 주성분분석에서 확인된 variables에 의해 시료간의 차이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월동무에 대한 다변량분석은 Boo 등(2020b)의 연구에서 월동무의 크기에 따른 맛 성분과 향기 성분을 주성분분석을 통해 시료 간 차이를 확인하였고, Boo 등(2020a)의 연구에서 국내 소비되는 국, 탕, 찌개류의 관능적 특성을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을 통해 시료 간 차이도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주된 활용범위 중 하나인 HMR과 같은 식품소재로의 월동무의 적용에서 다변량분석 결과는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각각의 가공처리에 따른 결과 패턴은 HMR 시장에서 어떠한 가공처리가 해당 제품과 적합한 이화학적 특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판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PJ014962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1; 50(7): 748-755
Published online July 31, 2021 https://doi.org/10.3746/jkfn.2021.50.7.74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홍성준1․부창국1․허성욱1․조성민1․윤소정1․정향연1․이영승2․박성수3․신의철1
1경상국립대학교 식품과학부/식품감각인지연구소
2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3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Seong Jun Hong1 , Chang Guk Boo1, Seong Uk Heo1, Seong Min Jo1, Sojeong Yoon1, Hyangyeon Jeong1, Youngseung Lee2, Sung-Soo Park3, and Eui-Cheol Shin1
1Department of Food Science/Institute for Food Sensory & Cognitiv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3Department of Food Science & Nutri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Eui-CheolSh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01, Jinju-daero, Jinju-si, Gyeongnam 52828, Korea, E-mail: eshin@gnu.ac.kr
Author information: Seong Jun Hong (Graduate student), Chang Guk Boo (Graduate student), Seong Uk Heo (Student), Sung Min Cho (Student), So Jeong Yoon (Student), Hyang Yeon Jeong (Student), Youngseung Lee (Professor), Sung-Soo Park (Professor), Eui-Cheol Shin (Professo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namely Brix, salinity, pH,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tuberosit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rough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In the Brix analysis, the freeze-dried 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at 4.93±0.06% among all samples, and the blanched radish showed the lowest value at 1.17±0.06% among all samples. In the salinity analysis, the freeze-dried 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at 3.97±0.06%, and the blanched radish showed the lowest value at 1.00±0.01% among all the samples. In the pH analysis, microwaved radish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at 6.49±0.01, and the freeze-dried radish represented the lowest value at 5.66±0.01% compared to the other radishes. In the DPPH analysis, the blanched radish show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9.36±0.66%, and the microwaved radish showed the low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3.89±1.74% among all the samples. In the color analysis, the microwaved 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of lightness at 69.94±0.07, and oven heated radish showed the lowest value at 67.58±0.02% among all the samples. This may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determin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Keywords: wintering-radish,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lor, multivariate analysis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 중 하나인 월동무(
무에 대한 높은 관심도와 함께 무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관련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Boo 등, 2020b). 대표적인 이화학적 특성 연구들은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에 관련된 연구와 흑무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등이 존재하며, 관능적 특성에 관련된 연구들은 무의 이취 저감화에 대한 연구, 전자코, 전자혀,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D) 분석을 통한 제주산 월동무의 맛 성분과 향기 성분을 비교한 연구가 보고되어 왔다(Boo 등, 2020b).
식품의 대표적인 열처리 방법인 볶음 처리는 오븐을 이용한 열처리 방법과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공 방법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가공 방법은 맛 성분과 향기 성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열처리를 통해 본래의 식물 상태에서보다 더욱더 많은 향기 성분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같은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식품의 관능적 특성 중 하나인 색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Hong 등, 2020; Lee 등, 2019). 최근 도라지를 볶은 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관찰한 연구가 발표되었고(Lee 등, 2020), 동결건조를 통한 무의 향기 성분과 염도를 측정하였으며(Coogan과 Wills, 2002), 로스팅기와 가정용 스팀솥을 이용하여 제주도 가을무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색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Kim 등, 2018).
앞서 언급한 제주 무 관련 이화학적 특성이나 기능성 관련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전자레인지와 에어프라이어를 이용한 제주도 월동무의 가공 후 발생하는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한정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레인지 로스팅, 오븐 로스팅, 에어프라이 로스팅, 데치기 및 동결건조한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월동무를 이용한 기본적인 식재료 및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인 HMR(home meal replacement) 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가공 방법에 따른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 결과를 기초연구 데이터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제주산 무는 2020년 제주도에서 재배된 월동무를 이용하였고, 제주산 월동무 중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이는 청정고원 무를 이용하였다. 제주에서 제공받은 샘플은 저온(4°C) 배송을 통해 품질 저하를 최소한으로 진행하였고, 냉동 보관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해동 후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저온에서 제공받은 샘플은 최대한 신속하게 실험을 진행하여 저장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한으로 하였다.
가공 방법
실험에 사용된 월동무의 형태는 가정용 플라스틱 강판을 이용하여 슬러리(slurry) 형태의 무를 사용하였다. 슬러리의 경우 맛과 향의 변화가 쉽게 발생할 것을 고려하여 금속성의 물질과의 접촉을 차단하였고, 강판 역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품질 변화가 없는 신선한 상태의 슬러리 샘플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가공처리 직전에 슬러리를 제조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되고 남은 슬러리는 곧장 폐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의 열처리 가공 방법의 경우 다양한 열처리 기능을 가진 기기(EONC200F, SK Magic,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개별 가열 처리 조건은 전자레인지 처리(microwave treatment)의 경우 전자레인지(800 W)에서 5분간 진행하였고, 오븐 처리(oven treatment)의 경우 180°C의 온도에서 12분간 진행하였다. 데치기(blanching)의 경우는 110°C에서 12분간 진행하였고, 에어프라이어 처리(air frying treatment)의 경우 180°C 12분 간 frying을 통해 진행하였다. 그리고 비열처리 샘플인 동결 건조(freezing dry) 샘플은 동결건조기(Lyoph-Pride 10R, Il-Shin Co., Yangju, Korea)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탐색을 위한 월동무의 교반액은 가공처리된 무 30 g과 정제수 100 mL를 첨가하고 400 rpm에서 30분간 교반 후 Whatman No. 1 filter paper(Whatman International Ltd., Maidstone, UK)를 이용하여 여과했으며, 이를 각각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색도, 갈색도 및 탁도 측정
월동무의 색도는 색차계(CR-400, Konica Milnolta Inc.,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가공 방법에 따른 무의 명도(lightness,
당도, 염도 및 pH 측정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당도(Brix, %)는 당도계(PAL-03S, Atago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염도(%)는 염도계(PAL-α, Atago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도 및 염도 측정을 위해 앞서 정제수에 용해한 월동무 교반액 200 μL를 취해 측정 기기의 prism에 주입하여 당도와 염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진행하였다(Hong 등, 2020). pH 측정의 경우 월동무 교반액 100 mL를 pH meter(ST3100, Ohaus Co., Parsippany, NJ,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Hong 등, 2020).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월동무가 가진 라디칼 소거능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료 교반액 10 μL에 0.1 mM의 DPPH 용액(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혼합한 후 30분 동안 37°C에서 교반 및 암소 방치하였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다음의 식에 대입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산출하였다(Hong 등, 2020).
통계처리
본 연구의 결과값은 3회 반복한 평균값(mean)과 표준편차(SD)로 제시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AS version 9.0(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Tukey's multiple range test(
당도 및 염도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당도와 염도의 변화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당도와 염도의 경우 가공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샘플 간의 수분함량 차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고자 샘플 30 g을 100 mL의 정제수에 용해한 후 동일한 수분함량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당도는 1.17~4.93%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비열처리군으로 열처리 샘플들과의 상대적 비교에서 대조군으로 간주할 수 있는 동결건조된 월동무 샘플에서 가장 높은 당도를 나타내었다(
Table 1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wintering-radish using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Treatment | Sample | Brix (%) | Salt density (%) | pH | DPPH (%) | Turbidity | |||
---|---|---|---|---|---|---|---|---|---|
Non-thermalized | Freezing dry | 4.93±0.06a | 3.97±0.06a | 7.66±0.01a | 6.07±1.37ab | 69.16±0.16b | 0.309±0.001a | 0.314±0.001a | 0.089±0.001c |
Thermalized | Oven | 1.23±0.06cd | 1.10±0.01c | 6.72±0.05d | 5.09±1.03b | 67.58±0.02d | 0.309±0.001a | 0.313±0.001a | 0.114±0.001a |
Microwave | 1.53±0.06b | 1.20±0.01b | 7.49±0.01a | 3.89±1.74b | 69.94±0.07a | 0.308±0.001a | 0.313±0.001a | 0.109±0.001b | |
Air-fryer | 1.37±0.06c | 1.10±0.01c | 7.09±0.01b | 4.00±1.50b | 68.31±0.06c | 0.308±0.001a | 0.313±0.001a | 0.054±0.001c | |
Blanching | 1.17±0.06d | 1.00±0.01d | 6.87±0.05c | 9.36±0.66a | 69.02±0.03b | 0.309±0.001a | 0.313±0.001a | 0.070±0.001d |
Data are given as mean±SD values from experiments performed in triplicate..
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e)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ukey's multiple range test (
염도의 경우 앞선 당도의 결과와 같이 염도에서도 동결건조된 월동무 시료에서 가장 높은 염도를 나타내었고(
당도와 염도는 단맛과 짠맛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식품의 수분함량 변화에 따라 당도 및 염도가 변화한다(Hong 등, 2020). 일반적으로 열 가공처리를 거친 식품은 수분의 함량, 즉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이 감소하므로 조직 내 수분함량이 감소하며(Lee 등, 2013), 앞선 문헌 연구에서 전기장 건조 과정을 거친 월동무의 수분함량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Bajgai와 Hashinaga, 2001).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된 무에서 당도와 염도가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동결건조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의 수분함량이 다른 가공 공정을 겪은 월동무 시료들보다 더 높은 수분건조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Hong 등, 2020). 그리고 60°C에서 가공된 데치기무보다 120°C에서 가공된 오븐 월동무가 더 높은 수분건조가 발생하여 시료 내 당도 및 염도가 증가하였다고 판단된다. 앞선 Jeung 등(2019)의 연구에서 가공온도의 증가에 따라 당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고하였고, Lee 등(2013)의 연구에서 가공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함유량이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가 오븐과 에어프라이어로 가공된 월동무보다 높은 당도를 나타내는 결과 또한 수분 건조량에 따른 변화로 인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당도와 염도의 변화는 월동무 시료들의 단맛과 짠맛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Hong 등(2020)의 연구에서 볶음 처리된 땅콩새싹과 콩나물 추출물 염도의 증가 결과가 전자혀 짠맛과 관련된 센서값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Bae 등(2012)의 연구에서 열처리된 무에서 생무에 비해 sucros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H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pH 변화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모든 시료 중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가 가장 높은 pH를 나타내었고(
DPPH 라디칼 소거능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라디칼 소거능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가공처리별 월동무의 라디칼 소거능은 3.89~9.36%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데치기 과정을 통해 가공된 월동무의 라디칼 소거능이 9.36%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자를 공여하는 성질을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 및 아민류에 의해 산화된다. 이러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환원 후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탈색된 정도를 항산화능의 지표로써 측정한다. 앞선 연구들에서 라디칼 소거능은 주로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영향을 받고, 월동무 가공 후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가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Hong 등, 2020).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이외에도 pH의 변화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변화하며(Hong 등, 2020), 본 연구에서 다른 시료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가지는 전자레인지 및 에어프라이어를 통해 가공된 무에서 비교적 낮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데치기된 무가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데치기 과정이 다른 가공처리 방법들에 비해 단백질, DNA, 지질의 산화를 통해 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세포사를 유발하는 자유 라디칼을 억제할 수 있으며, 체내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긍정적인 생리적 기능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된다(Song 등, 2010). Lee 등(2009)의 연구에서도 열처리를 통해 무 추출물에서 항산화성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Lee 등(2009)은 열처리를 통해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대표적인 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이 열처리 온도에 따라 증가하게 되고, 열처리 과정에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Maillard 반응의 부산물 형성에 의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열처리가 없는 생무보다는 열처리를 통한 가공무에서 항산화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Kim 등(2015)의 연구에서는 무말랭이에서 건조방식에 따라 무말랭이의 항산화능이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열처리를 통한 가공 공정에서 채소류가 가진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화학적 변화를 통해 그 활성이 증대된다는 보고(Kim 등, 2015)도 있어 다양한 가공처리를 통한 월동무의 영양적, 기능적 특성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 및 탁도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색도와 탁도의 변화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비열처리 생무의 기준이 되는 동결건조 샘플을 기준으로 볼 때 월동무의 명도는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에서 가장 높은 명도를 나타내었고(
었다. 이 중 오븐으로 가열한 월동무의 탁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다변량분석을 통한 무의 이화학적 특성 패턴 분석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이화학적 특성 결과를 다변량 분석법 중 하나인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들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패턴 결과는 Fig. 1과 Fig.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확인된 패턴 결과는 PC1(principal component)에서 46.55%의 variance가 확인되었고, PC2에서 26.66%의 variance가 확인되어 총 73.21%의 variance가 확인되었다. 가열처리된 시료들과 동결건조된 시료는 주로 PC1에 의해 분리되었다. 비열처리로써 열처리 샘플과의 대조군으로 간주되는 동결건조된 월동무는 당도, 염도, 황색도에 의해 분리되어 제1사분면에 위치하였고, 동결건조된 월동무 이외의 다른 시료들은 PC1 기준으로 음(-)의 방향에 위치하였다.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는 pH에 의해 분리되어 제2사분면에 위치하였고, 에어프라이어로 처리된 월동무 또한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공된 월동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pH의 영향에 의해 제2사분면에 위치하였다. 데치기된 월동무와 오븐 처리된 월동무의 경우 다른 시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접한 위치(제3사분면)에서 확인되었다.
가공처리에 따른 월동무의 군집분석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군집분석의 결과는 오븐 및 데치기로 가공된 시료들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차이도를 나타내었고, 전자레인지 및 에어프라이어로 가공된 시료들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차이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동결건조된 시료는 열처리로 가공된 시료들과 상대적으로 높은 차이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군집분석의 결과는 주성분분석에서 확인된 variables에 의해 시료간의 차이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월동무에 대한 다변량분석은 Boo 등(2020b)의 연구에서 월동무의 크기에 따른 맛 성분과 향기 성분을 주성분분석을 통해 시료 간 차이를 확인하였고, Boo 등(2020a)의 연구에서 국내 소비되는 국, 탕, 찌개류의 관능적 특성을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을 통해 시료 간 차이도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주된 활용범위 중 하나인 HMR과 같은 식품소재로의 월동무의 적용에서 다변량분석 결과는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각각의 가공처리에 따른 결과 패턴은 HMR 시장에서 어떠한 가공처리가 해당 제품과 적합한 이화학적 특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판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PJ014962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Table 1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wintering-radish using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Treatment | Sample | Brix (%) | Salt density (%) | pH | DPPH (%) | Turbidity | |||
---|---|---|---|---|---|---|---|---|---|
Non-thermalized | Freezing dry | 4.93±0.06a | 3.97±0.06a | 7.66±0.01a | 6.07±1.37ab | 69.16±0.16b | 0.309±0.001a | 0.314±0.001a | 0.089±0.001c |
Thermalized | Oven | 1.23±0.06cd | 1.10±0.01c | 6.72±0.05d | 5.09±1.03b | 67.58±0.02d | 0.309±0.001a | 0.313±0.001a | 0.114±0.001a |
Microwave | 1.53±0.06b | 1.20±0.01b | 7.49±0.01a | 3.89±1.74b | 69.94±0.07a | 0.308±0.001a | 0.313±0.001a | 0.109±0.001b | |
Air-fryer | 1.37±0.06c | 1.10±0.01c | 7.09±0.01b | 4.00±1.50b | 68.31±0.06c | 0.308±0.001a | 0.313±0.001a | 0.054±0.001c | |
Blanching | 1.17±0.06d | 1.00±0.01d | 6.87±0.05c | 9.36±0.66a | 69.02±0.03b | 0.309±0.001a | 0.313±0.001a | 0.070±0.001d |
Data are given as mean±SD values from experiments performed in triplicate..
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e)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ukey's multiple range test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owered by INFOrang Co., Ltd.